본문 바로가기
神學/神學資料

Maimonides

by 이덕휴-dhleepaul 2022. 4. 30.

마이모니데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에서
탐색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다른 용도는 Maimonides (동음이의)를 참조하십시오.
하이파 병원은 람밤의 건강 관리 캠퍼스를 참조하십시오.
마이모니데스
모세 벤 마이몬태어난사망주목할만한 작품배우자 (들)시대부위학교주요 관심사주목할만한 아이디어서명
마이모니데스의 상상의 18세기 묘사
3월 30일[1] 또는 4월 6일[2] 1135년
3월 28일 또는 4월 4일 출생[3] 1138
1204
년 12월 12일 
미슈네 토라
난을 위한 가이드
(1) 나다니엘 바룩의 딸 (2) 미샤엘 할레비의 딸
 
중세 철학
중동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종교법, 할라카
마이모니데스의 맹세, 마이모니데스의 통치, 황금의 의미, 신앙의 13가지 원칙
보이다
영향
보이다
영향
 
종교 철학
 시리즈의 일부
보이다
도전
보이다
관련 주제
종교 철학 기사 색인

모세 벤 마이몬[주 1] (1138-1204)은 일반적으로 마이모니데스(/maɪˈmɒnɪdiːz/)[주 2]로 알려져 있으며 람밤(히브리어: רמב״ם)이라는 약어로도 언급되며,[주 3]은 중세 세파르딕 유대인이었다. 중세 시대의 가장 다작스럽고 영향력있는 토라 학자 중 한 명이 된 철학자. 그의 시대에, 그는 또한 저명한 천문학자이자 의사였으며, 살라딘의 개인 의사로 봉사했다. 알모라비드 제국(현재의 스페인) 코르도바에서 태어나 유월절 전날인 1138년(또는 1135년)에 [7][8][9][10] 모로코 이집트에서 랍비, 의사, 철학자로 일했다. 그는 1204년 12월 12일 이집트에서 죽었고, 그의 시신은 갈릴리 하류로 옮겨져 티베리아스에 묻혔다. [11][12]

그의 생애 동안,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이라크와 예멘만큼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유대인의 법 윤리에 관한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을 환호와 감사로 맞이했다. 그러나 마이모니데스가 이집트에서 유대인 공동체의 존경받는 우두머리가 되기 위해 일어섰지만, 그의 저술에는 특히 스페인에서 격렬한 비평가들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후에 유대인 역사상 가장 중요한 랍비 사기꾼이자 철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 받았으며, 그의 풍부한 업적은 유대인 학문의 초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의 열네 권의 미슈네 토라는 여전히 할라카의 성문화로서 중요한 정경적 권위를 지니고 있다. 그는 때때로 "ha'Nesher ha'Gadol"(The Great Eagle)[13]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전 토라 진정한 지수로서의 탁월한 지위를 인정합니다.

유대인 역사가들에 의해 존경받는 것 외에도, 마이모니데스는 이슬람과 아랍 과학의 역사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언급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알 파라비, 이븐 시나, 그리고 그의 동시대 이븐 러쉬드의 영향을 받은 그는 유대인과 이슬람 세계에서 저명한 철학자이자 수학이 되었다. 그의 무덤에는 "모세에서 모세 같은 자가 없었다"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14]

이름[편집]

그의 전체 히브리어 이름은 랍비 모쉐 벤 마이몬 (רבי משה בן מימון)이며, 약어는 "람밤"(רמב״ם)을 형성합니다. 그의 전체 아랍어 이름은 Abū ʿImrān Mūsā bin Maimūn bin ʿUbaidallāh al-Qurtabī (ابو عمران موسى بن ميمون بن عبيد الله القرطبي) 또는 Mūsā bin Maymūn (موسى بن ميمون)입니다. 빈 ʿUbaidallāh 부분은 마이몬의 아버지가 오바디아라고 불렸다는 것을 암시해서는 안되며, 대신 빈 ʿUbaidallāh 오바댜가 그의 가장 초기의 직계 조상의 이름이었기 때문에 마이모니데스의 성으로 취급된다. 라틴어에서 히브리어 ben (아들)은 그리스 스타일의 수호 접미사 -ides가되어 "모세 마이모니데스"를 형성합니다.

전기[편집]

 
알모하드 칼리파테의 가장 큰 범위에서의 지배, c. 1200

초창기[편집]

마이모니데스는 1138년(또는 1135년) 안달루시아 코르도바에서 무슬림이 통치하는 알모라비드 제국에서 태어났으며, 일부 학자들은 무어 통치의 첫 세기 이후 이베리아 반도에서 유대인 문화의 황금기가 끝났다 생각한다. 그의 아버지 마이몬 벤 요셉은 스페인 데이얀(유대인 판사)이었으며, 그의 가족은 시므온 벤 유다 하-나시로부터 직접 부계 후손을 주장했고, 따라서 다윗 혈통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마이모니데스는 나중에 그와 유다 하나시 사이에 38세대가 있다고 말했다. [15][16]그의 조상은 4세대로 거슬러 올라가 그의 이게렛 테이만(예멘 서한)에서 재판관 마이몬의 아들 모세(하다얀), 현자 요셉의 아들(הֶחָכָם, 헤차캄), 랍비 이삭의 아들(הָרָב, 하라브), 재판관 오바댜의 아들로 주어졌다. [17] 어린 나이에 마이모니데스는 과학과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아랍어 번역본으로 접근 할 수있는 그리스 철학자를 읽었으며 이슬람 문화의 과학과 학습에 깊이 빠져있었습니다. [18]

마이모니데스는 카발라의 지지자로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그의 철학에서 강한 지적 유형의 신비주의가 식별되어 왔다. [19] 그는 순수한 발명품에 기초했기 때문에 그가 거짓이라고 선언 한 시들에 대한 반대를 표명했다. 그의 성격뿐만 아니라 그의 저술로 존경 받았던이 현자는 바쁜 삶을 살았으며 여행이나 임시 숙박 시설에서 많은 작품을 썼습니다. [20]마이모니데스는 아버지 밑에서 토라를 공부했고, 그는 이삭 알파시의 제자인 랍비 조셉 이븐 미가쉬 밑에서 공부했다.

 
모로코 페즈에 있는 마이모니데스의 집

망명[편집]

베르베르 왕조인 알모하드족은 1148년 코르도바를 정복하고 그들의 영토 중 일부에서 디미(dhimmi) 지위(즉, 세금 납부를 통해 보장된 비무슬림에 대한 국가 보호, 지자)를 폐지했다. 이 지위를 상실하자 유대인과 기독교 공동체는 이슬람교로 개종, 죽음 또는 망명했다. [20]많은 유대인들이 개종하도록 강요받았지만, 가짜 개종에 대한 당국의 의심으로 인해, 새로운 개종자들은 그들을 구별하고 대중의 감시를 받게 하는 식별 가능한 옷을 입어야 했다. [21][22]

마이모니데스의 가족은, 대부분의 다른 유대인들과 함께,[모호한  토론들]이 망명을 선택했다. 마이모니데스 자신이 그 지역을 떠나기 전에 목숨을 구하기 위해 이슬람교로 개종해야 했던 사람들 중 하나였는지에 대한 질문은 학문적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23] 이 강제 개종은 이집트의 라이벌에 의해 제기되었을 때 이슬람 법에 따라 법적으로 무효 판결을 받았다. [24] 그 후 십 년 동안, 마이모니데스는 스페인 남부로 이주하여 결국 모로코 페즈에 정착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1166-1168 년 동안 미슈나에 대한 찬사를받은 논평을 작곡했습니다. [25] 어떤 사람들은 페즈에 있는 그의 선생이 랍비 예후다 하-코헨 이븐 수잔이었다고 말하는데, 그는 1165년에 죽임을 당했다. [26]

두 아들과 함께 모로코에 체류한 후,[27] 그는 팔레스타인에 머물다가 1168년경에 파티미드 칼리파테가 지배하는 이집트의 푸스타트에 정착했다. 카이로에 있는 동안, 그는 작은 회당에 붙어 있는 예시바에서 공부했는데, 지금은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28]팔레스타인에서 그는 성전산에서 기도했다. 그는 성전 산을 방문한 이 날은 자신과 그의 후손들에게 거룩함의 날이라고 기록했다. [29]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이모니데스는 예루살렘이 빌베이스 남동부 나일 델타 마을을 포위하는 동안 포로로 잡혀간 유대인들을 구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낮은 이집트의 유대인 공동체에 다섯 통의 편지를 보내 몸값을 지불하기 위해 돈을 모으라고 요청했습니다. 그 돈은 모아서 십자군과 협상하기 위해 팔레스타인으로 보내진 두 명의 판사에게 주어졌다. 포로들은 결국 석방되었다. [30]

그의 형제의 죽음[편집]

 
코르도바의 기념물

이 승리 이후, 마이모니데스 가족은 부를 늘리기를 희망하면서 상인 인 막내 아들 데이비드 벤 마이몬 (David ben Maimon)에게 저축을 제공했습니다. 마이모니데스는 동생에게 수단 아이다브 항구에서만 물품을 조달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사막을 오랫동안 힘들게 여행한 후, 데이비드는 그곳에서 제공되는 물품에 깊은 인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의 형제의 소원에 반하여, 다윗은 동쪽에서 큰 부가 발견될 것이기 때문에 인도를 향하여 배를 탔다. [31]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다윗은 1169년에서 1177년 사이에 바다에서 익사했다. 그의 형제의 죽음으로 마이모니데스는 슬픔에 시달렸다.

카이로 제니자에서 발견 된 편지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내 전 생애 동안 나에게 닥친 가장 큰 불행은―다른 어떤 것보다 더 나빴던 ―성도의 죽음이었고, 그의 기억이 축복 받고, 인도해에서 익사하고, 나와 그와 다른 사람들에게 많은 돈을 짊어지고, 나와 함께 작은 딸과 과부를 남겨 두게 하소서. 그 끔찍한 소식을 접한 날, 나는 병에 걸려 약 일 년 동안 침대에 누워 종기, 발열, 우울증을 앓고 거의 포기했다. 여덟 년쯤 지났지만, 나는 여전히 슬퍼하고 있으며 위로를 받아들일 수 없다. 그리고 어떻게 자신을 위로해야합니까? 그는 내 무릎을 꿇고 자랐고, 그는 나의 형제였으며, 그는 나의 학생이었다. [32]

나기드[편집]

 
미국 하원의 마이모니데스의 바스 구호.

1171년경, 마이모니데스는 이집트 유대인 공동체의 나기드로 임명되었다. [28] 아라비스트 셸로모 도브 고이테인은 십자군 포로들의 몸값을 치르는 동안 그가 보여준 지도력이 이 임명으로 이어졌다고 믿는다. [33]그러나 그는 1173년에 사르 샬롬 벤 모세로 대체되었다. 사르 샬롬이 세금 농업으로 기소된 사르 샬롬의 임명 과정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동안, 마이모니데스는 1195년 마이모니데스가 나기드로 임명될 때까지 몇 년 동안 파문하고 그와 싸웠다. "Megillat Zutta"로 알려진 작품은 아브라함 벤 힐렐 (Abraham ben Hillel)이 썼는데, 그는 사르 샬롬에 대한 비열한 묘사를 쓰면서 마이모니데스를 "동서양의 빛과 세대의 독특한 주인과 경이로움"이라고 칭찬했다. [34][35][36] 다윗의 사업 사업에 묶여있는 가족 자금의 손실로 마이모니데스는 의사의 소명을 맡았고, 그로 인해 유명해질 것이었다. 그는 코르도바와 페즈에서 의학 훈련을 받았다. 널리 인정을 받으면서, 그는 술탄 살라딘의 수석 비서 인 알 카디 알 파딜 (al-Qadi al-Fadil)의 법원 의사로 임명되었고, 그 다음 살라딘 자신에게로 임명되었다. 그의 죽음 후에 그는 Ayyubid 왕조의 의사로 남아있었습니다. [37]

그의 의학 저서에서 Maimonides는 천식, 당뇨병, 간염  폐렴을 포함한 많은 상태를 설명했으며 절제와 건강한 생활 방식을 강조했습니다. [38] 그의 논문은 여러 세대의 의사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그리스어와 아랍어 의학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갈렌의 전통에서 유머주의의 원칙을 따랐습니다. 그는 맹목적으로 권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관찰과 경험을 사용했습니다. [38] 줄리아 베스 프랭크 (Julia Bess Frank)는 마이모니데스 (Maimonides)가 의학 저술에서 당국의 작품을 해석하여 받아 들일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지적했다. [37] Maimonides는 환자와의 상호 작용에서 오늘날 환자의 자율성에 대한 문화 간 인식과 존중이라고 불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39]그는 하느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고 자신의 철학에서 필수적인 요소들을 예언적 체험으로 확장하기 위해 고독에 대한 갈망에 대해 자주 썼지만,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데 쏟아부었다. [40] 유명한 편지에서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일상을 묘사한다. 술탄의 궁전을 방문한 후, 그는 지치고 배고픈 집에 도착하여 "나는 이방과 유대인으로 가득 찬 전실을 발견 할 것이다. 나는 그들을 치유하기 위해 갈 것이고, 그들의 질병에 대한 처방전을 쓸 것입니다 ... 저녁까지 ... 그리고 나는 극도로 약할 것이다." [41]

그가 이 편지에서 계속 말하듯이, 샤밧에서도 그는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받아들일 것이다. 그가 의학 및 기타 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할라카 (랍비 법)와 중세 시대의 유대인 철학에 관한 가장 체계적으로 생각하고 영향력있는 논문을 포함하여 확장 된 논문을 저술 한 것은 놀랍습니다. [42]

요제프 카로는 나중에 마이모니데스를 칭찬하면서 "마이모니데스는 [유대 율법의] 사기꾼들 중에서 가장 위대한 자이며, 이스라엘 땅 아라비아 마그레브의 모든 공동체는 그의 뒤를 잇는 그들의 관습을 기초로 삼았고, 그를 그들의 랍비로 받아들였다"고 썼다. [43]

1173/4년,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유명한 예멘 서한을 썼다. [44] 그의 "끊임없는 고통"은 자신의 건강을 훼손하고 69 세에 사망을 초래했다고 제안되었습니다 (이것은 정상적인 수명이지만). [45]

죽음[편집]

마이모니데스는 1204년 12월 12일(테벳 4965년 20일)에 푸스타트에서 사망했다. 그가 회당 안뜰의 베스 미드라쉬에 잠깐 묻혔다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소원에 따라 그의 유골이 발굴되어 티베리아스로 옮겨져 다시 묻혔다. [46]이스라엘 갈릴리 바다의 서쪽 해안에 있는 마이모니데스의 무덤은 그의 무덤을 표시한다. 그의 마지막 휴식 장소를위한이 위치는 유대인 카이렌 공동체에서 그가 이집트에 묻혀 있었다는 전통이 있기 때문에 논의되었습니다. [47]

마이모니데스와 그의 아내, 미샤엘 벤 예사야후 할레비의 딸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한 아이를 낳았고,[48] 아브라함 마이모니데스는 위대한 학자로 인정받았다. 그는 마이모니데스를 나기드(Nagid)로 계승했고, 열여덟 살에 법정 의사로 일했다.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그는 모든 비평가들에 대항하여 아버지의 글을 변호했다. Nagid의 사무실은 14 세기 말까지 4 세대 동안 Maimonides 가족에 의해 개최되었습니다.

마이모니데스는 스페인에서 널리 존경 받고 있으며, 코르도바 회당 근처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습니다.

마이모니데스는 때때로 다윗 왕의 후손이라고 불리지만, 그는 결코 그런 주장을 하지 않았다. [49][50]

법률 저작물[편집]

주요 기사: 미슈네 토라

마이모니데스는 미슈네 토라와 함께 가능한 한 가장 넓은 범위와 깊이를 가진 유대 율법 규범을 작성했다. 이 작품은 탈무드에서 모든 구속력있는 법칙을 모으고 Geonim (탈무드 초기 중세 이후의 학자들, 주로 메소포타미아 출신)의 입장을 통합합니다.

랍비 야곱 벤 아셔 아르바아 투림과 랍비 요세프 카로의 슐찬 아루치와 같은 유대인 율법의 후기 코드는 미슈네 토라를 많이 그린다. 그러나 처음에는 많은 반대에 부딪혔다. [51]이 반대에 대한 두 가지 주된 이유가있었습니다. 첫째, 마이모니데스는 간결함을 위해 그의 작품에 대한 언급을 추가하는 것을 자제했다. 둘째, 서론에서, 그는 탈무드에 대한 연구를 "잘라내고"싶다는 인상을 주었고,[52] 유대인 율법의 결론에 도달했지만, 마이모니데스는 나중에 이것이 그의 의도가 아니라고 썼다. 그의 가장 강력한 상대는 프로방스 (남부 프랑스)의 랍비들이었고, 랍비 아브라함 벤 데이비드 (Raavad III)의 실행 비평은 미슈네 토라의 거의 모든 판에 인쇄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여전히 할라카의 체계화 된 글쓰기에 기념비적 인 공헌으로 인정 받았다. 수세기 동안, 그것은 널리 연구되어 왔으며 할라크어 결정은 후기 판결에서 크게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마이모니데스와 그의 미슈네 토라의 추종자들이 자신의 슐찬 아루치(Shulchan Aruch) 또는 다른 후대의 작품들의 판결을 따르도록 강요하려는 사람들에 대한 응답으로, 랍비 요세프 카로는 이렇게 썼다: "람밈을 따르는 공동체들이 일찍이나 늦게까지 다른 사기꾼들을 따르도록 감히 누가 감히 강요하겠는가? ... 람밤은 사기꾼들 중에서 가장 위대한 자이며, 이스라엘 땅과 아라비스탄 마그레브의 모든 공동체는 그의 말씀대로 실천하며, 그를 그들의 랍비로 받아들였다." [53]

그의 펜에서 인용 된 법적 격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고한 사람 한 명을 사형에 처하는 것보다 천 명의 유죄 판결을받은 사람을 무죄로 판결하는 것이 더 좋고 만족 스럽습니다." 그는 절대적 확실성보다 낮은 어떤 것에도 피고인을 처형하는 것은 우리가 판사의 비관에 따라 유죄 판결을 내릴 때까지 증거 부담을 줄이는 미끄러운 경사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54]

전근대 중국 (중유대교)에서 유대교의 역사와 하위 문화에 대한 연구를 전문으로하는 학자들은이 작품과 초기 송 왕조 기간 동안 중세 왕국에 정착 한 페르시아 유대인 상인의 후손 인 카이펑 유대인의 전례 사이에 놀라운 유사점을 지적했다. [55] 마이클 폴락은 성경적 유사성을 넘어 유대인의 오경이 페르시아 양식에 따라 53개의 섹션으로 나뉘어졌다고 말한다. [56]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카이펑 유대인이 "위대한 독수리"의 작품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유대인 학습의 저수지가 다 떨어지기 시작하기 전에 그들을 습득하거나 알 수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가졌을 것입니다. 케힐라의 마이모니데아 성향은 유대인들이 성(漢)이 도시를 탈출한 해인 1126년, 그리고 마이모니데스가 태어나기 아홉 년 전인 1126년 이전에 카이펑에 도착한 역사적 증거와 모순되지 않는다. 1163년, 케힐라가 첫 번째 회당을 지었을 때, 마이모니데스는 겨우 스물여덟 살이었기 때문에, 그의 초기 권위 있는 가르침조차도 그때까지 중국에 도달할 수 있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57]

체다카 (자선)[편집]

미슈네 토라의 한 부분은 체다카를 다루는 부분이다. Hilkhot Matanot Aniyim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것에 관한 법), 10:7-14 장에서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유명한 8가지 수준의 헌금(첫 번째 레벨이 가장 바람직하고 여덟 번째 레벨이 가장 적은 곳)을 열거한다:[58]

  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무이자 대출을 제공하는 것; 도움이 필요한 사람과 파트너십을 형성;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보조금을 주는 것;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위한 일자리를 찾는 것; 그 대출, 보조금, 파트너십 또는 직업이 더 이상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하여 살지 않는 한.
  2. 신뢰할 수 있고 현명하며 가장 완벽한 방식으로 돈으로 tzedakah의 행동을 수행 할 수있는 사람 (또는 공공 기금)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수령인에게 익명으로 tzedakah를주는 것.
  3. 알려진 수신자에게 익명으로 tzedakah를주는 것.
  4. 알 수없는 수령인에게 공개적으로 tzedakah를주는 것.
  5. 질문을 받기 전에 tzedakah를주는 것.
  6. 질문을 받은 후에 적절하게 기부함.
  7. 기꺼이 주지만 부적절하게.
  8. "슬픔 속에서"주는 것 (동정심에서 벗어나는 것) : 마이모니데스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볼 때 가질 수있는 슬픈 감정 때문에 (종교적 의무이기 때문에주는 것과는 반대로) 기부를 언급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른 번역본들은 "내키지 않고 주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철학[편집]

난처한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처음에는 아랍어로 Dalālat al-ḥāʾirīn으로 쓰여졌음)와 미슈나에 대한 그의 논평 부분에 대한 철학적 소개를 통해, 마이모니데스는 스콜라 철학자들, 특히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던스 스코투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그는 유대인 스콜라 주의자였습니다. 아라비아 교사와의 개인적인 접촉보다는 아랍 무슬림 철학자들의 작품을 읽음으로써 더 많은 교육을 받은 그는 아랍 무슬림 철학뿐만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리에 대해서도 친밀한 친분을 쌓았다. 마이모니데스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과학을 토라의 가르침과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59] 혼란에 빠진 자들을 위한 그의 안내서에서, 그는 종종 역사적 조건들을 배경으로 토라에 포함된 법적 조항들의 기능과 목적을 설명한다. 마이모니데스는 최초의 히브리 의학 저술가였던 유대인 아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열세 가지 신앙 원리[편집]

유대인과 유대교
 시리즈의 일부

미슈나에 대한 그의 논평(산헤드린 견인함, 10장)에서, 마이모니데스는 그의 "신앙의 13가지 원리"를 공식화한다. 그리고 이 원칙들은 그가 유대교의 필수 신앙으로 보았던 것을 요약했다:

  1. 하나님의 존재.
  2. 하나님의 연합과 요소로의 불가분성.
  3. 하나님의 영성과 무형체.
  4. 하나님의 영원성.
  5. 오직 하나님만이 예배의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6. 하나님의 선지자들을 통한 계시.
  7. 선지자들 사이에서 모세의 탁월함.
  8. 토라 전체(기록된 율법과 구전 율법 모두)는 신성한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시내산에서 하나님에 의해 모세에게 지시되었다.
  9. 모세가 주신 토라는 영구적이며 대체되거나 변경되지 않습니다.
  10. 인간의 모든 행동과 생각에 대한 하나님의 인식.
  11. 의로움에 대한 보상과 악의 형벌.
  12. 유대인 메시아의 오심.
  13. 죽은 자의 부활.

마이모니데스는 다양한 탈무드 출처에서 원리를 정리했다고 한다. 이 원칙들은 랍비 하스다이 크레스카스와 조셉 알보의 비판을 불러 일으켜 처음 제안되었을 때 논란의 여지가 있었으며 다음 몇 세기 동안 유대인 공동체의 많은 부분에서 효과적으로 무시되었습니다. [60] 그러나 이러한 원칙들은 널리 유지되어 왔으며 정통 유대인들의 신앙의 기본 원칙으로 간주된다. [61][62] 이 원리들에 대한 두 개의 시적 재진술들(애니 마아민 이그달)은 결국 "시드두르"(유대인 기도서)의 많은 판에서 정경이 되었다.

이 원리들은 시드두르 에닷 하미즈라흐(Siddur Edot HaMizrach), 샤카리트에 대한 추가(Additions for Shacharit)[63] 그의 후기 저작들인 미슈네 토라(Mishneh Torah)와 난처한 자들을 위한 지침서(The Guide for the Perplexed)에서 이러한 원칙들의 목록을 생략한 것은 그가 그의 초기 입장을 철회했거나, 이러한 원칙들이 규범적이라기보다는 서술적이라고 제안하도록 이끌었다. [64][65][66][67][68]

신학[편집]

 
조명 된 원고에서 학생들에게 '인간의 척도'에 대해 가르치는 Maimonides의 묘사.

마이모니데스는 아브라함의 하나님을 철학자들이 필요한 존재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시했다. 하나님은 우주에서 유일무이하시며, 토라는 그 유일성 때문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경외하라고 명령합니다 (신 10:12). 마이모니데스에게 이것은 하나님의 사역을 묵상하고 그들의 창조에 들어간 질서와 지혜에 경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렇게 할 때, 사람은 필연적으로 하나님을 사랑하게 되고, 하나님과 비교해 볼 때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지 느끼게 된다. 이것이 토라의 기초입니다. [69]

그의 철학적 활동에 영감을 준 원리는 스콜라주의의 근본적인 교리인 것과 동일했다: 하느님께서 계시하신 진리들과 과학과 철학에서 인간 마음의 발견들 사이에는 모순이 있을 수 없다. 마이모니데스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과 탈무드의 가르침에 의존했으며, 일반적으로 전자에서 후자의 기초를 찾았다. [70]

신플라톤주의 주석가들에 대한 마이모니데스의 감탄은 그를 후대의 스콜라주의자들이 받아들이지 않았던 교리들로 이끌었다. 예를 들어, 마이모니데스는 아포퓰리즘 신학의 지지자였다. 이 신학에서 사람은 부정적인 속성을 통해 하나님을 묘사하려고 시도합니다. 예를 들어, 신이 그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로 존재한다고 말해서는 안됩니다.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하나님은 지혜로우시다"라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은 무지하지 않으시다", 즉 어떤 면에서는 신이 지식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하나님은 한 분이시다"라고 말해서는 안 되지만,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다양성이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그 시도는 하나님이 "존재하시는" 것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아닌 것을 묘사함으로써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얻고 표현하려는 것이다. [71]

마이모니데스는 신이 육체적이지 않다고 단호하게 주장했다. 이것은 우상 숭배의 죄에 대한 그의 생각의 중심이었습니다. 마이모니데스는 신성한 본문에서 하나님과 관련된 모든 의인화 된 문구는 은유적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71] 마이모니데아 신학의 관련 교리는 계명들(특히 희생제사와 관련된 것들)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우상 숭배로부터 멀어지게 하려는 의도라는 개념이다. [72]

캐릭터 개발[편집]

또한 보십시오: 황금 의미 (유대교)
유대인 철학
에 시리즈의 일부
 
보이다
항목

마이모니데스는 자신의 도덕적 성격의 발달에 대해 가르쳤다. 비록 그의 삶이 개인성에 대한 현대적 개념보다 앞섰지만, 마이모니데스는 각 사람이 윤리적, 정서적 스펙트럼을 따라 타고난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비록 사람의 성향은 종종 자신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지만, 인간은 성격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선택할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 [73]그는 "사람은 온화하고 즐거운 태도로 다른 사람들과 자기 일을 할 의무가 있다"고 썼다. [74] 마이모니데스는 반사회적 성격의 특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러한 특성을 확인하고 반대 방향으로 행동하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한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어, 오만한 사람은 겸손을 실천해야 한다. [75] 자신의 환경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상황이라면, 새로운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 [76]

예언[편집]

그는 논리의 사용이 "올바른"사고 방식이라고 가르치는 데있어 "철학자"(아리스토텔레스)와 동의한다. 하나님을 아는 방법에 대한 내적 이해를 구축하기 위해 모든 인간은 연구, 명상 및 타협하지 않는 강한 의지를 통해 예언 상태에서 요구되는 완전한 논리적, 영적, 육체적 완전성의 정도를 달성해야합니다. 여기서 그는 선지자가 되려면 하나님이 개입해야 한다는 이전의 관념들(특히 랍비 예후다 할레비가 "하쿠자리"에서 묘사한 것)을 거부한다. 마이모니데스는 어떤 남자나 여자든지[77] 선지자(유대인뿐만 아니라)가 될 잠재력이 있으며, 사실 그것이 인류의 목적이라고 주장한다.

악의 문제[편집]

마이모니데스는 신학(신의 존재와 악의 존재를 조화시키려는 철학적 시도)에 대해 썼다. 그는 전능하고 선하신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취했다. [78][79][80][81] 『난처한 자들을 위한 지침서』에서 마이모니데스는 인간 안에 존재하는 모든 악은 그들의 개별적인 속성에서 비롯된 반면, 모든 선은 보편적으로 공유된 인류에게서 나온다고 기록하고 있다(가이드 3:8). 그는 더 높은 목적에 의해 인도되는 사람들이 있으며, 육체에 의해 인도되는 사람들이 있으며, 그들의 행동을 인도하는 더 높은 목적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말한다.

악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신이 전능하고 전지전능하다고 가정하면, 마이모니데스는 그 반대가 존재하지 않게 함으로써 어떤 것을 창조한 사람은 존재하는 어떤 것을 창조하는 것과 같지 않다고 가정한다. 그래서 악은 단지 선의 부재일 뿐이다. 하나님은 악을 창조하지 않으셨고, 오히려 하나님은 선을 창조하셨으며, 악은 선이 없는 곳에 존재합니다(안내 3:10). 그러므로 모든 선한 것은 신성한 발명품이며, 악은 둘 다 이차적으로 오지 않고 온다.

마이모니데스는 악이 세상에서 선보다 중요하다는 공통된 견해에 이의를 제기한다. 그는 만약 존재만을 인성의 관점으로만 검토한다면, 그 사람은 선을 지배하기 위해 악을 관찰할 수 있지만, 우주 전체를 보면 선이 악보다 훨씬 더 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말한다(가이드 3:12). 그는 인간이 하나님의 무수한 사역에서 그들의 주된 특징이 되기에는 너무 하찮은 인물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들의 삶에서 대부분 악을 볼 때, 그들은 그들 자신 밖에서 긍정적인 창조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추론한다.

마이모니데스는 세상에 세 가지 유형의 악이 있다고 믿는다: 자연으로 인한 악,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가져다주는 악, 그리고 악한 사람이 자신에게 임하는 악(가이드 3:12). 사악한 마이모니데스 국가의 첫 번째 유형은 가장 희귀한 형태이지만, 틀림없이 가장 필요한 것, 즉 인간과 동물의 세계 자체에서 삶과 죽음의 균형은 하나님의 계획에 필수적이라고 그는 인식하고 있다. 마이모니데스는 두 번째 유형의 악은 비교적 드물며, 인류는 그것을 스스로 가져온다고 썼다. 세 번째 유형의 악한 인간은 스스로를 초래하며 세상의 대부분의 병의 근원입니다. 이것은 사람들이 육체적 인 욕망에 희생 된 결과입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해를 끼치는 데서 비롯된 대부분의 악을 막기 위해, 우리는 육체적 충동에 대응하는 법을 배워야합니다.

독극물과 죽음에 관하여[편집]

최근 아랍어로 번역 된 별도의 작품에서 Maimonides는 독극물이라고 부르는 치명적인 약물에 대해 경고합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이 독극물은 가장 심각한 무관심과 인간의 활력의 부패를 죽음까지 일으킬 것입니다. [82]

점성술의 회의론[편집]

마이모니데스는 점성술에 관한 질문에 대답했고, 마르세유에서 그에게 말했다. [83]그는 사람이 이성적인 증거, 감각의 증거 또는 신뢰할 수 있는 권위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는 것만을 믿어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는 점성술을 공부했으며 과학으로 묘사 될 자격이 없다고 단언합니다. 그는 사람의 운명이 별자리에 의존 할 수 있다는 개념을 조롱합니다. 그는 그러한 이론이 목적의 삶을 빼앗을 것이며, 사람을 운명의 노예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84]

진정한 믿음 대 필요한 믿음[편집]

『난처한 책 III를 위한 안내서』(The Guide for the Perplexed Book III)에서 28장,[85] 마이모니데스는 지적 완전성을 낳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었던 "참된 믿음"과 사회 질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필요한 믿음"을 구별한다. 마이모니데스는 하나님에 대한 의인화 된 인격화 진술을 후자의 계급에 배치합니다. 그는 하나님이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들에게 "화를 내신다"는 개념을 예로 든다. 마이모니데스(아비첸나에서 따옴)의 관점에서 볼 때, 신은 인간의 열정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화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이 하나님이 행하신다는 것을 믿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들이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말론[편집]

또한 보십시오: 유태인 종말론

메시아닉 시대[편집]

아마도 마이모니데스의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유명한 저술 중 하나는 메시아닉 시대에 관한 그의 논문으로, 원래 유대-아랍어로 쓰여졌고, 그는 미슈나에 대한 그의 해설(페레ḳ ḥeleḳ라고도 알려진 산헤드린의 10번째 장 소개)에서 매우 자세하게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텍스트에 대한 창 열기)

보이다메시아닉 시대에 관한 마이모니데스의 전문(Full text of Maimonides on the Messianic Era)

부활[편집]

종교적인 유대인들은 영적인 의미에서 불멸을 믿었으며, 대부분은 미래가 메시아 시대와 죽은 자의 부활을 포함할 것이라고 믿었다. 이것이 유대인 종말론의 주제이다. 마이모니데스는 이 주제에 대해 많은 글을 썼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는 완전한 지성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영혼의 불멸성에 대해 썼다. 그의 글은 대개 죽은 시체의 부활에 관한 것이 아니었다. 당시 랍비들은 이 사상의 이러한 측면에 대해 비판적이었고, 그의 진정한 견해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86]

결국, 마이모니데스는 "부활에 관한 논문"으로 알려진 이 주제에 관한 논문을 써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꼈다. 이 책에서 그는 부활을 언급하는 히브리 성경의 구절들이 단지 우화적일 뿐이라고 믿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거짓을 퍼뜨리고 있다고 썼다. 마이모니데스는 부활에 대한 믿음이 유대교의 근본적인 진리이며 의견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87]

다가올 세상(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육체적이지 않은 영생)에 대한 그의 입장은 육체적 부활에 대한 그의 입장과 모순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마이모니데스는 부활이 영구적이거나 일반적이지 않다고 믿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하나님은 결코 자연의 법칙을 위반하지 않으신다. 오히려, 신성한 상호 작용은 천사들을 통해 이루어지며, 마이모니데스는 종종 자연의 법칙, 물리적 우주가 작동하는 원리, 또는 플라톤의 영원한 형태에 대한 은유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Hilchot Yesodei HaTorah Chaps에서. 2~4, 마이모니데스는 실제로 창조된 존재인 천사들을 묘사합니다.] 따라서 독특한 사건이 실제로 발생하더라도, 그것이 기적으로 인식된다고해도, 그것은 세계 질서를 위반하는 것이 아닙니다. [88]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부활한 죽은 자는 결국 다시 죽어야 한다. 믿음의 13가지 원칙에 대한 그의 토론에서, 처음 다섯 가지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다음 네 가지는 예언과 토라를 다루고, 마지막 네 가지는 보상과 형벌과 궁극적인 구속을 다룬다. 이 토론에서 마이모니데스는 우주적 부활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그가 말하는 것은 부활이 무엇이든, 그것은 장차 올 세상 앞에 불확실한 시기에 일어날 것이며, 그는 반복적으로 순전히 영적일 것이라고 말한다.

다가올 세상[편집]

마이모니데스는 인간의 두 종류의 지능을 구별하는데, 하나는 신체에 의존하고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의 물질이며, 다른 하나는 비물질적, 즉 신체 유기체와 무관하다. 후자는 우주적 활동적 지성으로부터 직접 발산되는 것이다;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noûs poietikós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그것은 하느님의 절대적이고 순수한 지능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얻으려는 혼의 노력의 결과로서 획득된다. [인용 필요]

하느님에 대한 지식은 우리 안에서 비물질적인 지능을 발전시키는 지식의 한 형태이며, 따라서 사람에게 비물질적이고 영적인 본성을 부여한다. 이것은 인간의 행복이 구성하는 완전성을 영혼에 부여하고 영혼에 불멸을 부여합니다.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얻은 사람은 존재의 상태에 이르렀고, 그것은 그를 행운의 모든 사고, 죄의 모든 유혹, 그리고 죽음 자체로부터 자유롭게 만듭니다. 인간은 자신의 구원과 불멸을 이루기 위한 위치에 있다. [인용 필요]

스피노자의 불멸에 대한 교리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했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불멸을 부여하는 지식을 얻는 길은 감각-지식에서 과학적 지식을 통한 진보이며, 모든 것에 대한 철학적 직관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가르치며, 마이모니데스는 완전과 불멸로 가는 길은 토라 구전 율법에 대한 랍비의 이해에 묘사된 의무의 길이라고 주장한다. [인용 필요]

마이모니데스는 이 세상에서 사람이 자신의 삶을 살아온 후 무대가 될 세상과 메시아닉 시대 이후의 마지막 존재 상태를 묘사한다. 죽은 자들이 부활한 후 얼마 후, 영혼들은 육신 없이 영원히 살 것이다. 그들은 음식, 음료 또는 성적 쾌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성한 현존의 광채를 누릴 것이다. [89]

마이모니데스와 카발라[편집]

『난처한 자를 위한 안내서』에서 마이모니데스는 토라의 난해한 의미에 대한 그의 설명을 일반 독자들에게 숨기려는 의도를 선언한다[90]. 이러한 "비밀"의 본질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종교적인 유대인 합리주의자들과 주류 학문적 견해는 마이모니데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카발라에 대한 상호 배타적인 대안적 형이상학으로 읽는다. [91] 일부 학자들은 마이모니데스의 프로젝트가 그의 시대의 프로토-카발라에 맞서 싸웠다고 주장한다. [92] 그러나 많은 카발리스트들과 그들의 후계자들은 카발라에 따라 또는 카발라의 실제 은밀한 가입자로서 마이모니데스를 읽었다.[93] 카발론적 접근과 은유로 성경을 해석하려는 마이모니데스의 접근 방식 사이의 유사성, 행동, 생각 및 부정적인 속성의 속성을 통한 마이모니데스의 이해, 삶에서 상상력과 지성의 역할에 대한 마이모니데스의 묘사, 죄와 예언, 계명은 이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마이모니데스의 주장과, 하나님의 뜻이 천사 체계를 통해 구현되는 3차원의 우주 질서에 대한 마이모니데스의 묘사. [인용 필요] 이에 따르면, 그는 드에 대한 탐구를 합리주의로만 제한하기보다는 유대교를 방어하기 위해 합리주의를 사용했다. 그의 합리주의는, 반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94] 또한 카발리스트들을 도왔고, 헤칼롯 문학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었던 잘못된 육체적 해석으로부터 그들의 전달된 가르침을 정화시켰다.[95] 그러나 카발리스트들은 그들의 신학만이 신성한 신비들에 대한 인간의 접근을 허용한다고 주장했다. [96]

마이모니데스의 맹세[편집]

마이모니데스의 선서는 의학적 부름에 관한 문서이며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대용품으로 낭송된다. 그것은 마이모니데스의 더 긴 기도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이 문서들은 마이모니데스에 의해 작성된 것이 아니라 나중에 작성되었을 수도 있다. [37] 기도문은 1793년에 인쇄물로 처음 나타났으며, 임마누엘 칸트의 제자인 독일 의사인 마르쿠스 헤르츠(Markus Herz)에게 귀속되었다. [97]

할례에 대한 견해[편집]

『난처한 자들을 위한 지침서』에서 마이모니데스는 할례의 두 가지 중요한 목적(브릿 밀라)이 성적 욕망을 단련하고 신앙의 확언과 아브라함의 언약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98][99]

할례에 관해서는, 그 목적 중 하나는 성교를 제한하고 가능한 한 세대의 기관을 약화시켜 사람을 온건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할례가 사람의 형성의 결함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은 쉽게 대답 할 수 있습니다 : 자연의 제품이 어떻게 결핍되어 외부 완성이 필요할 수 있습니까, 특히 포피를 그 기관에 사용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이 계명은 부족한 육체적 창조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람의 도덕적 결점을 완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정되었다. 그 장기에 초래 된 신체 상해는 정확히 원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어떤 중요한 기능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세대의 힘을 파괴하지도 않는다. 할례는 단순히 지나친 정욕을 상쇄합니다. 할례가 성적 흥분의 힘을 약화시키고 때로는 자연적인 즐거움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장기는 피를 잃고 처음부터 그 덮개를 박탈당할 때 필연적으로 약해진다. 우리의 현자 (베레쉬. 랍바, c. 80)는 뚜렷하게 말한다: 할례받지 않은 사람이 성관계를 가졌던 여자가 그와 헤어지기가 어렵다. 이것이 제가 믿는 바와 같이, 할례에 관한 계명의 가장 좋은 이유입니다. 그리고 누가 이 계명을 가장 먼저 행했는가? 아브라함, 우리 아버지! 그가 어떻게 죄를 두려워했는지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현자들에 의해 "보라, 이제 내가 네가 바라볼 공정한 여자임을 내가 아노라"(창 XII. 11)라는 말과 관련하여 묘사됩니다. 그러나 이 계명에는 또 다른 중요한 대상이 있습니다. 그것은 같은 믿음을 가진 모든 지체들, 즉 하느님의 일치를 믿는 모든 신자들에게 공통된 육체적 표징을 주므로, 낯선 사람, 즉 그가 그들에게 속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때로 사람들은 어떤 이득을 얻기 위해서, 또는 유대인들을 공격하기 위해 그렇게 말한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순수한 믿음 외에는 다른 어떤 이유로도 자신이나 그의 아들을 할례해서는 안 된다. 할례는 다리를 절개하거나 팔을 태우는 것과 같지 않지만 매우 어려운 수술입니다. 또한 사람들 사이에 많은 상호 사랑과 도움이 있다는 사실이며, 그들은 그것을 성약의 상징으로 간주 할 때 같은 표징으로 연합됩니다. 할례는 마찬가지로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일치에 대한 믿음과 관련하여 맺은 언약의 상징입니다. 그러므로 할례를 받은 자마다 아브라함의 언약에 들어가 율법의 말씀에 따라 "네게 하나님이 되고 네 뒤에 네 자손이 되라"(창 xvii. 7)는 하나님의 일치를 믿으라는 성약에 들어간다. 할례의 이 목적은 첫 번째 목적만큼이나 중요하며, 아마도 더 중요합니다.

- 마이모니데스, 난처한 자들의 안내 (1190)

영향력과 유산[편집]

마이모니데스의 미슈네 토라는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에 의해 유대인의 법과 윤리의 주요한 권위 있는 성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그것은 논리적 인 구성, 간결하고 명확한 표현 및 특별한 학습으로 예외적이어서 나중에 다른 성문화가 종종 측정되는 표준이되었습니다. [100] 그것은 여전히 랍비 예시보트(세미나리)에서 면밀히 연구되고 있다. 마이모니데스의 미슈네 토라(Mishne Torah)에서 발견되는 어려운 단어들의 알파벳순으로 배열된 목록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어휘를 처음으로 편집한 사람은 Tanḥum ha-Yerushalmi(1220-1291)였다. [101] 그의 에피타페 국가로도 사용되었던 유명한 중세 말, 모쉐(토라의)에서 모쉐(마이모니데스)에 이르기까지, 쉐와 같은 것은 없었다. 그것은 주로 그의 랍비 저술을 언급했다.

그러나 마이모니데스는 또한 중세 유대인 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성경적 신앙에 훌륭하게 적응시킨 것은 후기 유대인 사상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예상치 못한 즉각적인 역사적 영향을 미쳤다. [102] 그의 죽음 이후 세기에, 특히 스페인에서 좀 더 교활한 유대인들은 전통주의적 믿음과 준수를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마이모니데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적용하려고 애썼고, 스페인과 남부 프랑스 유대인 집단에서 지적 논쟁을 일으켰다. [103] 논쟁의 강도는 "이단"에 대한 카톨릭 교회의 개입과 랍비 텍스트의 일반적인 몰수를 촉발시켰다. 이에 반발하여, 마이모니데스에 대한 보다 급진적인 해석은 패배했다. 적어도 아슈케나지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그의 특정한 철학적 저술들을 무시하고 랍비와 할라크어 저술들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저술들은 종종 할라크어 준수를 뒷받침하는 상당한 철학적 장이나 토론을 포함했다. 데이비드 하트만은 마이모니데스가 "탈무드의 아가다와 성급한 유대인[경건한 유대인]의 행동 모두에서 하나님에 대한 철학적 이해에 대한 전통적 지지"를 분명히 표현했다고 관찰한다. [104] 마이모니데아의 사상은 전통적으로 관찰하는 유대인들에게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105][106]

마이모니데스에 대한 가장 엄격한 중세 비평은 하스다이 크레스카스의 또는 아도나이이다. 크레스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의 확실성을 종교적 문제뿐만 아니라 중세 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 (물리학 및 기하학과 같은)에서도 파괴함으로써 절충주의 경향을 뒤엎었다. 크레스카스의 비판은 많은 15세기 학자들이 마이모니데스에 대한 변호를 쓰도록 자극했다. Crescas의 부분 번역본은 1929 년 하버드 대학의 Harry Austryn Wolfson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성경적 신앙의 길을 찾는 종합 때문에, 마이모니데스는 위대한 기독교 신학자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그는 문장에 대한 해설을 포함한 여러 작품에서 마이모니데스를 언급했다. [107]

Maimonides's combined abilities in the fields of theology, philosophy and medicine make his work attractive today as a source during discussions of evolving norms in these fields, particularly medicine. An example is the modern citation of his method of determining death of the body in the controversy regarding declaration of death to permit organ donation for transplantation.[108]

Maimonides and the Modernists[edit]

Maimonides remains one of the most widely debated Jewish thinkers among modern scholars. He has been adopted as a symbol and an intellectual hero by almost all major movements in modern Judaism, and has proven important to philosophers such as Leo Strauss; and his views on the importance of humility have been taken up by modern humanist philosophers.

In academia, particularly within the area of Jewish Studies, the teaching of Maimonides has been dominated by traditional scholars, generally Orthodox, who place a very strong emphasis on Maimonides as a rationalist; one result is that certain sides of Maimonides's thought, including his opposition to anthropocentrism, have been obviated.[citation needed] There are movements in some postmodern circles to claim Maimonides for other purposes, as within the discourse of ecotheology.[109] Maimonides's reconciliation of the philosophical and the traditional has given his legacy an extremely diverse and dynamic quality.

Tributes and memorials[edit]

 
Plaque of Maimonides at Rambam Medical Center, Haifa

Maimonides has been memorialized in numerous ways. For example, one of the Learning Communities at the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ears his name. There is also Maimonides School in Brookline, Massachusetts, Maimonides Academy School in Los Angeles, California, Lycée Maïmonide in Casablanca, the Brauser Maimonides Academy in Hollywood, Florida,[110] and Maimonides Medical Center in Brooklyn, New York. Beit Harambam Congregation, a Sephardi synagogue in Philadelphia, Pennsylvania, is named after him.[111]

Issued from 8 May 1986 to 1995,[112] the Series A of the Israeli New Shekel featured an illustration of Maimonides on the obverse and the place of his burial in Tiberias on the reverse on its 1-shekel bill.[113]

In 2004, conferences were held at Yal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Penn State, and the Rambam Hospital in Haifa, Israel, which is named after him. To commemorate the 800th anniversary of his death, Harvard University issued a memorial volume.[114] In 1953, the Israel Postal Authority issued a postage stamp of Maimonides, pictured.

In March 2008, during the Euromed Conference of Ministers of Tourism, The Tourism Ministries of Israel, Morocco and Spain agreed to work together on a joint project that will trace the footsteps of the Rambam and thus boost religious tourism in the cities of Córdoba, Fes and Tiberias.[115]

Between December 2018 and January 2019 the Israel Museum held a special exhibit dedicated to the writings of Maimonides.[116]

Works and bibliography[edit]

Judaic and philosophical works[edit]

 
Manuscript page by Maimonides. Judeo-Arabic language in Hebrew letters.
 
The original manuscript of the Commentary on the Mishnah, handwritten by Musa bin Maymun in Judeo-Arabic in a Rashi script.

Maimonides composed works of Jewish scholarship, rabbinic law, philosophy, and medical texts. Most of Maimonides's works were written in Judeo-Arabic. However, the Mishneh Torah was written in Hebrew. His Jewish texts were:

  • Commentary on the Mishna (Arabic Kitab al-Siraj, translated into Hebrew as Pirush Hamishnayot), written in Classical Arabic using the Hebrew alphabet. This was the first full commentary ever written on the entire Mishnah, which took Maimonides seven years to complete, and it enjoyed great popularity both in its Arabic original and its medieval Hebrew translation. The commentary includes three philosophical introductions which were also highly influential:
    • The Introduction to the Mishnah deals with the nature of the oral la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ophet and the sage, an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Mishnah.
    • The Introduction to Mishnah Sanhedrin, chapter ten (Perek Helek), is an eschatological essay that concludes with Maimonides's famous creed ("the thirteen principles of faith").
    • The Introduction to Tractate Avot (popularly called The Eight Chapters) is an ethical treatise.
  • Sefer Hamitzvot (trans. The Book of Commandments). In this work, Maimonides lists all the 613 mitzvot traditionally contained in the Torah (Pentateuch). He describes fourteen shorashim (roots or principles) to guide his selection.
  • Sefer Ha'shamad (letter of Martydom)
  • Mishneh Torah, a comprehensive code of Jewish law. It is also known as Yad ha-Chazaka or simply Yad/"יד" which has the numerical value 14, representing the 14 books of the work.
  • The Guide for the Perplexed, a philosophical work harmonising and differentiating Aristotle's philosophy and Jewish theology. Written in Judeo-Arabic, and completed between 1186 and 1190.[117] The first translation of this work into Hebrew was done by Samuel ibn Tibbon in 1204.[59]
  • Teshuvot, collected correspondence and responsa, including a number of public letters (on resurrection and the afterlife, on conversion to other faiths, and Iggereth Teiman – addressed to the oppressed Jewry of Yemen).
  • Hilkhot ha-Yerushalmi, a fragment of a commentary on the Jerusalem Talmud, identified and published by Saul Lieberman in 1947.

Medical works[edit]

Maimonides' achievements in the medical field are well known, and are cited by many medieval authors. One of his more important medical works is his Guide to Good Health (Regimen Sanitis) which he composed in Arabic for the Sultan al-Afdal, son of Saladin, who suffered from depression.[118] The work was translated into Latin, and published in Florence in 1477, becoming the first medical book to appear in print there.[119] While his prescriptions may have become obsolete, "his ideas about preventive medicine, public hygiene, approach to the suffering pati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health of the soul have not become obsolete."[120] Maimonides wrote ten known medical works in Arabic that have been translated by the Jewish medical ethicist Fred Rosner into contemporary English.[38][121] Lectures, conferences and research on Maimonides, even recently in the 21st century, have been done at medical universities in Morocco.

  • Regimen Sanitatis, Suessmann Muntner (ed.), Mossad Harav Kook: Jerusalem 1963 (translated into Hebrew by Moshe Ibn Tibbon) (OCLC 729184001)
  • The Art of Cure – Extracts from Galen (Barzel, 1992, Vol. 5)[122] is essentially an extract of Galen's extensive writings.
  • Commentary on the Aphorisms of Hippocrates (Rosner, 1987, Vol. 2; Hebrew:[123] פירוש לפרקי אבוקראט) is interspersed with his own views.
  • Medical Aphorisms[124] of Moses (Rosner, 1989, Vol. 3) titled Fusul Musa in Arabic ("Chapters of Moses," Hebrew:[125] פרקי משה) contains 1500 aphorisms and many medical conditions are described.
  • Treatise on Hemorrhoids (in Rosner, 1984, Vol. 1; Hebrew:[126] ברפואת הטחורים) discusses also digestion and food.
  • Treatise on Cohabitation (in Rosner, 1984, Vol. 1) contains recipes as aphrodisiacs and anti-aphrodisiacs.
  • Treatise on Asthma (Rosner, 1994, Vol. 6)[127] discusses climates and diets and their effect on asthma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lean air.
  • Treatise on Poisons and Their Antidotes (in Rosner, 1984, Vol. 1) is an early toxicology textbook that remained popular for centuries.
  • Regimen of Health (in Rosner, 1990, Vol. 4; Hebrew:[128] הנהגת הבריאות) is a discourse on healthy living and the mind-body connection.
  • Discourse on the Explanation of Fits advocates healthy living and the avoidance of overabundance.
  • Glossary of Drug Names (Rosner, 1992, Vol. 7)[129] represents a pharmacopeia with 405 paragraphs with the names of drugs in Arabic, Greek, Syrian, Persian, Berber, and Spanish.

Treatise on logic[edit]

The Treatise on Logic (Arabic: Maqala Fi-Sinat Al-Mantiq) has been printed 17 times, including editions in Latin (1527), German (1805, 1822, 1833, 1828), French (1935), and English (1938), and in an abridged Hebrew form. The work illustrates the essentials of Aristotelian logic to be found in the teachings of the great Islamic philosophers such as Avicenna and, above all, Al-Farabi, "the Second Master," the "First Master" being Aristotle. In his work devoted to the Treatise, Rémi Brague stresses the fact that Al-Farabi is the only philosopher mentioned therein. This indicates a line of conduct for the reader, who must read the text keeping in mind Al-Farabi's works on logic. In the Hebrew versions, the Treatise is called The words of Logic which describes the bulk of the work. The author explains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words used by logicians. The Treatise duly inventories the terms used by the logician and indicates what they refer to. The work proceeds rationally through a lexicon of philosophical terms to a summary of higher philosophical topics, in 14 chapters corresponding to Maimonides's birthdate of 14 Nissan. The number 14 recurs in many of Maimonides's works. Each chapter offers a cluster of associated notions. The meaning of the words is explained and illustrated with examples. At the end of each chapter, the author carefully draws up the list of words studied.

Until very recently, it was accepted that Maimonides wrote the Treatise on Logic in his twenties or even in his teen[130] years. Herbert Davidson has raised questions about Maimonides's authorship of this short work (and of other short works traditionally attributed to Maimonides). He maintains that Maimonides was not the author at all, based on a report of two Arabic-language manuscripts, unavailable to Western investigators in Asia Minor.[131] Rabbi Yosef Kafih maintained that it is by Maimonides and newly translated it to Hebrew (as Beiur M'lekhet HaHiggayon) from the Judeo-Arabic.[132]

See also[edit]

Notes[edit]

  1. ^ Hebrew: מֹשֶׁה בֶּן־מַיְמוֹן Mōše ben-Maymōn; Arabic: موسى بن ميمون Mūsā bin Maymūn
  2. ^ Greek: Μωυσής Μαϊμωνίδης Mōusḗs Maïmōnídēs; Latin: Moses Maimonides
  3. ^ /ˌrɑːmˈbɑːm/, for Rabbeinu Mōše bēn Maimun, "Our Rabbi Moses, son of Maimon"

References[edit]

  1. ^ "Moses Maimonides | Biography, Philosophy, & Teachings". Encyclopedia Britan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December 2016. Retrieved 8 December 2016.
  2. ^ "Hebrew Date Converter – 14th of Nisan, 4895 | Hebcal Jewish Calendar". www.hebca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21. Retrieved 31 March 2021.
  3. ^ "Hebrew Date Converter – 14th of Nisan, 4898 | Hebcal Jewish Calendar". www.hebca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21. Retrieved 31 March 2021.
  4. ^ "H-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07. Retrieved 6 May 2007.
  5. ^ "The Influence of Islamic Thought on Maimonides". Maimonides Islamic Influences. Plato. Stanford.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14. Retrieved 6 May 2007.
  6. ^ "Isaac Newton: "Judaic monotheist of the school of Maimonides"". Achgut.com. 19 June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pril 2015. Retrieved 13 March 2010.
  7. ^ Date of 1138 of the Common Era being the date of birth given by Maimonides himself, in the very last chapter and comment made by Maimonides in his Commentary of the Mishnah, Maimonides (1967), s.v. Uktzin 3:12 (end), and where he writes: "I began to write this composition when I was twenty-three years old, and I completed it in Egypt while I was aged thirty, which year is the 1,479th year of the Seleucid era (1168 CE)."
  8. ^ Joel E. Kramer, "Moses Maimonides: An Intellectual Portrait," p. 47 note 1. In Kenneth Seeskin, ed. (September 2005).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imonides. ISBN 9780521525787.
  9. ^ 1138 in Stroumsa, Maimonides in His World: Portrait of a Mediterranean Think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p. 8
  10. ^ Sherwin B. Nuland (2008), Maimonides, Random House LLC, p. 38
  11. ^ Gedaliah ibn Yahya ben Joseph, Shalshelet HaKabbalah Archived 13 May 2021 at the Wayback Machine Jerusalem 1962, p. ק; but in PDF p. 109 (Hebrew)
  12. ^ Abraham Zacuto, Sefer Yuchasin Archived 6 May 2021 at the Wayback Machine, Cracow 1580 (Hebrew), p. 261 in PDF, which reads: "… I saw in a booklet that the Ark of God, even Rabbi Moses b. Maimon, of blessed memory, had been taken up (i.e. euphemism for "had died"), in the year [4],965 anno mundi (= 1204/5 CE) in Egypt, and the Jews wept for him – as did [all] the Egyptians – three days, and they coined a name for that time of year, [saying], 'there was wailing,' and on the seventh day [of his passing], the news reached Alexandria, and on the eighth day, [the news reached] Jerusalem, and in Jerusalem they made a great public mourning [on his behalf] and called for a fast and public gathering, where it was that the prayer precentor read out the admonitions, 'If you shall walk in my statutes [etc.]' (Leviticus 26:3-ff.), as well as read the concluding verse [from the Prophets], 'And it came to pass that Samuel spoke to all of Israel [etc.],' and he then concluded by saying that the Ark of God had been taken away. Now after certain days they brought up his coffin to the Land of Israel, during which journey thieves encountered them, causing those who had gone up to flee, leaving there the coffin. Now the thieves, when they saw that they had all fled, they desired to have the coffin cast into the sea, but were unable with all their strength to uproot the coffin from the ground, even though they had been more than thirty men, and when they considered the matter, they then said to themselves that he was a godly and holy man, and so they went their way. However, they gave assurances to the Jews that they would escort them to their destination, and so it was that they also accompanied him and he was buried in Tiberias."
  13. ^ Marder, Michael (11 November 2014). The Philosopher's Plant: An Intellectual Herbariu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 97. ISBN 978-0-231-53813-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ly 2021. Retrieved 20 September 2020.
  14. ^ "Maimonides". he.chabad.org (in Hebr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1. Retrieved 2 August 2021.
  15. ^ "Early Years". www.chabad.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20. Retrieved 21 May 2020.
  16. ^ "Maimonides Ancesto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21. Retrieved 21 May 2020.
  17. ^ "Iggerot HaRambam, Iggeret Teiman". www.sefari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21. Retrieved 31 March 2021.
  18. ^ Stroumsa, Maimonides in His World: Portrait of a Mediterranean Think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p.65
  19. ^ Abraham Heschel, Maimonides (New York: Farrar Straus, 1982), Chapter 15, "Meditation on God," pp. 157–162.
  20. ^ Jump up to:a b 1954 Encyclopedia Americana, vol. 18, p. 140.
  21. ^ Y. K. Stillman, ed. (1984). "Libās". Encyclopaedia of Islam. Vol. 5 (2nd ed.). Brill Academic Publishers. p. 744. ISBN 978-90-04-09419-2.
  22. ^ "Almohads". Jewish Virtual Librar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16. Retrieved 22 March 2021.
  23. ^ Stroumsa (2009), Maimonides in His World, p.59
  24. ^ A.K. Bennison; M.A. Gallego García (2008). "Jewish Trading in Fez on the Eve of the Almohad Conquest"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November 2011.
  25. ^ Seder HaDoros (4927 년)는 Maimonides가 23 세 때 Mishna에 대한 논평을 쓰기 시작했고 30 세 때 출판했다고 말했습니다. Maimonides의 출생 날짜에 대한 분쟁 때문에 작품이 출판 된 연도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26. ^ 예를 들어, Solomon Zeitlin, "MAIMONIDES", The American Jewish Year Book, Vol. 37, pp 65 – 66. Archived 25 December 2021 at Wayback Machine
  27. ^ 데이비슨, p. 29.
  28. ^ Jump up to:a b Goitein, S.D. 중세 유대인 상인의 편지,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1973 (ISBN 0-691-05212-3), p. 208
  29. ^ 잡지, rambam_temple_mount, 유대인. "십자군이 1096년에 그것을 정복한 이후 기독교의 요새가 된 거룩한 도시에 들어갈 수 있는 유대인은 없었다." www.jewishmag.com. 2018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30. ^ 코헨, 마크 R. 중세 이집트의 유대인 공동체에서의 빈곤과 자선.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2005 (ISBN 0-691-09272-9), pp. 115-116
  31. ^ The "India Trade" (a term devised by the Arabist S.D. Goitein) was a highly lucrative business venture in which Jewish merchants from Egypt, the Mediterranean, and the Middle East imported and exported goods ranging from pepper to brass from various ports along the Malabar Coast between the 11th–13th centuries. For more info, see the "India Traders" chapter in Goitein, Letters of Medieval Jewish Traders, 1973 or Goitein, India Traders of the Middle Ages, 2008.
  32. ^ Goitein, Letters of Medieval Jewish Traders, p. 207
  33. ^ Cohen, Poverty and Charity in the Jewish Community of Medieval Egypt, p. 115
  34. ^ Baron, Salo Wittmayer (1952). A Social and Religious History of the Jews: High Middle Ages, 500-1200. Columbia University Press. p. 215. ISBN 978-0-231-0884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21. Retrieved 16 November 2020.
  35. ^ Rustow, Marina (1 October 2010). "Sar Shalom ben Moses ha-Levi". Encyclopedia of Jews in the Islamic Wor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20. Retrieved 17 June 2020.
  36. ^ "Moses Maimonides". www.jewishvirtuallibrary.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20. Retrieved 17 June 2020.
  37. ^ Jump up to:a b c Julia Bess Frank (1981). "Moses Maimonides: rabbi or medicine". The Yale Journal of Biology and Medicine. 54 (1): 79–88. PMC 2595894. PMID 7018097.
  38. ^ Jump up to:a b c Fred Rosner (2002). "The Life of Moses Maimonides, a Prominent Medieval Physician" (PDF). Einstein Quart J Biol Med. 19 (3): 125–1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March 2009. Retrieved 14 January 2009.
  39. ^ Gesundheit B, Or R, Gamliel C, Rosner F, Steinberg A (April 2008). "Treatment of depression by Maimonides (1138–1204): Rabbi, Physician, and Philosopher" (PDF). Am J Psychiatry. 165 (4): 425–428. doi:10.1176/appi.ajp.2007.07101575. PMID 183819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March 2009.
  40. ^ Abraham Heschel, Maimonides (New York: Farrar Straus, 1982), Chapter 15, "Meditation on God," pp. 157–162, and also pp. 178–180, 184–185, 204, etc. Isadore Twersky, editor, A Maimonides Reader (New York: Behrman House, 1972), commences his "Introduction" with the following remarks, p. 1: "Maimonides's biography immediately suggests a profound paradox. A philosopher by temperament and ideology, a zealous devotee of the contemplative life who eloquently portrayed and yearned for the serenity of solitude and the spiritual exuberance of meditation, he nevertheless led a relentlessly active life that regularly brought him to the brink of exhaustion."
  41. ^ Responsa Pe’er HaDor, 143.
  42. ^ Such views of his works are found in almost all scholarly studies of the man and his significance. See,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sub-chapter by Howard Kreisel to his overview article "Moses Maimonides," in History of Jewish Philosophy, edited by Daniel H. Frank and Oliver Leaman, Second Editio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2003), pp. 245–246.
  43. ^ Karo, Joseph (2002). David Avitan (ed.). Questions & Responsa Avqat Rokhel (in Hebrew). Jerusalem: Siyach Yisrael. p. 139 (responsum # 32). (first printed in Saloniki 1791)
  44. ^ Click to see full English translation of Maimonides's "Epistle to Yemen"
  45. ^ The comment on the effect of his "incessant travail" on his health is by Salo Baron, "Moses Maimonides," in Great Jewish Personalities in Ancient and Medieval Time, edited by Simon Noveck (B'nai B'rith Department of Adult Jewish Education, 1959), p. 227, where Baron also quotes from Maimonides's letter to Ibn Tibbon regarding his daily regime.
  46. ^ The Life of Maimonides jnul.huji.ac.il Archived 20 November 2010 at the Wayback Machine, Jewish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y
  47. ^ hsje.org Amiram Barkat, "The End of the Exodus from Egypt" Archived 17 July 2011 at the Wayback Machine, Haaretz (Israel), 21 April 2005
  48. ^ אגרות הרמב"ם מהדורת שילת
  49. ^ Sarah E. Karesh; Mitchell M. Hurvitz (2005). Encyclopedia of Judaism. Facts on File. p. 305. ISBN 978-0-8160-5457-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21. Retrieved 20 September 2020.
  50. ^ H. J. Zimmels (1997). Ashkenazim and Sephardim: Their Relations, Differences, and Problems as Reflected in the Rabbinical Responsa (Revised ed.). Ktav Publishing House. p. 283. ISBN 978-0-88125-49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December 2021. Retrieved 20 September 2020.
  51. ^ Siegelbaum, Chana Bracha (2010) Women at the crossroads : a woman's perspective on the weekly Torah portion Archived 12 September 2015 at the Wayback Machine Gush Etzion: Midreshet B'erot Bat Ayin. ISBN 9781936068098 page 199
  52. ^ Last section of Maimonides's Introduction to Mishneh Torah
  53. ^ "אבקת רוכל – קרו, יוסף בן אפרים, 1488–1575 (page 70 of 417)". hebrewbook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21. Retrieved 31 March 2021.
  54. ^ Moses Maimonides, The Commandments, Neg. Comm. 290, at 269–71 (Charles B. Chavel trans., 1967).
  55. ^ Leslie, Donald. The Survival of the Chinese Jews; The Jewish Community of Kaifeng. Tʻoung pao, 10. Leiden: Brill, 1972, p. 157
  56. ^ Pollak, Michael. Mandarins, Jews, and Missionaries: The Jewish Experience in the Chinese Empire.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80, p. 413
  57. ^ Pollak, Mandarins, Jews, and Missionaries, pp. 297–298
  58. ^ "대니 시겔의 번역과 함께 마이모니데스의 기부 수준의 히브리어 출처"(PDF). 2012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PDF). 2012년 9월 19일에 확인함.
  59. ^ Jump up to:a b "난처한 자들에 대한 안내". 세계 디지털 도서관. 2013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2일에 확인함.
  60. ^ 중세 유대인 사상의 교리, 메나첼 켈너
  61. ^ "유대인 신앙의 열세 가지 원칙". www.chabad.org. 2015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1일에 확인함.
  62. ^ 예를 들어, Marc B. Shapiro를 참조하십시오. 정통 신학의 한계: 마이모니데스의 열세 가지 원칙이 재평가됨. 유대인 문명의 리트만 도서관 (2011). 1~14쪽.
  63. ^ "Siddur Edot HaMizrach 2C, Additions for Shacharit: Thirteen Principles of Faith". www.sefari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20. Retrieved 27 September 2020.
  64. ^ Landau, Rabbi Reuven (1884). Sefer Degel Mahaneh Reuven (in Hebrew). Chernovitsi. OCLC 23329746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1. Retrieved 27 September 2020.
  65. ^ Brown, Jeremy (2008). "Rabbi Reuven Landau and the Jewish Reaction to Copernican Thought in Nineteenth Century Europe". The Torah U-Madda Journal. Rabbi Isaac Elchanan Theological Seminary, an affiliate of Yeshiva University. 15 (2008): 112–142. JSTOR 409147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November 2020. Retrieved 27 September 2020.
  66. ^ Shapiro, Marc B. (1993). "Maimonides' Thirteen Principles: The Last Word in Jewish Theology?". The Torah U-Madda Journal. Rabbi Isaac Elchanan Theological Seminary, an affiliate of Yeshiva University. 4 (1993): 187–242. JSTOR 4091488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20. Retrieved 27 September 2020.
  67. ^ Levy, David B. "Book Review: New Heavens and a New Earth: The Jewish Reception of Copernican Thought". www.touroscholar.touro.edu. Journal of Jewish Identities. 8(1) (2015): 218–2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ly 2020. Retrieved 27 September 2020.
  68. ^ Brown, Jeremy (2013). New Heavens and a New Earth: The Jewish Reception of Copernican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prof:oso/9780199754793.001.0001. ISBN 9780199754793.
  69. ^ Kraemer, 326-8
  70. ^ Kraemer, 66
  71. ^ Jump up to:a b Robinson, George. "Maimonides’ Conception of God/" Archived 1 May 2018 at the Wayback Machine My Jewish Learning. 30 April 2018.
  72. ^ Reuven Chaim Klein, "Weaning Away from Idolatry: Maimonides on the Purpose of Ritual Sacrifices Archived 2021-10-29 at the Wayback Machine", Religions 12(5), 363.
  73. ^ Telushkin, 29
  74. ^ Commentary on The Ethics of the Fathers 1:15. Qtd. in Telushkin, 115
  75. ^ Kraemer, 332-4
  76. ^ MT De'ot 6:1
  77. ^ "Maimonides believed that women were capable of being instructed in Talmud and even that women can be prophetesses." Kraemer, 336
  78. ^ Moses Maimonides (2007). The Guide to the Perplexed. BN Publishers.
  79. ^ Joseph Jacobs. "Moses Ben Maimon". Jewish Encyclo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y 2011. Retrieved 13 March 2011.
  80. ^ Shlomo Pines (2006). "Maimonides (1135–1204)". Encyclopedia of Philosophy. 5: 647–654.
  81. ^ Isadore Twersky (2005). "Maimonides, Moses". Encyclopedia of Religion. 8: 5613–5618.
  82. ^ Maimonides, On Poisons and the Protection against Lethal Drugs – PART OF THE MEDICAL WORKS OF MOSES MAIMONIDES Brigham Young University Press – Provo, Utah (USA) 2009 ISBN 978-0-8425-2730-9; which specific drugs are called poisons by him would still need to be culled off from the book.
  83. ^ Joel E. Kramer, "Moses Maimonides: An Intellectual Portrait," p. 45. In Kenneth Seeskin, ed. (September 2005).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imonides. ISBN 9780521525787.
  84. ^ Rudavsky, T. (March 2010). Maimonidies. Singapore: Wiley-Blackwell. p. 10. ISBN 978-1-4051-4898-6.
  85. ^ "Guide for the Perplexed, on". Sacred-text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0. Retrieved 13 March 2010.
  86. ^ See: Maimonides's Ma'amar Teḥayyath Hamethim (Treatise o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published in Book of Letters and Responsa (ספר אגרות ותשובות), Jerusalem 1978, p. 9 (Hebrew). According to Maimonides, certain Jews in Yemen had sent to him a letter in the year 1189, evidently irritated as to why he had not mentioned the physical resurrection of the dead in his Hil. Teshuvah, chapter 8, and how that some persons in Yemen had begun to instruct, based on Maimonides's teaching, that when the body dies it will disintegrate and the soul will never return to such bodies after death. Maimonides denied that he ever insinuated such things, and reiterated that the body would indeed resurrect, but that the "world to come" was something different in nature.
  87. ^ Kraemer, 422
  88. ^ Commentary on the Mishna, Avot 5:6
  89. ^ "Mishneh Torah, Repentance 9:1". www.sefari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1. Retrieved 2 August 2021.
  90. ^ Within [the Torah] there is also another part which is called ‘hidden’ (mutsnaʿ), and this [concerns] the secrets (sodot) which the human intellect cannot attain, like the meanings of the statutes (ḥukim) and other hidden secrets. They can neither be attained through the intellect nor through sheer volition, but they are revealed before Him who created [the Torah] (Rabbi Abraham ben Asher, The Or ha-Sekhel)
  91. ^ Such as the first (religious) criticism of Kabbalah, Ari Nohem, by Leon Modena from 1639. In it, Modena urges a return to Maimonidean Aristotelianism. The Scandal of Kabbalah: Leon Modena, Jewish Mysticism, Early Modern Venice, Yaacob Dwec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92. ^ Menachem Kellner, Maimonides' Confrontation With Mysticism, Littman Library, 2006
  93. ^ Maimonides: Philosopher and Mystic Archived 13 September 2018 at the Wayback Machine from Chabad.org
  94. ^ 유대인 신비주의 연구에서 현대 학문적 견해는 12-13 세기 카발리스트들이 마이모니데아 합리주의에 대한 반대 반응으로 전달 된 구술 교리를 기록하고 체계화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Moshe Idel, Kabbalah: New Perspectives 참조
  95. ^ 예를 들어, 카발라의 첫 번째 포괄적 체계자인 모세 벤 야곱 코르도베로는 마이모니데스의 영향을 받았다. 한 가지 예는 카발리즘 사상에 대한 어떤 개념도 마음 속에 파악한 후에 약화시키려는 그의 지시이다. 사람의 지성은 관념을 배우는 데서 하느님께로 달려가고, 그 다음에는 관념의 진리에 대한 그릇된 공간적/현세적 개념들에 대한 자격을 갖춘 거부로 돌아온다, 왜냐하면 인간의 마음은 물질적 참조들로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Louis Jacobs, The Jewish Religion: A Compa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Cordovero 입장 인용
  96. ^ Norman Lamm, The Religious Thought of Hasidism: Text and Commentary, Ktav Pub, 1999: Introduction to chapter on Faith/Reason has historical overview of religious reasons for opposition to Jewish philosophy, including the Ontological reason, one Medieval Kabbalist holding that "we begin where they end"
  97. ^ "Oath and Prayer of Maimonides". Library.dal.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08. Retrieved 13 March 2010.
  98. ^ Friedländer, Michael (January 1956). Guide for the Perplexed. Dover Publications. ISBN 97804862035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19. Retrieved 11 March 2020.
  99. ^ Maimonides, Moses, 1135-1204 (15 December 1974). The guide of the perplexed. Pines, Shlomo, 1908-1990,, Strauss, Leo, Bollingen Foundation Collection (Library of Congress). [Chicago]. ISBN 0226502309. OCLC 309924.
  100. ^ Isidore Twersky, Introduction to the Code of Maimonides (Mishneh Torah), Yale Judaica Series, vol. XII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0). passim, and especially Chapter VII, "Epilogue," pp. 515–538.
  101. ^ Reif, Stefan C. (1994). "Review of 'Sobre la Vida y Obra de Maimonides', ed. Jesus Pelaez del Rosal". Journal of Semitic Studies. 39 (1): 124. doi:10.1093/jss/XXXIX.1.123.
  102. ^ This is covered in all histories of the Jews. E.g., including such a brief overview as Cecil Roth, A History of the Jews, Revised Edition (New York: Schocken, 1970), pp. 175–179.
  103. ^ D.J. Silver, Maimonidean Criticism and the Maimonidean Controversy, 1180–1240 (Leiden: Brill, 1965), is still the most detailed account.
  104. ^ David Hartman, Maimonides: Torah and Philosophic Quest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76), p. 98.
  105. ^ On the extensive philosophical aspects of Maimonides's halakhic works, see in particular Isidore Twersky's Introduction to the Code of Maimonides (Mishneh Torah), Yale Judaica Series, vol. XII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0). Twersky devotes a major portion of this authoritative study to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Mishneh Torah itself.
  106. ^ The Maimunist or Maimonidean controversy is covered in all histories of Jewish philosophy and general histories of the Jews. For an overview, with bibliographic references, see Idit Dobbs-Weinstein, "The Maimonidean Controversy," in History of Jewish Philosophy, Second Edition, edited by Daniel H. Frank and Oliver Leam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3), pp. 331–349. Also see Colette Sirat, A History of Jewish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pp. 205–272.
  107. ^ Mercedes Rubio (2006). "Aquinas and Maimonides on the Divine Names". Aquinas and Maimonides on the possibility of the knowledge of god. Springer-Verlag. pp. 11, 65–126, 211, 218. doi:10.1007/1-4020-4747-9_2. ISBN 978-1-4020-4720-6.
  108. ^ Vivian McAlister, Maimonides's cooling period and organ retrieval (Canadian Journal of Surgery 2004; 47: 8 – 9)
  109. ^ "NeoHasid.org | Rambam and Gaia". neohasid.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December 2013. Retrieved 11 December 2013.
  110. ^ David Morris. "Major Grant Awarded to Maimonides". Florida Jewish 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07. Retrieved 13 March 2010.
  111. ^ Eisner, Jane (1 June 2000). "Fear meets fellowship". The Philadelphia Inquirer. p. 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November 2020. Retrieved 29 August 2020 – via Newspapers.com.
  112. ^ https://www.leftovercurrency.com/exchange/israeli-new-shekel/demonetized-israeli-new-shekel-banknotes/1-israeli-new-shekel-banknote-rabbi-moses-maimonides/
  113. ^ Linzmayer, Owen (2012). "Israel". The Banknote Book. San Francisco, CA: www.BanknoteNew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12. Retrieved 25 December 2021.
  114. ^ "Harvard University Press: Maimonides after 800 Years : Essays on Maimonides and his Influence by Jay M. Harris". Hup.harvard.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09. Retrieved 13 March 2010.
  115. ^ Shelly Paz (8 May 2008) Tourism Ministry plans joint project with Morocco, Spain. The Jerusalem Post
  116. ^ "The Israel Museum, Jerusalem". www.imj.org.il. 2 October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9. Retrieved 11 July 2019.
  117. ^ Kehot Publication Society, Chabad.org.
  118. ^ Maimonides (1963), Introduction, p. XIV
  119. ^ Maimonides (1963), Preface, p. VI
  120. ^ Maimonides (1963), Preface, p. VII
  121. ^ Volume 5 translated by Barzel (foreword by Rosner).
  122. ^ Title page, TOC.
  123. ^ "כתבים רפואיים – ג (פירוש לפרקי אבוקראט)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6. Retrieved 19 July 2016.
  124. ^ Maimonides. Medical Aphorisms (Treatises 1–5 6–9 10–15 16–21 22–25), Brigham Young University, Provo  Utah
  125. ^ "כתבים רפואיים – ב (פרקי משה ברפואה)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6. Retrieved 19 July 2016.
  126. ^ "כתבים רפואיים – ד (ברפואת הטחורים)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6. Retrieved 19 July 2016.
  127. ^ Title page, TOC.
  128. ^ "כתבים רפואיים – א (הנהגת הבריאות)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תש"ב – אוצר החכמה". 2016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
  129. ^ 제목 페이지, TOC입니다.
  130. ^ 아브라함 헤셸, 마이모니데스. 뉴욕 : Farrar Straus, 1982 p. 22 ( "열여섯 살에")
  131. ^ 데이비슨, pp. 313 ff.
  132. ^ "באור מלאכת ההגיון / משה בן מימון (רמב"ם) / תשנ"ז – אוצר החכמה". 2016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추가 읽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이 기사의 외부 링크 사용은 위키백과의 정책이나 지침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외부 링크를 제거하고 적절한 경우 유용한 링크를 각주 참조로 변환하여이 기사를 개선하십시오. (April 2022) (이 템플릿 메시지를 제거하는 방법 및 시기에 대해 알아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는 모쉐 벤 마이몬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습니다.
  위키인용집은 다음과 관련된 인용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이모니데스
  위키소스는 에 의해 또는 그에 대해 쓰여진 원본 작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Moshe ben Maimon
마이모니데스에 대하여 마이모니데스의 작품 마이모니데스의 글
보이다관련 기사에 대한 링크

'神學 > 神學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죄 - 하마르티아  (0) 2022.06.04
tzedakah  (0) 2022.05.01
성경백과사전  (0) 2022.04.22
사도신경  (0) 2022.04.21
바울린 서간  (0) 202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