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Carl Schmitt - 칼 슈미트

by 이덕휴-dhleepaul 2023. 1. 23.

칼 슈미트(1888~1985)는 독일의 보수적인 법·헌법·정치 이론가였다. 슈미트는 종종 자유주의, 의회 민주주의, 자유주의 세계주의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평가 중 한 명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Schmitt의 작업의 가치와 중요성은 주로 그의 지적 지원과 국가 사회주의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1. 전기 스케치

Carl Schmitt의 학술 변호사로서의 초기 경력은 Wilhelmine Empire의 마지막 해에 속합니다. (슈미트의 생애와 경력에 대해서는 Bendersky 1983; Balakrishnan 2000; Mehring 2009 를 참조하십시오.) 그러나 Schmitt는 바이마르 시대에 Bonn과 이후 베를린에서 젊은 헌법 교수로서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를 썼습니다. 슈미트의 주권 이론은 1922년에 등장했고, 1923년 에는 의회 정부의 정당성을 공격한 의회 민주주의의 위기 가 뒤따랐습니다. 1927년 슈미트는 그의 가장 유명한 저작인 정치의 개념(The Concept of the Political )의 첫 번째 버전을 출판했습니다., 모든 진정한 정치는 친구와 적을 구분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견해를 옹호합니다. 슈미트의 바이마르 시대 저작의 정점이자 아마도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슈미트의 정치 이론을 바이마르 헌법 해석에 체계적으로 적용한 1928년 헌법 이론 이다. 후기 바이마르 공화국의 정치적, 헌법적 위기 동안 슈미트 는 독일 의회 정부의 붕괴에 대한 명쾌한 분석 인 합법성과 합법성(Legality and Legitimacy )과 The Guardian of the Constitution을 출판했습니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가 아닌 행정부의 수장으로서 헌법의 수호자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후기 바이마르 시대의 이 작품들에서 바이마르 헌법을 수호하겠다는 슈미트의 공표된 목표는 때때로 보다 권위적인 정치적 틀을 향한 헌법 개정 요구와 거의 구별되지 않습니다(Dyzenhaus 1997, 70–85; Berthold 1999; Kennedy 2004, 154– 78; 브로이어 2012).

슈미트는 히틀러가 집권하기 전에는 국가 사회주의의 지지자가 아니었지만 1933년 이후에는 나치의 편에 섰습니다. 슈미트는 법조계에서 영향력 있는 지위를 빠르게 얻었고 국가 사회주의의 '왕관 법학자'로 인식되게 되었습니다. (Rüthers 1990; Mehring 2009, 304–436) 그는 정치적 반대자들에 대한 히틀러의 비사법적 살인을 변호하고(PB 227–32) 독일 법학에서 유대인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임무에 지나친 열정을 가지고 헌신했습니다. Gross 2007; Mehring 2009, 358–80). 그러나 슈미트는 자신의 경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치즘으로 개종한 변절자로 슈미트를 본 학계 경쟁자들과의 내분 후에 1936년 법학계 내에서 그의 권력에서 축출되었습니다. 슈미트가 자신을 나치와 연관시키려는 의지의 원인에 대해 상당한 논쟁이 있습니다. 일부 저자는 슈미트의 강한 야망과 그의 기회주의적 성격을 지적하지만 이데올로기적 유사성은 부인합니다(Bendersky 1983, 195–242; Schwab 1989). 그러나 슈미트의 반자유주의 법학은 물론 그의 열렬한 반유대주의가 그를 나치 정권을 지지하게 만들었다는 강력한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Dyzenhaus 1997, 85–101; Scheuerman 1999). 후기 나치 기간 동안 Schmitt의 작업은 국제법 문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 전환의 즉각적인 동기는 나치 확장주의를 정당화하려는 목표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슈미트는 국제법의 기초라는 더 넓은 문제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20세기 국제법에서 자유주의적 세계주의로의 전환이 안정적이고 합법적인 국제법 질서의 조건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국제법의 토대에 관한 슈미트의 이론적 작업은The Nomos of the Earth , 1940년대 초에 작성되었지만 1950년 이전에는 출판되지 않았습니다. Schmitt는 나치 독재를 지지하고 관여했기 때문에 잠시 구금되어 전쟁이 끝날 때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잠재적인 피고인으로 심문을 받았습니다. (ECS; AN), 그가 독일 산업가 프리드리히 플릭(IC)을 변호하기 위해 준비된 법적 요약서에서 그가 이의를 제기한 합법성. 완고하게 뉘우치지 않는 슈미트는 1945년 이후 학업에 복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Mehring 2009, 438–63).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985년 사망할 때까지(van Laak 2002) 서독의 보수적 지식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남았고 다른 곳에서는 상당한 정도의 은밀한 영향력을 누렸습니다(Scheuerman 1999, 183–251; Müller 2003).

당연히 슈미트 작품의 중요성과 가치는 열띤 논쟁의 대상이 됩니다(Caldwell 2005). 슈미트에 동조하는 저자 그룹은 바이마르 시대의 자유주의적 입헌주의에 대한 슈미트의 분석이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그의 지지와 분리될 수 있으며 잘 작동하는 자유주의적 입헌 체계의 정치적 전제에 대한 통찰력 있고 중요한 분석을 구성한다고 주장합니다(Bendersky 1983). ; Schwab 1989; Gottfried 1990; Kennedy 2004; Schupmann 2017). 왼쪽부터, Schmitt의 작업은 때때로 순전히 경제적 자유주의와 정치적 권위주의 사이의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취해집니다(Mauss 1980; Cristi 1998). 바이마르 시대의 슈미트가 자유 질서의 수호자로 읽힐 수 있다는 견해는 슈미트의 법, 주권, 민주주의 개념과 파시스트 이데올로기 사이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저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Wolin 1992; Dyzenhaus 1997; Scheuerman 1999). .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Schmitt와의 관계는 중요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롤스의 정치적 자유주의는 선에 대한 자유주의적 개념에 명시적으로 근거하지 않기 때문에(Dyzenhaus 1997, 218–58) 정치의 적대적 성격을 인정하기를 거부하기 때문에 자유주의에 대한 슈미트의 비판에 취약하다고 주장되어 왔습니다. (무페 1999b). 더구나, 주권과 비상 권력에 대한 슈미트의 견해는 종종 합법성의 제약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강력한 집행력에 대한 현대적 요구의 지적 기반으로 간주됩니다(Dyzenhaus 2006, 35–54; Scheuerman 2006; Posner and Vermeule 2010, 3–24). 마지막으로, 체계적 맥락에서 발전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슈미트의 특정 주장에 집중하는 저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관심을 끄는 두 가지 초점은 Schmitt의 국민 주권 이론입니다(Arato 1995; Lindahl 2007; Kalyvas 2008, 79–186; Loughlin 2010, 209–37; Kahn 2011; Colon-Rios 2012, 79–101; Minkkinen 2013; Vinx 2013a). ) 국제 질서에 대한 그의 개념(Odysseos and Petito 2007; Slomp 2009; Legg 2011; Benhabib, 2012; Vinx 2013b; Hathaway and Shapiro 2017, 10장). 3–24). 마지막으로, 체계적 맥락에서 발전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슈미트의 특정 주장에 집중하는 저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관심을 끄는 두 가지 초점은 Schmitt의 국민 주권 이론입니다(Arato 1995; Lindahl 2007; Kalyvas 2008, 79–186; Loughlin 2010, 209–37; Kahn 2011; Colon-Rios 2012, 79–101; Minkkinen 2013; Vinx 2013a). ) 국제 질서에 대한 그의 개념(Odysseos and Petito 2007; Slomp 2009; Legg 2011; Benhabib, 2012; Vinx 2013b; Hathaway and Shapiro 2017, 10장). 3–24). 마지막으로, 체계적 맥락에서 발전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슈미트의 특정 주장에 집중하는 저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관심을 끄는 두 가지 초점은 Schmitt의 국민 주권 이론입니다(Arato 1995; Lindahl 2007; Kalyvas 2008, 79–186; Loughlin 2010, 209–37; Kahn 2011; Colon-Rios 2012, 79–101; Minkkinen 2013; Vinx 2013a). ) 국제 질서에 대한 그의 개념(Odysseos and Petito 2007; Slomp 2009; Legg 2011; Benhabib, 2012; Vinx 2013b; Hathaway and Shapiro 2017, 10장). 209–37; 칸 2011; Colon-Rios 2012, 79–101; 민키넨 2013; Vinx 2013a) 및 국제 질서에 대한 그의 개념(Odysseos and Petito 2007; Slomp 2009; Legg 2011; Benhabib, 2012; Vinx 2013b; Hathaway and Shapiro 2017, 10장). 209–37; 칸 2011; Colon-Rios 2012, 79–101; 민키넨 2013; Vinx 2013a) 및 국제 질서에 대한 그의 개념(Odysseos and Petito 2007; Slomp 2009; Legg 2011; Benhabib, 2012; Vinx 2013b; Hathaway and Shapiro 2017, 10장).

2. 주권과 독재

현대 자유주의 헌법은 주권자의 보유자를 인정하지 않으며, 현대 법률 및 헌법 이론은 종종 그 개념을 없애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슈미트는 정치신학 에서 주장한다., 그러한 주권을 제거하려는 시도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Schmitt의 견해로는 주권이 없이는 기능하는 법적 질서가 있을 수 없습니다(PT 5–35; Dyzenhaus 1997, 42–51; McCormick 1997, 121–56; Hofmann 2002, 49–64; Kennedy 2004, 54–91; Kahn 2011, 31–61, Croce 및 Salvatore 2013, 13–29, Vinx 2015). 슈미트에 따르면, 자유주의적 입헌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국가의 모든 합법적인 특정 행위는 일반적인 법적 규범을 적용해야 하며, 따라서 사람들은 잠재적으로 자의적인 개인의 권위가 아니라 법의 결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요구에만 종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PT 18-26 , CT 169–96, CPD 33–50 참조). Schmitt는 이 견해가 간과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일반적인 법적 규범은 상당한 해석과 중간 입법 없이는 결정적인 지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PT 29–35; GU 21–43). 법이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법 규정을 구체적인 사건에 어떻게 적용할지, 해석의 다툼이나 과소 판단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결정하는 권한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률의 물질적 내용 자체가 누가 그것을 해석하고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특정 사례에 일반 법적 규범을 적용하는 방법을 결정하려면 법 이전의 주권 기관이 필요합니다(PT 29–35).

이 주장은 모든 법적 규범이 법적 결정의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물질적 규범이라고 가정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현대 법률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물질적 규범 외에도 능력 규범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합법적인 정치적 권한이 법적 권한에 의존한다는 견해는 Schmitt가 제안한 것처럼 변호할 수 없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Kaufmann 1988, 337–45). 법은 어떤 사람이나 기관이 그것을 해석하고 적용할 능력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법의 주체는 최종 결정이 잘못되었더라도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제한된 의미에서 슈미트는 법을 만드는 것은 진리가 아니라 권위라는 홉스의 격언에 호소하는 것이 옳습니다. (PT 33–4) 그러나 법적 체계는 그 능력의 규범을 통해 물질적 법적 규범에 대한 권위 있는 해석을 제공하는 것은 그 용어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에서 주권자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거의 수반하지 않습니다. 이 반론에 대한 슈미트의 암묵적인 대답은 법적 규범의 적용 가능성이 사회적 정상성의 일반적인 조건을 전제로 한다고 주장합니다. 법적 규범은 혼돈에 적용될 수 없다고 Schmitt는 주장합니다. 그들은 "균질한 매체"를 필요로 합니다. (PT 13) 슈미트의 관점에서 어떤 법적 규범도 극단적인 비상 상황이나 절대적인 예외 상태를 규율할 수 없습니다. 완전히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정상적인 행정 및 사법 채널을 통해 법을 계속 적용하면 비상 상황을 종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방해하는 동시에 우연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PT 13; GU 44–114; Scheuerman 1996; Hofmann 2002, 17–33). 물질적 법적 규범의 적용 가능성이 정상적인 조건을 전제로 한다면, Schmitt는 정치가 상황이 비정상적이라는 이유로 법의 적용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할 자격이 있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Schmitt의 유명한 주권 정의에 따르면 주권자는 예외 상태를 결정하는 사람입니다.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한 법적 힘이 있다면, 그 사람이나 기관은 그 정치 체제의 주권자입니다(PT 5). Schmitt는 모든 법적 질서는 법적 규범이 아니라 주권적 결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직설적으로 결론짓습니다(PT 10, 12–3). 정치는 상황이 비정상적이라는 이유로 법의 적용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할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Schmitt의 유명한 주권 정의에 따르면 주권자는 예외 상태를 결정하는 사람입니다.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한 법적 힘이 있다면, 그 사람이나 기관은 그 정치 체제의 주권자입니다(PT 5). Schmitt는 모든 법적 질서는 법적 규범이 아니라 주권적 결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직설적으로 결론짓습니다(PT 10, 12–3). 정치는 상황이 비정상적이라는 이유로 법의 적용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할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Schmitt의 유명한 주권 정의에 따르면 주권자는 예외 상태를 결정하는 사람입니다.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한 법적 힘이 있다면, 그 사람이나 기관은 그 정치 체제의 주권자입니다(PT 5). Schmitt는 모든 법적 질서는 법적 규범이 아니라 주권적 결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직설적으로 결론짓습니다(PT 10, 12–3). 법의 완전한 정지를 가져올 수 있고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해 법 외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이나 기관은 해당 정치 체제의 주권자입니다(PT 5). Schmitt는 모든 법적 질서는 법적 규범이 아니라 주권적 결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직설적으로 결론짓습니다(PT 10, 12–3). 법의 완전한 정지를 가져올 수 있고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해 법 외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이나 기관은 해당 정치 체제의 주권자입니다(PT 5). Schmitt는 모든 법적 질서는 법적 규범이 아니라 주권적 결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직설적으로 결론짓습니다(PT 10, 12–3).

비상 사태를 처리하는 데 허용되는 수단에 대한 법적 제약뿐만 아니라 비상 사태 선언을 위한 법적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완벽하게 가능하다고 이러한 생각에 대해 응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슈미트는 예외적인 상황을 합법화하려는 시도는 실패할 운명이라고 주장한다. 미래 비상 사태의 성격을 예측하고 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수단을 미리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결과적으로 실정법은 법의 대대적인 정지를 요구하는 비상사태가 있는지 여부를 누가 결정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주권적 결정은 기존의 물질적 법률에 의해 안내될 수 없습니다(PT 11–2). Schmitt의 견해로는 누가 예외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를 법이 결정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주권자가 있을 수 있고, 법적으로 관련된 의미에서 그러한 권한이 실제 헌법에 의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예외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나 기관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만약 주권자가 존재한다면, 법의 적용 가능성 자체는 주권자가 보장하는 정상적인 상황에 달려 있기 때문에 법을 정지시킬 수 있는 그의 권한은 적극적인 법적 인정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PT 12–3). 그러나 실정법에서 주권이 인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법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결정을 성공적으로 내릴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는 어떻습니까? 이 조건은 많은 현대 서구 민주주의에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그러한 정치는 급진적인 비상사태에 대처할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법적 질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믿기지 않을 것입니다. 이 반론에 대한 슈미트의 온전한 대답은 '정치적인 것'에 대한 그의 논의를 통해서만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의 제기는 주권에 대한 슈미트의 주장이 법률 체계의 단순한 사실적 존재라는 전제에 대한 주장으로 그럴듯하게 이해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슈미트는 법의 적용 결과를 결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정상성 또는 동질성의 상황이 주권자에 의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물질적 규범과 능동적 규범으로 구성된 실증적 법 체계가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고 주장해야 합니다. 합법적이어야 합니다(Mauss 1980, 81–121; Scheuerman 1999, 15–37; Hofmann 2002). 이 반론에 대한 슈미트의 온전한 대답은 '정치적인 것'에 대한 그의 논의를 통해서만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의 제기는 주권에 대한 슈미트의 주장이 법률 체계의 단순한 사실적 존재라는 전제에 대한 주장으로 그럴듯하게 이해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슈미트는 법의 적용 결과를 결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정상성 또는 동질성의 상황이 주권자에 의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물질적 규범과 능동적 규범으로 구성된 실증적 법 체계가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고 주장해야 합니다. 합법적이어야 합니다(Mauss 1980, 81–121; Scheuerman 1999, 15–37; Hofmann 2002). 이 반론에 대한 슈미트의 온전한 대답은 '정치적인 것'에 대한 그의 논의를 통해서만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의 제기는 주권에 대한 슈미트의 주장이 법률 체계의 단순한 사실적 존재라는 전제에 대한 주장으로 그럴듯하게 이해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슈미트는 법의 적용 결과를 결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정상성 또는 동질성의 상황이 주권자에 의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물질적 규범과 능동적 규범으로 구성된 실증적 법 체계가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고 주장해야 합니다. 합법적이어야 합니다(Mauss 1980, 81–121; Scheuerman 1999, 15–37; Hofmann 2002). 주권에 대한 슈미트의 주장은 법 체계의 단순한 사실적 존재의 전제에 대한 주장으로 그럴듯하게 이해될 수 없습니다. 슈미트는 법의 적용 결과를 결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정상성 또는 동질성의 상황이 주권자에 의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물질적 규범과 능동적 규범으로 구성된 실증적 법 체계가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고 주장해야 합니다. 합법적이어야 합니다(Mauss 1980, 81–121; Scheuerman 1999, 15–37; Hofmann 2002). 주권에 대한 슈미트의 주장은 법 체계의 단순한 사실적 존재의 전제에 대한 주장으로 그럴듯하게 이해될 수 없습니다. 슈미트는 법의 적용 결과를 결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정상성 또는 동질성의 상황이 주권자에 의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물질적 규범과 능동적 규범으로 구성된 실증적 법 체계가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고 주장해야 합니다. 합법적이어야 합니다(Mauss 1980, 81–121; Scheuerman 1999, 15–37; Hofmann 2002).

예외에 대한 주권자의 결정이 실질적인 법적 제약을 받지 않는 경우 예외 상태에 대한 결정 권한은 예외 상태로 간주되어야 하는 항목을 결정하는 권한과 동일합니다(PT 13; Norris 2007). 그러나이 문제에 대한 주권자의 견해는 지배적 인 사회적 태도에 반응해야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주권자는 법을 정지하고 인식된 비상 사태에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실적 능력을 거의 소유할 수 없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의 결정이 충분히 크고 강력한 유권자의 지지를 받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이데올로기적 또는 사회적 갈등으로 분열된 사회에서 주권적 결정의 필요성은 가장 클 것이다. 그리고 어떤 상황을 정상적이거나 예외적이라고 인식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회 집단 간에 만장일치가 없다면, 주권적 결정은 필연적으로 한 그룹의 정상 개념에 반대하는 다른 그룹의 편을 들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정상 상태의 주권적 창조는 공동체의 정치적 정체성을 구성하며, 정상성 개념이 주권자와 다른 사람들을 강제로 억압함으로써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D 132-47). 따라서 법의 정당성 문제는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권적 기반 폭력 행사의 정당성 문제로 전환됩니다.

슈미트는 민주주의의 원칙이 현대 헌법의 이데올로기적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당성의 유일한 원칙임을 인정합니다(PT 50–2; CPD 22–32). 슈미트의 주권 개념이 옹호될 수 있으려면 민주적 해석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보기는 어렵습니다. 민주주의 정치에서 주권의 유일한 후보는 정치적으로 평등한 시민들로 구성된 인민 주권자입니다. 대중적 주권자는 슈미트적 주권자가 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집단으로서 국민이 통합된 의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기존 헌법 규칙에 따라서만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chmitt는 Dictatorship 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독재 제도의 발전에 대한 그의 역사적 연구(McCormick 1997, 121–56; Cristi 1998 108–25; Kalyvas 2008, 88–126; Kelly 2016).

원래 로마 형태의 독재 권력은 공식적으로 위임되고 시간 제한이 있는 권력으로, 법외 무력을 사용하여 이미 존재하는 공화제 헌법을 수호합니다(D xlii–xliv, 1–19). 그렇다면 로마의 독재자는 분명히 슈미트의 용어 의미에서 주권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근대 헌법사의 과정에서 슈미트의 주장에 따르면 독재라는 제도는 주권과 융합되었고, 이러한 융합은 주권과 민주주의와 관련되었다. 슈미트의 설명에 따르면 이 융합을 향한 첫 번째 단계는 근대 초기 절대주의 국가에서 커미셔널 독재를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절대주의 주권자는 예외를 결정할 수 있는 주권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그의 이름으로 독재적 방법을 사용하도록 커미사르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독재와 주권의 개념은 아직 융합되지 않았습니다. 절대주의 군주의 인민위원 독재자들은 주권자의 단순한 대리인일 뿐이며 예외를 결정할 권한이 없었습니다. 절대주의 주권자는 예외를 결정할 권한이 있었지만 그 자신이 독재자는 아니었습니다. 첫 번째는 그가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권위에 따라 결정했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당연히 정상적인 운영 방식으로 법적 통치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입니다(D 20–33). 그러나 주권과 독재 사이의 관계는 프랑스 혁명에서 바뀌었다. 혁명 정부는 새로운 헌법이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정상적인 상황을 만들기 위해 독재적 행동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절대주의 주권자와 같은 혁명 정부는 예외를 결정할 권한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주권자라고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독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프랑스 국민을 통치하는 동안에도 프랑스 국민의 이름으로 예외를 결정할 권한을 행사한다고 주장했습니다(D 132–47). 주권과 독재는 새로운 주권 독재 제도에서 융합되었습니다. 사람들(D 112~31).

슈미트의 관점에서 주권 독재는 탁월한 민주적 제도입니다. 국민의 이름으로 예외에 대한 주권적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 곳에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Schmitt는 주권이 민주주의와 양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주적 헌법이 수립되는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행사되기 때문에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CT 109–10, 265–6; CPD 32). 민주헌법이 특정인에게 영구적인 주권을 부여할 수 없다는 사실이 예외에 대한 진정한 주권적 결정의 가능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예외에 대한 결정은 국민의 구성권 행사의 형태를 취해야 한다는 의미일 뿐이다.

3. 정치의 개념 과 자유주의 비판

주권 독재자는 예외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적극적인 법질서와 헌법질서 전체를 제쳐두고 이에 적합한 사회적 정상 상태와 함께 새롭고 적극적인 법질서와 헌법질서를 창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권 독재자는 국민의 이름으로 행동한다는 자신의 주장을 어떤 종류의 공식적인 승인에 근거할 수 없습니다. 구 헌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새 헌법이 아직 시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의를 생성하기 위한 공식적인 절차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권 독재자는 국민의 구성권을 행사한다고 주장합니다. 더욱이 그가 만들려는 헌법 질서는 헌법을 제정할 국민의 권리에 근거하기 때문에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CT 136–9). 슈미트의 견해는 어떤 긍정적인 헌법적 틀을 만들기 전에 국민의 존재에 대해 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므로 슈미트는 국민이 어떤 헌법적 틀보다 먼저 존재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해야 하고, 어떤 헌법적 틀보다 먼저 국민의 정치적 존재가 어떻게 주권 독재를 기반으로 할 수 있는지 설명해야 합니다.

슈미트의 정치의 개념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정치적인 것'의 본질에 대한 설명으로 표현합니다. (Sartori 1989; Gottfried 1990, 57–82; Meier 1998; Hofmann 2002, 94–116; Mehring 2003; Kennedy 2004, 92–118; Slomp 2009, 21–37; Schupmann 2017, 69–105) Schmitt는 다음과 같이 유명하게 주장합니다. 구체적인 정치적 구분은 … 친구와 적 사이의 구분입니다.” (CP 26) Schmitt는 친구와 적의 구분은 본질적으로 사적인 것이 아니라 공적인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개인에게는 개인적인 적이 있을 수 있지만 개인적인 적대감은 정치적인 현상이 아닙니다. 정치는 서로의 적으로 대립하는 집단을 포함합니다(CP 28–9). 두 그룹은 그들 사이에 전쟁과 상호 살해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만 상호 적대적인 상황에 놓이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친구와 적의 구별은 “결합 또는 분리의 최대 강도 …”를 의미합니다. (CP 26, 38) 연합의 최대 정도는 자신의 집단의 다른 구성원을 위해 그리고 함께 싸우고 죽으려는 의지이며, 궁극적인 분리의 정도는 그들이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다른 사람을 기꺼이 죽이는 것입니다. 적대 집단(CP 32–3).

슈미트는 정치적 적대감이 다양한 기원을 가질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정치적인 것은 그 자체의 실질적인 구별에 기초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가치 영역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윤리적인 것은 도덕적으로 선한 것과 도덕적으로 나쁜 것의 구별에 기초하고, 미학은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의 구별에 기초하며, 경제적인 것은 유익한 것과 무익한 것의 구별에 기초합니다. 친구와 적 사이의 정치적 구분은 집단적 정체성과 차이의 표시가 될 수 있는 이러한 다른 구분이나 언어, 민족, 문화, 종교 등의 특정 구분으로 환원될 수 없습니다. 25–7). 예를 들어,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판단되는 적대 집단의 구성원과 적이 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개별 구성원이 나쁘다고 판단되는 그룹과 상호 적의 관계에 관여하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합니다. Schmitt는 동일성과 차이의 표지가 될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질적인 구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 들어 도덕적 선악에 대한 개인의 개념이 정치적 적개심의 관계에서 결코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집단적 정체성과 차이의 표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모든 구별은 구체적인 상황에서 사람들을 필요하다면 기꺼이 서로 맞서 싸울 두 개의 반대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힘이 있다면 정치적 특성을 획득할 것입니다(CP 37 -8). 특정 구별이 이 역할을 하게 될 것인지 여부는 고유한 의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한 집단의 사람들이 자신의 집단적 정체성을 정의하기 위해 그것에 의존하고 그 구별에 기반한 정체성을 무언가로 생각하게 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쟁을 통해 다른 그룹에 맞서 방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정치적인 것은 어떤 특정한 실질적인 구별에 묶여 있지 않기 때문에, Schmitt는 특정 구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더 이상 반대 그룹이 싸우도록 동기를 부여하지 않으면 정치적인 것이 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순진하다고 주장합니다.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적 갈등의 치명적인 강도를 물려받을 또 다른 구별에 집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ND 참조). 그러나 구별이 정치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그것은 결정적인 구별이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 구성된 공동체는 결정적인 사회 단위가 될 것입니다. 정치공동체는 사람들의 생명을 처분할 수 있는 사회단위이기 때문에 그것이 존재하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든 사회집단보다 우월성을 주장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폭력적 갈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CP 37-45). ). 특정 구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더 이상 반대 집단이 싸울 동기를 부여하지 않으면 정치적인 것이 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입니다.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적 갈등의 치명적인 강도를 물려받을 또 다른 구별에 집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ND 참조). 그러나 구별이 정치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그것은 결정적인 구별이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 구성된 공동체는 결정적인 사회 단위가 될 것입니다. 정치공동체는 사람들의 생명을 처분할 수 있는 사회단위이기 때문에 그것이 존재하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든 사회집단보다 우월성을 주장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폭력적 갈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CP 37-45). ). 특정 구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더 이상 반대 집단이 싸울 동기를 부여하지 않으면 정치적인 것이 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입니다.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적 갈등의 치명적인 강도를 물려받을 또 다른 구별에 집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ND 참조). 그러나 구별이 정치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그것은 결정적인 구별이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 구성된 공동체는 결정적인 사회 단위가 될 것입니다. 정치공동체는 사람들의 생명을 처분할 수 있는 사회단위이기 때문에 그것이 존재하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든 사회집단보다 우월성을 주장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폭력적 갈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CP 37-45). ).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적 갈등의 치명적인 강도를 물려받을 또 다른 구별에 집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ND 참조). 그러나 구별이 정치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그것은 결정적인 구별이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 구성된 공동체는 결정적인 사회 단위가 될 것입니다. 정치공동체는 사람들의 생명을 처분할 수 있는 사회단위이기 때문에 그것이 존재하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든 사회집단보다 우월성을 주장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폭력적 갈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CP 37-45). ).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적 갈등의 치명적인 강도를 물려받을 또 다른 구별에 집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ND 참조). 그러나 구별이 정치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그것은 결정적인 구별이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해 구성된 공동체는 결정적인 사회 단위가 될 것입니다. 정치공동체는 사람들의 생명을 처분할 수 있는 사회단위이기 때문에 그것이 존재하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든 사회집단보다 우월성을 주장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폭력적 갈등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CP 37-45). ).

Schmitt는 어떤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특정 방식으로 정의하고 그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도덕적으로 부당하다고 외부적인 관점에서 판단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그룹의 구성원만이 실존적으로 영향을 받는 참여자의 관점에서 다른 그룹의 타자성이 그들 자신의 삶의 형태에 위협이 되어 잠재적으로 싸워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CP 27; 참조 참조). CT 76–7, 136). 슈미트의 추론은 암묵적으로 자기 방어 논리의 집단주의 버전에 의존합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이 자신의 생명에 위협이 되는지에 대한 판단 위협을 제거하거나 회피하기 위해 반응적 또는 선제적 폭력을 사용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제3자에게 위임할 수 없습니다. Schmitt는 자신의 존재가 다른 집단에 의해 위협받는다고 인식하는 집단도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진정한 정치적 갈등에서는 제3자 중재의 가능성이 배제됩니다(CP 45–53).

따라서 한 무리의 사람들이 친구-적 구분을 통해 자신을 외부인과 구별함으로써 정치 생활에 기꺼이 참여하려는 곳이면 어디든지 정치 공동체가 존재합니다(CP 38, 43–4). 친구와 적을 구별하는 그룹의 능력은 그룹이 이미 규칙에 따른 집단적 의사 결정을 허용하는 공식 조직을 소유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고 Schmitt는 주장합니다. 따라서 그 구성원들이 집단의 보존을 위해 싸우고 죽을 동기를 부여할 만큼 강한 공유 정체성이 있는 한, 국민은 모든 법적인 형태보다 먼저 존재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한 국민이 이런 식으로 존재하는 한, 그 지원을 통해 그 이름으로 행사되는 주권 독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CT 126-35).

물론 자기보존 논문에 대한 집단적 관심과 개인적 관심 사이의 슈미트의 비유는 두 경우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에 대한 것이다. 정치공동체는 단순한 생물학적 존재를 향유하지 않는다. 모든 개별 구성원이 계속 살아 있어도 죽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친구-적 구분의 도출은 이미 주어진 존재 형태에 대한 위협에 대한 단순한 반응이 아닙니다(그러나 Mouffe 1999, 49–50 참조). 오히려 국민의 정치적 정체성이나 실존을 능동적으로 구성하고 누가 국민에게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소속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무엇이든 사람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실질적인 특성과 동일시해야 하며, 이 특성이 자신의 생명을 기꺼이 희생해야 하는 보존을 위한 삶의 형태를 정의한다는 데 동의해야 합니다. ,

물론 슈미트는 이러한 방식으로 신분을 밝히고자 하지 않는 사람들이 법적으로 시민으로 인정받고 어떤 실증적 헌법이 승인한 규범 아래서 법을 준수하며 생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슈미트의 관점에서 볼 때 자유주의 국가는 친구와 적을 적절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진정으로 정치 국가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구성원 자격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슈미트는 자유주의 국가에서 정치 국가가 탈정치화 확산의 결과로 천천히 위축되고 죽거나, 내부 분쟁에 굴복하거나, 정치적으로 더 단합된 외부 적들에게 압도당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CP 69–79). ; L 31–77). 슈미트는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정치 국가의 경계와 시민권의 경계가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정치 의 개념, 국가의 개념은 정치의 개념을 전제로 한다(CP 19). 이 발언의 요점은 법적 경계가 명확한 친구-적 구분을 구현하는 경우에만 국가가 합법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슈미트는 분명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주권 독재자는 긍정적인 헌법 질서의 두 시기 사이의 간극에서 활동하며 명확한 친구-적 구분에 호소하고 억압, 제거, 또는 그러한 구별을 승인하지 않는 내부 적의 추방(CP 46–8). 그렇게 함으로써 주권적 독재자는 무엇이 정상적이고 예외적인지, 누가 속하는지에 대한 공동체의 이해를 표현하고, 슈미트가 법의 적법한 적용 가능성의 전제 조건으로 간주하는 동질적 매개체를 창조합니다. 슈미트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그의 개념이 호전적이지 않다는 것을 관찰합니다. 전쟁을 미화하지 않고, 그러나 단지 정치적인 삶에 관심이 있는 공동체는 자신의 정치적 존재가 위협받는다고 인식하면 기꺼이 전쟁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할 뿐입니다(CP 32–5). 그러나 정치적 존재에 대한 슈미트의 개념이 다수가 내부의 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을 능동적으로 제거할 것을 요구하고 심지어 그러한 제거를 대중 주권자의 본질적인 활동으로 칭송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기 방어에 대한 의도된 유추는 도덕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정치에 대한 슈미트의 이해는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의 기초를 제공합니다(Holmes 1993, 37–60; McCormick 1997; Dyzenhaus 1997, 58–70; Kahn 2011). 설명적인 수준에서 슈미트는 자유주의가 진정한 정치적 결정의 필요성을 부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며, 개인이 친구-적 구분을 통해 구성된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제안합니다. 자유주의자들은 문명, 기술 및 사회 조직의 개선을 통해 모두에게 유리하게 해결되거나 평화로운 숙고 후에 원만한 타협을 통해 해결될 수 없는 인간 사이의 갈등은 없다고 믿습니다. 결과적으로 자유주의는 진정한 정치적 결정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정체성의 실질적인 표식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유주의 정치는

이것이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자유주의 정치의 목적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라면, 슈미트는 자유주의가 그가 이해한 바와 같이 공동체의 정치적 존재를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이 옳습니다. 그러나 이 관찰이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이 되기 위해서는 슈미트가 정치적인 것의 자유주의적 전복이 바람직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슈미트의 정치 저술에는 이 질문에 대한 다소 다른 답변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생각은 Hobbes에게 호소하면서 국가가 구성원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는 한 합법적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Schmitt와 Hobbes의 관계에 대해서는 McCormick 1994; Tralau 2011; Schmitt의 L; SM 참조). ; VR). 그리고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유도된 정치의 전복을 겪은 국가는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국가를 성공적으로 식민화한 다원주의적 이해 집단의 간접적인 지배(LL 17–36, L 65–77)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원을 보호할 수 없습니다. 외부 적으로부터 보호할 힘이 부족합니다(CP 51–3). 사람들이 더 이상 친구와 적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려 하지 않는다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는 영원한 평화가 아니라 무정부 상태가 되거나 여전히 정치적 부담을 기꺼이 떠맡으려는 다른 집단에 대한 복종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 첫 번째 답변은 왜 자유주의적 탈정치화가 바람직하지 않은지에 대한 슈미트의 마지막 말이 아닙니다. Schmitt는 글로벌 헤게모니가 언젠가는 다른 모든 공동체가 자신의 친구-적 구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박탈함으로써 글로벌 탈정치화를 시행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 같습니다. 또는 자유주의가 언젠가는 세계 문화 헤게모니를 달성하여 사람들이 더 이상 친구와 적을 구분하는 데 관심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CP 35, 57–8). 그렇다면 슈미트는 그것이 비현실적인 목표라는 주장으로 자유주의적 탈정치화에 반대하는 주장을 멈출 수 없습니다. 그는 그것이 달성될 수 있다 하더라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할 필요가 있다(Strauss 2007).

이 도전에 대해 슈미트는 적과 아군 구분이 없는 삶은 천박하고 하찮고 무의미할 것이라고 답한다. 완전히 탈정치화된 세상은 인간에게 소비를 늘리고 현대 엔터테인먼트의 장난을 즐기는 것보다 더 높은 목적을 제공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정치를 물질적 편의 제공을 위한 가치 중립적인 기술로 축소시킬 것입니다. 그 결과 개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봉사하도록 부름을 받고 개인의 욕구 충족을 초월하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나 가치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CP 35, 57–8). , RK 21–7, PR 109–62, WS 85–108). 그러나 더 높은 가치에 봉사하는 개인의 만족에 대한 관심을 초월할 기회가 없는 세상은 피상적이고 무의미하다는 것이 정치 공동체를 위해 죽이거나 죽으려는 의지가 삶에 대한 의미, 그렇게 할 수있는 유일한 것보다 훨씬 적습니다. 슈미트가 정치적인 것을 방어하는 것이 다른 사람을 죽이고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 유일한 목표라고 주장할 때(CP 35; 48-9), 그가 이해하는 것처럼 정치 공동체의 삶은 논거 없이 가정합니다. 그것은 독특하고 최고의 가치가 있습니다.

일부 해석가들은 자유주의적 탈정치화에 대한 슈미트의 적대감을 친구와 적을 구별하려는 의지가 신학적 의무라는 관점에 근거한 것으로 설명했습니다(Mehring 1989; Meier 1998; Groh, 1991; Herrero 2015, 143–177; Vatter 2016 ). 슈미트는 정치신학 에서 현대 국가 교리의 모든 핵심 개념은 세속화된 신학적 개념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이러한 개념을 계속 사용하는 정치 이론에는 신학적 토대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PT 36–52). 정치의 개념 에서, Schmitt는 모든 진정한 정치 이론가들은 인간이 본질적으로 사악하고 음탕하기 때문에 친구-적 구별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강력한 국가에 의해 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정적인 인류학에 그들의 견해를 기초한다고 주장합니다. 사회 질서가 되어야 합니다(CP 58–68). Schmitt는 이 후자의 논제가 Hobbes나 Machiavelli에서와 같이 인간이 본질적으로 인간에게 위험하다는 순전히 기술적인 주장으로서 세속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슈미트는 부정적인 정치 인류학의 세속적 버전이 인간은 본성적으로 위험하지만 완벽할 수 있다는 견해 또는 인간의 위험한 행동은 사회 조직의 잘못된 형태의 우연한 결과라는 견해로 변형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제안합니다. (PT 53–66; L 31–9). 정치적 권위에 대한 영구적인 필요성을 확립하기 위해, 부정적인 정치 인류학은 인간의 위험한 본성을 원죄의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묘사하는 신학적 해석이 주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유주의적 탈정치화는 오직 역사의 끝에서만 인류를 정치적 적개심에서 구원할 수 있는 신에 반항하는 인간의 자존심의 표시로 거부되어야 합니다.

슈미트 자신도 정치의 신학적 토대는 인류학적 신앙고백에 기초하고 있음을 인정한다(CP 58). 그리고 슈미트의 이론이 이것이 정말로 마지막 단어라면 철학적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하고 싶은 유혹을 느낍니다. 슈미트는 인간이 완전할 수 있고 인류가 정치적 적개심을 극복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자유주의적 가정도 하나의 신조라고 대답했을 것입니다. 슈미트의 관점에서 정치적인 것의 신학적 당파는 자유주의적 코스모폴리탄으로서 그의 신조를 실천하고 의도적으로 정치적 적개심을 배양하는 것만큼이나 정당합니다(CPD 65-76). 정치 신학자가 친구-적 구분이 살아남는 한, 자유주의자들은 정치의 장으로 들어가 정치의 당파들과 전쟁을 벌이도록 강요받을 것입니다.

4. 민주주의론과 입헌론

슈미트의 정치 개념은 민주주의를 자유주의와 근본적으로 분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더 논란이 되는 것은 현대 민주주의의 일상적인 작동을 특징짓는 대중 선거 및 의회 입법의 구성되고 규칙에 얽매인 관행과 분리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슈미트는 자신의 급진적 관점을 바이마르 공화국의 구성된 민주 정치 영역에 어떻게 적용했습니까? (Dyzenhaus 1997; Kennedy 2004; Neumann 2015, 77–304; Preuss 2016의 귀중한 개요.)

의회민주주의의 위기 속 에서, 슈미트는 민주주의를 국민의 자치로 이해합니다. 민주 정치에서 통치자가 내린 결정은 국민의 의지를 표현합니다(CPD 25-6). 그러나 민주주의의 원칙은 추상적으로 보면 상이하고 상충하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정치적 실천에서 지배의지와 국민의지의 동일성은 결코 단순하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항상 식별 행위의 결과입니다. 다수결로 정치적 결정을 내릴 때 다수의 의지는 국민의 의지와 동일시되며 모든 시민은 다수에 투표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복종해야 합니다(CPD 26–30). 그러나 Schmitt는 이러한 식별의 근거가 무엇인지 묻습니다. 다수가 소수를 압도하고 소수의 뜻을 국민의 뜻과 동일시할 수 있다면 왜 소수의 의사가 국민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야 합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민주주의 원칙에 반대하는 사회에서 민주주의 혁명가 집단이 민주주의를 확립하고 싶다면?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다수결 원칙을 포기하고 자신의 의지와 국민의 진정한 의지를 동일시하며 동포들을 재교육적 독재에 굴복시키는 것이 정당화되지 않을까요? 슈미트는 그러한 독재가 여전히 민주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는데, 그 이유는 정치적 통치가 국민의 의지에 기초해야 한다는 생각에 여전히 호소하기 때문입니다(CPD 28-30). 일단 이 주장을 받아들이면, 슈미트가 확립하고자 하는 결론은 민주적 관점에서 보면 다수결 원칙을 포기하고 자신의 의지와 국민의 진정한 의지를 동일시하며 동포들을 재교육적 독재에 굴복시키는 것입니까? 슈미트는 그러한 독재가 여전히 민주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는데, 그 이유는 정치적 통치가 국민의 의지에 기초해야 한다는 생각에 여전히 호소하기 때문입니다(CPD 28-30). 일단 이 주장을 받아들이면, 슈미트가 확립하고자 하는 결론은 민주적 관점에서 보면 다수결 원칙을 포기하고 자신의 의지와 국민의 진정한 의지를 동일시하며 동포들을 재교육적 독재에 굴복시키는 것입니까? 슈미트는 그러한 독재가 여전히 민주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는데, 그 이유는 정치적 통치가 국민의 의지에 기초해야 한다는 생각에 여전히 호소하기 때문입니다(CPD 28-30). 일단 이 주장을 받아들이면, 슈미트가 확립하고자 하는 결론은의회민주주의의 위기우리가 일반적으로 전형적으로 민주적이라고 생각하는 선거 제도는 사실 국민의 이름으로 하는 독재보다 민주주의 원칙과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후자는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에 의해 시작된 국민 투표에 의해 합법화되어야 하며 Schmitt는 사람들이 승인을 하거나 보류할 수 있어야 하지만 결코 질문을 제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CPD 32; VV). 그러나 이 결론은 확실히 과장된 표현임에 틀림없다. 민주적 독재도 민주주의 확립에 아무리 중요하더라도 예외적이고 시간적으로 제한적이다. 따라서 법적 정상성의 특징적인 민주적 조건이 있어야 하며, 민주주의 이론은 그것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말해야 한다.

슈미트는 그의 헌법 이론 에서 이 문제를 인정한다.. 이제 슈미트는 정당한 정치 통치가 국민의 의지에 호소해야 한다는 생각은 정치적 평등의 가치에 근거한다고 주장한다(CT 255-67). 정치적 평등은 시민 사이의 자연적인 지위 차이를 부정하도록 우리에게 약속합니다. 그 자체로 어떤 시민도 다른 어떤 시민보다 정치적 권력을 가질 권리가 없습니다. 따라서 모든 시민은 실질적으로 가능한 한 동등한 조건으로 정치 통치에 참여해야 합니다. 더구나 모든 국민에게 공유되지 않는 특별한 권한을 가진 공직자를 임명해야 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선거를 통해 공직자를 임명해야 한다. 그렇다면 정치적 평등의 가치는 특정 형태의 의지 형성이 다른 것보다 민주주의의 개념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CT 280–5). 하지만, 평등의 가치에 대한 슈미트의 양보에는 반전이 있습니다. Schmitt는 정치적 공동체를 구성하는 정치적 평등은 도덕적 인격체로서 모든 인간의 비배타적 평등에 근거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모든 정치 공동체는 내부자와 외부자 또는 친구와 적 사이의 구성적 구분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민주적 정치공동체는 다른 어떤 것과 마찬가지로 내부자에게만 적용되는 배타적인 형태의 정치적 평등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정체성과 차이의 표식에 의존해야 합니다(CT 257-64). 슈미트는 계속해서 민주주의를 통치자와 피지배자의 동일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 체제로 정의합니다. 통치자와 피지배자는 동일합니다. 통치자와 모든 피지배자가 누가 적인지 결정할 때 전체로서의 공동체라는 실질적인 정체성을 공유하는 경우에만 말입니다.

구성된 민주주의 국가의 법적으로 인정된 시민으로 함께 사는 모든 사람들이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친구와 적을 구별한다면, 모든 시민의 정치 과정에 동등한 참여와 공무원의 선거 임명은 참으로 국가의 요구 사항이 될 것입니다. 민주적 정치 정의. 더욱이 정치적 과정의 결과를 국민의 의지와 동일시하고 일부 시민이 일시적인 소수자에 속하더라도 민주적으로 정당하다고 간주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나 민주적 절차의 결과를 국민의 의사와 동일시할 수 있게 된 이유는 민주적 절차 자체의 고유한 덕목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꽤, 식별은 공유된 친구-적 구분(CPD 10–14; LL 27–28)으로 구성된 그룹의 구성원으로서 모든 시민의 사전 정체성에 의해서만 가능합니다. 우리의 초기 가정과 달리 구성된 민주 국가의 법적으로 인정된 시민으로 함께 사는 사람들이 슈미트의 의미에서 정치적 정체성을 공유하지 않는다면 지배자와 모든 피지배자의 정체성은 더 이상 획득되지 않을 것이며 구성된 민주 국가는 더 이상 진정으로 민주적이지 않을 것입니다. 다수의 지배는 한 사회 분파가 다른 분파에 대해 간접적으로 지배하는 불법적인 형태로 변질될 것입니다(HV 73–91; LL 17–36; L 65–77). 따라서 구성되고 규칙이 지배하는 민주주의 정치의 정당한 운영의 기반이 되는 실질적인 평등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주권 독재가 여전히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는 슈미트의 바이마르 헌법 해석에 영향을 미쳤다(Dyzenhaus 1997, 38–101; Caldwell 1997, 85–119; Scheuerman 1999, 61–84; Hofmann 2002, 117–52; Kennedy 2004, 119–53; Neumann 2015, 77–304; Preuss 2016; Schupmann 2017). Schmitt는 그의 헌법 이론 에서 민주적 헌법 은 정치적으로 연합된 국민의 구성권 행사의 산물이라고 주장합니다(CT 75–77, 125–30, 140–6). 민주적 헌법의 창설은 정치적인 것의 개념 에서 설명된 것처럼 정치적 통일체로서의 국민의 선존재를 전제하기 때문에 사회 계약의 노선을 따라 생각되어서는 안 됩니다.(CT 112–3; Böckenförde 1998). 국민이 이미 존재하지 않았다면 국민은 스스로 헌법을 만들 수 없을 것이며, 국민이 스스로에게 부여하지 않은 헌법은 민주적 헌법이 될 수 없다고 슈미트는 추론합니다. 정치적으로 단합된 국민은 자신에게 헌법을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존재의 구체적인 형태를 결정하지만, 그것이 스스로 존재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민주 헌법은 이미 존재하는 국민의 편에서 그 정치적 실존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한 일방적인 결정이기 때문에 국민의 구성권은 양도할 수 없어야 합니다. 국민이 존재하는 한 항상 새로운 헌법을 부여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CT 140–1).

슈미트는 성문헌법이 국민 주권자의 의식적인 선택을 세세한 부분까지 반영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마르 헌법의 제정으로 이어진 1918년 독일 국민의 혁명은 민주주의, 공화제, 연방 국가에 대한 독일 국민의 의식적인 결정을 표현하고 법치주의 원칙에 전념하며 다음을 부여했습니다. 입법 및 정부의 의회 시스템(CT 77–8). 그러나 정치 및 사회 질서의 이러한 일반 원칙 외에도 바이마르 헌법에는 인민 주권자의 의식적인 결정을 반영하지 않는 많은 특정 조항이 포함되었습니다(CT 82–8). 슈미트는 그러한 특정한 헌법적 규범을 헌법에 내포된 기본 원칙에 표현된 구체적인 정치적 존재 형태에 대한 국민의 결정과 동일한 규범적 힘을 소유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므로 헌법을 모든 특정한 헌법적 규범의 집합으로 간주하고 이 모든 규범이 동등하게 헌법 개정의 대상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바이마르에서와 같이 실증적 헌법이 특정 헌법 규범의 수정을 허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절차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슈미트는 주장하기를 구성권력에 의해 선택된 핵심 헌법 원칙이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폐기.

슈미트는 이 주장이 헌법을 개정하기 위한 이니셔티브가 압도적 다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유효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 다수결 원칙에 입각한 정치적 의사 결정은 시민들이 정치적 정체성을 공유하는 경우에만 합법적이며, 이 경우 일련의 헌법적 기본 원칙에도 동의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지배자와 모든 피지배자의 동일성이 더 이상 획득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다수결 지배는 우연히 소수에 속하는 사람들을 억압하기 위한 단순한 면허증이 될 것입니다. Schmitt는 그러한 억압이 초다수결 요건이 제기되고 충족되는 곳에서 더 이상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수적 다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수적 소수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은 일단 공유된 정치적 정체성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단순한 다수의 경우보다 통치자와 모든 피지배자 사이의 동일성에 더 가깝습니다(LL 39-58). 슈미트는 민주 헌법이 제공하는 공식적인 개정 절차가 헌법의 근본을 뒤집는 데 합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견해를 취하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LL 85-94). 1933년 이전에 슈미트는 나치의 권력 장악에 반대하기 위해 이 주장을 사용했다.마흐터그라이펑) 법적 형식으로(Bendersky 1983, 107–91). 국민주권의 원칙에 입각한 민주헌법에는 개헌에 한계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한계가 개인의 방어권을 억누르려는 '전투적 민주주의' 개념을 정당화한다는 그의 주장도 주목해야 한다. 독일과 다른 곳에서 전후 헌법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Ehmke 1953, 33–53; Fox and Nolte 1995, 18–20; Conrad 1999; Colon-Rios 2012, 126–51 참조). 그러나 슈미트의 헌법론은 자유민주주의를 무조건적으로 옹호하는 것은 아니었다. 슈미트는 기존 헌법의 근본적인 성격을 내부에서 변경할 가능성을 부인하고 단순한 수적 다수의 폭정의 위험을 비난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주권 독재를 통한 근본적인 헌법 변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독일 국민이 구성권을 새롭게 행사할 때 비자유적이고 비의회적인 민주주의 형태를 합법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합니다(CT 75– 7). 헌법 질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초법적 주권 독재를 통해 시행되는 친구-적 구분의 배타적 성격은 슈미트의 헌법 이론의 민주적 성격에 더 많은 의문을 제기합니다(Kraft–Fuchs 참조). 1930; Vinx 2013a).

바이마르 체제에 대한 슈미트의 모호한 입장은 미술에서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의 독재 권력에 대한 그의 해석에서도 똑같이 드러났다. 바이마르 헌법 48조(Dyzenhaus 1997, 70–85; Vinx 2016). 대통령을 주권적 독재자로 부분적으로 동화시킴으로써 슈미트는 사실상 모든 헌법상의 권리를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의 재량적 간섭에 종속시키는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비정상적으로 광범위한 해석을 옹호했습니다(DP 참조). 독일 국민이 자유주의적 헌법을 만들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자유권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공공 질서와 안전이 보장된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했습니다. 슈미트에게 개인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하는 경우에도 예외에 대한 주권 결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중지되기 때문에 개인에 대한 국가의 양보로 간주되어야 합니다(CT 80–1, 156–8, 235–52). 더욱이 슈미트는 헌법의 보호가 헌법재판소에 맡겨져야 한다는 생각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Schmitt는 헌법재판소가 헌법이 결정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건으로 제한하거나 국민의 정치적 정체성을 결정할 책임을 스스로 떠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이 그러한 책임을 맡는 것은 슈미트의 관점에서 볼 때 국민의 구성권을 불법적으로 찬탈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슈미트는 분명히 바이마르 공화국의 상대적인 안정 기간 동안 기존 헌법을 수호하는 대통령 독재가 바이마르 공화국이 기능할 수 있는 정상적인 조건을 만들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희망했습니다. 그러나이 희망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마지막 위기에서 실망했습니다. 그 위기 동안 슈미트의 글은 대통령이 예술에 대한 슈미트 자신의 해석보다 완전한 주권 독재에 훨씬 더 가까운 역할을 맡도록 시도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장난하기 시작했습니다. 48은 긍정적인 헌법(LL 85–94)의 권위주의적 변형을 허용하고 설계했을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슈미트가 경고했던 헌법 절차의 남용을 통해 나치가 권력을 장악했을 때 실패했습니다(Kennedy 2004, 154–83). 그럼에도 불구하고 Schmitt는 매우 짧은 망설임 끝에 나치의 법률 고문으로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그는 헌법이 형식적 수정을 통해 근본적인 변화를 겪을 수 없다는 자신의 견해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Machtergreifung이 겉보기에 합법적인 형식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혁명에 해당한다는 점을 조심스럽게 강조했지만(SBV 5–9), 민주주의의 정체성 이론을 나치가 선호하는 인종주의적 관용구로 변환하고(SBV 32–46) 독일 국민의 진정한 삶의 형태와 관련이 있는 제도주의 법 이론을 옹호하기 시작했습니다(TJT 47–57, 89–95). 슈미트 자신은 '결정론자' 관점에서 '구체적 질서 사고'로의 법적-이론적 접근 방식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으로 이러한 변화를 제시했습니다. 의심스럽지만, '구체적 질서'라는 용어가 슈미트가 항상 확정적 합법성의 기초로 간주했던 정상 상태 이상을 가리키는지 여부. 그의 주장(또는 희망)은 단순히 나치가 성공적으로 정상을 회복했다는 것이었습니다(그러나 Croce and Salvatore 2013, 11–76 참조). 슈미트의 관점에서 볼 때 국가 사회주의 운동은 구성권 행사를 조율하고 새로운 헌법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독일 국민과 그 내부 및 외부 적 사이에 타협하지 않는 구별을 기꺼이 그렸습니다. 이 설명을 감안할 때 슈미트의 관점에서 볼 때 국가 사회주의 운동은 구성권 행사를 조율하고 새로운 헌법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독일 국민과 그 내부 및 외부 적 사이에 타협하지 않는 구별을 기꺼이 그렸습니다. 이 설명을 감안할 때 슈미트의 관점에서 볼 때 국가 사회주의 운동은 구성권 행사를 조율하고 새로운 헌법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독일 국민과 그 내부 및 외부 적 사이에 타협하지 않는 구별을 기꺼이 그렸습니다. 이 설명을 감안할 때 Schmitt의 정치 및 헌법 이론인 Machtergreifung 은 히틀러의 통치가 완벽하게 합법적이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1933년 이전과 이후의 슈미트의 견해 사이에 근본적인 불연속성을 가정하는 것은 불필요해 보입니다(Dyzenhaus 1997, 82–101; Mauss 1998; Scheuerman 1999, 113–39; Hofmann 2002, 152–88).

5. 자유주의 세계주의와 국제질서의 기초

정치적 근거에 대한 슈미트의 개념은 국내 영역에서 민주주의와 입헌주의에 대한 독특한 해석입니다. 그것은 슈미트가 최근 몇 년 동안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국제적 합법성의 기초에 대한 똑같이 독특한 설명으로 이끌었습니다(Scheuerman 1999, 141–73; Scheuerman 2006; Odysseos and Petito 2007; Axtmann 2007; Hooker 2009; Slomp 2009; Legg 2011 ; Benhabib 2012; Neumann 2015, 419–492; Koskenniemi 2016; Hathaway and Shapiro 2017; Kalyvas 2018). 슈미트는 확고한 주권 옹호자이지만 국제적 합법성에 대한 단호한 거부를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Schmitt는 서로 다른 정치적 정체성을 가진 주권 정치 공동체가 공유된 국제법 질서에서 공존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하는 데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슈미트의 정치 개념에 대한 국제 이론에 대한 두 가지 중요한 결과는 즉시 명백합니다. 첫째, 그것은 모든 진정한 정치 공동체가 법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종전을 요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구성하는 동지와 적의 구분이 집단 자체가 아니라 다른 누군가에 의해 결정되거나 구체적인 상황에서 전쟁을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더 이상 집단이 아니라 제3자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 헤게모니 국가, 국제 조직 또는 국제 법원 — 그룹은 더 이상 독립적인 정치 공동체로 존재하지 않습니다(CP 45–53). 국제 이론에 대한 슈미트의 정치 개념의 두 번째 핵심 결과는 집단의 정치적 존재가 친구-적 구별의 실체 역할을 하는 특정 정체성에 기반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비롯됩니다. 물론 그러한 정체성은 해당 집단이 자신의 정치적 정체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정치 공동체의 정체성과 달라야 합니다. 정당한 형태의 사회조직이나 공동생활이 단 하나뿐이라면 다수의 정치공동체는 불가능할 것이다. (CP 53–8). 슈미트의 정치 개념의 이 두 가지 결과는 국제 질서의 정당성의 두 가지 조건을 의미합니다. 적어도 Schmitt와 같이 정치 공동체는 자신의 존재를 보존할 무조건적 권리가 있다고 가정한다면(CP 48–9; CT 75–7). 이러한 가정을 고려할 때, 합법적인 국제 질서는 스스로 결정한 서로 다른 정치적 정체성을 가진 다수의 정치 공동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정치적 공동체를 성공적으로 구성한 모든 그룹이 주장하는 ius ad bellum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위반하는 국제 질서 개념은 정치적 존재와 양립할 수 없으므로 불법입니다. 합법적인 국제 질서는 스스로 결정한 서로 다른 정치적 정체성을 가진 다수의 정치 공동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정치적 공동체를 성공적으로 구성한 모든 그룹이 주장하는 ius ad bellum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위반하는 국제 질서 개념은 정치적 존재와 양립할 수 없으므로 불법입니다. 합법적인 국제 질서는 스스로 결정한 서로 다른 정치적 정체성을 가진 다수의 정치 공동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정치적 공동체를 성공적으로 구성한 모든 그룹이 주장하는 ius ad bellum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위반하는 국제 질서 개념은 정치적 존재와 양립할 수 없으므로 불법입니다.

합법적인 국제 질서에 대한 이러한 요구는 무정부 상태의 비결인 것 같습니다. 슈미트가 자신의 견해가 국제법 질서에 대한 부정을 함축하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더 좋지 않았을까? 이 반론에 대한 슈미트의 대답은 이중적이다. 한편으로 그는 자신의 합법성 기준에 부응하는 기능하는 국제 질서의 역사적 사례가 적어도 하나는 있다고 주장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슈미트는 정치적 존재 가능성에 대한 공격을 구성하는 것과 별개로 정치 공동체의 무력 사용을 외부의 법적 제약과 통제에 종속시키려는 시도는 우리는 정치적인 것을 인정하는 시스템에서 경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슈미트의 첫 번째 답변은 근대 주권 국가의 수립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때까지의 유럽 정치 질서의 본질에 대한 해석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슈미트의 설명에 따르면 이 기간은 단순한 무정부 상태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유럽 국가들 사이의 관계를 규율하는 공법인 ius publicum Europaeum(NE 140–212)의 존재로 특징지어졌습니다. Schmitt에 따르면 ius publicum Europaeum의 주요 기둥은 ius ad bellum과 ius in bello 사이의 엄격한 분리였습니다. ius ad bellum의 차원에서 모든 독립 국가는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자체 판단에 따라 전쟁을 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사실상 ius publicum Europaeum의 법적 질서는 정당한 전쟁과 부당한 전쟁을 구분하지 않았습니다. 꽤, 주권 국가 간의 분쟁에서 양측은 기본적으로 합법적인 교전국으로 인정되었습니다(NE 140–71). 더욱이 어떤 분쟁에서든 두 국가는 합법적인 교전국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분쟁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 않은 국가는 어느 쪽 편을 지지하거나 중립을 유지할지 선택할 권리가 있습니다(DCW 53–74). Schmitt는 이 틀 덕분에 유럽 국가들이 전쟁의 부정적인 결과와 정치적 존재의 위험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전쟁의 정의로부터의 추상화는 국가가 도덕적 비난을 할당할 필요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평화를 이루도록 허용했습니다. 분쟁에서 한쪽 편을 들거나 중립을 유지할 수 있는 자유 덕분에 국가는 균형을 잡거나 단순히 싸움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분쟁을 억제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정당한 호전성에 대한 상호 인정은 ius in bello 수준에서 허용되는 전쟁 수단에 대한 엄격한 제약의 효과적인 시행을 허용했습니다. Schmitt에 따르면 jus publicum Europaeum 기간 동안 국가 간 전쟁은 전투원과 민간인을 신중하게 구분하고 민간인의 생명이나 재산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전쟁 방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NE 142–43, 165–8). .

슈미트의 주장에 따르면 이러한 전쟁 봉쇄는 정의의 문제를 종전의 수준으로 묶으려는 의지를 전제로 합니다. 한쪽에서는 전쟁이 합법적일 수 있고 다른 쪽에서는 불법일 수 있다는 견해를 갖게 되면, 싸운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에게 정당한 교전 상태를 부여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슈미트는 주장합니다. 정당한 이유 없이, 그들이 정당하게 싸우는 사람들과 같은 호전적 권리를 누려야 한다고 가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잘못입니다(NE 320–2; CP 54–7). 더욱이 합법적인 교전과 불법적인 교전을 분리하면 다른 국가가 교전의 편을 들거나 중립을 유지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합니다. 오히려 제3자는 정의롭게 싸우는 자들 편에 서는 의무가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DK 26-53). 슈미트는 국가 간의 전쟁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가 동등하게 합법적인 교전국이라는 생각을 포기하면 불가피하게 ius publicum Europaeum(PB 286–90)에서 달성된 전쟁 봉쇄를 약화시킨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당연하게도 슈미트는 주권 국가 측의 무력 사용을 도덕적 합법성과 외부적 법적 통제라는 실질적인 기준에 종속시키는 '차별적인 전쟁 개념'에 기반한 국제법 질서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거부했습니다. 그는 그러한 발전을 승리한 서방 동맹국이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를 수정하려는 독일의 폭력적인 노력을 불법, 따라서 부당하다고 낙인찍으려는 시도에 불과하다고 여겼습니다. 그리고 상호 정당한 교전의 맥락에서 불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강압 수단의 적용과 전쟁 방법의 사용에 대한 허가를 스스로 부여합니다(PB 184–203; NE 259–80). 슈미트는 정당한 전쟁 이론을 모델로 한 국제적 합법화가 다가오는 전쟁을 막지는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대자들이 서로를 제거할 가치가 있는 절대적인 적으로 간주하도록 장려하기 때문에 단지 그들을 더 총체적으로 만들 것입니다(NE 309–22; Brown 2007; Slomp 2009, 95–111).

그러나 Schmitt는 ius publicum Europaeum의 시대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주권 국가들의 고전적인 유럽 콘서트(GO 101–11)의 세계적 헤게모니와 함께 끝났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따라서 Schmitt는 구조상 ius publicum Europaeum과 유사한 새로운 글로벌 질서의 출현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그는 The Nomos of the Earth 에서 시도했습니다 ., ius publicum Europaeum에 의해 예시된 국제 질서 종류의 전제를 설명하기 위해. 적대 관계에 있는 그룹이 전쟁의 결과를 제한하는 공유된 틀 안에서 공존할 수 있으려면 상호 적대감이 절대적 적대감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적대감은 적에 대항하여 자신의 정치적 존재를 방어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지만 적의 정치적 존재와 아마도 그의 육체적 존재의 완전한 파괴를 요구해서는 안됩니다. Schmitt의 관점에서 Ius publicum Europaeum은 친구-적 구분을 영토 경계와 정렬하여 절대적인 적대감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Zarmanian 2006). 대립하는 두 정치공동체의 삶의 형태가 각각 특정한 영역에 묶여 표현된다면, 그러면 두 그룹이 그들 사이의 친구-적 구분을 공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Schmitt는 주장합니다(NE 42–9). 두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적 존재를 보호하려면 다른 그룹이 자신의 영토를 빼앗으려는 시도를 격퇴해야 합니다.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그들 사이의 친구-적 구분을 공간화합니다(NE 42–9). 두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적 존재를 보호하려면 다른 그룹이 자신의 영토를 빼앗으려는 시도를 격퇴해야 합니다.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그들 사이의 친구-적 구분을 공간화합니다(NE 42–9). 두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적 존재를 보호하려면 다른 그룹이 자신의 영토를 빼앗으려는 시도를 격퇴해야 합니다.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자신의 정치적 존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영토를 빼앗으려는 다른 집단의 시도를 격퇴해야 합니다.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자신의 정치적 존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영토를 빼앗으려는 다른 집단의 시도를 격퇴해야 합니다.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그러나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정치적 존재를 간섭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자신의 영토 보호에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정치적 갈등은 영토 분쟁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이는 두 집단이 그들의 삶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토를 분할할 수 있는 한 모든 갈등이 원칙적으로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E 143–8).

정치적 갈등이 영토분쟁으로 환원되기 위해서는 반대 정치공동체는 물론 다른 정치공동체의 내정불간섭 원칙을 받아들여야 한다. 정치적 충성이 국경을 넘어 확산된다면 정치적 갈등을 영토적 갈등으로 환원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우리가 정치 생활의 기반으로 삼은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 중 일부가 다른 정치 공동체가 통제하는 영토에 살고 있다면 우리는 그들의 운명을 걱정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가 그들이 다른 공동체에 의해 억압당하고 있다고 인식한다면, 다른 공동체가 우리 자신의 영토를 침략하지 않았더라도 그들을 위해 전쟁에 나서야 한다는 강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친구-적 구분을 영토화하려면 동일한 정치적 정체성을 공유하는 모든 사람만이 동일한 영토에 거주하도록 해야 합니다(GO 86–8, 96–101). 그러나 일부 정치적 정체성은 정치적인 것의 공간화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정체성이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자유주의적 인도주의적 가치의 증진을 전제로 하는 공동체는 다른 정치 공동체가 그러한 가치를 존중하는지 여부와 그렇지 않은 경우 기꺼이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정치적 정체성이 비배타적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정치적 갈등을 영토 분쟁으로 축소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따라서 ius publicum Europaeum의 모델에 대한 세계적 질서는 달성할 수 없는 상태로 남을 것이며, 절대적 적대감으로 특징지어지는 세계적 내전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Schmitt는 결론을 내립니다.

Schmitt가 나중에 Theory of the Partisan 에서 지적했듯이, 절대 적과 억제된 적의 구분은 절대 적, 실제 적, 기존 적 간의 구분을 야기합니다(TP 85–95; CP 36–7 참조; Slomp 2009, 112–26). 재래식 적은 기존의 봉쇄 시스템 내의 적이며, 실제 적은 아마도 충돌 후에만 가능하지만 영토 분할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 수 있는 적입니다. 대조적으로 절대적 적대감은 영토적 해결에 따르지 않는 갈등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존재합니다. 슈미트의 관점에서 절대적인 적개심과 그에 수반되는 억제되지 않은 폭력에 대한 책임은 이데올로기적 이유로 갈등의 공간화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세력입니다. 진정한 적이지만 서로의 절대적인 적이 될 필요가 없는 사람들은 서로를 인식할 방법을 찾고 그들 사이에서 세상을 나누고, 그리고 정치적 갈등의 영토화를 거부해야 하는 정치 세력을 견제하는 것입니다. 슈미트지구의 노모스따라서 상호 간섭하지 않는 영토 기반 정치 공동체에 의한 상호 인정된 전유권을 모든 합법적인 국제(따라서 국가의) 법적 질서의 진정한 기반으로 묘사했습니다(NE 42–9, 67–83; GO 77). –9, Herrero 2015, 21–49 참조). 나치 시대에 슈미트는 나치-독일을 불간섭 원칙에 입각한 세계적 영토 분할을 기꺼이 지지하는 지역 헤게몬으로 묘사함으로써 나치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이 견해를 적용했습니다. 슈미트는 적어도 잠시 동안은 미국이 독일의 '진정한 적'임을 드러내고 서로 영향력을 나누는 일에 기꺼이 참여하기를 바랐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슈미트는 먼로 독트린을 미국이 독일이 유럽 대륙에 자신의 먼로 독트린을 강요하도록 허용한다면 새로운 세계 질서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이익 영역의 헤게모니적 전유의 첫 번째 행위로 해석했습니다(GO 83– 90). 그들이 군사적으로 성공하는 한, 슈미트는 나치 전쟁을 새로운 '대지의 노모스'의 산고로 칭송했습니다. (LS 섹션 20)

물론 슈미트의 희망은 참혹한 유혈 사태 이후 전쟁이 보편주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지 않으려는 두 패권 세력 사이의 교착 상태로 끝났을 때 실망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 자신의 갈등이 공개 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상당히 성공적으로 막았습니다. 하지만 슈미트는 국제 질서가 영토 분할에 기반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Schmitt 주변에서는 냉전을 '글로벌 내전'(Müller 2003, 104–15)이라고 부르는 것이 유행이 된 반면 Schmitt는 Theory of the Partisan, "세계 혁명적 또는 기술주의적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면서 "텔루르적" 성격과 "토양에 대한 유대"를 보여준 마오쩌둥과 호치민의 빨치산에 대한 찬사를 표명했습니다. (TP 20–2) 새로운 질서는 특정 땅에 묶인 내부적으로 동질적인 민족들 사이의 지구 분포에서 여전히 출현해야 했습니다.

슈미트의 국제질서 전제 이론이 잘 작동하는 국내 합법성의 조건에 대한 그의 설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명백합니다(Vinx 2013b). 갈등의 공간화는 내부의 정치적 동질성을 강화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정치 공동체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정치공동체가 갈등의 공간화에 이데올로기적으로 적대적인 세력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명확한 공간 질서가 결여된 국제 환경에서 살아야 한다면 내부 동질성을 강요할 수 없을 것이다. 슈미트에게 합법적인 국내 질서와 합법적인 국제 질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둘 다 슈미트가 이해하는 것처럼 정치적인 방어를 요구합니다. (Axtmann 2007) 그러나 Schmitt의 제안은 그가 이해하는 정치적인 것의 보존이 합법적인 국내 및 국제 합법성의 필요 조건이라는 점은 20세기의 파국적 경험에 비추어 받아들이기 다소 어려워 보입니다. 슈미트는 자유주의 입헌주의와 자유주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약점에 대한 예리한 관찰자이자 분석가였습니다. 그러나 그가 선호하는 치료법이 질병보다 훨씬 더 나쁜 것으로 밝혀졌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서지

초등 문헌

Schmitt의 작품에 대한 전체 서지 정보는 Alain de Benoist, Carl Schmitt를 참조하십시오. Bibliographie seiner Schriften und Korrespondenzen , Berlin: Akademie Verlag, 2003. Schmitt의 작품 목록에서 제목 뒤의 괄호 안의 날짜는 독일어로 처음 출판된 연도 또는 (사후에 출판된 자료의 경우) 해당 연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의 텍스트가 작성되었습니다.

칼 슈미트의 작품

[구] Gesetz und Urteil. Eine Untersuchung zum Problem der Rechtspraxis (1912), München: CH Beck, 1969.
[WS] Der Wert des Staates und die Bedeutung des Einzelnen (1914), 베를린: Duncker&Humblot, 2004.
[홍보] 정치적 낭만주의 (1919), 트랜스. Guy Oakes, Cambridge, MA: MIT Press, 1986.
[디] 절대권. 현대 주권 개념의 기원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까지 (1921), trans. M. Hoelzl 및 G. Ward, 케임브리지: Polity Press, 2014.
[PT] 정치신학. 주권 개념에 관한 4개의 장 (1922), trans. G. Schwab,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RK] Römischer Katholizismus und politische Form (1923), Stuttgart: Klett-Cotta, 2008.
[CPD] 의회 민주주의의 위기 (1923), trans. E. Kennedy, Cambridge/MA: MIT Press, 1985.
[DP] "바이마르 헌법 48조에 따른 제국 대통령의 독재"(1924), C. Schmitt, Dictatorship. 현대 주권 개념의 기원에서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 까지 , trans. M. Hoelzl 및 G. Ward, Cambridge: Polity Press, 2014, pp. 180–226.
[VV] Volksentscheid und Volksbegehren. Ein Beitrag zur Auslegung der Weimarer Verfassung und zur Lehre von der unmittelbaren Demokratie (1927), 베를린: Duncker&Humblot, 2014.
[CT] 헌법 이론 (1928), 트랜스. J. Seitzer,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08.
[ND] “중화와 탈정치화의 시대”(1929), C. Schmitt,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 확장판, 트랜스. G. Schwab,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7, pp. 80–96.
[HV] Der Hüter der Verfassung (1931), Berlin: Duncker & Humblot, 1996. [이 텍스트의 일부 번역은 The Guardian of the Constitution에서 볼 수 있습니다. 헌법의 한계에 관한 Hans Kelsen과 Carl Schmitt , 트랜스. L. Vinx,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pp. 79–173.]
[LL] 적법성과 적(합)법성 (1932), 트랜스. J. Seitzer,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04.
" on Ligality and Legitimacy: 적법성과 합법성
[CP] 정치의 개념 . 확장판(1932), 트랜스. G. Schwab,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7.
[SBV] Staat, Bewegung, Volk. Die Dreigliederung der politischen Einheit (1933), 함부르크: Hanseatische Verlagsanstalt, 1933.
[TJT] 법률적 사고의 세 가지 유형에 관하여 (1934), trans. JW Bendersky,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2004.
[에스엠] "홉스와 데카르트의 메커니즘으로서의 국가"(1936/37), C. Schmitt, The Leviathan in the State Theory of Thomas Hobbes. 정치적 상징의 의미와 실패 , trans. G. Schwab 및 E. Hilfstein,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pp. 91–103.
[엘] 토머스 홉스의 국가론에서 리바이어던. 정치적 상징의 의미와 실패 (1938), trans. G. Schwab 및 E. Hilfstein,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DCW] The Turn to the Discriminating Concept of War (1938), in C. Schmitt, Writings on War , trans. T. Nunan, Cambridge: Polity Press, 2011, pp. 30–74.
[PB] Positionen und Begriffe im Kampf mit Weimar — Genf — Versailles 1923–1939 (1940), 베를린: Duncker&Humblot, 1988.
[가다] The Grossraum Order of International Law with a Ban a Ban on Intervention for Spatially Foreign Powers: A Contribution to the Concept of Reich in International Law (1941), in C. Schmitt, Writings on War , trans. T. Nunan, Cambridge: Polity Press, 2011, pp. 75–124.
[엘에스] 육지와 바다. A World-Historical Meditation (1942), 트랜스. SG Zeitlin, 뉴욕: Telos Press, 2015.
[IC] 침략 전쟁의 국제 범죄와 원칙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1945), C. Schmitt, Writings on War , trans. T. Nunan, 캠브리지: Polity Press, 2011, pp. 125–97.
[안] Nürnberg의 Antworten (1947), ed. H. Quaritsch, 베를린: Duncker&Humblot, 2000.
[NE] Jus Publicum Europaeum(1950)의 국제법에서 지구의 노모스(Nomos of the Earth ), 트랜스. GL Ulmen, 뉴욕: Telos Press, 2003.
[ECS] 전 Captivitate Salus. Erfahrungen aus der Zeit 1945/47 (1950), 베를린: Duncker&Humblot, 2002.
[VA] Verfassungsrechtliche Aufsätze aus den Jahren 1924–1954. Materialien zu einer Verfassungslehre (1958), 베를린: Duncker&Humblot, 1958.
[TV] The Tyranny of Values ​​and Other Texts (1960), 트랜스. SG Zeitlin, 뉴욕: Telos Press, 2018.
[TP] 파르티잔 이론. 정치의 개념에 대한 중간 논평 (1963), 트랜스. GL Ulmen, 뉴욕: Telos Press, 2007.
[VR] “종교 개혁을 vollendete. Zu neuen Leviathan-Interpretationen” (1965), Der Staat , 4(1): 51–69.

 

슈미트에 관한 선집

  • Arvidsson, M., Braennstroem L. 및 Minkkinen, P. (eds.), 2016, 칼 슈미트의 현대 관련성. 법, 정치, 신학 , Abingdon: Routledge.
  • Dyzenhaus, D. (ed.), 1998, 정치로서의 법. 칼 슈미트의 자유주의 비판 ,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 Legg, S. (ed.), 2011, Spatiality, Sovereignty 및 Carl Schmitt. Nomos의 지리 , Abingdon: Routledge.
  • Mehring, R. (ed.), 2003, Carl Schmitt Der Begriff des Politischen. Ein cooperativer Kommentar , 베를린: Akademie Verlag.
  • Meierhenrich, J. 및 Simons, O. (eds.), 2016, The Oxford Handbook of Carl Schmitt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ouffe, C. (ed.), 1999a, The Challenge of Carl Schmitt , London: Verso.
  • Odysseos, L. 및 F. Petito(eds.), 2007, 칼 슈미트의 국제정치사상. 테러, 자유주의 전쟁과 세계 질서의 위기 , Abingdon: Routledge.
  • Tralau, J. (ed.), 2011, Thomas Hobbes 및 Carl Schmitt. 질서와 신화의 정치 , Abingdon: Routledge.

슈미트에 대한 선별된 기사 및 책

  • Arato, A., 1995, "헌법 제정의 형식과 민주주의 이론", Cardozo Law Review , 17(2): 191–231.
  • Axtmann, R., 2007, “인류인가, 적대인가? Carl Schmitt on International Politics,” International Politics , 44(5): 531–51.
  • Balakrishnan, G., 2000, 적. 칼 슈미트의 지적 초상 , 런던: Verso.
  • Bendersky, JW, 1983, 칼 슈미트. 제국을 위한 이론가 ,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Benhabib, S., 2012, "칼 슈미트의 칸트 비판: 주권과 국제법," 정치 이론 , 40(6): 688–713.
  • Böckenförde, E.-W., 1998,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A Key to Understanding Carl Schmitt's Constitutional Theory," In Law as Politics. Carl Schmitt's Critique of Liberalism , D. Dyzenhaus (ed.),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pp. 37–55.
  • Breuer, S., 2012, Carl Schmitt im Kontext. der Weimarer Republik , Berlin: Akademie Verlag의 Intellektuellenpolitik.
  • Brown, C., 2007, "인간화 전쟁에서 인도주의적 개입으로: 칼 슈미트의 정당한 전쟁 전통에 대한 비판", 칼 슈미트의 국제정치사상. Terror, Liberal War and the Crisis of Global Order , L. Odysseos and F. Petito (eds.), Abingdon: Routledge, pp. 56–69.
  • Caldwell, PC, 1997, 인민 주권과 독일 헌법의 위기. The Theory and Practice of Weimar Constitutionalism ,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 –––, 2005, “칼 슈미트에 대한 논쟁: 최근 문헌 검토,”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 77 (2): 357–87.
  • Colon-Rios, J., 2012, 약한 입헌주의. 민주적 합법성과 구성권력의 문제 , Abingdon: Routledge.
  • Conrad, D., 1999, "수정 절차 및 구성 권한의 제한", D. Conrad, Zwischen den Traditionen. Probleme des Verfassungsrechts und der Rechtskultur in Indien und Pakistan , ed. J. Lütt 및 MP Singh, Stuttgart: Franz Steiner Verlag, pp. 47–85.
  • Cristi, R., 1998, 칼 슈미트와 권위주의적 자유주의. 강력한 국가, 자유 경제 , 카디프: 웨일스 대학교 출판부.
  • Croce, M. 및 Salvatore, A., 2013, Carl Schmitt의 법률 이론 , Abingdon: Routledge.
  • Dyzenhaus, D., 1997, 합법성 및 합법성. Carl Schmitt, Hans Kelsen 및 Hermann Heller 바이마르 , 옥스포드: Oxford University Press.
  • –––, 2006, 법의 헌법. 긴급 상황에서의 합법성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hmke, H., 1953, Grenzen der Verfassungsänderung , 베를린: Duncker & Humblot.
  • Fox, GH 및 Nolte, G., 1995, "Intolerant Democracies", Harvard International Law Journal , 36(1): 1–70.
  • Gottfried, PE, 1990, 칼 슈미트. 정치와 이론 , Westport, CT: Greenwood Press.
  • Groh, R., 1998, Arbeit an der Heillosigkeit der Welt. Zur politisch-theologischen Mythologie und Anthropologie Carl Schmitts , Frankfurt am Main: Suhrkamp.
  • Gross, R., 2007, Carl Schmitt and the Jews: The "Jewish Question," the Holocaust, and German Legal Theory ,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 Hathaway, O. 및 Shapiro, S., 2017, The Internationalists. How a Radical Plan to Outlaw War Remade the World , New York: Simon & Schuster.
  • Herrero, M., 2015, 칼 슈미트의 정치 담론. A Mystic of Order ,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 Hofmann, H., 2002, 합법적인 법률. Der Weg der politischen Philosophie Carl Schmitts , 베를린: Duncker & Humblot.
  • Holmes, S., 1993, The Anatomy of Antiliberalism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Hooker, W., 2009, 칼 슈미트의 국제사상. 질서와 방향 , 캠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 Kahn, PW, 2011, 정치신학. 주권 개념에 관한 4개의 새로운 장 , 뉴욕: Columbia University Press.
  • Kalyvas, A., 2008, 민주주의와 비범한 정치. Max Weber, Carl Schmitt, Hannah Arendt , 캠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2018, "Carl Schmitt's Postcolonial Imagination," Constellations , 25 (1): 35–53.
  • Kaufmann, M., 1988, Recht ohne Regel? Carl Schmitt의 Staats- und Rechtslehre , Freiburg: Karl Alber에 있는 Die philosophischen Prinzipien.
  • Kelly, D., 2016, "Carl Schmitt's Political Theory of Dictatorship", The Oxford Handbook of Carl Schmitt , J. Meierhenrich 및 O. Simons(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217–244.
  • Kennedy, E., 2004, 헌법적 실패. Weimar , Durham의 Carl Schmitt: Duke University Press.
  • Kervégan, J.-F., 1992, Hegel, Carl Schmitt. Le politique entre speculation et positivité , 파리: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 Kraft-Fuchs, M., 1930, "Prinzipielle Bemerkungen zu Carl Schmitt's Verfassungslehre," Zeitschrift für öffentliches Recht , 9: 510–41.
  • Lindahl, H., 2007, "구성권력과 성찰적 정체성: 집합적 자아의 존재론을 향하여", The Paradox of Constitutionalism에서. Constituent Power and Constitutional Form , M. Loughlin and N. Walker (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9–24.
  • Löwith, K., 1995, "The Occasional Decisionism of Carl Schmitt," in K. Löwith, Martin Heidegger and European Nihilism , R. Wolin(ed.) 및 G. Steiner(tran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7~69쪽.
  • Loughlin, M., 2012, 공법의 기초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auss, I., 1980, Bürgerliche Rechtstheorie und Faschismus. Zur sozialen Funktion und aktuellen Wirkung der Theorie Carl Schmitts , München: Wilhelm Fink.
  • –––, 1998, "The 1933년 Carl Schmitt 이론의 단절", Law as Politics에서. Carl Schmitt's Critique of Liberalism , D. Dyzenhaus (ed.),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pp. 198–216.
  • McCormick, JP, 1994, "Fear, Technology, and the State: Carl Schmitt, Leo Strauss, and the Revival of Hobbes in Weimar and National Socialist Germany," Political Theory , 22(4): 619–52.
  • –––, 1997, 칼 슈미트의 자유주의 비판. 기술로서의 정치에 반대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hring, R., 1989, Pathetisches Denken. Carl Schmitts Denkweg am Leitfaden Hegels: Katholische Grundstellung und antimarxistische Hegelstrategie , 베를린: Duncker&Humblot.
  • –––, 2009, 칼 슈미트: Aufstieg und Fall. Eine Biographie , München: CH Beck.
  • Meier, H., 1998, 칼 슈미트의 교훈. 정치 신학과 정치 철학의 구별에 관한 4개의 장 ,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 2006, Carl Schmitt and Leo Strauss: The Hidden Dialogue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inkkinen, P., 2013, "정치 입헌주의 대 정치 입헌 이론: 법, 권력 및 정치", 국제 헌법 저널 , 11(3): 585–610.
  • Mouffe, C., 1999b, "Carl Schmitt and the Paradox of Liberal Democracy", The Challenge of Carl Schmitt , C. Mouffe(ed.), London: Verso.
  • Müller, J.-W., 2003, 위험한 마음. 전후 유럽 사상 ,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의 Carl Schmitt.
  • Neumann, V., 2015, Carl Schmitt als Jurist , Tübingen: Mohr Siebeck.
  • Norris, A., 2007, "주권, 예외 및 규범," Journal of Law and Society , 34(1): 31–45.
  • Posner, E. 및 Vermeule, A., 2010, The Executive Unbound. 매디슨 공화국 이후 ,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Preuss, UK, 2016, "Carl Schmitt and the Weimar Constitution", The Oxford Handbook of Carl Schmitt , J. Meierhenrich 및 O. Simons (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471–489.
  • Rüthers, B., 1990, Carl Schmitt im Dritten Reich: Wissenschaft als Zeitgeistverstärkung? , 뮌헨: CH Beck.
  • Sartori, G., 1989, "The Essence of the Political in Carl Schmitt,"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 1(1): 63–75.
  • Scheuerman, WE, 1996, "Legal Indeterminacy and the Origins of Nazi Legal Thought: The Case of Carl Schmitt,"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 17 (4): 571–590.
  • –––, 1999, 칼 슈미트. 법의 끝 , Lanham: Rowman & Littlefield.
  • –––, 2006, "Carl Schmitt and the Road to Abu Ghraib," Constellations , 13 (1): 108–24.
  • Schupmann, BA, 2017, Carl Schmitt의 국가 및 헌법 이론. 비판적 분석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Schwab, G., 1989, 예외의 도전. 1921년과 1936년 사이에 칼 슈미트의 정치 사상 소개 , Westport, CT: Greenwood Press.
  • Slomp, G., 2009, Carl Schmitt and the Politics of Hostility, Violence, and Terror ,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 Strauss, L., 2007, "칼 슈미트에 관한 노트, 정치의 개념", 트랜스. HJ Lomax, C. Schmitt,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 확장판, 트랜스. George Schwab,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97–122.
  • Van Laak, D., 2002, Gespräche in der Sicherheit des Schweigens. Carl Schmitt in der politischen Geistesgeschichte der frühen Bundesrepublik , Berlin: Akademie Verlag.
  • Vatter, M., 2016, "The Political Theology of Carl Schmitt", The Oxford Handbook of Carl Schmitt , J. Meierhenrich and O. Simons (e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245–268.
  • Vinx, L., 2013a, "강력한 대중 주권의 비일관성", 국제 헌법 저널 , 11(1): 101–24.
  • –––, 2013b, "Carl Schmitt and the Analogy between Constitutional and International Law: Are Constitutional and International Law Inherently Political?" 글로벌 입헌 주의, 2(1): 91–124.
  • –––, 2015, "칼 슈미트의 주권 방어", 법률, 자유 및 국가. Oakakeshott, Hayek 및 Schmitt on the Rule of Law , D. Dyzenhaus 및 T. Poole (e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96–121.
  • –––, 2016, "Carl Schmitt and the Problem of Constitutional Guardianship", in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Carl Schmitt , M. Arvidsson, L. Brännström, and P. Minkkinen (eds.), Abington: Routledge, pp. 34– 49.
  • Wolin, R., 1992, "보수적 혁명적 아비투스와 공포의 미학," Political Theory , 20(3): 424–47.
  • Zarmanian, T., 2006, "Carl Schmitt and the Problem of Legal Order: From Domestic to International," Leide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 19(1): 4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