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神學

고린도전서 연구 - 1 Corinthians

by 이덕휴-dhleepaul 2023. 10. 20.

https://www.planobiblechapel.org/tcon/notes/html/nt/1corinthians/1corinthians.htm

 

1 Corinthians

 

www.planobiblechapel.org

고린도전서 연구

2023년판

토마스 L. 컨스터블 박사

소개

목적지

고린도는 청동기 시대(기원전 1200년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바울 시대에 이곳은 로마 식민지였으며 아가야 지방의 수도였으며 "아마 제국 전체에서 네 번째 규모였을 것입니다." [2] 인구는 이탈리아에서 이주한 로마 시민, 그리스 원주민, 유대인(행 18:4), 그리고 그곳에 정착하기로 선택한 여러 곳의 다른 사람들로 구성되었습니다.

고대 도시 고린도는 상업 중심지로서 이상적인 위치를 누렸습니다. 이곳은 그리스 북부와 그리스 남부(펠로폰네소스)를 연결하는 육교인 고린도 지협의 바로 남서쪽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이 장소는 코린트를 육지, 북쪽과 남쪽, 바다, 동쪽과 서쪽 무역의 교차로로 만들었습니다.

바울 시대에는 대형 선박이 화물을 지협 서쪽의 고린도 만에서 지협 동쪽의 사로닉 만으로 또는 그 반대로 운반하는 육상 차량으로 옮겼습니다. 그곳에서 하역업자는 그것들을 다른 배에 다시 싣곤 했습니다. 배가 충분히 작다면 그들은 배 전체를 한 만에서 다른 만까지 4.5마일의 지협을 가로질러 끌고 갈 것입니다. 이로써 말레아 곶을 경유하여 펠로폰네소스 주변을 도는 길고 위험한 항해가 사라졌습니다. 나중에 로마인들은 이 두 만을 연결하는 운하를 팠습니다. Nero는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1893년에 마침내 완료되었습니다. [3]

"그 [코린트의] 식민지는 동쪽과 서쪽의 먼 해안에 퍼져 있었고 모든 바다에서 배들이 항구로 왔습니다. 그리하여 코린토스는 그리스인들의 공동 휴양지이자 보편적인 시장이 되었습니다." [4]

고린도의 전략적 위치는 상업과 이에 수반되는 모든 것을 대중에게 가져왔습니다. 즉 부, 여행자와 상인의 꾸준한 흐름, 그리고 악덕도 있었습니다. 바울 시대에는 많은 이교 종교가 매춘을 자신들의 신이나 여신 숭배의 일부로 포함시켰습니다. 그 결과 고린도에서는 음행이 성행했습니다.

"고린도는 성적인 악덕으로 명성을 얻었기 때문에 아리스토파네스(  450-385 BC )는 동사 코린티아조 (= 코린트인처럼 행동하다, 즉 음행을 범하다)를 만들었습니다." [5]

"… 우리 문헌에서 '코린트식'은 여전히 ​​광택이 나는 갈퀴를 의미합니다." [6]

"오래된 도시는 그리스에서 가장 음탕한 도시였으며 아마도 제국에서도 가장 음탕한 도시였을 것입니다." [7]

고린도에서 가장 악명 높은 신전은 아프로디테 신전으로, 도시 바로 남쪽에 있는 약 1,900피트 높이의 산인 아크로코린토스 꼭대기에 서 있었습니다. 수백 명의 여성 노예들이 그곳에서 "숭배"하는 남성들을 섬겼습니다.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Strabo)는 매춘부 1,000명에 대해 기록했는데, 이는 아마도 옛 도시의 초기 역사를 언급한 것일 수도 있고 과장되었을 수도 있다. [8] 고린도에서 존경받는 다른 주요 신으로는 선원들의 수호신인 멜리케르테스(Melicertes)와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Poseidon)이 있습니다.

"이 모든 증거는 바울의 고린도가 동시에 고대 세계의 뉴욕, 로스앤젤레스, 라스베가스였음을 암시합니다." [9]

바울의 고린도 서신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다른 지역 유적지가 몇 군데 있었습니다. 여기에는 판사들이 바울의 사건(행 18:12)을 포함하여 중요한 사건을 심리하는 장소인 베마 ("재판석" 또는 "판석")가 포함되었습니다. [10] 에게 해 사로닉 만에 있는 고린도 항구인 겐그레아는 바울이 2차 선교 여행 중에 에베소로 향하기 위해 배를 타고 떠난 마을이었습니다(행 18:18). 이스트미아는 코린트 동쪽, 켄그레아 바로 북쪽에 있는 또 다른 작은 마을로, 2~3년마다 이스트미아 게임이 개최되었습니다. [11] 이러한 운동 경기는 그리스인들의 삶에서 중요했으며 바울은 이 서신에서 이를 언급했습니다(9:24-27).

바울은 먼저 동쪽에 있는 아테네에서 고린도에 도착했습니다. 고린도에서 그는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웠습니다. 그곳에서도 그는 최근에 로마를 떠난 유대인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를 만났습니다. 현지 유대인 관리들이 회당에서 교회를 추방한 후, 그 교회는 티티우스 유스도가 소유한 옆집 큰 집에서 모였습니다. 바울은 아마도 서기 51년과 52년에 18개월 동안 고린도에서 사역했습니다. 그는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를 데리고 에베소로 떠났습니다. 그 후 바울은 가이사랴를 거쳐 시리아 안디옥으로 갔습니다.

행사 및 날짜

세 번째 여행 중에 에베소로 돌아온 바울은 그 도시를 거의 3년 동안(AD 53-56) 활동 기지로 삼았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고린도 교회의 ​​부도덕에 관한 불안한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신자들에게 그러한 행위를 용납하지 말라고 촉구하는 편지를 썼습니다. 바울은 고린도전서에서 이 편지를 언급했습니다(고전 5:9). 오늘날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그는 “글로에의 사람들”로부터 교회 안에 당파가 생겼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1:11). [12] 그는 또한 고린도 교회로부터 어떤 문제에 있어서 지도를 요청하는 편지를 받았습니다(7:1). 그 문제는 결혼과 이혼, 우상에게 제물을 바치는 일, 교회에서 신령한 은사를 행사하는 일, 예루살렘에 있는 가난한 성도들을 위한 연보였습니다. 이 편지를 전달한 사람들은 또한 교회의 다른 불안한 상황을 보고했습니다(5:1; 16:17). 이러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도덕을 징계하기보다는 묵인하는 것, 기독교인들이 민사 법정에서 서로 고소하는 것, 교회 집회의 무질서.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바울은 이 교회에 두 번째 편지인 고린도전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 안에서 그는 당파 문제를 다루었고, 그들을 곧 방문하겠다고 약속했으며, 디모데를 고린도로 보낸다고 말했습니다(1~4장). 바울은 또한 자신이 이전에 기록한 내용에 대한 고린도 사람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도 포함시켰습니다. 그는 다음으로 구두 보고(5~6장)를 다루었고, 그 다음에는 고린도 신자들이 그에게 보낸 질문(7~16장)을 다루었습니다. 따라서 고린도전서는 "비정기적 서신", 즉 특정한 실제 상황에 의해 작성된 서신입니다. 바울은 이 서신을 AD 56년 늦겨울이나 이른 봄에 믿을 만한 사자들을 통해 에베소에서 보낸 것이 분명하다(참조, 16:8). [13]

고린도교회와 그 창시자인 바울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서신에서 분명하게 밝히듯이, 교회 안에는 내부 분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기독교 공동체의 일부가 바울의 견해와 반대되는 견해로 교회를 이끌고 있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바울의 권위와 그의 복음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참조, 갈 1:1). 바울과 고린도인들 사이의 주요 쟁점은 “영적”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였습니다. [14]



바울의 고린도 연락처


폴의 첫 방문


그의 예전 편지


그에게 보낸 편지


고린도전서


바울의 고통스러운 방문


그의 엄중한 편지


고린도후서


바울의 향후 방문

형질

"이 서신은 바울 복음의 가장 완전하고 명확한 진술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로마서를 참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서신은 바울 자신의 마음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편지도 아닙니다. 이 점에 있어서는 고린도 후서를 능가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다른 서신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신학이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큰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신학은 사용되도록 의도된 대로 사용되며, 사람, 기관, 관행 및 사상을 비판하고 확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15]

"로마서에서 바울이 현대의 성서신학 교수를 닮았다면, 고린도전서에서 그는 기독교 전쟁의 최전선에서 교회를 돌보아야 하는 목회자와 교사를 닮았습니다." [16]

"이 편지의 내용은 모든 성 바울 서신 중에서 가장 다양합니다." [17]

"바울 서신(문서 모음)의 어떤 부분도 이 서신들[고린도전서 및 후서]보다 인간 바울, 그리스도인 바울, 목사 바울, 사도 바울의 성품을 더 명확하게 밝히지 않습니다." [18]

"이 두 서신은 바울의 말뭉치에서 오만함, 자기 홍보, 자랑, 자신감에 대한 가장 강력한 정죄를 구성합니다. 반대로 그들은 봉사, 극기, 순결을 강조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삶과 증언의 본질을 실제적인 용어로 설명합니다. 그리고 약함은 하나님이 자신의 강함을 나타내시는 모체입니다. 아마도 최고조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추구해야 하는 '가장 탁월한 길'(고전 12:31~13:13)인 사랑을 강조하는 것일 것입니다." [19]

 

개요

 

I. 소개 1:1-9

A. 인사 1:1-3

B. 추수감사절 1:4-9

II. 바울에게 보고된 상황 1:10-6:20

A. 교회 안의 분열 1:10-4:21

1. 문제의 발현 1:10-17

2. 인간의 지혜와 모순되는 복음 1:18-2:5

3. 하나님의 지혜를 계시하는 성령의 사역 2:6-16

4. 미성숙하고 육욕적인 상태 3:1-4

5. 하나님의 종들의 역할 3:5-17

6. 인간의 지혜와 제한된 축복 3:18-23

7. 고린도인들과 바울의 관계 ch. 4

B. 교회의 권징 부족 chs. 5—6

1. 교회에서의 근친상간 ch. 5

2. 교회에서의 소송 6:1-11

3. 교회 안의 매춘 6:12-20

III. 바울에게 묻는 질문들 7:1—16:12

A. 결혼 및 관련 사항 ch. 7

1. 결혼했거나 이전에 결혼했던 사람들을 위한 조언 7:1-16

2. 기본원리 7:17-24

3. 처녀에 관한 조언 7:25-40

B. 우상에게 바쳐진 음식 8:1-11:1

1. 그리스도인의 행동에 있어서 지식보다 사랑이 우선시됨 ch. 8

2. 바울의 사도적 변호 ch. 9

3. 우상숭배의 죄성 10:1-22

4. 시장 음식 문제 10:23-11:1

다. 예배의 예절 11:2-16

1. 문화의 논증 11:2-6

2. 창조로부터의 논증 11:7-12

3. 타당성 논증 11:13-16

D. 주의 만찬 11:17-34

1. 남용 11:17-26

2. 교정 11:27-34

E. 영적인 은사와 영적인 사람들 chs. 12~14

1. 영 통제의 시험 12:1-3

2. 다양한 영적 은사의 필요성 12:4-31

3. 사랑의 우월성 ch. 13

4. 명료함의 필요성 14:1-25

5. 순서의 필요성 14:26-40

F. 신자들의 부활 ch. 15

엘.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15:1-11

2. 부활의 확실성 15:12-34

3. 부활의 몸 15:35-49

4. 죽음에 대한 승리의 확신 15:50-58

G. 예루살렘 신자들을 위한 헌금 16:1-12

1. 헌금을 위한 준비 16:1-4

2. 바울과 동료 사도들의 여행 계획 16:5-12

IV. 결론 16:13-24

A. 마지막 권고 16:13-18

나. 마지막 인사와 축도 16:19-24

메시지

고린도전서 1장 2절의 한 문구는 이 위대한 서신의 주제를 암시합니다. 그 표현은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입니다. 이 문구에서는 두 존재를 생각하고 있으며, 이 두 존재가 전체 서신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그곳은 하나님의 교회이면서 고린도 성이다. 하나님의 교회는 하나님의 생명을 공유하고, 하나님의 주재 뜻 아래 있으며, 하나님의 일에 협력하는 사람들의 공동체입니다. 고린도 성은 하나님의 생명에 대해 무지하고 자기 뜻대로 다스리며 하나님의 뜻에 반대되는 도시였습니다. 이 두 존재는 서로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이 서신에서 우리가 발견하는 갈등을 설명합니다. 바울이 기록한 순서대로 보면, 갈라디아서는 주로 구원론(구원)을 다루고, 데살로니가전후서는 종말론(미래의 일)을, 고린도전후서는 교회론(교회)을 다루고 있다. J. Sidlow Baxter는 로마서가 주로 교리(가르침)를 다루고, 고린도전서와 후서는 책망을, 갈라디아서는 교정을 다루고 있음을 지적했다(참조, 딤후 3:16). [20]

"로마서에는 규범이 있고 , 고린도서에는 하위 규범이 있고, 갈라디아서에는 비표준 이 있습니다." [21]

이 서신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교회는 우주적인 교회가 아니라 지역교회이다. 이 두 교회는 실제로 서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지역교회는 보편교회의 미시적 형태이고, 보편교회는 지역교회의 거시적 형태이다. 하나의 사실은 다른 것의 진실입니다. 우리가 지역 교회에서 발견하는 모든 것은 우주 교회에서 더 큰 규모로 존재합니다. 즉, 우리가 한 지방 교회에서 발견한 모든 것은 많은 지방 교회에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신약성서는 교회를 건물이 아니라 사람으로 일관되게 말하고 있습니다. 교회라는 단어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 나머지 인류로부터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에 있는 이 지역 교회 사람들을 신자라고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바로 그런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참조, 살전 5:5). 성령이 그들 안에 내주하셨기 때문에 그들은 하나님의 생명을 공유했습니다(12:13). 그들은 어느 정도 그들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에 복종했습니다. 그들은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전하도록 하나님께서 임명하신 사람들이었습니다. 우리는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에 관해 읽을 때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그들의 행실로 볼 때 그들이 믿지 않는 자들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고린도 성은 우리가 이 서신의 주요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또 다른 실체입니다. 일반적으로 고린도를 특징으로 하는 세상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1세기에 다른 사람들이 어떤 사람을 고린도인으로 묘사했을 때 그들은 그 사람의 특징이 정욕, 음탕함, 사치를 암시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고린도의 흔적이었습니다. 도시로서의 고린도는 참 하나님에 대해 무지했고, 로마 식민지로서 완전히 자치적이었고, 그 세계에서는 자기 중심적이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고린도의 믿지 않는 개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 도시는 하나님께서 교회를 부르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었습니다. 지역 문화는 항상 지역 교회에 영향을 미칩니다.

나의 아버지는 고린도전서에 관한 묵상 소책자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빛나는 빛이 뛰어난 공동체는 그림자의 어두움도 특징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2]

이 서신의 분위기는 "성"(그 지역 ​​문화)에 있는 교회의 책임에 대한 바울의 개념입니다. 사도는 이 근본적인 강조점을 1장 9절에서 분명히 표현했습니다. “너희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와 교제하도록 부르심을 입었느니라.” 친교에는 특권과 책임이 모두 포함됩니다. 한편으로, 하나님의 모든 자원은 우리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의 모든 자원도 그분의 처분에 맡겨야 합니다. 어느 곳에서나 교회는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선포할 의무가 있습니다(롬 1:14-16). 바울은 교회가 존재했던 도시에 대한 교회의 책임에 대한 근본적인 의미에서 이 편지 전체를 썼습니다.

고린도교회는 빚을 갚기 위해 애쓰고 있었습니다. 매우 중요한 몇 가지 영역, 즉 복음을 선포할 준비와 용기, 확신이 부족했습니다. 고린도교회는 육신적인 교회였습니다. 그러나 그것의 큰 문제인 그것의 육욕은 더 큰 문제의 일부일 뿐이었습니다. 더 큰 문제는 하나님께서 그 문화를 통해 주신 목적, 즉 그 도시에 강력한 영적 메시지를 선포하는 일을 수행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의 육욕을 처리하지 않으면 그들의 목적을 성취할 수 없었습니다. 육욕은 왜 잘못된 것입니까? 그것은 부분적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께서 이 지구상에 우리를 남겨두신 목적을 성취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이 편지에서 우리는 이 교회가 실패한 원인을 발견합니다. 또 다른 주요 강조점은 교회 성공의 비결이다. 한편으로 우리는 육욕의 교정을 찾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영성의 구축이 있습니다. 먼저 실패의 원인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실패의 첫 번째 원인은 도시의 정신이 바이러스처럼 교회에 침입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이 언급한 교회 안의 모든 악한 일은 고린도에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특별히 언급할 만한 세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린도 문화 영향의 징후 중 하나는 지적 자유였습니다. 이웃 도시인 아테네와 마찬가지로 고린도에도 지적 사색에 대한 관심이 많았습니다. "고린도의 말씀"이라는 문구는 바울 시대의 정교한 언어와 동의어였습니다. [23] 고린도는 인간의 지혜를 찬양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온갖 종류의 의견을 토론하고 토론했습니다. 각 지적 지도자에게는 자신의 제자 그룹이 있었습니다. 태양 아래 모든 주제에 대한 토론은 매우 다양한 의견으로 널리 퍼졌습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지성주의 정신이 교회를 침범했습니다. 그리스도인들 사이에는 인간의 지혜에 대한 존경심도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유명인으로 여겼던 기독교 지도자들을 선택했습니다(1장). 도시뿐 아니라 교회에도 지적 불안이 만연했습니다. 신자들은 철학적 논쟁에 빠져드는 일반 대중처럼 기독교 가르침을 샘플링했습니다. 이것은 부활(15장)과 같은 근본적인 교리로 확장되었습니다. 오늘날 인기 있는 토크쇼는 고린도에서 매우 인기가 많았을 것입니다.

그 도시가 교회를 침범했다는 또 다른 증거는 교회에 만연한 도덕적 방종이었습니다. 지적 방임으로 인해 도덕 표준이 낮아졌습니다. 사람들이 어떤 아이디어를 합법적이라고 볼 때 도덕적 절대성은 거의 없습니다. 도시 뒤편의 산에서 아프로디테를 숭배하는 것은 극도로 부도덕했지만, 구원받지 못한 시민들은 이 숭배를 완전히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살고 살자"가 그들의 모토였을 수도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교회의 ​​일부 고린도인들은 도덕을 같은 방식으로 보고 있었습니다(5장). 오늘날 우리도 비슷한 영에 직면해 있습니다.

도시가 교회에 미친 영향의 세 번째 특징은 개인적인 이기심이었습니다. 그 도시에서는 사람마다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했습니다. 그 결과 다른 사람과 그들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게 되었습니다. 교회에서 이러한 태도를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는 그리스도인들이 친교와 예배를 위해 모였을 때의 행동이었습니다. 그들은 음식을 서로 나누지 않았습니다(11장). 그들은 또한 연사가 해야 할 말을 마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집회에서 연사들을 방해하고 있었습니다(14장). 교화와 질서가 널리 퍼져야 할 곳에 자기 영광과 혼란이 만연했습니다.

이는 더 깊은 문제의 징후일 뿐이었습니다. 진짜 근본 문제는 교회가 자신의 독특성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사도들이 그들에게 가르쳤고 그들의 기독교의 본질을 확인시켜 주는 몇 가지 핵심 진리를 파악하고 유지하지 못했습니다. 바울은 이 서신에서 그들에게 이러한 것들을 상기시켰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메시지의 핵심 중요성을 잊어버렸습니다. 이는 논쟁의 여지가 없는 메시지였습니다. 그것은 인간의 추측이 아니라 목격자의 증언과 신성한 계시에 근거한 것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연합하고, 이에 대한 공동의 헌신을 공유하며, 이를 우리 선포의 주제로 삼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의 연합을 감사하는 동시에 그 지도자들의 다양성을 기뻐해야 합니다.

고린도인들은 또한 그리스도의 부활의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잊어버렸습니다. 예수님을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동일한 능력이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작용하여 우리가 도덕적으로 순결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십니다. 부도덕은 신자의 선택 사항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도덕적 순결이어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순수하셨기 때문에 우리도 순수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분이 순수하셨기 때문에 우리도 순수할 수 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또한 서로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명령의 중요성을 잊어버렸습니다. 이기심이 교회를 침범했습니다. 신자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성향과 선호보다 다른 사람, 동료 신자, 구원받지 못한 이웃의 복지를 먼저 생각해야 했습니다.

이 서신의 핵심 계시 중 하나는 "그 도시"의 영이 교회를 침범할 때 교회가 "도시"(즉, 문화)에서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교회는 하나님께서 자신이 독특하기를 바라신다는 사실을 망각할 때 “도시”의 영이 교회를 침범하도록 허용합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에 계시된 것보다 교회 환경의 사상과 활동을 채택할 때 실패합니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하여 바울은 독자들에게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라고 끊임없이 호소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예전의 사람들이 아닙니다. 우리는 “성도”입니다(1:2). 우리는 이를 기억하고 그에 따라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 시대의 정신을 붙잡을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 시대의 정신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교회가 그 시대의 정신을 붙잡으면 질병에 걸리고 빈혈이 생기고 허약해지고 병들게 됩니다. 우리는 영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십자가의 메시지를 우리 삶의 중심에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영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합니다. 우리는 부활의 권능을 행사함으로써 그렇게 하며, 영에 따라 행할 때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최우선으로 삼음으로써 그렇게 합니다.

나는 이미 이 서신의 두 번째 주요 계시인 교회의 성공 비결을 암시하기 시작했습니다.

교회는 자신의 “도시”에서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우리의 삶에 감사해야 합니다.

교회의 생명은 유기체의 생명이다(12장). 우리가 생명을 공유하는 주님은 한 분이십니다. 하나님의 전반적인 목적에 비추어 볼 때 능력을 분배하고, 지위를 할당하고, 결과를 결정함으로써 그것을 다스리는 한 성령이 계십니다. 교회는 고린도에서와 같이 여럿이 아닌 한 하나님을 갖고 있으며, 교회는 그의 영광을 증진하기로 결정해야 합니다. 교회가 이러한 진리를 깨닫는 만큼 교회는 하나님 보시기에 성공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주님의 영적인 삶을 공유하고, 성령의 인도에 복종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자 한다면 성공할 것입니다. "도시"의 정신에서 분리됨으로써 "도시"를 돕고 고양시킬 수 있습니다.

교회의 법은 사랑의 법이어야 합니다. 이는 이기적인 관점과 정반대입니다. 바울은 13장에서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바울이 이 교회에 사랑에 관한 고전적인 장을 쓴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고린도 교회에는 슬프게도 사랑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교회의 능력은 그리스도의 부활 생명입니다(15장). 우리는 현재 두 가지 부활, 즉 그리스도의 부활과 우리 자신의 부활 사이에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활은 문자 그대로의 현실입니다. 하나는 이미 일어났고 다른 하나는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부활 사이에 교회는 세상에서 그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믿는 자에게 주신 생명은 사망을 이기는 권세를 가진 생명입니다. 죽음을 이기신 분이 우리에게 죽음을 주셨습니다. 이 생명은 불신자들이 소유한 생명과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그것은 영원하고 신성한 생명입니다. 그러한 삶을 살면 우리는 하나님을 섬기면서 어떤 적과도 맞설 수 있습니다. 마지막 원수인 죽음도 우리를 붙잡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그분을 붙잡을 수 없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 교회로서의 우리 삶의 독특함을 감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성”을 침공함으로써 우리의 기능도 다해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를 침략하도록 허용하기보다는 성공하기 위해 우리는 그것을 "침략"해야 합니다. 우리는 “예수님은 주님이시다”라고 선포함으로써 이를 수행합니다. 그분은 유일한 주님이십니다. 이것의 증거는 그분의 부활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누구를 홍보합니까? 기독교 유명인사입니까, 아니면 구세주입니까?

우리는 또한 “도시”의 부도덕함을 질책함으로써, 그것을 비난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우리 자신의 삶에서 그것을 극복함으로써 우리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우리는 성령의 능력을 받아 도덕적으로 순수한 삶을 살아감으로써 우리 안에 있는 그리스도의 생명의 능력을 나타냄으로써 이를 수행합니다.

셋째, 우리는 진정한 기독교 사랑을 실천함으로써 우리 문화의 이기주의에 대응함으로써 우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우리 자신을 최우선에 두기보다는 하나님의 영광과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회가 교회가 살고 있는 세상인 “도시”의 격률, 방법, 방식을 따르게 되면 교회는 항상 실패하게 됩니다. 도시는 "도시"와 분리되어 초자연적인 치유 생명으로 접촉할 때 항상 성공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항상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고립시키거나 세상과 타협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세상 속에서도 구별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예수께서는 지상 봉사 기간 동안 이 일을 행하신 훌륭한 모범이 되셨습니다.

이 서신은 모든 시대의 교회가 그 “도시”에 대한 책임을 인식할 것을 요구합니다. 교회는 그 “도시”의 지적, 도덕적, 사회적 조건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많은 교회는 단지 회원들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살았던 환경과 매우 유사한 문화적 환경에 살고 있습니다. 지적 다원주의, 상황윤리, 개인적 이기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이다. 우리는 고린도의 신자들이 겪었던 것과 동일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서신이 밝히는 내용은 우리에게 매우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도시"의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며, 누구를 영광스럽게 하는지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부활의 능력으로 전달된 십자가의 메시지입니다.

이 편지는 또한 이별을 촉구하는 편지이기도 합니다.

첫째, 우리는 절대적인 지적 자유에서 벗어나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해 우리에게 주신 계시에 우리의 이해와 생각을 기꺼이 복종해야 합니다(1~4장). 모든 종교가 하나님께로 인도한다는 믿음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누군가가 무엇을 믿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을 점점 더 많이 듣게 됩니다. 결국 우리는 모두 같은 자리에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죄로 인해 절망적으로 멸망하고 죽은 사람들을 위해 하나님께서 제공하신 유일한 구원의 길에 대한 계시로 그러한 견해에 맞서야 합니다. 베드로는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얻을 수 없느니라”(행 4:12)고 설교했습니다. 예수님은 “내가 곧 길이다”(요한복음 14:6)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바울은 “중보자는 한 분이시니”(딤전 2:5)라고 썼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또한 도덕적 해이함에서 벗어나도록 우리를 부르셨습니다. 오늘날 우리 문화는 개인의 도덕성과 결혼의 도덕성을 경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분야에서 하느님의 표준을 선포해야 합니다. 비록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해 강한 반대에 직면할지라도 말입니다. 바울은 5-7장에서 이러한 표준을 제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이기적인 생활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우리는 자신을 영화롭게 하기 위해 고안된 목표와 계획을 깨뜨려야 합니다. 대신 우리는 13장의 기준에 따라 우리의 모든 활동을 평가해야 합니다.

적용을 통해 우리는 이 서신의 강조점에 대한 관찰로부터 몇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첫째, 교회의 영향력은 교인 개개인의 영향력이다. 구성원 개개인의 영향력의 합이 바로 교회의 영향력이다. 그러므로 교회에 적용되는 모든 사실은 일반적으로 교회를 믿는 개인에게도 어느 정도 적용됩니다.

둘째, 교회와 “도시” 사이에는 끊임없는 갈등이 있어야 합니다. 갈등이 없다면 교회는 적절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 도시"가 교회를 침범했을 수도 있습니다.

셋째, 교회의 메시지는 언제나 십자가와 부활의 메시지여야 합니다. 이것은 실패와 성공, 실패를 통한 성공의 메시지입니다. 이것이 바로 “도시”가 들어야 할 희망의 메시지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수고가 주 안에서 헛되지 않음을 알고 “견고하고 흔들리지 않으며 항상 주의 일에 더욱 힘쓰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15:58). [24]

박람회

I. 소개 1:1-9

바울은 편지를 시작하면서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인사를 전하고 그들에 대해 하느님께 감사를 표현했습니다. 이 긍정적이고 칭찬하는 서문은 이어지는 서신의 일반적으로 비판적인 정신과 대조를 이룹니다. 바울은 그의 전형적인 관행과 마찬가지로 독자들의 좋은 특성에 대한 칭찬과 찬사로 시작했습니다. 그는 고린도에서 18개월 동안 살았기 때문에 이 회중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가 이 처음 아홉 구절에서 “예수 그리스도”(또는 “그리스도 예수” 또는 “주 예수 그리스도” 또는 “그리스도” 또는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를 아홉 번 언급했다는 사실은 주 예수께서 차지하신 중심 위치를 보여줍니다. 이어지는 사도의 생각과 글에서.

A. 인사 1:1-3

사도 바울은 다른 서신과 마찬가지로 자신과 독자들에게 알려진 동료 일꾼의 이름을 밝히면서 이 서신을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편지 수신자를 식별하고 설명하고 축도로 인사했습니다. 이것은 바울의 서신에 있는 주소를 가장 광범위하게 기술한 것입니다.

1:1 바울이 자신을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로 부르신” 사람으로 묘사한 것은 원래의 독자들에게 그의 특권과 권위를 상기시켜 주었다(참조, 롬 1:1). 권위에 대한 개념은 “하나님의 뜻”에 대한 언급으로 인해 더욱 강력해졌습니다(참조, 고후 1:1; 엡 1:1; 골 1:1; 딤후 1:1).

소스데네는 고린도 회당장이었던 소스데네와 동일할 수도 있지만(행 18:17) 다른 사람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25] 바울이 이 서신을 기록할 때 그는 에베소에서 바울과 함께 있었습니다. 누가는 사도행전에 그의 개종을 기록하지 않았지만, 소스데네는 이 사람이 바로 그 사람이라고 가정하여 확실히 신자가 되었습니다. 아마도 그도 같은 사람이었을 것이며, 고린도인들이 그를 잘 알았기 때문에 바울이 그를 언급한 것 같습니다. 소스데네는 아마도 이 서신의 공동 필자나 서기(문학 보조자)가 아니라 바울과 함께 이 서신을 고린도에 보낸 바울의 동료였을 것입니다. [26]

1:2 바울은 특정 지방에 있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그 곳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라고 자주 언급했다(참조, 11:16). 그러나 당파심이 문제였던 고린도 교회에 있어서 이 상기는 교회의 참된 주님(“그들의 주님과 우리의 주님”)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것은 고린도에 추종자들이 있었던 게바(베드로)나 아볼로나 심지어 바울의 교회도 아니었습니다. 당시 고린도에는 하나 이상의 가정교회가 있었을 수도 있고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 [27]

하나님은 고린도인들을 죄에서 구별하셨으나(다른 죄인에게서는 구별하지 아니하시고) 그의 아들을 믿는 믿음을 통해 그들을 그와 연합시켜 그의 거룩한 백성이 되게 하셨다(참조, 요 17:17). 거룩하게 됨(구별됨)은 여기서 회심에 대한 은유적 표현일 수 있다(참조, 30 절; 6:11). 그들은 하나님의 부르심 ( 즉, 위치적 성화; 참조, 롬 1:7; 고후 1:1; 엡 1:1; 빌 1:1; 골 1: 2).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개념은 바울의 신학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퍼져 있는 개념일 것입니다. [28]

“모든 인류는 '성인'과 '악인'으로 나누어집니다. 당신이 그리스도 안에 '없다'면 당신은 '없는' 것입니다. 당신이 그리스도 안에 있다면 당신은 '성도'입니다." [29]

이 서신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고린도인들은 그들의 행위(즉, 점진적인 실제적인 성화)에 있어 성스러운 태도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바울은 그들이 더욱 성스럽게 행동하도록 영감을 주기 위해 그들의 성스러운 소명을 언급했을 것입니다. 그들은 죄를 짓고 있는 성도들이었습니다. [30]

"성경적 성화는 네 가지로 구성됩니다: (1) 일차적인, 조직신학의 '유효한 은혜'와 동일합니다(참조, 살후 2:13; 벧전 1:2); (2) 위치적, 거룩함 안에서의 완전한 입장, 회심하는 순간부터 모든 신자(참조, 행 20:32; 26:18), (3) 점진적인(또는 실제적인), 은혜 안에서 매일 성장하는 것과 동일함(참조, 요 17:17; 엡 5:26; 고후 (4) 위치적으로나 실제적으로 그리스도와 장래적으로 또는 궁극적으로 유사함(참조, 살전 5:23) 여기에서 완전 분사의 사용은 위치상의 성화를 가리킨다. [31]

"바울은 기독교 윤리를 '자신이 되는 것'이라는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이 관점은 고린도전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32]

"아마도 기독교 신앙에 대한 우리 서신의 가장 큰 신학적 기여는 교회의 본질, 특히 교회의 지역적 표현에 대한 바울의 이해일 것입니다. 복음 자체가 고린도인들의 신학과 행동에 관련이 있다면, 복음의 가시적인 측면도 마찬가지입니다. 구속받은 사람들의 지역 공동체에서의 표현. 최종 결과는 바울의 어떤 서신보다 이곳 교회에 대한 더 많은 가르침입니다." [33]

"각처에 있는" 성도들은 아마도 다른 지역의 교회에 있는 성도들일 것이며, 그들 중 일부는 바울 이외의 그리스도인들의 증거를 통해 구주께 나아온 사람들일 것입니다. 이것은 그들이 고린도 근처에 살았던 바울의 개종자들이었다는 것보다 더 그럴듯해 보인다(참조, 고후 1:1; 롬 16:1). 이것은 "모든 곳", "모든 곳"(NIV)의 관점에서 그리고 이 구절이 어떻게 끝나는지에 비추어 볼 때 그럴 듯해 보입니다. [34] 바울은 분명히 독자들이 그들이 큰 신자 집단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기억하기를 원했습니다(참조, 12:12). 그들만이 유일한 교회는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반역적인 회중이 되기보다는 조화롭게 하나님의 가족에 속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른다”는 것은 그분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고, 그분을 경배하고, 그분께 기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참조, 롬 10:13-14).

1:3 이 인사는 기독교적인 특징을 지닌다(참조, 롬 1:7; 고후 1:2; 갈 1:3). 이는 바울의 신학적 관점 전체를 요약한다.

B. 추수감사절 1:4-9

바울은 자신의 서신에서 늘 그랬던 것처럼 원래 독자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인사를 했습니다. 이 경우에 그의 감사의 초점은 고린도인들에게 그토록 큰 영적 은사(참조, 엡 1:3-14)를 주신 하나님의 은혜(과분한 은혜와 능력 있는 도움)에 있었다. 고린도교회는 영성은 약했지만 은사는 강했습니다. 신자들은 성령의 축복을 받았지만 성령을 따라 행하지 않았습니다(참조, 갈 5:16).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학대로 인해 슬픔을 안겨주고 있는 교회 안의 바로 그 일들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하는 사도의 능력입니다." [35]

1:4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 고린도 성도들에게 은혜를 부어주신 것을 감사했습니다. 바울은 대개 주를 예수 그리스도라기보다는 그리스도 예수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그분의 인성보다는 메시야로서의 그분의 신성한 성품을 강조했으며, 독자들이 그분을 그들의 주로 복종하도록 격려했습니다.

1:5 “말하다” 또는 “말하다”(NIV; 헬. 로고스 , 문자적인 단어)로 사도는 웅변, 즉 자신의 지식(헬. 그노시스 )을 유창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했다 .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지식과 웅변은 고린도인들이 매우 높이 평가한 두 가지 요소였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이 편지와 고린도후서에서 사용된 것으로 볼 때 고린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로고스는 바울의 다른 서신서에서는 58번 나오는데 비해 고린도전서와 후서에는 26번 나옵니다. 그리고 그노시스는 이 두 서신서에서는 16번 나오지만 바울의 다른 모든 글에서는 단지 7번만 나타납니다. 바울은 이 은사들을 다른 은사들 가운데서 적절한 위치에 두어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큰 선물이었고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것을 고린도인들에게 주신 것에 감사했습니다.

1:6 고린도인들이 이 은사를 받은 것은 복음의 진실성을 뒷받침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은사를 주시는 것은 초기 교회 역사에서 하나님께서 복음 메시지를 확증(“확증”)하신 방법 중 하나였습니다(참조, 갈 3:2-5; 히 2:3-4).

1:7 하나님께서는 고린도 사람들에게 영적인 은사를 크게 부어 주셨습니다. 바울은 독자들의 은사(“너희에게 모든 은사가 부족함이 없느니라”)를 칭찬했지만 그들의 행동을 칭찬하지는 않았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고대 연설가들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모두에 대해 청중을 칭찬했습니다. [36] 그러나 바울은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성도들에게 나타나시는 일(“계시”)은 휴거 때에 일어날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가장 큰 선물이 될 것입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그분의 재림을 간절히 기다렸습니다. 휴거에 대한 이 언급은 사도들이 주님의 임박한(즉, 어느 순간) 재림을 가르쳤다는 많은 암시 중 하나이다(참조, 4:5; 15:51-52; 16:22; 빌 3: 20, 4:5, 살전 1:10, 살후 1:10-12, 디도서 2:13, 야고보서 5:7-9, 요한일서 2:28, 계 3:11, 22:7, 12, 17, 20). [37]

“주의 재림과 관련하여 세 가지 단어가 두드러지게 사용됩니다: (1) 파루시아( Parousia ), 또한 바울이 스데바나(고전 16:17)와 디도(고후 7:6, 7)의 출현에 대해 사용함 , 그리고 자신이 빌립보에 온 일(빌 1:26) 이 단어는 개인적인 임재를 의미하며 , 그 사건이 그리스도인의 축복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주님의 재림에 사용됩니다(고전 15:23; 삼전 1:1). 4:14-17) 불법의 사람을 멸망시키려 함이니라(살후 2:8) (2) 여기서 사용된 묵시록(Apokalupsis )은 계시, 계시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단어는 주님의 재림의 가시성을 강조한다. 이 단어는 주님(살후 1:7; 베드로전서 1:7, 13; 4:13), 주님의 재림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아들들(롬 8:19), 사람에게 사용되었다. 죄에 대한 것(살후 2:3, 6, 8)이며 항상 지각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3) 에피 파네이아( epiphaneia) 는 다른 번역본에서는 '밝음'(살후 2:8) 또는 '나타남'으로 번역됩니다 . 나타남 , 그리고 두 강림(초림, 딤후 1:10; 재림, 살후 2:8; 딤전 6:14; 딤후 4:1, 8; 티. 2:13)." [38]

1:8 하나님의 붙드시는 능력으로 그리스도인들은 그 날에 그분 앞에 죄 없이(“흠 없이”) 설 것입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은 분명히 휴거이다(참조, 빌 1:6; 골 3:4; 살전 3:13; 5:23; 등). 그것은 구약과 신약의 작가들이 환난에서 시작하여 천년왕국까지 이어지는 기간을 언급하는 데 사용한 용어인 주님 의 날이 아닙니다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7절)과 동일시되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이라는 표현은 휴거와 함께 시작되는 교회의 축복의 기간입니다. '주 예수의 날'(고전 5:5, 고후 1:14), '예수 그리스도의 날'(빌 1:6), '그리스도의 날'(빌 1:1) 10; 2:16) (살후 2:2 의 '그리스도의 날'은 '주의 날'로 번역되어야 한다.) 신약의 여섯 구절 모두에서 '그리스도의 날'은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휴거 때 교회의 보상과 축복에 대한 것이며 '주의 날'이라는 표현과 대조된다(참조, 사 2:12, 마가.; 요엘 1:15, 주; 계 19:19 ,  ) ), 이는 믿지 아니하는 유대인과 이방인에 대한 심판과 천년왕국 성도들에 대한 축복과 관련이 있느니라(스바냐 3:8-20).” [39]

책망할 것이 없다고 번역된 헬라어 단어( 아네클레토스 )는 책망할 것이 없거나 비난할 것이 없다는 뜻이다(참조, 골 1:22; 딤전 3:10; 딛 1:6-7). 이것은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신자들 사이에 완전한 평등이 있을 것임을 의미하지 않는다(참조, 3:10-15; 고후 5:10). 더욱이 이는 일단 하나님께서 사람을 거듭나게 하시면 그 사람이 다시는 죄를 짓지 않는다는 뜻이 아닙니다(참조, 요한일서 1:6-10). 이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죄 없고 흠잡을 데 없이 주님 앞에 서게 된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우리 죄의 죄책을 구주께 전가하시고 그 죄를 담당하셨기 때문입니다(참조, 롬 5:1; 8:1).

1:9 독자들이 언젠가 주님 앞에 죄 없이 서게 될 것이라는 바울의 확신은 끝까지 신실하게 견디는 고린도인들의 능력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들을 보존하시겠다는 하나님의 능력과 약속에 달려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그분의 아들과 교제하도록 부르시는 선한 일을 시작하셨고, 그분은 그 일을 완수하시기 위해 신실하실 것입니다(참조, 빌 1:6; 요일 1:1-4).

친교는 정도의 문제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지인 집단에 속한 다양한 사람들과 어느 정도 교제를 즐깁니다. 고린도인들의 그리스도와의 교제는 그들이 그분을 그들의 구주로 믿었을 때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서신에서 바울의 주요 관심사는 그들이 그 교제를 제한하는 것들을 다룰 때 그리스도와 더 깊고, 더 친밀하고, 더 만족스러운 교제를 누리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이 언급한 고린도 교회의 ​​모든 문제와 그 필요가 이 교통을 방해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를 신뢰하고 순종하는 만큼 그리스도와 어느 정도 교제를 갖습니다(참조, 요한일서 1:3).

G. Campbell Morgan은 1:9과 15:58이 이 서신의 "경계"라고 썼습니다. 1장 9절은 바울의 근본적인 확언을 담고 있으며, 15장 58절은 그의 결론적 권고이다. [40]

“… 감사의 모든 행위의 주체는 하나님이십니다. 그리고 모든 경우에 그 일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에 의해 중개되거나 초점이 맞춰집니다. 그러므로 문안에서 시작된 기독론적 강조는 이 서문 감사에서 훨씬 더 강조되는 방식으로 전달됩니다.하나님께서 행하셨고 행하실 모든 것은 고린도인들을 위해 명백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졌습니다. … 여기서 그의 관심은 그들의 초점을 자기 자신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에게로, 지나치게 실현된 종말론에서 아직 미래에 있을 영광에 대한 건전한 인식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41]

과도하게 실현된 종말론은 관련 미래 현실을 배제하고 현재 현실을 강조하는 미래에 대한 이해입니다. 예를 들어, 부활에 대해 지나치게 인식된 견해는 신자의 미래의 육체적 부활을 배제한 채 신자의 현재 영적으로 부활한 상태만 강조합니다.

이 구절들(4-9절)에서 이것을 표현한 것처럼 하나님에 대한 사도의 확신은 그로 하여금 고린도 교회의 ​​문제들을 낙관적이고 현실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은 고린도 교인들의 편이셨습니다. 이제 그들은 그분을 향해 올바른 방향을 잡아야 했습니다.

II. 바울에게 보고된 상황 1:10-6:20

서신의 따뜻한 서문(1:1-9)을 통해 바울은 연합에 대해 강력하게 권고했습니다. 이 권고에서 그는 자신의 귀에 들어온 고린도 교회의 ​​심각한 문제에 대한 보고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표현했습니다.

“바울은 주로 순차적으로 [점점] 방식으로 행동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고린도전서의 강렬한 신학적 성격 을 놓치기 쉽습니다 . 여기에서 바울의 복음 이해와 복음의 윤리적 요구, 즉 그의 신학이 있습니다. 완전 운동하고 있어요 [42]

"… 고린도전서의 중심 쟁점은 '구원을 받는 사람들의 행동에 나타나는 그리스도 안의 구원'입니다. 이것이 바로 고린도인들의 잘못된 영성이 파괴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린도전서에서 세 가지 현상을 고려해야 합니다. (1) 행동 문제(=윤리적 관심)가 지배적입니다.... (2) 바울이 분명히 행동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더 큰 관심은 그들의 행동 변화를 허용하거나 촉진한 신학적 왜곡에 있습니다. (3) 두 가지 경우(11:2-16; 12-14장)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올바른 행동에 대한 바울의 기본 신학적 호소는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대신하여." [43]

그러므로 이 서신은 교리로 시작하여 실천으로 끝나는 바울의 다른 서신들과 다르지 않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다르지 않습니다. 실제적인 문제(교회의 분열)를 다루면서 바울은 교리를 가르쳤습니다.

A. 교회 안의 분열 1:10-4:21

바울이 언급한 첫 번째 주요 문제는 이 교회를 분열시키는 분열이었습니다.

"... 이 첫 번째 문제는 편지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그들의 '다툼'이 교회의 가장 심각한 오류였기 때문이 아니라, 이 특별한 싸움의 본질이 그들의 거짓 신학을 근본 원인으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십자가를 넘어서는, 혹은 십자가를 배제하는 거짓된 승리주의를 위한 십자가의." [44]

승리주의는 기독교인들이 박해와 고통, 인간의 한계를 배제하고 죄와 그 결과에 대해 승리하고 있다는 믿음입니다. 때때로, 고린도에서는 종말론(마지막 때)에 실제로 우리 앞에 놓여 있는 특정 구원의 축복에 이미 들어섰다는 과도하게 인식된 종말론의 증거가 있었습니다. "번영신학"은 승리주의의 대중적인 형태 중 하나이다. 번영신학은 그리스도인들이 고난, 질병, 아픔을 경험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는 가르침이다.

"복음주의 네 서신(즉,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중에서 이 서신은 사회적으로 적용되는 십자가의 서신 이다 ." [45]

1. 문제의 발현 1:10-17

이 심각한 문제의 표면적 발현은 이 교회에 발전된 당파정신이었습니다. 교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지도자를 너무 높이 평가하고, 다른 지도자를 충분히 높이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참으로 자기 높임의 표현이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지혜롭다고 자랑하려고 지혜의 스승들을 자랑했습니다.

1:10 바울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독자들에게 권면하면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최고의 권위로 삼았습니다. 이것은 서신의 처음 열 구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열 번째 언급입니다. 분명히 바울은 청중의 관심을 유일하게 으뜸가시기에 합당하신 그리스도께 집중시키고 있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그가 그들에게 말하려고 하는 것을 주님께로부터 나온 것으로 여겨야 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의 불법적인 행동의 진정한 근원은 나쁜 신학, 즉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그분의 길에 대한 오해라는 사실이 처음부터 분명합니다. 특히 1:10-2:16에서 바울이 십자가에 못 박히는 언어를 사용한 것을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46]

나쁜 신학은 대개 나쁜 행동 뒤에 있습니다. 이미 이 회중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지만 아직 교회 분열이라는 의미의 분열은 없었습니다. 바울은 원래의 독자들에게 생각을 하나로 묶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완전하게 하다”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 katartizo는 마가복음 1장 19절에서 그물을 수선하는 것을 묘사합니다. 바울은 그들이 생각에 있어서 함께 모이고, 사물에 대해 같은 견해를 갖고, 같은 생각을 갖고(참조, 빌 2:2), 그들이 해야 할 일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 합의를 경험하기를 원했습니다.

"...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갈라지는 것보다 더 지켜지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종교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우리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47]

"종말론적 구원 에 영향을 미치는 복음은 또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이것이 이 편지의 내용이자 모든 명령 뒤에 있는 신학적 전제입니다. 그러므로 묵시론적-우주론적 언어도 발견되지만 구원은 주로 윤리-도덕적 언어로 표현됩니다. [48]

1:11 오늘날 클로이가 누구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에게는 분명히 고린도로 여행했다가 고린도 교회의 ​​상황에 대한 보고를 가지고 에베소로 돌아온 종들이 포함된 가정이나 사업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들은 결국 이 소식을 Paul에게 전했습니다. 다툼과 다툼이 결코 교회의 특징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참조, 갈 5:20).

"내가 패서디나에서 목사였을 때 우리는 아기들을 위한 수유실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을 '바울룸'이라고 불렀습니다. 어떤 교회에서는 아기 그리스도인들이 울부짖기 때문에 교회 전체가 바울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49]

1:12 고린도인들은 하나님의 종들 중 일부를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의 개인적 자질이나 그들이 나누어준 축복에 근거하여 더 높이 평가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을 지나치게 지나쳤습니다.

바울이 교회를 개척하고 18개월 동안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며 고린도에서 사역했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이 바울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당연했습니다. 아볼로는 그곳에서 바울을 따라갔으며 믿지 않는 유대인들을 논박하고 예수가 메시아임을 나타내는 데 특히 효과적이었습니다. 그는 재능 있는 변증가(신앙의 옹호자)이자 연설가였습니다(행 18:24-28).

베드로가 고린도를 방문했다는 경전 기록은 없습니다. 게바는 바위를 의미하는 아람어 케파( kepa) 의 헬라어형이다 (참조, 요 1:42). 베드로는 유대인의 인도적인 사도였기 때문에 많은 초기 기독교인, 특히 유대인 신자들이 그를 존경했을 것이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부는 그의 개종자였을 수도 있습니다. [50] 네 번째 그룹은 분명히 어떤 인간 지도자에게도 충성을 맹세하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께만 충성을 다한다고 자랑했습니다. 아마도 그들은 유대에서 예수와 개인적인 접촉을 가졌을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을 교회의 가장 영적인 요소로 여겼던 것 같습니다. 그들은 자신들만의 영적 엘리트주의 브랜드를 고안해냈습니다. 이로 인해 그들은 실제로는 더 나을 것이 없었지만 다른 세력보다 우월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리스도당의 잘못은 스스로를 정당으로만 허용하여 당 논쟁에 끌어들인다는 사실입니다." [51]

1:13 이 마지막 그룹은 교회 내 당파의 이름으로 "그리스도"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그분을 교회의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나누어" 교회의 일부에서만 총애를 받으셨다는 것은 바울에게는 생각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다음으로 바울은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연설했습니다. 그를 그리스도보다 높이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그리스도께서는 가장 중요한 일을 하셨습니다. 그분은 그들 모두를 위해 십자가에 못 박히셨습니다. 바울의 사고에서 십자가의 핵심 중요성에 주목하십시오. 바울의 추종자들은 바울과 하나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기 위해 물세례를 받았습니다. 이 언급은 바울이 물침례를 얼마나 높이 평가했는지 보여줍니다. 신자가 자신의 구주와 공개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은 하나님께서 명시하신 방법입니다(마 28:19; 참조 행 8:16; 19:5; 롬 6:3; 갈 3:27). 그것은 의식에 이름이 붙은 분에게 충성을 바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표현(참조, 행 10:48, 19:5…)에서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 형식(마 28:19에 명하신 대로)이 생략되었다고 추론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습니다. 예수의 이름만 발음됩니다.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 것은 형식의 특징적인 요소를 유지하면서 기독교 세례를 의미하는 간략한 표현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52]

1:14 그리스보는 바울이 고린도에 처음 왔을 때 설교하던 회당장이었습니다(행 18:8). 가이오는 티티우스 유스도(Titius Justus)와 같은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이 사람은 회당 옆집에 살던 이방인 개종자였는데, 그리스도인들이 더 이상 회당에서 모일 수 없게 되자 자신의 집을 교회에 개방했습니다(행 18:7; 롬 16:23).

"Gaius Titius Justus는 완전한 로마 이름( praenomen , nomen gentile , cognomen )이 될 것입니다." [53]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물침례가 구원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합니다. 만일 그렇다면 바울이 고린도에 있는 두 명의 새로운 신자에게 개인적으로 세례를 줌으로써 그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당연해 보일 것입니다(참조, 요 4:2).

1:15 바울은 자신이 개종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지 않았습니다. 이는 그들이 누구의 제자인지에 대해 의문이 생기지 않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그가 사역에서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는 한 가지 방법이었습니다. 바울은 세례가 중요하다고 믿었지만, 각 세례는 그 자신이든 다른 신자가 베푸든 똑같이 유효했습니다. 이 점에 있어서 그는 다른 신자들보다 우월하지 않았습니다.

1:16 스데바나의 집안 식구들은 로마 아가야 지방에서 처음으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이었습니다(16:15). 바울이 개인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침례를 주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점수를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그가 이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었다는 사실을 일시적으로 잊어버렸기 때문에 이것은 분명하다(참조, 14 절). 그가 계속해서 기록하는 동안 주님은 그것들을 마음에 떠올렸습니다.

“바울은 세례를 그리스도 안에 있는 새 생명의 그림으로 생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세례에 대해 성찰하지 않았습니다(롬 6:2-6). 그러나 여기서 그는 세례가 죄 사함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부인합니다. 죄를 짓거나 용서를 얻는 수단입니다." [54]

1:17 세례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수행해야 할 지상 명령의 일부입니다(마 28:19). 바울의 요점은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세례를 주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강조를 위해 비유적인 표현인 litotes를 사용했습니다. 문학에서 작가는 긍정적인 대안을 강조하기 위해 부정적인 진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작지 않은 폭풍”(행 27:20)은 매우 큰 폭풍을 의미합니다. 구원을 위해 세례가 필요하다면 바울은 자신이 한 일을 거의 말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가 여기서 하는 일은 단지 그의 소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지적하는 것뿐입니다." [55]

"말의 영리함"과 "인간 지혜의 말씀"(NIV)은 그리스인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것은 1장 17절부터 3장 23절까지에서 지혜(그리스어 소피아 , 여기에서는 영리함으로 번역됨)에 대한 16가지 언급 중 첫 번째인데, 이는 서신의 이 부분에서 바울이 강조한 점을 나타냅니다.

"그리스인들은 좋은 말에 도취되어 있었고, 무뚝뚝한 메시지를 전하는 기독교 설교자는 조잡하고 교양 없는 인물로 보였고, 듣고 존경받기는커녕 오히려 비웃음을 당하고 조롱당했습니다." [56]

바울, 아볼로, 베드로(게바), 그리스도의 특징 중 하나는 고린도 교회의 ​​다양한 부분에 매력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아마도 그들의 개인적인 연설 스타일이었을 것입니다. 나중에 바울은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육신의 눈, 즉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과 같은 방식으로 사물을 보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3:1-4). 바울은 자신의 설교 방법을 강조하거나 신뢰하지 않고 오히려 십자가의 도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복음 메시지에서 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자신의 스타일로 관심을 끌고 싶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자신을 연설가가 아닌 설교자로 표현합니다. 설교는 십자가를 선포하는 것입니다. 십자가는 그 능력의 원천입니다." [57]

"복음의 호소력은 인간의 지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그의 죄책감에 있습니다. 말의 지혜로 옷을 입은 십자가는 이 호소력을 손상시킵니다. 복음은 결코 인간 철학 체계로 제시되어서는 안 됩니다. 구원." [58]

“그러나 우리 시대에 어떤 사람이 아주 화려한 말을 하고, 복음의 가르침을 그의 웅변으로 빛나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런 이유로 그가 복음을 망쳤다거나 그리스도의 영광을 가린 것처럼 거절해야 하겠습니까? 내가 먼저 대답하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웅변은 복음에 대한 경멸 없이 복음을 첫째 자리에 놓고 복종할 뿐만 아니라 여종이 여주인을 섬기듯이 복음의 단순성과 전혀 충돌하지 않습니다. " [59]

이 구절은 바울이 하나님의 지혜와 인간의 지혜를 대조한 서신의 다음 부분으로의 전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바울은 자신의 서신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로마서에서와 마찬가지로(참조, i. 16ff.) 복음에 대한 언급은 그의 생각과 언어를 움직이게 합니다." [60]

고린도인들의 당파 정신의 핵심은 불신자들, 특히 기독교 설교자들과 교사들처럼 그들의 견해에 있었습니다. 그들은 사역에 관련된 중요한 문제를 보지 못하고, 그 대신 외적이고 피상적인 문제에만 너무 많은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이것은 심각한 상태였기 때문에 바울은 그것을 다루기 위해 다음 부분에 많은 말을 썼습니다(1:18-4:21). 이것은 각자의 문화에서 유명인에 대한 관심에 너무 영향을 받아온 전 세계의 많은 기독교인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문제입니다.

2. 인간의 지혜와 모순되는 복음 1:18-2:5

바울은 17절에서 영리한 말(인상적인 웅변)과 십자가 사이의 대조를 설정했습니다. 다음으로 그는 일련의 논증을 통해 이 대조를 발전시켰습니다. 사람을 자랑하는 것은 복음의 본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바울은 복음이 소피아 (인간의 지혜) 의 형태가 아님을 지적했습니다 . 십자가에 못박힌 메시아에 관한 메시지는 인간의 지혜에 호소하지 않습니다(1:18-25). 둘째, 그것을 받는 사람들은 인류의 눈으로 볼 때 별로 지혜롭지 않습니다(1:26-31). 셋째, 바울의 설교는 인간적인 지혜에서는 인상적이지 않았지만 강력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2:1-5).

"고린도전서에는 특별히 중요한 세 가지 설명 구절이 있습니다. 이 구절들은 이 편지의 주요 신학 담론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있습니다. 이 세 핵심 담론은 각각 십자가의 지혜를 다루고 있습니다(1:18-2). 16), 기독교 공동체의 성격(12:4-13:13), 죽은 자의 부활(15장) 각 경우에 이 주제에 대한 바울의 성찰은 의도적이고 집중적이며, 그가 다음과 같은 주제를 발전시키도록 이끈다. 다소 확장되고 일관성 있는 논증. 더욱이 이 구절들 각각은 편지의 전체 구조 내에서 중요한 지점에 나타난다. 편지의 시작 부분에 두드러지게 자리잡은 지혜에 관한 담론은 일치를 위한 사도의 긴급한 호소를 뒷받침한다. :10-4:21) 기독교 공동체에 관한 담론은 8장부터 14장까지의 모든 권고와 지시를 직간접적으로 뒷받침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죽은 자의 부활은 없느니라'(15:12)는 말이 편지 끝부분에 눈에 띄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61]

“[첫 번째] 담론(즉, 1:18-2:5)의 이 부분에서 논증은 세 단계로 진행된다: 바울은 1:18-25에서 요점을 제시하고 1:26-31에서 그것을 확증한다. 고린도인들 자신의 상황에 호소하고, 그리고 나서 그가 고린도에서 무엇을 어떻게 전파했는지에 관하여 2:1-5에서 그것을 더욱 확증합니다. 그리고 1:23-24)." [62]

고린도인들에게는 지혜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였던 박식한 웅변의 피상적인 표현이 그들에게 너무나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지혜, 곧 그리스도의 복음에는 세상의 지혜에는 없는 능력이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십자가에 못박힌 메시아의 어리석음 1:18-25

"이 문단은 현재의 논증(1:10-4:21)뿐만 아니라 서신 전체에도 중요합니다. 실제로 이것은 사도 바울의 참으로 위대한 순간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서 그는 구약의 지지를 받아 논증합니다. , 하나님께서 항상 의도하셨고 선지자들을 통해 예언하신 일을 이제 십자가를 통해 성취하셨습니다. 인간의 지혜와 계략을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하나님은 인간의 자급자족을 끝내셨습니다." [63]

1:18 십자가의 도(말씀, 로고스 )는 인간 지혜의 말씀( 로고스 )(17절)과 대조하여 십자가를 중심 주제로 한다. [64] 사람들이 이 말을 들으면 지옥 가는 사람과 천국 가는 사람에게 서로 반대되는 결과를 낳습니다. 바울은 어리석음과 약함을 지혜와 능력과 대조하였다(참조, 롬 1:16).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버섯구름 모양이 새겨진 귀걸이를 한 여성이 착용하고 출근한다면 어떻게 생각하시겠습니까? 아우슈비츠 집단 묘지 프레스코화로 장식된 교회 건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겠습니까? … 동일한 종류의 충격적인 공포가 1세기의 십자가  십자가 처형 과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 [65]

1:19 바울이 이사야 29장 14절을 인용한 것은("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리라...") 단지 인간 지혜의 어리석음을 폭로하는 것이 항상 하나님의 방법이었음을 보여줍니다.

1:20 이 절에 나오는 처음 세 가지 질문(“지혜로운 자가 어디 있느냐 … 서기관이 어디 있느냐? … 이 시대에 변론가가 어디 있느냐?”)은 예루살렘을 멸망시키려는 앗수르의 계획이 실패했을 때 이사야가 했던 비슷한 질문을 회상한다(사 13:2). 33:18; 참조 욥 12:17; 사 19:12). 이 시대(그리스어 아이온 )와 세상( 코스모스 )에 대한 바울의 언급은 여기서 그가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지혜와 대조되는 순전히 자연적인 지혜에 대해 말하고 있음을 분명히 합니다. 하나님의 지혜는 십자가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1세기 고린도에서는 '지혜'가 (잠언에서 자주 나타나는 것처럼) 여호와를 경외하는 가운데 살아가는 실용적인 기술로 이해되지 않았으며, 직관, 통찰력, 사람의 총명함의 조합으로 인식되지도 않았습니다. (오늘날 서구에서 흔히 그렇듯이) 오히려 지혜는 삶을 이해하고 그것을 채택하는 사람들의 선택, 가치, 우선순위를 정하는 공공 철학, 잘 표현된 세계관이었습니다. ,' 그렇다면 경쟁하는 많은 대중 세계관 중 하나를 채택하고 옹호한 사람이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현명한' 사람들은 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 소피스트, 플라톤주의자일 수도 있지만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삶과 죽음, 그리고 우주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66]

"… 당나귀가 음악적 조화를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은 아무리 영리하더라도 하나님의 신비를 스스로 이해하는 데 어리석습니다." [67]

1:21 사람의 생각(지혜)은 하나님을 알 수 없고 죄에서 구원할 수도 없습니다. 이러한 유익은 오직 설교된 메시지(헬라어 케리그마 ), 즉 복음 의 어리석음(구원받지 못한 사람의 눈에는)을 통해서만 옵니다 . [68] 그러므로 사물에 대한 참된 평가는 하나님과 그분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인간의 추론이 어리석다는 것입니다.

"천문학자는 수년 동안 별들의 기적을 지켜본 다음 자신은 신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단호하게 우리에게 말합니다. 자연과학자는 짐승이 그의 조상이라고 발표하고 모든 생명체는 작은 세포에서 진화했다고 선언합니다. 원시 [ 원문 그대로의 원시 ] 점액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범신론은 '신은 모든 것이고 모든 것은 신이다'라고 선언합니다. 그러므로 인간 성취의 목록은 '세상'이 '그 지혜를 통해'(그것을 매개체로 사용하여) 행했고 여전히 '하나님의 지혜 안에서'(이 광대하고 놀라운 지혜의 영역에서) 행하고 있는 일을 연장하고 선포합니다." [69]

바울은 믿지 않는 사람들이 낳은 지혜가 모두 무가치하다고 말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자신에 관해 계시하신 지혜가 이룰 수 있는 일에 비하면 인간의 지혜는 별 가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이나 의학과 같은 주어진 주제에 대한 모든 인간 지식이 우리 본문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적어도 일차적으로는 아닙니다). 바울은 더 구체적인 것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바울은 특히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지혜를 '지혜'로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세상의 지혜'로 '신학'에서 '세상의 지혜'로 간주됩니다." [70]

바울은 하나님이 만드신 만물을 통해서는 우리가 하나님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뜻도 아니었다(참조, 롬 1 장). 이런 것으로는 하나님에 대한 온전한 지식을 얻을 수 없다는 뜻이었습니다.

1:22 유대인들은 특징적으로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기 위해 표적을 요구했다(참조, 마 16:1-4; 막 8:11-12; 요 2:18). 대조적으로, 십자가의 메시지, 즉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23절)는 약함, 특히 죽음에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는 예수님의 명백한 무능력을 보여주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마찬가지로 그리스인들은 일반적으로 지혜를 자신들에게 합리적이고 이치에 맞는 설명으로 존중했습니다. 그러나 십자가의 도는 이해가 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범죄자가 아닌데 범죄자로서 처형당하는 것을 면할 만큼 똑똑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사람을 어떻게 믿고 복종할 수 있겠습니까? 더욱이, 누가 그러한 사람을 지혜의 선생으로 여길 수 있겠습니까?

"...여기서 '유대인'과 '헬라인'은 인류의 기본적인 우상 숭배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전능하시거나 전지하신 분으로 기능하셔야 하지만, 항상 우리의 최선의 이익, 즉 우리를 위한 힘, 우리와 같은 지혜의 관점에서 행동하셔야 합니다! 두 가지 모두 궁극적인 우상 숭배는 '이치에 맞는 하나님'이 일을 어떻게 하셔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님이 우리 자신의 이전 견해를 따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71]

1:23 십자가에 못 박힌 메시아는 유대인들에게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메시야를 하나님의 축복이 가장 크게 임하는 사람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사 11:2). 결국, 예수님을 처형한 사람들은 그분을 나무에 매달았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분을 저주하셨다는 확실한 증거입니다(신명기 21:23; 갈 3:13).

“죽으신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사는 것, 저주 받으신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복을 받는 것, 심판 받으신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의롭다 하심을 받는 것은 다 어리석은 것이로다”( 72 절) .

"...후대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고난을 당할 것이라는 선지자들의 예언을 인식하고 각각 벤 요셉과 벤 다윗이라고 불리는 두 그리스도, 고난을 당하시고 영광을 받으신 구속주를 가정하는 편으로 내몰렸습니다." [73]

바울은 헬라인(22절)과 이방인(23절)이라는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헬라인과 유대인이라는 용어는 문화와 언어 측면에서 대조되고, 이방인과 유대인이라는 용어는 인종과 민족 측면에서 대조됩니다.

"거의 19세기 동안 십자가가 신앙의 주요 상징이었던 기독교화된 서구 사람들은 적들에 의해 자신을 십자가에 못 박으신 하나님의 메시지가 처음에는 얼마나 미친 듯이 보였을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세기 헬라어 또는 로마 그러나 고린도인들이 지혜를 향해 나아간 이유와 십자가가 사람들 사이에 나타나기 한 세기가 훨씬 넘은 이유를 모두 이해하려면 우리가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스캔들과 어리석음의 깊이입니다. 기독교인은 신앙의 상징이다." [74]

“사람들이 구원을 받는 것은 어리석은 설교로가 아니라, '미련한 것'을 전파하는 것, 곧 십자가의 설교로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75]

1:24 “부르심을 받은 자들”은 유대인과 헬라인 모두에서 구원받지 못한 자들과 대조된다(1:2; 롬 8:28, 30). 그리스도는 악의 세력을 정복하고 사람들을 그들의 통제에서 구출하는 하나님의 능력의 도구입니다. 그분은 또한 인간의 이성이 풀 수 없는 문제, 즉 사람들이 어떻게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지를 해결하는 하나님의 지혜의 도구이십니다. 구약의 지혜 문헌은 지혜를 계시, 창조, 구속에 있어서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의인화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그분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시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그 지혜이십니다(롬 1:16; 참조, 30 절).

"이것은 복음이 전파되는 세계와 복음 자체에 대한 바울의 가장 뛰어난 풍자적 묘사입니다." [76]

1:25 하나님의 미련한 것(사람이 어리석다고 생각하는 하나님의 행위 ) , 십자가의 복음은 인간의 지혜보다 지혜로우며, 하나님의 “약함”(사람이 알 수 없는 하나님의 행위) 약하다고 생각하십시오." [78] ) 불신자들의 눈에는 인간의 힘보다 더 강합니다.

“만약 하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어떻게 진행하셔야 하는지 사람들에게 묻는다면 그들은 분명히 그의 아들을 십자가에 보내신다고 대답하지 않을 것입니다.” [79]

"현재 언론에는 성공을 위한 계획 방법, '비전'이 명확하게 표현된 '목회 목표'로 구성되는 방식, 지역 사회의 상세한 프로필에 대한 지식이 성공적인 봉사 활동의 열쇠가 되는 방식을 알려주는 책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잠시 동안 그러한 연구에서 배울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지만, 잠시 후에는 바울과 휫필드, 웨슬리, 스탠웨이와 저드슨이 이러한 이점을 누리지 못한 채 얼마나 많은 교회를 개척했는지 놀라게 될 것입니다. 우리 중 우리는 우리가 봉사하는 사람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 모두는 그러한 출판물을 소량씩 읽으면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량으로 사용하면 조만간 복음이 희석됩니다. 아주 미묘하게도 우리는 성공이 더 중요한 것은 사려 깊은 태도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복음보다 사회학적 분석이 더 중요해지고, 바나(Barna)가 성경보다 더 중요해진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내 입장은 무계몽주의나 아무 계획도 없는 무책임한 사역을 옹호하는 얄팍한 주장이 아닙니다. 오히려 나는 십자가가 결코 부인되지 않은 채, 상대적으로 너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상대적으로 주변적인 통찰로 인해 마땅히 누려야 할 중심에서 쫓겨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이 두렵습니다. 주변부가 중심을 옮겨갈 위험에 처할 때마다 우리는 우상숭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합니다." [80]

이 구절(18-25)에서 바울은 인간이 추론과 철학을 통해 고안할 수 있는 모든 것보다 복음 메시지가 우월함을 보여줌으로써 복음 메시지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관심을 높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가 그렇게 한 목적은 그들이 소식을 전하는 사람들이 제시하는 지혜보다 그 내용을 더 높이 평가하도록 격려하는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교회에 있어서 이 구절보다 더 중요하고 어려운 구절은 ​​거의 생각할 수 없습니다. 그 구절이 고린도에 있었던 바로 그 이유 때문에 그것은 어렵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약함과 어리석음으로 그것을 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상징이나 신조 또는 명제로 스캔들을 무디게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렇게 쉽게 길들여지지 않으실 것입니다. 십자가만이 사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81]

고린도 신자들의 어리석음 1:26-31

바울은 자신이 전파한 복음이 인간의 기대와 모순된다는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복음의 내용을 고린도 신자들에게로 돌렸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고린도의 "아름다운 사람들" 외에는 아무도 선택하지 않으셨습니다. 그것들 자체는 하나님의 어리석음이 지혜로운 자들을 당황하게 한다는 증거였습니다. 예레미야 9장 23-24절은 부당한 것(인간의 지혜, 능력, 부)보다 한 가지 정당한 것(주님을 아는 것)을 자랑하는 것을 강조하면서 이 페리코프(본문의 일부) 뒤에 놓여 있습니다.

1:26 이 절은 고린도 회중에 사회에서 더 높은 지성과 영향력 있는 계층 출신의 사람들이 거의 없음을 반영한다(“지혜 있는”, “능력 있는”, “고귀한” 사람이 많지 않음). 초기에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의 이름을 보면 그들 중 대다수가 노예이거나 자유민(즉, 노예가 된 적이 없는 "자유인"과는 달리 해방된 전 노예)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마서 16장에 나오는 바울의 인사에서 이것은 분명합니다. [82] 이러한 특징은 역사를 통틀어 대부분의 지역 교회의 특징이었습니다.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은 부르심으로는 성도들이었지만(2절), 삶의 부르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그들은 겸손한 출신이었습니다.

1:27-28 구약에는 하나님께서 인간이든 아니든 그분의 도구로 약속되지 않은 물질을 선택하신 예가 가득합니다. 예를 들어, 사사기에서 우리는 그분이 소 모는 막대기(삿 3:31), 못(4:21), 나팔, 주전자, 등불(삿 7:20), 맷돌(삿 7:20)을 사용하시는 것을 봅니다. 9:53), 당나귀 턱뼈(삿 15:15). 그의 방법은 그리스도께서 오셨을 때에도 변함이 없었고, 그 이후에도 변함이 없었습니다.

"없는 것"(28절)은 "아무것도 아닌 것"입니다. 이것은 아마도 방금 언급한 네 가지, 즉 “어리석은 자”, “약한 자”, “하찮은 자”, “멸시받는 자”를 가리킬 것입니다. [83] 그들은 세상의 눈으로 볼 때 존재하지 않는 존재입니다. "존재가 없는 것과 같습니다." [84] "있는 것"은 세상이 높이 평가하는 사물과 개인입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지혜로운 자와 강한 자, 고귀한 자와 존경받는 자를 구원할 수 없거나 구원하지 않으실 것이라는 뜻이 아니라, 세상이 멸시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자비가 베푸신다는 것이 복음의 영광입니다.

1:29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구원의 영광이 오직 그분의 것이 되도록 이 방법을 선택하셨습니다. 그렇다면 그분의 사자들을 영화롭게 하는 것은 얼마나 잘못된 일입니까! 여기서 자랑한다는 것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부적절한 대상에 완전한 신뢰를 두는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1:30 하나님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신자의 생명의 근원이시다(“그분의 행하심으로”)(참조, 2 절). 의로움, 성화, 구속은 구원의 은유이자 측면이며, 이는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지혜의 결과이다(참조, 6:11). 이 구절에서 “의” 앞에 나오는 “그리고”는 “균일하게”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의는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올바른 신분(칭의), 하나님께서 우리를 더욱 거룩하게 만드시는 성화(성화), 죄로부터 우리를 최종적으로 해방시키는 구속(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85]

1:31 예레미야 9장 24절을 인용한 이 느슨한 인용문은 바울의 요점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주의 종들과 그들이 행한 일을 강조하는 대신,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지혜와 능력을 주시는 일에 친히 행하신 일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하나님의 목적은 피상적인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고린도인들이 자신들의 경험에서 볼 수 있었던 일이었습니다.

"선택의 문제는 고린도전서에서 특히 강렬합니다. 바울은 자신의 부르심('하나님의 뜻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뿐만 아니라 고린도인들의 부르심('하나님의 뜻을 따라 부르심을 받은 자')을 확인함으로써 서신을 시작합니다. 이 확신은 감사의 마지막 구절에 다시 나타나 바울의 확신을 위한 궁극적인 근거의 일부로 작용합니다(1:9).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여.' 몇 구절 후에 새로운 수사학적 강조(1:24, 26-30)로 문제가 다시 표면화될 때, 선택이나 부르심의 개념이 더 이상 바울의 논증을 뒷받침할 뿐 아니라 오히려 이 논증의 초점이 되었다는 것이 분명해집니다. 고린도인들은 선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86]

바울의 설교의 어리석음 2:1-5

바울은 인간이 지혜라고 여기는 말이 할 수 있는 일과 대조하여 하나님의 지혜가 할 수 있는 일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고린도 사람들에게 전파한 예를 제시했습니다.

“ 문맥 의 문제  논증의 연속성은 고린도전서 2장을 이해하는 데 모두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장의 대부분이 순수한 영지주의처럼 읽히고 바울은 영적 엘리트를 위해 유보된 사적인 종교의 옹호자가 되었습니다(2: 6~16)." [87]

2:1 어떤 초기 본문에는 “증언”( 순교 ) 대신에 “비밀”( 헬. 신비 )이 나온다 . 그 차이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복음은 하나님께서 이전에 계시하지 않으셨으나 사도들이 알린 메시지이자 그들이 증거한 메시지였습니다. 고린도에서 사도의 설교는 “수사학적 표현이나 철학적 미묘함이 뛰어나지 않았습니다.” [88]

"연설자가 처음 도시에 왔을 때(2:1), 그는 [연설을 발표](보통 그 도시를 찬양함)라고 선언할 모임을 광고했습니다. 만약 그가 성공을 거두고 충분한 학생을 끌어들이면 그는 계속 머물 것입니다. 바울은 자신이 그런 궤변가들[영리하지만 거짓된 논증을 사용하는 교사들]처럼 인기를 얻으려고 그들에게 나아오지 않았다고 지적합니다(고후 2:17 참조). [89]

"웅변과 언어, 표현과 문체의 아름다움에 너무 관심을 두어 진실의 영향력을 상실하는 것은 예술가에게 선지자를 희생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90]

2:2 바울은 전도할 때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그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에 대해서만 말했습니다. 이것이 그의 일상적인 습관이었습니다(갈 3:1). 그는 다른 모든 지식을 제쳐두었습니다(“너희 중에서 … 외에는 아무 것도 알지 아니하기로 작정하였음이라”).

"바울이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말을 덧붙인 것은 그가 십자가 외에는 그리스도에 관해 아무것도 선포하지 않았다는 뜻이 아니라, 십자가의 굴욕 자체가 그가 그리스도를 선포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91]

"나는 우리의 믿음을 성경 구절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도 구원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런 식으로 속임을 당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나는 사람들이 자신이 구원받았다는 것을 안다고 말하는 것을 듣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물으면 그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요한복음 3장 16절이나 요한복음 5장 24절을 믿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하면 당신은 그들에게서 새 생명의 증거를 찾고도 찾지 못합니다. ... 알다시피, 문자를 믿는다고 해서 누구도 구원받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스도를 믿으면 그를 믿는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습니다." [92]

"행 18장에 따르면 1 바울은 아테네에서 고린도로 이동했으며, 아레오바고 연설(행 17장 22~31절)에서 복음을 그리스 철학과 결합시키려는 시도를 한 후 별 다른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으로 종종 추정됩니다. (사도행전 17장 32ff.) 그는 자신의 전술을 바꾸고 십자가 외에는 아무것도 설교하지 않기로 결심했습니다. [93] 이 상상의 그림에는 아무런 증거도 없습니다." [94]

"... 고린도전서는 독자들에게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실용적인 편지 그 이상입니다. 사실 이 편지는 바울이 처음에 설교한 메시지와 일치하여 청중의 마음, 성향, 직관에 영향을 미치려고 노력합니다. 공동체 안에서(2:2), 독자들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구원 활동의 비판적인 본질을 직면하게 하여 하나님, 자신의 공동체, 미래에 대한 비전을 다시 집중시키는 안경이 됩니다. 그러한 인식론은 편지에 달리 연결되지 않은 구조를 통합하는 신학적 목적을 부여합니다." [95]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설교하는 것은 이전에 반응이 부족했기 때문에 바울이 고린도에서 취한 새로운 방법이 아니었습니다(참조, 행 17:22-31).

"바울이 피한 것은 연사에 대한 칭찬은 얻지만 메시지를 방해하는 인위적인 의사소통이었습니다. 게으른 설교자들은 연구에 있어서의 나태함과 강단에서 부주의한 설교를 정당화하기 위해 고린도전서 2:1-5에 호소할 권리가 없습니다. 이 구절들은 부지런한 준비와 열정, 명쾌한 표현과 설득력 있는 발표를 금하지 않고, 오히려 '정말 훌륭한 설교자다!'라고 말하게 만드는 모든 방식을 경고한다. 오히려 '참으로 놀라운 구원자이십니다!''라고 말합니다." [96]

2:3 바울이 고린도에 입성하면서 약함과 두려움과 심히 떨었던 이유는 아마도 그곳에서 직면한 영적 필요에 직면하여 자신의 부족함을 느꼈기 때문일 것입니다(참조, 행 18:9-10). 그러나 일부 해석자들은 바울이 고린도에 들어갔을 때 그가 병들었다고 믿었습니다.

"이것이 간질이나 말라리아열(램지)이었다면 그것은 그가 '육체의 가시'라고 부르는 반복적인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고후 12:7)." [97]

"바울이 약하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여기서와 그 이후에도 여러 번 다른 사람들이 평가할 때 어떤 사람의 지위와 존엄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98]

2:4 바울은 자신의 웅변이나 지혜로 청중을 감동시키기 위해 자신의 내용(“메시지,” 로고스 ) 및/또는 전달(“설교,” 케리그마 ) 을 계획하지 않았습니다 . 오히려 자신이 발표한 단순한 메시지를 강조했다.

“그는 고린도 사람들 가운데서 어떤 웅변술도 나타내지 않았고, 어떤 웅변도 구사하지 않았으며, 철학적인 체함도 나타내지 아니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그들에게 증거하였느니라.” [99]

바울의 설교는 공연이 아니라 시범이었습니다. 확신은 설교자의 영리함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성령의 능력에서 나온 것입니다. 우리는 이 구절을 설득을 경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참조, 고후 5:11) 설득력 있는 논증의 결과로 확신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것은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을 전할 때 성령께서 눈먼 눈을 뜨게 하실 때 옵니다. 경고는 설교자의 자립에 대한 것입니다.

“말씀을 전하는 자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모든 은사를 준비하고 사용해야 하나, 자기 자신을 신뢰해서는 안 됩니다.” [100]

"단순한 인간의 소피아 ["지혜"]는 눈부시게 하고 압도하며 대답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평생의 결정이 내려지는 영혼의 깊은 곳까지 꿰뚫지는 못합니다." [101]

"논쟁은 논리적으로 반박할 수 없지만 전혀 설득력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102]

2:5 바울이 접근한 이유는 그의 회심자들이 그들의 믿음이 자연적인 기초가 아닌 초자연적인 기초, 즉 하나님의 능력에 의한 성령의 깨달음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기 위함이었다(참조, 마 16:15- 17).

복음 메시지의 우월한 능력의 중요성에 관한 사도의 확신은 그 자신의 설교에서 분명했습니다.

3. 하나님의 지혜를 계시하는 성령의 사역 2:6-16

바울은 성령의 능력에 대해 언급하면서(4-5절) 신자와 불신자 모두의 마음을 밝히는 성령의 사역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사역을 그들이 보았던 방식과 다르게 볼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열쇠는 성령께서 그들의 생각을 조명하시는 것입니다. 참된 지혜( 소피아 ) 를 추구하는 사람은 성령의 깨우침이 없이는 그것을 깨달을 수 없습니다.

바울은 이 부분에서 약간 겹치는 세 가지 대조를 사용하여 자신의 논증을 구성했습니다. 첫 번째 대조는 하나님의 지혜를 받는 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것이며(6-10a절), 두 번째 대조는 하나님의 영과 성령의 영을 대조합니다. 세상(10b-13절). 세 번째 대조는 “육에 속한” 사람과 “영적인” 사람 사이에 있습니다(14-16절). [103]

“바울은 여기서 자신이 허물었던 것을 다시 세우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자신이 지금까지 주장해 온 내용의 진실성을 그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성령과 영성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이 문단의 언어는 바울에게 공통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현상에 대한 설명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그가 그들의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자신의 내용으로 채우고 이를 반박한 데서 발견됩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그들의 것과 다릅니다... 바울의 관심은 전체적으로 고린도인들이 십자가의 관점에서 그들이 누구인지 이해하도록 하고 영이 아닌 사람들로 행동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입니다." [104]

2:6 바울의 복음 전파는 단순하고 분명했지만, 그의 메시지에는 고린도 교인들이 간과하지 않기를 바라는 깊이가 있었습니다. 미성숙한 그리스도인들은 복음의 진정한 깊이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나중에 3장에서 바울은 고린도인들이 성숙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3:1-3).

바울은 성숙이라는 단어를 그리스도인이라는 단어와 동의어로 사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고린도인들이 성숙이라는 단어를 자신들에게 적용하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성숙이라는 단어를 선택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기독교인은 십자가의 메시지를 받아들였다는 의미에서 '성숙한' 반면, 다른 모든 기독교인은 그렇지 않습니다." [105]

그러나 나중에 바울은 자연적인 사람, 영적인 사람, 육신적인 사람을 구별했습니다(2:14-3:4). 결과적으로 여기에서 그가 사용한 “영적인”이란 하나님의 영을 받은 사람만이 아니라 한동안 하나님의 영을 따른 사람을 의미했을 것이다(참조, 히 6:1).

하나님의 깊은 것에는 세속적인 지혜(“이 시대에 속하지 않은” 지혜)와는 다른 유형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그리스도의 두 번의 재림 사이에 있는 현 시대에는 여론을 통제하는 자들이 세속적인 지혜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 “관원들”은 믿지 않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계시를 무시하고 진리로 여기는 것에 대한 표준을 세우는 사람들이다(참조, 1:20, 26). 예를 들어, 찰스 다윈, 스티븐 호킹, 칼 세이건은 모두 성경의 계시를 거부하는 개념에 대한 믿음을 장려해 왔으며 그들의 영향력은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들은 나가는 중입니다("죽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무엇이 참인지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변하고 그리스도께서 결국 지적 지도자로서의 그들의 "통치"를 끝내실 것이기 때문입니다(15:24-25; 골 2: 15).

" 세계의 통치자란 어떤 재능으로 인해 세계에서 저명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106]

2:7 바울이 전한 지혜는 하나님께서 이전에 나타내지 않으셨던 숨은 지혜였습니다. 그것은 복음 외에 어떤 계시가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에 관한 복음의 메시지였습니다. 십자가의 도가 담긴 구원의 계획은 하나님의 지혜입니다. 이 메시지는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에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미스터리였습니다. 십자가의 도는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것, 사람들이 이전에 알고 있던 것 이상으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을 더욱 드러내는 것입니다.

바울은 에베소서 3장 2~12절에서 하나님께서 이 비밀을 창세 전부터 미리 정하셨다는 사실을 설명했습니다. 에베소 교회는 고린도 교회보다 더 성숙했고 이 계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 새로운 계시의 최종 목적은 성도들이 하나님 아들의 형상을 닮아 궁극적으로 영화롭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2:8 이 구절에 나오는 이 시대의 통치자들은 아마도 바울이 위에서 언급한(6절) 동일한 지적 유행을 선도하는 사람들일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이 그룹의 구성원이었다(참조, 행 3:17-18; 4:25-28). 만일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계획에서 차지하는 중심 위치를 이해했다면 그들은 그분을 십자가에 못박아 그들 자신의 운명을 보장하지 않았을 것입니다(참조, 눅 23:34).

"[바울 논증의 이 부분에 대한] 핵심은 8절입니다. 이 시대의 통치자들(정치적, 종교적 인물로 이해되거나 묵시적인 권력으로 이해되든)은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못 박을 때 신성한 지혜에 대한 무지를 드러냈습니다. 바로 그 언급입니다. 십자가에 못박히신 사건은 앞 부분과 연속되는 논증을 보여주며, 세상이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지혜는 다름 아닌 십자가의 말씀임을 상기시켜 줍니다(1:23-24). [107]

영광의 주라는 문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한 충만함을 암시합니다. 그것은 또한 성도의 영광과도 관련이 있습니다(7절). 그분과의 연합을 통해 우리는 영광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사람들은 때로 '단순한 복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인간의 모든 혼합과 부패가 없는 기독교 메시지를 묘사하고자 한다면 이 표현은 충분히 적절합니다. 그러나 더 진정한 의미에서 복음은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복음은 지금까지 제시된 가장 심오한 철학을 포함합니다 인간의 지성, 그것은 하나님의 생각과 마음에서 직접 나오며, 너무나 미묘하고 신비로우며, 인간 이성의 가장 고귀한 창조물을 훨씬 능가하므로, 하나님의 도움 없이는 인간이 이해하거나 평가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영." [108]

2:9 이 절에서 인용된 출처는 분명히 이사야 64:4과 65:17이다. 여기에는 바울의 요점이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계시를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더 많이 계시하실수록, 우리는 그분이 우리의 축복을 위해 인류를 위한 그분의 계획을 계획하셨다는 것을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바울의 생각은 하나님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을 위하여 예비하신 놀라운 일들을 그에게 알 수 있는 사람(눈, 귀 또는 이해력)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참조, 로마 8장 28절) . )." [109]

“이 말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알려지지 않은 하늘의 영광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과 구원의 능력으로 예비하신 구원의 길을 가리킨다.” [110]

2:10 하나님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을 위하여 예비하신 구원의 놀라운 일들은 일부 선택된 그리스도인들만이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신자는 내주하시는 성령께서 그 사람을 깨우쳐 주실 수 있기 때문에 이 말씀을 이해하고 감사할 수 있고 또 그래야 합니다.

“그러므로 선지자들의 입을 통하여 말씀하신 그 동일한 성령이 우리 마음에 들어와서 그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충실히 선포하였음을 우리를 설득하여야 하리라.” [111]

그리스의 신비 종교는 신자들에게 더 깊은 통찰력과 새로운 지식을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그리스도인은 영적인 지각 기관, 즉 성령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최고의 것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탐색하다"(그리스어 에르우나 )는 계속해서 조사한다는 뜻이다.

“분명히 그들은 영성을 주로 황홀경과 경험의 관점에서 생각했는데, 이로 인해 그들 중 일부는 한편으로는 육체를 부인하고 한편으로는 '도착했다'(참조, 4:8)는 느낌을 갖게 되었습니다. 다른 하나." [112]

"그들은 바울의 설교를 '우유'로 생각했지만, 오히려 십자가를 통한 구속은 하나님 자신의 지혜의 심오하고 깊은 데서 온다는 뜻입니다. 이 지혜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주신 성령께서 헤아려 우리에게 계시해 주셨습니다. ." [113]

2:11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려면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동물은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하나님의 생각을 이해하려면 내주하시는 하나님의 영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불신자들은 성령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참조, 롬 8:9).

2:12 헬라어 본문에서는 “우리”가 강조되어 있다. 모든 신자는 하나님께로부터 온 성령을 받았습니다(성령; 12:13; 롬 8:9). 그분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거저 주신 것들을 우리가 이해(“알게”)하도록 도우십니다. 이 영은 세상의 영(관점이나 사고방식)과 크게 다릅니다. 불신자들은 이러한 초자연적인 일들을 인식할 수 있게 해 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하나님의 일들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 사람 자신의 영이 그 속 생각을 가장 잘 이해하는 것처럼, 하나님의 영만이 신성한 진리를 파악하실 수 있으며(11절), 오직 그가 거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거저 주시는 것들'을 해석하실 수 있습니다. (RV)." [114]

“인간이 하나님의 계시된 뜻을 분명히 이해하지 못하는 비극적인 실패는 성령의 깨우침을 받았을 때에도 인간 지성의 약함과 한계에 대한 설명일 뿐입니다.” [115]

"기독교인은 세상의 영에 저항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렇게 말할 때 우리는 세상의 영이 항상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은 세상의 영이 자신의 몸에서 취하는 형태로 저항해야 합니다 . 자신의 세대입니다 . 만약 그가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는 세상의 정신에 전혀 저항하지 않는 것입니다. 특히 우리 세대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를 대적하는 세력은 너무나 포괄적이기 때문입니다." [116]

2:13 바울과 다른 사도들은 성령께서 그들이 이해하도록 도우신 진리(“사물”)를 말했다(참조, 6-7 절). 그들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설득하기에 가장 좋다고 간주하는 것(“인간의 지혜로 가르친 말”)에 기초하여 그들의 말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연설가들이 사용한 수사적 장치에도 의존하지 않았습니다. 성령께서는 그들이 신성한 진리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는 것에서도 그들을 인도하셨습니다. “영적인 생각”은 성령께서 우리에게 이해시켜 주시는 개념입니다. "영적인 말"은 사람들이 이러한 생각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도록 인도하시는 말씀입니다. 성령은 우리가 인간의 지혜로 가르치는 말이 아니라 메시지에 적합한 언어로 말하게 하십니다.

“즉, 그는 성령의 하늘 지혜와 말의 명료함을 적절하게 결합하여 성령 자신의 능력 자체를 공개적으로 보여 주는 것입니다.” [117]

간단히 말해서, 성령은 하나님의 계시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합니다. Lightfoot은 이 문구를 "영적 진리를 설명하기 위해 영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번역했습니다. 매튜 헨리(Matthew Henry)는 바울이 "신적 계시의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문맥 은 전자의 해석을 선호한다.

2:14 “자연인”은 성령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 즉 불신자를 가리킨다. 120) 모든 인간은 그리스도를 신뢰하고 성령을 받기 전까지는 자연인입니다. 바울은 이러한 유형의 사람을 자연인(헬라어 사이키코스 )이라고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본성상 그 사람, 즉 하나님 없이 영적으로 죽은 사람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자연인에게는 그 안에 내주하는 초자연적인 인물이 없으며, 그 사람의 관점과 생각은 오로지 자연적인 인간의 것입니다. 그 사람은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모든 것을 받아들일(이해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에게는 신자들로 하여금 영적인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내주하시는 하나님의 영이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연인도 복음을 이해하고 구원을 경험할 수 있지만 성령께서 그의 이해를 밝혀주실 때만 가능합니다. 바울은 불신자가 성경의 말씀을 정신적으로나 지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뜻이 아닙니다. 불신자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바라시는 모든 것을 거부하고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그 중 하나는 그분의 아들을 믿음으로 말미암는 영생입니다. 그것은 마치 하나님께서 믿지 않는 사람이 이해할 수 없는 언어로 말씀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그것은 그 사람에게는 미련한 것입니다.) 그 또는 그녀는 제대로 응답하지 않습니다. 그 또는 그녀는 통역사가 필요합니다. 그것은 오직 성령만이 하실 수 있는 사역이다. [121]

"고린도전서 2장이 사람들이 성경을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나 특정 히브리어 본문에 대한 특정 학자의 주석의 질과 관련이 없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이 문제에 대해 명확하게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십자가에 못 박힌 메시아의 근본적인 메시지입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이 성령 없이는 마음으로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122]

"인간의 귀는 고주파 전파를 들을 수 없고, 귀머거리인 사람은 음악 경연을 판단할 수 없으며, 눈먼 사람은 아름다운 풍경을 즐길 수 없으며, 구원받지 못한 사람은 가장 중요한 실제 진리인 영적인 것을 판단할 능력이 없습니다." [123]

"얼마 전 개그맨인 한 남자가 보낸 편지를 읽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나이트클럽의 개그맨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제가 라디오로 성경을 가르치는 것을 들으면서 나를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그 사람은 제가 그 사람보다 내가 더 웃겨! 글쎄요, 그 사람도 그렇게 느껴야 합니다 . 왜요? 왜냐하면 그 사람은 자연인이고 영적인 것을 분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124]

2:15 자연인과 대조되는 “영적인”(헬. 뉴 마티코스 )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그리스도인, 성령을 소유한 사람이다(참조, 3:1). 영적인 사람이 할 수 있는 일 중 하나는 모든(영적인) 일을 분별하거나 판단하는 것(헬라어 아나크리노 )입니다. 즉, 영적인 사람은 자연인에게 부족한 영적인 진리에 대한 분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그 사람의 가치와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그 또는 그녀는 자연인에게 수수께끼입니다. 구원받지 못한 사람은 거룩함을 이해할 수 없지만, 거룩한 사람은 악의 깊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육신적인 동료 신자들조차도 영적으로 성숙한 사람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그 자신은 아무에게도 분별되지 못하느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괜찮습니다. 왜냐하면 영적인 사람의 심판자는 궁극적으로 다른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125]

나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 있을 때 스코틀랜드 장로교를 만든 위대한 개신교 개혁가인 존 녹스(John Knox)의 무덤을 방문했습니다. 그의 매장지는 현재 그의 교회인 세인트 자일스 대성당 뒤 주차장 포장 도로에 있는 작은 명판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 위에 차가 주차되어 있어서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녹스의 무덤은 가끔 기름이 떨어지는 자동차들로 뒤덮인 주차장에 있는 반면, 존 레논의 무덤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아름답게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는 세상의 왜곡된 가치관을 반영합니다.

이 구절은 신자들이 오직 하나님께만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이 궁극적으로 하나님께만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참조, 4:3-4). 바울은 교회 권징(5:3-8), 건설적인 비판(11:17-18), 자기 판단(11:31)의 가치를 즉각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했습니다.

2:16 자신의 생각을 요약하기 위해 바울은 다시 이사야를 인용했다(사 40:13; 참조, 롬 11:34). 그 선지자는 하나님의 생각에 놀랐습니다. 하나님께서 이해하시는 것("누가 여호와 의 마음을 알았느냐 ")을 누가 완전히 이해할 수 있습니까? 물론 누구도 그럴 수 없습니다. 반면에 성숙한 신자들은 그들 안에 하나님의 영이 있고 성령께서 그들에게 주님의 마음을 계시하시기 때문에 불신자들보다 훨씬 더 주님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장성한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의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그 사람은 어느 정도 예수님처럼 삶을 봅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하나님의 관점에서 사물을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빌립보서에서 바울은 독자들에게 그리스도께서 가지셨던 것과 같은 태도를 취하라고 권면했습니다(빌 2:5).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마음을 갖고 있을지라도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즉, 우리는 그것을 사용하여 그분이 하신 것처럼 삶을 보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인 성숙의 한 가지 표시는 신자가 삶의 모든 면에서 그리스도의 태도와 관점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6-16절)에서 바울은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것에 대해 신자에게 빛을 비추시는 성령의 사역이라는 주제를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전에 독자들 가운데서 이러한 초자연적인 관점으로 행동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습니다(1-5절).

이 서신에서 바울과 고린도인들 사이의 긴장의 기본적인 신학적 요점 은 영인(靈人)인 뉴마티코스( pneumatikos) 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 방언 (방언)을 경험했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들이 천사들과 같아서 몸을 벗어버리기만 하면 된다고 여겼습니다. 이러한 왜곡된 견해의 근원은 헬레니즘 이원론으로 오염된 대중 철학이었습니다. 헬레니즘 이원론에서는 물질적인 것은 모두 악으로, 비물질적이거나 영적인 것은 모두 선으로 여겼습니다. 그 결과 윤리적 행동과 거의 관련이 없는 "영성"과 "더 높은 지혜"가 탄생했습니다. [126]

“이제부터 관심을 두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지혜'가 어리석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툼으로 표현되어 그리스도께서 위하여 죽으신 바로 그 교회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127]

“바울의 관심은 교회 전체에서 부활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령의 은사는 신자들 사이에서 특별한 지위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상과 관련하여 특별한 지위를 가져오게 합니다. 십자가에 못박히셨거나 부활하신 구주의 메시지의 중심성 성령께서는 하나님의 백성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이 시대의 지혜와 근본적으로 다르도록 식별하셔야 합니다." [128]

4. 미성숙하고 육욕적인 상태 3:1-4

사도는 고린도 사람들에게 그들이 영적인 관점으로 사물을 보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특히 하나님의 종들 중 한 사람 또는 다른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높아지는 것을 언급하고 있었습니다(1:10-17). 바울은 그들에게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3:1 여기서 바울은 인류의 세 번째 범주, 즉 “육신적인”(헬. 사르키노스 ) 또는 미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소개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은 성령을 소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적으로 성숙하지 못했습니다. 바울은 영적인 사람들에게 말하듯이 그들에게는 말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신자들의 특징인 분별력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그는 3절에서 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대신에 그는 그들을 “육신에 속한” 사람들, 심지어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아이들”이라고 불러야 했습니다. 아주 어리다면 미성숙은 비난받을 가치가 없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한동안 그리스도인이 되었지만 아직 미성숙하다면 그의 상태는 비난받아 마땅하다(참조, 2:6; 엡 4:14). 고린도교회의 상황이 그러했습니다.

3:2 바울이 그들과 함께 있었을 때 그들은 새로운 개종자였으므로 그들에게 말씀의 “젖”, 곧 믿음의 ABC를 주었다(참조, 벧전 2:2). 이제 그들은 더 진보된 가르침(“단단한 음식”)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했으나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참조, 히 5:11-14). 그들의 당파 정신은 영적 미성숙, 성장 부족의 증거였습니다. 그들에게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식습관의 변화가 아니라 관점의 변화였습니다.

“은혜와 지식 안에서 자라려고 노력하지 않는 그리스도인들은 전적으로 비난받아야 합니다(참조, 벧후 3:18).” [129]

바울이 1절과 2절에서 “형제자매”와 2인칭 복수 대명사를 사용한 것은 그가 교회 안의 한 분파가 아닌 전체 교회에 대해 말하고 있음을 가리킨다(참조, 1:10). 회중 성원 중 많은 사람의 행동이 회중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130]

3:3 바울이 그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교훈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은 이유는 그들의 육체(헬라어 사르키코스 )가 여전히 그들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자로서 그들은 성령의 인도를 따르기보다는 육체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참조, 롬 13:14) 육신의 일을 도모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미성숙한 신자일 뿐만 아니라 육신적인(“육신적인”) 신자이기도 했습니다. 육신적인 신자는 바울이 2:14-3:4에서 언급한 네 번째 유형의 사람입니다.

불행하게도 많은 영어 번역판에서는 사르키노스 (1절)와 사르키 코스(3절)를 구별하지 않고 두 단어를 모두 같은 영어 단어로 번역합니다: "육신의" 또는 "세속적인" 또는 "육신의" 또는 이와 유사한 것. 그러나 이것은 두 가지 다른 의미를 지닌 두 가지 다른 그리스어 단어입니다. NET2 성경이 더 좋습니다. 이는 사르키노스를 "육체의 사람들"로, 사르키코스를 "육체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로 번역합니다. HCSB 는 또한 사르키노스를 "육체의"로 번역하고 사르키코스를 "육체적인" 으로 번역하여 이 두 그리스어 단어를 구별합니다 . [132]

서신의 이 부분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바울이 여러 다른 종류의 사람들을 묘사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가 믿지 않는 사람(자연적)과 믿는 사람(영적) 사이의 차이만을 보았다고 믿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세 종류의 사람들, 즉 불신자, 영적인 신자, 육신적인 신자를 보았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불신자( Psychikos ), 신자( Pneumatikos ), 미성숙한 신자( Sarkinos ), 육신적인 신자( Sarkikos ) 등 네 가지를 보았습니다 . [135] 나는 마지막 견해가 가장 좋다고 믿습니다.

구원받은 사람은 그리스도인처럼 행동할 수도 있고 비기독교인처럼 행동할 수도 있습니다. 바울은 비기독교인처럼 행동하는 그리스도인을 사르키 코스( sarkikos)  또는 육신적이라고 불렀습니다. 갈라디아서 5장 16절은 육신적인 그리스도인과 같은 것이 있음을 증명합니다. “성령을 좇아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이 구절을 바꾸면, 그리스도인이 성령을 따라 행하지 않고 육신의 욕망, 즉 육신적인 신자가 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스스로 진단하게 했습니다. “질투와 분쟁”은 육체의 일이 아니겠습니까(갈 5:20)? 이런 특성들은 그들이 불신자처럼 행동하고(“평범한 사람처럼 행함”), 성령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처럼 행동하고 있음을 나타내지 않았습니까? 고린도 인들이 서로 사이좋게 지내지 못함은 그들의 육신(죄악된 인간 본성)이 그들을 지배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미성숙했을 뿐만 아니라 육신적이었습니다.

"우리는 인간 본성을 인류의 근본적인 경향과 감정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137]

"사람이 되는 것 자체가 사르키노이 ("어린아이") 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닙니다 (1절). 참을 수 없는 것은 사람을 단순한 인간 이상으로 만드는 성령을 받고 계속해서 마치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살아라." [138]

3:4 당파심은 단지 인간 지혜의 표현일 뿐입니다. 그리스의 모든 철학 학교에는 수석 교사가 있었습니다. 이 교사들 사이에는 치열한 경쟁이 있었고, 누가 최고인지에 관해 학생들 사이에는 강한 선호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그리스도의 종들을 평가할 때 전혀 부적절합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을 일으키시기 위해 몸을 굽히신 그리스도의 마음과 완전히 반대됩니다.

"복음 자체에 대한 오해를 입증하는 것 외에도 고린도인의 슬로건은 교회와 그 사역에 대한 완전히 부적절한 인식을 나타냅니다." [139]

"교인들이 목사들을 비교하거나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아닌 사람의 제자로서 인간 지도자를 따르는 것은 죄악입니다. 오늘날 교회의 '개인 숭배'는 하나님의 말씀에 직접적으로 불순종합니다. 오직 예수님 그리스도께서 으뜸가는 자리를 가지셔야 합니다(골 1:18).” [140]

이 구절은 참된 그리스도인들이 불신자들처럼 행동하고 불신자들처럼 보일 수 있음을 매우 분명하게 보여줍니다(참조, 마 13:24-30, 36-43). 고린도인들의 행동은 그들의 미성숙함과 육욕을 나타내는 것이지 영생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육욕으로 인한 장기간의 미성숙은 현대 기독교에서 너무나 널리 퍼져 있는 상태입니다. 종종 우리는 육신적인 그리스도인들을 "자연적인" 사람들, 즉 믿지 않는 사람들로 착각합니다.

5. 하나님의 종들의 역할 3:5-17

바울은 독자들이 자신과 동료 일꾼들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긍정적인 설명을 했습니다.

"문제는 교회의 본질과 리더십, 특히 교사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으로 잘못된 인식입니다." [141]

“첫 번째로 그들은 기독교 메시지의 본질과 성격, 즉 참된 지혜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1:18-3:4). 두 번째로, 그들의 종파적 정신은 그들이 기독교 메시지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사역, 진리 전파에 있어 하나님과의 동역(3:5-4:5). [142]

하나님 아래서 일하는 동료들 3:5-9

3:5 바울과 아볼로와 게바(1:12에 언급됨)는 단지 그리스도의 종들일 뿐이었으며, 각자는 주의 지시에 따라 자신의 방식과 기회의 영역에서 봉사했습니다.

"우리 각자가 교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주님의 손에서 주시는 과분한 선물입니다. 무릎을 꿇고 감사를 드립니다!" [143]

3:6-8 분명히 하나님께서는 고린도 교회에 대해 교회를 개척하신 분이나 양육하신 분보다 더 많은 영예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셨습니다. 그분 옆에는 다른 사람들도 아무것도 아닌 것 같았습니다. 인간 노동자는 모두 인간적 한계를 지닌 인간 노동자라는 점에서 모두 평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은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각 사람의 행위에 비례하여 상을 주실 것이다(참조, 마 25:14-30; 눅 19:11-27). 우리 노동의 열매가 아니라 우리 보상(또는 임금)의 기초가 되는 것은 우리 노동이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

"하인에 대한 집착은 편애, 당파, 분열을 낳습니다. 주인에 대한 집착은 우리를 하나로 묶어줍니다." [145]

3:9 바울과 아볼로는 하나님의 동역자들이었습니다. 다른 곳에서 바울은 신자들을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동역자라고 말했지만(고후 6:1) 여기서는 그것이 그의 요점이 아니었습니다. [146]

“...그들이 동역자로 부르심을 받은 것은 그들이 스스로 무엇을 가져왔기 때문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능력을 주시고 필요한 은사를 공급하신 후에 그들의 일을 사용하시기 때문입니다.” [147]

“여기서 사역에 관해 특별한 점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일을 스스로 수행하실 수 있지만, 하찮은 인간인 우리를 돕는 자로 데려가시고 도구로 사용하신다는 것입니다.” [148]

고린도인들은 앞의 예에서 볼 수 있는 하나님의 “밭”이었습니다(6-8절). 이제 바울은 그것들을 하나님의 “건물”에 비유했습니다. 그는 다음 구절에서 이 예를 전개했습니다(10-17절). 9절은 전환적이다.

고린도인들이 교회의 특징인 당파 정신을 버리도록 돕기 위해 바울은 그들의 교사들이 하나님의 주권 아래 있는 동역자들로서 동등함을 강조했습니다(5-9절).

"교회, 교회의 사역, 바울, 아볼로 등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바울에게 속해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절대 허용되지 않습니다. 유일한 합법적인 '슬로건'은 '우리는 모두 하나님께 속해 있습니다'이기 때문입니다." [149]

"우리 본문(3:1-9)에 대한 설교는 십자가 복음과 관련하여 설교자와 회중이 서로에 대한 태도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이 간단한 설교 개요를 정독하십시오: '나는 바울에게 속해 있습니다.' '나는 아볼로에게 속해 있습니다.' 하이테크 종교의 세계에서 익숙한 울부짖음. '그들의' 설교자들이 지혜와 수사적 매력으로 수백만 명의 전자 시청자들을 현혹시키는 가운데 수많은 일요일 군중이 스포트라이트 아래서 눈을 가늘게 뜨고 있는 모습을 보십시오. 기독교 대중이 TV 전도사와 유명 성직자들을 존경하는 것을 엿듣습니다. '아, 나는 _____ 듣는 걸 좋아해요.' '글쎄, 그 사람은 괜찮은데 나는 _____을(를) 더 좋아해요.' 빈칸을 채우세요. 네, 요즘은 누구나 좋아하는 설교자가 있습니다. 악명 높은 사기꾼들에도 불구하고 '설교자 종교'가 그 안에 있습니다. 그 결과는 점점 분열되는 교회입니다. '나는 바울에게 속하고 당신은 그렇지 않습니다.' 비교하면 코린트를 온순해 보이게 만드는 데 충분합니다." [150]

하나님의 성전을 건축하는 자 3:10-15

"이 구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그리스도인의 삶을 세우는 것을 묘사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 위에 건축합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좋은 재료를 사용하고 다른 사람들은 열악한 재료를 사용합니다. 당신이 사용하는 재료의 종류가 당신이 얻게 될 보상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이것은 이 구절의 유효한 적용 일 수 있지만 기본적인 해석은 아닙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성전인 지역 교회의 건축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151]

3:10 이 새로운 예에서 바울은 교회를 설립함으로써 고린도 교회의 ​​기초를 놓았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벽을 추가하고 그 기초 위에 계속 건축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바울에게 주신 특별한 사명은 교회를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롬 15:20). 그는 자신이 지혜로운 건축가처럼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것임을 기꺼이 인정했습니다. 그는 교회의 상부 구조를 짓는 데 사용되는 재료와 기술의 품질이 매우 중요하다는 경고의 말을 덧붙였습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 기초를 놓음으로써 참으로 ‘지혜로운’ 건축의 대가였습니다. 고린도의 ‘지혜로운’ 사람들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재료로 교회를 짓고 있기 때문에 시도할 위험이 있습니다. 또 다른 기초도 놓으려고요." [152]

3:11 그리스도 자신이 교회의 기초이시다(마 16:18; 참조, 사 28:16; 롬 9:33; 벧전 2:6). 다른 사람, 심지어 베드로의 업적 위에 교회를 세우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바울은 고린도에서 그리스도와 그분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을 전파하면서 교회의 기초를 놓았습니다. 사도들과 선지자들은 단지 이차적인 의미에서 교회의 기초입니다(엡 2:20). [153]

3:12-13 기초의 질이 가장 좋더라도 그 기초 위에 무엇을 쌓았느냐에 따라 건물의 상태도 좌우됩니다. 바울 시대에 도급업자들은 오늘날처럼 내구성이 있거나 가연성 재료로 건물을 지었습니다. 고린도 교회 건축에서 튼튼한 재료("금, 은, 보석")는 그리스도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분에 대한 의존, 즉 기초에서 나온 활동이었습니다. 이러한 일은 교회의 영구적인 영적 강화에 기여했습니다.

가연성 물질("나무, 건초, 짚")은 모든 형태의 인간 지혜에서 비롯된 활동이었습니다. 일시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는 했지만 지속적인 기여는 하지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목재는 어느 정도 가치가 있으며 건축하고 아름답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건초는 가치가 낮지만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밀짚은 가치가 가장 낮지만, 태울 때 열을 제공하여 여전히 유용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전자의 재료("금, 은, 보석")의 예는 하나님의 지혜에 속하며, 하나님의 말씀으로 교훈을 주고, 전도를 훈련하고, 오류를 반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후자의 자료("나무, 건초 또는 짚")의 예는 성경에 뿌리를 두지 않은 대중적인 사상의 가르침, 기독교 증인을 배제한 사회 사업, 단순히 이기적인 현세적 목적을 위한 시간과 돈의 사용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 비유에서 바울의 주된 관심은 건물 자체보다는 건물을 짓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고전 3:12의 여섯 가지 재료는 세 가지 좋은 특성의 단위에서 세 가지 나쁜 특성의 단위로 이동하여 내림차순을 나타내도록 배열되어 있습니다. 이 구절은 바울이 13절에서 '일'이라고 부르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그림을 사용합니다. 14. 바울의 요점은 하나님의 승인을 받고 영원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질 좋은 재료로 건축하도록 장려하는 것입니다. 해석자들은 때때로 상징의 의미를 교리, 사람, 활동 또는 성격으로 제한합니다. [올바른] 결론 상징 속의 바울은 그리스도의 큰 기쁨과 신자의 보상으로 이어지는 여러 가지를 결합한 것입니다. 이것은 기독교 봉사에 있어서 건전한 교리, 활동, 동기 및 성품입니다." [154]

하나님께서는 “그 날”에 하나님의 종들 각자의 일을 드러내실 것입니다. 이것은 신자가 하나님 앞에 서서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자신의 삶에 대한 청지기 직분에 대해 설명하는 날에 대한 언급이다(헬라 베마 ; 참조, 눅 19:11-27; 고전 1:8) , 고린도후서 5:10, 빌립보서 1:6, 10, 디모데후서 1:12, 18, 4:8, 요한계시록 22:12 등). [155] 그러면 하나님의 심판의 불이 각 사람의 일과 솜씨의 질을 시험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 사람의 인격은 시험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은 지옥의 불이 아니라 심판의 불입니다. 그러면 그 작품의 내구성이나 무상함이 분명해질 것입니다.

3:14-15 만일 주의 종이 교회 건축에 지속적으로 기여했다면 그는 상을 받을 것입니다. 만일 누군가가 단지 인간의 지혜를 추구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그 사람은 자신의 구원(“구원을 얻다”)을 유지하더라도 보상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바울은 불충실한 종을 불타는 집의 불길 속으로 끌려간 사람에 비유했습니다(참조, 마 25:14-30; 눅 19:11-27).

"내가 보기에 기독교인의 입장은 (구원 자체는 아니지만) 축복의 상실에 관한 놀라운 경고와 결합된 불굴의 구원의 확신 중 하나입니다." [156]

문맥은 손실을 겪는 사람들을 하나님의 평가를 견디지 ​​못하는 재료로 교회를 건축하려는 그리스도인으로 식별합니다. 비록 육신적인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에 지속적으로 기여하는 데 실패할 수도 있지만, 그들은 모든 육신적인 그리스도인들을 언급하지 않습니다(1-4절). [157] 바울이 15절을 썼을 때 말라기 3:2-3이 마음에 있었을 수 있습니다. [158] 그러나 말라기는 이스라엘의 미래 정결을 예언한 반면,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행위에 대한 미래의 시험에 대해 말했습니다.

"기독교 활동이라고 불리는 많은 일들은 단지 육체의 힘일 뿐입니다. 그것은 전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어떤 동기가 우리를 움직이게 합니까? 다른 사람들이 우리보다 우선시된다면 우리는 어떻게 느낄 것입니까? 이것은 좋은 것입니다. 우리가 하는 일이 주를 위한 것인지 우리 자신을 시험하는 길입니다." [159]

우리가 생각하는 보상은 미래에 하나님을 섬김으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는 기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참조, 마 25:14-30; 눅 19:11-27). 그리스도인은 현재 이 땅에서의 신실함에 비례하여 천년왕국 동안과 그 이후 영원히 하나님을 섬길 수 있는 기회가 많든 적든 갖게 될 것입니다. [160]

신약의 저자들은 이러한 상급을 다른 곳에서는 상징적으로 “면류관”으로 표현했다(참조, 9:25; 빌 4:1; 살전 2:19; 딤후 4:8; 약 1:12; 벧전 5 장) :4; 계 2:10; 3:11). 언젠가 우리 구주의 발 앞에 놓일 면류관을 얻기 위해 그리스도를 섬기는 것은 전적으로 합당한 일입니다(참조, 마 6:20). 면류관은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로 우리가 행한 신실한 섬김의 삶의 상징이다(참조, 계 4:4, 10).

"그(바울)는 [그의 서신에서] 보상의 동기를 윤리적 삶보다는 신실하고 효과적인 사역에 대한 인센티브로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둘은 완전히 분리될 수 없습니다." [161]

보상을 위해 하나님을 섬긴다는 생각이 불편하다면 산상수훈(마태복음 5~7장)을 다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곳에서 예수께서는 청중들에게 그렇게 함으로써 영원한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을 갖고 자신의 가르침을 따르라고 거듭 호소하셨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여러 차원에서 주님을 섬기라고 호소합니다. 확실히 그분을 향한 사랑이 우리의 주된 동기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성경 기자들은 또한 신자들에게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 주님에 대한 경외심, 우리 삶에 대해 심판대에서 그분께 직고해야 한다는 전망, 그리고 다른 이유로 주님을 섬기라고 촉구했습니다. [162]

"성경 전반에 걸쳐 하나님은 사랑, 두려움, 보상이라는 세 가지 주요 방법으로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하십니다. 그분이 가장 자주 사용하시는 동기가 무엇인지 알면 놀랄 것입니다. … 하나님이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하시는 구절을 추적해 보면 보상이 첫 번째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 두 번째로 두려워하고, 세 번째로 사랑합니다." [163]

“우리가 구원받은 후에는 넘치는 은혜가 있습니다. 물론 그 상급도 은혜로 말미암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하나님의 능력이 아니고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능력을 주시고 보상해 주십니다.” [164]

"삶과 봉사에 충실한 대가로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수여될 상급의 교리는 신성한 은혜의 교리와 짝을 이루며, 어떤 설교자나 평신도도 자신의 노력에 총명하지 않고 가장 위대한 신성의 소유자가 될 수 없습니다 . 이러한 조항과 계시에 의해 작동되지 않는 인센티브." [165]

여기서 고려되는 시험은 비성경적인 연옥 교리를 뒷받침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시험의 불을 당하시는 것은 신자 개인이 아니라 신자의 행위입니다. 하나님은 신자를 정결케 하기 위해 은유적인 불을 적용하시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질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신다. [166]

“신자들을 위한 상급의 전체 주제는 하나인데, 일반 기독교인이나 심지어 성경을 연구하는 일반 학자들조차 거의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즐겁고 엄숙한 주제이며 강력한 힘을 발휘해야 합니다. 삶의 거룩함을 위한 인센티브." [167]

"성경은 그리스도의 심판대를 한 가지 주요 목적으로 묘사합니다. 즉, 우리의 생각과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대하는 방식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그분의 재림을 기쁨으로 기대하고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들이 우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 [168]

"유일한 동기 부여 요인은 아니지만, 나는 심판대 교리( 베마 )가 경건한 삶을 위한 주요 성경적 동기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69]

"불행히도 사람들이 철학, '팝' 심리학, 경영 기술, 관계적 '좋은 감정' 등 세상의 지혜에 기초한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인간 시스템에서 교회를 세우려고 시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최후의 심판에서는 그러한 모든 건물(그리고 아마도 복음 자체보다 체계가 더 중요해진 수많은 다른 형태들)이 그것이 무엇인지, 즉 그리스도나 그분의 복음의 특성이 전혀 없는 단지 인간적인 어떤 것임이 드러날 것입니다." [170]

교회를 파괴하는 것에 대한 경고 3:16-17

이것은 아마도 교회를 가볍게 여기고 세상의 지혜와 분열로 교회를 파괴하는 것에 대한 신약성서의 가장 강력한 경고일 것입니다.

3:16 고린도 교회는 하나님의 성령이 거하시는 “성전”이었습니다. 바울은 여기서 개별 신자들이 하나님의 성전이 되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6:19), 우주적인 교회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엡 2:19-22; 벧전 2: 5). 그는 헬라어 본문에서 복수형 "너희"를 사용하고 단수형 "성전"을 사용한 것에서 분명해지듯이, 지역 교회를 구성하는 신자들의 집합체를 의미했습니다. 지역 회중은 단순한 “건물”(9절)이 아니라 하나님이 거하시는 성소(그리스어 나오스 )였습니다. 성령의 임재만이 그들을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성소로 표시했습니다(“하나님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신다”). 이 서신에서 바울은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고 열 번이나 물었습니다. (참조, 5:6; 6:2, 3, 9, 15, 16, 19; 9:13, 24) 그리고 매번 질문은 논쟁의 여지가 없는 진술을 소개한다.

신약성경의 저자들은 교회(신자들의 집단)를 하나님의 성전으로 자주 언급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이스라엘 백성의 물리적 성전에 존재하는 성소와 지성소를 구별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사원 단지를 전체적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바울은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 즉 성전 건물 자체( naos )를 성소를 둘러싸고 포함하는 성전 경내(헬라어 hieron )와 구별하였다.

3:17 누구든지 교회를 무너뜨리면 하나님은 그 사람을 세우지 아니하시고 멸망시키실 것입니다(행 9:1-4). 하나님은 보통 이런저런 형태로 현세적인 징계를 보내심으로써 이를 행하신다(참조, 5:5). 파괴하다( phtheiro ) 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는 더럽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거룩한 성전을 파괴하거나 더럽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었고, 그것이 바로 지역 교회이다(참조, 마 16:18). 고대 세계에서 사원을 파괴하는 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습니다. 비록 교회의 행위가 소명만큼 항상 거룩하지는 않더라도, 교회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영광스럽게 하기 위해 따로 떼어놓으셨다는 점에서 거룩합니다. 16절과 17절은 5:1-13의 교회 권징에 대한 논의를 예상합니다. [172]

“건축하는 자에는 세 부류가 있으니 지혜로운 자(12, 14절), 지혜롭지 못한 자(15절), 건물을 손상시키는 어리석은 자(17절)입니다.” [173]

바울은 하나님의 종들이 고린도에서 하고 있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역 교회에 대한 논의를 마쳤습니다(5-17절). 그는 또한 회중 내에서 견해의 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기 위해 그렇게 했습니다.

"... 이것은 우리가 지역 교회(성령이 내주하시는 하나님의 성전)의 본질을 이해하게 하고 17절의 경고가 지역 교회의 중요성을 분명히 보여주는 신약의 몇 안 되는 본문 중 하나입니다. 교회는 하나님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174]

6. 인간의 지혜와 제한된 축복 3:18-23

이제 사도는 1:18에서 시작된 자신의 주장을 결합하여 예비적인 결론을 내렸습니다. 만일 그의 독자들이 그들의 교사들의 자연스러운 견해를 고집하고 계속해서 추종자들의 파벌을 형성한다면 그들은 불필요하게 그들 자신에 대한 하나님의 축복을 제한할 것입니다. 바울이나 아볼로에게 속한 것이 아니라 바울과 아볼로와 더욱 많은 사람들이 그들에게 속한 것은 그들이 그리스도의 것이요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것이기 때문이니라.

3:18 바울은 자연적인 지혜보다는 영적인 지혜에 관한 주제를 계속했습니다. 그는 독자들에게 세상이 지혜롭게 여기는 태도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관점(“어리석은 자가 되라”)을 받아들여 참으로 지혜롭게 될 것을 촉구했습니다.

3:19-20 다시 바울은 자신의 진술에 추가적인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구약의 인용문을 사용했다(참조, 1:19, 31; 2:9, 16). 여기서 그는 욥기 5:13과 시편 94:11을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욥이 쓴 유일한 신약성경 인용문입니다.) 자연인이 생산할 수 있는 최고의 지혜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에 계시하신 지혜에 비하면 어리석음입니다. 믿지 않는 인류는 자신의 합리화를 통해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이 세상 지혜로운 자들의 추론은 인생의 가장 중요한 문제들에 있어서는 쓸모가 없습니다. 1장 18절부터 25절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지혜, 즉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가 세상에게는 미련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기에서 그는 똑같은 점을 거꾸로 지적했습니다. 즉 세상의 지혜는 하나님 보시기에 어리석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이 텍스트 섹션(포함)에 대한 북엔드를 형성합니다. [175]

3:21 “그러므로”는 사도의 결론을 나타낸다. 하나님의 종들 뒤에 무리를 지어 줄을 서서 사람들을 자랑하는 것은 그릇된 일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린도인들은 그들에 대한 하나님의 축복을 제한했을 뿐이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돕기 위해 보내신 모든 사람들을 감사하지 않음으로써 하나님의 좋은 은사들을 거부하고 있었습니다.

“아마도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말씀을 전하는 방식에 관해 개인적인 선호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개인적인 선호가 분열적인 편견이 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됩니다. 가장 필요해!" [176]

3:22 하나님의 모든 종들(“바울이나 아볼로나 게바”)은 고린도 사람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이었습니다. 세상(헬. 코스모스 , 우주)은 그리스도인들이 어느 날 그리스도와 함께 그것을 상속받고 다스릴 것이라는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의 것입니다. 생명과 그에 속한 모든 것(“현재 일이나 장래 일”)에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많은 축복이 담겨 있습니다(“모든 것이 주의 것입니다”). 죽음조차도 신자들에게 좋은 선물입니다. 죽음이 우리를 구주의 면전으로 인도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목록은 로마서 8:38-39에 있는 목록과 유사하며, 모든 것을 말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비유는 메리즘(merism)이다. 메리즘에서는 극으로 떨어져 있는 물체가 그 사이의 모든 것을 포괄하도록 의도됩니다.

"다섯 가지는 인간 삶의 근본적인 폭정, 우리를 노예로 만드는 것, 우리를 속박하는 것 등을 나타냅니다." [177]

3:23 그리스도당에 속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고린도 사람들이 그리스도에게 속했습니다(1:12). 그들은 모두 그분의 종들 중 한 사람의 것이 아니라 그분의 것이었습니다. 그리스도조차도 아버지의 권위와 보호 아래 있다는 의미에서 하나님께 속한다(참조, 8:6; 11:3; 15:28; 요 14:28). 이는 존재론적(본질적 존재) 종속이라기보다는 기능적 종속입니다.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께 속하고 만물은 그분의 것이기 때문에 모든 것이 그리스도인에게 속한다(그분께 넘겨졌다. 참조, 15:27; 골 1:16).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그분 안에서 모든 것을 소유하지만, 우리가 행하는 것은 그분 안에서만 가능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여러 가지 무질서를 바로잡을 때 하나님의 행정 질서를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이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들 위의 아버지, 남자 위의 아들, 여자 위의 남자(예, 8:6; 11:3; 15:24-28; 등). 사도는 고린도인들이 성령의 지배에 복종하지 않고 무질서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질서를 강조했습니다.

"아버지의 주권은 우주에서 권위의 초석이다(xi. 3, xv. 28)." [178]

"이 점에서 인간과 지혜에 대한 고린도 교만에 대한 바울의 반응은 적절한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훨씬 더 큽니다. 그래서 그는 다음으로 특히 그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다루게 됩니다." [179]

7. 고린도인들과 바울의 관계 ch. 4

이제 사도는 자신과 고린도의 다른 교사들이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주제로 돌아갔습니다. 그는 하느님의 종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더 많이 말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렇게 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그는 하나님께서 받아들이실 만한 종의 본질적인 특징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는 독자들이 지도자들을 더욱 높이 평가하고 그들 자신도 종으로서 바울의 모범을 따르도록 하기 위해 이렇게 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자신의 권위도 강조했습니다. 왜냐하면 아볼로나 베드로나 그리스도를 선호하는 교회 내의 파벌들이 실제로는 바울을 반대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고린도전서 1~4장 전체에서 바울은 주로 말다툼과 시기와 일방적 지배로 교회를 분열시키는 당파주의를 언급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다툼의 적지 않은 부분은 교회 내 여러 집단이 서로 연합하는 습관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잘 알려진 다양한 기독교 지도자들('나는 바울을 따른다'...)과 함께 진정한 기독교 리더십의 본질에 관한 고린도의 몇 가지 오해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이 신자들은 주변 세계에서 너무 많은 모델을 채택하고 있었습니다." [180]

“바울이 무엇보다도 하려고 하는 것은 고린도인들이 그의 궤도에 들어가 그의 종말론적 [마지막 때] 관점에서 사물을 보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단순히 그가 옳고 어떤 면에서 그들이 틀리는 문제가 아닙니다. 특정한 문제들입니다. '너희는 그리스도의 것이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사람의 존재 전체, 삶을 바라보는 방식 전체와 관련이 있습니다."[181 ]

하나님의 종들을 심판함 4:1-5

"첫 번째 문단(1-5절)은 종 모델을 적용하고 그것이 바울을 대하는 방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길을 안내합니다. 그는 농장에서 가정으로 이미지를 바꾸며 자신이 하나님의 종이라고 주장 합니다 . , 그들의 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의 종을 판단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심판을 주제로 하면서 그는 모든 사람이 경험해야 할 미래의 심판을 다시 상기시키기 위해 관점을 부드럽게 넓힙니다. [182]

4:1 기독교 학습자들은 기독교 교사들을 당의 지도자가 아닌 그리스도의 종이며 하나님의 신비를 맡은 청지기로 보아야 합니다. 바울은 3장 5절( 디아 코노이) 에서 사용한 것과는 달리 여기서는 종에 대해 다른 단어( 하이레타이 )를 사용했습니다 . 이 단어는 당시 갤리선에서 가져온 형상인 노젓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노를 젓는 노예들은 각자의 노력을 조정하는 사람의 권위 아래 배를 추진했습니다. 노예들은 지도자의 지시를 따랐기 때문에 배는 원을 그리지 않고 직선으로 항해했습니다. 다른 단어( 디아코노이 )는 종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단어입니다.

청지기는 주인이 사업이나 재산의 관리를 맡긴 특별한 종류의 종이었습니다. 그의 임무는 자신의 이익이 아닌 주인의 이익을 돌보는 데 자신의 시간과 재능과 에너지를 바치는 것이었습니다. 이 그림은 그리스도께 속한 사도들의 겸손한 위치와 하나님 아래서 신뢰할 수 있으면서도 책임이 있는 중요한 위치를 강조합니다. “하나님의 신비”는 기독교 신앙의 진리를 가리킨다. 그러면 이 비밀의 청지기는 계시된 진리를 가르치는 교사를 가리킵니다. [183]

"(이 편지에는 '신비'가 자주 등장합니다(2:7; 4:1; 13:2; 14:2; 그리고 아마도 2:1). 이것은 헬레니즘 지혜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일치합니다[참조, 지혜 2:22; 6:22; Wis 14:15, 23의 이교 신비와 반대]." [184]

4:2 청지기의 가장 중요한 자질은 주인의 뜻에 따라 주인의 일을 관리하는 것이다(참조, 마 25:14-30; 눅 16:1-13; 19:11-27; 1 베드로전서 4:10). 그는 주인의 신뢰에 충실해야 합니다("신뢰할 만한 사람이 되십시오"). 바울에게 이것은 복음과 주님의 부르심에 충실함을 의미했습니다(참조, 15:1-11).

“… 내가 하나님의 말씀을 충실하게 펼치는 한, 내 설교가 여러분에게 특별히 호소력이 있는지 없는지 관심이 없습니다. 나를 보내신 분을 기쁘시게 한다는 것을 아는 한, 내가 불쾌하시더라도 크게 염려하지 않습니다. 너." [185]

4:3 바울에게는 고린도 사람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그가 그의 청지기 직분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그가 얼마나 인기가 있고 인기가 없는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성과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도 부적절했습니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그의 봉사에 대한 하나님의 평가였습니다. 바울은 하나님 앞에서 선한 양심을 갖고 살려고 노력했지만 성찰("나 자신을 살피지도 아니하노라")에는 많은 시간과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는 책임을 져야 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에게 맡기신 일을 최선을 다해 수행하는 데 집중했습니다(참조, 3:13).

4:4 바울은 자신이 신실하게 하나님을 섬기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양심이 예민해야 할 만큼 예민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나는 이것으로 인해 정당하지 않습니다"). 오직 그의 주인(“주”)만이 그를 판단(“심사”)할 수 있는 통찰력과 권위를 갖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종은 자신의 봉사를 평가할 수 없습니다. 그가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시간 낭비일 수도 있습니다. 그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것은 단지 그 순간을 위한 메시지일 수도 있습니다." [187]

4:5 오직 한 분만이 최후의 판결을 내리실 만큼 통찰력과 권위를 갖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렇게 하려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입니다. '심판전 심판'은 없게 해주세요! 물론 우리는 때때로 판단을 내려야 하지만, 사물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불완전하다는 것을 항상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을 심판하실 곳은 그리스도의 심판대입니다. 바울이 자신의 서신에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언급한 것이 그 사건을 그가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가늠하는 척도라면, 그는 그 사건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자주 생각한 것입니다(참조, 고후 1:14; 5:10; 빌 2:16) , 데살로니가전서 2:19-20, 디모데후서 1:12, 18, 4:8 등).

“바울은 임박한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대하며 살았습니다.” [189]

“어둠 속에 감추인 것들”에는 아마도 하나님의 종들의 무의식적인 동기가 포함될 것입니다. 문맥에서 이 “일들”은 하나님께서 용서하시고 잊어버리시는 숨은 죄를 의미해서는 안 됩니다(시 103:12). "어둠"이 반드시 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현재 우리가 볼 수 없는 영역, 즉 우리 마음의 동기를 암시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어떤 삶에서나 가장 큰 주된 힘이 욕망이지 지성이 아니라 의지가 아니라 감정이 아니라 욕망[?]이라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까? 우리는 무엇을 원하는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190]

분명히 하나님께서는 심판 날에 모든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그를 칭찬할 만한 무엇인가를 찾으실 것입니다. 바울은 각 종이 자기에게 합당한 것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을 뿐 아니라 각 사람이 어느 정도 칭찬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만일 너희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고, 오는 날에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하나님을 위하여 보상받을 만한 어떤 일을 성취하였음이 드러날 것입니다.” [191]

물론 우리 가운데 더 충실한 사람이 덜 충실한 사람보다 더 많은 칭찬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바울)는 여기에서 칭찬을 받지 않고 비난을 받을 사람들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습니다(요일 2:28 참조). 그는 여전히 고린도의 상황에 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상황에서 어떤 사람은 바울을 칭찬하고 어떤 사람은 아볼로를 칭찬하고 일부는 Cephas를 위한 것입니다." [192]

"... 우리가 찬양의 문제를 하나님의 손에 맡길 때, 우리는 사람들의 환호와 그들이 사용하는 공허한 말을 무시하게 됩니다." [193]

1-5절은 우리를 섬기는 사람들을 우리의 종이 아니라 하나님의 종으로 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들은 또한 우리가 하나님의 종으로서 사람들의 현재의 칭찬보다는 미래의 주님의 승인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도와줍니다. 목사에게 "카리스마적" 자질이 부족했기 때문에 그에게 환멸을 느낀 회중은 고린도 교회만이 아니었다.

잘못된 것을 자랑으로 여김 4:6-13

"비꼬기와 아이러니가 가득한 수사법으로 그(바울)는 경정의를 지향합니다. 그가 자신의 '부끄러움'과 그들의 인식된 '높은 지위'를 대조하면서 대담한 부조로 묘사하는 그 자신의 사도직은 홀로 그리스도교 신학과 조화를 이룹니다. 십자가." [194]

4:6 바울은 자신과 아볼로를 농부, 건축자, 종, 청지기 등 다양한 비유로 묘사했습니다. “기록된 것보다 뛰어남”은 성경의 가르침을 넘어서는 것이다(참조, 15:3-4). 그의 독자들이 이 함정을 피한다면 그들은 다른 교사보다 한 교사를 자랑스러워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서신에서 바울은 경건한 지혜와 사랑보다는 인간의 자만심이 묻어나는 태도와 활동을 묘사하기 위해 “교만해지다”(헬. 물리우마이 )로 번역된 동사를 자주 사용했습니다(참조, 18-19절; 5:2; 8:1) , 13:4). 이 단어의 빈번한 사용은 고린도인들의 주요 문제 중 하나를 드러냅니다. 그들의 태도가 잘못된 것은 그들의 견해가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이 페리코프의 나머지 부분에서 그들의 전망과 그에 따른 거부를 다루었습니다.

4:7 사도는 고린도인들에게 그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누구보다 우월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이는 남을 판단하는 태도를 전제로 한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그들이 가진 모든 것을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자랑할 것이 아니라 감사해야 합니다.

4:8 독자들은 마치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이미 칭찬을 받은 것처럼 행동했습니다.

"… 영적 포만감[건강하거나 과식하는 느낌]은 성장이 정지되었다는 표시입니다. 대조 빌립보 3장 10-14절과 참조. 요한계시록 3 장 17절 …" [195]

고린도인들의 행동은 또한 그들이 종말론을 지나치게 인식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낮은 종처럼 처신하고 하나님의 일을 신실하게 관리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했습니다(1절). 바울은 상급의 시간이 이미 도래하여 독자들과 함께 통치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냉소적으로 말했습니다. 불행하게도 고난은 영광보다 앞서야 합니다.

“그리스도와 성도들이 현재 지상에 있는 하나님의 왕국에서 통치하고 있다는 이론은 사도 바울에 의해 특별히 반박되었습니다(참조, 5, 9-13; 딤후 2:12).” [196]

"아이러니는 충격적입니다. 8절과 10절에서 능숙하게 과장된 그들이 자신을 인식하는 방식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가 마땅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그가 실제로 존재하는 방식은 11-13절의 수사법에 나와 있습니다. 그게 그들 모두가 그래야 하는 방식이야." [197]

아이러니와 냉소는 고대 그리스-로마에서 대중적인 담화 방식이었다(참조, 고후 11:7). [198]

4:9 바울은 여기서 로마 경기장의 시합, 특히 콜로세움에서 사형수들과 야수들 사이의 싸움을 염두에 두고 있었을 것입니다. 이 전투는 결코 적지 않은 “장면”이었습니다. [199]

"…승자는 목숨을 건지지 않고 단지 또 다른 전투를 위해 남겨두었을 뿐이므로 그러한 비참한 범죄자들은 ​​매우 적절하게 헌신된 사람 또는 죽음에 임명된 사람이라고 불릴 수 있었습니다 ." [200]

또 다른 견해는 바울이 로마인의 승리(승리 행렬)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그가 다른 곳에서 더 충분히 발전시킨 예였습니다(고후 2:14). 그 행렬의 끝에는 경기장에서 죽을 전쟁 포로들이 왔습니다.  경우 모두 바울은 사도들을 궁극적으로 굴욕을 당하는 그룹으로 생각한 것 같습니다. 그들은 지도자들이었으며, 그리스도를 위한 그들의 고난은 상식이었습니다. 그렇다면 고린도인들이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로서 그들의 교사들과 함께 고난을 함께 나누기보다 왕처럼 사는 것이 얼마나 부적절하였겠습니까?

“노골적인 교만을 품은 고린도인들은 자신의 용감한 전리품을 과시하는 정복 장군과 같았고, 사도들은 죽을 운명에 처해 있는 작은 포로들과 같았습니다. 고린도인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삶은 그들의 교만과 특권을 과시하고 존중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들의 성취는 바울에게 그것은 그리스도를 위해 죽을 준비가 된 겸손한 봉사를 의미했습니다." [202]

이 구절에서 구경거리로 번역된 극장이라는 단어를 파생한 그리스어 테아 트론 (theatron)은 고린도인들이 사도들을 연예인으로 여겼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전에 강단이나 단(설교자가 설교를 하기 위해 서 있는 곳)으로 언급되었던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현대 용어 무대는 오늘날 일부 사람들이 우리 설교자들을 설교자라기보다는 연예인으로 보고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참조, 대하 6:13; 느 9:4).

바울은 여기서 분명히 선한 천사를 의미했는데, 왜냐하면 다른 곳에서 그는 때때로 우리가 악한 천사라고 부르는 것을 언급하기 위해 “정사와 권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참조, 엡 3:10; 6:12; 골 1:16; 2:15).

4:10 이 절에서 사도들과 고린도인들 사이의 대조는 그들의 상태의 차이를 명확히 한다. 자연인(구원받지 않은) 사람들은 사도들이 바보라고 생각했지만 그들은 그리스도를 위해 이러한 조롱을 기꺼이 감수했습니다. 반면에 고린도인들과 다른 사람들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행동에 있어 스스로를 신중한(헬. 프로니모스 , 지혜로운, 총명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천성적으로 지혜로운 사람이 보기에 사도들은 약해 보였지만 고린도 사람들은 강하게 보였습니다. 고린도인들은 뛰어난 것처럼 보였지만 사도들은 불명예스러운 것(“존귀하지 않음”)을 보였습니다.

"… 이 교회는 세상과 위험할 정도로 좋은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viii. 10, x. 14-33, cf. 2 Cor. vi. 14-vii. 1)…" [203 ]

4:11-13 바울은 십자가의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들에게 닥치는 불명예를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헬라인들은 바울이 고린도에서 그랬던 것처럼 육체 노동을 하는 사람들을 멸시했습니다(참조, 9:4-18; 행 18:3, 5; 고후 11:9; 12:13-17). 그들은 그것을 노예의 일로 여겼습니다. [204] 자기를 저주하는 사람을 축복하는 것은 세상 사람들에게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예수님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라 바로 그렇게 했습니다(루카 6,28; 23,34 참조).

"페리카타르마타("쓰레기, 더러운 것, 쓰레기)와 페리프세마 ("찌꺼기, 닦아내고 먼지를 닦은 것)는 특히 속죄 제물로 희생된 가장 낮은 계층의 유죄 판결을 받은 범죄자들, 즉 희생양에게 사용되었습니다. 사실상 그들의 타락한 삶 때문에 전염병, 기근 또는 기타 하늘의 방문이 있을 경우에 깨끗해지거나 깨끗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바다에 던져질 수 있는 어떤 쓸모없는 사람들을 남겨두는 것이 아테네의 관습이었습니다. 민족의 죄악을 닦아 주소서." [205]

사도들에 대한 이 모든 묘사는 그들이 복음을 선포하기 위해 기꺼이 몸을 굽혔음을 강조한다(참조, 빌 2 장). 불신자들은 물론, 자연적으로 사물을 보는 신자들도 그들을 바보라고 불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러한 극단으로 나아갔습니다.

이 부분(6-13절)에서 바울은 고린도인들의 관점과 사도들의 관점을 대조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의 관점은 사실상 구원받지 못한 자연인의 관점과 동일했습니다. 독자들이 존경하고 따른다고 공언했던 사도들의 견해는 전혀 달랐습니다. 고린도인들은 현명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교만했습니다.

마지막 호소와 권고 4:14-21

바울은 고린도인들의 부끄러운 행위와 육욕적인 철학을 시정하게 된 자신의 사도적 권위를 재확인함으로써 서신의 첫 번째 주요 부분(1:10-4:21)을 마무리했습니다. 그는 비유를 다시 바꾸어 이제는 자녀의 아버지로서 그들에게 호소했습니다. 그는 만일 그들이 그의 온화한 접근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그는 그들에게 더 엄하게 대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말을 마쳤습니다.

4:14-15 바울이 바로 앞절을 쓴 목적은 고린도인들을 모욕(“부끄러움”)시키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다른 교회들이 이 서신을 읽을 것이고 고린도 교회는 그들에게 그다지 좋게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오히려 바울은 믿음의 조상으로서 그들을 강력히 권면하고 싶었습니다. 그들 에게는 은혜 안에서 성장하도록 그들을 인도하려고 애쓰는 많은 “가정교사”나 보호자(헬. 파다고고이 )가 있었지만, 그는 그들의 유일한 영적 아버지였습니다.

" 파이라고고스 는 소년을 동행하고 학교와 집에 다시 데리고 가서 그가 '대사'를 낭송하는 것을 듣고 예의범절을 가르치고 일반적으로 그를 돌봐주는 개인 수행원이었습니다. 그는 존경받을 자격이 있었고 일반적으로 존경을 받았습니다. 그와 소년의 관계는 그 소년의 아버지와의 관계와 비교할 수 없었습니다." [207]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하늘에 아버지가 한 분이 계시기 때문에 땅에 있는 사람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을 금하셨는데(마태복음 23:9), 바울은 어떻게 감히 자신에게 아버지라는 이름을 적용할 수 있습니까? 나는 대답합니다. 적절하게 말하면 하나님만이 아버지이시지 아버지이시지 않습니다. 우리 영혼뿐 아니라 우리 몸에도 그러하니라 그러나 육신에는 자녀를 준 자에게는 아버지라 이름을 주시나 자기만을 위하여 두느니라 영혼에 관한 '아버지'의 권리와 칭호 때문에 나는 그분이 '영의 아버지'라는 특별한 칭호를 갖고 계시며, 사도가 히브리서 12장 9절에서 말한 대로 지상의 아버지들과 구별되어야 함을 고백합니다. 그러나 그분만이 자신의 능력으로 영혼을 낳으시고, 그들을 거듭나게 하시고, 그들을 살리시지만, 이 목적을 위해 그분의 종들의 사역을 활용하시기 때문에, 이 사역과 관련하여 그들을 아버지라고 불러도 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게 하면 하나님의 명예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208]

4:16 고린도인들은 아들이 아버지의 본을 보고 배우듯이 바울에게서 배워야 했습니다.

“모방은 아이의 생활의 법칙입니다. 참조, 엡 1 절; 가장 높은 예를 보려면 요한 17-20 절을 참조하십시오.” [209]

바울 시대의 그리스 철학자들도 추종자들이 본받을 도덕적 모범을 제시했으며, 때로는 자신을 모델로 삼기도 했습니다. 바울 은 여기서 그렇게 하고 있었다(참조, 11:1).

"... 바울의 서신서에 나오는 실제 윤리적 교훈은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언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모든 페이지에는 그의 모범과 가르침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211 ]

예를 들어, 바울은 자신의 서신서에서 제자라는 단어를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대신 그는 독자들에게 자신의 자녀 또는 형제로서 호소했습니다. 교사와 그의 제자를 지칭할 때 사용되는 아버지와 자녀라는 비유는 유대교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4:17 디모데는 곧 고린도에서 (에라스도와 함께, 행 19:22) 바울의 개인 대표자로 봉사할 것입니다. 몇 가지 요인은 바울이 이 서신을 쓸 당시 디모데가 이미 에베소를 떠났지만 아직 고린도에 도착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지적합니다(참조, 행 19:22). 이러한 요인 중 하나는 바울이 이 서신의 인사말에서 디모데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요소는 "보냈다" 또는 "보내고 있다"로 번역된 동사의 시제입니다(NIV; epempsa , 부정과거 시제). 세 번째 요인은 나중에 바울이 디모데를 언급한 것입니다(16:10-11). 디모데는 주 안에서 바울의 사랑스럽고 신실한 자녀일 뿐만 아니라, 바울의 가장 가깝고 신뢰받는 동역자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여기서 바울의 삶의 방식은 그가 그리스도의 권위 아래서 어떻게 살았는지, 구체적으로 그가 가르치고 실천한 윤리적 원칙을 가리킨다.

"… 오늘날의 기독교 지도자는 복음을 가르쳐야 할 뿐만 아니라 복음이 일상 생활과 행동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가르쳐야 합니다. 그리고 그 연합은 설명될 뿐만 아니라 모델이 되어야 합니다. 그 필요성은 심지어 고백 신학교에서도 분명합니다. 제가 가르치는 곳에서 철저하게 이교도적이거나 세속적인 배경을 가진 학생들, 10대 후반이나 20대에 개종한 학생들, 30대에 우리에게 오는 학생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꽤 많은 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욱 극적인 것은 그들 중 놀라울 정도로 많은 수가 복음 진리와 생활 방식을 쉽게 연결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몇 년 전, 졸업을 앞둔 한 학생이 중 한 학생에게서 전화를 받았습니다. 그 학생이 컴퓨터 공학으로 돌아가고 직업 사역에 대한 계획을 포기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게 된 우리 교수진은 그 학생이 유쾌했고 학점이 확실한 B+였습니다. 그러나 교수진이 조사한 결과 이 ​​학생이 다음과 같은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다 합치지 마세요. 그는 화해를 정의할 수 있었지만 용서받았다는 느낌이 어떤 것인지는 몰랐습니다. 그는 구원에 있어 은혜의 우선순위를 옹호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자신이 목사가 될 만큼 선할 수는 없다고 느꼈습니다. 그는 거룩함을 정의할 수 있었지만 거룩함을 추구하기보다는 확고한 자기 훈련을 실천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삶과 그의 신학적인 이해는 조화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다행히도 이 특별한 교수진은 영적으로 통찰력이 있었습니다. 그분은 그 학생을 다시 십자가로 데려가시고 그 지점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일하셨습니다. 그 학생은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울기 시작했습니다. 오늘 그는 사역 중입니다." [212]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길에서 떠난 사람은 자신이 아니라 고린도 사람들이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부드럽게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여기서 그가 그들에게 상기시킨 것은 모든 교회의 표준적인 가르침이었다(참조, 1:2; 7:17; 11:16; 14:33, 36).

4:18 바울을 마땅히 받아야 할 만큼 높이 평가하지 않은 일부 고린도인들은 그들 자신과 그들의 생각에 대해 교만해졌습니다(참조, 6 절). 그들은 다시는 바울을 만나지 않을 것처럼 그렇게 했습니다. 분명히 그들은 그가 고린도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느꼈고, 설사 그렇게 한다고 해도 그의 영향력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4:19 그러나 바울은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면 돌아갈 계획을 세웠습니다. 분명히 그는 한동안 돌아올 수 없었습니다. 고린도후서에서 그는 오겠다고 약속했지만 오지 않았다는 취지의 교회 내부의 비판에 응답했습니다(고후 1:15-18).

바울은 교회에서 우월한 지혜를 주장하는 모든 것이 세상적인 관점에서 사물을 본 결과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 뒤에는 현실이 없었습니다.

4:20 사도는 말과 참된 능력 사이의 이전 대조로 되돌아갔다(2:1-5). 변화를 가져오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능력은 겸손한 사자를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의 능력입니다. “하나님의 왕국”은 미래의 천년왕국을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나는 이것이 아마도 그의 백성의 마음 속에 있는 그리스도의 현재 통치를 가리킨다고 생각합니다. [214]

4:21 이 서신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반응은 사도가 그들에게 징계하는 자로서 돌아올 것인지 아니면 기뻐하는 아버지로서 그들에게 돌아올 것인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바울의 온유한 정신은 주 예수님의 특징이기도 했지만(마 11:29), 비록 그것이 고린도의 오만한 정신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습니다.

바울은 강력하고 직면적인 도전으로 고린도전서의 이 부분을 마무리했습니다.

"기독교 리더십은 하나님의 '비밀'을 위임받는 것을 의미합니다(4:1-7)." [215]

"기독교 리더십은 십자가의 빛 가운데 사는 삶을 의미합니다(4:8-13)." [216]

"기독교 리더십은 하나님의 백성들 사이에서 십자가의 길을 격려하고 필요하다면 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4:14-21)." [217]

일부 교사들의 평가절하로 인해 고린도인들은 그들로부터 최대한의 유익을 얻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들의 견해에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그들은 믿지 않는 사람들과 똑같은 방식으로 하느님의 종들을 평가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육신적인 관점은 1-4장의 주요 주제입니다. 고린도인들은 성령께서 그들의 태도를 변화시키도록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이 부분(고전 3~4장)에 드러난 기독교 사역에 대한 바울의 견해는 이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사역은 그리스도에게 책임이 있는 신성한 마련입니다. 그것은 나머지 사람들에게 주어진 교회의 일부입니다. 교회는 다양한 은사와 직무로 구성되어 있으나 하나님의 일치와 교회의 일치로 연합되어 있습니다. 지상의 주님이시므로 교회 전체가 따라야 할 모범이 됩니다." [218]

“때때로 바울이 여러 가지 주제를 엮어 엮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관심은 단 하나입니다. 고린도인들이 '자랑'할 뿐만 아니라, 바울과 그의 복음에 맞서기 위해 그는 다양한 논쟁을 통해 그들의 '지혜'에 맞서 그의 복음을 제시하고 사역과 교회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바꾸려고 노력합니다.... 이 구절에서 어조의 변화는 다음 중 일부를 드러냅니다. 기독교 사역에 계속 존재하는 실제 긴장, 가혹하거나 다른 사람의 죄보다 우월하다는 암시 없이 예언하는 방법, 사람들이 자신을 너무 높게 생각할 때 복음에 부합하도록 행동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방법. 이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쉬운 대답은 없습니다. 그러나 교회에서 사역하도록 부름받은 사람은 항상 그렇게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사람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는 것은 임무의 일부입니다." [219]

일부 학자들은 바울이 원래 이 서신을 여기서 끝내려고 했다고 생각합니다. 이 의견 은 처음 네 장이 독립적일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합니다. 이 견해는 편지의 이 부분의 통일성을 지적합니다. 그러나 이 가설을 증명하거나 반증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5장부터 14장까지는 고린도 공동체의 구체적인 문제가 고려되고 동시에 다른 일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목적 지침이 주어지면서 분명해집니다. 여기 저기 진술을 통해 인식론[지식에 대한 견해]이 제시되었습니다. 1:18-2:16의 내용이 독자들 앞에 제시되어 있으며, 그들은 십자가에 못 박힌 메시아의 메시지와 일치하는 새롭고 다른 방식으로 자신과 회중 생활을 보도록 유도됩니다." [221]

B. 교회의 권징 부족 chs. 5—6

바울에게 보고된 고린도 교회의 ​​두 번째 필요 사항은 권징의 부족과 관련이 있었습니다(참조, 갈 5:22-23). 서신의 이 부분은 첫 번째 주요 부분과 강한 연관성을 갖고 있습니다. 교회의 권징 부족(5~6장)은 교회의 권위의 위기를 반영합니다(1:10~4:21).

"과격한 조치를 촉구하기 전에 일치가 확립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 조치는 한 정당의 조치가 되었을 것이고 교회의 분열은 더욱 악화되었을 것입니다." [222]

고린도인들은 오만했고 세상적인 권력 개념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이러한 육욕적인 태도는 바울이 다음에 다루려고 했던 교회의 세 가지 문제, 즉 근친상간, 소송, 매춘을 낳았습니다.

"세상이 읽을 유일한 성경은 그리스도인의 일상생활이며, 세상에 필요한 것은 개정판이라고 흔히 말합니다! 다음 두 장은 고린도전서 개정판을 만들기 위해 바울이 고안한 것입니다. [올바른 교리] 뒤에는 정통 실천[올바른 실천]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223]

1. 교회에서의 근친상간 ch. 5

교회는 근친상간을 범한 회중 남성에 대해 매우 관대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바울은 이 상황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설명하고 독자들이 부도덕에 대해 그들이 갖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견해를 가질 것을 요구했습니다(1-8절). 그런 다음 그는 교회 안팎에서 그리스도인과 부도덕한 사람들의 관계라는 더 큰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9-13절).

"문제가 되는 것은 단순히 죄에 대한 낮은 견해가 아니라 교회 자체입니다. 교회가 윤리적 의미를 지닌 바울의 복음을 따를 것입니까? 아니면 그러한 죄를 용인하고 그에 따라 현재의 '영성'을 계속 유지할 것입니까?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을 파괴합니까(3:16-17)? 따라서 바울은 자신의 권위를 주장하고 더 큰 문제인 성적 부도덕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이 구체적인 예를 사용합니다." [224]

"5:1-13의 특이한 특징은 근친상간 관계에 있는 남자보다 공동체에 대해 먼저 언급하고 더 광범위하게 언급하는 방식입니다. 회중은 교만하고 자랑하며 슬퍼하지 않는 것으로 구별됩니다. 바울의 책망은 새로운 공동체적 자기 이해를 위한 긴급한 호소입니다.(5:6-8) 무교병과 유월절 양의 제의적 이미지를 혼합한 본문은 고린도인들이 자신들을 무교 공동체로 다르게 생각하도록 밀어붙입니다. 이는 유월절 양이 희생된 공동체로서 정직성과 신뢰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십자가에 못박힌 메시아는 독자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새로운 관점의 중심에 있습니다." [225]

이 사건에 대한 바울의 판단 5:1-5

5:1 “부도덕” 은 음행, 특히 금지된 파트너와의 성관계(결합)를 뜻하는 헬라어 포르네이아( porneia) 의 일반적인 번역이다 .

" 포르네이아 ("부도덕")는 모이 케이아("간음")를 포함하든(마태복음 32절에서와 같이) 구별하든지(마태복음 15장 19절) 모든 부도덕한 성적 관계를 의미합니다. " [226]

이 경우의 정확한 범죄는 부도덕한 남자의 아버지와 결혼한 여자와의 성적 결합이었다(참조, 마 5:27-28, 32; 15:19; 19:9; 막 7:21). 만약 그녀가 그의 실제 어머니였다면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했을 것입니다. 분명히 그 여자는 그의 계모(즉, “그의 아버지의 아내”)였다. 그녀는 아마도 그의 나이와 가까웠을 것입니다.

"그 여자는 분명히 범인의 어머니가 아니었고 아마도(모이케이 아 (간통) 대신 포르네이아를 사용한 것이 이를 증명하지는 못하지만) 당시 그녀는 범인 아버지의 아내도 아니었을 것입니다. 이혼하는 일이 흔한 일이었으며, 아니면 그 남편이 죽었을 수도 있습니다." [227]

“있다”로 번역된 동사(그리스어 현재 시제)는 성적 또는 결혼적 맥락에서 사용될 때 “하룻밤의 관계”(참조, 7:2)와는 대조적으로 지속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완곡한 표현이다. 이 남자와 이 여자는 '동거'하고 있었습니다. 남자가 바울의 비난의 유일한 대상이기 때문에 여자는 교회에 다니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녀는 아마도 그리스도인은 아니었지만 하나님께서 심판하실 “외인” 중 한 사람이었을 것입니다(13절). [228]

“그리스 세계에서 포르네이아 ('성적 부도덕') 라는 단어는 단순히 매춘부에게 가서 성적 쾌락에 대한 대가를 지불한다는 의미에서 '매춘'을 의미했습니다. 매음굴 또는 좀 더 신중하고 연인[연인]과 함께 갔으나 헬레니즘 유대교에서는 항상 경멸적으로[불찬이나 경멸을 표현]하여 모든 혼외 성적인 죄와 일탈[정상에서 일탈]을 포괄하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동성애를 포함하여 이것은 특별히 이러한 죄를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스토아 학파를 제외하고는 포르네이 아가 신약의 악덕 목록의 첫 번째 항목으로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그리스도인들이 성적으로 '매달려' 있기 때문도 아니고, 이것을 일차적인 죄인 '주홍 글자'로 여겼기 때문도 아닙니다 . . 그것은 문화에 널리 퍼져 있던 결과이며, 초대 교회가 이방인 개종자들이 부도덕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이전 방식을 깨뜨려 겪었던 어려움의 결과입니다." [229 ]

이스라엘의 지도자들과 초대교회의 지도자들은 모든 종류의 음행을 피해야 할 죄로 여겼습니다(레 18:8; 신 22:30; 27:20; 행 15:20, 29; 21:25). 만일 죄인의 아버지가 아직 살아 있고 그 여자와 결혼했다면 간음도 있었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통역사는 이것이 근친상간과 간음이 아닌 근친상간 사례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만일 바울이 모세의 율법 아래서 살았다면 그는 죄를 지은 남자와 여자 모두에게 사형을 선고했어야 했습니다(레 18:8, 29). 그러나 그는 새 언약 아래서 살았으며 다른 형벌을 옹호했습니다(5절). 그리스 문화가 타락한 만큼 이교도들조차 근친상간을 무시했고, 로마법은 이를 금지했습니다. [230]

5:2 이 상황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태도는 죄 자체보다 더 나빴습니다. 이에 대해 애도하고 가해자를 징계하기는커녕 오히려 “교만”해졌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지위 때문에 성도덕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그것을 그리스도인의 자유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여겼을 것입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그들이 세상적인 지혜 때문에 성적 억제를 버리도록 격려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바울은 여기서 '교회 권징'을 그 자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유대인 유산을 바탕으로 거룩한 백성으로 부르심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정상적인 결과가 무엇인지 표현하고 있습니다(1:2). ). 고린도의 영성이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의 복음에서 흘러나오는 영성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성령 안에 있는 그들의 삶에 대한 윤리적 결과가 없다는 점입니다. 바로 그들의 오만함 때문에 그들의 집단적인 죄악의 깊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바울로 하여금 다음 문장에 설명된 것처럼 강한 행동을 취하게 만드는 것입니다(3-5절). [231]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은 왜 이 사람의 죄로 인해 슬퍼해야 했습니까? 첫째,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형제자매들의 교제로서 그들 중 한 사람의 죄로 인해 버림받았어야 했기 때문입니다. 둘째, 교회 안에서 한 사람이 죄를 지으면 그의 죄가 교회 전체를 오염시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간 가족 중 한 사람이 자신을 불명예스럽게 하면 그의 행동은 가족 전체를 불명예스럽게 합니다. [232]

5:3 바울은 앞서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4:5). 그러한 판단은 주님께 대한 신실함의 정도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노골적인 부도덕이었습니다. 이 문제를 처리해야 했습니다. 바울은 비록 물리적으로 그들과 함께 있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에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이미 판단했습니다. 사건은 매우 명확해서 그 사람이 강력한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범죄를 저질렀다는 사실을 알기 위해 그가 참석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5:4 사도는 신자들이 자신의 통치를 주님의 뜻으로 여기기를 원했습니다. 그는 그들이 징계를 시행할 때 하나님께서 그분의 능력으로 이를 뒷받침하실 것이라고 확신시켰습니다. “우리 주 예수의 이름으로”라는 문구는 아마도 “내가 이런 자를 사단에게 넘겨 그 몸은 멸하기로 작정하였노라”(5절)를 수정한 것 같습니다. 다음 판결을 내릴 때 바울은 예수의 이름으로, 즉 그분의 권위로 행한 것이었습니다.

"5:2에서 교회가 범죄한 사람 에 대한 조치를 거부하는 것은 바울이 징계를 집행할 것이라는 그들의 오만함과 의심의 가장 눈에 띄는 예를 제공합니다(4:18). 그러므로 여기에서 그는 징계를 집행합니다(5:5). 그의 '능력'(4:19-21)을 의심하지만 그는 예수님의 능력으로 행동합니다(5:4)." [234]

5:5 바울은 그 사람을 사탄에게 넘겨 그의 몸을 멸하기로 작정했습니다. 바울이 여기서 의미한 바를 이해하는 문제의 일부는 그가 몸(그리스어 사르크스 , 직역하면 육체)이라는 단어를 문자적으로(육체적인 몸) 사용했는지 은유적으로(죄 많은 인간의 본성) 사용했는지 결정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그가 육체와 영을 대조했다는 사실은 육체에 대한 문자적인 이해를 뒷받침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자신의 뜻이라면 소마 (몸을 뜻하는 헬라어 단어)를 사용할 수도 있었습니다 . NASB 번역가들은 sarx를 본문으로 번역했는데 , 이는 그리스어 단어를 문자 그대로 이해하는 것을 선호함을 보여줍니다.

아마도 바울은 그 사람을 세상에 넘겨주었다는 의미였을 것입니다. 사탄은 물론 하나님의 허락을 받아 그의 때이른 죽음(“멸망”)을 초래할 수도 있는 신체적 육체적 고통을 위해 세상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하나님 은 욥을 육체적 고통으로 인해 사탄에게 넘겨주셨지만, 사탄이 그를 죽이지 말라고 명시하셨습니다(욥 2:6). 조기 사망은 베드로가 그들의 죄와 관련하여 아나니아와 삽비라를 다룬 결과였지만, 본문에는 베드로가 그들의 몸을 멸망시키기 위해 그들을 사탄에게 넘겨주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행 5:1-11; 참조, 행 13: 8-11). 하나님께서는 주의 만찬 동안에 다른 고린도인들의 부적절한 행위로 인해 그들에게 때이른 죽음을 가져오셨습니다(11:30; 참조, 요한일서 5:16). 이 사람이 조기에 사망했다는 기록은 없습니다. 만일 그가 회개하지 않는다면 조기 사망이 그의 심판(“최악의 시나리오”)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바울은 후메내오와 알렉산더에게도 비슷한 판결을 내렸습니다(딤전 1:20). 그 경우에 그분은 단지 “[그들을] 사탄에게 넘겨주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거기에서 그는 신체의 파괴에 관해 아무것도 쓰지 않았습니다. 사탄에게로의 구원은 모든 신자가 사탄의 영향력 아래 있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탄의 권위와 통제 아래로의 구원을 의미해야 합니다(참조, 욥 1-2 장).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서 유혹과 마귀의 영향력에 굴복합니다. [236]

이 견해의 변형은 사탄에게 넘겨지면 신체적 질병을 낭비하게 되지만 죽음은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육체의 멸망이라는 표현은 단순한 질병이라기보다는 죽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해석은 몸이라는 용어를 인간의 죄성이 파괴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비유적으로 이해합니다. 여기서 몸을 멸한다는 것은 몸의 정욕을 죽이는 것을 말합니다 . 그 사람은 파문당하고 계속해서 육체에 탐닉하도록 허용되어 결국에는 죄에 만족하여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이러한 목적으로 그 사람을 사탄에게 넘겨준 것은 이례적인 것 같습니다. 사탄은 일반적으로 육신의 정욕을 죽이지 않고 오히려 사람 속에 있는 정욕을 선동합니다. 사람을 사탄에게 넘겨주면 어떻게 정결케 될지 알기 어렵습니다. 욥은 “그(사탄이 아닌 하나님)가 나를 시험하신 후에 내가 정금 같이 나오리라”(욥 23:10b)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견해는 몸과 영을 개인이 아닌 교회의 죄 많고 경건한 성격을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바울 은 파괴가 필요한 고린도 교회 내의 죄악된 요소를 식별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이는 교회의 “정신”을 보존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 견해의 주된 문제는 바울이 교회 전체를 언급하기보다는 개인을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확실히 그 사람의 행동은 교회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비록 심판 자체가 주로 그 사람에게 불리한 것처럼 보일지라도 여기서는 교회가 어느 정도 관여했다고 보는 것이 아마도 적절할 것입니다.

또 다른 해석은 바울이 그 사람이 교회에서 파문되는 것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관점에서 바울은 사람을 사탄의 권위의 영역, 즉 세상에서 살도록 넘겨주고 성령의 권위의 영역인 교회로부터 고립되고 단절되었음을 의미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파문 공식이 회당이나 초대 교회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없으며, 추가된 단어인 eis olethron tes sarkos ktl (신체 파괴까지)은 육체적으로 징벌적이고 영적으로 치유적인 방문을 가리킨다. 죄인." [242]

"문법이 시사하는 바는... '육체의 파멸'은 인간 존재의 예상된 결과[그리스어 eis] 이며 , 사탄 의 영역 으로 다시 추방된다는 것 입니다. 행동은 그의 구원이다." [243]

어떤 사람들은 바울이 조기 사망의 가능성과 함께 파문을 의미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유월절 에 관한 바울의 비유(6-8절)는 죄 있는 것(죄인)과 그것이 오염시키는 것(교회)을 분리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바울은 어린 양(그리스도)이 갈보리에서 이미 죽임을 당했지만 고린도인들은 아직 누룩(죄인)을 제거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실천할 수 있고 실천해야 하는 교회 권징의 한 형태입니까? 주님께서 교회 지도자들에게 죄인들을 사탄에게 넘겨주라고 지시하신 다른 성경 구절은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일부 해석자들은 이것이 특히 사도들이 교회 설립을 위해 초대 교회에서 그들의 권위를 행사한 한 가지 방법이었다고 믿습니다(참조, 행 5장). 나는 현대 교회 지도자들이 다른 그리스도인들과 교회와의 교제에서 제외함으로써 사람들을 사탄에게 넘겨줄 수 있지만 권위적으로 체벌을 요구함으로써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궁극적으로 조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죄를 범할 수 있으며, 물론 교회 권징으로서 파문에 대한 다른 성경적 예도 있습니다(참조, 13 절; 마 18:17; 고후 2:6; 2) 데살로니가전서 3:6, 14-15).

"누군가는 '그를 돕는 방법은 그를 원 안에 머물게 하고, 성찬 테이블에 당신과 함께 앉게 하는 것입니다. 그를 가혹하게 대하지 말고, 그를 다시 되찾도록 노력하고, 그를 사랑의 팔로 감싸십시오. 그리고 그에게 동정심을 가지세요.' 만일 그렇게 하면 회개하지 아니하는 자는 자기 죄악이 더욱 강퍅하리라 그를 마귀의 권세 밖에 내어 쫓고 그가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할 자격을 상실하고 세상에 다시 돌아온 줄을 알게 하라 그곳은 사탄이 다스리는 곳입니다.... 그가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남자들과 여자들에게 혐오감을 느낄 때, 그의 죄가 그리스도인들의 콧속에 악취가 나는 것을 발견할 때, 그는 하나님 앞에서 깨뜨릴 수 있습니다." [246]

이 구절의 마지막 부분은 바울이 징계하는 목적을 알려줍니다. 영은 육체와 대조된다(헬라어 사르크스 ). 육체가 육체를 지칭한다면 영은 아마도 인간의 비물질적인 부분을 지칭할 것입니다. 이것은 성경에서 사람의 영(그의 혼이나 생명과 대조되는)의 구원이 언급되는 유일한 곳입니다.  주의 날”은 아마도 그리스도인들이 휴거에서 주님을 만나는 날을 의미할 것이다(참조, 1:8).

근친상간한 남자의 형벌이 그의 영혼을 무엇으로부터 구원할 것인가? 그것은 그를 영원히 구원하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 그렇게 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회개하면 육체적 죽음에서 그를 구할 수도 있지만, 그의 영에 대한 언급으로 인해 이러한 해석이 불가능해집니다. 아마도 그것은 주님께서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그의 삶의 청지기 직분을 평가하실 때 더 나쁜 판결로부터 그를 보호해 줄 것입니다. 분명히 바울은 자신이 회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지금의 생활을 계속하는 것보다 그가 형벌을 받는 것, 심지어 일찍 죽는 것이 교회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이 죄를 지은 그리스도인에게도 더 낫다고 여겼던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고린도후서 2장 6-7절에서 바울이 언급한 “이런 사람”을 근친상간한 남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본문은 그렇게 확실한 연관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은 단순히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누군가, 누구든지 지칭하는 방법입니다. [248]

유월절의 비유 5:6-8

바울은 이 비유를 들어 그 사람이 교회에서 제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를 쫓아내는 것은 주로 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주로 교회를 위해서였습니다.

5:6 고린도인들이 그들의 관대함을 자랑하는 것은 좋지 못하였다(참조, 2 절). 누룩(“누룩”)이 반죽 속에 퍼지듯이(참조, 갈 5:9; 막 8:15) 죄는 교회 안에 퍼진다. 만일 신자들이 회중 가운데서 이 죄를 제거하지 않는다면 결국 회중의 도덕적 조직 전체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교회는 오늘날 권징을 행사하는 것을 크게 두려워하지만, 이것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실행되는 곳에서는 교회가 하나님께서 일하실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됩니다." [249]

5:7 유대인 생활에서는 가족이 유월절을 준비할 때 집에 있는 묵은 누룩을 모두 버리는(“깨끗하게”) 것이 관례였습니다(출애굽기 12:15; 13:6-7). 250 그들은 유월절과 그 뒤에 이어지는 무교절의 빵에 누룩이 전혀 들어가지 않게 하려고 그렇게 했습니다. 유대인들은 스바냐 1장 12절을 등불로 누룩을 찾는 자신들의 권위로 여겼습니다. 이 검색 은 행위의 상징성뿐만 아니라 위생상의 이유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고린도인들이 하나님께 합당한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교회로서 해야 할 일이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그들에게는 이미 누룩이 없었습니다. 즉 그리스도를 믿는 그들의 믿음이 그들의 죄를 제거해 주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의미에서 그들은 누룩을 소유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 가운데서 죄를 용납해 왔고 지금도 용납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이 서신의 앞부분에서 고린도인들이 비록 성도처럼 행동하지는 않지만 성도라고 말하면서 동일한 상황을 묘사했습니다(1:2). 하나님은 그들의 위치에서 그들을 거룩하게 하셨지만 그들에게는 점진적인 성화가 필요했습니다. 그들은 지금의 모습이 되어야 했습니다. 그들은 처음 예수님을 믿을 때 그들을 거룩하게 하신 후에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성도로 성장해야 했습니다. 이것이 바울의 기본적인 권고였습니다.

"고린도전서는 복음이 변화된 삶을 낳고, 그리스도 안의 구원은 하나님/그리스도와 같은 태도와 행동 없이는 완전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252]

“복음과 윤리(직설적 및 명령적)의 관계에 대한 바울의 이해에 대한 고전적인 표현은 5:7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53]

"바울의 윤리는 궁극적 으로 순수하고 단순한 신학적 문제입니다. 모든 것은 하나님과 관련이 있으며, 하나님이 그리스도와 성령 안에 계시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1) 기독교 윤리의 목적 (또는 기초)은 하나님의 영광입니다. (10:31) (2) 그러한 윤리의 본보기 는 그리스도이시다(11:1) (3) 원칙은 바로 사랑인데, 그 이유는 사랑만이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기 때문이다(8:2-3; 13:1-8). (4) 능력 은 성령이시다(6:11, 19)." [254]

유월절 전에 누룩을 제거한다는 언급을 보고 바울은 비유를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바울은 유월절 양을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보았습니다. 모형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다른 것, 즉 실체에 대한 예시입니다. 모형은 여기서와 같이 사람(참조, 롬 5:14), 사물(참조, 히 10:19-20), 사건(참조, 고전 10:11), 의식 등이 될 수 있다. 기관(참조, 히 9:11-12). 마지막 유월절 어린 양이신 그리스도는 이미 죽으셨습니다. 그러므로 남은 누룩을 즉시 깨끗이 씻어내는 것이 더욱 중요했습니다.

5:8 무교절은 유월절 다음날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유대인들은 무교절과 결합된 유월절을 하나의 축제로 여겼다(참조, 출 23:15; 34:18; 신 16:6). 유월절 어린양이 죽은 신자로서 고린도인들은 죄를 상징하는 누룩이 없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절기를 지키고 하나님을 예배해야 했습니다. 묵은 누룩은 아마도 근친상간을 한 사람을 가리킨다기보다는 회심하기 전에 고린도 교인들을 특징지었던 죄를 가리킬 것입니다. " 악의 와 사악함"은 아마도 동기와 행동의 모든 죄를 의미할 것입니다. '성실과 진실'은 우리가 하나님을 예배해야 하는 합당한 동기이자 행동입니다. 이 구절은 요약적인 권고를 구성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전 생애는 무교병의 잔치(즉, 죄가 없는 잔치)여야 합니다.” [256]

음행하는 자들과 그리스도인의 관계 5:9-13

바울은 교회 안팎에서 신자와 음행자들의 관계라는 더 큰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독자들이 부도덕한 도시에서 자신의 삶의 이 영역에서 자신의 책임을 이해하고 오만한 독선을 버리도록 그렇게 했습니다.

5:9 바울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이전 편지를 이 회중에게 썼습니다. 그 편지 에서 그는 고린도인들에게 성적으로 부도덕한 사람들과의 교제를 피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동일한 헬라어 단어인 포르노이스가 1절에서처럼 여기에도 등장합니다. 이 지시에 비추어 고린도인들은 교회 내에서 근친상간하는 사람을 용인하는 것이 특히 심각했습니다.

5:10 그러나 바울은 자신이 쓴 글에서 신자가 교회 밖에서 음행을 저지르는 사람들과 결코 어울리지 말라는 뜻이 아니라는 점을 서둘러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는 태도와 행동에 있어서 죄 많은 불신자들(“탐욕스럽고 사기꾼들과 우상 숭배자들”)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는 뜻도 아니었습니다. 우리 거룩하신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식사하셨습니다.

그러한 종류의 극단적인 고립주의는 그들이 현실 세계에서의 생활을 중단하고 불신자들과의 모든 접촉으로부터 격리된 기독교 게토에 존재하도록 요구했을 것입니다. 삶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비현실적이며 세상에서 소금과 빛이 되도록 우리를 부르신 하나님께 불성실합니다(마 5:13-16; 28:19-20). 오늘날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성화보다는 고립주의에 더 치우치는 분리에 대한 비성경적인 견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일부 해석자들은 성적으로 부도덕한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는 것에 대해 바울이 쓴 내용을 예배를 위해 모인 신자들의 공동체에서 범죄자를 배제하라는 격려로 봅니다. 즉 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이를 사회적 배척으로 간주합니다.

"사도는 성만찬에 대해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메디아 ( "심지어")가 전혀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는 사교적인 식사에 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를 집에 초대하지 말고 그의 초대를 받아들이지 마십시오.'" [259]

데살로니가후서 3장 14 절에서 바울은 교회의 일에 참여하는 자들과 관련하여 "함께 연합하다"(9절)로 번역된 동일한 문구(그리스어 sunanamignusthai , 문자적으로 섞다)를 사용했습니다. 교제하지 않는 것은 불순종하는 형제들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신실한 신자들이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참조, 살전 4:11-12; 5:14). 그러나 그들은 그들을 원수로 대하지 않고 형제로 대해야 했습니다. 아마도 바울도 여기서 같은 유형의 징계 행위를 염두에 두고 있었을 것입니다. 나는 다음 구절을 볼 때 바울이 사회적 배척과 결합된 파문을 의미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11 이제 바울은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이 신자라고 공언하는 그런 사람과 교제해서는 안 된다는 뜻임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리스어 문구 tis adelphos onomazomenos는 문자적으로 "형제라는 이름을 지닌 사람"을 의미합니다. "소위 형제"라는 번역은 죄인이 진정한 신자가 아닌 그리스도인이라고 공언하는 사람일 뿐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그는 진정한 신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이 진짜 그리스도인인지는 오직 하나님과 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 중요한 점은 이 사람의 행동이 그가 진정한 그리스도인인지 의문을 제기한다는 것입니다.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은 그런 사람을 교회의 다른 그리스도인들과의 식탁 교제에서 제외해야 했습니다.

교회의 초기 역사에서 함께 먹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즐겼던 교제의 큰 부분이었습니다(참조, 행 2:46-47; 6:1; 등). 이 교제의 범위에서 그리스도인을 제외시키는 것은 그 당시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함께 식사하는 것이 흔하지 않은 오늘날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한 진술을 그에게 전달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제외는 바울이 범죄자의 행동을 직시하고 회개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처방한 강력한 징계 형태였습니다. 일부 현대 교회에서는 그러한 범죄자를 주의 만찬 참여에서 제외하는 정책을 채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권징은 회중이 월별 또는 분기별로만 주의 만찬을 지킬 때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현대 교회 지도자들은 어떤 형태의 권징이 특정 사회의 그러한 사람에게 동일한 영향과 영향을 미칠 것인지 신중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교회 치리는 범인을 잡으러 나가는 '경건한 경찰'의 집단이 아닙니다. 오히려 가족 중 잘못을 저지른 사람을 회복시키려는 마음이 상한 형제 자매들의 집단입니다." [262]

"교회 가족 내의 책임 부족은 사랑의 부족을 나타내며 인간을 하나님보다 높임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을 불명예스럽게 만듭니다." [263]

이 절에서 바울의 죄 목록은 포괄적이기보다는 암시적인 것으로 보인다(참조, 6:9-10). 여기에는 음행하는 자들, 탐욕스러운 자들, 우상 숭배자들, 남을 폭언하는 자들, 술 취하는 자들, 그리고 아마도 물질에 중독된 자들과 사기꾼들이 포함됩니다. 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오늘날 이런 일을 행하는 공언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징계하지 못하는 것은 현대 교회의 세속성에 대한 슬픈 논평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그것은 강인한 사랑을 실천할 의지가 없거나 무능력하다는 증거입니다.

5:12 사도로서 바울의 권위는 불신자들의 죄를 심판하고 징계하는 데까지 미치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는 불신자들의 상태를 평가했지만(예, 로마서 1장 등), 여기서는 그것이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그분의 징계 사역과 죄를 심판하고 징계하는 다른 그리스도인들의 사역은 오직 교회 생활 안에서만 이루어졌습니다. 여기서 판단한다는 것은 비판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문맥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에는 징계도 포함됩니다.

5:13 믿지 않는 사람들을 판단하고 징계하는 것은 주님의 일입니다. 분명히 이것은 세상에서 정의를 유지해야 할 때 그리스도인들이 냉담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하나님은 인간 정부를 그분의 부섭정으로서 사람들에게 위임하셨습니다(예, 창 9:5-6). 인간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은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책임의 무게를 공평하게 나누어야 합니다. 여기서 요점은 고린도인들과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시민 생활에서 그들의 책임을 넘어서는 정도까지 교회 생활에서 권징을 행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교회 권징의 목적을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다른 곳에서 우리는 범죄자가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과의 교제를 회복하기 위한 것임을 배웁니다(고후 2:5-11). 그것은 교회의 순결을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265]

5장은 그리스도인이라고 공언하는 사람들의 부도덕한 행위에 관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번째 부분(1-8절)에는 교회에 존재했던 특정 음행 사례를 다루는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린도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은 죄에 대해 너무 방임적인 태도를 취했는데, 이는 그들의 문화가 교회에 미친 영향을 반영합니다. 두 번째 부분(9-13절)은 교회 안팎의 모든 부도덕한 행위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명확히 합니다.

2. 교회에서의 소송 6:1-11

사도는 5장 1절에서 시작한 교회 권징의 일반적인 주제를 계속해서 다루었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죄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느슨한 견해에 뿌리를 두고 있는 눈에 띄는 불일치의 몇 가지 사례를 지적했습니다. 내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구원받지 못한 판사들에게 기대하기보다는, 그들은 이러한 경우에 그들 사이에서 징계를 행사했어야 했습니다. 갈리오는 고린도에서 유대인의 논쟁에 개입하기를 거부하고 유대인들에게 이 문제를 스스로 처리하라고 말했습니다(행 18:14-16). 이제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에게도 비슷한 접근 방식을 권고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바울은 그리스인들에게 특히 영향을 미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공공 법정에서 전혀 소송을 제기하지 않고 마을 장로들이나 회당 장로들 앞에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그들에게 정의는 법적 정신보다는 가족 정신으로 해결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했습니다. … 실제로 그리스인들은 법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하거나 악명이 높았습니다." [267]

"로마 사회는 소송이 난무하기로 악명이 높았으며(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하는 경향이 비합리적으로 높았습니다), 누보 부자 (최근에 부를 얻은 사람들)의 상승 계층이 있는 고린도는 더욱 그렇습니다." [268]

"… 회중의 근본 문제는 신학적 깊이가 부족하다는 데 있습니다. 자신을 종말론적 공동체('우리가 천사를 심판할 줄을 모르십니까?')와 그리스도에 의해 구속된 공동체로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스스로를 부끄럽게 합니다." [269]

"바울은 성생활에 관한 교회 권징의 주제를 끝내지 않았습니다. vi. 12 및 vii를 참조하십시오. 그러나 v. 12f에서 그는 심판 에 대해 말했습니다. 이는 그의 마음에 교회의 또 다른 특징을 떠오르게 합니다 . 그가 들었던 고린도의 삶..." [270]

교회의 수치 6:1-6

서로를 고소하던 두 사람의 패소는 고린도교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또 하나의 증거였습니다. 그것은 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참 지혜가 얼마나 부족했는지를 보여 주었습니다. 바울은 이 페리코프에서 일련의 수사적 질문을 가지고 논쟁을 벌였습니다.

6:1 다시 바울은 요점을 밝히기 위해 수사학적 질문을 사용했다(참조, 3:16; 4:21). 대답은 그에게 자명했습니다.

문맥을 볼 때, “이웃”은 동료 그리스도인이어야 합니다(6, 8절). "불의한" 또는 "경건하지 않은"(NIV)은 "성도"와 대조되며 불신자를 가리킨다(6절). 고린도에서는 사람들이 서로 논쟁을 벌여 공식적인 중재를 원할 때 마을 중앙에 있는 베마 (재판석)로 갔습니다.

"'쟁의가 있다['사건']'으로 번역된 문구는 소송, 법적 조치를 가리키는 전문 용어이며, 중간태의 동사 크리노('판사' )는 '법에 따르다'라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또는 여기에서처럼 '심판을 위해 무언가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271]

"그(바울)는 기독교 법원이 설립되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기독교 논쟁자들이 기독교 중재에 복종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272]

"그것[세계 법정에서 서로 다투는 신자들]은 세상에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도 마찬가지로 탐욕스럽고 다투기 좋아합니다. 우리는 여러분처럼 우리 자신의 길을 가고 자기를 기쁘게 하는 일에 관심이 많습니다. 우리는 너희 재판관들이 하나님의 교회를 다스리는 권세를 가진 줄 아나니 이와 같이 행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불명예니라.” [273]

“교회 안의 분쟁 문제를 교회 밖에서 가져가서 이교 법정에 중재를 요청하는 것은 교회 생활의 원칙 자체를 위반하는 것이었습니다.” [274]

6:2 “당신은 모르십니까?” 이 장에는 여섯 번 나옵니다(2, 3, 9, 15, 16, 19절). 각각의 경우에 이 질문은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알아야 할 내용을 소개합니다. 아마도 바울이나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그들에게 지시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성도들이 미래에 불신자들을 심판하는 일에 참여할 것이라고 암시한 이전 계시는 다니엘서 7장 18절, 22절, 27절일 수 있습니다. 그분의 천년왕국을 세우셨습니다. 그때 우리는 그분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살전 4:17). 그리스도와 함께 통치하는 것(딤후 2:12)에는 분명히 심판이 포함됩니다.

주님께서는 장차 불신자들을 심판할 권한을 그리스도인들에게 위임하실 것이기 때문에 바울은 우리가 지금 우리 사이의 분쟁을 해결할 자격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미래의 종말론적 심판에 비추어 볼 때, 신자들이 현재 교회 법정에서 내려야 하는 결정은 상대적으로 사소한 것입니다. NASB의 "사소한 사건을 시도하라"의 여백 읽기는 아마도 "가장 작은 법원을 구성하라"는 것보다 더 나은 의미를 제공할 것입니다. 분명히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논쟁을 벌이는 일부 사례는 불신자와 관련된 일부 사례보다 분류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바울의 요점은 그리스도인들이 일반적으로 사람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는 데 유능하다는 것입니다. 결국, 우리는 성경뿐만 아니라 내주하시는 성령의 도움과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앞서 바울은 고린도인들이 자신을 판단하고 있다고 썼는데(참조, 4:3-5, 7) 이는 하나님의 최종 심판을 고려하면 부적절하다. 이제 그들은 법정에서 재판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역시 부적절했습니다.

6:3 분명히 하나님께서는 성경 앞부분에서 신자들이 천사들을 심판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으셨다. 그분은 이 사실을 여기에서 바울을 통해 처음으로 계시하신 것 같습니다(참조, 유 6 절). 그리스도인은 죽어서 천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죽은 후에 천사를 심판하게 됩니다.

Alford는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천사라는 단어가 신약성서에서 항상 선한 천사를 의미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선한 천사들은 분명히 죄를 짓지 않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이 선한 천사들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아마도 이곳은 "천사"가 나쁜 천사를 가리키는 유일한 곳일 것입니다.

6:4 이 절의 첫 부분은 이교의 법정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사용해야 하는 사법 절차(“법정”)를 가리키는 것 같다. 문맥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것 같습니다. 바울은 여기서 그리스도인들이 민법 법정이 아닌 교회 안에서 서로의 차이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었습니다.

이 구절의 두 번째 부분은 네 가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바울은 다음 절에서 암시하는 것처럼 아이러니하게 말하고 있었을 것이다(참조, 4:8). 그렇다면 그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이러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교회에서 가장 자격이 없는 사람들을 선택해야 한다고 우스꽝스럽게 말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 그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누구나 자기 형제들 사이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고린도인들이 실제로 교회에서 가장 연약한 그리스도인들을 재판관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 아닙니다. 그 진술은 아이러니하다. 이것이 NIV의 해석이다. [277]

반면에 바울은 아이러니한 말을 하기보다는 질문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 NASB 번역자들은 바울의 말을 이렇게 받아들였습니다. 이 경우에 그는 고린도교인들이 교회 분쟁에서 재판할 자격이 가장 적은 사람들 중에서 재판관을 선택했는지 묻고 있었습니다. 분명한 대답은 '아니요'일 것입니다. 그들은 최고의 자격을 갖춘 기독교인을 선택할 것입니다. 이 해석은 바울이 교회에서 심판을 행할 가장 좋은 자격을 갖춘 사람을 선택하는 것을 솔직하게 옹호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278]

세 번째 가능성은 바울이 실제로 이러한 사법 기능을 위해 교회에서 가장 자격이 없는 사람을 선택하는 것을 옹호했다는 것입니다. 그는 아이러니하게 말한 것이 아닙니다. 이 견해에 대한 주요 주장은 가능성이 없다는 것입니다. 더 나은 자격을 갖춘 사람이 있는데 왜 어떤 직업에든 자격이 부족한 사람을 선택합니까?

"… 그(바울)는 판단하는 능력의 문제에 있어서 불신자보다 [보통] 신자들 중에서 가장 미천한 자를 더 좋아했습니다." [279]

네 번째 해석은 바울이 고린도인들에게 왜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제시하는지를 묻고 있다는 것입니다. ESV 번역자들은 바울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했습니다. "왜 교회에서 신분이 없는 사람들(즉, 믿지 않는 사람들) 앞에 이러한 사건을 두는가?" [280] 이것은 또한 NKJV, HCSB, NET2 성경 및 메시지 번역 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 [281] 제가 보기에는 이것이 가장 좋은 해석인 것 같습니다.

6:5-6 고린도인들의 “수치”는 무엇이었습니까? 그것은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속 법정에 가는 것은 그들의 교회에는 이 문제를 해결할 만큼 현명한 사람이 없다고 말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확실히 그들은 성령께서 이 일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지혜와 합당한 영을 그들에게 주실 것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참조, 요 14:26; 16:13). 물론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고소하는 것 역시 부끄러운 일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서로 사랑하고 서로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라는 명령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바울의 마음에 있었던 부끄러움의 주된 이유는 아닌 것 같습니다. 문맥.

"교인들이 자신의 형제들보다 불신자들 로부터 정의를 얻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믿을 때 교회는 꽤 지나갔습니다 ." [282]

분명히 이 교회는 종말론적 공동체로서의 자신의 정체성, 즉 그들은 고린도에 임시 거주자일 뿐이며 그들의 진짜 집은 하늘에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했고, 세상에 증거하는 일에도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로마제국 전역과 그 국경 너머의 모든 유대인 공동체는 자신만 의 내기 , 즉 자신의 회원 내에서 민사 사법 행정을 위한 유능한 기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독교 교회에 기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것은 비슷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필요하다면 준비를 하고 더러운 리넨을 공공장소에서 세탁하지 마세요." [283]

이 문제에 대한 바울의 판단 6:7-11

사도는 이제 소송에 관련된 두 사람에게 말했을지 모르지만 동시에 전체 교회를 염두에 두고 편지를 썼습니다.

6:7 고린도 사람들은 서로를 법정으로 끌고 가서 손해 배상을 받으려고 했습니다. 분명히 사업이나 재산 분쟁이 이 사건의 원인이었다(참조, 10 절). 바울은 판사가 판결을 내리기도 전에 그들이 이미 졌다는 사실(“이미 너희에게는 패배다”)을 상기시켰습니다. 서로 사랑한다고 공언하고, 자기 자신보다 남의 행복을 먼저 생각하며 서로 고소하는 사람들의 수치심은 그 자체로 패배였습니다. 이 패배는 그들이 치러야 했던 그 어떤 손해보다 훨씬 더 심각했습니다. 그러한 비기독교적인 방식으로 반격하는 것보다 불의를 당하거나 사기를 당하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마 5:39-40; 벧전 2:19-24).

그리스도인들은 서로에게서 얻으려고 하기보다는 기꺼이 서로 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즉, 서로를 상대로 법정에 가는 일이 전혀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린도인들이 법정에 가기를 주장했다면, 그곳은 교회 밖의 불신자들의 법정이 아니라 교회 안에 있는 신자들의 법정이어야 합니다.

6:8 더욱 충격적인 상황은 고린도의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단순히 잘못과 사기의 피해자가 아니라 이러한 일의 가해자였다는 사실이다(참조, 마 5:39-41).

6:9-10 이 구절에서 말하는 불의한 자와 악한 자(NIV)는 누구인가? 바울은 이전에 1 절에서 구원받지 못한 자들을 뜻하는 이 단어(헬라어 아디코스 )를 사용했습니다(참조, 6 절에서 그는 그들을 불신자들이라고 불렀습니다). 바울도 8절에서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의 이 말을 사용했습니다: “너희가 악을 행하고 있다[ 아디케오 ].” 불신자들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들도 이 구절에 열거된 모든 범죄를 포함하여 불의한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서 바울이 불의한 사람들에 관해 말한 것은 구원받은 사람이든 구원받지 못한 사람이든 자신의 행위가 불의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해서, 이 경고는 하나님 앞에 서 있는 불의한 사람들, 즉 불신자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일부 해석자들은 “불의한 자”란 불신자들만을 가리킨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284]

바울은 독자들에게 이 주제에 대해 속임을 당하는 것에 대해 경고했습니다(9절). 아마도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그리스도인들이 지금 여기에서 살기로 선택한 방식이 그들의 영원한 보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을 것입니다.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도 이 점을 깨닫지 못합니다. 우리가 영원히 안전하다는 사실 때문에 우리가 모두 천국에 가게 되더라도 지금 우리가 어떻게 사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려서는 안 됩니다.

대부분의 죄의 의미는 분명하지만 몇 가지는 설명이 필요합니다. 9절 끝 부분에 그리스어 본문에는 NASB가 "동성애자"라는 한 단어로 번역한 두 개의 다른 단어가 있습니다. 이 두 단어 중 첫 번째 단어는 말라코이( malakoi) 로 , 동성애 관계에서 복종하는 파트너를 지칭합니다. 두 번째 단어는 아르세노코이타이(arsenokoitai )로 동성애 관계에서 지배적인 파트너를 지칭합니다. David Malick은 바울이 동성애 행위의 남용뿐만 아니라 모든 동성애 관계를 비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286]

"양성애는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매우 흔했습니다. 특히 아내가 부족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그리스 남성의 결혼 연령이 늦어졌습니다." [287]

"우리는 고대 세계가 동성애로 얼마나 혼란스러웠는지 거의 깨닫지 못합니다. 소크라테스처럼 위대한 사람이 그것을 실천했습니다. 플라톤의 대화 <심포지엄>은 항상 세상 에서 사랑에 관한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 주제는 자연스럽지 않고 부자연스러운 사랑이다. 처음 15명의 로마 황제 중 14명이 부자연스러운 악을 행했다." [288]

탐욕의 죄의 심각성을 주목하라(참조, 5:10-11; 6:8). 바울은 그것을 이 중대한 죄 목록에 포함시켰습니다. 탐욕은 사람이 가져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욕망(출 20:17; 롬 7:7)이나 합법적으로 가질 수 있는 것에 대한 과도한 욕망(엡 5:5; 골 3:5)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와인 마시는 것이 보편화되는 것은 물론 물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일반적으로 술에 취하지 않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음료는 포도주 세 부분에 물 두 개를 섞어서 마셨기 때문입니다." [289]

"10가지 범죄자의 순서는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그는 고린도에서 만연했던 죄를 자신에게 일어난 그대로 열거합니다." [290]

불의한 자들은 어떻게 됩니까? 그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상속받지” 못할 것입니다. 예수님은 누가 하나님의 왕국을 상속받을 것인지 설명하신 반면(마 5:3, 10; 막 10:14), 바울은 누가 그것을 상속받지 못할 것인지 설명했습니다. 어떤 구절에서 바울은 믿지 않는 자의 행위를 신자의 행위와 비교하면서 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이 표현을 사용했다(참조, 갈 5:21; 엡 5:5). 여기서도 그런 의미인 것 같습니다. 일부 해석자들은 바울이 육신적인 신자들이 메시아 왕국에 들어 가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나는 그것이 바울이 의미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왕국을 상속받는 것”과 “왕국에 들어가는 것”은 복음서에서 동의어이다(참조, 마 19:16; 막 10:17; 눅 18:18). 그러나 일부 해설자들은 이 용어들이 동등하지 않다고 믿습니다. 바울 은 고린도인들이 회심하기 전에 행한 일과 회심한 후의 행실을 분명히 대조하고 있었습니다(11절). 그는 그리스도인들이 이러한 죄를 지을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가 일반적으로 불신자들의 특징이라는 뜻이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성도답게 살라고 권면하고 있었습니다. [294]

6:11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 중 일부는 불의했으며, 그리스도를 믿기 전에 바울이 언급한 몇 가지 죄를 지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피(희생적 죽음)가 그들을 깨끗하게 하였으니("씻음"), 하나님은 그들을 구별하여("거룩하게 하여") 거룩한 삶을 살게 하셨습니다(1:2). 주님은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참조, 1:30)과 지금 그들 안에 거하시는 성령의 성화의 역사를 통해 그들을 의롭다고 선언하셨다(그들을 “의롭게” 하셨다). 그분은 그들을 성자로 만드셨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성도처럼 살아야 했습니다.

"결론적인 말의 무의식적인 삼위일체론에 주목해야 합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 영, 우리 하나님 . 적어도 신약성서 형태의 삼위일체 신학은 추측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께서 그들을 위해 행하신 일에 대해 말했고, 그들 가운데서 그들은 종종 이런 종류의 삼중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295]

이 구절은 사람이 일단 영원한 구원을 경험하면 자동적으로 큰 죄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뒷받침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는 변환의 결과입니다. 그러나 신자들은 그들의 삶에서 성령의 성화 사역을 슬퍼하고 소멸시킬 수 있습니다. 이 편지에서 우리는 고린도 성도들 중 일부가 회심하기 전에 음행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중 한 사람이 그 죄에 계속 머물렀거나 다시 돌아갔음을 보았습니다(5:1).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급된 죄들이 하나님의 변화시키는 능력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는 것은 격려가 됩니다. “너희 중에 이와 같은 자들이 있느니라.”

이 전체 부분(1-11절)에서 바울이 강조하는 점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불신자들에게 나타나는 죄악된 행위에 계속 머물러 있거나 되돌아가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위치에서 우리를 위해 행하신 일로 인해 우리의 실제 모습이 되어야 합니다. 이 호소는 신약 전체에 걸쳐 흐르며, 경건을 추구하라는 모든 권고의 기초가 됩니다. 이 서신에서는 특히 그 의미가 강합니다. 영감받은 저자들은 신자들이 계속해서 죄를 짓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기보다는 그러한 가능성에 대해 끊임없이 경고했습니다.

이 구절은 이교도들이 우리를 속이거나 고소할 때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다루지 않습니다. 하지만 동료 신자들을 대할 때 바울이 옹호한 원칙들을 적용한다면, 우리는 최후의 수단으로만 공개 소송에 참여해야 합니다.

3. 교회 안의 매춘 6:12-20

사도는 성령의 전인 신자의 몸의 신성함을 계속해서 지적했습니다. 그는 독자들이 교회로서 어느 정도 죄의 심각성을 깨닫도록 돕고 싶었습니다. 이 페리코프는 또한 바울이 이 서신의 뒷부분에서 전개한 세 가지 중요한 주제, 즉 성관계, 우상에게 바친 음식, 육체의 부활을 씨앗 형태로 소개합니다. [296]

“그리스인들은 항상 시체를 무시했습니다. '몸은 무덤이다'라는 속담이 있었습니다. 에픽테토스는 '나는 시체에 묶여 있는 불쌍한 영혼이다'라고 말했습니다." [297]

"문제는: 음식에 제한이 없다면 신체의 한 가지 식욕이 있는데 왜 성적인 것에는 또 다른 육체적 욕망이 있어야 합니까?" [298]

"분명히 기독교 공동체 내의 일부 남성들은 매춘부에게 가서 그렇게 할 권리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성령의 사람이 됨으로써 그들을 더 높은 차원, 즉 영의 영역으로 이동시켰으며, 그곳에서 그들은 어떤 영향도 받지 않습니다. 단지 몸과 관련된 행동. 그래서 바울은 11절의 확언에서 이 신학적 정당성에 대한 공격으로 나아갑니다." [299]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윤리적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복음 자체가 문제입니다. 고린도 공압학(영을 강조하는 사람들)의 영성에 대한 이해는 그들 모두에게 자유('모든 것이 허용된다')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허용했습니다. 그리고 육체에 관해서('하나님께서 그것을 멸하실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그들은 육체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매춘부에게 가는 것이 허용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300]

이것은 신약성서에서 인체를 다루는 가장 중요한 구절 중 하나입니다.

고린도인들의 잘못된 전제에 대한 반박 6:12-14

바울은 수신자들의 기독교 자유 왜곡과 몸의 본질에 대한 오해에 대해 논쟁으로 시작했습니다. 고린도인들에 대한 그리스 이원론의 영향은 계속해서 명백해지고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의 가르침을 독자들과 대화하는 방식, 즉 그들에게 친숙한 비난 방식으로 제시했습니다.

6:12 바울은 기독교 자유의 사도였으며 지금도 유명합니다. 그는 그리스도인 생활 초기에 그리스도인이 모세의 율법 아래 있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알았습니다. 갈라디아서에 보낸 그의 서신은 이 주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는 가는 곳마다 이 자유를 설교했습니다. 불행하게도 그는 항상 오해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의 청중 중 일부는 그가 그리스도인 생활에 어떤 제한도 두지 않는다고 결론지었습니다("모든 것이 나에게 허용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개신교 개혁자들도 로마 카톨릭 반대자들로부터 동일한 비판을 받았습니다. 가톨릭 신자들은 개혁가들이 기독교인들이 은혜로 구원을 받았기 때문에 죄 많은 삶을 살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불행하게도 제네바에서 존 칼빈의 후계자인 테오도르 베자(Theodore Beza, 1519-1605)는 이러한 비판에 과잉 반응을 보이며 참 그리스도인은 심각한 죄를 지을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주장은 구원의 확신의 기초가 하나님의 약속이 아니라 삶에 열매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예, 요 6:47; 등). 참된 그리스도인은 큰 죄를 짓지 않을 것이라는 이 견해는 개혁 신학에서 대중화되었지만, 그것은 성경이 말하는 것보다 더 나아갑니다. 성경은 결코 이런 주장을 하지 않지만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유를 남용하여 죄를 짓는 방종으로 바꾸는 것에 대해 끊임없이 경고합니다. [301]

아마도 성적 부도덕을 행하고 이교 법정에서 형제들을 고소하고 있던 고린도 사람들은 바울보다 더 자유를 누리면서도 자신들의 행동을 지지해 달라고 바울에게 호소했을 것입니다. [302]

"'모든 것이 나에게 허용됩니다'는 거의 확실하게 고린도의 신학 슬로건입니다." [303]

"고린도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순결'하게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가끔 창녀에게서 성적 만족을 찾는 것이 올바른 길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습니다." [304]

이 절에서 사도는 자신의 일반적인 격언을 다시 언급하면서 그것을 한정시켰다(참조, 10:23). 합법성은 그리스도인이 자신의 행동에 적용해야 하는 유일한 시험이 아닙니다. 그 수행도 유익합니까(도움이 됩니까, 감탄할 만합니까, 유익합니까, 편리합니까, 좋습니다)?

"자유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타인을 위한 것입니다. 실제 문제는 행동이 '합법적'인지, '올바른'지, 심지어 '괜찮은지'가 아니라, 그것이 좋은지, 유익한지 여부입니다. … 진정한 기독교인의 행동은 나에게 어떤 일을 할 권리가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내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305]

게다가 내가 어떤 연습을 즐길 자유가 있다고 해도 그것이 나를 통제할 수 있을까요?

"나의 자유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나 자신의 자유를 잃을 정도로까지 갈 수는 없습니다." [306]

"쉽게 깨지지 않는 습관을 만드는 것은 나쁜 일이다…" [307]

그리스도인은 항상 주님의 통제에 복종할 수 있어야 하며, 어떤 습관에 의해 통제를 받아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우리 몸의 일차적인 통제권을 그 누구에게도,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주님께 드려야 합니다.

"중독은 항상 인류를 괴롭혀왔지만 오늘날에는 더 많은 것을 노예로 삼는 것 같습니다. 사탄은 교활합니다. 우리가 그의 오래된 속임수에 현명해지면 그는 새로운 속임수를 발명합니다. 그의 무기고에는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중독을 노예로 만들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조심하세요. 아니오 중독자가 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모든 것은 순진하게 시작됩니다. 중독될 것이라고는 결코 예상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그런 일이 너무 자주 발생합니다." [308]

"우리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때 그 자체로는 무죄한 일을 할 권리가 더 이상 없습니다. … 경험으로 입증된 경우 그 자체로는 무죄한 일을 할 권리가 더 이상 없습니다. 우리 자신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다." [309]

6:13-14 13 절의 첫 부분은 앞 절의 두 부분과 유사하다. 그것은 사실인 진술을 담고 있는데, 고린도의 슬로건이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예선이 이어집니다. 폭식이 죄라는 점을 제외하면 음식은 기독교인에게 영적인 의미가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가 먹는 것은 무엇이든 먹어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습니다(막 7:19). 그분은 영적인 이유로 어떤 음식도 금지하지 않으셨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특정 음식을 먹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는 신체적 이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음식과 위장은 모두 육체적이고 일시적입니다. 바울이 여기서 음식을 언급한 것은 그것이 주된 문제였기 때문이 아니라 육체와 성적 부도덕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서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탐식과 부도덕은 종종 그리스와 로마의 축제에서 함께 나타납니다. 따라서 폭식도 문제가 되었을 수 있습니다. 음식 이 위장을 위한 것처럼 몸도 주님을 위한 것입니다. 그것은 그분의 목적을 이루도록 고안되었습니다.

"고기는 배를 위해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 존재에 필수적인 배도 고기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고기 없이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311]

육체와 음행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주장을 다음과 같이 구성했습니다.

제안 1:

1부: 음식은 위를 위한 것[A, B]이고, 위는 음식을 위한 것[B, A]입니다.

2부: 하나님은 위[B]와 음식[A]을 파괴하실 것입니다.

제안 2:

1부: 몸은 주를 위하나니[A, B](음행을 위하지 않음) 주는 몸을 위하시느니라[B, A].

2부: 하나님께서 주님(B)을 살리셨고, 우리(A)도 살리실 것입니다(그분의 능력으로).

성은 음식과 마찬가지로 육체적이고 현세적인 것이기 때문에 영적으로도 무관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고린도의 일부 사람들은 분명히 그렇게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결론이다. 몸은 주님께서 구원하시고 거룩하게 하신 것의 일부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그분을 위한 것이며 우리는 그것을 음행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분의 영광을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 더욱이 주님께서는 우리 몸에 대한 고귀한 목적과 운명을 갖고 계십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그들을 위한 사람이다.

"그는 몸의 모든 충동과 힘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지침을 주어야 합니다. 그가 없이는 몸은 결코 진정한 존엄성과 불멸의 운명을 얻을 수 없습니다." [313]

주님은 미래에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의 몸을 부활시키고 변화시키실 것입니다. 그러나 휴거 때 그분이 끌어내신 그리스도인들은 모두 예외입니다(살전 4:17). 우리 몸의 부활은 하나님께서 우리 몸을 향한 계획을 가지고 계심을 보여줍니다. 고린도의 일부 사람들은 부활을 믿지 않았지만 바울은 나중에 그 문제를 다루었습니다(15장). 여기서 그는 사실을 변호하지 않고 단순히 사실만을 진술했습니다.

"신자의 몸은 주님을 위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 자신의 부활의 실재를 작동시키셨기 때문입니다. 이는 신자의 육체가 부활하신 그리스도 자신의 '몸'에 '결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죽음에서." [314]

매춘에 참여하는 것을 반대하는 주장 6:15-17

이전의 신학적인 기반을 바탕으로 바울은 매춘부와 음행에 참여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성교의 본질이나 그리스도인 개종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분은 계속해서 이러한 주제에 관해 그들에게 가르치셨습니다.

6:15 또 다른 수사학적 질문이 진실을 확증해주었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인 것처럼 우리의 몸도 그리스도의 지체입니다. 이것은 단지 영리한 말장난이 아닙니다. 우리의 육체적 몸은 그리스도의 신비로운 몸인 교회의 일부인 것처럼 진정한 영적 연합으로 그분과 연합되어 있는 그리스도의 일부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여기서 신자가 그분의 신비로운 몸인 교회의 지체가 됨으로써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12:12-26). 그는 우리 개인이 그리스도의 육체와 연합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말하고 있었습니다.

그리스도인이 매춘부와 성관계를 가질 때 그는 하나님께 속한 것(자신의 몸)을 빼앗아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것을 훔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이 결혼할 때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결혼을 정하시고 승인하셨기 때문이다(참조, 7:14). 그분은 우리가 합법적인 배우자와 몸을 공유하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지체(기독교인의 몸)를 취해 그것을 매춘부의 몸에 결합시키는 것 역시 그 부도덕한 행위에 주님을 포함시킵니다. 이 생각에 대한 바울의 혐오감은 그의 특징적인 me genoito (문자 그대로 "그것과는 거리가 멀다!" 또는 결코 그렇지 않을 수 있기를!)에서 생생하게 나타납니다.

"결혼 외의 성관계는 은행을 터는 사람과 같습니다. 그는 무언가를 얻었지만 그것은 그의 것이 아니며 언젠가는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게 될 것입니다. 결혼 생활에서의 성관계는 은행에 돈을 넣는 것과 같을 수 있습니다. 안전과 안정이 있습니다. 결혼 안의 성관계는 미래에 기쁨을 가져오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지만, 결혼 외의 성관계는 모든 기독교 결혼 상담가가 말하듯이 미래의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315]

"요즘 젊은 사람들은 결혼하지 않고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 부부가 기독교 봉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저에게 왔습니다. 그들은 결혼하지 않았지만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결혼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 그들은 '왜?'라고 물었습니다. 나는 '하나님이 명령하시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식입니다 . 당신이 그렇게 하기 전까지는 당신은 하나님을 섬길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316]

6:16 바울은 독자들에게 성관계를 단순히 두 사람이 행위하는 동안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성교를 신체뿐만 아니라 인간 전체와 관련된 것으로 보십니다. 그것은 인간이 경험하는 가장 친밀한 나눔입니다. 결혼 생활에서 남편과 아내의 영적 결합을 상징하는 육체적 결합이 이루어집니다. 성적 관계는 관련된 개인의 보이지 않는 내면의 감정적, 영적 상태에 매우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것이 창세기 2장 24절에서 두 사람이 “한 몸”이 되는 것을 언급할 때 고려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관계를 음식을 먹는 것과 같은 의미로 여기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 호 콜로메노스 ("자신을 결합하는 사람")... 성적 결합이 당사자들 사이의 영구적인 유대를 구성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행해진 일은 양쪽 모두에서 도덕적으로 살아 있으며, 이제부터 어느 쪽도 다른 쪽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317]

6:17 두 사람이 성관계를 가질 때 이루어지는 연합에 비해, 그리스도를 신뢰하는 사람은 더욱 강력하고 철저한 하나됨으로 그분과 연합합니다. 이것은 더욱 강력한 영적 연합입니다. 우리는 "그분과 한 영"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와 그토록 강력하게 연합시키신 것을 매춘부에게 주는 것은 매우 심각한 일입니다.

“믿음의 행위(i. 21 등)를 통해 그리스도(  로서 , 참조 , xii. 3 등)에 대한 접착은 인간과 그분의 영적 친교, 즉 육체적 친교만큼 실제적이고 긴밀한 친교를 확립합니다. 그리고 영이 육체보다 더 영향력 있고 오래 지속되는 것입니다." [319]

바울은 교차점으로 자신의 주장을 표현했습니다. [320]

A 여러분의 몸은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입니다.

B 그러므로 그들은 매춘부의 몸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B' 창녀와 결합하여 너희 지체들이 그와 한 몸이 되느니라.

A' 그리스도와 결합하여 여러분의 지체는 그분과 한 영이 됩니다.

매춘에 참여하는 이유가 잘못되었습니다 6:18-20

바울은 성적 부도덕은 그릇된 것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신자의 몸에 죄를 짓는 것과 관련되기 때문입니다. 신자들의 경우 몸은 하나님께서 사신 것을 통해 주님께 속해 있습니다.

6:18 결론적으로, 신자들은 성적 부도덕( 포르네이안 ) 을 피해야 합니다 . 요셉은 따라야 할 좋은 모범입니다(창 39:12). 성적 부도덕은 다른 죄보다 죄인에게 더 파괴적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에 가담한 사람들은 그 행위를 되돌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폭식과 술취함도 신체에 해를 끼치지만, 그것은 도덕적으로 중립적인 일을 과도하게 포함하며, 금욕은 그 결과를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성적 부도덕은 또한 주의 것인 몸(19-20절)을 다른 불법적인 파트너의 통제하에 두는 것과 관련되기 때문에 특히 심각한 죄입니다(참조, 7:4). 다른 어떤 죄도 이런 결과를 가져오지 않습니다 . 이런 의미에서 다른 모든 죄는 몸 밖에 있거나 몸과 별개입니다. “사람이 범하는 다른 모든 죄는 몸 밖에 있느니라”는 바울이 바로잡기 위해 진행한 또 다른 잘못된 고린도 표어일 수 있습니다(참조, 12, 13 절).

"그러면 하나님께서는 타락한 지도자들의 회복을 금하십니까? 아니요. 그분은 가능성을 열어두십니까? 예. 그 가능성이 유망해 보입니까? 예, 아니오. 타락한 장로의 삶과 명성이 모두 회복될 수 있다면 그의 회복 전망은 그러나 그의 생명은 말할 것도 없고 그의 명성을 회복하는 것은 특히 어려울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평판을 낭비하는 것은 '마귀의 올무'(딤전 3:7)이고 그는 그의 먹이를 쉽게 버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 [322]

6:19 또 다른 수사학적 질문은 강력하고 중요한 진술을 제시합니다. 이전에 바울은 독자들에게 고린도 교회가 성전이라고 가르쳤습니다( 나오스 ; 3:16). 신자의 몸도 성전이다. 성령은 실제로 각 성전에 내주하고 계십니다(롬 8:9; 참조 마 12:6; 18:15-20; 28:16-20; 막 13:11; 요 14:17, 23). 323) 그분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선물입니다(살전 4:8 참조). 결과적으로 우리는 주신 분에 대한 도덕적 의무가 있습니다. 더욱이 그분이 우리 안에 거하시기 때문에 우리는 그분에게 속합니다.

"아프로디테의 신전에는 매춘부들이 여사제였고, 그들과의 거래는 신성하게 여겨졌습니다 . 그것은 인간 자신 안에 있는 하나님의 참된 성전을 절대적으로 모독하는 것입니다." [324]

“바울이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들 자신의 신학적 출발점, 즉 그들이 성령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영적'이라는 점을 이어받아 몸의 신성함을 포함하도록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내주하시는 성령의 실재는 이제 바뀌었습니다. 그들은 성령의 임재가 몸의 부정을 의미한다고 생각했지만 바울은 정반대로 주장합니다. 현재의 육체적 존재에 성령의 임재는 몸에 대한 하나님의 확증입니다." [325]

6:20 더욱이,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라는 값으로 모든 그리스도인을 사셨다(헬. 아고라조 )(롬 3:24-25; 엡 1:7; 등). 그러므로 우리는 두 번째 이유 때문에 그분께 속해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음행으로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것보다 우리 몸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해야 합니다(참조, 롬 12:1-2). 일반적으로 신약성경은 죄로부터의 자유로 이어지는 구속에 중점을 두지만(예, 갈 3:13; 4:5; 계 5:9; 14:3) 여기서는 하나님께 대한 신실함으로 이끄는 구속에 중점을 둡니다. 우리의 육신도 우리와 연합하신 주님께 충실해야 합니다.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성적 부도덕을 저지르지 않는 이유는 자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326]

교회의 권징 부족 문제에 대한 바울의 해결책(5~6장)은 교회의 분열 문제에 대한 해결책(1:10~4:21)과 동일했습니다. 십자가(6:20; 참조, 1:23-25).

근친상간은 교회에서의 육욕의 표현 중 하나였으며(5장), 동료 신자들을 공공 법정에서 고소하는 것도 또 다른 것이었고(6:1-11), 매춘부에게 가는 것은 세 번째였습니다(6:12-2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문제는 죄에 대한 느슨한 견해였는데, 그것은 고린도 그리스도인들 가운데 살았던 불신자들이 취한 견해였습니다. 이러한 태도에 있어서, 지혜에 대한 그들의 태도(1:10-4:21)와 마찬가지로 그들의 관점은 사도 바울과 하나님의 관점과 달랐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주제에 대한 그들의 견해와 우리의 견해를 변화시키기 위해 서신의 이 부분들에 영감을 주셨습니다.

III. 바울에게 묻는 질문들 7:1—16:12

이 서신 본문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고린도인들이 편지에서 바울에게 물었던 질문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바울은 고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문구 인 페리 드 (“지금 관련되어 있는”, 7:1, 25; 8:1; 12:1; 16:1, 12)라는 문구로 이들 각각을 소개했습니다 . [327]

“고린도의 새 신자들이 주 안에서 그들의 멘토에게 영적인 조언을 구하는 우호적인 대화라기보다는, 그들의 편지는 아마도 5장 9절에 언급된 바울의 이전 편지에 대한 응답이었을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영신학에 비추어 '지혜'와 '지식'을 크게 강조하면서 바울에게 '우리는 왜 할 수 없습니까?'라고 대답했습니다. 그의 반응을 찾는 태도입니다." [328]

A. 결혼 및 관련 사항 ch. 7

바울이 다룬 첫 번째 주제는 결혼이었습니다. 그는 몇 가지 일반적인 설명으로 시작한 다음(1-7절) 구체적인 상황을 다루었습니다.

"6장에서 7장으로의 전환은 바울이 두 가지 전선에서 캠페인을 벌여야 할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6장에서 그는 모든 것이 허용되며 특히 성적 방종은 문제라고 주장하는 난봉꾼들을 다루었 습니다 . 윤리적 무관심 7장에서 그는 아마도 부분적으로 방탕주의자에 대한 반동으로 모든 종류의 성 관계는 더 이상 지양되어야 하며 결혼한 그리스도인은 앞으로는 미혼인 것처럼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 금욕주의자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미 결혼하기로 약혼한 경우에도 미혼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329]

"…바울의 대답의 주된 주제는 '지위의 변화를 구하지 말라'입니다. 이것은 모든 하위 항목(2, 8, 10, 11, 12-16, 26-27, 37, 40절)에서 나타나며, ... 섹션을 서로 연결하는 단락의 단일 주제입니다(17-24절). 하지만 각각의 경우에는 예외가 허용됩니다." [330]

"논쟁의 성격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두 가지 다른 특징: 첫째, 11:2-16과 함께 이것은 편지에서 가장 덜 전투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1:10-6:20의 논증 다음입니다. , 이 부분은 전체적으로 차분합니다. 더욱이 11:2-16과 함께 이것은 그의 모든 편지에서 가장 '권위를 의식하지 않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6절), ‘그들에게 복이 있느니라’(8, 26절), ‘내가 명령하지 아니하고 의견을 말하노니’(25절; 40절)는 여러분의 기준이 바울이 아닙니다. , 그의 모든 편지에서 다른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논쟁은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 번갈아 나타납니다(총 12번). 그리고 모든 경우에 두 성별 사이에는 완전한 상호성이 있습니다." [331]

1. 결혼했거나 이전에 결혼했던 사람들을 위한 조언 7:1-16

바울은 기혼자나 이전에 결혼한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지침을 제시했습니다. “남자가 여자를 만지지 아니하는 것이 좋으나”(1 절)라는 말은 고린도의 슬로건이었을 것이다(참조, 6:12, 13, 18). [332] 바울의 논증에 비추어 볼 때 나에게 타당해 보이는 이 가설은 본문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과는 다른 결과를 낳습니다. 전통적인 견해는 전체 섹션을 결혼의 타당성에 대한 고린도인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결혼에 대한 바울의 입장을 설명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333] 나와 다른 사람들은 이 슬로건에 표현된 대로 바울이 이 섹션에 이어지는 모든 내용에서 고린도인들의 잘못된 견해에 반응했다고 믿습니다.

결혼 생활에서 성관계의 중요성 7:1-7

바울은 결혼한 사람들에게 정상적인 성관계를 멀리하지 말라고 권고했습니다.

7:1 다시 바울은 일반적인 진리를 인용하여 말을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그것을 한정하기 시작했다(참조, 6:12-13). aner (여자와 구별되는 "man") 대신에 그리스어 anthropos (일반적으로 "man": 사람들)를 사용하는 것은 이 진술이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관련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여자를 만진다"는 것은 성교에 대한 고대의 흔한 완곡어법이었습니다. 분명히 고린도인의 질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그리스도인 남자가 어떤 여자와도 성관계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습니까? 심지어 자기 아내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것은 물질 세계와 육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 고린도인들의 “영적” 관점을 반영한다(참조, 6:13; 15:12).

"이 말[슬로건]을 고린도서의 인용문으로 간주하면 어느 정도 어려움이 완화되며, 이는 아마도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가설입니다[참조, 6:12-13]…" [335 ]

또 다른 견해는 "여자를 만지는 것"이 ​​결혼에 대한 완곡한 표현이라는 것입니다. [336] 그러나 이 의미는 증명하기 어렵고 나는 그것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그의 뜻이라면, 바울의 조언은 결혼을 삼가라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나중에 현재의 고난으로 인해 독자들이 현재의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썼습니다(26절). 더욱이, 이 구절 전체에서 바울은 결혼을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이며 그리스도인들에게 완전히 합당한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그는 또한 독신 생활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좋다고 썼습니다(그리스어 kalon ). 그러나 결혼 생활보다 반드시 더 나은 것은 아닙니다.

7:2 이 절은 아마도 결혼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견해에 대한 바울의 광범위한 교정의 시작일 것이다. 그는 계속해서 그들이 결혼 생활에서 주장하는 금욕의 유형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2-4절에 나오는 세 쌍의 균형 잡힌 쌍을 주목하십시오. 이 구절에서 바울은 성적 욕망을 부적절하게 충족시키려는 유혹이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결혼한 부부들에게 서로 성관계를 가질 것을 촉구했습니다. 배우자를 갖는 것은 그 사람을 성적으로 갖는 것에 대한 비성서적 그리스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완곡한 표현이었습니다. [337]

바울이 결혼하지 않는 것이 낫다고 말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1절의 전통적인 견해는 바울이 여기서 그 진술에 대해 양보하는 것으로 봅니다. 이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바울이 2절에서 많은 독신자들이 결국 성적 부도덕을 범하지 않고서는 독신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결혼하는 것이 더 낫다고 말하고 있다고 믿습니다(그리스어 포르네이아스 ) . 이것이 분명히 결혼의 유일한 이유는 아니지만(참조, 창 2:18-24) 성적 부도덕을 저지르려는 유혹이 많았던 고린도에서는 이것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던 것 같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나는 이 해석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것[즉, "각자...각자"도 역시] 일부 유대인 교사들이 옹호한 일부다처제를 금지하는 것입니다." [338]

7:3 음행의 유혹을 고려하여, 결혼의 각 파트너는 자신의 배우자에 대한 성적인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결혼의 책임 중 하나는 성적인 필요를 포함하여 배우자의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입니다(창 2:18).

7:4 또한 결혼 생활에서 각 배우자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독점권을 포함하여 배우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특정한 개인적 권리를 포기합니다. 어느 누구도 결혼 생활에서 자신의 몸에 대해 완전한 권한을 가질 수 없습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은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그는 남자가 여자가 갖지 못한 성적 권리나 필요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7:5 분명히 고린도인들은 – 적어도 그들 중 일부는 – 그들이 “영적”이기 때문에 남편과 아내로서 계속 성관계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내 생각에 가능성이 낮은 또 다른 상황은 배우자와의 성관계를 삼가함으로써 고린도의 부도덕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일부 결혼한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바울은 이것이 그들의 정상적인 성적 욕구를 “서로 빼앗는” 것이라고 보았고, 그들에게 그러한 일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남편과 아내는 이 구절에서 설명하는 상호 주인의 정신을 존중하기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

일시적인 금욕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지만 부부는 두 파트너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금욕해야 합니다. 더 큰 필요, 즉 영적인 필요가 있을 때, 부부는 정상적인 신체적 필요를 제쳐두기를 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시적으로만("한동안") 그렇게 해야 합니다. 더 중요한 영적 의무(예: "기도")를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식사(금식) 또는 잠을 자지 않는 것도 비슷합니다.

"합법적인 기권에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좋은 목적을 위해 상호 동의가 있어야 하며 일시적이어야 합니다." [339]

일반적으로 우리는 성행위를 자제력 부족의 표시로 생각하지만, 바울은 성행위에 실패하는 것을 결혼한 사람의 자제력 부족으로 여겼습니다.

7:6 “그러나 이것은”은 바울이 이전에 한 양보를 가리킨다(5절). 그의 양보는 일시적인 성관계 금지를 허용하는 것이었습니다. 양보는 그들이 성관계를 갖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가르칠 때 결혼한 부부에게 성관계를 금하라고 명령한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는 정기적인 결혼 관계를 표준으로 여겼습니다. 바울은 가능한 한 적은 성관계를 선호하는 금욕주의자가 아니었습니다. 금욕은 그의 견해로는 정상적인 것의 예외였습니다.

7:7 바울은 이 서신을 쓸 당시 결혼한 사람이 아니었음이 분명하다(8절). 그가 결혼한 적이 없는지, 홀아비가 되었는지, 아내가 그를 떠났는지 알 수 있을 만큼 그의 삶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바울에게는 단일 국가가 자신과 같은 주님의 종에게 어떤 이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사역을 하면서 아내가 감당하기 어려운 많은 고난을 참아내야 했습니다. 더욱이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정욕의 불길에 타지 않는 독신으로 살도록 은혜를 주셨습니다(참조, 9 절). "버닝(Burning)"은 그리스와 로마 문학에서 채워지지 않은 열정을 표현하는 매우 흔한 완곡어법이었습니다. [340]

바울은 모든 사람이 자신처럼 살 수 있기를 바랐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각 사람은 하나님으로부터 자신만의 특별한 은사(헬. 카리스마 )를 갖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독신으로 살고 어떤 사람은 결혼하여 살게 됩니다(참조, 마 19:12). 이것은 12-14장에 나열된 은사와 마찬가지로 영적인 은사입니다. 독신의 은사는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들에게 주시는 특별한 능력입니다. 그것은 결혼 생활에서 성적인 성취에 대한 욕구나 필요성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느낌을 포함합니다. [341]

독신생활의 합당한 선택 7:8-9

바울은 성적인 금욕에 관해 기혼자에게 주는 조언에서 미혼자에게 주는 조언으로 옮겨갔습니다. 그는 이전 그룹과 마찬가지로 이 그룹에게도 그들이 속한 상태에 머물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들에게도 예외를 허용했습니다.

7:8 바울이 생각한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헬라어 아가모이스 )은 누구입니까? 대부분의 통역사는 이 단어를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 즉 미혼의 모든 범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바울이 이 구절에서 과부들을 언급하고 이 장에서 남자와 여자를 균형있게 다루었기 때문에 이를 홀아비를 지칭하는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홀아비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있지만 그리스 문학의 코이네 시대 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 Agamos가 그 자리를 대신했습니다. 나는 전자의 관점, 즉 모든 미혼자들을 선호합니다.

비록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혼하는 것이 더 나을지라도 미혼 상태는 결혼한 상태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창 2:18). 독신은 죄가 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결혼한 사람들은 독신자들이 미혼이라는 이유로 그들을 무시하거나 불쌍히 여겨서는 안 됩니다. 때때로 결혼한 사람들은 독신이 결혼 생활의 즐거움을 누리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결혼한 사람들이 누리지 못하는 독신 생활의 즐거움을 즐깁니다. 결혼한 사람들은 미혼이라는 이유만으로 미혼자들에게 결혼을 강요해서는 안 됩니다.

7:9 그러나 만일 독신자가 자신의 정욕을 제어할 수 없거나 제어하지 못한다면(“자제하라”), “정욕이 불타듯 결혼하는 것보다 결혼하는 것이 나으니”(죄악된 정욕, 참조, 2 절).

"… 타는 것과 열을 느끼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바울이 여기서 타는 것이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가벼운 감각이 아니라, 저항할 수 없을 정도로 격정이 너무 타오르는 것입니다." [343]

독신자가 음행에 빠질 정도로 매우 강한 성적 충동을 갖고 있다면, 가능하다면 결혼하는 것이 현명할 것입니다. 물론 신자는 적합한 그리스도인 배우자와 결혼해야 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이것은 말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주님은 삶에서 그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필요 사항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예, 마 6:33). 나는 그분께서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 적절한 배우자를 제공하시거나 독신자가 자신의 성욕을 통제할 수 있게 하심으로써 그렇게 하실 것이라고 믿습니다. 어느 경우든 그분은 더 많은 은혜를 베푸십니다(10:13).

배우자가 신자인 그리스도인은 이혼을 할 수 없습니다 7:10-11

일부 고린도 배우자들은 분명히 성관계를 삼가고 싶어했지만(7:1-7), 일부 다른 사람들은 결혼 생활을 완전히 끝내기를 원했던 것 같습니다(7:10-16). 다시 바울은 그대로 있으라고 충고했지만, 이 사람들에게는 예외도 허용했습니다.

“바울은 홀아비와 과부가 결혼해야 하는지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8-9절), 결혼한 사람이 결혼 관계를 파기할 수 있다는 생각은 일관되게 거부합니다.” [345]

7:10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지상 사역 동안 신자들이 결혼 생활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관해 가르치셨다(마 5:27-32; 19:3-12; 막 10:1-12). 바울은 이 가르침 중 일부를 인용하고 자신의 가르침을 더 추가했습니다. 이것은 바울이 예수의 가르침에 직접적으로 호소한 드문 사례 중 하나이다(참조, 9:14; 11:23; 딤전 5:18). 대개 그는 예수를 인용하지 않고 예수와 조화롭게 가르쳤습니다. 물론 바울을 통한 하나님의 지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사역 기간 동안 그분이 가르치신 것과 마찬가지로 영감과 권위가 있습니다. 이것은 이 장에서 바울이 행한 몇 안 되는 명령 중 하나이다(참조, 2-5 절).

바울의 조언의 주요 요점은 그리스도인들이 결혼 생활을 파탄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마 19:4-6; 막 10:7-9). 떠나는 것과 이혼하는 것(11-13절)은 그리스-로마 문화에서 사실상 동일했습니다. "Leave"(Gr. chorizo )  "이혼"과 동의어였습니다. 오늘날 결혼 문제를 해결하는 인기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별거이며, 이는 항상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뜻은 성도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부부간의 문제를 포기하고 이혼하기보다는 잘 헤쳐나가는 것입니다. [348]

7:11 만일 이혼이 일어난다면, 떠나는 사람은 “반드시” 결혼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합니다(즉, 그대로 지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전 배우자와 화해해야 합니다. 바울은 아내가 떠난 사람이라면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해야 하는 사람이 바로 아내이기 때문에 이것을 아내의 행동 방침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러나 남편이 아내와 이혼한 경우에는 동일한 절차가 남편에게도 적절할 것입니다. 그리스-로마 문화에서는 아내가 남편과 이혼할 수 있었지만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그럴 수 없었습니다. 이혼 은 남편만이 할 수 있다(신 24:1).

나는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음행을 이유로 이혼을 허용하신 예외(헬. 포르네이아 ; 마 5:32; 19:9)를 다루지 않았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예외이기 때문이다. 바울은 이 주제에 관한 그리스도의 주요 가르침, 즉 부부가 결혼 관계를 해소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고린도의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금욕주의적인 이유로, 즉 성행위에서 벗어나기 위해 별거한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현대 문화에서는 그 이유가 정반대인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들은 흔히 다른 사람과 결혼하기 위해 이혼합니다. 이혼하려는 유혹의 이유가 무엇이든, 바울은 그리스도인 남편과 아내에게 함께 지내고 몸과 삶을 서로 나누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리스도인 부부가 서로 화해하지 못하면 세상에 화해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350]

배우자가 믿지 않는 그리스도인에게는 이혼이 금지됩니다 7:12-16

이 상황에서도 바울은 예외를 인정했지만 예외가 이상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는 또한 자신이 처한 상태에 머무르는 기본 원칙을 반복했습니다.

"…기독교에 대한 이교도들의 가장 큰 불평 중 하나는 바로 기독교가 가족을 해체하고 사회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불평이었습니다. 사실 '가정 관계를 침해하는 것'은 기독교인에게 제기된 첫 번째 비난 중 하나였습니다." [351]

7:12-13 “나머지 사람들”은 10 절의 일반적인 범주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바울은 교회의 전형적인 결혼한 사람들, 즉 다른 신자와 결혼한 사람들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 이제 그는 다음 구절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신자와 불신자 사이의 혼합 결혼을 다루었습니다.

혼합 결혼 부부에 대해 바울은 예수의 가르침을 인용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께서 이 주제에 대해 말씀하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바울이 아는 한 그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활하신 주님은 이 주제에 관한 바울의 지시에 영감을 주셨고, 따라서 그 지시는 예수께서 지상 사역 중에 주신 가르침만큼 권위가 있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바울에게 이렇게 물었을 것입니다. 믿는 배우자가 믿지 않는 배우자와 계속 어울리지 않는 삶을 사는 대신 이혼해야 합니까? 그가 제기한 문제는 이것이었다. 그는 믿지 않는 사람이 기꺼이 그렇게 하기를 원하는 한 계속해서 믿지 않는 사람과 함께 살라고 신자에게 권고했습니다.

"요점은 분명합니다. 혼합 결혼에서는 기독교 파트너가 주도권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영구적인] 별거를 향한 움직임입니다." [352]

7:14 비록 믿지 않는 사람이 배우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라도 결혼 생활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믿는 파트너가 믿지 않는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거룩하게 되었다는(그리스어 하기아조 ) 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 구별되었다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특별한 축복을 위해 신자의 믿지 않는 배우자를 따로 구별해 두셨는데, 그 축복 중 일부는 그의 배우자를 통해 주어졌다(참조, 출 29:37; 레 6:18).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인과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하실 때와는 다르게 그러한 사람을 대하실 것입니다.

"사도가 여기서 채택한 크고 자유로운 견해를 관찰하십시오. 작은 것이 더 큰 것에서 그 성격을 취하는 것이지, 더 큰 것이 작은 것에서 그 성격을 취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더 나쁜 것과의 동맹 때문에 더 좋은 것을 거부하지 않으시고, 더 나쁜 것을 받아들이십니다. 더 나은 것과의 동맹입니다." [353]

나는 신자가 불신자로부터 위험에 처해 있다면 부부가 일시적으로 별거하는 것을 바울이 반대했을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참조, 15 절). 그가 원하지 않은 것은 신자들이 이러한 이유로든 다른 이유로든 결혼을 파기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부부가 직면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혼합 결혼의 자녀들은 그리스도인 가정의 자녀들보다 더 나쁜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을 것입니다. 이 특별한 구별(성화)은 아마도 가정에서의 보호와 때로는 어려운 상황에 필요한 은혜의 공급을 포함할 것입니다. 거룩하다(그리스어 하기오스 )는 다르게 구별된다는 뜻이다.

나는 바울이 구원받지 못한 배우자와 혼합 결혼의 자녀가 그리스도인 가정의 배우자와 자녀보다 더 낫다고 말하고 있다고 믿지 않습니다. 그의 요점은 하나님께서 특별한 은혜로 그러한 상황의 단점을 상쇄하실 것이라는 점이었습니다.

"이 구절은 유아세례 문제에 대해 아무런 빛도 비추지 않습니다." [354]

일부 통역자들은 부모 중 한 사람이 신자였기 때문에 혼인 결혼의 자녀는 유아기에 물세례를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그러나 그 견해는 두 가지 이유로 부정확합니다. 첫째, 아이들이 유아세례를 받았다고 가정하는데, 성경 시대에 기독교인들이 유아세례를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둘째, 유아세례는 어린이들을 하나님께서 특별히 선호하시는 범주에 속하게 한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없습니다.

"유아 세례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97년 터툴리안(Tertullian)의 글에서 나옵니다. 거기서 그는 죽은 자와 유아에게 세례를 주는 관행이 도입되기 시작했다고 비난했습니다." [355]

7:15 이 절은 믿지 않는 배우자가 떠날 가능성을 다룬다. 혼합 결혼의 불신자가 결혼 생활을 파탄하기를 원한다면, 믿는 배우자는 그렇게 하도록 허락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은 인간관계에 평화가 존재하기를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결혼 생활을 함께 유지하는 것이 가정 내에서 끊임없는 적대감과 적의를 증가시킬 뿐이라면, 결혼 생활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이미 떠난 믿지 않는 배우자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에게는 떠날 선택권이 없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10-11절).

또 다른 견해는 바울이 별거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였다는 것입니다. 별거는 결혼 결합의 평화를 깨뜨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356] 그러나 이 견해는 남편과 아내 사이에 평화가 존재한다고 전제하고 있는데, 둘 중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이혼을 원했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불신자가 떠날 때 그리스도인은 더 이상 속박 아래 있지 않습니다(Gr. douleuo , 문자 그대로 노예가 됨). 이것은 결혼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속박을 의미합니까, 아니면 결혼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속박을 의미합니까? 많은 주석가들은 이것이 그리스도인이 믿지 않는 사람을 자유롭게 떠나게 할 수 있고 결혼을 유지할 의무가 없다는 뜻이라고 믿었습니다.  주석가들 가운데 어떤 사람들은 신자가 재혼할 자유가 없다고 주장한다(참조, 11 절).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그리스도인이 재혼할 자유가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스어 본문 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습니다. 내 생각에 바울은 여기서 재혼에 대한 생각을 언급하고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나는 구원받지 못한 배우자가 이혼한 그리스도인에게 그 구원받지 못한 사람이 돌아올 가능성이 있는 한 미혼 상태를 유지하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구원받지 못한 배우자가 재혼한다면, 구원받지 못한 배우자가 재혼함으로써 화해의 문을 닫았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은 재혼할 자유가 있다고 믿습니다. [360]

7:16 바울은 그리스도인들이 믿지 않는 배우자와 헤어져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말한 것일 수 있다. 왜냐하면 믿지 않는 사람이 함께 지내면 결국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참조, 벧전 3:1). 그는 신자가 믿는 배우자의 증언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자가 불신자의 출발 을 반대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었을 것입니다. 두 가지 가능성 모두 현실적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사도가 의미한 바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분명합니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서 구원받지 못한 배우자를 구원으로 인도하실 것이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 동안 신자는 바울이 여기서 지시한 대로 주님의 뜻을 행해야 합니다.

16절은 구원받지 못한 배우자가 있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지시를 마무리하는 긍정적인 내용입니다.

2. 기본원리 7:17-24

이 시점에서 바울은 특정한 상황에서 독자들이 결혼에 대해 생각할 때 명심해야 할 기본 원칙으로 돌아갔습니다(참조, 1-7 절). 그는 이 부분에서 할례와 노예 제도에 대한 삽화를 그렸습니다.

“'여자와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이 좋다'라는 명제 하에 그들은 자신들의 현재 상태를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분명히 그들은 신자로서 이것이 그들이 이미 달성한 더 영적인 존재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결혼/독신과 관련한 지위가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변화를 추구합니다. '소명'이라는 주제 아래 바울은 그들의 '영성'을 근본적으로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그들은 어떤 사회적 환경에 있든 그대로 남아 있어야 합니다. 그리스도 안에 있으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참조, 1:9) 이후 그들이 부르심을 받은 시간은 그러한 환경을 초월하여 그것들을 본질적으로 무관하게 만든다.” [362]

7:17 미혼이든 결혼했든, 신자와 믿지 않는 사람과 결혼했든,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현재 상태를 하나님께서 당분간 그 사람에게 두신 상태로 여겨야 합니다. 부르심을 받았다는 개념은 그리스도인의 회심을 설명하는 방법이다(참조, 1:2, 9). 그 사람은 그 상태를 바꾸려고 대부분의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기보다는 그 상태에서 주님을 섬기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바울은 “모든 교회에서” 자신의 상황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자신의 상황에서 그리스도를 섬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가르쳤습니다.

"바울의 의도는 사람이 변할 수 없다는 규칙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자신의 상황을 신성하게 함으로써 고린도 교인들이 그들의 사회적 지위는 궁극적으로 그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깨닫도록 돕고자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변화하려는 그들의 열망은 똑같이 부적합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들의 슬로건이 추론하는 것처럼(1b절) 진정한 영성과 아무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363]

이것은 바울이 “모든 교회에서” 관례대로 행하는 것을 호소한 네 경우 중 두 번째이다(참조, 4:17; 11:16; 14:33). 그는 다른 어떤 편지에서도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그는 이 교회의 사고방식이 자신의 방식이 아니라 궤도에서 벗어났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있었습니다.

7:18-19 현재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이 원칙은 할례를 받거나 받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결혼한 경우나 미혼인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두 조건 모두 순종적으로 주님을 따르는 데 부차적인 조건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새 언약 하에서) 독신이나 결혼, 할례나 무할례를 명령하지 않으셨습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개인적 선택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한 사람의 사역이 그 사람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예, 행 16:3; 참조, 갈 5:6; 6:15).

할례를 받은 후에 무할례자가 된다는 생각은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 일부 유대인들은 공공 체육관에서 활동에 참여할 때 유대인으로 알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렇게 했습니다. 그들은 할례를 취소하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

7:20 상태 또는 “상황”(NIV; 헬라어 클레시스 )은 하나님께서 그 사람을 그분의 가족으로 부르셨을 때 그 사람이 처했던 삶(역, 지위, 상태)에서의 부르심(17절)이다(17절). 참조, 1:2; 엡 4:1).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우리의 부르심은 삶의 부르심, 즉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지리적 체계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위치보다 더 중요합니다.

"이 구절에서 '소명' 또는 '소명'이라는 단어의 일반적인 사용법이 나오며,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신성한 것으로 간주되는 우리의 삶의 고백을 의미합니다. [365]

7:21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인생에 대해 숙명론적인 견해를 가지고 자신의 상태를 반드시 영원히 머물러야 할 것으로 여겨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자신을 향상할 기회가 있다면 그렇게 해야 합니다. 그럴 기회가 없다면 우리는 자신의 상태에 대해 걱정하지 말고 하나님께서 우리를 심어주신 곳에 꽃을 피워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부르신 것을 우리의 현재 상황을 거룩하게 하는 것으로 여겨야 합니다. 물론 그러한 상황에서 바울은 결혼 생활을 파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호소한 것입니다.

이 원칙의 또 다른 예는 어떤 사람이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경우에도 정규 교육을 받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그리스도를 섬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많은 뛰어난 주님의 종들이 그렇게 했습니다. 그 사람이 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어서 하나님을 더욱 효과적으로 섬길 수 있다면 그 기회를 자유롭게 활용해야 합니다. 불행하게도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주님을 섬기는 것보다 교육을 받는 것을 더 강조합니다. 이것은 수레를 말 앞에 놓는 것이며 바울이 여기서 경고한 것도 바로 이것이다.

7:22 세상의 지혜와 하나님의 지혜에 대한 바울의 강조는 이 절에서 다시 나타난다(참조, 1:10-4:21). 우선순위가 고려됩니다. 고린도의 종은 자신을 주로 노예로 여깁니까, 아니면 자유민으로 여깁니까? (자유인은 이전에 종이었으나 자유케 된 사람을 가리킨다.) 고린도의 종은 사람의 종이자 동시에 하나님의 자유인이었다. 자유민은 자신을 주로 자유민으로 생각합니까, 아니면 노예로 생각합니까? 자유인은 사회적으로는 자유인이었지만 영적으로는 주님의 종이었습니다.

"물론 이 이미지는 최근 미국 역사의 관점이 아니라 그리스-로마 노예 제도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노예 제도는 실제로 사회 질서의 최하위 계층이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으로 최대 -고린도나 로마와 같은 도시 인구의 3분의 1. 노예는 상당한 자유를 누렸으며 주인과 함께 상호 이익을 자주 경험했습니다. 주인은 노예의 서비스 혜택을 받았으며 노예는 실제로 많은 사람들에게는 노예가 되는 것이 자유인이 되는 것보다 더 나았으며, 자유인이 되는 것은 기껏해야 빈약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노예를 특징으로 하는 한 가지 특징은 최종 분석에서 그가 소속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자신에게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그것이 이 이미지에 대한 바울의 요점입니다." [366]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대표자로서의 가능성보다는 자신의 한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불행한 일입니다. 우리에게 다른 능력이나 기회가 없다고 자책하기보다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능력과 기회를 활용해야 합니다.

7:23 바울의 생각은 다시 십자가로 돌아갔다(참조, 6:20). 하나님께서는 당신 아들의 보혈로 우리를 사셨고 최악의 노예 생활에서 우리를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섬길 수 있게 해 주는 자유 중 어느 하나라도 포기하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우리 자신을 그분이 아닌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다시 노예 관계로 두는 것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일입니까(“사람의 종이 되지 말라”). 이것은 육체적, 영적 속박 모두에 적용됩니다.

7:24 이 페리코프에서 세 번째로(17, 20, 24절) 바울은 자신이 옹호하는 기본 원칙을 진술했다. 분명히 고린도 교회에는 이 권고가 많이 필요했습니다.

우리 시대에는 상향 이동이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예배는 교회를 오염시켰습니다. 우리는 혼합 결혼, 독신 생활, 화이트 칼라나 블루 칼라 직업, 또는 우리가 어떤 사회경제적 상황에 처해 있든 주님을 섬기고 우리의 부르심을 실천하는 데 만족해야 합니다.

이 부분에서 바울은 할례와 무할례, 종살이와 자유를 예로 들었습니다. 그러나 이 장의 더 큰 맥락은 독신과 결혼입니다. 그의 요점은 독신인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그분을 따르라고 부르실 때 독신으로 지내는 것으로 만족해야 하며, 결혼한 사람들은 결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신실함이나 하나님께 대한 효율성은 변화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섬길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 우리는 그것을 자유롭게 활용해야 합니다.

3. 처녀에 관한 조언 7:25-40

25절에 "이제 관련하여"라는 문구가 두 번째로 나오는데 이는 고린도인들이 바울에게 기록한 또 다른 주제를 가리킨다(참조, 1절 ) . 미혼 여성의 주제였습니다. 이 부분은 바로 앞 부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7장의 나머지 부분에 속합니다. 바울은 일부 고린도 사람들의 금욕주의로 인해 제기된 결혼 문제에 대해 계속해서 다루었습니다.

단일 상태의 장점 7:25-28

바울이 이 부분에 쓴 내용을 볼 때 고린도인들이 바울에게 던진 질문은 약혼한 여자가 결혼해야 할까요, 아니면 독신으로 지내야 할까요?였던 것 같습니다. 17-24 절은 결혼하지 않은 사람이 자신(또는 자신의) 독신 상태를 바꾸고 결혼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참조, 8 절).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바울이 옹호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7:25 처녀들(그리스어 parthenoi ) 은 8절에 언급된 “미혼”( agamoi ) 그룹 내의 그룹이었다. 바울은 25-38절에서 이 명사의 여섯 용법 중 다섯 용례에서 여성성을 사용했다. 그러므로 그가 특히 처녀 처녀들에 관해 말씀하신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이 처녀들의 신원에 대해서는 세 가지 주요 견해가 있습니다. 한 가지 견해는 그들이 고린도 교회의 ​​사람의 처녀 딸들이었으며 이 아버지들은 딸들을 결혼시키는 것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견해는 처녀들이 "영적 결혼"(즉, 성관계 없이)으로 함께 살고 있던 남자와 여자였다는 것입니다. 세 번째 견해는 처녀들이 약혼했거나 약혼을 생각하고 있었지만 결혼을 포기하라는 교회의 "영적" 사람들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던 여성이었다는 것입니다. 나는 본문이 첫 번째와 세 번째 견해를 가장 잘 뒷받침한다고 믿습니다.

바울이 아는 한 주 예수께서는 지상 사역 동안 이 문제를 다루지 않으셨다(참조, 12 절). 바울은 자비를 받아 주님의 신실한 청지기로서 영감받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4:2). 바울은 주님의 명령이 아니라 그분의 자비에 호소했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이 장의 첫 부분에서 바울은 좋은 조언을 하고 있었지만 모든 사람에게 자신이 조언한 대로 행하라고 명령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바울의 조언을 따르지 않기로 선택하는 것은 죄를 짓는 것이 아닙니다.

7:26 사도가 언급한 “현재의 (임박한) 환난” 또는 위기(헬라어 아나그케 )는 무엇이었는가? 그것은 고린도 교회나 고린도에 있었던 위기였을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 더 이상 구체적인 정보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 고난에 대한 바울의 묘사(29-31절)로 볼 때, 그는 우리가 마지막 시대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위해 돌아오시면 언제든지 끝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마지막 날입니다 .

만약 이것이 맞다면 우리는 고린도 신자들이 겪었던 것과 같은 “현재의 고난” 속에 살고 있습니다. 지금은 불신자들의 적개심과 배도의 증가로 인한 고난의 때이다(참조, 딤전 4 장; 딤후 3 장). 헌신된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이 거부하는 가치관, 도덕, 우선순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반대, 적대감, 스트레스에 직면합니다. 사도 바울은 중간 재림 시대를 위기와 고난의 시기로 일관되게 보았습니다.

이 구절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자신의 부르심 안에 거하는 바울의 기본 원칙을 다시 설명합니다(17, 20, 24절). "Man" 또는 "you"(NIV)는 사람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anthropos를 번역합니다 .

7:27 바울은 독신으로서 주를 더욱 효과적으로 섬기기 위해 독신 생활을 추구하는 것보다 결혼을 유지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분명히 이러한 목적으로 결혼 생활을 나누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믿지 않는 배우자가 그리스도인을 버렸거나 배우자를 잃었다면 독신 생활은 기독교 사역을 위한 더 큰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7:28 그러나 그런 경우에 재혼하는 것은 죄가 되지 않습니다. 이 말은 믿지 않는 배우자와 이혼한 신자가 재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부와 홀아비의 재혼도 허용하는 것 같습니다. 젊은 여자가 독신으로 지내지 않고 결혼하기로 결정했다면, 그녀는 죄를 짓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결혼 결정은 이생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독신 여성이 자신의 신앙 때문에 대적에게 고문을 당할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녀는 자신이 책임져야 할 자녀를 둔 기혼 여성보다 그러한 가능성에 더 쉽게 직면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분명히 그러한 종류의 문제를 염두에 두고 있었을 것입니다.

“교회에서 이 본문에 발생한 불행한 일 중 하나는 바울이 자신을 이렇게 표현하게 만든 바로 그 목회적 관심이 위안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불안의 근원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구 문화에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현재의 고난'의 시대에 살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본문이 나타내는 종류의 배려를 감지하지 못합니다. 그 외에도 바울은 결혼보다 독신 생활을 더 좋아한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그러나 고린도 교인들에 대한 바울 자신의 입장과는 정반대로 우리는 종종 독신 생활이 어떤 면에서는 우월한 지위라는 선호로 인해 독신 생활을 원하지 않는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하나님의 뜻에 대해 염려하게 됩니다. 그런 사람들은 다시 들어야 합니다. 결혼이나 독신 생활 자체는 '결혼'의 범주에서 완전히 벗어납니다. 계명'을 준수하거나 탐닉하면 '죄를 짓는 것'이며 여기서 바울이 선호하는 것은 '영적' 근거가 아니라 목회적 관심에 근거한 것입니다. 결혼하는 것은 전적으로 옳습니다." [368]

싱글로 남는 이유 7:29-35

다음으로 바울은 독자들에게 세상과의 관계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지라고 촉구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고통스러운 시대에 살고 있고 세상의 형체는 지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역시 고난의 시대에 살고 있고 세상의 형체는 여전히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세계관이 필요합니다.

7:29a 사람이 그리스도를 섬겨야 하는 시간은 날이 갈수록 짧아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바울은 아마도 주님의 재림이 날마다 더 가까워지고 있음을 의미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이 걱정하는 것은 우리에게 남은 시간의 양이 아니라 우리의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리스도인은 미래에 대한 특정한 관점을 가지고 살아야 하며, 따라서 우리는 영원의 가치를 의식적으로 염두에 두고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나중에 더 큰 보상을 받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금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3:14; 참조, 마 6:19-21).

7:29b-31a 결혼한 남자들은 십자가의 군사로 살아야 하며 가족 생활의 안락과 즐거움을 기꺼이 포기해야 하지만 책임은 포기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영적 전쟁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는 사람들은 현재의 슬픔이 비교적 짧을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참조, 눅 6:21). 마찬가지로 기뻐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지금 인생에서 성취해야 할 심각한 목적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누가복음 6:25).

우리가 물건을 구입할 때(“구매하는 사람들”) 우리는 단지 하나님의 청지기일 뿐이며 모든 것이 실제로 그분께 속한다는 점(“그들이 소유하지 않은 것처럼”)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주님을 섬기기 위해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 세상의 것들에 완전히 사로잡혀서는 안 됩니다(“마치 그것을 최대한 활용하지 않는 것처럼”). 그러므로 미혼이든 기혼이든 세상과 초연한 자세로 살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를 통제하도록 놔두어서는 안 되지만, 우리가 그것을 사용하는 것을 통제해야 합니다.

7:31b 인생을 이렇게 보는 이유는 우리가 알고 있는 지상의 삶(“세상”)은 일시적일 뿐이며 “지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노래에 따르면 "이 세상은 내 집이 아닙니다. 나는 단지 통과할 뿐입니다."

7:32a 바울은 독자들이 현세에 대한 염려에서 벗어나 주를 향한 그들의 헌신이 한결같기를 원했다(35절; 참조 마 6:25-34; 빌 4:11; 벧전 1:10). 5:7). 그분은 우리 신자들이 종말론적인 사람들, 즉 우리의 목적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사람들로 살기를 원하셨습니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우리의 새로운 존재는 현재의 세상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결정해야 합니다. 구매와 결혼이 우리의 존재를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려면 미래에 대한 명확한 견해가 있어야 합니다.

7:32b-34 똑같이 헌신한 두 그리스도인을 비교하면, 미혼 ​​남자(미혼이든 홀아비이든)는 결혼한 남자보다 주님의 일에 더 집중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수 있습니다. 기혼 남성은 가족에 대한 책임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특히 처녀에게도 해당됩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영국이 그녀의 남편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부 통역사는 부정적인 불안 감정("관심")을 더 강조하는 반면, 다른 통역사는 각 개인이 보여야 하는 긍정적인 배려 감정("걱정")을 강조합니다. 아마도 두 가지 우려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 있을 것입니다. 미혼 상태가 어떤 의미에서는 바람직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더 나은 것은 아닙니다. 불행 하게도 주님을 섬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바칠 수 있는 독신자들은 자신을 위해 살기로 선택합니다. 하지만 내 친구 몇 명을 포함해 몇몇 사람들은 결혼 생활에 방해가 되지 않고 주님을 섬길 수 있도록 독신 생활을 선택했으며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7:35 바울은 독자들이 자신의 이전 논평을 금욕주의자들처럼 독신에 대한 너무 강력한 주장을 세우려는 시도로 여기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독자들이 미혼 및 기혼 국가의 현실을 인식하여 그들이 주님께 방해받지 않고("분심되지 않은") 헌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싶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주님 아래서 독신이든 결혼이든 선택할 수 있는 진정한 자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신자들은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자녀를 몇 명이나 가질 것인지, 언제 가질 것인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새 언약의 법률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현재의 고난", 즉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사항을 고려할 때 남은 시간이 짧은 것을 고려하여 삶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부분에서 바울은 미혼 여성들에게 세 가지 이유 때문에 미혼 상태를 유지하라고 명령한 것이 아니라 권고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현재의 어려운 시기(26-28절), 그리스도의 임박한 재림(29-31절), 봉사할 수 있는 기회 방해받지 않는 그리스도(32-35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혼 여성은 미혼 남성과 마찬가지로 결혼 여부를 선택할 자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이 페리코프에서 개괄적으로 설명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삶의 현실이 그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칠 필요가 있습니다.

결혼의 정당성 7:36-40

이 부분은 이 장에 있는 결혼에 관한 바울의 전체 가르침을 마무리합니다. 일부 영어 번역에는 이 구절에서 바울이 아버지들에게 처녀 딸에 관해 조언을 하고 있다는 믿음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다른 번역판에서는 바울이 처녀 결혼을 고려하고 있는 남자들에게 조언을 하고 있다는 믿음을 나타냅니다. 나는 첫 번째 보기를 선호합니다.

7:36 바울은 “누구든지”(아버지나 약혼자)에게 자기 딸이나 약혼자의 결혼을 금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권했습니다. 그녀가 결혼하게 해주세요. 그는 바울이 독신 상태가 바람직하다고 쓴 내용 때문에 그녀의 결혼을 꺼렸을 수도 있습니다(8, 28-34절). 아니면 그는 "영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한 교회의 금욕주의 영향과 아마도 고린도의 음행에 대한 과잉 반응 때문에 주저했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그는 "현재의 고난"을 고려할 때 독신으로 지내는 것이 그녀에게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습니다. "Past her youth"는 사춘기가 지났다는 뜻입니다. 즉, 그녀는 결혼 적령기입니다. “그리고 그래야만 한다”는 말은: 그녀가 결혼할 수 있는 나이이기 때문에 그녀가 결혼하는 것이 정상일 것이라는 뜻입니다.

"로마와 그리스 아버지는 딸의 결혼을 통제했습니다." [375]

7:37 마찬가지로 자기 딸이나 약혼자를 혼자 두기로 결정한 사람은 자신의 결정에 대해 마음이 편해야 합니다. 금욕적인 고린도인들로부터의 외부 압력이나 바울 자신이 방금 쓴 글로부터의 압력이 그를 제약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그는 그녀의 결혼을 허락할지 말지에 관해 자신의 확신을 따라야 합니다. 물론 성령의 인도를 받아야 합니다.

7:38 우리가 생각하는 결정은 옳은 것과 그른 것, 죄를 짓지 않는 것과 죄를 짓는 것이 아니라 선과 더 나은 것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도덕적 상황의 좋은 예입니다. 바울은 이 서신의 뒷부분에서 다른 비도덕적인 상황을 언급했다(참조, 8:1-11:1).

"그래서 결국 바울은 편지에서 고린도인들의 의견에 동의하기도 하고 반대하기도 했습니다. 그들은 '영적' 이유로 독신 생활을 선호하고, 목회적이고 종말론적인 이유로 독신 생활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그들과는 정반대로 그는 또한 결혼을 긍정합니다. , 그는 너무 강력하게 행동합니다. 그런 사람은 '잘한다'. 그러나 마지막 말이 하나 있습니다. 이 구절은 남자에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의 대답 전체에 따라 기혼 여성에게도 마지막 말이 있습니다." [376]

7:39 나머지 두 절은 아내가 남편과 헤어지지 말아야 함을 반복함으로써 논의의 두 주요 부분을 마무리한다(참조, 1-24 절). 이 결론적 알림은 결혼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는 처녀들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다시 바울은 결혼을 구속력 있는 관계로 언급했다(참조, 15, 27 절). 아내는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 그에게 매인다(헬. 데오 ). 이것은 그가 그녀를 떠나더라도 결혼 관계는 깨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까? 많은 통역사들이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이혼이나 별거 후에 재혼하는 것은 간음이 됩니다(참조, 마 19:9; 막 10:11-12). 이 경우 배우자가 사망하기 전에는 재혼을 피해야 합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바울이 믿지 않는 배우자에 의한 버림으로 그리스도인이 자유로워졌고 그 또는 그녀가 더 이상 배우자의 속박 아래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정했지만 다시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15절). 그러나 이는 혼합결혼에만 적용된다.

바울은 죽음이야말로 결혼의 띠를 항상 깨뜨리는 유일한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이것은 현재의 결혼 관계가 천국에서는 현재의 형태로 지속되지 않을 것임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참조, 눅 20:34-36). 예수님은 결혼한 배우자가 재결합하지 않으면 이혼이 간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가르치셨습니다(마 19:9). 하나님께서는 특정한 상황에서 이혼을 허락하실 수도 있지만(참조, 마 19:9; 고전 7:15), 재혼은 때때로 간음을 초래한다.

그리스도인 여성의 남편이 죽으면 그녀는 자신이 원하는 사람과 결혼할 자유가 있습니다. 단, 그 사람이 신자라면 말입니다(참조, 고후 6:14). 아내가 죽은 그리스도인 남자에게도 동일한 규칙이 적용될 것입니다.

"아주 오래 전, 현명한 고대 그리스인 플루타르코스는 '남편과 아내가 같은 종교를 갖지 않으면 결혼은 행복할 수 없다'고 규정했습니다." [377 ]

놀랍게도 Lightfoot은 다른 견해를 취했습니다.

“이 표현[“오직 주 안에서”]은 일반적으로 그녀가 결혼한다면 그리스도인 남편과 결혼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이 표현은 너무 압축할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이며, 그녀가 그러한 조치를 취할 때 그녀의 기독교인의 의무와 책임을 잊지 마십시오. " [378]

7:40 바울은 이 장 전체에서 사용했던 아주 가벼운 접촉으로 과부라면 결혼하지 않고 지내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자신의 의견을 표현했습니다. 이 결정은 결혼 여부에 대한 모든 결정과 마찬가지로 미묘한 균형을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나중에 바울은 특정 조건이 주어지면 일부 과부들은 재혼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나을 것임을 인정했습니다(참조, 딤전 5:9-13). 예를 들어, 훌륭한 그리스도인 남편과 궁핍한 삶 사이에서 선택해야 할 상황에 처해 있다면, 아마도 재혼하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 모든 것이 동일하다면 단일 상태가 사도에게 더 나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문제는 과부의 순종이 아니라 그 과부의 행복(내 생각에는 이대로 지내는 것이 더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이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그녀는 "산만해지는 일이 줄어들고 세상적인 걱정으로부터 더 많은 자유를 얻게" 될 것입니다. [379]

바울은 자신의 말이 하나님의 마음을 대표한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 없이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단지 자신의 취향에 너무 큰 비중을 두지 않기 위해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표현했을 뿐입니다.

이 장은 성경에서 결혼 주제에 관한 중심 구절 중 하나이다(참조, 신 24 장; 마 5 장; 19 장; 막 10 장). [380] 이는 바울이 일부 사람들이 그를 비난하는 것처럼 완고한 편협하고 독신주의 옹호자가 아니었음을 보여줍니다. 그는 이 주제의 비도덕적 측면에 대한 개인적인 선호와 주님의 뜻을 구별하기 위해 극도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하나님의 뜻이 분명할 때에도(예: 39절) 그는 “강단을 두드리지” 않고 단순히 하나님의 뜻을 객관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이 민감한 주제에 관해 설교하고 가르치는 우리 모두가 그분의 모범을 따르기를 바랍니다.

B. 우상에게 바쳐진 음식 8:1-11:1

고린도인들은 바울에게 또 다른 질문을 했는데, 이는 사도의 대답으로 볼 때 분명히 투쟁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것은 그들의 문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행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주석가들은 바울이 언급한 상황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이해합니다. 그들 중 일부는 이전에 이방인들이 우상에게 바쳤던 시장 음식을 먹는 것 자체가 비도덕적(도덕적 문제가 아님)이었지만 교인들 사이에 분열을 일으킬 만큼 논란이 되었다고 믿습니다. 이것이 실제로 바울이 언급한 문제라면 그것은 유사한 많은 "의심스러운 일" 중 하나일 뿐입니다. 이 견해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여기에서 독자들에게 보내는 사도의 지시가 현대의 의심스러운(비도덕적, 옳고 그름, 선함과 악함 그 자체) 문제를 다루는 데 지침을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다른 해석자들은 우상에게 바쳐진 음식을 먹는 것이 특정한 형태의 우상 숭배를 포함하므로 비도덕적인 것이 아니라 죄가 된다고 믿는다(참조, 5:10-11). 그들은 바울이 이전에 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관습을 금지하는 것에 대한 고린도 사람들의 반대에 대한 응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견해는 8장 10절과 10장 1-22절이 바울이 대응하고 있는 기본적인 문제를 표현하는 것으로 본다. 나는 본문이 이전 해석보다 이 해석을 더 잘 뒷받침한다고 믿습니다.

"성전에 가는 것이 실제 문제라는 점은 제의적인 식사를 먹는 것이 고대 예배의 정규적인 부분이었다는 사실로 뒷받침됩니다. 이것은 이스라엘을 둘러싼 국가들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자체에도 해당됩니다. 고린도에서 바울 시대에도 이러한 식사는 여전히 국가 축제와 다양한 종류의 사적인 축하 행사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졌습니다. 이러한 식사는 세 부분, 즉 준비 부분, 고유 제사 부분, 잔치 부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세 부분: 신 앞에 불붙은 것, 숭배자들에게 나누어진 것, 그리고 '신의 식탁'에 놓인 것, 이 음식은 예배자들이 돌보았지만 숭배자들도 먹었습니다. 이 식사의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식사는 신을 기리기 위해 거행되고 제물이 바쳐지기 때문에 신들이 현존한다고 생각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석자들에게는 강렬한 사교 행사이기도 했습니다. 고린도에서 신자가 된 대부분의 이방인들은 아마도 평생 동안 그러한 식사에 참석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고대의 기본적인 '레스토랑'이었고 모든 종류의 행사가 이런 방식으로 축하되었습니다." [381]

“그러면 문제는 다음과 같이 가장 잘 재구성됩니다. 그들이 개종한 후 – 아마도 바울이 떠난 후에 – 그들 중 일부는 제의적인 식사에 참석하는 관행으로 돌아갔습니다. 바울은 이전 편지에서 그러한 '우상 숭배'를 금지했습니다. ; 그러나 그들은 그 금지 사항에 예외를 두었고 그들의 편지에서 네 가지 요점을 지적했습니다: (1) 그들은 '모든 사람이 우상에 대해 알고 있다'고 주장합니다[즉, 그러한 것은 없으므로 이러한 식사에 참여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참조, 1, 4 절] ... (2) 그들은 또한 음식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으며, 음식은 하나님에 대해 무관심한 문제입니다(8:8) ... (3) 그들은 음식에 대해 다소 '마술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스도인 세례를 받고 성찬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넘어질 위험이 전혀 없습니다.(10:1-4) (4) 게다가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바울이 합당한 자격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상당한 의문이 있습니다. 이 문제에 관해 그들을 금지하는 사도적 권위. 그들의 마음 속에서 이것은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입증되었습니다: 첫째, 그가 그들과 함께 있는 동안 지원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 둘째, 시장에서 파는 우상의 음식에 대해 명백히 타협적인 입장을 취했다(그는 유대인과 함께 먹을 때는 금했지만 이방인과 함께 먹을 때는 먹었다; 참조, 9:19-23) .

1. 그리스도인의 행동에 있어서 지식보다 사랑이 우선시됨 ch. 8

이 서신에 나오는 지식에 관한 시정 지침의 양은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지식을 너무 높게 평가했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바울은 믿음의 목적은 지식이 아니라 사랑이라고 썼습니다.

지식과 사랑을 비교함 8:1-3

바울은 사랑의 길과 지식의 길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비교하면서 시작했습니다.

8:1 주제의 변화와 함께 핵심 문구 peri de (“이제 관련이 있다”)는 이 서신의 새로운 부분을 표시한다.

이 구절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자들은 바울 시대의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이교 이방인들이 그들의 성전에서 매일 다양한 이교 신들과 여신들에게 희생 동물을 바쳤다고 지적했습니다. 토큰의 일부만이 신에게로 가서 제단에서 불태워졌습니다. 고기는 대부분 성전 제사장들과 수행자들과 그 가족들이 먹었으나, 예배자들이 가져온 것은 다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아고라 (시장) 에 있는 육류 시장 운영자에게 남은 것을 팔았습니다 .

그곳의 공개 시장에서 일반 대중은 우상 희생에서 남은 고기를 구입했습니다. 이 고기는 매우 바람직하고 인기가 높았습니다. 왜냐하면 이교도들은 대개 가장 좋은 동물만을 제물로 바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육점 주인들은 일반적으로 그것이 누군가가 우상에게 바친 고기인지 식별하지 않았습니다. 전통적인 통역사들은 이것이 토론에서 고려되는 핵심이라고 믿습니다. [383]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아이돌 사찰에서 식사하는 것이 가장 큰 이슈인 것 같아요.

이 주제를 다루면서 바울은 이 서신에서 습관적으로 했던 것처럼 독자들과 믿음의 공통 기반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했다(참조, 6:2; 7:1). “우리 모두는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고린도의 또 다른 슬로건이었을 것입니다. 모든 신자들은 유일하신 참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지식으로 인해 교회의 일부 사람들은 우상의 성전에서 먹는 것이 하찮은 일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은 시장에서 구입한 고기의 종류를 구별하지 않게 되었을 것입니다. 나중에 바울이 지적한 것처럼 이것은 아주 적절한 것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독자들이 이 음식을 먹는 것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유일한 요소는 우상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지식만이 아니었습니다.

사도는 이 중요한 주제에 대한 논의의 시작 부분에서 지식 자체가 "사람을 교만하게 만든다"(문자적으로는 우쭐대다)는 사실을 확립했습니다. 우리는 교만이 고린도인들의 주요 약점 중 하나였음을 이미 살펴보았습니다(4:6, 18-19; 5:2). 지식과 달리 사랑은 교화합니다.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느니라(13:4) 바울은 독자들이 올바른 행실의 기초가 되는 지식을 버려야 한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 아닙니다. 사랑이 없는 지식은 불완전하며 그 자체로는 올바른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뜻이었습니다.

"지식은 혼자서 작동하면 파괴의 엔진이 됩니다(11 f.)." [384]

8:2 바울은 어떤 사람이 자신이 어떤 과목을 완전히 통달했다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은 자신이 아직 배우지 못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 이유는 어떤 주제에는 항상 한 사람이 배우거나 알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에는 항상 또 다른 측면이 있고, 그것을 검토할 때 고려하지 않은 또 다른 관점이 있거나, 그것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는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이 사람의 지식은 또 다른 의미에서 부족합니다. 지식에 대한 그의 태도가 잘못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겸손하게 깨닫기는커녕 자신의 주제를 지쳤다고 오만하고 비현실적으로 주장합니다. 어떤 과목을 완전히 마스터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함의 극치입니다. 바울은 그의 독자 중 일부를 겸손하게 하기 위해 자신이 한 일을 여기에서 말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우상과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이 우상의 성전에서 고기를 먹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어야 하는지가 완전히 명백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진정한 영지 ("지식")는 너무 많은 데이터의 축적이나 신학의 정확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사랑하며 사는 법을 배웠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385]

"이 다소 번거로운 조항이 표현하려고 하는 것처럼 보이는 구별은 한편으로는 하나님에 관한 정보 조각의 수집(그노시스)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정당하게 관련되어 있는 상태 사이에 있는 것 같습니다. 그에게." [386]

"한 유명한 설교자는 '어떤 기독교인은 성장하지만 다른 기독교인은 부풀어 오른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387]

8:3 바울은 올바른 견해를 설명하기 위해 한 가지 주제를 선택했습니다. 하나님에 관한 모든 사실을 축적하더라도 하나님에 대한 가장 현실적인 지식을 얻을 수는 없습니다. 또한 하나님을 사랑해야 합니다. 어떤 사람이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하나님은 그 사람을 친밀하게 아시고(인식하시며) 그 사람에게 자신을 나타내십니다(2:10; 마 11:27). 결과적으로 우리가 하나님을 아는 것보다 하나님이 우리를 아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분이 우리를 친밀하게 아실 때 그분은 우리가 그분을 친밀하게 알 수 있게 하실 수 있습니다.

"… 사람이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이는 하나님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는 표시입니다." [388]

논리적으로 하나님께서는 그분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분을 더 잘 알 수 있게 하실 뿐만 아니라, 그분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다른 주제들도 이해할 수 있게 하실 것입니다. 바울은 다양한 상황에서 우리의 행동을 결정할 때 지식보다 사랑을 우선시하기 위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지식의 길의 내용 8:4-6

바울은 2절과 3절에서 지식보다 사랑이 우월하다는 점을 논평한 후 여기서 지식에 대한 논의를 재개했습니다.

8:4 이 절에서 바울은 우상의 성전에서 식사한다는 원래의 주제로 돌아가 지식보다 사랑을 우선시했습니다. 의심할 바 없이 우상은 실제이신 하나님처럼 영적 존재가 아닙니다. 참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십니다(신 6:4). 모든 그리스도인은 그것을 알아야 하며 고린도인들은 그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알고 있습니다"는 그들이 모두 사실이라고 알고 있던 것을 확증합니다.

8:5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에 대한 올바른 개념이 없는 많은 사람들, 이교도들, 심지어 기독교인들에게도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신과 주로 간주하는 존재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신이라는 용어를 전통 신들에게 적용했고, 영주라는 용어를 신비 숭배의 신들에게 적용했습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 이외의 다양한 존재들이 생명을 지배한다고 믿습니다.

8:6 교육받은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오직 한 하나님(“만물이 그에게서 났느니라”)과 한 주님(“만물이 그에게서 났느니라”)이 계십니다. 물론 바울은 두 개의 분리된 신 존재나 두 신, 즉 하나님과 주님이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이것은 아버지와 아들로 존재하시는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가리키는 두 가지 이름입니다. 성경은 다른 곳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확증합니다(예, 요한복음 1:1, 14; 10:30; 골로새서 1:15-19; 등). 바울은 여기서 그 점을 주장하지 않고 단순히 삼위일체 신격 내에서 아들이 아버지와 동등함을 언급했습니다.

차이점은 이것입니다. 아버지는 모든 것이 존재하는 근원("누구에게서")이자 목표("누구를 위해")이시지만, 아들은 모든 것이 존재하는 대리인("누구에 의해", "누구를 통해")이십니다. . 바울의 요점은 신격의 단일성이었으므로 여기서 성령을 언급하여 문제를 복잡하게 할 필요는 없었다.

형제를 돌보는 기준 8:7-13

"그[바울]은 확고한 신학적 기초(8:6)에 기초하여 빈틈없는 주장을 전개합니다. 그러나 그 다음에 알라 ( '그러나'[7절])가 나오고 논증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올바른 신학을 가진 사람들이 우상의 제물을 먹기 싫어하는 사람들을 무시할 수 있는 공동체인가, 우월한 지식의 원리가 아니라 지식이 부족한 자는 '그리스도께서 위하여 죽으신' 사람들(8:11) 덕을 세우는 것이 자유보다 우선하며, 다른 사람의 유익이 자기 유익보다 우선합니다(10:23-24). 1:18-2:16의 기독론적 인식론이 우상에게 바쳐진 음식을 먹는 논란에는 감성과 사랑의 공동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390]

8:7 이 절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은 다음과 같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유일하신 참 하나님 외에는 다른 신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하지만, 일부 고린도인들은 이전에 우상을 믿었기 때문에 그 믿음을 흔들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들은 이전에 누군가가 이교 신에게 바쳤던 고기를 먹은 것에 대해 여전히 불필요한 거짓 죄책감(“그들의 양심이 약하여 더럽혀졌음”)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뭔가 잘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뭔가 잘못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거짓 죄책감은 그들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391]

현대의 이에 상응하는 사람은 다양한 종류의 오락에 여가 시간과 돈을 모두 소비하던 이교 배경에서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일 수 있습니다. 그는 그리스도인이 되었고 오락이 그의 신이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는 양심적인 그리스도인으로서 다시 그 함정에 빠지지 않기를 원하기 때문에 오락을 피합니다. 그는 심지어 자신이 이전에 노예였다고 생각했던 형태의 오락을 즐기는 다른 신자들에 대해 비판적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는 레크리에이션을 그리스도인의 합법적인 활동으로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는 다른 그리스도인들이 오락을 즐기는 것을 보면 그들을 육신적이라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는 오락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잘못된 죄책감을 갖고 있습니다.

아마도 바울은 회심하기 전에 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우상 성전의 잔치에 참석하는 고린도 그리스도인을 묘사하고 있었을 것입니다(고기를 "우상에게 제물로 바쳤던 것처럼" 먹음). 그 사람은 참된 죄책감을 느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참여함으로써 암묵적으로 우상 숭배와 그 존재를 승인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그 사람의 양심이 약하다고 말했습니다. 비록 그 사람이 지적으로는 하나님이 한 분이신 것을 믿었지만 그 사람의 감정은 그 진리를 완전히 동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분명히 이것은 베드로가 이방인과 함께 식사하는 것을 그만두고 타협했을 때의 문제였습니다(갈 2:11-14).

“바울이 약한 형제라고 말할 때, 그는 쉽게 영향을 받아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이 약하고, 지나치게 양심적이며,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거짓 신을 숭배하는 데 바쳐진 음식을 먹는 것은 도덕적으로 무관심한 문제입니다." [392]

"이 구절에서 바울은 율법주의적인 사람들을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몸의 다른 지체들보다 약한 형제자매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차이점이 있습니다. 율법주의자는 잘 배웠을 수도 있고 교만 때문에 원할 수도 있습니다. 연약한 신자들을 틀에 밀어 넣어 영적으로 만들려는 것입니다.그러나 연약한 형제자매들은 아직 가르침을 제대로 받지 못했으며, 믿음에 대한 깊은 지식도 부족합니다. 바울이 언급한 상황에서 약한 형제자매들은 주변 문화에 속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우상을 봅니다(하나님께서 그들을 보시기에 헛되고 무가치한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아이돌 주변에서 행동하는 것." [393]

8:8 음식은 우리를 하나님을 다소 기쁘게 하지 않습니다(“우리를 칭찬하지 아니하며”). 그분과의 관계에서 우리는 음식을 먹든 먹지 않든 더 좋아지거나 나빠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교 사원에서 음식을 먹는 것은 다른 일이었습니다.

“깨끗한 마음이 중요하고 깨끗한 음식이 중요하지 아니하니 약한 형제가 이 둘을 혼동하느니라.” [394]

8:9 어떤 음식이 그 자체로 괜찮다는 사실만이 우리가 그것을 먹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는 아닙니다. 우리의 참여를 방해하는 형제에 대한 사랑도 중요합니다. 약한 형제는 그의 감정이 그의 지성을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에 약한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걸림돌"은 다른 개인과 하나님의 개인적인 관계를 가로막는 장벽을 의미합니다. 절기를 위해 이교 성전으로 돌아온 고린도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의 참여가 여전히 우상을 숭배하거나 적어도 승인하는 것으로 여기는 형제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무시하고 있었습니다.

미국에서는 다가오는 차량이 없을 경우 운전자가 대부분의 신호등에서 우회전하는 것을 법으로 허용합니다. 다가오는 차량으로 우회전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는 관련된 모든 사람의 복지를 바탕으로 우회전할지 아니면 기다릴지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인은 관련된 모든 사람의 복지를 바탕으로 자유를 행사하기로 선택해야 합니다.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기쁨(JOY)이라는 약어를 기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예수 는 먼저, 다른 사람들은 다음, 당신 은 마지막입니다.

8:10 10-12절에서 바울은 약한 자들의 권리를 위하여 호소했습니다. 고린도의 한 그리스도인이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를 먹는 것 자체가 하찮은 일이라는 사실을 인식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는 이교 사원에서 또 다른 고린도 신자를 만난다면 그 곳에서 식사를 하자는 친구들의 초대를 받아들일 수도 있습니다. 그는 우상 숭배 의식을 거행하고 제물을 바치는 제사 지도자를 관찰하곤 했습니다. 의심할 바 없이 고린도의 신자 중 일부는 이 절기에 참석하고 있었고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러한 "지식 있는" 입장을 취하도록 격려하고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곳의 식사가 영적으로 무해한 성전 식사였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나에게 방어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 구절은 단순히 시장에서 고기를 먹는 것이 아니라 우상의 절에 참여하는 것이 바울이 말하고 있는 문제임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입니다.

8:11 바울은 그러한 상황에서 일어난 일을 설명했습니다. 지식이 풍부한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지식과 그 지식에만 기초하여 행동함으로써 그의 형제와 하나님의 관계를 망쳤습니다. 망했다’는 표현이 강한 것 같지만, 바울은 분명히 약한 형제가 우상의 성전에서 잔치를 벌인 후 다음 단계로 우상 숭배로 돌아갈 가능성을 예상한 것 같습니다. 사도는 그리스도께서 그를 위해 죽으셨다는 사실을 언급함으로써 약한 형제의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그러므로 더 강한 형제는 그와 그의 양심의 가책을 하찮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감히 여기지 않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약한 자들을 멸망시키지 않기 위하여 죽기까지 서슴지 않으셨으나 우리는 연약한 자들의 구원을 위하여 지푸라기 하나도 개의치 아니하는 것보다 더 비열한 일은 상상할 수 없느니라.” 이 말씀은 기억에 남을 만한 말이니 우리 형제들의 구원이 우리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구원뿐 아니라 각 사람의 구원도 얼마나 귀한 것인지를 알게 하려 함이라. 그리스도께서는 각 사람을 위하여 부어지셨습니다." [396]

8:12 우리는 다른 사람과 하나님의 관계를 손상시킬 자유가 없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그 사람 앞에 걸림돌을 놓을 때 그 사람뿐 아니라 “그리스도께 죄를 짓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명령하신 것, 즉 하나님과 다른 사람을 사랑하라는 명령과 정반대되는 것입니다(참조, 마 22:37-39). 지식으로만 사는 사람의 가장 큰 잘못은 단지 지식이 부족하거나 형제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데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가 그리스도께 죄를 짓는 것입니다.

8:13 바울은 이 문제에 관해 한 말을 통해 자신의 행동에 대해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는 무엇이 허용되는지 아는 것 때문에 자기 형제들을 총독으로 삼으려고 했습니다.

“죄를 짓게 하다”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는 스칸달리조( skandalidzo) 입니다 . 단어의 명사형인 스칸 달론 (skandalon)은 함정의 방아쇠를 묘사했습니다. 바울은 우상의 성전에서 식사하는 것을 동료 신자를 올무에 빠뜨릴 수 있는 덫을 놓을 수 있는 일종의 방아쇠로 여겼습니다. 그것은 그의 발전을 지연시키고 그에게 고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피할 수만 있다면 그러한 모든 식사를 기꺼이 중단했습니다(참조, 롬 14:13-23).

"당신은 관계에 높은 가치를 둡니다. 당신은 문화에 참여하려는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신자에 대한 사랑보다 불신자와의 관계가 우선해야 합니까? 나는 당신의 마음을 이해합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확실히 이해하십시오. 약한 신자는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성숙해질 시간입니다. 강한 신자에게는 그들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397]

누군가가 그리스도를 믿거나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넘어지게 만드는 것은 반드시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일을 하는 것과 같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당신이 선택한 옷을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여러분이 하는 일로 항상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는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이 다른 사람이 그리스도를 알아가는 것을 방해하거나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주의 깊은 무슬림을 저녁 식사에 초대하고 그에게 돼지고기를 먹이는 것은 바울이 경고한 것에 대한 현대적인 예가 될 것입니다.

"텍사스 레인저스가 2010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한 후 흥미로운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그들의 올스타 외야수인 조시 해밀턴은 마약과 알코올 남용의 전력이 있습니다. 이제 기독교인인 그는 자신이 냄새조차 맡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야구팀은 우승 후 클럽하우스에서 샴페인을 마시며 축하하는 것이 전통입니다. 해밀턴의 팀원들은 이것이 그에게 재앙이 될 것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전통을 깨기 위해 그리고 아마도 그들의 깊은 소망과는 달리 클럽하우스에서 진저에일을 마시며 축하를 했을 것입니다." [398]

"... 바울은 즉각적이고 명백한 위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리가 하는 일이 '범죄'를 일으키지 않을지 미리 확인하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399]

이 장의 쟁점은 교회 안에 있는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닙니다. 바울은 이 주제를 10:31-11:1과 로마서 14장에서 다루었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동료 신자가 반복해서 자신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바울은 고린도인들의 태도를 다루었습니다. 그들은 지식에 기초한 행동을 주장하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합당한 기초는 사랑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사회 문제의 해결책은 지식이 아니라 사랑이다." [400]

우리가 어디에 살고 있든 우리 문화는 우리의 개인 권리를 매우 강력하게 장려합니다. 이러한 강조는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의 생각에 스며들어 왔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자유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의 영적 발전입니다. 다른 그리스도인들의 모범이 되는 사람들로서 여러분과 제가 생활하면서 이 원리를 기억하는 것은 특히 중요합니다. 우리가 이 표준을 기꺼이 받아들이면 하나님과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참된 사랑이 드러날 것입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리에게 지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사랑도 부족하다는 사실이 드러날 것입니다.

“이 장의 마지막 메모로서, 바울은 지식 있는 그리스도인이 '영적' 편협한 사람의 무지한 편견에 자신의 자유를 버려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약한 형제'(11절)는 다음과 같은 사람이었습니다. 지식이 풍부한 기독교인을 특정한 행동 패턴으로 몰아넣고 강요한 사람이 아닌 다른 기독교인의 예입니다. 또한 바울이 이 약한 형제를 지식이 풍부한 기독교인의 자유를 영구적으로 족쇄로 묶는 것으로 보지 않았을 것입니다. '약한 형제'는 편재하는 유령이 아니었습니다. 오직 한 개인이 가르침을 받아 그도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된 것입니다(갈 5:1)." [401]

2. 바울의 사도적 변호 ch. 9

"현재 관련"이라는 핵심 문구가 없다는 것은 이 장이 새로운 주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단서입니다. 이것은 바울이 8장 1절에서 시작한 우상의 성전에서 먹는 것에 대한 논의의 연속이다. 다른 사람의 복지를 위해 우리의 자유를 복종시키는 것은 우리 중 누구라도 자연스럽게 하는 일이 아닙니다. 바울은 이 주제에 관해 더 많은 교훈을 얻으면 독자들이 유익을 얻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개인의 자유와 책임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보여주는 예로 자신을 사용했습니다.

분명히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은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자신의 활동을 제한하는 바울의 정책을 오해했습니다(8:13). 교회의 일부 사람들은 그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권리, 예를 들어 물질적 부양에 대한 권리를 갖지 못했다고 분명히 결론을 내렸습니다(참조, 고후 12:13). 그의 동요하는 것처럼 보이는 행동은 또한 그의 완전한 사도적 권위에 대한 그들의 마음속에 의문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이방인들과 함께 시장 음식을 먹었지만 유대인들과는 함께 먹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이 장에서 이러한 관점에 대해 답변했습니다. 이 편지 전반에 걸쳐 고린도인들이 바울의 권위에 굴복하기를 꺼린다는 증거가 있습니다(4:1-5; 5-6; 참조 14:36-37). 이곳은 그가 문제에 직면하기에 적합한 장소였습니다.

사도적 정체성 9:1-2

9:1 ​​사도의 네 가지 수사학적 질문은 모두 긍정적인 대답을 기대하며 점점 더 구체적이 됩니다: “내가 자유롭지 아니하냐?” 확실히 바울은 다른 모든 신자들이 누리는 자유를 누렸습니다. "나는 사도가 아닌가?" 더욱이 그는 사도로서의 권리와 특권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의 사도직에 대한 증거는 두 가지였습니다. “내가 우리 주 예수를 보지 못하였느냐?” “너희는 주 안에서 나의 일이 아니냐?” 그는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보았으며(행 1:21-22)(행 22:14-15; 26:15-18), 고린도에 교회를 세웠는데, 이는 그의 사도적 사업이었다(참조, 로마서 15:15-21). 분명히 바울의 사도직은 고린도에서 위태로웠다(참조, 1:1, 12; 4:1-5, 8-13, 14-21; 5:1-2).

9:2 다른 사람들은 바울의 사도직에 대해 의심을 가질 수도 있지만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은 바울이 그들 가운데서 봉사하는 사역을 고려할 때 확실히 의심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들 자체가 그가 사도라는 증거였습니다. 그것은 그의 사도직을 인증하는 인이었습니다.

사도적 권리 9:3-14

물질적 지원에 대한 바울의 권리 문제는 이 전체 페리코프의 기초가 됩니다.

"그레코-로마 세계의 철학자들과 방랑하는 선교사들은 수수료, 후원, 구걸, 노동이라는 네 가지 수단으로 '지원'되었습니다. 이들 각각에는 경쟁자 형태를 철학에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지지자와 비방자가 모두 있었습니다." [402]

바울은 자신의 사도적 권리 포기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시작하지 않고 자신이 이러한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확증함으로써 시작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이 그러한 권리에 도전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그곳에서 시작해야 했던 것 같습니다. 그들은 바울이 사도적 권리를 포기했기 때문이 아니라 사도적 권리가 부족했기 때문에 손으로 일했다고 믿었습니다.

9:3 바울은 사도로서의 권리를 포기하는 자신의 행위에 도전하는 사람들로부터 자신을 변호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9:4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이 자신이 완전한 사도적 권리를 소유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여기에서 시작되는 일련의 수사적 질문을 사용했습니다. 뒤따르는 다른 권리들을 고려해 볼 때, 여기서 먹고 마시는 것에 대한 바울의 언급은 아마도 다른 사람들을 희생하여 먹고 마시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그것은 그의 사역에 재정적 지원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9:5 분명히 다른 사도들과 주 예수의 친형제들은 봉사하러 여행할 때 아내를 데리고 가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그들이 봉사한 교회는 일반적으로 이 여성들과 남편의 비용을 충당했습니다. 바울이 특히 베드로(“게바”)를 언급한 이유는 그가 고린도에서 강한 추종자를 갖고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1:12). 이 절에서 주님의 형제들에 대한 언급과 다음 절에서 바나바에 대한 언급이 반드시 이 사람들이 고린도를 방문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아마도 고린도인들은 자신들의 사역 습관에 대해 간접적으로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9:6 고린도인들은 다른 사도들이 세속 직업을 갖지 않을 권리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바울과 바나바는 때때로 자신들의 재정적 지원이 개종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도록 손으로 일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4:12; 살전 2:9; 살후 3:7-9; 행 20:34). . 분명히 바나바의 행위는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에서 사역하는 동안 (고린도인들의 눈에는) 장막 만드는 일을 멸시하는 일을 했습니다(행 18:3). 분명히 일부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은 바울의 행동을 그가 다른 사도들과 동등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지원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한다는 표시로 받아들인 것 같습니다.

9:7 바울은 일하는 사람이 삯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음 절에서 여섯 가지 논증을 사용했습니다. 첫째, 관례입니다. 세 가지 예는 주의 종으로서 바울이 자신이 봉사하는 사람들로부터 지원을 받을 권리가 있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주님의 종들은 확실히 군인, 농부, 목자들보다 열등하지 않습니다.

9:8-9 둘째, 구약은 섬기는 사람들에게 돈을 지불하는 것을 지지했습니다. 하나님은 곡식을 타작하여 사람들을 섬기는 소를 위해 모세 율법에 특별한 규정을 주셨습니다(신명기 25:4). 그렇게 함으로써 하나님께서는 소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모든 사람의 부양에 대한 관심을 가르치고 계셨다고 바울은 말했습니다. [403]

“나는 아주 훌륭하고 아름다운 말을 몰던 켄터키의 한 설교자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 설교자 자신은 아주 마른 사람이었습니다. 어느 날 그의 교회 직분자 중 한 사람이 그에게 질문을 했습니다. '설교자님, 당신의 말은 그렇게 멋지고 당신은 그렇게 마른 사람인데 어떻게 된 겁니까?' 설교자는 '내가 말하겠습니다. 나는 내 말에게 먹이를 주고, 당신들은 나를 먹이는 사람들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404]

"그리스인들은 대부분 육체 노동을 경멸했다는 점을 명심하십시오. 그들은 시민들이 스포츠, 철학,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육체 노동을 하는 노예를 두었습니다. 물론 유대인들은 정직한 노동을 찬양했습니다." [405]

9:10 하나님께서는 일하는 동물들에 관한 명령으로 인간 일꾼들을 격려하려고 하셨습니다. 그는 인간 노동자들이 급여를 바라며 일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러한 서비스로부터 이익을 얻은 사람들은 그 서비스를 제공한 사람들이 지원받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소에게 재갈을 물리지 말라는 것은 아마도 정당한 보수에 관한 속담 표현이었을 것이며, 바울은 그렇게 적절하게 이해하고 해석했습니다. 현대의 평행선은 '늙은 개에게 새로운 재주를 가르칠 수 없다'는 격언일 것입니다. 개 복종 이외의 맥락." [406]

“플로리다 바이블타운에 있는 토리 존슨(Torrey Johnson)이 축복을 받는 곳을 지지해야 한다고 여러 번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나는 그것이 좋은 원리라고 생각합니다. 당신이 특정 식당에 식사하러 내려간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청구서를 지불하기 위해 길을 걷다가 모퉁이를 돌아 다른 식당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먹인 식당에 돈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영적인 음식으로 그런 일을 합니다. 그들의 제물은 다른 곳에 두라." [407]

9:11 셋째, 공동체 상호주의의 기본 원칙은 바울의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물질적인 것보다 영적인 것이 본질적으로 더 중요합니다. 전자는 영원히 지속되지만 후자는 일시적일 뿐이다. 그렇다면 영적인 사역으로부터 유익을 얻는 사람들은 그들을 섬기는 사람들을 육체적으로 얼마나 더 많이 지원해야 합니까(참조, 갈 6:6). “그것이 지나친가”라는 질문은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에게 단지 권고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논쟁하고 있음을 드러냅니다.

9:12 넷째, 다른 기독교 지도자들의 관행의 선례가 바울의 주장을 뒷받침해 줍니다. 고린도 교회의 ​​개척자로서 바울은 다른 어떤 목사들보다 고린도 교인들의 지원을 받을 권리가 더 많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교회를 세우는 일이 개종자들로부터 얻은 물질적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 있다는 비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스스로 생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9:13 다섯째, 제사장 직분의 실행은 바울의 주장을 더욱 뒷받침해 주었습니다. 바울은 영적인 문제에 봉사하는 사람들이 자신이 섬기는 사람들로부터 물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교 종교에도 널리 퍼져 있던 유대인의 일반적인 관습에 호소했습니다. 제사장들은 "성전의 음식을 먹으며" "제단에서 몫을 얻습니다."

9:14 여섯째, 바울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예수의 가르침에 호소했다: 복음을 선포하는 자들은 복음으로 생활해야 한다(참조, 마 10:10; 눅 10:7).

"복음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노골적인 전문성을 반영하는 '권리'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이 본문의 목적이 상실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408]

사도적 제한 9:15-18

고린도인들의 물질적 지원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열렬히 주장한 바울은 이제 이 토론의 시작부터 그의 요점이었던 이 권리를 포기할 권리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의도적으로 그들의 후원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이 잠망경은 독자에게 사도의 영혼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무엇이 그를 진드기로 만들었는지 여기서 봅니다.

9:15 바울은 고린도 사람들이 자신을 물질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이유 중 어느 것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그는 독자들이 이 주제에 관해 자신이 한 말을 은밀한 지원 요청으로 해석하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스스로 설교하는 동안 스스로 생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주님은 그에게 이것을 요구하지 않으셨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는 다른 사람의 복지를 위해 희생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러하듯이 자신의 결정에 정당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9:16 그러나 그는 자기가 복음을 전한다는 사실에 대해 정당한 자부심을 가질 수 없었습니다. 그에게는 그렇게 하는 데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설교는 그의 소명이었습니다. 실제로 그가 복음을 선포하지 않는다면(행 26:16-18; 참조 마 28:19-20) 그의 주님(“화 있을진저”) 앞에서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9:17 만일 그가 기쁜 마음으로 복음을 전했다면 그는 주님께 상을 받을 것입니다. 만약 그가 마지못해 전파했다면 그는 상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는 단지 청지기(집 관리인, 참조, 4:1-2; 누가복음 17:7-10)로서의 직무를 수행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9:18 자원하여 복음을 전한 것에 대한 바울의 보상은 듣는 사람들에게 값 없이 복음을 전하는 특권이었습니다. 그의 최고 보수는 보수 없이 설교할 수 있는 특권이었습니다. [409] 이 선택은 주님의 상이 아니라 바울의 결정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는 그것을 주님께서 그에게 주신 특권(상)으로 여겼습니다(참조, 고후 11:7-12). .

바울은 사도로서의 모든 권리를 갖고 있었으며, 원한다면 그 권리를 주장할 자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에게는 그것을 강요하지 않을 자유도 있었습니다. 생계를 유지할 권리를 포기하는 것은 이교 성전에서 먹을 권리를 포기하는 것과 같습니다(8:13). 두 경우 모두, 그가 권리를 포기하게 된 것은 다른 사람들의 복지 때문이었습니다.

“그가 복음을 위해 자신의 봉급을 기꺼이 희생한 것처럼, 이 그리스도인들도 그러한 고기를 먹는 것이 동료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감소시킨다면 그러한 고기의 사용을 기꺼이 삼가야 합니다.” [410]

“전 장에서 바울은 약한 형제를 위하여 도덕적으로 무관심한 어떤 것들을 삼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었는데, 여기서는 자기의 일을 위하여 때때로 삼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411]

사도적 자유 9:19-23

사도가 자신의 권리를 기꺼이 포기한 정도가 이 페리코프에서 드러납니다. 바울은 고린도에서의 사역에 대한 보수를 받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후원으로 인해 부과될 수 있는 제한에서 자유로웠습니다. 이로 인해 그는 모든 사람의 노예가 될 자유를 얻었습니다.

9:19 바울은 다른 어떤 사람의 종이 아니라 자유인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주님의 종으로서 더 많은 사람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기 위해 다른 모든 사람에게 복종했습니다. 사람들에게 명령하기보다 섬기는 것이 그들을 얻는 길이다(참조, 막 10:45).

9:20 사도는 유대인들 가운데 있을 때 유대인의 방식을 따르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그분은 그들이 적대적이 아니라 그분과 그분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그렇게 하셨습니다(사도 21,20-26 참조). 그는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나 자신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니”, 참조, 롬 6:14). 유대인의 구원은 유대인의 율법과 관습을 준수하는 목적이었고 그 중 많은 부분이 특정 음식을 삼가는 내용을 다루었습니다(참조, 8:13). 그는 이 목적, 즉 유대인들에게 그리고 유대인들 사이에서 더욱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 리스트라에서 디모데에게 할례를 행했습니다(행 16:3).

9:21 마찬가지로 바울도 이방인들과 함께 있을 때(“율법 없는 자들에게”) 그는 이방인처럼 행동했습니다.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한 일을 먹는 것이 포함되었을 것입니다.

이 절에서 율법에 대한 언급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방인을 “율법이 없는” 것으로 묘사한 바울은 이방인이 전적으로 불법이라는 뜻은 아니다(참조, 롬 2:14). 그는 그들이 구원받지 못한 유대인들처럼 모세의 율법 아래 있지 않다는 뜻이었습니다(20절). 바울은 자신이 이방인과 함께 있을 때(그리스어 아노모스 , 문자적으로 율법 없이) 모세의 율법을 지키지 않았을지라도 여전히 하나님의 권위( 엔노모스 ) 아래 있다는 것을 독자들이 이해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바울은 모세의 율법 아래 있지 않았지만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 있었습니다(참조, 갈 6:2). 십자가 이전에 유대인들을 위한 하나님의 법은 모세의 율법이었지만, 현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하나님의 법은 그리스도의 법입니다. 그리스도의 율법은 그리스도와 그의 사도들이 가르친 책임에 관한 규정으로, 신약성경에 담겨 있습니다. 모세 율법에도 동일한 명령 중 일부가 들어 있지만, 그 법전 즉 모세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412]

"이것은 서신서에서 가장 어려운 문장 중 하나이자 가장 중요한 문장 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이 문장에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얻은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가 하나님께 대한 순종의 빚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413]

9:22 약한 자는 비도덕적인 행위에 있어서 극도로 민감한 양심을 가진 자들이다(참조, 8:9). 여기서 사도는 불신자들을 의미했는데, 이는 그가 그들에 대해 말한 것에서 분명합니다. 바울은 그들의 양심의 가책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의심할 바 없이 바울이 일관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의 피상적인 불일치는 실제로 더 근본적인 일관성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사람들을 구주께로 인도하기 위해 비도덕적인 모든 일을 했습니다. [414]

"이 문구에서 바울은 오늘날 일반 대화에서 의미하는 것과 정반대를 의미합니다 . 그는 다른 사람의 잘못된 행동과 부도덕한 관행에 약하게 순응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격언을 승인하지 않습니다. 로마는 로마인처럼 행동합니다.' 바울은 도덕적 무관심, 약한 편견, 어리석은 양심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415]

9:23 복음 사역은 바울의 삶의 모든 것을 움직이는 큰 축이었습니다. 그분은 그 축복을 함께 나누기 위해 그것을 만드셨습니다(“그것에 함께 참여하는 자가 되라”). 그는 다음 구절에서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했습니다.

사도적 권고와 예 9:24-27

이 구절은 과도기적입니다. 그것은 자신의 사도적 권위에 대한 바울의 변호(9:1-23)를 마무리하고 제의적인 식사에 참여하는 것을 반대하는 주장으로 돌아갑니다(8장). 운동 경기의 은유가 이 페리코프를 채웁니다. 바울 세계의 철학자들과 다른 연설가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묘사하기 위해 운동적 비유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416]

9:24 고린도 사람들은 운동 경기에 익숙했습니다. 이스트미아 경기는 2~3년마다 인근 마을에서 열렸습니다. 그들은 그리스 전체에서 중요한 올림픽 게임 다음으로 두 번째였습니다. 경주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는 표준 600피트 그리스어 달리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인 스타디온( stadion) 입니다. [418]

이 구절에서 바울이 강조한 것은 그 구절의 마지막 진술이었습니다. 우리는 심판자로부터 상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경주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 경주에서 우리는 상을 위해 서로 경쟁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과 경쟁합니다. 강조하는 것은 경쟁이 아닌 자기 훈련입니다. 달리기에서는 단 한 사람만이 승자가 되지만, 그리스도인 경주에서는 규칙을 지키고 열심히 달리는 모든 사람이 상을 받을 것입니다(참조, 마 6:19-21; 딤후 2:5).

9:25 경쟁한다는 단어는 agonidzomai 를 번역한 것입니다 . 여기서 우리는 영어 단어 agonizes를 얻습니다. 주님의 '잘하였도다' 상을 받으려면 우리의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합니다. 우리는 또한 자제를 행사해야 합니다. 이스트미아 게임의 참가자들은 10개월 동안 훈련을 받아야 했습니다. 훈련 중인 운동선수는 추가적인 우월성 을 얻기 위해 많은 정당한 즐거움을 거부합니다. 마찬가지로, 영적인 운동선수로서 우리는 더 높은 목표를 위해 우리의 자유를 제한하고 자제를 행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나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보상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구원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친구여, 보상을 받으려면 그것을 위해 일해야 합니다. 보상을 받으려면 경마장에 나가서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420]

이스트미아 게임의 우승자는 파슬리, 야생 셀러리 또는 소나무로 만든 부패하기 쉬운 화환을 받았습니다. 올림픽 게임에서 상은 야생 올리브 화환이었습니다. 대조적 으로, 승리하는 그리스도인의 상은 썩지 않으며(참조, 딤후 4:8) 미래에 있을 것이다. 육체적인 달리기를 위해 훈련하는 것보다 다른 사람의 영적 발전을 위해 우리의 권리를 기꺼이 포기하는 것이 얼마나 더 중요합니까(참조, 고후 4:17-18) .



신자의 왕관
제목 이유 참조
불멸의 왕관 규율 있는 삶을 살기 위해 1 오호. 9:25
기쁨의 면류관 전도와 제자도를 위해 1 테스. 2:19
의의 면류관 주님의 나타나심을 사모하여 2 팀. 4:8
생명의 면류관 지속적인 시련을 위해 야고보서 1:12; 계 2:10
영광의 왕관 하나님의 양떼를 신실하게 목양하기 위해 1 애완 동물. 5:4

 

9:26 이러한 보상의 상대적인 가치를 고려하여 바울은 목표 없이 또는 마음이 나빴던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그리스도인 경주를 달렸습니다. 그는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상을 받기를 원했습니다. 다른 모습을 사용하고 같은 요점을 만들기 위해 그는 거친 펀치를 던지지 않고 모든 펀치 점수를 얻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기독교 봉사는 단순한 활동이 아닙니다. 그것은 교회를 건축하고 사람을 멸망시키려는 원수를 물리치는 목표, 즉 교회를 세우는 일에 초점을 맞춘 활동이다. 그것은 복음의 일이다.

좋은 부모는 어린 자녀의 한계에 맞게 행동을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유아를 손에 잡고 평소보다 더 천천히 걷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자신의 행동을 다른 사람들의 필요에 맞게 조정했으며,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합니다.

9:27 또 다른 의미에서 바울은 자신의 육체를 원수로 여겼습니다. 그는 엄격한 자기 훈련이 필요함을 인식했습니다. 분명히 바울은 육체적인 영역에서만 자기 훈련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또한 도덕적 규율과 필요하다면 개인적 권리와 자유의 자발적인 축소를 포함하여 그의 삶의 비도덕적 영역에서의 규율을 염두에 두었습니다(참조, 8장; 딤전 4:8). [424]

우리는 자격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저주에 대한 두려움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바울은 구원을 잃을까 봐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롬 8:1, 29-39). 그 맥락에서 그가 잃을 수 있는 것은 보상일 것입니다. 바울이 자기 훈련이 부족하거나 재판관의 규칙을 어김으로써 면류관을 잃는 것은 얼마나 아이러니하고 애처로운 일입니까 ? [426]

이 장 전체는 앞 장의 마지막 구절에 대한 설명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는 더 높은 목표, 즉 하나님의 영광과 다른 사람들의 복지를 위해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정당한 자유를 제한하는 것의 중요성을 분명히 합니다.

"거의 세계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증가하는 민족주의, 때로는 거의 무서운 자민족 중심주의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기독교인은 이러한 광범위한 사고 흐름에서 면역되지 않습니다. 그들 역시 이익을 추구하는 깃발을 흔드는 민족주의에 사로잡힐 수 있습니다. 내 나라나 내 계급이나 내 종족이나 내 종족이나 내 유산의 무엇보다도 하나님 나라의 요구를 넘어서 그들의 가장 중요한 시민권이 하늘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본향으로' 이 곳을 통과하고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하늘 예루살렘에 대하여(히 12:22-23), 그들은 그리스도의 주권을 암묵적으로 부인하는 사소한 우선순위에 얽매이게 됩니다.” [427]

3. 우상숭배의 죄성 10:1-22

바울은 이 부분에서 이교 잔치에 참여하기 위해 우상의 신전에 가는 주제를 계속해서 다루었습니다. 그 안에서 그는 자신을 강하다고 생각하는 신자, 즉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의 자유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개인에게 경고했습니다. 그러한 사람은 이방인 성전에서 식사하라는 이방인 이웃의 초대를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8:10). 사도는 고린도 교회의 ​​이 그룹에게 다른 신은 없지만 우상 숭배에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현실적이었기 때문에 경고했습니다. 그는 광야 방황 동안의 이스라엘의 경험으로부터 교훈을 얻었다(참조, 출 13-17; 민 10-15).

이스라엘의 비극적인 예 10:1-5

이 예의 요점은 하나님의 백성이 우상 숭배를 행할 수 있으며, 우상 숭배를 고집하는 것은 무서운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각 그룹마다 고유한 세례식과 기념식이 있음을 지적함으로써 교회, 특히 고린도 교회와 이스라엘이 공유한 경험의 유사성을 강조했습니다. 다음 구절에 따르면 이스라엘에는 다섯 가지 이점이 있었습니다.

10:1-2 바울은 독자들이 우상의 성전에서 식사하는 것에 대해 생각할 때 매우 중요한 가능성을 간과하지 않기를 원했습니다. 그는 믿음의 조상인 이스라엘 신자들도 모두 하나님의 보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는 사실을 그들에게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이는 그들의 광야 방황의 구름이 상징하는 것입니다. 고린도인들은 구약에서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그 의미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계속해서 그들을 계몽시켰습니다.

첫째, 광야 방황 중에 그들을 인도했던 구름은 하나님의 사랑에 찬 보살핌을 상징하고 그분의 장기간의 초자연적 인도를 증거했습니다. 둘째, 그들은 모두 홍해를 건널 때 초자연적인 구원을 경험했습니다. 셋째, 그들 모두는 그들의 지도자이자 그들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도구였던 모세와 동일시되었습니다("세례를 받았습니다"). 모세는 하나님 아래서 그들에게 초자연적인 지도력을 제공했습니다.

세례는 신자가 자신의 믿음의 대상과 하나됨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참조, 롬 6:3; 갈 3:27). 결과적으로 바울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문자적으로 모세의 이름으로 물침례를 받지는 않았지만 “모세와 합하여 세례를 받았다”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그분을 따르고 그분의 권위에 복종함으로써 그들은 그분과의 동일시를 표현했습니다. 물침례와 병행되는 현상은 그들이 구름 아래로 들어가 홍해를 건널 때 가장 생생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건식 세례를 구성했습니다.

10:3-4 넷째, 이스라엘 백성 중 일부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만나를 먹고 반석 물을 마셨습니다. 그들은 초자연적인 음식을 먹고 초자연적인 영양분과 원기를 회복했습니다. 그들은 광야에 머무는 동안 만나를 먹었고(신 8:2-4), 처음에(출 17:1-7), 끝날 때(민 20:2-13) 반석에서 마셨다. . 이것은 그들이 광야를 경험하는 동안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물을 공급하셨다고 말하는 방식입니다. 그것은 일종의 역사적 메리즘, 즉 시간과 공간에 따라 분리된 두 개의 유사한 사건이 그것이 포함하는 전체 기간을 나타내는 비유적 표현입니다.

바울은 만나와 물을 신령한 음식과 신령한 음료라고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초자연적으로 주시는 것이며 영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음식과 음료 모두 그리스도에게서 왔으며 그분의 백성의 참된 부양자이신 그리스도를 가리킨다(참조, 요 6:35, 48-51; 7:37-38).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을 반석으로 생각했습니다(신명기 32:4, 15, 18, 30-31; 등). 물리적인 반석이 아닌 영적인 반석이신 그리스도께서 광야에서 그들과 동행하셨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을 먹고 마시는 것은 기독교의 주의 만찬과 비슷하고 기대되는 일이다.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선택받은 백성인 것처럼, 과거에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의 선택받은 백성이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의 선택받은 백성이기를 그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일시적으로 이스라엘을 따로 떼어놓으셨고 현재 새로운 선택받은 백성인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일하고 계십니다(참조, 롬 9-11 장). 하나님께서는 지금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하신 것처럼 과거에도 이스라엘 백성들과 동행하시고 그들을 신실하게 공급하셨습니다.

10:5 그리스도인들이 누리는 것과 유사한 이러한 축복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대부분의 이스라엘 사람들을 기뻐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분은 갈렙과 여호수아를 제외하고는 20세 이상의 군인 연령의 성인 세대 중 어느 누구도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으며 심지어 모세도 허락하셨습니다(민 20:12). 애굽을 떠난 세대의 두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 광야에서 죽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예를 적용함 10:6-13

바울은 대다수의 이스라엘 사람들이 어떻게 하느님을 불쾌하게 하고 다음으로 특권을 잃었는지 검토했습니다. 우상숭배가 이스라엘 실패의 주요 원인이자 바울이 이 교회에 경고하는 초점이기는 했지만, 이스라엘의 다른 네 가지 악한 특성도 고린도인들의 특징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죽게 되었습니다.

10:6 이스라엘 백성의 경험은 우리에게 교훈(“본보기”)을 제공한다. 그들이 악한 것을 갈망했을 때 그들이 세례를 받고 영적인 음식과 음료를 먹었다고 해도 하나님의 징계로부터 그들을 보호할 수는 없었습니다. 세례와 성찬에 참여하는 것도 그리스도인을 보호하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죄를 지었다면 이러한 의식에 참여하는 것을 하나님의 징계로부터 면제받는다고 결코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때때로 하나님께서 택하신 백성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을 면할 수 없다고 느꼈습니다.

예제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는 typos 이며 , 여기서 영어 단어 유형을 얻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겪은 경험은 예표입니다. 그것들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에게 교훈을 가르치기 위해 계획하신 역사 후반부에 반복될 상황의 초기 예였습니다. [429]

10:7 7-10절에서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과 문제를 일으키게 만든 네 가지 행위를 언급했습니다. 그들 모두는 고린도인들에게도 위험한 존재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교 잔치에 참여함으로써 믿지 않는 사람들과 친분을 쌓았기 때문입니다. 그것들은 모두 우리에게도 함정이 될 수 있습니다.

첫째, 이스라엘 백성들은 금송아지 앞에서 먹고 “음란한 행위”를 함으로써 우상숭배에 가담했습니다(출 32:6; 참조 창 26:8; 민 25:1-3). 여기서는 성적 부도덕을 강조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바울의 두 번째 예였기 때문입니다(8절) . 음란한 행동은 아마도 하나님의 백성에게 적합하지 않은 우상 숭배와 관련된 행동을 의미할 것입니다. 그 때의 상황은 일부 고린도 사람들이 참석한 잔치에서 있었던 일과 비슷했을 것입니다. 우리 신자들이 죄 많은 이교 축제, 즉 어떤 형태의 오락에 참여할 때 이스라엘 사람들처럼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헌신을 타협할 위험이 있습니다. 우리는 삶에서 우상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거의 모든 것(예: 시간, 돈, 관심 등)을 우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10:8 둘째,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압 사람들의 종교 절기에 참여하면서 성적 부도덕을 범했습니다(민 25:1-9).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루에 23,000명이 죽었다고 말했습니다. 모세는 민수기 25장 9절에서 하나님께서 백성을 심판하라고 보내신 재앙으로 인해 24,000명이 죽었다고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숫자는 다소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설명하므로 숫자 사이에는 충돌이 없습니다.

이 숫자의 차이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더 많은 숫자에는 이스라엘 지도자들이 포함되고 더 작은 숫자에는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부도덕이 금송아지 사건의 기록에만 암시되어 있다면 바알브올 사건의 기록에서는 명백히 드러납니다. 분명히 이 일은 고린도 교회에서 일어나고 있었습니다(5:1-5, 10-11; 6:9-10, 12-20). 일부 현대 그리스도인들은 믿지 않는 사람들의 유혹에 이끌려 성적 부도덕에 가담했습니다.

10:9 셋째,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인내를 시험함으로써 그리스도를 시험했습니다. 가장 좋은 사본 증거는 여기서 "주"보다는 "그리스도"가 올바른 단어임을 암시하지만 그 차이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바울은 이스라엘 사람들과 고린도 사람들 모두가 시험하고 있는 분이 그리스도 자신임을 다시 강조했습니다(참조, 4 절).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할 경우 그들을 징계하시겠다는 그분의 약속을 지키시도록 하나님께 감히 간구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신실하게 공급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계속해서 불평했습니다(민 21:4-9). 그분의 만나와 물 공급은 그들의 관점에서 볼 때 충분하지 않았으며 그들은 그것을 멸시했습니다(민 21:5). 고린도인들은 이 점에 관한 바울의 가르침을 반대함으로써 이교 절기에 참여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현대 그리스도인들도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을 위한 하나님의 마련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분을 멸시할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감사하고 만족하기는커녕 오히려 불만족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태도가 고린도 교회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1:12과 11:17-34에 나타납니다. 아마도 신자 중 일부가 이교 절기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리스도인의 특별한 절기인 주의 만찬에 대한 그들의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그분이 그분이 정하신 시간과 방식으로 일하시기를 기다리기보다는 그분께서 우리를 위해 우리 시간표에 따라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일하실 것을 요구함으로써 주님을 시험할 수도 있습니다. "명명하고 주장하라"는 신학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시험하도록 격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자체로는 죄가 아닌 어떤 형태의 오락과 다른 사람들이 무해하다고 간주하는 행위에 탐닉하는 것은 우리를 더 완고한 도덕성의 삶에 불만을 갖게 만들 수 있으며, 계속되는 불만은 불충성으로 깊어지고 실제로 하나님에 대한 반항으로 끝날 수 있습니다." [431]

10:10 넷째,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방황하는 동안 자주 여호와를 원망했습니다. 모세는 출애굽기와 민수기에서 그들의 원망을 10번이나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염두에 둔 사건은 하나님께서 그들의 진영 바깥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들 중 일부를 불로 태워 버릴 때였습니다(민 11:1-3). 하나님이 사용하신 '파괴자'는 천사였을 수도 있습니다. 70인역 번역자들은 출애굽의 밤에 애굽인의 장자들을 처형한 천사를 묘사하기 위해 파괴자(그리스어 olothreutes )라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했습니다(출 12:23; 참조 히 11:28). [432]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을 위한 하나님의 마련에 불만을 품은 많은 사례가 이 서신에 나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을 섬기러 온 주님의 종들 중 일부를 거부한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선호하기 때문에 그들 중 일부를 무시했습니다(1:10-4:21). 그들은 우상 숭배자들과 성적 부도덕한 자들과의 교제를 끊으라는 바울의 초기 지시를 인식하지 못했습니다(5:9-11). 또 다른 예는 교회 안의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참지 못하는 것입니다(8:1-3). 불평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에 대한 이기심과 불만의 명백한 표시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교회 지도자나 설교자의 말, 인생의 운명에 대해 너무 자주 불평합니다.

10:11 이스라엘의 실패에 대한 네 가지 구체적인 예를 인용하면서(7-10 절), 바울은 일반적인 원칙을 다시 언급했다(참조, 6 절).

이 구절은 이스라엘이 경험한 역사적 현실을 증언합니다. "이런 일이 그들에게 일어났느니라." 이것은 단순한 이야기나 전설이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 사건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입니다.

이 구절의 마지막 문구("말세를 만난 자들에게")는 현 시대를 구약의 선지자가 말한 성취의 때로 가리킨다. 우리는 마지막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역사의 교훈을 간과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10:12 바울은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괜찮다고 과신하는 사람들에게 경고의 말로 결론을 내렸다(참조, 1-4; 8:4-6). 이교 잔치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강한 자들을 특별히 염두에 두었던 것 같습니다. 이스라엘 역사에서 자주 그랬던 것처럼, 자신감은 영적인 타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0:13 그러나 사도는 독자들이 이스라엘의 실패 기록을 고려하면서 과잉 반응을 하거나 편집증에 빠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실패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고린도인들이 직면한 유혹은 독특한 것이 아니었고, 주님께서는 그들이 직면할 수 있는 모든 유혹을 감당할 은혜를 그들에게 주실 것이었습니다. 문맥 상 바울이 방금 언급한 유혹은 우상 숭배, 부도덕, 주님을 시험함, 원망이었습니다. 아마도 이 구절의 약속은 이보다 더 많은 유혹을 다루고 있지만 아마도 이러한 것들이 그의 마음 속에 남아 있었을 것입니다. 이것은 모든 유혹에 대한 승리에 대한 일반적인 약속입니다(“어떤 유혹도 너희에게 닥치지 아니하였느니라”).

하나님은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그분의 뜻을 행할 수 있도록 약속하셨고, 그분은 자신의 약속을 지키실 것이다(참조, 마 28:20; 등). 그분은 우리에게 닿도록 허락하신 모든 유혹에 “피할 길”, 즉 모든 유혹을 이길 수 있는 신성한 능력을 제공하십니다. "유혹"과 "피할 길" 모두와 함께 정관사 "the"를 사용하는 것은 각 유혹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한 탈출 방법, 즉 하나님의 능력을 주시는 은혜를 암시합니다 . 바울은 우리가 유혹을 받을 때마다 주어진 유혹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단 하나뿐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유혹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행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유혹에 직면하도록 의도적으로 위치를 잡고 하나님을 시험한다면(9절), 우리는 피할 길을 이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넘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상 숭배를 피”해야 합니다(14절; 참조, 요일 5:21).

"우리가 유혹에 굴복하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식료품 저장실에 있는 어린 소년과 같다는 것입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쿠키 병을 내려놓았기 때문에 소음을 들었습니다. 그녀는 '윌리, 어디 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식료품 저장실에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거기서 뭐 해요?' 그는 '나는 유혹과 싸우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친구여, 그곳은 유혹에 맞서 싸울 곳이 아니다! 그곳이 바로 달리기 시작하는 곳이다." [435]

고린도인들은 제의적인 식사에 계속 참석함으로써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었으며, 이를 중단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하셨던 것처럼 그들에게도 피할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주의 만찬과 이와 관련된 그리스도인의 교제는 이러한 우상 숭배 행위를 대신하는 하나님의 신적인 것이었습니다(16절).

이 전체 부분(1-13절)은 이교 활동에 참여하는 것과 관련된 위험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 중 일부는 우상 숭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잘못된 것이므로 그리스도인은 그러한 활동에 참여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우리가 참여한다면 우리는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을 포함하여 다른 많은 신자들이 넘어진 절벽의 가장자리를 걷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상황의 위험을 감히 과소평가하거나 상황을 처리할 수 있는 우리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날마다 하나님과 긴밀히 동행해야 합니다.

기독교와 우상숭배의 양립불가능성 10:14-22

사도는 계속해서 독자들에게 우상 숭배의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참조, 7 절). 이 문단은 바울이 8장 1절에서 이교 성전 잔치에 참석하는 것에 관해 시작한 긴 논증을 마무리합니다.

10:14 이전에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음행을 피하라고 권면했습니다(6:18; 참조, 8 절). 이제 그는 1-13 절에서 자신이 말한 모든 것을 우상 숭배, 곧 우상 숭배를 피하라는 명령으로 결론지었습니다(참조, 요일 5:21). 그는 독자들에게 즉시 피할 길, 즉 하나님의 능력을 주시는 은혜를 이용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는 애정 어린 연설(“나의 사랑하는 자”)로 자신의 강력한 명령을 누그러뜨렸습니다. 비도덕적 활동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괜찮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우상 숭배를 포함하거나 초래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활동을 피해야 합니다.

10:15 이 진술은 다음에 나올 내용을 준비한다. 사도는 고린도 사람들이 자신이 말하려는 내용의 정확성을 이해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그는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논리를 따르려면 정신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우리가 본 것처럼 고린도인들은 스스로를 매우 현명하다고 여겼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바울이 옳았다고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10:16 사도는 자신의 주장을 밝히기 위해 다시 수사학적 질문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19-21절에서 자신이 말할 내용을 고린도인들에게 제시하고 있었습니다.

신약성서에서 주의 만찬에 사용되는 떡과 잔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이 순서로 나타납니다. 여기서 바울은 일반적인 순서를 뒤집었습니다. 그는 아마도 이어지는 구절에 나오는 빵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싶었기 때문에 그것들을 돌려놓았을 것입니다. “잔”은 신자와 주님 사이의 수직적 차원의 교통에 초점을 맞춘 반면, “떡”은 수평적 차원에 초점을 맞춘다(참조, 17 절). 이교도 절기들은 또한 신과 동료 숭배자들과의 친교의 두 차원을 모두 강조했습니다.

“축복의 잔”은 유대인들이 유월절 축제에서 마셨던 네 잔의 포도주 중 세 번째 잔을 가리키는 전문 용어였습니다. 최후의 만찬에서 빵에 대한 감사를 드리기 전에 이 잔을 마셨습니다(루카 22,17-20 참조). 그러나 그 이후의 주의 만찬에는 빵을 먹고 한 잔만 마시는 것이 포함되었다(참조, 11:23-29).

바울은 이 잔을 축복의 잔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많은 식사에서 마신 마지막 잔에 대한 유대인의 일반적인 표현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그것을 하나님의 선하심을 위해 일종의 건배로 사용했습니다. [437] 그러나 바울은 우리가 잔을 축복한다고 말함으로써 이를 뒤집었습니다. 즉, 우리는 잔이 상징하는 것, 즉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피의 유익에 우리가 참여하는 것 때문에 잔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한다는 의미입니다(죽음; 참조, 11:11). 25).

“그러므로 잔을 축복한다는 것은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의 피의 표가 되도록 한 목적을 위해 잔을 따로 구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38]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인의 절기인 주의 만찬에서 사용되는 빵은 그리스도의 죽임을 당한 몸의 결과에 우리가 참여하는 것을 상징한다(참조, 11:24). 여기에서 나눔이나 참여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NIV; 코이노니아 )는 다른 곳에서는 교제나 친교로 번역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주의 만찬의 또 다른 이름이 성찬식인 이유입니다.

"... 일반 빵을 먹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 참여하는 자들의 연합을 입증하고 인봉하는 것입니다." [439]

“세례는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는 것을 말하며, 주의 만찬은 하나님께 나아가고 그와 교제하는 유일한 근거로서 나를 위한 그리스도의 죽음을 말합니다.” [440]

10:17 그리스도인들이 성찬을 취할 때 그들은 모두 그리스도의 육체를 상징하는 한 빵을 먹습니다. 초대 교회에서 신자들은 분명히 한 덩어리를 사용했는데, 이는 이 구절에서 빵으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의 문자적 의미( artos )입니다. 바울은 한 떡에서 많은 사람이 먹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받은 공동체(“우리 많은 사람이 한 몸”)로서 우리 관계의 연대를 상징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영적인 몸인 교회의 연합 안에 존재하는 다양성을 설명하면서 12:14-27에서 몸의 연합에 대한 개념을 더욱 완전하게 발전시켰습니다.) 여기서 강조점은 신자들의 결속입니다. , 그리고 그 의미는 이러한 연대가 우상과의 다른 모든 결합을 배제한다는 것입니다.

10:18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 안에서 제단이 상징하는 모든 것과 제물을 먹는 사람들의 동역을 볼 수 있다(참조, 신 14:22-27). 바울의 추론 노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습니다. 주의 만찬에서 빵을 먹는 그리스도인들은 이로써 서로 그리고 그리스도와의 결속을 표현합니다. 마찬가지로 유대교의 희생 제물로 바쳐진 동물의 고기를 먹은 유대인들은 서로, 그리고 하느님과의 연대를 표현했습니다. 그러므로 이교 예배의 일환으로 이교 신들에게 바쳐진 고기를 먹는 그리스도인들은 이교와 이교 신들과의 결속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성찬에서와 같이 성전 예배에도 참여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능력, 곧 신성한 능력과의 희생의 교제입니다. 이방인의 희생 잔치에도 이와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이지 않는 힘은 신성한 것이 아닙니다." [441]

고린도의 "지혜로운" 사람(15절)은 바울의 결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답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바울. 그러나 당신은 이전에 우상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참 하나님은 오직 한 분뿐이라는 데 동의했습니다.

10:19 바울은 자신이 무슨 뜻인지 분명히 설명했습니다. 그는 우상에게 바치는 제물이나 우상 그 자체가 아무 것도 아니라고 말한 것이 아닙니다. 즉, 우상에게 바치는 제사 자체는 죄가 되지 않았고, 우상은 진정한 존재도 아니었습니다. 이 점에 있어서 그와 고린도인들은 동의했습니다. 우상은 나무나 돌에 불과한 것이지 초자연적인 능력을 지닌 신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우상들은 초자연적인 능력을 상징하므로(20절) 제의적인 음식을 먹는 것은 진정한 의미를 지닙니다.

10:20 이교 종교의 배후에 있는 세력은 마귀이다(참조, 신 32:17; 시 106:37). 결과적 으로 우상에게 제사를 드리는 사람들은 악마의 세력과의 연대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우상의 제물을 먹음으로써 귀신들에게 제물로 바쳐진 음식에 참여했습니다. 마치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께 제물로 바쳤던 음식에 참여했던 것과 같습니다. 제사 절기는 사실상 귀신들에게 제사를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에 귀신 숭배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 성 바울이 고린도인들에게 '우상 ' 자체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그들에게 바쳐진 제사는 실제로는 '악마들'에게 바쳐진 것이라고 말했을 때, 그는 고린도의 원수인 거짓 신들에 대해 말했습니다 . 진실." [443]

10:21 그리스도인이 주의 만찬에 참여하는 것과 이교의 절기에도 참여하는 것은 합당하지 못한 일입니다. 전자의 경우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먹고 마신다. 후자의 경우에는 신자들에게 우상을 숭배하도록 지시하는 귀신과 연합한다. 주님께서 장려하시는 것과 마귀들이 장려하는 것은 반대입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지혜로운 사람들”(15절)에게는 명백히 드러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주님과 그리고 주님의 만찬이 상징하는 동료 신자들과 독특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이 이교 제의 행사에 참여하는 것과 같이 귀신 및 불신자들과 유사한 관계를 맺는 것은 부적절합니다(20-21절).

그런데 이 구절은 성찬에 성찬이라는 이름을 부여하는데, 성찬은 교제를 상징합니다.

"상은 친교의 표현입니다. 거기만큼 우리가 서로의 교제를 즐길 수 있는 곳은 없습니다. 우리는 앉아서 좋은 것을 나누며, 이성과 영혼의 흐름이 있는 잔치가 있습니다. 우리가 함께 교제를 즐기고 있는 것을 발견하세요." [444]

10:22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압 예배에 참여하여 여호와를 질투하게 만들었다(민 25 장; 참조, 신 32:17, 21-22). 우리는 그들의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합니다. 우리가 주님보다 강하지 않다면 주님을 노엽게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우리가 그분을 노엽게 하고 더 강하지 못하면 그분의 징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분은 질투하시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고린도인들은 이교 종교 식사에 참석할 권리를 주장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심지어 이교 성전 참석을 약한 형제들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여겼습니다. 바울은 이교도의 식사에 참석하는 것은 두 가지 점에서 잘못된 것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그것은 사랑이 없는 일이며, 주님의 식탁에 참석하는 것을 상징하는 그리스도 안의 삶과 양립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는 악마와의 관계를 금지했습니다. 악마는 일부 현대 서구 기독교인들이 믿고 싶어하는 것만큼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445]

4. 시장 음식 문제 10:23-11:1

하지만 결혼 문제와 마찬가지로, 바울은 우상 숭배 행위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가 나쁘지는 않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다음으로 그는 이교 숭배와 관련된 일부 행위의 비도덕적 성격과 다른 행위의 부도덕한 성격을 고려하여 독자들이 어려운 선택을 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습니다. Paul은 이러한 결정에 테스트를 적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우상에게 바쳤지만 시장에서 팔린 음식을 포함하여 그리스도인들이 집에서 먹어도 괜찮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자신도 그러한 음식을 먹었고(9:19-23), 고린도인들은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해 그에게 도전했습니다(10:29).

"그러나 실제 문제는 단순히 음식을 먹는 문제보다 더 깊은 곳에 있는 것 같습니다. 성전에서 식사를 주장하는 그들의 성격(8:1, 4, 8)과 바울에 대한 비판(9:1-3, 19) 둘 다입니다. -23) 절대적인 것과 아디아포라 (비본질적인 것) 사이의 기본적인 혼동을 드러냈습니다 . 그들은 성전 참석을 아디아포론 으로 만들려고 노력했습니다 . 바울에게는 그것이 우상 숭배였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이었습니다. 동시에 그들은 그리스도인 행동의 참된 기초를 혼동했습니다. .그들에게는 지식과 권리의 문제( 그노시스  엑수시아 ) 였고 , 바울에게는 사랑과 자유( 아가페  엘레우테리아 ) 의 문제였다 . [446]

이 섹션의 교차 구조는 개인의 자유와 타인에 대한 사랑에 대한 바울의 교대적인 관심을 반영합니다.

A 명시된 기준: 다른 사람의 유익(10:23-24)

B 개인의 자유에 대한 설명(10:25-27)

C 예시된 기준: 자유를 지배하는 사랑(10:28-29a)

B' 개인의 자유가 옹호되었습니다 (10:29b-30)

A' 일반화된 기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10:33-11:1)

10:23 앞서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자유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모든 것”이 그에게 허용되었지만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6:12). 이제 그는 더 나아가 유익한 것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유익한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권리를 의식하는 고린도인들을 굴복시키려고 노력했습니다.

10:24 이웃의 안녕이 가장 중요합니다. 개인의 모든 자유를 행사하는 것은 부차적인 중요성을 갖는다(참조, 롬 15:2; 빌 2:4). 고린도인들은 그들의 자유를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겼습니다. 바울은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고 세워 줄 기회로 여겼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행사하는 것은 전적으로 당신 자신의 '좋은' 일이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당신이 하고 싶은 일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그것에 대한 성경적 금지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즐기지 않으시겠습니까? 대답: 그것은 당신에 관한 전부가 아닙니다. 당신 주변에 다른 신자들이 있습니다. 당신의 자유를 행사하면 그들을 세워줄 수 있습니까? 그들이 교화될 수 있을까요? 결정을 내리기 전에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447]

10:25-26 이방인들이 우상에게 제물로 바쳤던 고기를 먹는 것 자체는 잘못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육류 시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은 하나님께 감사함으로써 그것이 건강에 좋다면 인간이 섭취할 수 있게 됩니다(건강에 좋다; 30절; 참조 딤전 4:3-5). 이것은 유대인에게서 나온 매우 비유대적인 관점이었습니다. 이 서신의 앞부분과 그의 저술의 다른 부분에서 그랬듯이, 바울은 뒷받침하는 요약 진술을 성경에 호소했습니다(시 24:1; 50:12).

우리는 바울이 영적인 문제에 기초한 구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기독교에서는 코셔(적합한) 음식과 코셔가 아닌(부적합한) 음식 사이에 구별이 없습니다(마가복음 7:19; 사도행전 10:15). 바울은 지방 함량, 칼로리, 영양가와 같은 물리적 요인에 따른 음식의 구별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어떤 음식이 하나님 앞에서 우리를 칭찬하느냐, 아니면 정죄하느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하지 않습니다.

10:27 초대할 때는 종교 잔치에 참석하기 위해 이교 사원에 가는 것이 아니라 믿지 않는 사람의 집에 가서 식사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는 다음 구절을 보면 분명해 보입니다. 어떤 종류의 음식이라도 먹을 수 있는 이 자유는 많은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게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었을 것입니다(참조, 행 10:28; 11: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자유는 그들에게 속해 있었습니다. 누군가가 우상에게 고기를 바쳤는지 주인에게 묻지 않는 것이 현명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이교도의 집이나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이 질문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25절). 묻지 않으면 꼼꼼한 신자의 마음에 불필요한 죄책감이 생길 가능성이 제거됩니다.

10:28-29a 이교도 주인은 그리스도인 손님에게 자기 앞에 있는 음식이 우상의 신전에서 바쳐졌다고 경고할 수도 있습니다. 문맥(27절)과 용어(그리스어 히에로티톤 , 에이돌로티톤 이 아닌 희생의 고기, 우상의 고기,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표준 명칭)는 그리스도인이 이교도와 개인적으로 식사하는 상황을 제시하지만, 8:10에서와 같이 성전. 오직 32절에서만 동료 신자들을 거스르지 않는다는 더 넓은 원칙이 나옵니다.

이교도의 양심은 자신에게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확신이 아니라 그의 도덕적 의식을 가리킵니다. 그는 그리스도인 손님이 그리스도인이 반대하거나 먹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는 음식이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 을 모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또 다른 견해는 이교도 주인이 그리스도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헌신을 시험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이교도들은 종종 교회 역사의 이 단계에서 기독교인들을 유대인들과 연관시켰으며, 많은 이교도들은 기독교인들이 유대인과 동일한 식단 제한을 준수한다고 가정했을 것입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행사하고 고기를 먹는 것을 옹호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는 그러한 고기가 신자들에게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금욕을 옹호했습니다.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은 그런 고기를 먹을 수 있었습니다. 그는 이교도의 도덕적 의식을 위해 금욕을 옹호했습니다. 특히, 그리스도인이 고기를 먹으면 이교도는 손님이 그리스도인이 해서는 안 될 일을 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는 틀렸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식탁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해 이교도에게 가르치게 하기보다는 그리스도인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이교도의 이해를 침해하지 말 것을 옹호했습니다.

“술을 완전히 금해야 한다는 확고한 원칙을 가진 사람이 이러한 원칙을 공유하지 않는 친구의 손님이었다면 오늘날의 비유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는 특별히 맛있는 소스의 재료나 재료에 대해 너무 주의 깊게 문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소한 일이지만 누군가가 그에게 '이 안에 술이 들어있구나'라고 날카롭게 말하면 그 사람은 자기가 곤경에 처한 것처럼 느껴서 술을 마시지 말라고 합리적으로 요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449]

10:29b 이 질문은 26절과 27절의 생각을 재개한다. 28-29a절은 다소 삽입되어 예시를 제공한다. 우리는 바울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다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왜 다른 사람의 양심의 가책이 나의 자유를 결정해야 합니까? 대답은 이렇습니다. 그래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의 영적 복지가 나의 그리스도인 자유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10:30 바울은 비슷한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이방인들과 함께 정결하지 않은 음식을 먹었지만, 이 구절 앞부분의 논쟁에서 그는 이교도들과 함께 먹을 때 그러한 음식을 삼가할 것을 옹호했습니다. 물론 중요한 점은 희생의 고기가 바울과 함께 있었던 이교도들의 도덕적 의식을 상하게 할 때만 허용되지 않았으며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식사 때 제공되는 축복은 모든 것의 우선권이 하나님에게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는 동료 그리스도인이 이 문제에 대해 다른 사람을 정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50]

그리스도인은 무엇을 먹든지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고려하여 자신의 자유를 제한해야 합니다. 고린도 사람들이 바울을 비방한 것처럼(참조, 9:19-23) 우리에 대해 악한 말을 할지라도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우리의 신념을 바꿀 필요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믿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의 행동을 기꺼이 바꿔야 합니다.

10:31 무엇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나요? 다른 사람의 양심에 대한 배려와 그들의 행복 증진이 그렇습니다. 이는 음식의 구별, 개인 취향의 만족, 자신의 권리 주장과 대조됩니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은 그분의 선호, 계획, 프로그램을 최우선으로 두는 것입니다(참조, 골 3:17). 바울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옹호했을 뿐만 아니라: 이 비도덕적 활동이 교화됩니까? (23-30절; 참조, 6:12) 그러나 그것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인가?

"사람이 하는 일이 신성한 것인지 세속적인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라, 그 일을 하는 이유 입니다 . 동기가 모든 것입니다." [451]

"... 하나님 자신의 영광은 바울 윤리의 궁극적인 기초입니다(10:31)." [452]

10:32 걸림돌을 주지 않는다는 것은 유대인(참조, 9:20)이든 이방인이든(참조, 9:21), 사람의 길에 장애물을 놓아 그리스도를 믿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 사람이 이미 신자라면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장을 방해하는 어떤 것도 그 사람의 길에 두지 않는다는 뜻입니다(참조, 9:22). 단순히 누군가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아닙니다.

바울은 이 구절에서 이 세 그룹(유대인, 이방인, 기독교인)을 동등하게 여겼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아마도 두 개의 인종과 하나의 종교가 아니라 세 개의 종교를 생각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이 구절에서 이스라엘과 교회를 구별했습니다. 이러한 구별은 세대주의의 기본이다.

10:33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이 절의 첫 부분을 취한다면 우리는 바울이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사람이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참조, 갈 1:10). 분명히 그는 비도덕적인 영역에서 자신의 태도나 활동이 자신과 자신이 영적으로 도우려는 사람들 사이에 장벽을 만드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뜻이었습니다.

바울은 다른 사람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는 자신의 설교를 실천하려고 노력했습니다(참조, 24 절). 이 문맥에서 “구원함”은 아마도 그리스도인들을 포함할 것이며, 이는 누군가가 영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 모든 것으로부터 구원받았다는 넓은 의미에서 구원받은 것을 의미합니다(참조, 롬 15:1-3). 바울은 이렇게 자문해 보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비도덕적 활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을 주고, 그들을 하느님께 더 가까이 데려갈 수 있을까요?

"당신이 믿지 않는 세상과 관계를 맺고자 한다면, 그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것을 피하고 싶을 것입니다. 당신의 기독교 자유의 행사가 불신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까? 아마도 그럴 것입니다. 그들이 당신이 하려는 모든 것을 즉시 받아들일 것이라고 가정하지 마십시오. 일부는 구원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매우 보수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습니다. 당신의 행동이 그들의 마음을 상하게 합니까? 만약 그렇다면 당신은 그들을 그리스도께 더 가까이 데려가지 않은 것입니다. 당신은 그들을 더 멀리 밀어낸 것입니다." [453]

“기독교의 자유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주어졌습니다.” [454]

11:1 바울은 독자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행사하고 제한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다른 삶의 영역에서나 범죄하지 않는 그의 모범을 따를 것을 권고했다(참조, 4:16). [455]

11장 1절을 포함하여 8장, 9장, 10장 모두는 그리스도인과 우상의 제물과의 관계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바울은 제의적인 식사를 하기 위해 이교 사원에 가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시장에서 고기를 먹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죄가 없는 일이라면 믿는 사람에게는 허용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영적 복지를 위해 그것을 피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 때문에 자신의 그리스도인 자유 행사를 기꺼이 제한해야 합니다.

바울이 가르친 네 가지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식과 사랑의 균형을 맞추십시오(8장). 권위와 규율의 균형을 맞추십시오(9장). 주의 깊게 경험의 균형을 맞추십시오(10:1-22). 그리고 자유와 책임의 균형을 맞추십시오(10:23-33). [456]

다. 예배의 예절 11:2-16

이 부분과 다음 부분(11:17-34)은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 이외의 주제를 다루지만 바울은 "이제 관련된 것"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그 내용을 소개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그가 고린도인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고 싶었던 추가 주제였습니다. 그는 고린도 사람들이 그에게 보낸 편지나 그 편지를 그에게 가져온 사자, 또는 다른 출처를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배웠습니다.

1. 문화의 논증 11:2-6

바울은 이 장에서 다룬 두 가지 주제 중 첫 번째인 고린도 여성들의 교회 예배 참여를 고린도 교인들을 찬양함으로써 소개했습니다. 그는 두 번째 주제를 이런 식으로 소개하지 않았습니다(17, 22절). 이 서신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이 서신에서도 고린도 문화와 세계관의 영향, 특히 교회 여성들의 행동에서 영향을 받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1:2 바울은 자신의 가르침과 모범을 기억하는 원래 독자들을 칭찬했습니다. 이 장은 문맥에서 알 수 있듯이(참조, 16 절) 교회의 집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들을 주로 다룬다. 전통은 고린도인들이 사도로부터 받은 가르침(NIV; Gr. paradoseis )이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계시와 관련이 있었고, 일부는 단지 신중한 조언에 불과했습니다(참조, 살후 3:6-10). 고린도인들은 그의 지시를 따랐지만 그의 다음 논의가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합당한 방법으로 따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 전통 (다른 참고 문헌에서 볼 수 있듯이)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 진리였으며, 이 단계(기독교 문헌이 출현하기 전)에서 전도자와 교사가 개종자에게 구두로 전달되었습니다." [457]

물론 이미 몇몇 영감받은 신약성서 문서가 교회들 사이에 돌고 있었습니다.

11:3 “그러나”는 상황이 바울이 생각했던 것과 같지 않았음을 가리킨다. 그는 고린도인들에게 하나님의 행정 질서를 다시 상기시킴으로써(참조, 3:23; 8:6) 그의 주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인간을 대하실 때 선택하신 순서이며, 사람들이 서로 대할 때 사용하기를 원하시는 순서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남자 인간의 머리이시다(그리스어 aner ). 둘째, 남자(“남자”)는 여자(그리스어 gune ) 의 머리이다 . 여자를 뜻하는 이 그리스어 단어는 매우 광범위하며 모든 연령대의 여성, 처녀, 결혼한 여성, 과부 등을 포함합니다. 바울은 이 아내의 서신 앞부분에서 이 단어를 사용했습니다(7:3-4, 10-12, 14, 16). 이 장에서 이 단어는 아내가 남편에게, 딸이 아버지에게처럼 남자에게 의존적인 관계에 있는 모든 여자를 가리키는 것 같습니다.

바울은 남자가 여자의 머리, 즉 "여자"라고 말했지만 "여자"는 아니라고 말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모든 여자를 의미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는 분명히 남자와 여자가 ​​관련된 모든 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직장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관계, 아마도 교회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말씀하셨을 것입니다. 셋째, 아버지 하나님은 아들 하나님(“그리스도”)의 머리이십니다.

"여자가 남자에게든, 그리스도가 하나님께든 직분에 있어서 복종하는 것은 본성의 평등을 이루는 것입니다." [458]

신약에서는 머리 직분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해 머리(그리스어 케팔레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때로는 기원(출처)을 설명하지만 권위(리더)를 설명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특히 인간 관계의 맥락에서 사용될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한 가지 해석(출처)을 선호하고 다른 학자들은 다른 해석(리더)을 선호합니다. [460] 두 가지 의미 모두 현실에 해당하므로 여기서 바울이 의미한 것이 무엇인지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기원설에 따르면, 그리스도께서 인류를 창조하셨고, 하와는 아담에게서 나왔으며, 그리스도께서는 구속을 위해 성육신하여 아버지에게서 오셨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권위 견해에 찬성하여 인류는 그리스도의 권위 아래 있고, 하나님은 남자의 권위 아래에 여자를 창조하셨으며, 아들은 아버지의 권위 아래에 있습니다. 기원이라는 개념은 권위라는 개념보다 더 근본적이다. 또한 머리라는 단어는 이 구절의 뒷부분에서 근원이라는 개념과 함께 나타나므로(8, 12절) 여기서도 기원이 더 바람직한 개념일 수 있습니다. 이는 바울이 두 가지 생각을 모두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462]

11:4 이 절에서 바울은 머리라는 단어를 두 번 사용했습니다. 처음에 그는 분명히 그 사람의 육체적인 머리를 의미했습니다. 두 번째 경우에 그는 다시 자신의 육체적인 머리를 의미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방금 말한 것(3절)과 앞으로 말할 내용을 고려하면 아마도 그는 영적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했을 것입니다. [463]

로마, 그리스, 유대 문화에서 남자는 일반적으로 머리를 가리지 않았지만 여자는 머리를 가리었습니다. 그러나 로마와 그리스 문화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수치심과 애도의 표시로 머리를 가리었습니다. [464] 유대인 남성들이 기도할 때 머리를 가리기 시작한 것은 이후 중세 시대부터였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경우에 그러했습니다. 기독교 예배에서 바울 시대에는 남자들이 머리 덮개를 쓰지 않았지만 여자들은 일반적으로 머리 덮개를 썼습니다.

기도와 예언에 대한 바울의 언급은 교회의 공중 예배 상황에서 그의 지시를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도하고 예언한다'는 말에는 공적 예배 의 일반적인 부분과 행위가 모두 포함됩니다 .” [465]

다른 사람들은 11:2-16이 회중 상황을 다루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466]

기도에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하나님께 표현하는 것, 특히 하나님께 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예언에는 네 가지 일이 포함될 수 있다: 선지자(그리고 여선지자들)는 예배에서 하나님의 백성을 인도했다(참조, 출 15:20-21; 대상 25:1). 둘째, 그들은 특히 하나님의 왕국과 관련된 미래의 사건들을 예언했습니다(마 11:13; 행 2:17-18; 21:9). 셋째, 그들은 반드시 미래의 사건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계시를 선포했습니다(마 26:68; 막 14:65; 눅 22:64; 참조 7:39; 요 4:19). 넷째, 그들은 하나님의 충동에 따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어떤 고상한 말이나 메시지(눅 1:67; 행 9:6; 참조, 대상 25:1), 또는 교훈, 반박, 책망의 말을 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위한 훈계 또는 위로(고전 13:9; 14:1, 3-5, 24, 31, 39). 이 마지막 유형의 예언에는 새로운 계시나 미래에 관한 예언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성경을 설명하는 강해적 가르침은 아니지만 오늘날 우리가 설교라고 부르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신약에서는 가르침이라고 부릅니다. 네 번째 활동은 이 서신에서 예언에 대한 다른 언급에서 고려되는 것으로 보이며 여기의 문맥에도 적합합니다.

"목사는 … 선지자가 아닙니다. 구약과 신약에서는 선지자와 교사를 크게 구별합니다. 전자는 영감을 받았고 후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거나 계시를 전달하는 데 영감을 받은 사람은 성경에서는 선지자라고 불리는 사람이다." [468]

기도와 예언은 기독교 예배의 두 가지 주요 특징이었습니다(참조, 행 2:42).

11:5a 여자들이 교회 집회에서 기도하거나 예언할 때에는 4절에 묘사된 것과 반대되는 상황이 존재했다. 육체적인 머리를 드러내지 않은 모든 여자는 영적인 머리, 즉 남편(기혼인 경우)이나 아버지(미혼인 경우, 3절)를 욕되게 했습니다.

바울이 여자의 머리를 가리지 않은 것으로 묘사한 것은 무슨 뜻입니까? 크게 세 가지 설명이 있었습니다. 첫째, 그는 그녀의 머리에 숄과 같은 외부 덮개가 없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둘째, 그는 그녀가 긴 머리만큼 머리를 완전히 덮지 않는 짧은 머리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했을 수도 있습니다. 셋째, 그는 그녀가 머리를 늘어뜨린 것이 아니라 늘어뜨렸다는 뜻일 수도 있습니다. 이 문화에서는 여성들이 공공장소에 나갈 때 머리를 위로 올리거나 뒤로 조심스럽게 정리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아마도 바울은 그녀가 머리에 덮개를 쓰지 않았다는 뜻이었을 것입니다(1쪽 참조). 여자 는 남자가 그랬던 것처럼, 즉 머리를 가리지 않은 채 공공 예배에 참여함으로써 남자를 불명예스럽게 만들었습니다.

기독교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교회 모임에서 머리 덮개를 착용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일부 서양 여성들이 하는 것처럼 세련된 모자나 해골모자 또는 눈에 띄지 않는 냅킨이 아니었습니다. 머리 전체를 덮고 머리카락을 가리는 천이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그것이 그녀의 얼굴까지 덮었다고 믿습니다.

"그녀의 얼굴은 두 개의 머리 베일, 턱까지 밴드가 달린 이마의 머리띠, 리본과 매듭이 달린 머리망으로 배열되어 얼굴을 가려서 그녀의 모습을 알아볼 수 없었습니다." [471]

이것은 일부 현대 이슬람 여성이 착용하는 것과 유사했을 것입니다: 머리 덮개(아랍어 히잡 )와 얼굴 베일(아랍어 니캅 ). 보수적인 이슬람 여성들은 여전히 ​​공공장소에 나갈 때 비슷하게 베일을 쓰고 있습니다. 바울의 문화에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 공공장소에 나갈 때마다 일종의 머리 덮개를 착용했습니다.

아마도 바울이 언급하고 있는 고린도 교회의 ​​문제는 소위 해방된 어떤 “지혜로운”, “영적인” 여성들이 교회 집회에서 이 가리개 착용을 중단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이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남자와 여자가 ​​하나님 앞에 평등하다고 썼습니다(갈 3:28). 이는 그들이 하나님 앞에서 동등하다는 뜻이었습니다. 고린도인들의 육욕적인 경향과 결합된 이 가르침은 분명히 문제의 근원이었습니다.

“'모든 것이 가한다'는 고린도의 슬로건이 교회 모임에서도 적용됐던 것 같은데, 고린도 여인들은 구별되는 옷을 벗어던지며 그 원칙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은 성의 개념을 거부한 것 같습니다. 교회(아마도 사회) 내에서의 종속과 이에 부착되었을 수 있는 문화적 상징(예: 머리 덮개) 바울에 따르면, 여자가 덮개를 벗는 것은 해방 행위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타락의 것입니다." [472]

디모데전서 2장 12절에서 바울은 “여자가 가르치는 것과 남자를 주관하는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노니 오직 조용할지니라”고 썼습니다. 나는 그 구절에서 그가 여성이 교회의 초등 교사 역할을 맡아서는 안 된다는 뜻이라고 믿습니다. 앞절은 “여자는 온전한 복종으로 조용히 훈계를 받을찌니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여자들에게 기도하고 예언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모임에서는 남자들이 주된 교사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11:5b-6 그리스-로마 문화에서 여자가 머리를 짧게 자른 것은 대개 남자처럼 보이고 싶어서 그렇게 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 남성과 여성의 관계, 특히 성별 구분이 모호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머리를 짧게 하고 여성은 머리를 길게 합니다. 여자가 머리를 짧게 자르면 남자로 대접받고 싶다는 뜻이다. 머리를 가리지 않는다는 것은 그 사회에서도 같은 말을 한 것이며, 적어도 그녀가 '해방된' 여성으로 인정받고 싶다는 뜻이었습니다.

“창녀들은 머리를 매우 짧게 썼으며 공공 앞에서 머리를 가리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머리 모양과 태도는 자기들이 무엇인지, 무엇을 바치는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드러냈습니다. … 유대 율법에서는 여자가 간음죄를 범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머리를 잘랐다(민 5:11-31)." [473]

"매춘부에 관한 한, 발견된 모든 증거는 가장 낮은 유형 중 극소수만이 머리를 깎거나 삭발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계급으로서 이 여성들은 자신을 가능한 한 매력적으로 보이려고 노력했고 아름답게 하려고 최선을 다했습니다. 머리카락도요." [474]

신약 초기 교회에서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었습니다. 그러한 행위는 그녀가 여성으로서의 지위를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남편이나 아버지에 대한 복종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출신을 부인하는 것, 즉 남자에게서 나온 여자임을 부인하는 것이었습니다(3절). 문제는 다시 한 번 본문 전반에 걸쳐 주로 권위가 아니라 주로 근원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히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기원을 거부한 여성은 남성의 머리 아래서 기능하는 자신의 권위도 거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구절에서 바울은 기원에 관한 더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는 출신에 근거한 권위를 주장했습니다.

"베일은 사실 아름다운 여인들의 힘이자 방어입니다. 겸손하게 베일을 씌운 그녀는 언제 어디에서나 완벽한 안전 속에 나타납니다. 그녀는 민감하고 질투심 많은 대중의 정서에 의해 침해당하지 않으며, 그녀를 모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분노한 폭도들에 의해 조각조각 찢겨질 위험이 있지만, 베일이 없으면 그녀는 그녀를 학대하기로 선택한 모든 짐승의 자비에 따라 약하고 무력한 존재가 됩니다. 따라서 베일은 선한 여성의 '권위'입니다. ]', 그리고 그녀가 대중 앞에 나타날 때마다 그녀는 '머리에 힘'을 가져야 합니다. 교회에서는 '천사들 때문에' 즉, 내 생각으로는 메신저와 목사들이죠." [475]

오늘날에는 여자가 짧은 머리를 갖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지만 바울 시대에는 그랬습니다. 누구도 불명예스럽게 생각하지 않는 짧은 머리스타일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바울의 문화에서 여자의 짧은 머리는 반항을 상징했고 사람들은 그것을 부끄럽게 여겼습니다. 바울은 당시 여성의 짧은 머리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여성 독자들에게 머리 덮개를 쓰도록 권했습니다. 그의 요점은 여자가 짧은 머리를 갖는 것이 부끄러운 것처럼, 교회 모임에서 기도하거나 예언할 때 머리를 가리지 않는 것도 부끄러운 일이라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한 가지 지도 원칙은 예의를 지키는 것 입니다 . 그것이 보존된다면 바울은 더 이상 요구하지 않습니다." [476]

오늘날 그리스도인 여성은 교회 모임에서 머리를 가려야 합니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머리를 가리고 짧은 머리를 쓰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울의 문화에서와 마찬가지로 현대, 적어도 서양에서는 같은 의미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그가 오늘날 서방 교회에 편지를 쓰고 있었다면, 나는 바울이 여자가 머리가 짧은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을 것이라고 믿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그가 그녀가 머리를 가려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77]

머리를 가리는 것은 바울 시대에 출신을 인정하는 표시였으며 이는 권위에 대한 어느 정도 인정을 암시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날에는 그러한 말을 하는 옷이 없으며, 여성의 머리 길이가 꼭 필요한 것도 아닙니다. 아마도 그녀는 결혼할 때 남편의 성을 따르려는 의지가 있었을 것입니다. 또는 결혼 반지를 끼고자 하는 그녀의 의지, 남편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는 방식, 단정한 옷차림 등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여성의 전체적인 개인적 태도, 특히 그녀가 자신을 여성으로 보는 방식은 그녀에 대해 이를 드러냅니다. [479]

"다양한 기독교 단체가 모인 교회에서 여성을 위한 일종의 머리 덮개 관행을 장려했지만, 그 관행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바울에게 이 문제는 오늘날 대부분의 문화에서는 거의 퍼져 있지 않은 문화적 수치심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 우리는 그들이 남용한 관행이 무엇인지 알지 못합니다. 따라서 본문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순종'은 종종 상징일 뿐입니다. 불행하게도 강화되는 경향이 있는 상징은 여성의 종속인데, 이는 바울의 요점이 아닙니다. , 여성의 머리가 거의 가려지지 않는 문화권에서 교회에서 그러한 것을 강요하는 것은 바울의 주장을 거꾸로 뒤집는 것처럼 보입니다." [480]

2. 창조로부터의 논증 11:7-12

바울은 여자의 머리 덮개에 관한 고린도인들의 타락을 바로잡기 위해 두 번째 지지 논증을 진행했습니다.

11:7 남자들은 예배에서 머리를 가려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머리는 하나님의 영광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이요 영광이라고 언급한 반면, 그의 주요 요점은 사람이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언급한 것은 분명히 창세기 1:26-28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거기에는 영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영광은 바울의 말이며 인간 창조에 대한 그의 성찰입니다. 이것은 그가 남자와 여자를 대조하기 위해 사용했던 단어이다.

바울은 여자가 남자의 영광이기 때문에 머리를 가려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대신에 그는 인간의 영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계속 설명했습니다. 아랫사람은 아랫자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자기를 낳은 자를 영화롭게 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갓 태어난 아이가 부모에게 영광을 가져온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부모를 통해 아이가 존재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 그(바울)는 여자는 남자의 영광이지 남자의 형상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여자 역시 하나님의 형상을 공유하고 있고 (일부 주석가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남자보다 하나님에게서 더 멀리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481]

11:8 여자는 첫째로 남자의 영광입니다. 왜냐하면 여자는 창조하실 때 남자에게서 나왔기 때문입니다. 아담이 하나님의 창조의 산물로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던 것처럼, 하와도 아담에게서 왔기 때문에 아담을 영광스럽게 했습니다. 여성이 남성을 낳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최초의 여성은 최초의 남성에게서 나왔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이 처음 창조한 아담의 일부에서 하와를 만드셨습니다(창 2:21-22).

11:9 또한 여자는 남자의 영광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아담을 완성하기 위해 하와를 창조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남자를 여자의 짝으로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남자를 위하여 여자를 창조하셨습니다(창 2:18, 20). [482]

"그렇다면 남자는 이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여자를 신적 동맹자로 삼은 하나님의 권위 있는 대표자였습니다(창 2:18-24). 이런 의미에서 여자는 아내로서 남자, 즉 남편의 영광입니다." [483]

아담은 처음으로 하와를 보았을 때 그녀를 자랑스럽게 여겼습니다(창 2:23). 많은 해석자들이 이 내용을 본문으로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8절이나 9절 모두 여자가 남자 아래에 복종하는 것을 언급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그녀의 기원이 남자에게서 왔다고 말합니다.

11:10 바울은 자신이 이미 말한 것(7-9절)에서 결론을 내렸고(“그러므로”) 자신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이유를 제시했습니다.

NASB, NKJV, ESV 번역자들은 원문에 "~의 상징"을 추가하여 머리 덮개가 여성이 머리에 써야 하는 것임을 암시합니다. NIV 번역자들은 "~의 표시"를 추가했습니다. 헬라어 본문은 단순히 “여자는 자기 머리에 권위를 가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앞 구절들에 제시된 이유는 그녀가 남자의 영광이기 때문이다. 7절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바울이 여자는 남자의 영광이므로 머리를 가려야 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예상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바울이 말한 것이 아닙니다.

여성이 머리에 가져야 할 권위는 무엇입니까? 일부 통역사는 그것이 그녀의 삶에서 그녀에 대한 권위를 갖고 있는 남자를 지칭한다고 믿습니다. 덮개는 그녀가 이 역할에서 그를 알아보았다는 표시입니다. 리빙 바이블(Living Bible)은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여 해석합니다. "그러므로 여자는 남자의 권위 아래 있다는 표시로 머리에 수건을 써야 합니다." 이 견해는 엑수시아 ("권위") 를 수동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지지가 부족 합니다 . 더욱이 "~에 대해 권위를 갖는다"라는 관용어는 다른 곳에서는 결코 문장의 주어와 다른 외부 권위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른 해석자들은 "권위"를 "베일"의 환유어로 간주합니다. 환유는 한 단어가 그 단어와 연관되거나 제안된 다른 단어 대신 나타나는 비유적 표현입니다(예: "대통령이 말합니다"에 대해 "백악관이 말합니다"). RSV 번역은 다음과 같이 해석합니다. "그러므로 여자는 머리에 베일을 써야 합니다." 권위가 바울이 정말로 베일을 의미했다면 사용하기에는 불분명한 단어이기 때문에 이 견해는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 단순히 베일이나 가리개라고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것입니다.

세 번째 견해는 "권위를 갖는다"는 것을 "권위를 행사하는 수단"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 견해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바울이 남성과 함께 기도하고 예언하는 것과 같이 이전에 금지되었던 숭배 활동을 여성이 할 수 있는 권위를 가져야 한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녀가 입는 옷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녀가 누리는 새로운 자유의 표징이 될 것입니다. 본문이나 다른 곳에서는 이 견해를 뒷받침할 적절한 근거가 없는 것 같습니다 .

네 번째 주요 견해는 선택의 자유나 권리를 갖는 것의 일반적인 의미로 "권위"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의 의미는 여자가 자기 머리(남자)에 대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될 것입니다. 분명히 이 견해는 바울이 본문과 다른 곳에서 가르친 것과 반대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다섯 번째 견해는 머리수건은 남자 아래서 여자가 갖는 종속적인 지위와 여자가 ​​공개적으로 기도하고 예언해야 하는 권위를 상징한다는 것이다. [488]

나는 아마도 바울이 여자들이 머리를 가리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머리 덮개는 그들이 그들에 대한 하나님의 권위에 복종하고 있다는 가시적 표시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들은 여성으로서의 지위에 반항하지 않았습니다.

이 구절의 또 다른 주요 해석상의 문제는 “천사들 때문”입니다. 바울이 이 토론에 천사들을 소개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아마도 고린도 여인들은 머리 덮개를 쓸 필요가 있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천사들이 하나님의 백성들이 예배할 때 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을 큰 관심으로 관찰하기 때문입니다(참조, 4:9; 엡 3:10; 딤전 5:21). 천사들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질서의 수호자이며, 하나님께 복종하며, 그들 역시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베일을 벗은 그리스도인 여자를 다른 사람들이 보는 것은 불복종의 표시이기 때문에 충분히 나쁜 일이었지만, 천사들이 보는 것은 더 나쁜 일이었습니다. 그들은 정말로 기분 이 상했을 것이다.

이 고린도 여자들과 일부 남자들이 자신을 천사의 지위로 높였다는 암시도 있을 수 있다(참조, 7:1; 13:1). 바울 은 고린도인들에게 그들이 아직 천사의 감시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해 천사들을 언급했을 수도 있습니다.

"천사들로 말미암아"에 대한 덜 받아들여지는 해석은 다음과 같다: 악한 천사들이 교회에서 여자를 탐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자들은 머리를 가려야 한다(참조, 창 6:2). 만일 이것이 이유라면, 천사들은 분명히 교회 집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인간을 보는 것 같으니, 모든 여자들은 항상 베일을 써야 하지 않겠습니까? 또는 천사(문자 그대로 메신저)라는 단어가 음욕을 품을 수도 있는 교회의 목사를 지칭하기 때문에 여자는 머리 덮개를 써야 합니다. 아니면 선한 천사들이 여자들의 모범을 통해 권위에 복종하는 법을 배우기 때문에 머리 덮개를 써야 합니다. 또는 마지막으로 여자의 불순종은 선한 천사들도 불복종하도록 유혹할 수 있으므로 머리 덮개를 써야 합니다.

천사들의 준수가 오늘날 그리스도인 여성들이 교회 모임에서 머리를 가려야 하는 이유가 아닙니까? 나는 다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 문화에서는 여자가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창조 세계에서 하나님께서 주신 자리를 거부한다는 선언이었습니다. 천사들은 그것을 그렇게 인식했을 것이고 그것은 그들을 화나게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공개된 모습으로 나타나기로 한 여성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진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녀가 베일을 벗은 상태는 아마도 천사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11:11 하나님의 행정 질서에 있어서 남자와 여자의 지위가 다르다고 해서 서로 없이도 지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서로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를 보완합니다. 그들은 아들과 아버지가 그러하듯이 상호의존적입니다. 바울의 요점은 여자가 남자에게서 독립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가 일부 고린도 여성들 사이의 불법적인 독립 정신에 맞서고 있었다는 추가적인 증거입니다.

가족의 동반자 관계는 고립과 외로움을 대체해야 합니다. 남편과 아내가 서로를 완성하려면 결혼 생활에 하나가 있어야 합니다. 자기중심적인 개성은 결혼 생활의 연합을 파괴합니다. 결혼했다면 남편이나 아내가 필요합니다. 당신이 좀 더 다재다능한 사람이 되려면 배우자가 필요합니다.

11:12 하나님께서 하와를 아담에게서 창조하셨지만 이제 모든 남자는 여자에게서 태어났습니다. 이 사실은 남성과 여성의 상호 의존성을 보여주며, 11절에서 바울이 강조하는 것과 균형을 이룹니다. 11절과 12절은 함께 구조적으로 교차점을 형성합니다. 남편과 아내는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둘 다 하나님께서 만드셨고, 둘 다 하나님께 종속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사도가 강조한 것은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를 서로 관계에 두신 위치에 있었습니다. 여성은 남성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고 교회 예배 복장에 이러한 태도를 반영함으로써 창조 시에 결정된 하나님께서 정하신 정체성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더욱이 그들은 남자들처럼 이성에 대한 건전한 인식을 유지해야 합니다.

3. 타당성 논증 11:13-16

이제 바울은 고린도인들 자신의 판단력과 예의에 호소했습니다. 그는 두 가지 수사학적 질문을 더 제기했습니다. 첫 번째 질문(13b절)은 부정적인 대답을 기대하고, 두 번째 질문(14-15절)은 긍정적인 대답을 기대합니다. 사도는 사물의 본질에 호소했습니다. 그의 요점은 자연 자체가 성별을 구별하며 여성의 선천적으로 긴 머리카락은 예배에서 머리를 가리는 것이 합당함을 강화한다는 것입니다.

11:13 바울의 문화에서는 여자가 머리를 가리지 않은 채 공개적으로 기도함으로써 하나님 앞에서 사람들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질서 안에서 사람의 지위를 주장하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사도는 그리스도인 여자들이 개인적으로 복종한다 할지라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동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자유를 행사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오늘날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다르지만, 여성의 태도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여기서 바울이 옹호한 것과 그가 8:1-11:1에서 옹호한 것, 즉 일반적으로 적절하다고 인식되는 일(또한 도덕적으로 올바른 일)을 하는 것과 유사점에 주목하십시오.

11:14-15 일반적으로 여성의 머리카락은 자연스럽게 남성의 머리카락보다 길게 자랍니다. 바울은 이 사실을 근거로 하나님께서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머리 덮개를 더 많이 쓰도록 의도하셨음을 추론했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연스러운 것과 반대되는 것을 불명예스러운 것으로 간주합니다. 남자의 경우에는 긴 머리이고 여자의 경우에는 짧은 머리입니다. 바울이 “자연”이라고 표현한 것은 그의 문화가 자연적인 것에 대해 어떻게 느꼈는지를 의미한 것 같습니다. " 영광 "은 "명예"를 의미한다.

일부 허용되는 남성의 헤어스타일이 일부 여성의 헤어스타일보다 길다는 사실이 이러한 스타일이 자연 질서를 왜곡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키가 크지만 이것이 키가 작은 남성이나 키가 큰 여성이 불명예스럽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나는 여성의 머리카락이 일반적으로 여성의 에스트로겐 양으로 인해 더 풍성하고 빠르게 자라는 반면, 남성의 머리카락은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양으로 인해 가늘어지고 더 빨리 빠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11:16 바울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고 논쟁을 벌이는 독자가 있다면, 바울은 하나님의 다른 교회들도 자기가 설명한 것을 따른다고 알려 주었습니다. 이것은 고린도인들에게 그들의 행위에 있어서 다른 교회들과 보조를 맞추지 못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 서신의 네 가지 유사한 진술 중 하나이다(참조, 3:18; 8:2; 14:37). 일부 여자들은 하느님의 행정 질서에서 자신의 위치를 ​​거부했기 때문에 공개 예배에서 머리 덮개를 벗어던진 것 같습니다.

이 섹션에는 해당 문화권에서 머리를 가리는 여성에 대한 다섯 가지 주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째, 바울은 신의 질서(하나님, 그리스도, 남자와 여자; 3-6절), 둘째, 창조(7-9절), 셋째, 천사들(10절), 넷째, 자연(5절)을 언급했습니다. 13-15절), 다섯째, 보편적인 교회 관행(16절)입니다.

우상의 성전에서 먹는 문제와 우상에게 바친 고기를 먹는 문제와 마찬가지로 바울도 머리수건을 다룰 때 문화적 관습을 다루었습니다. 그의 주장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그는 예배에서 머리를 가리는 것이 주요 문제라고 믿지 않았습니다. 그는 독자들에게 남자와 여자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지 말고 관습을 지키라고 호소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협력을 촉구하기 위해 성경적 명령이나 사도적 권위가 아닌 수치심, 예의, 관습을 사용했습니다. 우리가 예배할 때 입는 옷을 포함하여 우리가 예배할 때 사용하는 의식은 예배의 현실, 즉 우리가 진정으로 하나님을 예배하고 있는지만큼 중요하지 않습니다(참조, 삼상 15:22; 요 4:23).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행 뒤에는 중요한 문제가 놓여 있습니다. 머리 덮개의 경우 문제는 하나님의 창조 질서와 교회 생활에서 여성의 위치, 특히 남성과의 관계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어떤 의복도 하나님의 행정 질서에서 여성이 자신의 역할을 받아들이는지 거부하는지를 일관되게 나타내지 않습니다. 적어도 서양 문화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대개 그녀의 말과 행동이 그렇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녀가 어떤 옷을 입느냐가 아니라 자신의 여성성과 하나님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입니다.

이 구절은 LGBTQ 운동 참가자들에게 많은 것을 말해 줍니다. 그들은 자신이 태어나고 함께 살고 싶은 성적 정체성과 다른 성적 정체성을 선호한다고 표현했습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의 요점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이 태어난 성적 정체성(남성이든 여성이든)을 인식하고 그것을 변화시키고 이성처럼 살기보다는 그 안에 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린도에서 일부 여자들이 예배할 때 머리를 가리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들이 남자처럼 대우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모든 사람에게 나타냈습니다. 앞서 바울은 “형제들아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7:24)고 썼습니다. 그는 여기서 그것을 반복했을 수도 있습니다. 7장에서 그는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다루고 있었지만 여기서는 개인의 성적 정체성을 다루고 있었습니다.

D. 주의 만찬 11:17-34

대부분의 고린도인들은 여자의 머리에 쓰는 것에 관한 바울의 지시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에 바울은 그 점을 칭찬했습니다(2절). 그러나 그는 주의 만찬에서 그들의 행동을 승인할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그곳에서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그들이 하고 있던 일은 복음과 교회 모두의 중심에 상처를 입혔습니다. 이것이 바로 바울이 7-16장에서 언급한 고린도 교회의 ​​특정한 상황이었는데, 고린도 교인들은 그에게 묻지 않았습니다. 그는 그것에 대해 들었다고 썼습니다(18절).

배경을 통해 우리는 고대에는 일반적으로 공적 예배가 식사와 함께 이루어졌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초대교회에서도, 유대교에서도, 이교세계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애찬식”이라고 불리는 그러한 식사의 일부로 주의 만찬을 지켰습니다. 바울의 관심은 애찬회가 동료 신자들에 대한 사랑의 기회가 아니라 이기심의 기회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1. 남용 11:17-26

첫 번째 학대는 수평적 차원, 즉 교회의 신자들 사이의 문제를 반영합니다. 두 번째로 더 심각한 학대는 수직적이었습니다. 교회와 주님을 포함했습니다.

가난한 자들을 학대함 11:17-22

주의 만찬에서 잘못된 행동 문제의 이러한 측면은 교회의 가난한 구성원들을 무시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새 코린트에는 토지 귀족이 없었기 때문에 부귀족이 생겨났습니다." [493]

11:17 주의 만찬에서 고린도인들의 행위가 너무 나빴기 때문에 바울은 그들이 그 성찬을 준수하는 것이 더 낫다기보다는 오히려 더 나쁘다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의 실패는 주의 만찬을 지키지 못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그들이 모일 때에 교회 곧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차별이 없는 교회와 같이 행치 아니하였음이니라(12:13). 바울 시대의 구원받지 못한 이방인 문화에서는 집주인이 지위가 높은 사람을 우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494]

11:18 “먼저”는 18-34절에서 이어지는 모든 것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하다. 바울은 고린도에 도착할 때까지 다른 유사한 문제들을 다루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34절).

고려된 행사의 맥락은 온 교회 가족이 모이는 것이었다(참조, 14:23). 바울이 나중에 고린도에서 로마인들에게 서신을 썼을 때 고린도 교회는 가이오의 집에서 집회를 하고 있었습니다(롬 16:23). 당시 고린도에 여러 개의 가정교회가 있었다면 아마도 그들 모두가 이러한 학대의 죄를 지었을 것입니다.

바울이 여기서 언급한 분열(헬. 스키마타 , 불화)은 지도자에 대한 충성과 관련된 차이가 아니라 교회 내의 사회 집단을 의미합니다(1:12).

분명히 고린도 교회에서 발생한 이러한 학대를 바울에게 보고한 사람들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그에게 많은 세부 사항을 알려 주었을 것입니다. 폴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만큼 이 정보를 충분히 믿었다고 말했습니다.

11:19 이런 유형의 당파(헬. 헤어세이 스, 파벌)는 비록 악하기는 하지만 긍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신실하고 신실하다고 인정하시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분명히 한다(참조, 마 10:34- 37; 18:7; 24:9-13). 신실한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승인(그리스어 도키모이 )은 바울이 하나님께 승인받지 못함(실격, 아도키모스 ; 9:27)에 대해 앞서 쓴 것과 대조됩니다.

11:20 기독교 교회 초기에 주의 만찬은 오늘날 대부분의 교회에서보다 지역 모임의 생활에서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초기 신자들은 종종 매일 또는 매주 이 날을 기념했습니다(참조, 행 2:42-46; 20:7). 그러나 사회적 차별이 만연한 분위기 속에서 이 절기를 제대로 지키는 것은 우상을 숭배하는 절기에 참석하면서 지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했습니다(10:21).

11:21 주의 만찬은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나누는 식사, 소위 "애찬"의 일부였습니다. 고린도에서는 음식과 음료를 나누는 대신, 각 가족이 각자의 식사를 가져오고, 가져온 것을 먹었습니다. 그 결과 부자는 풍족했지만 가난한 사람은 가진 것이 없어서 굶주리고 당황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연합의 모습이 결코 아니었습니다(참조, 행 2:44-46; 4:32, 34-35). 게다가 포도주를 많이 마셔서 술에 취한 사람들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한마디로 그들은 주님께 봉헌된 식사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개인적인 식사를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11:22 이 절에는 이 서신에 있는 사도의 가장 비판적인 진술 중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원래 독자들이 그렇게 이기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기로 결정했다면 그들은 불우한 형제들을 부끄럽게 하기보다는 집에 머물면서 거기서 식사를 해야 합니다. 그러한 행위는 하나님의 성전인 교회에 대한 무례함을 드러낸다(참조, 3:17).

"초대 교회는 고대 세계에서 세상을 나누던 장벽이 무너진 유일한 곳이었습니다. 고대 세계는 매우 엄격하게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자유인과 노예, 그리스인과 야만인, 즉 백성이 있었습니다. 헬라어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 유대인과 이방인, 로마 시민과 율법이 없는 낮은 종족, 교양 있는 자와 무지한 자가 있었습니다. 교회는 모든 사람이 함께 모일 수 있고 실제로 모이는 유일한 장소였습니다. ... 사회적, 계급적 차별이 존재하는 교회는 전혀 참된 교회가 아닙니다. 참된 교회는 모두가 그리스도께 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연합된 남자와 여자의 몸입니다.[495 ]

“나눔의 기술이 잊혀진 교회는 참된 교회가 아닙니다.” [496]

주님을 학대함 11:23-26

이 문제에는 훨씬 더 심각한 차원이 있었습니다. 고린도 사람들은 서로뿐만 아니라 주님께도 죄를 짓고 있었습니다.

11:23 바울이 여기서 가르친 것은 궁극적으로 주 예수님으로부터 나온 것입니다. 이 알림은 이 계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15장 3절에서 다시 결합되어 나타나는 동사 ‘받다’와 ‘전달하다’는 종교적인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 바울이 사용했던 유대 전통의 전문 용어이다. 그에게서 받은 것은 예수님에게서 온 것입니다. '나는 주님께 받았습니다.'" [497]

여기에 사용된 용어(“내가 주께 받았음”)는 주 예수께서 이 정보를 바울에게 개인적으로 전달하셨다는 것을 우리가 이해할 것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바울의 말을 보면 그가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가르친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복음서 기록 중 하나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 아닙니다. [498]

바울은 예수께서 주의 만찬을 제정하신 날 밤을 “그가 배반당하시던 밤”으로 묘사했습니다. 이것은 구주께서 자신의 백성을 향한 크신 사랑에 주목하게 합니다. 주님은 제자들 중 한 사람이 그분을 없애려고 음모를 꾸미고 있는 동안 은혜롭게 제자들에게 공급하고 계셨습니다.

11:24 감사한다는 뜻을 지닌 헬라어 단어 유카리스테오 (eucharisteo)는 주의 만찬의 또 다른 이름이 성체성사라는 사실을 설명한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빵을 떼는 일"이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바울이 여기서 언급한 것처럼 예수께서 빵을 떼셨기 때문입니다.

예수께서 “이것은 내 몸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있었습니다. 네 가지 주요 보기가 있습니다. 첫째, 로마 카톨릭은 이를 문자 그대로의 진술로 받아들입니다. 즉, 빵이 실제로 그리스도의 몸이 되고 잔의 내용물이 그리스도의 피가 된다고 믿는다는 의미입니다. 그들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정당한 권한을 받은 대표자들이 예배를 올바로 수행할 때만 이것이 사실이라고 믿습니다. 이것이 화체론의 견해이다. 지지자들은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물질의 물질로 옮기신다고 믿습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요소들의 외적 형태는 여전히 빵과 포도주로 감각에 나타나는 반면, 형이상학적인 변화가 일어나서 빵과 포도주는 실제로 그리스도의 육체적인 몸과 피가 됩니다. 따라서 사제는 미사를 집전할 때마다 실제로 제사를 드리는 것입니다.

"831년경 [프랑스 북부] 아미앵 시 근처 코르비 수도원의 수도사인 파샤시우스 라드베르투스(또는 라드베르)는 신성한 기적에 의해 빵과 포도주의 물질이 실제로 몸으로 변했다고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피." [500]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는 화체설이 [로마 카톨릭] 교회의 가르침임을 명백히 선언했습니다." [501]

"그(어거스틴)는 다른 사람들보다 성사를 통해서만 교회에 의한 구원의 교리를 공식화했습니다." [502]

두 번째 견해는 문자 그대로의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공실체설 (consubstantiation view)이며, 그 단어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그 옹호자들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요소들 “안에, 함께, 아래에” 존재한다고 봅니다. 화체설과 달리 빵과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실제 몸과 피로 바뀌지 않습니다. 루터교의 견해에 따르면 그리스도는 물리적으로 현존하지는 않지만 진정으로 현존하신다.

“철은 철로 남아있지만 가열하면 붉게 변하는 것처럼, 루터는 빵과 포도주의 본질은 변하지 않고 상징물 주위와 아래에는 실제로 그리스도의 육체적 임재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503]

루터교 평론가인 Richard Lenski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주님께서 어떻게 빵으로 당신의 몸을 제자들에게 주실 수 있었는지] 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를 거부합니다 . 왜냐하면 주님께서 대답을 보류하셨기 때문입니다. 성찬에서 그분의 몸을 바치는 것은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전능과 은혜의 신성한 행위입니다. 주님께서는 '이것은 내 몸이다'라고 선언하시고 우리 는 그분의 말씀을 받아들입니다." [504]

세 번째 주요 견해는 장로교인과 존 칼빈의 일부 다른 추종자들이 믿는 영적 현존 론입니다. 그들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의 영적 임재는 요소들 안에 있으며, 이전 견해에서와 같이 하나님께서는 참여를 통해 구체적으로 성찬을 받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신다. [505] 이는 마틴 부서(Martin Bucer)가 제안하고 칼빈(Calvin)이 뒤따른 이전의 두 견해 사이의 중재적 견해입니다. [506]

네 번째 풍경은 기념관 이다 . 이 해석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예수께서 “이것은 내 몸이다”라고 말씀하셨을 때, 이것이 내 몸을 상징한다는 뜻이라고 믿습니다. 즉, 그들은 그분의 말씀을 완전히 은유적인 것으로 이해합니다. 그들은 그 요소들을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그림이나 상징으로 봅니다. 이전 견해와 대조적으로, 이 견해는 그리스도가 요소들 안에 어떤 특별한 의미로 현존하시는 것을 보지 않습니다. 스위스의 개혁가인 울리히 츠빙글리(Ulrich Zwingli)는 이러한 견해를 옹호했습니다. 오늘날 개신교의 아나뱁티스트(즉, 침례교, 감리교, 독립 성경 교회 등)의 대부분의 교회는 이 해석을 따릅니다. 다음 인용문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이 견해는 예수의 유대인 제자들이 아마도 처음으로 그분의 말씀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표현합니다.

“빵과 몸의 동일시는 고조된 형태의 셈족적 이미지입니다. 그러한 모든 동일시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는 '이것은 내 몸을 의미/나타낸다'는 의미입니다. 빵 자체에 어떤 실제 변화가 일어났거나 일어나려고 의도했다고 상상하는 것은 예수의 의도와 그와 제자들이 살았던 틀을 훨씬 넘어서는 것입니다. 그러한 견해는 당시 교회에서만 일어날 수 있었습니다. 그리스의 사고 방식이 셈족의 사고 방식을 완전히 대체했던 훨씬 후기 단계였습니다." [507]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당신의 몸을 상징하는 빵을 먹으라고 권하셨습니다. 그리하여 그분은 그들에게 당신 몸의 한 몫을 주셨고, 당신 죽음의 의미와 유익에 참여하도록 그들을 초대하셨습니다. 그분의 몸은 이중적인 의미에서 그들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그들을 대신하여 속죄를 보장하는 것이었고(참조, 15:3; 롬 5:6, 8) 그들을 대신하여 바쳐진 몸이었습니다(예, 갈 3: 13; 고후 5:21).

제자들에게 빵과 포도나무 열매를 먹음으로써 그분을 기억하라는 주님의 요청은 의미가 풍부합니다. 많은 추종자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기억하기 위해 비석을 세우고 이 유적지를 순례함으로써 그들의 지도자를 기억합니다. 대조적으로, 주 예수님은 그분을 기억하는 것을 쉽고도 심오하게 만드셨습니다. 요소들을 참여하는 것은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가 실제로 우리 안에 계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며, 함께 먹는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안에 있는 다른 신자들과의 연합을 상기시켜 줍니다.

성경적 용어로 기억한다는 것은 단지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기억된 사건이 ​​무엇과 관련되어 있는지 깨닫는 것이 포함된다(참조, 출 13:3; 20:8; 신 5:15; 7:18; 등). 주의 만찬은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에 대한 기억을 새로운 시각으로 되살리기 위해 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이는 그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이루신 구원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고린도전서 11장 24절에는 이 의식이 제정된 것에 대한 복음서의 기록과 마찬가지로 성찬례를 지키라는 주님의 명령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의 만찬을 지키지 않고 순종하는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일부 기독교 단체에서는 주의 만찬을 성례전의 하나로 언급합니다. 그들은 이 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요소들이 그것을 규례라고 말하는 사람들보다 더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방식으로 참여자에게 은혜(하나님의 신성한 능력)를 공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식이나 성찬은 주님께서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지키라고 명하신 의식입니다.

대부분의 개신교인들은 두 가지 의식, 즉 세례와 성찬이 있다고 믿습니다. 몇몇 개신교 그룹은 요한복음 13:12-17에 기초하여 세 번째 규례로 발을 씻는 일을 포함합니다(예: 그레이스 형제단, 일부 메노나이트 등).

11:25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감사하시고 잔도 가지사 감사를 드리셨느니라(마 26:28, 막 14:24, 눅 22:20).

예수께서 갈보리에서 피를 흘리셨을 때, 그 피는 예레미야가 예언했던 새 언약을 비준(공식적으로 승인하고 권위 있는 승인을 주었습니다)했습니다(예레미야 31:31-34, 참조, 출 24:8). 새 언약은 옛 모세 언약을 대체했습니다(히 8:8-13; 9:18-28). 비록 유대인들이 천년왕국에서 이 언약의 혜택의 주요 수혜자가 될지라도 모든 신자들은 그리스도께서 죽으셨을 때 그분의 죽음으로부터 혜택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509]

이 배열은 미국 내국세법에 따라 자선 선도 단위 신탁에서 설정할 수 있는 배열과 유사합니다. 존 D. 록펠러(John D. Rockefeller)만큼 부유하고 관대한 자선가가 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는 유언장을 준비하면서 자신이 세상을 떠났을 때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자선 활동에 수백만 달러를 남겼습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외아들이 21세가 되면 수십억 달러를 상속받게 될 것이라고 유언장에 적었습니다. 그 사람이 죽었을 때 그의 아들은 겨우 다섯 살이었으므로 그는 16년 동안 아버지의 기업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자선가가 죽자마자 그가 자선 단체에 남긴 수백만 달러는 즉시 많은 사람들을 돕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교회가 어떻게 새 언약의 축복에 참여하는지 보여줍니다. 그리스도께서 성찬을 제정하셨을 때 그것은 마치 그분의 뜻을 공증하신 것과 같았습니다. 그때 바로 공식화됐죠. 이 예에 나오는 뜻은 새 언약이다. 예수님이 죽으셨을 때, 그분의 “재산”은 그분이 그로부터 이익을 얻기로 선택한 사람들이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곧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 즉 교회의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가 그분의 죽음의 축복으로부터 혜택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분이 택하신 백성, 그분의 “아들” 이스라엘은 지정된 때, 즉 천년왕국까지 그분의 기업에 들어가지 못할 것입니다. 교회를 위한 축복은 그리스도의 죽음 직후에 시작되었습니다. 한 나라로서 이스라엘을 위한 축복은 그리스도께서 정하신 때가 도래할 때까지 시작되지 않을 것입니다.

유대인들이 유월절을 기념할 때마다 예배를 집전하는 아버지는 나머지 가족들에게 각 부분의 의미를 설명하곤 했다(참조, 신 16:3). 예수님께서는 주의 만찬을 제정하실 때에도 제자들에게 동일한 일을 하셨습니다.

"우리 주님은 정해진 시간을 정하지 않으셨습니다. P.aul은 축하 행사가 자주 있을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자주 축하하더라도 주님에 대한 기억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님의 지시에 따라 인도되어야 한다고 지시하시기 때문입니다." [510]

“주의 만찬에서 마음은 완전히 의존하는 지점, 사람이 아무것도 아닌 지점, 그리스도와 그분의 사랑이 모든 것이 되는 지점으로 되돌아가며, 그 안에서 마음이 훈련되고 양심은 그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합니다. 정결케 함과 그리스도의 역사로 정결하게 되었느니라 우리가 이 은혜에 절대적으로 의지하니 애정도 온전히 발휘되느니라." [511]

11:26 바울은 예수님의 말씀을 계속했습니다. 주의 만찬에 참여하는 것은 복음을 극화하는 것입니다. 예배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그 의미를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됩니다.

“성체성사는 행위로 된 설교, 즉 그것이 기념하는 죽음을 행위로 선포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속죄의 죽음에 대한 믿음의 표현이 예배의 일반적인 요소라는 언급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512]

“그것은 단지 그리스도를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구원하시는 그분의 영광스러운 겸손과 은혜를 기념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 예배를 통해 우리는 그리스도의 제자임을 세상 앞에서 인정합니다. 구원을 받고 하나님께 받아들여지는 것입니다." [513]

바울은 잔에 담긴 포도주가 피와 직접적으로 동일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빵”과 병행되는 “포도주”가 아닌 “잔”을 언급했을 수도 있습니다. 피를 마신다는 생각은 고대 세계의 대부분의 사람들, 특히 유대인들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반면 에 바울은 두 요소를 모두 상징적으로 보았을 수 있습니다. 잔은 인생에서 자신의 운명, 특히 심판을 상징하고 빵은 생명을 유지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주의 만찬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을 기념하는 기념행사가 아닙니다. 그것은 또한 그분의 재림을 고대하는 축하 행사이기도 합니다. 바울은 유대인들이 주의 만찬을 묘사하기 위해 유월절 전례인 학 가다 (문자적으로 보여주기)를 묘사할 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용어('선포하다')를 사용했습니다. 515 그것은 그가 오실 때까지 그의 죽으심을 나타내신다(“선포”)(참조, 출 13:8).

"... 심판에서 '주의 죽으심을 그가 오실 때까지 선포한다'는 것은 우리가 성찬에서 우리의 믿음이 인정하는 것, 즉 그리스도의 죽음이 우리의 생명이라는 것을 우리 입의 고백으로 선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16]

분명히 주님께서 지상 왕국을 세우기 위해 돌아오실 때, 그분은 특정 동물 희생을 드리는 것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예배를 확립하실 것입니다(겔 40~46장). 이것은 구약 시대에 유대인들이 바쳤던 동물 희생과 유사할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최종 희생을 치르셨으므로 이러한 동물 제물은 죄를 없애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념하기 위한 것이며 전적으로 숭배를 위한 것임이 분명합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그들이 그때 하나님과의 깨어진 교제를 회복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517]

"성찬식은 비록 죄의 고백이 중요하더라도 '영적 부검'과 슬픔의 시간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감사하고 주님을 만나기를 기대하는 즐거운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518]

"... 즐거운 잔치는 아니지만 행복한 잔치입니다." [519]

이 부분에서 바울은 독자들이 주의 만찬을 적절하게 소중히 여기고 기념할 수 있도록 주의 만찬의 의미를 검토하고 설명했습니다.

“요컨대 바울은 한 가지 일, 한 가지 일을 혼자 하고 있습니다. 그는 고린도인들에게 바로 이 빵을 먹고  잔을 마시는 것의 엄청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결국 주님의 죽으 심을 기념하는 문제입니다 … " [520]

“흥미로운 것은 우리가 주의 탄생일을 기억하라는 명령을 받은 곳은 어디에도 없지만(그렇게 하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주의 백성은 그의 죽는 날을 기억하라는 요청과 명령을 받은 것입니다.” [521]

2. 교정 11:27-34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주의 만찬 준수 방식을 바꾸라고 촉구했으며, 그들이 행실을 바로잡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설명했습니다.

몸을 분별함 11:27-32

바울은 주의 만찬이 개인적이고 성찰적인 기억 그 이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죽음을 통해 당신의 이름을 지닌 신자들의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기초를 놓으셨기 때문에 교회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므로 주의 만찬은 우리가 갈보리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동료 그리스도인으로서 서로와의 관계를 성찰하도록 이끌어야 합니다.

11:27 “합당치 않은 길”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와 일치하지 않는 모든 길을 가리킨다. 이는 모든 참가자가 이 의미의 충만함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은 주님의 죽음의 의미를 고려하여 합당하게 처신해야 합니다. 심지어 어린이도 이것을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의 교회에 존재했던 분열(18절)과 그들의 이기적인 행동(21절)은 고린도인들이 주의 만찬을 준수하는 방식을 합당하지 않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의식으로 묘사된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한 구원을 선포하는 기념의 의미도 상실했습니다. 불신자들이 참석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주의 만찬을 합당하게 지킬 때 복음은 전파됩니다.

그리스도의 살과 피에 대해 죄가 있다는 것은 그들을 합당하지 않게 대하는 죄, 즉 모독하는 죄를 짓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그러한 사람이 어떤 특별한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문장을 화나게 하는 것은 그 원본을 화나게 하는 것입니다. 마치 여왕의 사진이나 자국 국기를 조롱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522]

바울은 합당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주의 만찬에 참여하지 말라고 경고한 것이 아닙니다. 그는 참석자들의 성격에 대해 논한 것이 아니라 예배에서 그들의 행동에 대해 논한 것입니다. 우리의 결함 있는 성품으로 인해 참여할 자격이 있는 신자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합당한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고 반드시 참여해야 합니다.

11:28 “고린도 교인들은 자기는 살피기에 개의치 아니하고 다른 사람은 살피기에 능숙하였느니라” [523]

자신을 성찰하는 이유는 우리가 합당하지 않은 방식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합당하게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문맥상 그렇게 하려면 동료 그리스도인들에 대해 사랑 많고 비이기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뿐 아니라 주의 몸과 피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님께서는 합당한 방법으로 참여하지 못한 우리를 조사하고 심판하셔야 할 것입니다(31절).

이 간단한 자기 성찰을 마친 후 신자는 계속해서 참여해야 합니다. 유난히 예민한 그리스도인은 사려 깊은 생각 끝에 자신의 개인적 무가치함에 압도되어 참여를 주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참여할 자격이 없습니다. 누군가가 자신이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합당한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합당하게 만드셨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렇게 하기에는 합당하지 않다는 느낌을 가지고 참여해야 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합당한 방식으로 참여한다는 의미의 일부입니다.

이러한 단순한 묵상과 참여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게 하는 동기의 뿌리가 됩니다. 교회는 기독교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삶의 최우선 순위에 두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여기에는 제단 부름, 부흥 예배, 모닥불 헌납 예배 등이 포함되며 모두 가치가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또한 주 예수님께서 여기에서 우리에게 지시하신 것, 즉 그분의 백성이 다른 무엇보다 그분을 위해 더 나은 삶을 살도록 동기를 부여할 일을 무시했습니다. 이 의식이 동기를 부여하는 힘을 잃었다면, 그것은 그것을 인도하는 사람들이 교회 생활에서 마땅히 받아야 할 준비와 관심, 우선순위를 부여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십자가로 돌아가게 하는 방식으로 주의 만찬을 자주 지키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아가는 데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동기 중 하나입니다. 주의 만찬을 자주 지키는 것이 지루하다고 생각한다면, 배우자가 자신에 대한 자주 사랑의 표현을 지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11:29 합당하지 않게 먹고 마시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습니다. 주님의 식탁에서는 심판이 불가피합니다. 우리는 참여하기 전에 우리 자신을 판단해야 하며(그리스어 디아크리노 ) 합당한 방식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님께서 우리를 판단하실 것입니다( 크리노 ). 이 구절에서 "몸"은 이중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십자가에서 주어진 그리스도의 몸과 그리스도의 신비로운 몸인 교회입니다.

"참가자들에 대한 먹고 마시는 심판을 수반하는 주의 만찬에 '합당하지 않거나' '부적절하게' 참여하는 것은 ' 몸을 분별( 디아크리논 )'(11:29)하지 않는 데서 옵니다. 그들은 가난하고 늦게 온 사람들에게 민감하거나 지배적인 사회 관습이 그들의 행동을 좌우하는지 여부가 결정적인 문제가 됩니다. 회중은 자신을 그리스도의 독특한 몸으로 인식합니까?" [524]

“그러므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행한 악을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님 자신도 빛 가운데 계시듯이 빛 가운데서 나타나며 빛 가운데 행하여 그 사람의 상태를 분별하는 것입니다.” [525]

11:30 고린도에서 하나님께서는 몇몇 그리스도인들을 질병과 죽음으로 심판하셨습니다. 그 이유는 이기적인 삶(21절)과 무분별하게 성만찬에 참여하는 죄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526]

11:31 만일 하나님의 백성이 자기 죄를 스스로 판단하지 아니하면 하나님이 그들을 심판하실 것임이니라 이 심판에는 육체적 질병이 포함될 수도 있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조기 육체적 죽음이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참조, 행 5장; 요한일서 5:16).

11:32 우리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이러한 하나님의 형벌을 징계로 간주해야 한다(헬. 파이데이아 , 문자적으로는 자녀 교육; 참조, 히 12:5-11). 하나님께서 이 징계를 통해 우리가 경험하지 못하도록 하신 정죄는 구원받지 못한 자들이 겪게 될 주님의 임재로부터의 영원한 멸망이 아닙니다(롬 8:1). 그것은 때 이른 죽음이며, 그리고/또는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주님께서 승인하지 않으시는 일이다(참조, 3:15; 5:5). 이것은 그리스어 본문에 나오는 말장난의 또 다른 사례입니다. 우리가 자기 자신을 분별( 디아크리노 )했다면 하나님의 심판( 크리노 ) 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 하나님이 우리를 심판( krino ) 하시는 것은 우리를 징계하심으로 우리로 세상과 함께 정죄( katakrino )를 받지 않게 하려 하심이니라.

서로를 기다리다 11:33-34

이제 실제 적용은 신학적인 설명을 따릅니다.

11:33 애찬식에 가져올 음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회중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가진 것이 많은 사람들이 가진 것을 나누어야 합니다. 그들은 또한 음식이 모두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요즘 많은 교회에서는 정기적으로 1세기 애찬식에 현대적인 대응을 제공하는 포트럭 만찬을 가집니다. 어떤 그리스도인들은 오늘날 성찬을 거행할 때마다 애찬식을 실천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애찬식이 단지 초대교회에서 주의 만찬이 거행되었던 배경이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주의 만찬을 먹으라고 권하시면서 애찬절을 지키라고 구체적으로 명령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애찬식은 교회의 규례가 아니며, 초대교회처럼 계속 이어갈 의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11:34 고린도 교회의 ​​어떤 그리스도인들이 너무 배가 고파서 식사를 할 수 없다면 예배에 참석하기 전에 집에서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의 사랑 없는 이기심이 주님의 심판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자신의 필요보다 다른 사람의 필요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주님께 매우 중요합니다(참조, 9:22; 10:33; 막 10:45; 롬 15:2; 갈 1:10; 빌 2: 3; 외.).

분명히 고린도 사람들이 모였을 때 어떻게 행동했는지에 대한 다른 세부 사항("나머지 문제")이 있었지만 바울은 이 편지에서 언급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그들은 지역적으로만 중요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는 고린도를 다시 방문했을 때 이 문제를 다루려고 계획했다(참조, 4:18-21; 16:2-3, 5-7).

고린도 교회의 ​​특징이었던 이기적인 태도는 서신서의 이 부분에서 강하게 나타납니다. 그것은 주님의 식탁에서 특히 추악한 모습으로 나타났습니다. 바울은 구주의 명예와 성도들의 복지를 위해 이 문제를 엄격하게 다루었습니다.

E. 영적인 은사와 영적인 사람들 chs. 12~14

바울은 8장 1절부터 예배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 왔습니다. 그는 고린도 사람들이 성전 식사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시장에서 고기를 먹는 것을 허용했습니다(8:1-11:1). 그런 다음 그는 그들 자신의 예배 모임과 관련된 두 가지 문제, 즉 머리 수건과 주의 만찬을 다루었습니다(11:2-34). 영적인 은사의 문제(12~14장)는 예배를 위한 모임과 관련된 세 번째 문제였습니다. 이것은 바울이 이 문제에 전념한 본문의 양과 문제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세 가지 문제 중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바울은 여성의 머리 덮개라는 외적이고 가시적인 사회적 예절 문제에서 교회의 성찬식이라는 보다 내적인 문제로, 그리고 성령께서 교회에서 어떻게 역사하시는가라는 가장 내적인 문제로 옮겼습니다. 바울 은 완전한 상태가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에(13:8-13) 현재 "영적"이라는 것은 예배 영역에서 교회를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어떤 문제보다도 고린도인들과 바울은 성령의 역할을 두고 서로 의견이 다릅니다. 그들에게 '성령'은 소피아 ('지혜')와 그노시스 ('지식') 영역의 삶으로 들어가는 입구였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재(7:1-7)와 미래(15:12)의 물질적 질서를 거부하고 바울이 그리스도를 본받아 본받은 그리스도인의 삶(4:15-21)도 거부했습니다. ). 천사의 언어(들)인 방언의 경험은 그들이 현재의 윤리적-도덕적 삶보다는 주로 비물질적 존재의 관점에서 생각되는 지금(4:8) 하늘의 존재를 가정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방언에 대한 그들의 기이하고 지나치게 열정적인 강조를 막으려는 것입니다(12-14장의 요점). 그러나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성령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복음과 일치시키기 위해 재정비하려고 노력합니다. [528]

바울은 이 부분에서 고린도인들을 단지 교훈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잡기를 원했습니다. 이것은 14장에서 분명해집니다. 그들은 방언의 은사를 남용하고 있었습니다. 전체 부분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이 편지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즉, 1~3장; 7:25~40; 8~10장) 구조적으로 ABA 교차 패턴을 따른다 . 먼저 일반 지침(12장)이 있고, 그 다음에는 신학적 막간(13장),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수정(14장)이 있습니다.

"… 바울의 답변에는 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거나 정중하게 그의 조언을 구했다는 암시가 단 하나도 없습니다. 아마도 중요한 문제는 뉴마티코스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그에 반대하는 그들의 확고한 입장일 것 입니다 . 그들의 견해는 분명히 기독교 존재의 물질적/육체적 측면을 부인했을 뿐만 아니라(따라서 15장이 이 부분의 뒤를 잇는 이유), '영적인(또는 과도하게 실현된) 종말론'의 요소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열쇠는 아마도 방언이 천사와 연관되어 있는 13장 1절에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참으로 '영적'이며 현재의 성(7:1-7)이나 미래의 몸(15:1-58)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성령으로 천사의 방언을 말하는 것은 그들이 새로운 세상에 참여하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였습니다. 따라서 이 선물에 대한 그들의 특별한 열정이 있습니다." [530]

1. 영 통제의 시험 12:1-3

사도는 사람이 내주하시는 하나님의 영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지표를 명확히 설명하면서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그는 고린도인들이 이전에 우상 숭배자였던 경험을 현재 그리스도인으로서 경험하는 것과 대조되게 설정했습니다. “영감받은 말” 자체만으로는 무엇이 참으로 영적인 것인지를 식별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발언의 이해 가능한 내용은 그 내용이 예수 그리스도가 주라는 기본 고백과 조화를 이룰 때 그렇습니다.

12:1 peri de (“이제 관련하여”) 라는 문구의 존재 와 주제의 변화는 고린도인들이 바울에게 질문과 함께 기록한 또 다른 문제를 나타낸다(참조, 7:1; 8:1). 이는 성령께서 자신이 내주하는 신자들에게 주시는 은사(능력)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주제는 사랑에 관한 유명한 13장을 포함하여 바울이 12-14장에서 쓴 모든 내용의 초점입니다.

10장 1절에서와 같이 바울은 독자들에게 필요한 교훈이 뒤따른다는 것을 암시했습니다. “영적인 은사”는 문자적으로 “영적인 것”(헬라어 ton pneumatikon )입니다. 바울은 성령을 강조하고 싶을 때 프뉴마티카를 사용했고, 은사를 강조하고 싶을 때는 카리스마타 ("은사")를 사용했습니다. 뉴마티콘(Pneumatikon)은 선물 자체를 포함하지만 선물 자체보다 더 넓은 용어입니다. 이것은 주로 영적인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참조, 2:15; 3:1). 분명히 고린도인들의 질문은 영적인 그리스도인의 특성을 다룬 것 같습니다.

영적인 그리스도인은 육체(죄 많은 인간 본성; 갈 5:16)의 통제 아래 있거나 마귀의 영(10:20-10:20- 21). 2장 15절에서 바울은 성숙한 그리스도인들을 “육적인”( 즉, 구원 받지 못한, 성령이 없는) 것과 대조하여 “영적인”(헬. 프뉴마티코스, 성령이 있는) 것으로 묘사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사람이 참으로 영적인 사람임을 표시하는 것은 성령을 소유할 뿐만 아니라 성령에 의한 다스림임을 즉시 분명히 했습니다(3:3).

"당신은 얼마나 영적입니까?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까? 이것을 시도해 보십시오. 당신은 얼마나 순종적입니까? 이 대답을 첫 번째 질문에 적용하십시오." [531]

12:2 고린도의 신자 중 많은 사람은 이방인이었습니다. 다양한 영향으로 인해 그들은 참 하느님에 대한 숭배에서 멀어져 우상 숭배에 빠졌습니다.

"고린도는 경험 지향적이고 자기 지향적이었습니다. 신비 종교와 기타 이교 종파가 매우 많았고, 고린도 교회의 ​​많은 구성원이 이 종파로부터 초기 종교 교육을 받았습니다. 개종한 후에도 그들은 이교도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태도를 취하여 하나님의 영의 참된 역사를 이교 종교, 특히 디오니소스 신비나 아폴론 종교의 이전의 공허하고 황홀한 경험과 혼동했습니다." [532]

말 못하는 우상은 말씀하시는 살아계신 하나님과 대조되어 말하지 않는 우상입니다. 바울은 이전에 우상 숭배 뒤에 귀신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10:20). 그는 고린도 교회에서 말하고 있는 예언이나 용어집 (방언)이 마귀의 근원에서 나왔다고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단지 그의 독자들에게 성령이 아닌 다른 근원으로부터 나오는 “영감받은” 말씀이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을 뿐입니다. 아마도 그들 중 일부는 이교도였을 때 방언을 말한 적이 있었을 것입니다. [534]

"고전 [그리스] 문학에서 아폴론은 트로이의 카산드라, 델포이의 여사제 또는 쿠마에의 시빌라의 입술에서처럼 황홀한 발언의 원천으로 특히 유명했습니다. 그녀가 신의 통제하에 예언한 광란은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버질(Virgil)); 행 16:16의 점쟁이 노예 소녀는 더 겸손한 수준에서 동일한 종류의 '파이토닉' 정신에 의해 지배되었습니다." [535]

12:3 열광이나 황홀경 또는 “영감받은” 말이 반드시 영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영감받은" 발언이란 화자가 하나님으로부터 왔다고 주장하는 모든 발언을 의미하며 반드시 하나님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새로운 계시일 필요는 없습니다. 바울의 원래 독자들은 그러한 상태에서 말하는 사람이 말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습니다.

"말투의 방식이 아니라 황홀한 말의 내용이 진정성을 결정합니다." [536]

그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에 관해 말한 내용은 특히 중요했습니다. 성령의 감동을 받은 사람은 누구도 예수 그리스도를 저주하지 않을 것입니다. 아마도 고린도 교회의 ​​어느 누구도 이런 일을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한 학자는 누군가가 그런 일을 했다고 믿었습니다. 70 인역에서 저주받은 것 ("저주받은")은 구원받지 못한 채 하나님께 바쳐진 것, 즉 멸망하도록 운명지어진 것을 의미합니다(레 27:28-29; 수 6:17; 7:12). Anathema  교회의 유대인 배경에서 이어진 아람어 용어입니다.

마찬가지로, 성령께서 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 어느 누구도 예수님이 주님, 즉 구원자 및/또는 주권자이심을 진심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그 사람이 황홀한 상태에서 말하든, 아니면 평범한 말을 하든 상관없이 사실이었습니다. 바울은 독자들에게 영들이 하나님께 속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영들을 시험하라고 가르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참조, 요일 4:1-3). 그의 요점은 "영감받은" 발언 자체가 성령이 사람을 인도하고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성령께서는 그의 통제하에 있는 사람들을 그들의 말로 말 못하는 우상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에게 영광을 돌리도록 인도하신다(참조, 2:10-13).

"성령 활동의 궁극적인 기준은 예수님을 주님으로 높이는 것입니다. 그것을 빼앗는 것은 무엇이든, 비록 그것이 성령의 합법적인 표현이라 할지라도 그리스도로부터 멀어져 영적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이교도적인 매력으로 옮겨가기 시작합니다. 그 자체." [539]

2. 다양한 영적 은사의 필요성 12:4-31

바울은 용어집 (14장) 이라는 주제로 돌아갈 계획이었지만 먼저 영적인 은사에 관해 좀 더 일반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다음 구절에서 그는 교회 안에 있는 은사의 차이를 다루었습니다.

“말로 표현된 진정한 영적 자질의 부정적, 긍정적 기준을 제시한 후, 사도는 계속해서 이러한 매우 다양한 은사의 본질적인 통일성을 지적합니다.” [540]

건강한 교회에는 획일성이 아닌 다양성이 필요하며,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의 몸 안에 다양성이 존재하도록 보살펴 주셨습니다(6, 7, 11, 18, 24, 28절). 고린도인들이 영적 은사의 영역에서 본질적으로 그들의 교사들과 관련하여 하고 있었던 일을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십시오(3:4-23). ​​그들은 다른 것보다 한 가지를 더 선호하여 그들 모두에게서 유익을 얻지 못했습니다. 바울의 논증 중 이 부분은 은사 주제를 적절한 신학적 관점에 두는 반면, 이전의 페리코페는 그것을 적절한 기독론적 관점에 두었습니다.

신격과 은사의 다양성 12:4-11

12:4 성령은 한 분이시지만 그분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능력(“다양한 은사”)을 주십니다. 이 페리코프의 모든 내용은 이 두 가지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은사(Gr. charismata , 은혜를 뜻하는 charis 에서 유래)는 사람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섬길 수 있게 해주는 능력이다. 하나님은 그들을 값없이 은혜롭게 주십니다. 그것이 능력이라는 것은 바울이 여기와 다른 곳에서 그것을 어떻게 묘사했는지를 보면 분명해 보인다(참조, 롬 12:6-8; 엡 4:4). [541]

“영적 은사는 성령의 내주하심을 통해 신자가 자신의 자연적 은사를 훨씬 넘어서는 일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입니다. 성령은 자연적 은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영적인 은사는 항상 초자연적 특성을 가지며 성령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성령은 개인의 힘이 아니라 성령의 능력의 표현입니다." [542]

12:5 마찬가지로 교회를 다스리시는 동일한 주께서 주시는 직분이나 봉사(헬라어 디아코니아 )도 여러 가지입니다. 그분은 어떤 사람들에게 한 사역에서 봉사할 기회를 주시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다른 사역에서 봉사할 기회를 주십니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동일한 영적 은사를 갖고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들 각자에게 다른 사역을 주셨습니다.

12:6 더욱이 효과나 작용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헬. 에 네르게마타 ; 일하는 성령의 능력의 나타남). 그러나 동일한 하나님께서 이 모든 결과를 주시는 책임이 있습니다. 두 그리스도인이 모두 같은 은사를 가질 수도 있지만, 하나님은 한 사람에게는 많은 열매를 주고 다른 사람에게는 적은 열매를 주실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통한 그리스도의 사역에 동등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기대해서는 안 되며, 우리가 우리의 은사로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사역하는 것처럼 모든 사람이 반응할 것이라고 기대해서도 안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누가 기다리고 있을지, 누가 준비가 되어 있는지 결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가진 은사를 사용하여 응답한다면 그리스도인의 삶은 하나님을 위한 큰 모험이 됩니다." [543]

4-6절에서 "영", "주", "하나님"이 구별되지만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은사", "사역", "효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아마도 이 단어들이 완전히 별개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 아니라, 신자 안에서 그리고 신자를 통한 하나님의 사역의 한 측면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의 능력, 봉사의 기회, 그리고 결과를 포함하여 우리가 사역하는 개인적인 방식을 책임지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이 삼위일체의 각 사람에게 그는 교회에 부여된 영적 은사의 한 측면을 연관시킵니다. 그 질과 근원에 있어서 그들은 은혜로운 수여, 재능, 능력입니다. 그 목적에 있어서 그들은 다음을 위한 '봉사'입니다. 교회의 봉사와 도움과 힘. 그것들의 효과에 있어서 그것은 신성한 능력의 역사나 작용이나 나타남입니다." [544]

12:7 각 신자는 자신의 은사와 사역, 하나님의 축복의 방식과 정도에 관계없이 자신의 삶을 통해 성령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바울의 요점은 각 신자가 은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사실이다(참조, 벧전 4:10). 그의 요점은 성령이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나타내신다는 것이었습니다. 은사, 사역, 효과 등이 모두 함께 작용하여 성령의 임재를 나타냅니다. 이 일을 하는 것은 단지 더 놀라운 은사와 사역과 효과만이 아닙니다. 눈부신 은사와 사역, 효율성을 지닌 신자들이 그렇지 않은 그리스도인들보다 반드시 더 영적인 것은 아닙니다. 특정 신자뿐만 아니라 각 신자는 공동선을 위해 독특한 기여를 합니다(참조, 12-27; 3:4-10). 이 사실에 대한 몇 가지 예가 8-10절에 나옵니다.

12:8 바울은 성령께서 신자들을 통해 자신을 나타내시는 아홉 가지 방법을 언급했습니다. 이 목록은 신약에 있는 다른 유사한 목록과 비교할 때 분명해지듯이 전체 목록이 아니라 대표적인 목록입니다(참조, 28, 29-30; 7:7; 13:1-3, 8; 14:6) , 26; 로마 12:4-8; 에베소 4:11). 이 목록 중 어느 것도 완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목록에 언급된 것보다 더 많은 선물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예 를 들어, 바울은 7장 7절에서 독신의 은사를 언급했지만 이 은사는 은사 목록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것들(이 은사)이 세 가지 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허황된 생각이 아닙니다. 하나는 특히 지성과 관련되고, 두 번째는 의지와 관련되며, 세 번째는 감정이나 감정과 관련됩니다." [546]

이 구절에는 헬라어 본문에서 사용된 단어 "word" 앞에 정관사(the)가 없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바울이 지혜나 지식의 말, 즉 지혜롭고 지식이 풍부한 말을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을 가리킬 것이다(참조, 1:17-2:16).  말씀 사이의 차이는 아마도 현실에 참인 것에 대한 성숙한 인식을 나타내는 "지혜"(참조, 1:24; 2:6-13; 14:6)와 하나님의 뜻에 대한 이해인 "지식"에 있을 것이다. 특히 비밀(계시)에 대하여(참조, 13:2; 14:6). 다른 견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혜의 말씀은 직접적인 계시를 가져오는 반면, 지식의 말씀은 객관적인 계시 데이터를 파악하고 이를 다양한 연결에 적용하는 능력이었습니다." [548]

"... 나는 지식을 거룩한 것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혜는 그것들을 철저하게 파악하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지식은 사물 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로 이해하고, 지혜는 사물에 대한 통찰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십시오. 좀 더 은밀하고 고상한 성격을 갖고 있다." [549]

"영적인 은사는 담화이지 그 배후에 있는 지혜나 지식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바로 교회에 직접 봉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550 ]

일부 사람들은 지혜와 지식의 은사가 일시적인 것이며 하나님께서 1세기 사도와 선지자들에게 주신 직접적인 계시와 관련이 있다고 믿습니다. [551]

"사이코메트리(사건이나 사람과 관련된 무생물을 만짐으로써 그에 관한 사실을 발견하는 능력)는 분명히 기독교인들이 지혜와 지식의 은사로 알고 있는 두 가지 계시의 은사를 사탄이 위조한 것이며, 의심할 바 없이 다음 중 하나도 포함합니다. 예언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이코메트리를 시행한 결과, 사람들은 자신을 향한 다른 사람의 사악한 의도가 적시에 경고를 받았고, 그들의 즉각적인 행동으로 그 의도를 막을 수 있었으며, 도둑이 발견되고 자신의 필요가 충족되었습니다. 생각이 드러났고, 과거뿐만 아니라 미래도 밝혀졌습니다. 이 모든 것은 탐구자가 [악마의 활동에 의해] 그러한 경이로움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강신술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갖도록 격려합니다." [552]

 

12:9 이 문맥에서 믿음은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어느 정도의 지혜와 지식을 갖고 있는 것처럼 모든 그리스도인에게는 어느 정도의 믿음이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신자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나 지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처럼, 어떤 신자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하나님을 신뢰하는 능력을 더 많이 갖고 있습니다. 모든 신자는 지혜와 지식과 믿음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다른 그리스도인보다 하나님께서 그들 중 한 사람에게 더 큰 능력을 주셨습니다.

"치유"의 은사(그리스어 단어는 복수형: "치유")는 정의상 치유가 일어나도록 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분명히 재능이 있는 사람들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치유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영적 치유가 있었습니다. 상담사와 의사들은 오늘날 치유를 일으킬 수 있는 어느 정도의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께서 초대교회처럼 오늘날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건강을 회복시키는 능력을 주시지 않았다고 믿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사탄이 그의 악귀 종들을 통해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554]

12:10 기적은 사건의 자연스러운 과정을 바꾸는 능력 있는 일이다(헬. 다이나미스 ). 아마도 치유 이외의 모든 유형의 기적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칼빈은 이러한 기적을 귀신과 위선자들을 제압하는 능력으로 제한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이 그들과 함께 계시고 그들에게 능력을 주심을 나타내기 위해 그분의 아들과 초대 교회의 일부 그리스도인들에게 기적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습니다(참조, 눅 4:14-9:50; 갈 3 장 ) :5; 히브리서 2:4). 특히 누가복음에서는 예수께서 가르치시고 기적을 행하심으로써 그분의 가르침을 확증하시는 분으로 묘사합니다. 사도행전은 사도들도 같은 일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언은 신약에서 네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선지자는 미래의 사건을 예언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하나님의 특별한 새 계시를 통해서만 알려진 것들을 선포했습니다. 셋째, 그들은 성령의 감동에 따라 하나님을 찬양하는 고상한 말이나 메시지, 또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교훈, 반박, 책망, 훈계 또는 위로의 말을 전했습니다(참조, 11:4; 13:9; 14:1, 3). -5, 24, 31, 39). 넷째, 그들은 예배를 인도했습니다(출 15:20-21; 대상 25:1). 분명히 이러한 능력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능력은 신약성서의 마지막 책이 구성되면서 사라졌습니다. 하나님께서 영감을 주신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은 아마도 요한계시록일 것인데, 그 연대는 대략 서기 95년경으로 추정됩니다. [557]

“첫째, 예언은 고대 종교에서 특히 널리 퍼진 현상이었지만 신약의 다른 저술가들과 마찬가지로 바울의 이해는 유대교에 있었던 그 자신의 역사에 의해 완전히 좌우되었습니다. 선지자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말한 사람이었습니다. 성령의 영감. '영감받은 말씀'은 계시와 선포된 심판(보통) 또는 구원에 의해 나왔습니다. 선지자들은 종종 상징적인 행위를 수행했지만, 그런 다음 이를 해석했지만, 적어도 그것이 정식화되기까지는 예언 활동의 주류였습니다. , '엑스터시', 특히 '광란'이나 '조광'과 관련이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선지자들은 너무 잘 이해되었습니다! 종종 말하는 단어에는 미래 지향적인 요소가 있어서 그런 의미에서 그들은 또한 '예언자'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하나의 요소일 뿐 반드시 중요한 요소는 아닙니다. " [558]

“영들을 분별함”이라고 불리는 능력은 예언이 참된 것인지 거짓된 것인지, 즉 성령에게서 나온 것인지 거짓 영으로부터 나온 것인지를 사람이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분별력의 은사였던 것 같다(참조, 14:29; 살전 1:1, 2). 5:20-21). 그러므로 그것은 통역과 방언의 연관성과 유사한 예언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일부 심령술사들이 주장하는 투시(명확하게 보는 것)나 투시(명확하게 듣는 것)와는 다르다. [560]

"진정한 '치유의 은사'(고린도전서 12:9)를 사탄이 모방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백성은 모든 치유가 하나님께로부터 온다는 순진하고 잘못된 관념을 일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가장 중요합니다." [561]

바울이 14장에서 더 많이 언급할 방언의 은사는 말하는 사람이 아직 배우지 못한 하나 이상의 언어로 말하는 능력이었습니다. 그러나 언어는 인간의 언어에만 국한되지 않는 것 같다(참조, 13: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해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14:10-14). 그들은 단지 횡설수설이 아니었습니다. 신약 성서의 저자들은 언어가 아닌 이교도나 기독교인의 황홀한 말을 성령의 방언 은사의 표현으로 간주하지 않았습니다. [563]

“이 세 장(12:8-10, 28, 29-30, 13:1-3, 8, 14:6, 26)의 모든 '은사' 목록에는 방언만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12장의 각 목록의 끝 부분 에 있는 그 위치는 13:1과 14:6의 시작 부분에 있는데, 이는 문제가 여기에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폴)는 항상 그 문제를 포함하지만, 결국에는 다양성에 대한 더 큰 관심이 들린 후입니다." [564]

방언(언어)을 통역하는 능력이 있는 사람은 방언하는 사람이 말하는 것을 정확하게 번역하여 참석한 다른 사람들이 그 말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아마도 방언의 은사를 받은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방언을 통역하는 은사가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이 말한 것을 설명하거나 번역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믿음의 예외를 제외하고 이 모든 은사는 교회 설립을 위한 확증적이고 기초적인 은사인 것으로 보이며(참조, 히 2:4; 엡 2:20) 그러므로 일시적인 것이었습니다." [565]

아래 표에는 바울 서신에 나오는 영적 은사의 목록이 나와 있습니다. 성경 참조 열 아래의 숫자는 각 구절에서 은사의 순서를 나타냅니다 .

  1 오호. 12:8-10 1 오호. 12:28 1 오호. 12:29-30 ROM. 12:6-8 에프. 4:11
사도   1 1   1
예언자 6 2 2 1 2
영혼을 분별하는 자 7        
교사/목사   4
지혜의 말씀 1        
지식의 말씀 2        
복음 전도자        
교회       4  
믿음        
기적의 일꾼 5 4 4    
치유 4 5 5    
방언 스피커 8 8 6    
방언 통역사 9   7    
서비스       2  
관리   7      
주요한       6  
거들기   6      
자비를 베푸는 것       7  
기부       5  

 

12:11 이 부분은 비록 성령의 나타남이 다양할지라도 모두 하나님의 동일한 영의 임재와 역사를 가리킨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으로 끝맺는다. 바울은 또한 은사를 분배하는 데 있어서 성령의 주권을 다시 강조했다(참조, 요 3:8). 고린도인들은 성령을 조종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 그분이 합당하다고 보시는 대로 그분의 은사 분배를 받아들이고 복종해야 합니다. 그런데 성령께서 “의지하신다”(또는 의도하신다)는 사실은 그분이 단순한 영향력이 아니라 인격이심을 가리킨다.

이 목록에는 보다 일반적인 은사에서 좀 더 흔하지 않고 난해한 은사로의 일반적인 진행이 있다(참조, 28 절). 이 목록의 끝 부분에 나타나는 더 특이한 선물은 고린도 교인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어떤 은사는 성령의 주권적인 분배에 따라 아마도 한 장소, 한 교회에서 다른 곳보다 더 흔했을 것이다(참조, 1:4-5). 어떤 때는 영이 부여한 대로 다른 때보다 더 일반적이었을 것입니다.

영적인 은사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분을 섬기도록 주시는 능력이므로, 우리의 은사가 무엇인지 아는 것은 우리에게 유용합니다.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을 분석하는 데 지나치게 몰두해 있지만, 우리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장비를 알아야 합니다. 종종 우리를 잘 아는 사람들 및/또는 다양한 사역 상황에서 우리를 관찰한 사람들은 우리보다 우리의 영적 은사를 더 잘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당신이 잘한다고 말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당신은 무엇을 하는 것을 좋아합니까? 당신이 행한 일로 인해 하나님께서 축복해 주셨는가? 당신이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또한 자신의 은사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은사와 사역과 열매가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들은 다른 것을 갖고 싶어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성령의 통제에 굴복하고 성령께서 주신 능력과 사역과 결과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나는 기독교 생활 초기에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하나님은 나의 재능에 대한 평안을 주셨습니다. 나는 내가 선호하는 방식으로 그분을 섬기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이 나에게 “보내주신” 대로 그분을 섬김으로써 그리스도의 교회 건축에 가장 큰 공헌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몸과 그 지체들 12:12-14

이제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인 보편 교회를 인간의 몸에 비유했습니다. 그의 요점은 교회가 연합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다양성이 좋은 것이라는 것입니다.

12:12 사도는 여기뿐만 아니라 다른 서신에서도 교회와 인간의 몸을 비교했다(롬 12:4-5; 엡 4:11-13; 골 1:18; 2:19). 그는 아마도 본질적으로 세속적이지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개념인 정치체 개념을 교회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했을 것입니다. 획일성이 없어도 몸에는 통일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도는 구성원들 사이의 다양성이 연합된 유기체의 본질적인 특징이라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분명히 고린도인들은 마음이 너무 편협했고 영적인 교회에 다양성이 있을 수 있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개인의 성숙의 표시 중 하나는 자신의 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커지는 것입니다. 영적인 삶에도 비슷한 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성숙해짐에 따라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최근 몇 년간 '몸 생활'에 대한 강조는 좋은 것이었습니다. 이는 지역 교회로부터의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개별 기독교'에 대한 잘못된 강조를 막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568]

12:13 성령침례는 처음으로 오순절 날에 일어났다(행 1:5; 2:33; 11:16). 그 이후로 신자들은 개인적으로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을 때 성령침례를 경험하게 됩니다(행 11:15-17; 롬 8:9).

"일부 Oneness 또는 Jesus Only 오순절 그룹은 다른 방언의 증거와 함께 성령 세례를 받기 전까지는 진정으로 구원을 받을 수 없다고 말함으로써 극단적으로 나아갔습니다. 하나님의 성회와 대부분의 다른 삼위일체 오순절 교회는 세례를 인정합니다. 중생과는 별개의 경험으로서 성령 안에서(즉, "두 번째 축복"으로서)." [569]

성령 세례 에서 성령은 신자를 그리스도의 몸 안으로 세례를 주십니다. 그분은 우리를 그 일부로 만드십니다. 물침례는 이것을 간단히 예시해 줍니다. 모든 신자는 인종이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성령침례를 경험합니다. 이제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라는 점에서 동등한 위치에 있습니다.

한 성령을 마신다는 비유는 요한복음 7장 37-39절을 생각나게 합니다. 그곳에서 예수께서는 목마른 자들에게 와서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와서 그분을 마시라고 권유하셨습니다. 세례와 음주는 모두 입문 경험이며 동시에 발생합니다. 첫 번째 그림에서 그 영은 신자를 그리스도 안에 두시고, 두 번째 그림에서는 그 영이 그리스도인 안으로 들어오십니다. 이것은 아마도 두 절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점을 나타내는 셈어 평행법의 경우일 것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 안으로 들어왔고, 성령께서 우리 안으로 들어오셨습니다.

“… 성령은 우리를 둘러쌀 뿐만 아니라 우리 안에도 계십니다.” [570]

성령의 세례 사역은 신자들을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두기 때문에, 교회가 휴거 때 하늘로 올라가면 성령의 사역이 끝날 것이라는 것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합리적으로 보였습니다. 이것은 교회가 하늘로 옮겨진 후에 반드시 성령께서 이 땅의 신자들 안에 거하지 않으실 것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12:14 그리스도의 육적인 몸과 영적인 몸은 모두 많은 지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사실은 우리 각자가 더 큰 유기체에 제한된 기여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 부분으로만 구성된 몸은 괴물이 될 것입니다.

현대 교회는 오늘날 절실히 필요한 일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종종 이 페리코프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원래 다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림 12:15-26의 적용

바울은 계속해서 자신의 비유가 암시하는 바를 설명했습니다.

12:15-16 아마도 바울은 발과 손과 귀와 눈을 예로 들었는데, 그 이유는 그것들이 몸에서 탁월하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비록 탁월하고 중요하더라도 단독으로 기능할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서로가 필요합니다.

"... Chrysostom은 발이 귀보다는 손과 대조된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보다 조금 더 높은 사람만큼 우리보다 훨씬 더 높은 사람을 부러워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572 ]

"   손은 활동적인 삶의 사람을 나타내고, 귀와 눈은 명상 적인 삶의 사람을 나타냅니다." [573]

12:17 몸에는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지체가 필요하다(참조, 4 절). 바울의 요점은 일부 지체의 열등함이 아니라 모든 지체의 필요성이었습니다.

"우리 몸은 모두 혀가 아닙니다. (나는 혀가 전부인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을 몇 명 만났지만 그들은 예외입니다!)" [ 574]

12:18 바울은 이 절에서 하나님께서 택하신 대로 각 지체를 몸에 두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다시 강조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떻게 은사를 주셨는지 발견하고 그분이 우리에게 주신 곳에서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능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우리는 남들과 다르기를 갈망하거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사를 주지 않으신 일을 고집하기보다는 우리가 받은 능력을 사용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참조, 7:26-27).

"우리가 기독교 교회에서 우리 자신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할 때마다 진정한 기독교 활동의 가능성은 사라져 버립니다." [575]

12:19 사람의 몸의 모든 지체가 같다면 몸이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것입니다. 아무것도 성취할 수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이 방언의 은사, 즉 고린도교인들이 그토록 높이 평가한 은사를 받았다면 몸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것입니다. 자동차가 수백 개의 뿔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자동차는 제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12:20 획일성(하나의 구성원이나 기능 모두)은 인체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다양한 구성원과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통일된 유기체입니다.

12:21 바울이 머리와 발, 즉 몸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예로 사용한 것은 흥미롭다. 그는 아마도 우월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몸이 기능하려면 필요하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있었을 것입니다(참조, 11:17-34).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우리도 서로 다른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12:22 교회 안에 있는 “가진 자들”은 자신들을 우월하다고 여기기보다는 “없는 자들”이 전체 조직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심지어 "약한" 새끼발가락이나 거의 인식되지 않는 췌장도 신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약하다”는 것은 약하거나 덜 인상적인 것을 의미한다(참조, 고후 12:9).

12:23-24a 우리는 인간의 몸을 다룰 때 우리의 덜 귀한 부분을 가리어 더 귀하게 여깁니다. 그래서 매력없는 멤버들이 더 매력적이게 되는 것 같아요. 바울은 여기서 성기를 언급했을 수도 있습니다. 반면 에 얼굴과 같이 더 매력적인 부분은 특별한 가리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요점은 우리가 덜 존중받는 육신의 지체들을 존중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교회에서도 그들을 무시하거나 경멸하기보다는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당신의 교회가 마지막으로 유아원 직원이나 청소부 직원을 공개적으로 인정한 것은 언제였습니까?

12:24b-25 하나님은 인간과 영의 몸을 구성하셨기 때문에 서로 다른 지체들이 서로를 돌볼 수 있습니다. 그분은 어느 지체도 무시하지 않으시고 각 지체에게 동일하고 충분한 규정을 마련해 주십니다. 우리는 이것을 인체에서 항상 볼 수는 없지만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눈꺼풀은 눈을 보호하고, 피부는 내장을 보호하고, 발톱은 발가락을 보호합니다. 마찬가지로, 교회에서 덜 눈에 띄는 구성원들을 하나님께서 존중하시는 것은 지금은 분명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 전에는 아니더라도 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는 그렇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몸 안에 분열(반대, 헬라어 schisma )을 원하지 않으십니다. 고린도 교회에도 어떤 사람들이 있었습니다(1:10; 11:18). “그러나”(그리스어 알라 의 강한 대조 ) 회원들은 서로 관심을 갖고 사랑으로 보살펴야 했습니다. 바울은 다음과 같은 말로 이러한 태도를 설명했습니다.

12:26 한 사람의 고난은 모든 사람의 고난을 의미하고 한 사람의 영광은 모든 사람의 기쁨을 의미합니다.

"플라톤은 우리가 '내 손가락이 아프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통증이 있다'라고 말한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577]

“가시가 발뒤꿈치에 들어가면 온 몸이 그것을 느끼고 근심하며 등이 굽고 배와 넓적다리가 수축하며 손이 앞으로 나아가 가시를 뽑고 머리는 구부리고 눈은 환자를 살피느니라. 강렬한 눈빛이 돋보이는 멤버' [C HRYSOSTOM ]' [578]

이런 관점에서 우리는 정직하게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롬 12:15)고 정직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고대인들은 진정한 친구는 서로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눈다고 강조했습니다." [579]

몸에 대한 바울의 앞선 언급(12-26절)은 그리스도의 육체적인 몸과 영적인 몸 모두에 적용됩니다. 그러나 그는 주로 영적인 몸의 예로서 인간의 몸에 대해 말하고 있었습니다.

다양성의 사실이 다시 언급됨 12:27-31

다음으로 사도는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에 관해 더욱 구체적으로 말했습니다(참조, 1-11 절).

12:27 “너희”는 헬라어 본문에서 강조형이며 복수형이다. 눈에 보이는 것은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입니다. 그러나 바울이 그들에 대해 말한 내용은 모든 그리스도인 그룹에 적용됩니다. 우리는 함께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며, 우리 각자는 그 지체입니다. 다시 한번 바울이 교회에 대해 말한 것은 거시적 형태와 미시적 형태, 즉 보편 교회와 지역 교회에 있어서도 사실입니다.

12:28 바울은 특별한 역할을 맡은 지체를 여덟 종류로 나열했습니다. 이 목록은 그가 성령의 역사에 대한 아홉 가지 나타남을 밝힌 8-10절의 목록과 다소 다릅니다. 이 목록은 이전 목록과 마찬가지로 전체 목록이 아니라 선택적 목록입니다.

이러한 재능 있는 사람들의 순위는 분명히 그들의 사역의 중요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또 다른 의견은 이 순서가 교회 역사의 역사적인 순서를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바울이 앞서 모든 지체들이 필수적이라고 말했을 때(21절) 어떤 지체 들이 다른 지체들보다 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는 각 구성원이 다른 모든 구성원의 본질적인 필요성을 인식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별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른 의미에서 어떤 은사는 다른 은사보다 더 중요합니다(31절, 14:1).

하나님께서는 아직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곳에 교회를 개척하고 세우기 위해 사도들을 부르시고 은사를 주셨습니다. 아포스텔로(Apostello) 는 파송하다라는 뜻이므로 사도는 파송된 선교사로 생각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선지자들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에게 계시를 보내시는 통로였다(참조, 엡 2:20). 그들 중 일부는 신약성서도 썼습니다.

“내 생각으로는 그(바울)가 선지자라 함은 예언의 은사를 받은 사람들이 아니라 성경을 해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경을 다루는 독특한 은사를 받은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확신합니다. 시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이 보여준 지혜로 말입니다." [581]

교사들은 신자들에게 성경을 통해 교훈을 주었습니다. 교사들은 단순히 덕을 세우며 권면하고 위로하는 말을 전한 선지자들(14:3)보다 교회에서 더 중요했지만, 권위 있는 계시를 선포한 선지자들보다는 덜 중요했습니다. 이 절에서는 후자 유형의 선지자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교사의 임무는 건전한 교리( sana dogmata )를 보존하고 전파하여 종교의 순수성이 교회에 남아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582]

"… 학자는 어떤 책보다 좋은 선생님에게서 더 많은 것을 배울 것입니다. 요즘에는 책이 많이 있지만, 우리가 실제로 그리스도에 대해 배우는 것은 사람들을 통해서라는 것은 여전히 ​​사실입니다." [583]

“하나님께서 교회에 교사를 주신 것은 그들이 성경을 대체[대체]하고 그분의 백성이 스스로 말씀을 연구하는 수고를 덜도록 하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이 성경을 더욱 집중적으로 탐구하도록 자극하기 위함입니다. ." [584]

기적을 행하는 일꾼들과 병 고치는 은사를 받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믿도록 하기 위해 하나님의 능력이 교회에 역사하고 있다는 극적인 증거를 보여주었습니다. 유대인들은 그러한 하나님의 임재와 축복의 표적을 찾았기 때문에 그들은 특히 유대인들을 위해 사역했을 것이다(참조, 1:22). 도우미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도움을 제공한 것 같습니다. 행정관은 교회의 업무를 관리하고 감독했습니다.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은 이 목록에서 언급된 것 중 가장 덜 중요한 것으로서 뒷부분을 언급합니다. 바울은 14장에서 그것들의 상대적인 중요성과 기능에 대해 더 많이 말했습니다.

"...때때로 많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자신이 다루어야 하는 실제 교회의 언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통역사가 이러한 결함을 보완해 줍니다." [585]

"에베소서 4장 2절에 있는 은사 목록이 여기에 있는 목록과 비교하여 짧다는 것은 아마도 공중 예배에서 특별한 은사를 정기적으로 행사하는 일이 이미 사라졌다는 표시일 것입니다." [586]

전통적인 견해는 바울이 고린도전서(AD 56년경)를 쓴 지 약 6년 후에 에베소서(AD 62년경)를 썼다는 것입니다.

12:29-30 이 두 절은 우선순위에 따라 세 번째 은사 목록을 담고 있다. 바울의 일곱 가지 질문은 각각 부정적인 대답을 예상합니다. 사도의 요점은 모든 사람이 같은 은사를 받는 것이 우스꽝스럽다는 것이었습니다. 다양성은 필수적입니다. 한 가지 은사, 특히 방언을 영성과 동일시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 고린도 교회의 ​​모든 믿는 이들은 성령으로 세례를 받았으나(13절), 다 방언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고전 12:30)." [587]

"... 이 구절에서 바울은 방언을 말하는 것이 성령의 소유의 표시라는 이론에 치명타를 가합니다. 왜냐하면 각 질문에 '아니요'라는 대답이 기대되기 때문입니다(참조, 헬라어). [588]

많은 오순절 교인들은 “모든 사람이 방언을 말하지 않습니까?”라고 해석합니다. "모든 사람이 계속해서 방언을 말하지는 않습니까?" 동사가 그리스어 현재형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방언이 성령세례의 초기 증거라는 그들의 믿음을 뒷받침합니다. 그러나 이 문맥에서 바울의 요점은 모든 그리스도인이 방언을 포함하여 동일한 영적 은사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12:31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어떤 은사를 다른 것보다 더 간절히 구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왜냐하면 어떤 은사는 다른 것보다 몸의 기능에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은사를 주시는 것이 성령의 주권적인 특권인 반면(8-11, 18절), 인간의 욕망도 성령께서 주시는 은사에 한몫을 한다(참조, 약 4:2). 이것은 성령께서 우리가 구원받는 순간에 그분의 모든 은사를 우리에게 주시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 같습니다. 나는 성경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태어날 때 주신 능력을 그분의 은사의 일부로 보는 것을 금하는 내용을 전혀 보지 못합니다. 비록 하나님께서 모든 개인에게 재능을 주시지만 신자들에게는 영적인 은사만 주십니다. 마찬가지로 신자는 회심한 지 몇 년이 지나면 은사, 봉사의 기회, 사역에 대한 성령의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가지고 있거나 앞으로 갖게 될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은사입니다. 그러나 영적인 은사는 우리가 그분을 효과적으로 섬길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능력입니다 . [592]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은 기도하는 것 이상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수용력과 적합성을 배양하고 생산하려는 노력이 포함됩니다." [593]

또 다른 견해는 바울이 고린도 사람들이 하나님께서 사람들에게 그들의 모임에 더 큰 은사를 주시기를 원한다는 뜻이었다는 것입니다. [594] 내가 보기에 바울이 의도한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 큰 재능을 지닌 사람들을 원하십시오.

하나님께서는 기술적인 의미에서 사도직의 은사를 그리스도께서 친히 택하신 자, 즉 부활하신 주 예수를 본 자 외에는 아무에게도 주시지 아니하셨습니다. 이 선물은 교회 역사의 첫 번째 세대에 속한 소수의 사람들에게 전달되었습니다. 메시지를 가지고 보냄을 받은 자라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도직은 오늘날에도 계속됩니다. 때때로 우리는 이 재능 있는 사람들을 바울이나 12사도와 구별하기 위해 선교사라고 부릅니다.

마찬가지로 오늘날 우리는 선지자라는 용어를 기술적인 의미와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합니다. 보통 우리는 선지자를 하나님으로부터 새로운 계시를 주거나 미래를 예언한 사람으로 생각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선지자들도 주님의 말씀을 전하여 교회를 권면하거나 격려하고, 일부는 예배를 인도하기도 했습니다. 헬라어 프로페테스( prophetes )는 말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첫째로, 전문적인 의미의 선지자들은 교회에서 그쳤습니다. 두 번째로 일반적인 의미에서 그들은 여전히 ​​우리와 함께 있습니다. 우리는 때때로 권면자와 격려자를 새로운 계시를 주고 미래를 예언한 1세기 선지자들과 구별하기 위해 설교자라고 부릅니다.

오늘날 성경을 전파하고 가르치는 능력을 갈고 닦기를 원하는 일부 사람들은 그렇게 하기 위해 성경 대학이나 신학교에 등록합니다. 이것은 더 큰 은사를 간절히 바라는 한 가지 예입니다. J. Vernon McGee는 더 큰 은사를 간절히 바라는 개인적인 간증을 나누었습니다.

"나는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기독교 훈련을 전혀 받지 못했습니다. 신학교에 갔을 때 나는 성경책도 몰랐습니다. 나는 기독교 교육이 강조되는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지식인이자 철학자인 저는 그런 설교자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해리 아이언사이드(Harry Ironside) 박사님이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는 성경을 간단한 방식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가 '쿠키를 맨 아래 선반에 놓아라'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그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나의 주님께서 '내 양을 먹이라'고 말씀하셨던 것을 기억했습니다.(요한복음 21:16 참조) 그분은 '내 기린을 먹이라'고 말씀하시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 나아가 '주님, 저도 그런 설교자가 되기를 원합니다'라고 기도했습니다. 나중에 제가 대신 달라스 신학교의 아이언사이드 박사님을 대신하게 되었는데, 그가 돌아가시자 그 신학교의 총장인 루이스 스페리 체이퍼 박사님이 저에게 전화를 해서 '여기 신학교에서 아이언사이드 박사님의 강의를 들으시겠어요?'라고 물으셨습니다. ?' 나는 그에게 명확하게 대답하지 못하고 거의 무례하게 전화를 끊었습니다. 나는 무릎을 꿇고 하나님께 감사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고백합니다. '주님, 제가 아이언사이드 박사처럼 가르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했습니다. , 그리고 당신은 내 기도에 응답하셨습니다!' 나는 최고의 선물을 간절히 원했고 그분은 내 기도에 응답하셨습니다. 나는 아이언사이드 박사는 아니지만 오늘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경험과 특권에 얼마나 감격스럽습니까!" [596]

바울은 계속해서 가장 좋은 은사를 간절히 바라는 것 외에도 신자가 주님을 섬기는 일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두려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배양해야 할 훨씬 더 중요한 훈련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 식으로 사랑을 소중히 여기고 키우는 것이 포함됩니다(13장). 물론 사도가 사랑을 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선물을 무시해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사랑을 키우는 것과 능력을 키우는 것, 두 가지 모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리한 능력도 중요하지만, 사랑을 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바울이 이제 고린도에 있는 친구들에게 보여줄 '가장 좋은 길'은 많은 은사 중 하나가 아니라 '이 모든 것 너머의 길'입니다. 물론 그 특별한 길은 모든 신자와 그리스도의 몸에 가장 중요한 성령의 열매인 아가페 의 길입니다 ." [597]

"가장 훌륭한 방법은 사랑이 우리의 모든 행동을 통제하는 힘이 되는 것입니다." [598]

“바울이 시작하려고 하는 것은 그가 '비교할 수 없는 길'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들이 가는 길은 기본적으로 공동체인 교회를 파괴하는 길이며, 부르심을 받는 길은 자기보다 남의 유익을 구하는 길이며, 교회를 세우는 길입니다(14:1-5). 공동선을 구함(12:7) 그런 맥락에서 사람은 여전히 ​​성령의 일을 간절히 사모하지만(14:1) 정확하게는 다른 사람들의 덕을 세우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울이 말한 것은 '사랑 대 은사'가 아닙니다. 그러나 '은사의 유일한 배경인 사랑'을 염두에 두십시오. 전자가 없으면 후자도 전혀 쓸모가 없지만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다른 어떤 것도 아무 것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599]

12 장은 균형을 강조하는 장이다(참조, 갈 5 장). 한편으로 각 그리스도인은 더 큰 유기체의 일부일 뿐이지만, 각자는 없어서는 안 될 부분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모두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똑같이 중요하지만, 다른 의미에서는 일부가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은사, 사역, 개인의 효율성을 결정하시지만, 우리의 소망과 주도권은 우리의 봉사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능력, 사역의 기회, 개성도 중요하지만 사랑은 더욱 중요합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 개인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좋은 척도는 우리가 개인 생활과 사역에서 이러한 역설을 얼마나 잘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고린도인들은 이 분야에서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교회는 모래더미처럼 비슷한 입자들로 이루어진 죽은 덩어리도 아니고, 야수 우리처럼 적대적인 개인들의 살아 있는 떼도 아닙니다. 교회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통일성을 갖고 있으며, 그 안에서 두 부분은 완전히 똑같지 않습니다. , 그러나 모두는 전체의 이익을 위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지 않으며, 어느 개인도 다른 사람으로부터 독립할 수 없습니다. 모든 곳에는 종속과 의존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고, 어떤 사람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며, 어떤 사람은 여러 가지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더 높은 은사를 갖고 어떤 사람은 더 낮은 은사를 갖고 있지만 모든 개인은 수행해야 할 역할이 있고 모두가 공동선을 위해 함께 일해야 합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점, 즉 사랑의 봉사에 있어서의 연합입니다." [600]

 

단일성


다양성


성숙함
고린도전서 12:1-13 12:14-31 13:1-13
로마서 12:1-5 12:6-8 12:9-21
에베소서 4:1-6 4:7-12 4:13-16

 

3. 사랑의 우월성 ch. 13

이제 바울은 사랑이 가장 중요한 영적 은사보다 뛰어나다는 사실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 중 일부는 12장에 나오는 앞의 세 가지 목록에 언급된 은사 중 어떤 것도 소유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그들 모두는 사랑을 실천할 수 있었습니다. 분명히 그들 모두는 사랑을 더욱 온전하게 실천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성령의 열매(갈 5:22-23)는 성령의 다른 은사보다 삶 속에서 성령의 임재와 삶에 대한 성령의 통제력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사랑은 이러한 은혜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탁월한 것입니다. 우리가 바라보는 사랑은 내주하시는 성령을 통해 신자 안에 넣어주신 하나님의 사랑이며, 이 사랑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에게 흘러 넘칩니다. 오직 내주하시는 성령만이 신자 안에 일으키시고 신자를 통해 나타내실 수 있는 사랑입니다. 다행히도 우리는 그것을 생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단지 그분의 뜻을 행하고 그분의 도움으로 그분과 협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성령께서 그것을 이루실 것입니다. 저는 사랑이 단지 영적인 은혜나 성령의 열매가 아니라 영적인 은사라고 믿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기 때문입니다.

"기독교 공동체는 12장의 '은사'가 부족하면 어떻게든 변화할 수 있습니다. 사랑이 없으면 기독교 공동체는 죽을 것입니다. 영적인 은사를 가장 아낌없이 행사해도 사랑 부족을 보상할 수 없습니다." [601]

이 장은 방언의 은사를 합당한 위치에 두는 것에 관한 바울의 논증에서 다소 빗나가는 부분이 있지만(참조, 14:1) 그의 논증을 상당히 강화시킨다. 우리가 이 서신 전반에 걸쳐 보았듯이 고린도인들은 서로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해야 했습니다. 사랑이 없는 이 교회에 보낸 편지에 성경의 사랑에 관한 위대한 장이 등장하는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사랑의 필요성 13:1-3

이 처음 세 구절에서 바울은 사랑이 12장에 열거한 영적 은사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작은 은사에서 큰 은사로, 쉬운 능력에서 더 어려운 능력으로 발전했습니다.

“여기에는 '영적'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관련되어 있다는 암시를 피하기가 어렵습니다. 고린도인들에게 이것은 '방언과 지혜와 지식'(및 교만)을 의미했지만 진정한 기독교인의 행동에 대한 상응하는 관심은 없었습니다. 바울에게 그것은 무엇보다도 성령, 즉 성령으로 충만함을 의미 했습니다 .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그의 성도로 부르심을 입은 자'(1:2)로서 이 말의 궁극적인 표현은 항상 '사랑 가운데 행하라'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들이 직접적인 문맥을 반영하더라도 바울의 관심은 단순히 방언에 대한 그들의 지나친 열광에 있는 것이 아니라 편지 전체의 더 큰 문제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윤리." [602]

“여기에는 네 가지 종류의 은사(xii.28)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1절의 황홀한 은사 , 2 절의 가르치는 은사( 프로 페테이아 ) 와 기사를 행하는 은사( 피스티스 ) , 3 절의 행정 은사 .” [603]

"사랑은 그리스도 몸의 '순환계'라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604]

13:1 아마도 바울은 고린도인들이 이 은사에 매료되었기 때문에 방언으로 이 장을 시작했을 것이다(참조, 14 장). 바로 여기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는 또한 1-3절에서 더 적은 행동에서 더 어려운 행동으로 옮겨가며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분명히 바울이 여기서 1인칭을 사용한 것은 고린도인들이 그들 자신이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참조, 14:14-15).

문맥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한다는 것은 단순한 웅변을 의미하지 않는다(참조, 12:10, 28, 30). “사람의 방언”은 아마도 사람이 말하는 언어를 의미할 것입니다. “천사의 방언”은 아마도 천사들이 서로 의사소통하는 데 사용하는 더 고귀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언어를 의미할 것입니다. 인간에게 알려지지 않은 언어 , 즉 황홀한 발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언의 은사에 관한 이 전체 논의 전체에서 바울이 방언을 언어 이외의 다른 것으로 간주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신약 전체에서 “방언”은 언어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한 언어로 말한 내용은 매우 황홀하게 말할 수도 있었습니다.

“천사의 방언에 관해 말할 때 그[바울]은 주목할만한 일이나 희귀한 일에 대해 과장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바울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너희는 모든 사람의 언어뿐 아니라 하늘 위의 천사들의 언어도 다 알 수 있을 것이다. .'" [607]

물론 인간은 천사의 언어를 모르지만, 천사는 우월한 존재이기 때문에 고귀(더 높은, 더 발전된) 언어임에 틀림없다. 고린도 사람들은 자신들이 천사의 언어로 말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 같습니다. 일부 작가들은 "천사의 방언"이 2 절에 나오는 과장법의 일부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즉, 실제로 천사의 방언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문구는 단순히 고귀한 말을 묘사합니다.

시편 78:24-25에서 시인 아삽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먹은 만나를 “천사들의 떡[문자적으로는 “강한 자들”]”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이것은 천사들이 실제로 만나를 먹는다는 것이 아니라 만나의 하늘적 기원과 높은 품질을 강조하는 만나에 대한 언급임이 분명합니다. 아마도 바울은 여기서 비슷한 방식으로 "천사의 방언"을 사용했을 것입니다. 방언으로 주어진 하나님의 메시지의 천국적 기원과 높은 품질을 강조하기 위해 말입니다.

바울의 요점은 비록 사람이 이 고귀한 언어로 말할 수 있다 할지라도 그 사람에게 사랑이 없다면(즉, 사랑스럽게 행동한다면) 그의 말은 공허하고 공허할 것이라는 점인 것 같습니다. 물론, 사랑스럽게 행동한다는 것은 다른 사람의 유익을 적극적으로 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것은 자비로운 마음이지, 유창한[끊임없이 유창한] 혀가 아닙니다." [609]

시끄러운 징과 울리는 심벌즈는 바울 시대의 일부 인기 있는 이교 숭배에서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그들은 많은 소음을 냈지만 말이 되지 않았습니다 . 오늘날 소위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그들의 횡설수설이 천사의 언어라고 주장하지만, 언어로서의 자격을 갖추려면 일관성 있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종종 이 주장은 횡설수설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방법일 뿐입니다.

13:2 예언은 방언 (방언) 보다 더 높은 은사였지만 여전히 사랑보다 열등했다(참조, 14:1-5). 앞서 바울은 하나님의 관점에서 삶을 이해하고 이전에는 계시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그분의 사도들에 의해 알려진 진리를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썼습니다(2:6-13). 그러나 사랑이 없는 진리는 마실 것 없는 음식과 같습니다. 영적인 은사를 소유하는 것은 영의 표시가 아니지만 사랑의 행동은 영의 표시입니다.

"선하고 자비로운 마음이 없으면 머리가 맑고 깊어도 의미가 없습니다." [611]

산을 옮길 만큼 큰 믿음도 사랑만큼 중요하지 않습니다(12:9; 참조 마 17:20; 막 11:23; 눅 17:6). 산은 움직일 수 없는 것에 대한 보편적인 상징이다. 이것은 과장법이자 은유이다.

13:3 불우한 개인을 위한 자선이나 자기희생으로 통용되는 것조차도 진정한 사랑과는 다르다(헬. 아가페 ). 그것보다 열등합니다. 받는 사람에게는 유익이 될지 모르지만, 사랑이 없으면 주는 사람에게는 유익이 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의 구원을 위한 바울의 개인적인 고난 역시 사랑이 없었다면 아무 가치가 없었습니다(참조, 고후 11:23-29; 12:10). 순교를 받아들이는 것조차 사랑에서 나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하나님 보시기에 무가치한 것이요 복종하는 자에게 하나님의 상을 가져오지도 못할 것이니라(참조, 단 3:28; 롬 5:2-3; 고후 1: 14).

바울은 이 페리코프에서 사랑을 선물과 대조하여 설정한 것이 아닙니다. 그는 참된 그리스도인으로 행동하려면 사랑의 필요성과 우월성을 주장하고 있었습니다.

"사랑은 다른 모든 기독교 선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필수적인 추가 요소입니다." [612]

"사랑은 어떤 선물이 '최고'인지 정의합니다. 바로 몸을 튼튼하게 해주는 선물입니다." [613]

사랑의 특성 13:4-7

이어서 사도는 사랑을 그토록 중요하게 만드는 특성, 즉 사랑의 특성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성격 사랑이 지배하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이러한 특성을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하나님과 그리스도 안에서 가장 분명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이 마음속에 다스리는 모든 사람의 삶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사랑은 정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분별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바울은 정의, 분석 또는 설명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그는 행동하는 사랑을 묘사합니다. 그는 사랑이 행하고 느끼는 것과 행하지 않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는 방법을 기록합니다. 그것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614]

"당신은 과학자가 광선을 취하여 수정 프리즘을 통과시키는 것을 보았듯이, 그것이 프리즘의 반대편에서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의 구성 요소로 나누어져 나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 주황색, 그리고 무지개의 모든 색깔 — 그래서 바울은 그의 영감받은 지성의 웅장한 프리즘을 통해 사랑이라는 이 것을 통과시키고, 그것은 반대편에서 그 요소들로 분해되어 나옵니다." [615]

"바울의 중앙 부분[4-7절]은 아나포라(첫 번째 요소의 반복)를 광범위하게 사용합니다. 세 가지 주요 수사 유형 중 하나는 전염병(칭찬 또는 비난 포함)이었고, 세 가지 유형의 전염병 수사 중 하나는 encomium, 사람이나 주제에 대한 칭찬. 일반적인 수사적 표현 중 하나는 여기서와 같이 특정 미덕에 대한 encomium이었습니다(또는 히 11:3-31, 또한 anaphora 사용)." [616]

고린도교회에는 사랑이 눈에 띄게 없었습니다. 아마도 이것이 바울이 이 서신에서 그것에 대해 그렇게 많이 쓴 이유일 것입니다.

"이 장의 진리를 준수했다면... 그들의 [고린도인들의] 문제가 해결되었을 것입니다." [617]

13:4a 인내와 자비는 사랑과 마찬가지로 성령의 열매입니다(갈 5:22). 첫 번째 특징은 사랑의 수동적 반응이고, 두 번째 특징은 사랑의 적극적 주도성입니다. 인내와 친절은 하나님과 그리스도, 그리고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행동의 특징입니다.

13:4b-5 바울은 사랑의 두 가지 긍정적인 표현 뒤에 사랑이 어떻게 행동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일곱 개의 동사를 사용했습니다. 우리가 본 것처럼 이들 중 처음 다섯 사람은 고린도인들을 상징했다. 그들은 질투심이 많고(참조, 3:3; 4:18), 자랑하고(3:18; 8:2; 14:37), 거만했다(4:6, 18-19; 5:2; 8:1), 불명예스럽게 행동하고(7:36; 11:2-16), 자기 이익을 추구합니다(10:24, 33). 그들의 행동은 사랑이 아니었습니다.

사랑은 다른 사람의 존엄성을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대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자기 마음대로만 고집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의 필요보다 자신의 이익을 앞세우지 않습니다(참조, 빌 2:4). 짜증을 내거나 예민하게 대하지 않고, 타인의 안녕을 위해 모욕과 모욕, 불편함을 흡수합니다. 그것은 갚기 위해 받은 범죄를 기록하지 않습니다(참조, 눅 23:34; 롬 12:17-21; 고후 5:19).

"인생의 위대한 예술 중 하나는 무엇을 잊어야 하는지를 배우는 것입니다." [618]

“내가 만난 가장 비참한 사람 중 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저지른 잘못의 목록을 실제로 노트에 적어 두는 그리스도인이라고 공언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용서란 우리가 기록을 깨끗하게 지우고 결코 사람들에게 불리한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26, 32).” [619]

마지막 두 가지 특징에서 바울은 이 편지가 드러내는 고린도인들의 특징을 넘어서 나아갔습니다.

13:6 사랑은 남의 악이나 불행을 기뻐하지 않고, 도리어 옳은 일을 기뻐합니다.

"사랑은 성공적인 범죄자의 기쁨을 공유할 수 없습니다." [620]

"사랑은 악을 기뻐하고 다른 사람의 악행에 대해 험담하는 가장 해로운 형태를 절대적으로 거부합니다. 다른 사람이 넘어져도 기뻐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복음 편에 서서 함께 있는 사람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을 위해 자비와 정의를 구합니다. 하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621]

"기독교인의 사랑은 진실을 가리고 싶지 않습니다. 진실을 직시할 만큼 용감합니다. 숨길 것이 없으며 진실이 승리할 때 기뻐합니다." [622]

13:7 사랑은 합당하지 않은 것을 덮어서 빛으로 드러내고 확대하지 않습니다(참조, 벧전 4:8). 그것은 모든 것을 참습니다. 항상 최고를 믿고 싶어하며, 모호한 행동에 가장 유리한 구조를 부여합니다. [623]

"이것은 그리스도인이 모든 사기꾼에게 속거나 흰색이 검은색이라고 믿는 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다른 사람을 부당하게 의심하는 것보다 자신의 결론에 있어서 너무 관대해지는 것을 선호할 것입니다." [624]

"사랑은 언제든지 다른 사람을 위해 변명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그들의 모든 결점을 친절하게 덮어 줍니다." [625]

사랑은 실패가 불가피하다고 결론짓기보다는 실패한 사람들이 다시는 실패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입니다(참조, 마 18:22). 좌절하지 않고, 어려운 시련을 딛고 딛고 일어서는 것입니다.

사랑의 영속성 13:8-13

바울은 계속해서 그리스도인의 사랑( 아가페 )은 현재와 영원히 우리 존재의 특징이지만 선물( 카리스마타 )은 현재만을 위한 것임을 지적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은사를 그들이 이미 구원의 종말론적 단계에 있다는 증거 중 하나로 여겼던 것 같습니다. 바울은 이 부분에서 사랑의 영속성을 설명함으로써 사랑에 대한 인식을 높였습니다.

13:8 애정의 기반이 되는 물질적, 현세적 것들이 지나갈 때, 사랑은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것은 일시적인 것보다 오래갑니다. 성령의 은사는 일시적인 공급이기 때문에 지나갈 것입니다("폐해지다" 또는 "그치다"). 그러나 성령의 열매는 남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사랑하지 않으실 것이라고 아이들에게 말하는 것은 정말 잘못된 일입니다. 나는 주일학교에서 꼬마 친구들로 구성된 수업을 듣곤 했습니다. 그들은 못된 놈들이었습니다. 나는 그 반에서 유일한 착한 소년이었습니다! 선생님은 우리에게 '너희가 계속 그런 식으로 행동한다면 하나님은 너희를 사랑하지 않으실 것이다'라고 말하십시오. 나는 하나님이 나를 그렇게 많이 사랑하실 수 없다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 그러나 나의 비열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나를 사랑 하셨습니다 .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아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일입니까!" [626]

예언은 하나님께서 주신 메시지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분 앞에 서서 그분의 음성을 들을 때, 더 이상 선지자들이 그분의 말씀을 우리에게 전달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하나님 앞에 설 때 다른 언어(“방언”)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분이 말씀하실 때 우리 모두는 하나님을 이해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지식은 그때에는 아무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하나님 앞에 있을 때 우리는 완벽하게 알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12절; 참조, 1:5; 8:1; 12:8). 우리가 생각하는 지식은 현 시대의 하나님의 방식에 대한 지식인 것 같습니다. 14장에서 더욱 분명해지겠지만, 은사에 관해 바울이 선호하는 것은 예언이었지만, 고린도인들은 방언과 지식을 선호했습니다.

바울이 예언과 지식에 일어날 일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동사는 헬라어에서 수동태로 되어 있으며, 이는 그것이 끝날 것이라는 뜻이다(카타르게오에서 유래; 참조, 2:6 ) . 그가 방언에 일어날 일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동사는 중간태로 되어 있으며 방언이 자동으로 그칠 것이라는 뜻입니다(파우오( pauo )에서 유래). 수동태 는 우리가 하나님을 볼 때 예언과 지식을 끝내시는 하나님을 가리킨다. 중간 음성은 우리가 하나님을 보기 전에 방언이 점차 줄어들 것임을 암시합니다. 교회사 는 사도 시대 직후에 방언 은사에 이런 일이 일어났다고 증언합니다. 바울 은 이 시점에서 그의 논의에서 방언을 삭제했는데, 이는 방언의 은사가 지식과 예언만큼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그는 다음 구절에서도 계속해서 지식과 예언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13:9 우리가 주님을 보기 전에는 우리의 지식과 예언도 불완전해서 그분을 볼 때와 다릅니다. 하나님의 마음에 대한 계시와 설명이 단지 부분적이거나 불완전하다는 점에서 예언은 불완전합니다.

13:10 문맥에 비추어 볼 때 “온전한”(그리스어 텔레이온 , 성숙한, 온전한, 완전한)이란 하나님에 관한 온전한 진리를 가리킬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우리가 주님 앞에 섰을 때의 상태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우리가 역사상 그 지점에 도달할 때, 주님께서는 부분적인 것을 제거하실 것이며( 카타르지오 , 참조, 8  ), 우리가 현재 상태에서 겪는 다른 많은 한계뿐만 아니라 우리 지식의 한계도 없애실 것입니다. . 위의 두 번째 견해에 대한 변형은 "완전한"이 휴거, [632] 주님의 재림, [633] 또는 교회 시대 끝에 그리스도의 몸(교회)의 최종 성숙한 상태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견해는 그리스도인 들이 주님의 임재 안에 함께 있을 때를 지적합니다.

또 다른 견해는 "완전하다"는 것은 신약 정경의 완성을 의미하고, "부분적"은 불완전한 정경과 고린도인의 부분적인 지식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신약성경을 완성하기 위해 결국 주실 모든 예언을 아직 다 주시지 않았기 때문에 둘 다 불완전했습니다 . 그러나 이 견해는 예언과 지식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며 바울이 또한 언급한(12절) 우리의 다른 일시적인 한계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세 번째 가능성은 "완전함"이 새 하늘과 새 땅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신약성경은 하나님께서 우리가 주 예수님을 볼 때보다 우리가 주 예수님을 뵙고 난 후에 그리스도인들의 한계를 더 크게 제거하실 것이라고 밝히지 않습니다(로마 8,32 참조).

13:11 바울은 우리의 현재 성숙 단계를 어린 시절(“내가 어렸을 때”)에 비유했고, 우리의 후기 단계, 즉 우리가 주님과 함께 있을 때의 성숙 단계(“내가 어른이 되었을 때”)에 비유했습니다. 매우 일시적인 가치가 있는 것에 몰두하는 것은 아이들의 특징입니다. 고린도인들은 곧 없어질 지식과 방언과 예언에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영적 성숙의 표시는 사랑과 같은 영원한 가치를 지닌 것에 몰두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도 바울은 현재와 미래의 차이를 강조하고 있었습니다.

13:12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현재 상태와 미래 상태의 차이를 보여주는 또 다른 예는 거울입니다. 바울 시대에는 장인들이 금속으로 거울을 만들었습니다.

"… 고린도는 고대에 가장 훌륭한 청동 거울을 생산한 곳으로 유명했습니다." [637]

결과적으로 사도의 요점은 현실에 대한 우리의 현재 인식이 다소 왜곡된 것이 아니라 미래에는 완전히 현실적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지금은 간접적으로 보지만 그 때에는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현재 사진을 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미래에는 사진이 무엇을 묘사하는지 보게 될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Gr. ginosko ) 부분적으로만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 우리를 천국으로 데려가시고 우리가 그분의 임재 앞에 서게 되면 하나님께서 지금 우리를 아시는 것처럼 우리도 온전히 알게 될 것입니다(헬라어 에피그노스코 ). 나는 우리가 전지할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우리는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완전히 인식할 것입니다. 이제 그분은 우리를 직접 아시지만, 그때 우리도 그분을 직접 알게 될 것입니다.

13:13 “그러나 이제는”은 사랑의 우월성에 관한 바울의 원래 생각을 재개한다. 그것은 지금의 것과 미래의 것 사이의 대조를 이어가지 않습니다. 지식과 방언과 예언은 사라질 것이나 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남을 것입니다(참조, 롬 5:1-5; 갈 5:5-6; 엡 4:2-5) , 데살로니가전서 1:3, 5:8, 히브리서 6:10-12, 10:22-24, 베드로전서 1:3-8, 21-22). 여기서 믿음은 믿음의 은사(2절; 참조, 12:9)가 아니라 하나님의 모든 자녀의 특징인 하나님에 대한 신뢰입니다.

“찬송가[즉, 13장]의 어떤 학자들은 '이제'라는 단어를 현재, 즉 현 시대에는 믿음, 소망, 사랑이 거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믿음과 소망은 없어지고 이 셋 중에 사랑만 남을 것입니다. 반대로 바울은 모든 사람이 그대로 있을 것이나 이 셋 중에 사랑이 항상 으뜸이라고 단언합니다." [639]

지속적인 미덕 중에서 사랑은 가장 큰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랑은 믿음과 소망처럼 우리 안에서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을 볼 때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우리는 계속해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께 소망을 둘 것입니다. 그러나 그때는 그분의 임재가 현실이기 때문에 지금보다 그렇게 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분명히 바울은 이 시점에서 사랑이 은사보다 우월할 뿐만 아니라 다른 위대한 미덕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믿음과 소망을 소개한 것 같습니다. 믿음과 희망은 선물이며, 사랑과 같은 유형의 기독교적 미덕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사랑은 기독교의 다른 주요 미덕보다 더 오래갑니다.

"사랑이 모든 면에서 더 위대하다고 말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사랑은 영원히 지속되며 이제 교회를 유지하는 데 주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640]

"사랑은 하나님 자신의 재산입니다. ... 그러나 하나님은 자신을 신뢰하지 않으십니다(그의 모든 신뢰를 다른 존재에게 두거나 자신을 헌신한다는 의미에서). 만일 그렇게 했다면, 그는 하나님이 아닐 것입니다. ... 하나님이 바라셨다면 하나님이 아니시리라 그러나 만일 하나님이 사랑하지 아니하시면 그는 하나님이 아니시리라 사랑은 하나님 자신의 활동이요 필수적인 활동이며 사람이 그나 동료 인간을 사랑할 때 그들은 (그러나 불완전하더라도)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행하는 것입니다 하다." [641]

사랑에 대한 바울의 아름답고 고전적인 설명의 요점은 이것이다: 우리는 소위 가장 큰 영적 은사라 불리는 것보다 사랑의 배양과 실천에 더 가치를 두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참조, 12:31). 다른 은사는 중요한 만큼 부분적이고 일시적일 뿐입니다. 사랑이 영원히 지속될 미덕 중 가장 큰 것인 것처럼 방언의 은사는 모든 은사 중에서 가장 작은 것입니다. 그것은 짧은 시간 동안만 지속됩니다. [642]

4. 명료함의 필요성 14:1-25

“바울은 성령의 은사, 성령의 은사, 성령의 은혜에 대해 논했고, 이제 그는 교회의 공중 예배에서 성령의 다스림을 설명하면서 이 부분을 마무리했습니다. 분명히 그런 경향이 있었습니다. 고린도 교인 중 일부가 자신의 은사를 행사하면서 자제력을 잃었기 때문에 바울은 그들에게 교회의 공개 집회를 다스려야 할 기본 원칙을 상기시켜야 했습니다. 세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교화, 이해, 질서." [643]

바울은 계속해서 고린도 교인들이 더 중요한 은사를 추구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방언의 은사가 열등하다는 점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그의 요점은 회중에서 알기 쉬운 말(즉, 예언)이 이해하기 어려운 말(즉, 방언)보다 우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먼저 예배하기 위해 모인 신자들에게 유익을 주는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주장했습니다(1-25절). 이 전체 비교에서 바울은 방언 통역의 은사가 수반되지 않은 방언의 은사를 다루고 있었습니다.

방언보다 예언의 우월성 14:1-5

사도는 방언을 고린도인들도 높이 평가한 예언의 은사와 비교함으로써 방언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참조, 12:10, 28; 13:8). 그는 고린도인들에게 방언보다 예언을 더 중요하게 여기도록 촉구했습니다. 예언은 신자들을 교화할 수 있고/또는 믿지 않는 사람들의 개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예언에는 이해할 수 있는 "영감받은" 말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14:1 이 절은 바울이 사랑에 관해 방금 쓴 내용을 요약하고, 그 권고를 다시 언급함으로써 12:31의 생각을 재개합니다. 이 서신에서 바울은 온건한 조언을 한 것과는 달리 독자들에게 사랑의 길을 따르라고 강력히 권했습니다. 이 명령은 독자들에게 특히 예언의 은사를 구하도록 촉구함으로써 사상을 발전시킵니다. 이는 영적인 은사가 주권적으로 부여되지만, 하나님께서 회심할 때 반드시 그 은사를 모두 주시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나타냅니다.

“12장 끝에서 그는 은사 자체를 은혜로운 자질로 구체적으로 언급하면서 그들에게 '더 큰 카리스마를 간절히 원하라'고 말했습니다 . 이제 예배에서 공동체 내 성령의 활동이 강조되는 맥락에서 그는 '성령의 일을 간절히 사모하라[ ta pneumatika ]'고 말합니다." [644]

"선물은 사랑이 봉사하는 손입니다." [645]

14:2           방언 (황홀한 방언) 자체는 다른 사람들에게 덕을 끼치는 것이 아니지만 예언은 덕을 세우는 것입니다. 이 말은 방언이 무엇과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시 제기합니다.

오순절 날에 어떤 사람들은 방언을 말했고 어떤 사람들은 그 방언을 아는 사람들이 그들의 모국어로 하나님의 큰 일을 들었으므로 덕을 얻었습니다(행 2:1-11). 그 경우에는 통역자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참조, 행 10:46; 19:6). 분명히 고린도 교회에서 일어난 일은 오순절 날에 일어난 일과 달랐지만 두 경우 모두 방언은 언어였습니다.

고린도와 아마도 다른 초기 교회에서도 방언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가운데서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방언을 말하는 자가 낯선 방언으로 말하는 것을 참석자들이 이해하고 유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역자가 필요했습니다(5, 13절). 바울은 이 구절에서 방언과 언어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했다(참조, 2, 10, 11, 13 절 등). 두 개의 서로 다른 그리스어 단어( glossa  Phone )가 나타나지만 둘 다 언어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방언이 언어였다는 중요한 증거이다.

일부 통역사는 또 다른 구별을 제안했습니다. 그들은 사도행전의 방언은 외국어였지만 고린도전서의 방언은 황홀한 말이었고, 언어가 아니라 이해할 수 없는 말이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그러나 그리스어 본문에는 이러한 구별에 대한 근거가 없습니다. 사용된 용어는 동일하며, 이러한 단어가 나타나는 곳마다 방언을 언어로, 언어를 방언으로 이해하면 그 구절이 의미가 있게 됩니다. 13장 1절에서 바울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방언”에 관해 기록했는데, 이는 분명히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언어인 것 같습니다. [648]

만일 어떤 사람이 알지 못하는 언어로 말했는데 그 말을 해석하는 사람이 없다면, 말하는 사람은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말하는 사람을 포함하여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더라도 하나님은 자신이 말하는 내용을 알고 계셨습니다. 말하는 사람은 그의 인간 영 안에서 비밀(헬라어 mysteria) 을 말하고 있었습니다 . 즉, 듣는 교회 안에 있는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숨겨진 것이나 비밀스러운 것입니다. 분명히 바울의 관심은 교회의 덕을 세우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방언의 은사 자체를 폄하한 것이 아니라 고린도 교인들이 그 은사를 정당하게 유지하기를 원했습니다.

바울은 영을 생각과 구별되는 것으로 묘사했다(참조, 14-19 절).

"많은 사람들의 의견과는 달리 영적인 교화는 뇌의 피질을 통해서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바울은 때때로 마음을 우회하는 S/영을 통해 하나님과의 즉각적인 교통을 믿었습니다. 그리고 14절에서. -15 그는 자신의 덕을 세우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를 다 가질 것이지만, 교회에서는 다른 신자들의 마음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것만 가질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649]

14:3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이 외국어로 말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예언하는 사람의 말은 청중의 언어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그 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말은 듣는 사람들을 세워 주고 격려하고 위로함으로써 유익을 주었습니다. 교화, 권면, 위로라는 단어는 예언(설교)이 교회를 세우는 주요 방법을 제시합니다. Alford는 권고와 위로를 다양한 종류의 교화로 여겼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사역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은사로서 예언의 주된 목적은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언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믿는 자들을 세우는 것이었습니다.

공식 사도 열두 사도와 사도 바울
새로운 계시를 전함
기능적(비공식) 사도 교회 개척자와 선교사
교화와 권고와 위로를 전달함

 

14:4 교회에서 방언을 말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만 덕을 세웠습니다. 그 사람은 방언으로 말하면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그 사람은 또한 성령께서 자신이 공부하지 않은 언어를 말할 수 있게 하신다는 사실을 깨닫고 유익을 얻었습니다. 이것은 방언을 말하는 사람에게 용기를 주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언을 말하는 사람은 성령께서 주신 메시지로부터 유익을 얻으려는 의미에서 자신의 덕을 세우지는 않았습니다. 그는 통역의 은사를 받지 않는 한 자신의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 논의에서 바울은 그 선물을 거의 완전히 그림에서 제외시켰다(참조, 5 절).

만일 방언을 말하는 사람이 자기가 말하는 것을 이해한다면, 그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선지자가 바로 그런 일을 했습니다. 선지자들은 단지 미래를 예언하거나 하나님께서 주신 새로운 특별 계시를 선포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또한 하나님을 찬양하는 말씀이나 메시지를 전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교훈과 반박과 책망과 훈계와 위로의 말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바울 의 요점은 교회를 세우는 것이 자신을 세우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는 방언을 말하는 것이 어떤 면에서는 방언을 말하는 사람에게 덕을 준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참조, 14-15, 18-19 절).

"비록 그 자신은 그 찬양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그의 감정과 감정은 활기를 띠고 전반적인 기쁨과 행복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나쁜 것이 아니었습니다. 바울은 분명히 냉정하고 냉정한 예배를 옹호한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선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나 개인의 풍요를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위해 주어진 것입니다.(12:7; 참조. 10:24; 베드로전서 4:10) 개인적인 교화와 기분 전환은 종종 자신의 은사를 합법적으로 행사한 데 따른 자연스러운 부산물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행사의 주된 이유는 아니었습니다." [652]

14:5 바울은 방언의 은사가 통역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은사의 가치를 인정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예언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예언하는 자가 더 크니라”). 문제는 역시 민간 대 공익의 문제입니다. 바울은 통역 없이 방언을 하는 것을 매우 강력히 비난했기 때문에 고린도인들이 집회에서 그렇게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방언과 예언 사이의 갈등이 아니라, 알아들을 수 없는 말과 알아들을 수 없는 말 사이의 갈등이었습니다.

이 전체 논의에서 "예언"은 준비된 설교라기보다는 주로 누군가가 예배(회중 참여가 가능한)에 참여할 즉석에서 하는 말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합니다.

뒷받침하는 비유 14:6-12

바울은 청중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서는 전혀 유익을 얻지 못한다는 점을 설명했습니다. 그는 악기를 예로 들어 외국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14:6 이 절은 이 페리코프에서 다음에 나오는 내용의 장면을 설정한다. “계시록”, “지식”, “예언”, “가르침”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말씀입니다. 이 네 단어는 각각 다음을 의미할 것이다: 새로운 계시(참조, 12:8); 진실에 대한 통찰력; 주님께서 주시는 교훈과 권면과 위로의 말씀(3절); 믿음의 교훈.

14:7-8 무생물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내는 소리도 누구에게나 유익을 주기 위해서는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전투 요청의 경우 특히 분명합니다. 나팔수가 혼란스러운 곡조를 불면 군대는 공격할지 후퇴할지 알 수 없습니다. 나팔뿐만 아니라 하프와 피리도 그리스-로마 세계에서는 흔한 악기였습니다.

14:9 이해하기 어려운 말은 말하는 사람에게는 만족스러울 수도 있지만 듣는 사람에게는 유익이 조금밖에 없습니다. 유일한 이익은 오락일 것이다. 예를 들어, 외국인이 교회 예배에서 자신의 모국어로 독창을 부를 때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 노래의 아름다움 때문에 그 노래를 즐깁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 말씀이 우리에게 이해되지 않기 때문에 그것으로부터 교화를 받지 못합니다.

"Charles H. Spurgeo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나는 나의 목회자 형제들 중 많은 이들이 성경이 그들에게 "내 양을 먹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내 기린을 먹이라"를 의미한다고 생각할까 두렵습니다.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 기린이 되는 것.' 성경은 '내 양을 먹이라'고 말합니다. 항상 양들이 먹을 수 있는 곳에 음식을 내려놓으십시오.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고 분명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말씀 설교자의 야망이어야 합니다." [653]

14:10-11 번역된 헬라어 단어( 전화 )는 소리나 음성을 의미하지만 바울은 분명 횡설수설이 아닌 언어에 대해 말하고 있었습니다. 문맥을 보면 그가 언어를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스 사람이 아닌 사람은 그리스 사람에게 외국인(그리스어 barbaros , 야만인)이었습니다. barbaros 라는 단어는 의성어인데, 이는 외국인의 언어가 그리스어에게 "bar bar bar"처럼 들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울 의 요점은 통역자가 없는 방언을 말하는 사람은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이해할 수 없는 야만인이나 다름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연설이 말하는 사람에게는 의미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듣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었습니다.

누군가는 때때로 이탈리아어나 다른 외국어 오페라를 보고 듣는 것을 좋아할 수도 있습니다. 그 사람은 가사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음악 자체의 아름다움 때문에 듣고 싶어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부르는 외래어를 영어로 번역해 무대 위나 화면에 자막을 추가하면 듣는 사람은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그러면 공연에서 가져가는 것이 아름다운 소리에 대한 기억뿐이라면 다른 방법으로는 할 수 없는 이야기를 따라가는 것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4:12 방언과 예언의 상대적 가치에 관해 바울이 쓴 내용을 볼 때, 영적인 은사에 열심이었던 고린도 사람들은 교회를 세우는 데 필요한 은사를 추구하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을 교화하지 않고 그 은사를 행사했을 때 개인적인 만족을 주었던 은사보다는 이러한 은사를 더 소중히 여겨야 합니다. 고린도인들은 영(영적, Gr. pneumaton ) 에 관해서 열심이었습니다 . 영어 번역자들은 종종 이 단어를 뉴마티콘 (영적 은사, 참조, 1 절)과 동의어로 해석했지만, 이는 다르다. 아마도 바울은 그들이 성령의 특별한 나타남, 즉 방언의 은사(참조, 14-15, 32 절)를 진정한 "영적" 그리스도인의 표로 여겼던 것에 대해 열심이었다는 것을 의미했을 것입니다.

“이해하지 못하는 말은 비록 성령으로 말하여도 듣는 자에게 유익 곧 덕을 세우는 데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저희가 성령을 나타내시는 일에 열심이 있는즉 그 열심을 단체로 드려야 하느니라 서로 외국인이 되지 말고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덕을 세우기 위하여 예배하라." [655]

신자들을 위한 적용 14:13-19

바울은 이해할 수 없는 말이 예배를 위해 모인 신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설명하면서 논증을 계속했습니다.

14:13 이미 방언의 은사를 받은 고린도인은 온 교회가 그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도록 자신의 말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주님께 간구해야 했습니다(참조, 5 절). 바울이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이 이 은사를 버려야 한다고 말한 것이 아니라 방언을 ​​행하는 사람들이 시정되어야 한다고 말한 점에 유의하십시오.

14:14 이 장 전체에서처럼(16절) 여기서는 공개적인 기도가 고려된다. 그러나 고린도인들 중 일부는 개인적으로 방언으로 기도했을 수도 있다. 방언으로 기도하는 사람이 영적으로 어느 정도 환희를 느낄 수는 있겠지만, 그의 정신에는 유익이 없을 것입니다. 그는 통역 없이는 자신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 못할 것입니다. 여기서 영(그리스어 프뉴마 )은 이 영적인 은사를 행사하는 사람의 부분을 가리키는 것 같습니다. 그것은 분명히 마음과 분리되어 있다(참조, 4 절). 사람의 영은 성령께서 그 사람에게 말을 주시는 대로 기도합니다.

“... 고린도 사람들도 이 점에 있어서는 그릇되었나니 그들이 외국어를 습관처럼 사용하여 기도할 때도 썼느니라.” [656]

“만일 방언을 말하는 은사가 이성과 구별되어 자기 자신에게나 다른 사람에게나 낯선 사람이라면 그가 그렇게 말을 더듬으면 무슨 유익이 있겠습니까?” [657]

"내 친구여, 이것이 개인적인 헌신을 위해 방언을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에 대한 대답입니다. 만일 '이해가 열매를 맺지 못한다면' 당신은 그것에서 영적인 고양을 얻지 못할 것입니다. 당신을 섬기는 것이 아닙니다. 당신이 승강기를 얻는다면 그것은 단지 심리적일 뿐입니다. 바울은 우리의 이해가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658]

14:15 바울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영(감정)과 마음(이해)으로 하나님께 기도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영과 마음은 모두 인상의 수용자이자 표현자입니다. 가사가 없는 음악은 우리에게 실제적인 인상을 줄 수 있지만 그 인상은 지적인 인상이 아닙니다. 방언이 열등한 은사인 한 가지 이유는 방언의 표현에 있어서 말하는 사람의 이성이 통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공적예배는 이해할 수 있도록 드려야 한다." [659]

때때로 자신에게 방언의 은사가 있다고 믿는 현대 기독교인들은 자신이 말하는 내용을 모르기 때문에 남몰래 방언을 해야 할지 고민합니다. 그들 중 일부는 그렇게 하는 것이 자신에게 유익이 된다고 주장합니다(4절). 그들이 공부하지 않은 어떤 언어, 즉 초대 교회의 방언을 말하는 사람들이 말하고 있던 언어를 말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건 그렇고, 대부분의 현대 방언 말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횡설수설을 반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현대 방언 말하는 사람들을 제거합니다.

"방언"(횡설수설)을 했던 내 목사님 친구는 자신이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방언"을 가르쳤고 누구에게나 그렇게 가르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단지 몇 가지 문구를 배우고, 적절한 감정 상태에 들어가고, 억제력을 풀어주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660]

바울은 개인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언어를 말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경험의 상대적인 가치와 수익성은 너무 작아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열려 있는 보다 교화적인 활동을 고려하면 그 실천은 거의 어리석은 것처럼 보입니다. 아마도 교회를 세우기 위해 마음을 다해 열심히 일해야 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기분 좋은 것에 대한 현재의 집착이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이 관행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이유일 것입니다.

“물론 방언이 오늘날 일어날 수 없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누구도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방언을 말하는 것이 현재 하나님의 목적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방언을 믿을 만한 타당한 이유가 있다는 것은 증명될 수 있습니다. 현대 방언의 증거로 제시되는 모든 현상은 심리적이거나 악마적인 활동입니다." [661]

만약 신약의 방언의 은사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교회에 있었다면, 우리는 이 은사를 가진 선교사들이 사역할 사람들의 언어를 배우기 위해 언어 학교에 갈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기대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14:16-17 바울은 여기서 기도를 축복이라는 단어로 대체했습니다. 우리가 기도로 하나님을 찬양할 때 우리는 그분께 축복의 말, 곧 축복의 말을 전합니다. 방언으로 기도하는 사람(헬라어 바보 ) 이 무엇을 말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신자들은 기도 끝에 그들의 확언을 덧붙일 수 없습니다. 아멘은 '그렇게 되십시오'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공개 기도를 인도할 때마다 기도하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와 함께하고 우리의 말을 확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참조, 대상 16:36; 느 5:13; 8:6; 시 106:48). ). 16절에서 바울은 공중 예배 상황에 관해 말하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공중 예배에서 감사를 드리는 것은 다른 사람이 참여하지 않아도 중요하지만, 다른 성도들이 참여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14:18-19 고린도 방언 열광자들은 바울 자신이 은사를 갖고 있지 않아서 그 가치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바울의 지시를 거부할 수 없었습니다. 그는 그들 모두보다 방언을 더 많이 말하였습니다. 그는 선물의 타당성을 믿었지만 그것을 높게 평가하지는 않았습니다. 예배를 위해 모인 교회를 세우는 데에는 교화적인 교훈이 개인적인 개인적인 기쁨보다 10,000배 더 중요했습니다 . 이것은 고대에 흔했던 과장법의 또 다른 용도입니다. 물론 몸을 세우는 것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위대한 목적입니다(마 16:18).

“때때로 대화 중에 누군가가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아, 나는 공개적으로 방언을 하지 않습니다. 나는 개인적인 예배에서만 방언을 합니다. 그것은 나 자신의 기도 언어입니다.' ... 두 가지 대답이 순서대로 있습니다. 첫째, 신약성경에는 개인적으로 방언을 말하는 사람이 없으며 항상 공개적으로 말합니다. 더욱이 방언은 '표징'(22절)을 의미합니다. 둘째, 바울이 자신이 모든 사람보다 방언을 더 많이 한다고 말했을 때 반드시 개인적인 헌신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아마도 그는 고린도전서 13장 1절을 되돌아보며 방언의 은사의 정도에 대해 논의했을 것입니다. . 그렇다면 이것은 바울이 어떤 고린도 사람들보다 더 다양한 언어로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64]

바울은 고린도 사람들이 진정한 영성의 표로 여겼던 은사를 확증했지만, 집회에서 실제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시정함으로써 그렇게 했습니다. 예배는 결코 이기적이어서는 안 되며, 항상 이해하기 쉽고 교화적이어야 합니다. [665]

믿지 않는 자들을 위한 적용 14:20-25

통역되지 않는 방언은 교회 집회에서 신자들을 교화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믿지 않는 사람들을 방문하는 데 아무런 유익도 주지 못했습니다. 반면에 예언은 두 그룹 모두에게 유익을 주었습니다.

14:20 방언을 하는 것이 영성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성숙함을 증거합니다("너희 생각이 어린아이가 되지 말라").

"아이들은 훨씬 더 가치 있는 것보다 반짝이고 과시하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그리고 훨씬 더 유용한 다른 선물보다 황홀한 말을 더 좋아하는 것은 유치한 일이었습니다." [666]

"어떤 사람들은 방언을 말하는 것이 영적인 성숙의 증거라고 생각하지만, 바울은 비영적이고 미성숙한 방식으로 방언을 행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르쳤습니다." [667]

그리스도인이 어린아이와 같이 되는 것, 즉 악에 대해 순진한 것(“악에는 어린아이가 되라”)이 좋은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해(“생각”)에 관해서는 우리는 성숙해야 한다(참조, 3:1-2). 고린도인들은 그들의 행동이 순진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생각이 성숙하지도 않았습니다.

14:21 여기서 “율법”은 구약을 가리킨다. 왜냐하면 바울이 인용한 구절은 이사야 28:11-12 이기 때문이다(참조, 신 28:49; 사 29:10-12; 30:9-11; 33 :19). 이 구절의 맥락은 다가오는 앗수르의 침략에 관한 이사야의 경고를 이스라엘 사람들이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선지자의 말 듣기를 거부하였기 때문에 외국어로 말하는 침략하는 적을 이용하여 그들을 “가르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회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사야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의 언어로 회개를 전파했지만 그들은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은 침략하는 앗수르 사람들을 이스라엘로 데려오셨습니다. 그때에도 그분의 백성은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회개해야 할 필요성을 다시 “말씀하셨”습니다. 그분은 그들이 이 원수의 외국어를 듣게 하심으로써 그들을 상기시키셨습니다.

14:22 이 절에서 “그러면”은 앞선 일로부터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상한다. 교회에서 방언을 한다는 것은 믿지 않는 사람들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인들이 미쳤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23절). 예언 은 신자들에게 하나님이 임재하시고 말씀하신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14:23 바울은 고린도 교회가 모여서 이해할 수 없는 방언을 열심히 말하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두 가지 유형의 개인이 들어옵니다. 하나는 영적인 은사에 관해 배우지 못한 신자이고, 다른 하나는 불신자입니다. 두 사람 모두에게 예배자들은 예배와 교육에 진지하게 참여하기보다는 미친 것처럼 보입니다. 교회 모임은 그러한 광기가 흔한 신비주의 숭배의 모임과 유사할 것입니다.

"고린도인들이 특별히 자랑스러워했던 것이 공개적으로 행사된다면 불신자들의 조롱을 불러일으킬 은사였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었습니다." [669]

14:24-25 반면에 교회에서 누군가가 예언을 하고 회중이 교훈을 받고 있다면 두 방문객 모두 신자들의 행실로부터 긍정적인 인상을 받게 될 것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선지자가 말한 내용이 그들에게 유죄 판결을 내릴 것이라는 점이다(참조, 2:14-15). 방문객들의 반응에 대한 바울의 설명은 이사야 45장 14절(참조, 슥 8:23)에 나오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외국어로 보내신 메시지에 이스라엘 사람들이 반응하지 않는 것과 대조된다. 예언은 불신자들을 방문하는 자들에게 회개를 가져오지만(“그가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러지리라”) 방언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 구절들은 좋은 기독교 설교가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예언의 은사는 아무리 성공적이라 할지라도 그 소유자에게 영광이 되지 않습니다. 놀라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설교자 자신의 능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입니다." [670]

바울은 교회 안의 모든 개인(“모두 방언을 말하며…다 예언한다”)이 방언을 하거나 예언을 한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 아니다(참조, 23, 24 절). 그는 그 선물 중 하나가 다른 선물을 배제하고 지배한다면 일반적으로 명시된 결과가 뒤따를 것이라는 의미였습니다.

“고린도인들은 예언에 귀를 막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의 허물이 폭로되고 그들의 의무가 명백하고 합리적인 언어로 지적되는 것보다 방언을 듣는 것이 더 큰 만족을 얻기 때문입니다.” [671]

요약하면, 바울은 교회가 예배를 위해 모일 때 알아들을 수 있는 말만 허용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신자들을 교화하고 잃어버린 자들에게 구원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방언의 은사가 열등하기는 하지만, 그것은 불신자들, 특히 유대인들에게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의 배후에 계시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정당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방언을 말하는 것은 일부 이교 그리스 신비 종교의 특징이었으므로 그리스인들에게는 유대인만큼 큰 인상을 주지 못했을 것입니다.

5. 순서의 필요성 14:26-40

고린도 사람들의 공중 예배 관행은 교화하고 유죄 판결을 내리는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무질서한 행위를 수반하기도 했습니다. 바울은 독자들이 선정적인 용어집과 관련된 의사 영성보다 이러한 특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도록 돕기 위해 이러한 추가 요구 사항을 처리했습니다 .

이 선물의 순서 14:26-33

이제 사도는 통역과 함께 방언의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했으며, 예언과 함께 분별력을 사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성 바울은 여기에서 뉴마티카 치료(xii.-xiv.)를 완료했습니다 . 이제 그는 그 사용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672]

14:26 사도는 어떤 은사도 이 풍성한 교회의 모임을 지배하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그분의 말씀 은사 목록은 제한적이고 선택적이었습니다. 즉 시, 가르침, 계시, 방언, 통역이었습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회중의 전반적인 영적 복지를 위해 다양한 기여를 할 수 있고 또 해야 합니다. 그는 방언의 사용을 허용했지만 방언의 배타적인 사용은 허용하지 않았고 누군가가 통역을 제공한 경우에만 허용했습니다(27절).

"고린도의 많은 사람들이 자기 계발과 심지어 자기 과시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은사를 행사했다는 사실은 거의 의심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모든 기독교인의 행동을 규제하는 사랑의 법칙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673]

"교회와 동료 신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선물은 가장 높이 평가되어야 합니다." [674]

14:27-28 바울은 공중 예배에서 방언 사용에 관한 세 가지 지침을 제시했습니다. 첫째, 신자들은 두 가지 또는 최대 세 가지 방언 통역 메시지만 허용해야 합니다. 이것은 방언이 예언에 비해 열등한 기여를 하는 것과 조화를 이룹니다. 둘째 , 화자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시에 설명하기보다는 연속적으로("각각 차례대로") 설명해야 합니다. 영은 말하는 사람을 압도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이 적절한 시간과 방법으로 기여하도록 인도합니다. 구약의 선지자들이 적절한 시간과 적절한 환경에서 말하도록 성령께서 인도하신 것은 이것을 예시합니다. 셋째, 그리스도인은 교회 예배에서 통역 없이 방언을 허용해서는 안 됩니다.

"'자기 자신과 하나님께 말하라'는 제안은 개인 활동을 다룬다는 제안은 11:2-14:40의 일반적인 주제인 공적 예배에 관한 문맥에서는 타당하지 않습니다. … '자신과 하나님께 말함' 명상에 대한 속담 표현이었습니다." [676]

14:29 마찬가지로 선지자들도 질서 있게 섬겨야 하며, 한 예배에서 두세 가지 말씀만 전해야 합니다. 다른 예언자들뿐만 아니라 회중 내의 다른 사람들도 그들의 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헬라어 단어 디아크리노(diakrino) 는 판단하다, 주의 깊게 저울질하다(NIV)라는 뜻이다. 12:10에서는 구별함을 가리킨다. 여기서 그것은 아마도 사역이 성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면 주의 깊게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거절하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사도는 교회들에게 어떤 특정한 예언에서 참된 요소와 거짓된 요소를 분류하라고 지시 하지 않습니다 . 오히려 그는 그들이 듣게 될 많은 예언 중에서 참된 예언과 거짓된 요소를 분류하라고 지시합니다 ." [677]

14:30-31 여기에서 우리는 초대 교회에서 일어났던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예언이 서로 상충되는 예를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바울이 상상한 것은 한 사람, 즉 남자와 여자 모두 이런 의미에서 예언할 수 있었고(11:4-5) 주님의 말씀을 나누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예언은 교회의 거의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었습니다. 이 사람이 아직 말하고 있는 동안 다른 선지자가 주님으로부터 계시를 받았습니다. 이 두 번째 선지자는 첫 번째 연사를 감동시켜 사역하게 만든 회중에게 연설하려는 우연한 소망보다 더 직접적인 계시를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한 경우에 첫 번째 연설자는 새로운 계시를 하는 사람에게 우선권을 주어야 했습니다. 아마도 첫 번째 연사가 원할 경우 자신이 말한 내용을 나중에 끝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이 일어난 예는 사도행전 11:28과 21:10-11에서 선지자 아가보가 각각 안디옥과 가이사랴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계시를 했을 때 일어났습니다.

"초기 교회에는 분명히 예배 순서에 대한 유연성이 있었는데 지금은 [많은 현대 교회에서] 완전히 부족합니다. ... 모든 것이 자신에게 전할 메시지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전할 수 있을 만큼 비공식적이었습니다." [678]

14:32-33 선지자들은 말할 때에도 자기를 제어해야 했다(“예언자들의 영이 선지자들에게 제재를 받음”). 심지어 새로운 계시를 줄 때에도(참조, 27-28 절). 이 선물의 본질은 선지자를 무의미한 광란에 빠뜨리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악마의 계시를 받은 이교도들은 자주 자제력을 잃었습니다. 자신을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이 선지자가 하나님께로부터 말했다는 증거는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그가 하나님의 통제에 복종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혼란이 아니라 평화를 만드시기 때문입니다.

"신학적 요점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 사람의 신격의 성격은 그 사람의 예배의 성격에 반영됩니다. 그러므로 고린도인들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알게 된 하나님보다 이교 신들을 더 많이 반영하는 예배를 중단해야 합니다(참조, (고전 12:2-3) 하나님은 회중의 무질서나 그 원인이 되지 않으십니다. [679]

다시 한번 사도는 자신이 명령하는 것이 다른 교회의 표준 정책임을 독자들에게 상기시켰다(참조, 1:2; 4:17; 7:17; 11:16; 14:36). 이 알림은 이 교회에 심각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음을 다시 한 번 나타냅니다.

교회 예배의 혼란과 무질서는 하나님의 성품에 어긋나며, 그러한 상황은 하나님을 욕되게 합니다.

여자들의 순서 14:34-35

바울은 이전에 여자들이 교회 집회에서 주님의 말씀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11:4-16). 이제 그는 예언의 맥락에서 그들이 참여하는 것에 관해 한 가지 점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14:34 침묵하다(그리스어 sige )로 번역된 단어는 바로 입을 다물라는 뜻이다. 그러나 11장 5절에서 바울은 마치 여자들이 교회에서 예언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용인되는 관행인 것처럼 말했습니다. 그는 그곳에서 그것을 금지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이 명백한 모순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이 일반적으로 사실인 것처럼 문맥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바울은 방금 회중의 다른 사람들이 선지자가 한 말을 평가하도록 허락했습니다(29절). 이제 그는 여자들이 교회 집회에서 남자들처럼 큰 소리로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된다고 말함으로써 이것을 제한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율법의 가르침은 여자가 가족 내에서 권위 있는 남자에게 복종한다는 점을 언급한 것 같습니다(창 3:16). 그러면 율법은 21절에서와 같이 구약을 언급하게 됩니다.

"… 우리는 이것을 정규적인 방법으로 일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나 교회가 잘 설립된 상황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여성이 연설을 하도록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바울은 적절하게 조직된 회중에 적합한 일에만 자신을 국한시키고 있습니다.” [680]

“일부 철학 학교에는 여성 제자들이 포함되어 있었지만(예수님도 그들을 허용하신 것 같습니다, 막 15:40-41; 눅 8:1-3; 10:38-42),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대부분의 학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사회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공개강의를 흡수하고 질문하기를 기대했습니다." [681]

"… 고대 사회에서는 여성에게 가르치는 역할을 거의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682]

14:35 여자들은 남자 선지자나 여자 선지자가 설교할 때 질문을 하는 대신 예배 후에 집에서 자기 남편에게 물어보아야 했습니다. 아마도 미혼 여성들은 예배 후에 아버지나 교회의 다른 남자들에게 물어볼 것입니다.

“남편들이라 하되 여자들이 필요하면 선지자들에게 문의하는 것을 금하지 아니하시나니 남편은 다 대답할 능력이 없느니라.” [683]

"요즘 [현대]에는 남자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집에 있는 여자들에게 물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684]

남자들이 질문을 하거나 해설을 할 수도 있지만, 그런 일이 너무 많으면 예배의 질서가 무너지고 메시지의 교화적인 가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울은 여자들에게 그들의 종속적인 지위와 일치하게 삼가라고 지시했습니다. 바울이 문맥에서 언급한 상황에서 여자가 교회 모임에서 말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그 상황은 하나님께서 교회에 전해 주라고 주신 것을 믿었던 어떤 선지자가 말한 내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도전하는 것입니다. [685]

"여자들이 집에서 남편에게 물어서 배워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14:35)은 오늘날 우리 대부분에게 억압적으로 들릴 것입니다(적어도 공개 회의에서 질문을 할 수 있는 곳에서는). 그러나 아마도 바울의 환경에서는 비교적 진보적인 것처럼 보였을 것입니다. 오늘날 일부 전통 문화에서는 그렇습니다.) [686]

이 명백한 모순에 대해 다른 많은 설명이 있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여성이 교회에서 발언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모순을 해결하지 못합니다.

Lenski는 바울이 14:26-32에서 말한 모든 내용이 남자에게만 적용된다고 가정하고 여성의 참여를 다루기 위해 부록으로 33-36절을 추가했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11:4-5과 조화되지 않는다.

William Barclay는 역사상 그 시점에서 Paul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지적 활동에 참여해서는 안된다는 시대의 정신을 뛰어 넘을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  견해는 바울이 쓴 것처럼 성령에 의한 영감의 의미와 그가 자신의 글의 다른 곳에서 표현한 여성에 대한 높은 존경심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G. 캠벨 모건은 고린도의 독특한 상황을 고려하여 바울의 금지령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690]

CK Barrett은 바울이 34-35절을 쓰지 않았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그리스도인들이 성령의 자유보다 좋은 질서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을 때 나중에 다른 사람이 그것을 본문에 추가했다고 추정했습니다. [691]

Gordon Fee는 또한 이 구절들이 진짜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692]

해리 아이언사이드(Harry Ironside)는 여성이 말할 수 있는 기회는 침묵해야 하는 교회의 공식 모임과 다르다고 믿었습니다. [693]

데이비드 로워리(David Lowery)는 바울이 모임에 남편이 참석한 기혼 여성들만 침묵하기를 원했지만 다른 여성들도 적절히 가려지면 말할 수 있기를 원했다고 썼습니다. [694]

S. 루이스 존슨 이세(S. Lewis Johnson Jr.)는 여자들이 기도하거나 예언할 때를 제외하고는 교회 모임에서 말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느낀 것 같습니다. [695]

BB 핀들레이(BB Findlay)와 H. 웨인 하우스(H. Wayne House)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말한 내용이 권위 있다고 생각하면 여성은 말을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696]

Anne Blampied는 바울이 여성들에게 그들이 여성이기 때문이 아니라 교회의 질서 원칙을 어기고 있기 때문에 침묵하라고 말했다고 썼습니다. [697]

Andrew Spurgeon은 명령을 허용적인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그는 그들이 고린도 여인들이 하고 있는 일을 바울이 승인한다는 뜻으로 표현했다고 믿었습니다. [698]

가장 일반적인 견해는 바울이 어떤 형태로든 부적절한 말을 금지했지만 모든 말을 금지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번째로 가장 대중적인 해석은 바울이 예언 이외의 어떤 형태의 영감받은 말, 아마도 선지자와 모순되는 말이나 방언을 금지했다는 것입니다.

"방언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열정에 대한 바울의 오랜 응답은 이제 끝났습니다. 기본적인 문제는 뉴마티코스 ('영적') 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바울과 그들은 깊이 분열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그것이 다음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언 곧 천사의 방언을 말함은 그들이 이미 미래의 공기 같은 존재에 살고 있다는 확실한 증거이기 때문에 그들은 이 은사에 대해 큰 열심을 가지고 있으며(참조, 12 절) 분명히 그들은 그들의 편지에서 이 관행을 옹호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준으로 바울에게 '영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그러므로 6절, 15절, 18 절에는 자신이 방언을 한 것에 대한 변증의 흐름이 깔려 있다.

"이 모든 것에 대한 바울의 반응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 그들은 본질적으로 성령의 사람이 된다는 것은 교회 내에서 매우 다양한 은사와 사역을 의미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그들의 관점을 넓혀야 합니다(12장). 둘째, 요점 하나님의 백성의 덕을 세우는 것은 곧 성도를 향한 사랑의 참된 표현이니라 교회에서 무엇을 하든지 알기 쉽고 질서 있게 하라 이는 온 회중의 덕을 세우려 함이라 그리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야 하느니라 모든 성도의 교회에서는 그러하니라(33절).” [701]

대결의 마무리 14:36-40

바울은 영적인 은사(12~14장)와 방언의 가르침(14장)에 관한 고린도인들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협력에 대한 강한 호소로 마무리했습니다. 그분은 그들의 개인주의에 초점을 맞추셨고(36절; 참조, 33절), 과연 누가 영적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그들과 맞섰습니다(37절). 고대 선지자들처럼 그는 자신의 지시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경고하고(38절) 마침내 자신의 주장을 요약했습니다(39-40절; 참조 4:18-21).

14:36 ​​이 절에서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교회 집회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준을 세우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그들의 오만함으로 인해 이런 경고가 나온 것이 분명합니다. 고린도 교회는 모교회도 아니었고, 복음이 전해진 유일한 교회도 아니었습니다(참조, 11:16; 14:33b). 그러므로 고린도서 독자들은 사도의 지시에 복종해야 한다(참조, 9:1-23).

14:37 누구든지 고린도인이 선지자나 영적이라는 주장을 쉽게 입증할 수 있습니다. 그는 바울이 주님의 사도였기 때문에 기록한 내용이 권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지 확인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었습니다. 그가 그들에게 기록한 것은 여호와의 계명이었습니다. 방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도의 권위에 복종하는 것이 시험이었습니다. 사도들과 그들의 가르침에 대한 복종은 주님 자신에 대한 복종의 표현이었습니다(참조, 7:10, 25). 아직도 그렇습니다.

14:38 고린도인들은 바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을 선지자나 성령의 지배를 받는 자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주님을 바울의 가르침의 근원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그 사람이 주님께 인정받지 못하는 것(즉, 승인을 받아 인정받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다(참조, 8:2-3)

14:39 “그러므로”는 영적 은사에 관한 전체 논의의 요약을 의미한다. “내 형제자매들”은 이 엄중한 토론의 마지막 부분에서 사랑스러운 어조로 들립니다(참조, 1:10). “예언하기를 간절히 원함”은 바울이 시작한 명령을 반복합니다(1절). “방언을 금하지 말라”는 말은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은사의 합법성을 인정합니다. 바울은 예언의 은사를 행사할 것을 진심으로 격려했지만 특정한 자격을 갖춘 방언의 은사만 허용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하나님은 더 이상 선지자들에게 미래에 관한 계시를 주지 않으셨습니다. 사도 요한은 분명히 이런 의미에서 선지자로 활동한 마지막 사람이었다(참조, 계 22:18). 요한 이후의 선지자들도 더 이상 주님으로부터 직접 새로운 계시를 받지 못했습니다. 누가가 사도행전에 기록한 교회의 역사 속에서도 이것이 사라지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약성경에 포함된 계시의 대부분은 이런 유형이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예언의 은사는 교회를 세우는 기초가 되었지만 이제는 그쳤습니다(엡 2:20).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계속해서 주님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이는 헬라어 프로 페테우오 (예언하다)의 기본 의미입니다.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이 선물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와 함께 있다(참조, 3 절).

바울은 독자들에게 방언 말하는 것을 금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들이 방금 은사의 행사에 대해 설명했던 규칙을 따른다면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확실히 어떤 사람이 신약의 방언의 은사를 받았다면 그 사람은 오늘날에도 이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오늘날 이 은사를 가진 사람이 누구인지 심각하게 의심합니다. 카리스마 운동에 참여하는 기독교인들은 강신술과 같은 일부 종파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그 은사가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실행되는 방언과 1세기 교회에서 발생한 방언의 차이로 인해 많은 신자들은 이것이 매우 다른 경험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14:40 교회 모임에서 일어나는 일의 기초가 되는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든 일을 적절하게 해야 합니다. 즉 품위 있고 질서 있게 모든 일을 덕을 세우는 일이어야 하며(26절) 화평의 정신이 널리 퍼져야 합니다. (33절)

방언에 관한 이 장은 성령의 카리스마적 은사에 대한 현재의 관심 때문에 매우 관련성이 높습니다. 신자들이 은사주의 교회에서도 이 장의 가르침만 따른다면 이 주제에 대한 교회 내 혼란이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이 세 장(xii.-xiv.)에서 사도는 자신에게 카리스마가 있다고 믿는 모든 기독교인이 다른 사람을 고려하지 않고 카리스마를 행사하도록 허용된다면 결과가 될 영적 무정부 상태 의 위험과 싸워 왔습니다 ." [703]

고린도후서에서 분명하게 밝히듯이, 고린도 교회의 ​​일부 회원들은 계속해서 바울의 사도적 권위에 저항했습니다.

언어가 아닌 "방언"은 어떻습니까? 그것들은 신약성서가 다루는 내용이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나는 다섯 가지를 제안합니다. 첫째, “방언을 금하지 말라”(39절)는 것은 이러한 유형의 방언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가리키는 것임을 인식하십시오. 교회 지도자들은 "비 언어" 유형의 방언으로 말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유형의 방언을 통역하는 것은 신약성경에서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십시오. 셋째, 이러한 방언은 교회를 세우지 못하고 종종 교회를 혼란시키기 때문에 교회 지도자들은 교회 모임에서 이를 금지할 수 있습니다. 넷째, 누군가가 이런 종류의 방언을 개인적으로 연습하기를 원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그 사람의 기분을 좋게 만들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다섯째, 이런 종류의 방언은 불신자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사람이 배울 수 있습니다. 많은 비언어 '방언' 옹호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것은 하나님께서 일부 그리스도인들에게만 주시는 초자연적인 능력이 아닙니다. [704]

F. 신자들의 부활 ch. 15

사도 바울은 부활에 관한 지시를 고린도서의 특정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식별하는 형식(즉, peri de , “지금 관련되어 있는”)을 소개하지 않았습니다. 이 장에서 그가 말한 내용을 통해 그는 고린도 교회의 ​​일부 사람들이 사도의 가르침에 반대되는 부활에 관한 신앙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분명히 알았습니다. 그들은 죽은 자의 부활이 없다고 믿었다(참조, 12, 16, 29, 32 절; 행 17:32).

"교육받은 엘리트 고린도인들은 아마도 육체가 죽은 후 영혼이 불멸한다는 것과 같은 많은 철학자들의 견해를 따랐을 것입니다. … 일부 그리스인(예: 에피쿠로스학파와 묘비에 대한 대중적인 의심)은 사후 세계조차 부인했습니다. 영혼은 육체의 부활(시체의 소생으로 간주함)이나 영광스러운 육체를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705]

분명히 바울은 이 오류를 바로잡고 기독교 신앙에서 부활 교리의 핵심 중요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이 가르침을 포함시켰습니다.

"...편지 자체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영성 견해 이면에는 단순히 영적 은사에 대한 잘못된 견해가 아니라 영적 존재 자체에 대한 잘못된 신학이 숨어 있습니다. 그들의 '영성' 견해로 인해 미래도 부정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몸의 부활에 관해서는 이 문제를 다음에 다루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 결과는 적어도 논증의 측면에서 보면 편지 전체의 가장 큰 절정입니다." [706]

"이 장은 '최초의 기독교 교리 에세이'라고 불리며, 교리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유일한 부분입니다." [707]

분명히 대부분의 고린도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었지만(15:3-4), 그분의 부활에 대한 믿음이 반드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신자를 일으키실 것이라는 믿음을 의미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신자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었지만, 그 희망이 반드시 신자의 부활을 수반하지는 않았습니다. 바울이 그들의 육체적 부활이 그들의 희망의 일부라고 가르치기 전까지는 많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관점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 장은 교회에 있어서 큰 신학적 가치를 지닌다.

"… 분명히 바울이 고린도를 떠난 직후에(그 곳에서 18개월 동안 사역한 후) 이 교회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거짓 신학이 자리를 잡기 시작했고, 그 가치를 부인하는 급진적인 영신주의(영신론)에 뿌리를 두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소 '과도하게 실현된' 또는 '영적인' 종말론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바울을 반대하는 결정적인 움직임이 일어났습니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이 편지에서 그들의 영적인 [영적] 행동으로 절정에 달합니다(12장 - 14) 그리고 죽은 자의 부활을 부인함(15장), 여기에는 그의 뉴마티코스 로서의 지위에 대한 의문 ([영적] 14:36-38)과 아마도 그를 '낙태' 또는 '괴짜'라고 부르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15:8) 따라서 다른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바울은 일부 나쁜 신학을 바로잡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렇게 할 수 있는 자신의 권리를 그들에게 상기시키기 시작했습니다. [708]

엘.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15:1-11

바울은 그들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믿음,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음에서 부활하셨다는 믿음을 재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사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객관적인 현실을 강조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내세에 관한 모든 성경적 가르침의 초석입니다. 만일 그리스도께서 죽으신 후에 부활하여 자기 백성에게 살아 계신 것을 나타내셨다면, 실제로 이생 이후에 뭔가가 있을 것입니다." [709]

15:1 고린도 사람들과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이 믿는 복음의 말씀으로 인해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지위를 갖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음의 첫 번째 원리를 모릅니다. 우리 [설교자들]은 청중 모두가 복음을 이해한다고 당연하게 여기면서 너무 많은 것을 가정합니다." [710]

15:2 바울은 독자들이 자신이 전한 복음을 버림으로써 구원을 잃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전한 말을 너희가 굳게 잡으면”이란 “내가 너희에게 복음을 전한 언어로 너희가 굳게 잡으면”이라는 뜻입니다. 만일 그들이 받은 복음을 기억하고 굳게 붙잡는다면 그들은 날마다 살아가면서 계속해서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할 것입니다 . 그들이 들었던 복음 메시지의 주요 측면인 부활을 부인하는 것은 그들 중 일부가 실제로 복음을 믿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15:3 주의 만찬 사건(11:23)과 마찬가지로 바울은 주 예수의 죽으심과 장사되심과 부활과 부활 후에 나타나심에 대하여 들었고 그 후에 이 소식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했다. 다른 곳에서 그는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서 복음을 받은 것이 아니라 주님으로부터 직접 복음을 받았다고 썼습니다(갈 1:11). 아마도 그것의 일부 측면은 그에게 이런 식으로 왔고 다른 측면은 다른 방식으로 왔을 것입니다. 그는 분명히 다메섹 도상에서 복음의 본질을 얻었고 나중에 다른 출처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배웠습니다.

"그는 사도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실을 받았고, 그 사실의 의미는 그리스도에 의해 그에게 알려졌습니다(갈 1:12)." [712]

예수님의 죽음에 관한 세 가지 주요 사실은 그분이 죽으셨고, 다른 사람들의 죄를 위해 죽으셨으며, 성경에 계시된 대로 죽으셨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교회의 초기 설교에서 지속적으로 재확인되었습니다(참조, 행 3:13-18; 8:32-35).

"사람들은 사악하고 죄가 많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모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 죄를 위해' 죽으셨습니다. 이는 용서할 뿐 아니라 사람들을 그들의 죄에서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 그러므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의 죄성에 대해 극도로 동요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을 구원하신 바로 그 죄에 대하여. 결국 이것이 편지의 대부분에 관한 것입니다." [713]

“'우리 죄를 위하여'라는 표현은 이사야 53장의 LXX[70인역]을 직접적으로 반영한 것입니다. 유대교는 이 구절을 적어도 개인적인 메시아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메시아적으로 해석 하지 않았기 때문에 [714] 예수의 죽음과 그의 죽음이 '우리 죄를 위한 것'이라는 사상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그러한 연관성을 만든 사람은 누구나 '기독교의 창시자'라고 말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모든 증거는 예수 자신을 가리키고 있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에서 이사야 53장의 언어로 자신의 죽음을 '너희를 위하여'로 해석한 경우가 그러하다(참조 11:23~25 주석). [715]

"'그리스도께서 죽으셨다'는 것이 역사이고,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해 죽으셨다'는 것이 교리입니다. 이 두 요소가 절대적으로 불가분의 결합으로 결합되지 않으면 기독교는 없습니다." [716]

15:4 예수의 장사는 메시아의 죽음이 최종적임을 강조하며(참조, 행 2:29) 그분의 부활이 실제로 있다는 증거가 된다(참조, 행 13:29-30). 그분이 참으로 죽지 않으셨다면 그분은 참으로 부활하실 수 없었을 것입니다.

"... 그분의 육체적 부활을 제외하고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화해(만족을 주시는, 속죄하는) 사역을 받아들이셨다는 증거를 가질 수 없습니다..." [717]

"살려났다"로 번역된 헬라어 동사의 완료형과 수동태는 하나님께서 그분을 일으키셨기 때문에 그분이 여전히 살아 계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날은 일요일이었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날인 금요일이 첫째 날이었고, 토요일이 둘째 날이었습니다.  성경에 따르면”이라는 구는 헬라어 문장의 구조로 볼 때 아마도 부활만을 묘사하는 것 같다(참조, 레 23:10-14; 시 16:10-11; 17:15; 사 53:10ㄴ; 호세아 6:2; 마태복음 12:38-41). 성경에 따르면 신격의 세 위격, 즉 아들(요 2:19, 21), 아버지(롬 6:4; 참조 히 13:20), 영이 모두 예수의 부활에 참여했다. (롬 8:11).

"부활은 복음 메시지의 일부이지만 십자가 위에서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의 일부는 아닙니다.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효능(효과, 성공)의 증거로 언급됩니다. 그분의 죽음으로 구속을 이루셨으니,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로마서 4:25). 예수 그리스도께서 살아 계시다는 사실은 그리스도인의 좋은 소식이지만, 개인이 구원받는 것은 그분의 부활이 아니라 그분의 죽음으로 구원받는다." [719]

15:5 베드로(“게바”)는 물론 12제자의 지도자였습니다. 아마도 바울이 주님께서 베드로에게 나타나신 일(눅 24:34)을 언급한 것은 고린도 교회의 ​​일부 사람들이 베드로를 존경했을 뿐만 아니라(1:12) 그가 핵심 제자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열두 제자”는 12제자를 가리킨다. 비록 주님이 그들에게 나타나셨을 때 그들 중 11명만이 살아 있었다. 이것은 예수님의 지상 사역 기간 동안 예수님을 따르는 특정 그룹을 가리키는 방식이었습니다(마 10:1). [720]

15:6 이것은 신약에서 예수께서 부활하신 후 500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나타나신 유일한 기록이다. 예수님께서 한 번에 그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셨다는 것은 그분의 부활하신 몸이 영이 아니라는 증거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기회에 그분을 보았다고 간증했습니다. 바울이 이 서신을 쓰기 약 23년 전에 부활이 일어났기 때문에 이 증인 그룹의 대다수가 아직 살아 있었다는 것이 합리적입니다(“그 중 대부분은 지금까지 남아 있느니라”). 회의적인 고린도 교인이라면 누구든지 그들에게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15:7 이 야고보는 예수의 이복형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는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참조, 행 15:13-21). 사도 그룹에는 원래의 12제자 중 한 사람이 아닌 맛디아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모든 사도들"은 아마도 말 그대로 모든 사도들이 집합적으로 나타난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예수님이 죽기 전에 자살한 유다는 제외).

15:8 바울은 다메섹 도상에서 주님이 그에게 나타나신 것을 부활 후의 나타나심과 주님의 마지막 나타나심으로 여겼습니다.

“바울은 여기서 자신을 국가적으로 거듭날 날이 아직 이르지 않은 이스라엘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마 23:39 참조). 미래에 이스라엘이 국가적으로 개종하기 전의 예 또는 예(겔 20:35-38; 호 2:14-17; 슥 12:10-13:6; 롬 11:25- 참조) 27; 디모데전서 1:16." [721]

또 다른 견해는 바울이 "만삭되지 못하여 난 자"라는 말을 12사도가 사도가 된 후에 자신도 사도가 되었다는 뜻이라는 것입니다.

바울이 자신을 그렇게 언급했을 수도 있습니다(문자 그대로 낙태). 그의 사도직이 그에게 너무 이르게 왔기 때문이 아닙니다. 주님께서는 다른 사람들보다 얼마 후에 그를 임명하셨습니다. 그가 그렇게 한 이유는 다른 사도들의 배경과 임명에 비해 바울의 배경과 임명이 특이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그에게는 주님의 지상 사역 동안 주님과 동행하는 정상적인 “임신 기간”이 없었습니다(참조, 행 1:21-22). 칼빈은 바울이 자신의 갑작스러운 개종을 언급하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722]

"이것은 비하하는 매우 특이한 용어이고 ' 낙태 ' 라는 관사와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고린도 교인들이 바울을 그의 개인적 약점 때문에 다른 사도들, 특히 아볼로와 베드로와 비교하면 '이상한' 어떤 것 다른 사람들은 이 용어가 바울의 이름인 '작은 자'인 바울로를 이용한 유희라고 제안했습니다 . 그래서 그들은 그를 '난쟁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이것은 9-10절의 특이한 '여러 가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는데, 여기서 그는 실제로 자신이 모든 사도 중에 '가장 작은 자'라고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은혜가 그를 위해 더욱 풍성하게 역사했습니다. , 그것이 전적으로 그럴 듯해 보이는 그들에게서 유래했든, 갑자기 자기 경멸을 터뜨린 바울 자신에게서 유래했든, 이 용법은 그를 비교하여 묘사하는 용어 외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사도직에 대한 고린도인들의 견해." [723]

바울은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강조했습니다(5-9절). 그 이유는 그분의 부활이 "영적"(즉, 비육체적, 비육체적) 존재의 형태가 아니었음을 증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몸이 죽어 장사된 것과 같이 그분의 몸도 살아나셨고 많은 증인이 그것을 보았습니다. 종종 많은 증인이 한 번에 보았습니다.

15:9 바울은 아마도 이 절과 다음 절에서 자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평하기 위해 그를 비정상적인 사도로 보는 고린도인들의 견해를 사용했을 것이다. 분명히 바울은 자신이 사도가 되기에 가장 합당하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사도직을 다른 사도들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참조, 고후 10:1-13:10; 갈 1:11-2:21). 그가 그토록 무가치하다고 느낀 이유는 다른 사도들이 교회를 세우는 동안 그는 교회를 헐었기 때문입니다(“내가 하나님의 교회를 핍박하였느니라”).

15:10 바울은 자신의 사도직 부르심을 하나님의 은혜로운 선물로 인식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은혜는 사랑의 섬김이라는 합당한 반응을 끌어내지 못할 때 헛된 것으로 판명됩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에게 베푸신 유난히 큰 은혜에 응답하여 유난히 큰 섬김을 하나님께 돌려드렸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봉사를 저절로 발생한 것으로 보지 않고("그러나 나는 아니다") 하나님이 그에게 지속적으로 공급하시는 은혜("나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산물로 여겼습니다. 하나님은 은혜로 바울을 구원하셨고, 바울은 하나님의 은혜로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15:11 바울과 다른 사도들은 모두 같은 복음을 믿고 전했습니다. 바울은 베드로, 야고보 및 다른 사람들이 했던 것과 다른 메시지를 선포하지 않았다(참조, 갈 2:1-10). 이 공통적으로 합의된 메시지는 고린도에서 사역했던 사람들이 그들에게 설교할 때 고린도인들이 믿었던 것입니다. 부활을 부인함으로써 고린도인들은 바울도, 아볼로도, 게바도, 그리스도도 따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거짓 교리를 추구하고 있었습니다.

이 구절의 요점은 믿을 만한 많은 목격자들이 본 것과 모든 사도들이 전파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관한 기록을 포함한 복음 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대부분의 고린도 그리스도인들이 받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객관적인 사실임을 강조하기 위해 이렇게 한 것이다. 바울은 다른 사도들과 배경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그들과 동일한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의 원래 독자들은 그에게서 들은 것이 진리에 대한 종교적 왜곡이라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것은 참된 복음이었고 그들은 계속해서 그것을 믿어야 합니다.

2. 부활의 확실성 15:12-34

앞 문단에서 바울은 고린도인들이 믿었던 복음에는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육체로 일으키셨다는 사실과 더불어 다른 중요한 사실들도 포함되어 있음을 확고히 확증했습니다. 다음으로 그는 육체의 부활에 대한 믿음을 거부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바울은 reductio ad absurdum을 사용합니다. 만일 부활이 없다면(즉, 미래의 신자들의 경우) 예수께서는 부활하지 않으셨다는 뜻입니다(15:12-13). 여기서 Paul은 일련의 7가지 if-then 문을 통해 수사학적 강조를 제공합니다." [724]

부정적인 대안 15:12-19

바울은 먼저 고린도인들의 논리에 호소했습니다. 모드스 톨렌스(modus tollens) 라고 불리는 이런 형태의 논리에서 바울의 주장은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으니 신자들의 부활도 반드시 있을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바울 이 모든 사람이 아니라 신자들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점은 그가 신자들의 희망에 대해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해 보입니다. 다른 구절에서는 다른 그룹의 사람들, 심지어 다른 모든 사람들의 부활을 가르칩니다(예, 단 12:2; 계 20:4-5, 12; 등). 여기서 처음으로 일부 고린도 교인들이 죽은 자의 부활이 없다고 말하고 있음이 분명해집니다. 만일 그들이 옳다면 그리스도는 부활하지 않으셨고 그들에게는 과거도 미래도 없었을 것입니다.

15:12 시체의 부활에 대한 믿음은 고린도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그리스인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 같다(참조, 행 17:32; 딤후 2:17-18). 분명히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 중 일부는 그리스인들이 육체적 부활을 전반적으로 부인했기 때문에 이 교리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이 부인하는 자들은 참으로 '영적'(고린도인의 의미에서)인 사람들이 이미 영광 가운데 '그리스도와 함께 통치'하고 있다고 믿는 것 같습니다(4:8 참조). [726]

"전체적으로 그리스인들은 영혼의 불멸을 믿었지만, 그리스인들은 육체의 부활을 믿는 것은 꿈도 꾸지 않았을 것입니다." [727]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에게 몸의 부활에 대한 생각은 혐오스러운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몸을 삶의 가장 높은 측면에 도달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몸은 무덤이다"라는 속담을 가지고 있었고, 그리스 작가 중 한 사람은 "나는 시체에 묶인 불쌍한 영혼이다"라고 썼습니다. 그러므로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생각은 육체적 부활에 대한 그들의 불신과 충돌했습니다.

"그리스 철학에서는 육체의 부활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었습니다." [729]

15:13-14 육체적 부활에 대한 믿음은 기독교 신앙의 기초입니다. 육체의 부활이 불가능하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허구입니다. 만일 그가 살아나지 아니하셨다면 사도들의 전파는 거짓에 근거하여 헛된 것(무의미함)이요, 결과적으로 고린도인들의 믿음도 헛될 것(무익하고 소망이 없음)이었을 것입니다.

“무덤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를 위한 하나님의 목적의 성취는 바울 종말론의 핵심이다.” [730]

이것은 19절을 관통하는 일련의 조건문(if … 그는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한 불신을 표현하지 아니하고 오직 부활이 없다고 가정하였을 뿐이며 14절, 16절, 17절, 19절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5:15 만일 몸의 부활이 없다면 사도들은 오류에 빠질 뿐 아니라 하나님을 대적하는 거짓 증인이 될 것입니다. 그들은 하나님에 관해 진실이 ​​아닌 것, 즉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살리셨다는 사실을 전파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고린도 교인들이 교회를 설립하고 하나님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에 대해 심각한 비난을 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실제로 믿지 않는 고린도인들은 부활을 부인함으로써 거짓 증인들이 되었습니다.

15:16-18 바울은 다른 점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12-14절에 포함된 자신의 생각을 반복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아직 죽어 무덤에 계셨다면, 구원을 얻기 위해 그분을 믿는 믿음은 무가치합니다.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지 않으 셨다면 신자는 여전히 자신의 죄로 죽어 있는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는 용서나 영생에 대한 희망이 전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죽은(“그리스도 안에서 잠든”) 그리스도인들은 영원히 잃어버린 바 되어(“멸망한”)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히 분리될 것입니다. 비록 우리를 구원하는 것이 그리스도의 죽음일지라도 만일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지 아니하셨다면 그의 죽음은 헛되었을 것입니다.

“그들이 그리스도의 부활을 근거로 부활하게 되어 있다는 사실, 즉 그들의 미래를 부인하는 것은 그들이 그리스도의 죽음을 근거로 죄 용서를 받았다는 과거를 부인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낳습니다.” [732]

바울은 고린도인들의 입장을 고려할 때 신자에게는 어떤 종류의 미래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 것 같습니다. "멸망한 자"는 아마도 이런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비록 그들이 부활을 부인했지만 그들은 여전히 ​​죽은 자들을 위해 세례를 주고 있었기 때문입니다(29절). 만일 그들이 죽음으로 모든 것이 끝났다고 믿었다면 죽은 사람들을 위해 계속 세례를 베풀었을 것 같지 않습니다.

15:19 그리스도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소망이 무덤 이쪽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사람은 불쌍히 여김을 받아야 합니다. 물론 우리가 지금 여기 사는 동안 그리스도를 신뢰하면 몇 가지 유익이 있습니다(참조, 딤전 4:8). 그러나 우리는 이 삶에서 그분을 옹호하기 위해 잃는 것과 이러한 것들을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참조, 빌 3:8; 고전 4:4-5; 9:25). 무덤 저편에서 우리가 바랄 것이 아무것도 없다면 그리스도인의 삶은 살 가치가 없을 것입니다(“모든 사람 가운데 우리는 가장 불쌍한 자들입니다”).

그의 주장을 요약하자면, 바울은 만약 신자들이 미래, 특히 그리스도와 같은 부활체를 갖지 못한다면 우리는 말할 수 있는 과거도 현재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우리는 과거에 죄를 용서받지 못했고, 현재에도 불신자들보다 나을 것이 없습니다.

"고린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부인한 것이 아니라 육체의 부활을 부인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바울이 강조하는 것은 사람이 부활의 가능성을 부인한다면 육체의 부활을 통해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가능성을 부인했고, 따라서 기독교 메시지에서 진리를, 기독교 생활에서 진리를 공허하게 만들었습니다." [733]

긍정적인 현실 15:20-28

바울은 다음으로 그리스도의 부활이 신자들의 부활을 필요하고 불가피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사실의 결과는 그분이 부활하지 않으신 결과가 암울한 만큼 영광스럽습니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은 반드시 일어나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친히 일어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부활은 과거에 있었지만 우리의 부활은 미래에 있을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죽음을 포함하여 하나님의 모든 적들을 패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분의 부활은 우리의 부활을 요구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죽음은 패배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15:20 여기서는 신자를 그리스도와 연결함으로써 논쟁이 진행된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께서 구원을 위해 선택하신 더 큰 무리의 첫 열매이셨습니다. 이것은 논쟁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지만, 뒤따르는 모든 것은 그분의 부활 사실에 달려 있습니다.

"… 우리는 호레이스 부쉬넬(Horace Bushnell)이 한 다음과 같은 말을 기억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고대 역사에서 가장 잘 입증된 사실입니다.' 고대 역사에서 우리가 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 증언한 것만큼 그 진실에 대한 증인의 숫자만큼 많은 사건은 생각할 수 없습니다." [734]

유대인들은 성력(聖曆)으로 첫째 달 십사일에 유월절을 지켰습니다. 예수님은 유대인 아버지들이 유월절 양을 잡는 날에 죽으셨습니다. 그 날은 그해 금요일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유월절(레 23:10-11) 다음 날인 안식일 다음 날(토요일), 즉 일요일에 첫 열매로 제사를 드렸습니다. 이날은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이었습니다. 50일 후인 오순절에 그들은 첫 열매의 제사라고도 불리는 또 다른 새 곡식 제사를 드렸습니다(레 23:15-17).

유월절 후에 유대인들이 드린 첫 열매는 나중에 드린 곡식 중 첫 열매에 불과했습니다. 바울은 이 비교에서 다른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처럼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날 것이라는 사실을 보았습니다. 그는 신자들의 부활이 절대적으로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기 위해 첫 열매 비유를 사용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친히 그것을 보증하셨습니다.

15:21-22 사도는 또한 독특하게 대표되는 두 사람, 즉 아담과 그리스도에게서 교훈을 얻었습니다. 아담은 다른 분, 즉 하나님에게서 생명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자신이 생명의 원천이십니다. 아담은 옛 창조의 첫 사람이었으며 그와 마찬가지로 그의 모든 후손도 육체적으로 죽었습니다. 그리스도는 새 창조의 첫 사람이시며, 그분과 마찬가지로 그분의 모든 후손(믿음으로 인한 그분의 아들과 딸)도 육체적으로 살게 될 것이다(참조, 롬 5:12-19). 분명히 바울은 신자들을 그리스도의 후손으로 언급하고 있었습니다. 아담과 예수는 모두 남자 였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부활은 영적인 부활이 아닌 인간의 부활이 될 것입니다. 육체적 죽음이 아담의 자손(인간)에게 불가피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아들들(신자들)에게는 육체적 부활이 불가피합니다.

15:23 질서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 타그마 )는 군인 계급을 가리키는 군사 용어이다. 바울의 생각은 그리스도가 첫 번째 순위이고, 먼저 부활을 경험했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다른 지위에 있으며 그룹으로서 그리고 다른 시간, 즉 주님이 오실 때(그리스어 파루시아 , 문학적으로 나타남, 즉 휴거에서) 부활을 함께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사도는 여기서 다양한 부활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계속하지 않았습니다. 환란 성도, 구약의 신자들, 구원받지 못한 자들을 포함하여 다른 때에 일어날 다른 부류의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요한복음 5:25-29 및 요한 계시록 20장과 같은 구절은 성경에서 '일반(동시에 모든 사람) 부활'과 같은 가르침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바울의 요점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이미 일어났다는 사실과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인의 부활도 틀림없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는 우리의 부활이 그리스도의 부활과 다른 형태(즉, 육체적 부활이 아닌 영적 부활)일 것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15:24-26 “끝”은 바울이 여기서 말한 바와 같이 현 하늘과 땅의 끝을 가리킨다. 이것은 휴거 이후 1,000여년 후에 일어날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지상의 천년왕국을 통치하게 될 그리스도께서 그 왕국을 아버지께 넘겨드릴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다른 모든 통치와 권위와 능력을 폐지하시는 일은 천년왕국 끝에 그분을 대적하여 일어날 반역자들을 그분께서 진압하실 때 일어날 것입니다(계 20:7-10). 그분은 또한 마침내 죽음을 이기실 것이며 그때부터는 아무도 죽지 않을 것입니다. 구원받은 자들은 새 하늘과 새 땅에 들어가서 하나님과 함께 영원히 행복을 누리게 될 것이며, 잃어버린 자들은 영원한 고통을 겪게 될 것입니다(마 25:46; 계 20:11-21:1).

"많은 사람들이 부활에 관한 바울의 설교(고전 15장, 특히 20-28절)에서 천년왕국의 증거를 봅니다." [737]

"… 바울이 이 마지막 승리가 그리스도의 천년 통치 중에 일어날 것이라고 이해했을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개연성이 있습니다. 주요 증거를 요약하자면, 바울이 에페이타('그 후에')와 에이타('그때')를 사용한  입니다 . 고린도전서 15:23-24, 15:24-25의 구문, 그리고 고린도전서 15장과 히브리서 1장과 2장의 시편 8편과 110편의 병행 사용은 모두 바울이 15장에서 왕국과 통치를 언급했을 때 다음과 같은 이해를 지적합니다. 24-25절에서 그는 그리스도의 재림 이후 영원한 상태 이전에 이 땅에서 그리스도의 통치를 언급했는데, 이 기간은 요한계시록 20:4-6에서 '천년'이라고 부르는 때입니다 .

예수님께서 부활하심으로 죽음을 이기셨지만 신자들은 여전히 ​​죽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있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부활을 경험해야 하며, 그때에만 모든 신자가 부활한 후에 마지막 원수인 사망이 정복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때에만 하나님은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 것이다(즉, 중요한 모든 것, 참조, 골 3:11).

15:27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시편 8:7에 기록된 예언을 성취하신 분으로 보았습니다. 시편 에서 생각하는 통치자는 사람이지만, 그리스도는 아담이 잃었던 모든 것을 인류를 위해 회복하실 사람이실 것입니다(참조, 시 110:1). 물론 하나님 자신은 제외됩니다. 그는 하나님의 아들의 통치 아래 있지 않을 것이다. 아버지는 마침내 모든 것을 그리스도에게 복종하게 하실 분입니다.

15:28 마침내 하나님은 모든 것의 머리가 되실 것이다(참조, 롬 11:36): “만유 안에”. 지상의 천년왕국은 끝나고 모든 것이 하나님의 영원한 왕국으로 통합될 것이다(참조, 사 9:7; 눅 1:33). 일부 해석자들은 바울이 여기서 언급한 왕국은 그리스도께서 하늘에서 행사하시는 현재의 우주적 주권이라고 믿습니다 . 그러나 이 견해는 성경적 종말론과 잘 조화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언제나 그랬듯이 아버지께 영원히 복종하실 것입니다.

이것은 아들이 아버지께 영원히 기능적으로(존재론적이 아닌) 종속됨을 확증하는 성경의 중심 구절이다(참조, 3:22-23; 8:6; 11:3; 막 13:32; 14:62; 요 1 장) :1; 14:28; 17:24; 엡 3:21; 빌 2:9-11; 4:19-20). 그리스도의 부활은 궁극적으로 죽음의 죽음으로 끝날 일련의 사건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면 하나님은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계속해서 "모든 것"이 되실 것입니다.

"그 의미는 더 이상 중보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 아버지와 자손 사이의 모든 관계가 직접적이 될 것입니다." [743]

이 페리코프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부활부터 현 하늘과 땅의 마지막에 일어날 최종 승영까지 그리스도의 진보적인 단계를 추적했습니다. 의심할 바 없이 그는 신자들이 주님의 태도와 행동을 재현할 때 그분의 경험을 재현한다고 가르쳤기 때문에 독자들이 구주와 하나가 되도록 의도했습니다. 앞으로 있을 일을 고려할 때 몸의 부활을 부인하는 것은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이 구절은 부활절의 진정한 의미를 분명히 해줍니다.

부활에 대한 다른 논증 15:29-34

바울은 부활을 인신 론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점진적인 단계에서 그리스도인의 경험으로 방향을 돌렸습니다 . 인신 공격 (ad hominem) 논증은 논리보다는 자기 이익에 호소하는 논증입니다. 고린도인들의 행동과 그의 행동은 죽은 자가 부활하지 않는다면 터무니없는 짓에 가깝습니다. 이 단락은 여담입니다. 주요 주장은 35절에서 다시 시작됩니다.

15:29 이 절은 아마도 대리 세례를 언급하는 것 같다: 세례를 받기 전에 죽은 사람을 위해 세례를 받는 관습. Morris 는 이 구절에 대해 30~40가지 해석이 있었다고 썼습니다. 죽은 자를 위한 세례 는 그리스 신비 종교 중 적어도 하나, 즉 엘레우시스 인근 도시의 코린트 근처에 기반을 둔 엘레우시스 신비 종교의 관습이었습니다. [746]

아마도 고린도인들은 임종 시나 다른 상황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들을 위해 죽은 자를 위한 세례를 시행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물에서 세례를 받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졌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고린도 사람들이 이런 일을 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고 단지 어떤 사람들이 이렇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 그들은 왜 그들을 위해 세례를 받습니까?" 아니 그러면 너희는 왜 그들을 위하여 세례를 받느냐? 관습에 대한 바울의 언급이 반드시 그것을 지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반면에 그는 그것을 구체적으로 비난하지도 않았습니다.

그가 그것을 승인했든 아니든 고린도의 신자들은 분명히 이 관습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고린도 성의 영이 교회를 침범한 것으로 다시 나타납니다. 바울은 부활의 실재성을 논증하기 위해 이 관행을 사용했습니다. 그의 요점은 육체적인 부활이 없다면 죽은 사람을 위해 침례를 받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경우 그들은 죽어서 영원히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에 부활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하나님께서 대리세례를 받은 자를 일으키실 때에는 그들이 살아 있는 동안 세례를 받지 못해 부끄러움을 당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고린도인들은 이교 종교로부터 대리 세례를 교회로 가져왔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다른 이교 관습과 함께 이런 일을 했다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그것은 분명한 가능성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구절을 격려로 해석했지만, 성경에는 이런 관행을 장려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물세례가 사람의 구원에 기여한다고 믿는 일부 기독교 단체에서는 이를 옹호합니다. 오늘날 모르몬교도들은 그렇습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어떤 관행을 언급한다고 해서 항상 그것을 지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특히 8-11장에서 이것을 보았습니다.

한 저자는 이 절에서 죽은 자들에 대한 첫 번째 언급이 은유적으로 죽은 사도들을 가리킨다고 믿었다(참조, 31 절). [749] 고린도와 그 주변에서 이 관습이 널리 퍼져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것이 나에게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또 다른 가능한 해석은 고린도의 그리스도인들이 침례를 받음으로써 공개적으로 죽은 동료 신자들의 자리를 대신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죽음으로 인해 그 대열에 공석이 생긴 세례받은 그리스도인들의 대열을 채우고 있었습니다. [750]

15:30 만약 부활이 없다면 바울은 왜 사역을 하면서 그토록 많은 고난과 위험을 견뎌냈습니까? 사도의 희생은 부활이 있을 것임을 증명하지는 않지만, 부활이 있을 것이라고 그가 믿었다는 점을 보여 줍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일으키실 것이며 자신의 부활된 몸이 무덤 너머에서도 계속될 것임을 믿었기 때문에 매일 죽음을 기꺼이 직면했습니다.

15:31 바울은 일종의 맹세로 이 주장을 뒷받침했습니다. 그는 고린도 교인들에 대해 자랑한 것처럼 자신도 날마다 죽음을 맞이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서신에서 바울은 독자들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습니다. 아마도 그는 다른 교회들에게 그들의 행동을 자랑하기보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존재 자체를 자랑하고 있다는 뜻이었을 것입니다.

15:32 죽음에 직면한 한 가지 예는 바울이 이 서신을 쓸 당시 에베소에서 일어났습니다. 그가 맹수들과 싸운 것은 아마도 야생 동물들과의 싸움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이 표현은 아마도 그가 매우 적대적인 인간 적들과의 갈등을 묘사하는 것 같습니다. 헬라어 문구 카타 안트로폰 (“인간의 동기에서”, 문자적으로는 사람에 따라)은 바울의 말이 비유적인 언어임을 나타냅니다. 더욱이 로마 시민들은 경기장에서 동물과의 육탄전을 벌이는 일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데메드리오나 알렉산더는 바울의 적대자였을 것입니다(행 19:24-41; 딤후 4:14).

바울은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이사야 22장 13절을 인용했다(참조, 전 2:24; 9:7-10). 부활이 없다면 우리는 현재만을 위해 사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15:33 이 인용문은 Menander(기원전 342-290경)의 희극인 Thais 에서 나온 것이지만 , 그 연대는 Euripides(기원전 484-406경)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것은 바울 시대에 속담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독자들에게 만일 부활을 부인하는 사람들과 계속 교제한다면 그들의 성품은 결국 해를 입을 것이라고 경고하기 위해 이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15:34 고린도인들은 올바르게 생각해야 했습니다. 그들은 이교도 이웃들이 의심할 바 없이 그렇게 하도록 격려하는 것처럼 현재를 위해 살기보다는 죄를 멈추고 현재의 목적, 즉 복음을 전파하는 것을 성취해야 했습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많아 아직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웃이 있다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었습니다(1:5, 8:1).

“구원은 결국 하나님에 의해 알려지고 아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13:12), 고린도인들이 죄를 고집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을 하나님에 대한 지식에서 멀어지게 한다는 것입니다(15:34).” [753]

바울은 또한 고린도인들의 “영적” 관점을 언급하기 위해 아이러니를 사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지식의 출현은 우리가 본 것처럼 지식이 고린도인들을 매료시켰기 때문에 다시 그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바울은 또한 이전에 그들을 부끄럽게 하는 말을 한 적이 있다(참조, 6:5). 아이러니하게 표현하려는 의도였다면, 사도는 아마도 교회를 위험한 방향으로 몰아가는 책임을 맡은 사람들을 제압하려는 의도였을 것입니다. 만일 그렇다면 독자들 중 일부가 진리(참 지식)가 없어서 부끄러움을 당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죄를 그만 짓으라는 뜻이었습니다.

이러한 인신공격 (경험적) 논증은 하나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사람들의 몸을 일으키실 것이라는 점을 의심의 여지 없이 증명하지는 못하지만, 바울의 보다 강력한 역사적(1-11절), 논리적(12-19절), 신학적(12-19절)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vv. 20-28) 이전 섹션의 인수. 이는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인들, 특히 사도가 부활을 깊이 믿었음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듯이 그들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754]

3. 부활의 몸 15:35-49

이어서 바울은 사람이 죽으면 몸이 분해되어 아무도 다시 조립할 수 없기 때문에 몸의 부활이 불가능하다는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고린도인들은 물질적인 몸이 본질적으로 좋다는 생각을 피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헬레니즘 이원론은 인간의 몸과 그에 따른 부활에 대한 그들의 생각에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이원론은 이교 그리스 사상에서 매우 흔한 철학으로, 육체는 그 안에 거주하는 실제 사람의 껍질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그리스인들은 신체가 가하는 제약 없이 사람이 더 많이 살 수 있을수록 더 좋다고 믿었습니다.

반면에 성경적인 견해는 몸은 본질적으로 선하며 비물질적인 부분과 마찬가지로 실제 사람의 부분이기도 하다(참조, 창 2:7). 원래 독자들은 그렇지 않았고 대부분의 사람들도 단순히 인간의 시체를 소생시키는 것과 관련된 부활을 매우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신자들의 부활이 단순히 죽은 몸의 소생이 아니라 새롭고 영광스러운 몸의 강력한 재창조임을 계속해서 보여주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일부 사람들이 옹호하는 현재의 “영적” 존재보다 더 영광스러운 미래를 신자들에게 가르쳤습니다.

"고린도인들은 성령의 은사, 특히 방언의 나타남으로 그들이 앞으로 있을 영적인 '하늘'에 이미 들어섰다고 확신합니다. 오직 죽을 때 벗겨지는 몸만이 그 사이에 있습니다. 그들과 그들의 궁극적인 영성. 따라서 그들은 현재 몸을 거부했으며 미래에도 몸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755]

“죽은”(그리스어 네크로스 )은 1-34절에서 11번 등장하지만 34절 이후에는 단지 3번만 나옵니다. 이것은 바울의 주장이 바뀌었음을 나타냅니다.

자연의 비유 15:35-44

바울의 논증의 이 부분에서 핵심 단어는 "몸"(그리스어 소마 )인데, 처음 34절에서는 0번 나오는데 비해 이 단어는 10번 나옵니다. 사도는 계속해서 두 가지 비유(씨앗, 36-38절; 그리고 다양한 몸의 형태, 39-41절)를 제시한 다음, 이를 죽은 자의 부활에 적용했습니다(42-44절).

15:35 부활에 대한 이 반대는 몸이 분해된 후에 이전에 소유했던 것과 동일한 물리적 요소로 몸을 재건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분명히 (인간의 관점에서 볼 때) 원래의 세포를 재조립하고 죽은 지 어느 정도 된 사람을 재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것이 이 페리코프의 나머지 부분에서 바울이 해결한 주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바다에서 죽어 선원들이 그를 바다에 묻었다면 아마도 물고기가 그의 시체를 먹을 것입니다. 그러면 그의 몸의 원자와 분자는 물고기의 일부가 될 것입니다. 어부가 물고기를 잡아 먹으면 그 몸은 어부의 몸의 일부가 됩니다. 어부가 죽고 장의사가 그를 땅에 묻고 누군가가 결국 그의 무덤 위에 밀을 뿌렸다면 어부의 원자와 분자가 밀 속으로 들어갈 것입니다. 세 번째 사람이 밀을 먹을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첫 번째 사람의 몸이 다시 합쳐질 수 있었나요?

AD 220년경에 살았던 기독교 비평가인 셀수스는 다음과 같은 말로 몸의 부활에 대한 기독교인의 믿음을 비웃었습니다.

"정말이지 벌레들의 희망이군요! 인간의 어떤 영혼이 썩은 몸을 더 이상 바라겠습니까?" [756]

15:36-38 그러한 반대는 표면적으로는 아주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실제로는 어리석고 바울로부터 날카로운 질책을 받았습니다. “현명한” 고린도 교인들은 정말 어리석은 사람들이었습니다. 하나님이 부활시키는 몸은 비록 같은 사람의 몸이라고 하더라도 죽은 몸과 같은 몸은 아닐 것이다. 바울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설명을 계속했습니다. 죽음으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생명이 탄생합니다.

"사실, 씨앗은 몸처럼 문자 그대로 죽지는 않지만, 열매가 맺힌 줄기의 더 높은 형태로 나타나기 위해 씨앗의 형태로 존재하기를 멈춥니다." [757]

사람의 비물질적인 부분을 담고 있는 몸은 씨앗과 곡식의 차이처럼 죽기 전과 후에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생명은 죽기 전에는 한 가지 몸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죽음과 부활 후에는 다른 형태의 몸으로 존재합니다. 하나님은 곡식으로 이러한 변화를 이루셨기 때문에 인간에게도 그렇게 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너무나 명백해서 우리는 36절에서 바울의 날카로운 반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성경 문학에서 어리석은 사람은 하나님을 고려에서 배제하는 사람입니다. 고린도인들이 자신들의 밭에 뿌린 씨앗에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을 관찰하지 못했을 때 바로 그런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15:39-41 이 본문은 다양한 종류의 몸의 차이점을 강조하면서 시작하고 끝난다.

"(애완동물 애호가들은 주목해야 합니다. 바울은 여기서 동물이 부활할 것이라고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그는 단지 동물을 예시로만 사용했습니다.)" [ 758]

두 번째와 다섯 번째 문장은 속(신체의 클래스 또는 계열) 내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동시에 땅에 속한 것과 하늘에 속한 것을 대조합니다. 중심 요소는 지상과 천체의 현실을 나타냅니다. 구조적으로 이 구절은 교차교차이다: [759]

A 모든 육체 가 같은 것은 아닙니다(즉, 땅의 육체).

B 다양한 종류의 살의 예: 사람, 동물, 새, 물고기

C 하늘의 몸과 땅의 몸이 있습니다.

C' 천체의 영광도 이와 같고 땅의 영광도 저렇습니다.

B' 다양한 종류의 광채의 예: 해, 달, 별

A' 모든 별(즉, 천체)이 동일한 광채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

39절에서 바울은 동물의 생명을 사용하여 인간, 육지 동물, 새, 물고기 등 다양한 육체를 지적했습니다. 이것은 신자들의 지상적 존재와 천상적 존재에 관해 나중에 그가 말한 내용을 예상하는 것입니다. 몸은 진정으로 육신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 따라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수의 부활하신 몸에는 살과 뼈가 있었지만 다른 특이한 특성도 있었습니다. 동물들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신체(“육체”)가 있다는 사실은 다양한 종류의 인간 신체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믿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간의 몸은 죽는 몸도 있고 불멸하는 몸도 있습니다. 일부는 부패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부패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천체의 영광(웅장함)이 다르다는 사실은 인간의 몸도 영광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됩니다. 썩어질 인간 몸의 영광은 썩지 않고 불멸의 인간 몸의 영광보다 훨씬 작습니다. 또한, 천체의 서로 다른 영광은 영화롭게 된 신자들 사이의 차이를 입증합니다.

15:42-43 사람의 몸은 씨처럼 썩어 없어질 땅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것을 곡식처럼 썩지 아니할 것으로 일으키시느니라. 그것은 불명예스럽게 땅에 떨어졌습니다. 우리는 죽을 때 모든 것을 남겨두고 떠나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명예롭게 솟아오릅니다. 죽음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집니다. 죽을 때는 약하지만, 일어날 때는 강력하다.

15:44 그것은 자연적인 것(헬. 사이키콘 , 혼적인, 현 세대에 속함)이 되지만 영적인 것( 뉴마티코스 , 즉 초자연적인, 미래 세대에 속함)이 된다. 고린도인들은 아직 종말론적인 상태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그들의 부활과 함께 올 것입니다. 그들의 몸은 영적으로 될 것입니다. 즉 미래의 존재에 적합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영적"이라는 말은 신체의 물질뿐 아니라 신체의 사용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760]

"... 교회 안팎의 이교도들을 위해 바울은 창조와 부활의 근본적인 관계(그리고 그 뒤에 있는 창조주를 구속자로 동일시하는 것)가 기독교의 메타 서술(더 큰 이야기)과 타협할 수 없음을 보여 주려고 노력합니다. 복음 은 성경 세계관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이것이 없으면 멸망을 당합니다(고전 15:17; 참조 행 17:30-31). [761]

고린도인들은 그리스도를 믿을 때부터 새로운 종류의 “영적” 존재 속에 살아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이제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는 아직 하나님께서 우리가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약속하신 모든 것을 경험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들의 허물과 죄로 죽었던 현재의 영적 부활(엡 2:1)은 그들이 본 유일한 부활의 형태였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몸이 무덤 너머에 미래가 있다는 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그들의 육신이 영원한 생명으로 일으킴을 받을 것이지만 그 육신은 비록 육체적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육신과는 다른 유형이 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썼습니다. 그들은 영적일 것이지만 그들이 영적이라고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유형일 것입니다.

"장사도 화장도, 팔다리의 절단도, 부분의 완전한 분해도, 구원받은 백성에게 부활의 몸을 입히실 전지전능하신 주님께는 어떤 문제도 제시할 수 없습니다." [762]

성경 15:45-49의 비유

이제 바울은 44절에서 정점에 도달한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아담과 그리스도에 대한 비유(참조, 21-22절)로 돌아갔다.

15:45 자연의 몸은 육체적이며, 하나님으로부터 생명을 받은 첫 사람 아담의 산물입니다(창 2:7). 생명은 "자연적"(즉, 물질적, 비물질적 구성요소를 모두 가지고 살아 있음)으로 특징지어지는 신체에 존재합니다. 결국 죽습니다. 그러나 부활의 몸은 새 생명을 주시는 “마지막 아담”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산물인 “영적인” 몸입니다. 그 생명 은 결코 죽지 않는 몸에 살게 될 것입니다. 바울은 그것을 영적인 영역이라고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육적인 영역보다 영적인 영역을 위해 예비되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그것은 육체적 존재인 아담이 아니라 영적인 존재(“생명을 주는 영”)인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우리에게 옵니다. 사람은 그리스도께서 하셨던 것처럼, 즉 부활을 통해서만 영적인 몸을 포함하여 완전한 영적 존재를 취할 수 있습니다. [764]

15:46 비록 하나님께서 창조하실 때 아담에게 생명을 불어넣으셨지만, 그 선물은 아담을 현 질서에만 적합한 “자연인”으로 구성했습니다. 말하자면 신자들이 부활할 때 새 생명을 불어넣는 것은 그들을 미래에 적합한 “영적인” 사람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바울은 이상이 현실보다 앞선다는 플라톤의 생각을 반박하기 위해 이 설명의 단어를 포함했을 수도 있습니다. 플라톤(기원전 425-347년경)은 궁극적인 현실은 순전히 영적인 것이며 물리적인 것은 단지 그것을 나타낼 뿐이라고 가르쳤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고린도의 일부 사람들이 가졌던 견해일 것입니다. 바울은 육신의 몸이 먼저 있고 영의 몸이 영원한 세계에 합당한 몸보다 앞선다고 말했습니다.

15:47-48 하나님은 아담을 흙으로 빚어 이 땅에 살게 하셨다(창 2:7).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늘에서 기원하셨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보다 더 많은 것을 의미한 것 같습니다. 그가 두 인간, 즉 첫 아담과 마지막 아담을 비교했기 때문입니다. 그가 강조한 점은 첫 아담은 이 시대의 생명, 곧 천연적인 생명에 적합했지만, 마지막 아담은 다가올 시대의 생명, 즉 영적인 생명에 적합했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차지할 영역에서 살도록 두 사람을 준비시키셨습니다. [765]

마찬가지로, 우리가 아담으로부터 물려받은 몸은 지상의 존재를 위한 것입니다. 우리가 부활할 때 그리스도로부터 받게 될 몸은 하늘 영역에서 살기 위한 것입니다. 바울은 지옥의 삶과 구별되는 하늘의 존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지상의 삶과 대조되는 영적인 존재를 말하고 있습니다.

"각 종족은 그 우두머리의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법칙의 결과로 … 한때 지상의 아담의 형상을 입었던 우리는 이후에 영광스러운 그리스도의 형상을 입게 될 것입니다. 아담은 흙으로 만들어져 다시 흙으로 분해됩니다. 그분의 생명을 공유하는 모든 사람은 이런 사람이요, 부활하시고 영원히 영광을 받으시는 그리스도의 존재는 그분의 생명을 공유하는 모든 사람이 될 것입니다." [766]

15:49 그리스도인들이 첫 아담의 형상(육체의 몸을 가졌음)을 가졌던 것처럼 우리도 마지막 아담의 형상을 가질 것입니다(그리고 영적인 몸을 가질 것입니다). 바울은 독자들에게 하늘에 속한 아담(그리스도)의 형상을 지니는 것은 아직 미래의 일이며 그것은 확실하다는 점을 상기시켜 주면서 이 페리코프를 마무리했습니다.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만드시려는 하나님의 의도(창 1:26)는 신자들이 하늘의 몸을 받아 그분이 살고 계신 영적 영역에서 살 수 있게 될 때 마침내 성취될 것입니다.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불어넣으시는 하나님의 행위는 그분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첫 단계에 불과했습니다. 그분이 우리를 위해 부활체를 창조하신 것은 두 번째이자 마지막 단계가 될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죽은 후에 매장되거나 화장되어야 합니까? 서구 국가에서는 주로 무신론자와 불가지론자들이 화장되었습니다. 그들은 대개 신(만약 신이 존재한다면)에게 몸의 모든 원자를 다시 결합시키도록 도전하기 위해 그렇게 했습니다. 오늘날 화장을 선택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종교적인 이유보다는 실용적인 이유(비용, 편의성 등) 때문에 화장을 선택하는 것이 아마도 사실일 것입니다 .

나는 화장하는 것보다 (내가 휴거 전에 죽는다면) 장사되기를 선택했습니다. 왜냐하면 장사는 하나님의 형상을 드러내는 몸을 영광스럽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참조, 창 1:27). 화장하는 것보다 그러나 나는 화장을 선택하는 것이 어떤 성경적 명령에도 어긋난다고 믿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선택할 자유가 있는 문제 중 하나이다(참조, 8-10 장). 바울의 요점은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이 죽은 후에 몸의 상태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부활시키실 것이라는 점이었습니다.

"문제는 고린도인들이 이미 하늘의 존재, 즉 육체적, 행동적 표현 모두에서 지상의 존재를 무시하는 영 안에 있는 존재를 가정했다고 믿었다는 것입니다. 바울이 다시 한 번 반박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들은 참으로 땅에 속한 사람의 형상을 가졌고 지금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죽을 것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부활과 그들이 '그 안에' 있음으로 말미암아 그들은 또한 땅에 속한 사람의 형상을 지니기 시작했습니다. 하늘의 사람이요, 그들이 그렇게 완전히 행할 때 그 완성을 기다리고 있으므로 지금 진실로 그렇게 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768]

4. 죽음에 대한 승리의 확신 15:50-58

바울은 이 단락에서 이 모든 것이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부활에 대한 계시를 절정에 달했습니다. 여기에서 그는 휴거 때 살아 있는 신자들의 예외적인 경우도 다루었다(참조, 살전 4:13-18). 살아 있는 각 신자의 영과 혼과 몸의 변화는 그 사람이 미래 존재의 영적 형태로 들어가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그리스도께서 그리스도인들을 자신의 집으로 부르실 때 일어날 것입니다(참조, 요 14:1-3).

15:50 사도의 서문은 그의 생각이 새롭게 출발함을 가리킨다. “살과 피”라는 문구는 일반적으로 죽을 몸을 의미하며 특히 이 구절에서 살아 있는 필멸자를 가리킨다. 이것은 인간과 인간의 육체에 대한 바울의 세계에서 친숙한 관용어였습니다. 우리가 현재의 육신으로는 하나님 나라의 하늘 영광에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과 하나님의 나라를 상속받는다는 것은 신약성경에서 사용되는 동의어인 것 같습니다. 일부 해석자들은 바울이 지상의 천년왕국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믿습니다.  다른 견해는 그가 천국을 의미했다는 것입니다. " 썩기 쉬운 것 "은 현재 우리를 묘사하는 또 다른 용어이지만 죽음을 통해 우리의 현재 몸이 파괴되는 것을 강조합니다. 나는 바울이 인간이 천국에 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불멸의 몸을 가져야 합니다.

15:51 “보라”라는 단어는 독자의 주의를 끌고 중요한 것을 알려줍니다. 바울은 이전에 결코 계시된 적이 없는 어떤 것을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비밀(헬. 신비 ; 참조, 마 13:11; 롬 11:25; 16:25; 고전 2:7; 4:1; 13:2; 14:2; 엡 1:9; 3:3-4, 9; 5:32; 6:19 등). 신약성서의 저자들이 사용했던 신비란 현재 감춰진 것이 아니라 이전에는 감춰졌다가 이제 드러난 것입니다. 바울은 이전에 휴거 때에 하나님께서 살아 있는 그리스도인들을 공중에서 주님을 만나기 위해 공중으로 끌어 올리시기 전에 죽은 그리스도인들이 먼저 일어날 것이라고 썼습니다(살전 4:15-17).

이제 바울은 살아 있는 신자들이 승천할 뿐 아니라 즉시 영적인 몸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리가 다 변화하리라.” 휴거를 다루는 세 가지 주요 신약 성경 구절은 요한복음 14:1-3, 고린도전서 15:51-53, 데살로니가전서 4:13-18입니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새 몸을 받기 전에 죽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 심지어 “영적인” 고린도 교인들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할 것입니다. 휴거가 일어날 때 우리 신자들은 살아 있든 죽어 있든 그 순간에 우리 모두는 영적인 몸을 받게 될 것입니다. "모두"는 교회의 "부분적 휴거" 교리, 즉 휴거를 의식적으로 기다리는 그리스도인들만이 휴거에 참여할 것이라는 견해를 부정합니다. [772]

15:52 이 변화는 점진적인 과정이 아니라 순간적인 과정이 될 것입니다. 순간( atomos ) 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는 분할할 수 없는 시간의 단편을 의미합니다. "눈 깜박임"은 단 몇 분의 1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나팔 소리는 그리스도인들을 천국 본향으로 불러올 것이다(참조, 살전 4:16). 그것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신앙인의 운명을 연결하는 마지막 나팔이며, 현재의 존재의 끝과 미래의 존재의 시작을 알리는 나팔입니다. [773]

“마지막 나팔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일부 사람들이 그것을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일곱 나팔 심판과 연결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혼동을 줍니다. 성경 시대에 나팔은 신호 장치로 불었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나라가 행진을 시작할 때 나팔이 불었습니다. 행군을 멈출 때 또 다른 나팔이 불더라 각 계열마다 첫 나팔과 마지막 나팔이 있을 것이나 한 행사의 마지막 나팔이 다른 행사의 마지막 나팔이 아닐 것이므로 여기서 교회의 마지막 나팔은 나팔이 아닌 천사들이 부는 일곱 나팔은 하나님께서 이 땅에 심판을 내리실 큰 재앙을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역사상 마지막 나팔을 불게 될 것입니다(계 8:6-9:21; 11:15-19). 마태복음 24장 31절에 나오는 큰 나팔 소리'는 모든 성도들이 천년왕국에 들어가기 위해 집합한다는 신호가 될 것입니다." [774]

"우리는 성 바울이 실제 나팔 소리가 죽은 자를 깨우고 소환할 것이라고 믿었다고 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언어는 당시의 묵시적인 사상에 따른 상징적입니다. 요점은 죽은 자의 부활과 산 자의 의지의 변화라는 것입니다. 이는 동일한 신호에 복종하는 두 회사의 동시적인 것입니다." [775]

일부 환난 후론자들은 이 나팔을 계시록 11:15-18의 일곱 번째 또는 마지막 나팔과 동일시합니다. 이것은 제가 보기 에는 타당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른 나팔은 미래에 있을 다양한 다른 사건을 알리는 소리를 낼 것이다(참조, 마 24:31; 계 8:2, 6, 13; 9:14; 등). 그러나 교회시대에 살고 있는 그리스도인, 신자들은 그때 이 땅에 없을 것이고, 그 나팔소리도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이 마지막 나팔은 성경이 말하는 마지막 나팔이 아닙니다. 바울이 휴거 당시에 살았던 그룹에 자신을 포함시켰다는 사실은 그가 그 사건이 임박하게(즉, 어느 순간에나; 참조, 살전 4:15, 17)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음을 보여준다 . 만일 그가 환란이 휴거에 앞서 있다고 믿었다면 그가 여기서 그것을 언급하는 것이 당연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휴거 를 다루는 구절이나 절에서는 휴거 이전에 반드시 일어날 사건을 언급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예언적 시간표에 따른 다음 사건이다.

"그리스도의 재림은 언제나 임박합니다. 우리는 그것을 지켜보는 일을 결코 멈춰서는 안 됩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그것이 너무 가까웠다고 생각하여 그들의 생애 동안 예수님의 재림의 가능성에 직면했습니다. 바울은 그 일이 일어날 때 자신도 아마 살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780]

"간단한 사실은 바울이 그리스도께서 언제 오실지 몰랐다는 것입니다. 그는 우리가 처해 있는 정확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가 알고 있는 것과 우리가 아는 것은 그리스도가 언제든지 오실 것이라는 것뿐입니다." [781]

바울은 누가 이 나팔을 불 것인가, 누가 듣게 될 것인가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그 나팔이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은유로 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역사 전반에 걸쳐 하나님은 그 나라를 위한 그분의 사역을 알리셨고, 문자 그대로 나팔을 불면서 그분의 백성을 자신에게로 부르셨습니다(출 19:16, 19; 20:18; 레 25:9; 민 10:2). , 8-10; 등). 그러므로 그분은 휴거 때에도 이 목적을 위해 문자 그대로 나팔을 사용하실 것입니다.

성경은 역사상 부활이 있을 때를 적어도 네 번이나 밝히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이 첫 번째 부활이었습니다. 구약 시대에 다시 살아난 사람들은 소생을 경험했다가 나중에 다시 죽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신 직후에 살아난 성도들의 몸(마 27:52-53)도 분명히 야이로의 딸, 나인의 아들의 과부, 나사로처럼 소생을 경험했다가 나중에 다시 죽었습니다.

둘째, 죽은 그리스도인들(교회 시대에 살아 계신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은 교회의 휴거 때 부활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52절; 살전 4:16). 셋째, 구약의 성도들과 환난의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재림 직후에 부활할 것입니다(단 12:2; 계 20:4). 넷째, 역사를 통틀어 모든 불신자들과 천년왕국 동안 죽은 신자들이 천년왕국 끝에 부활할 것입니다(계 20:13). [782]

예수님의 부활하신 몸처럼 신자들도 부활한 몸에 상처를 갖게 될까요? 우리가 죽었을 때 과체중이었다면 그렇다면 우리도 과체중이 될까요? 현재로서는 이러한 질문과 많은 유사한 질문에 답할 수 없습니다. 나는 미래에 우리가 갖게 될 몸이 무엇이든 간에 하나님께 가장 영광을 돌리는 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가끔 애완동물이 죽으면 천국에 갈 수 있는지 묻습니다. 천국은 성경에서 인간과 천사와 같은 영적 존재를 위해 예비된 장소로 나타납니다. 한 엄마가 자신의 애완 고양이가 죽은 후 딸을 위로하려고 했습니다. 그녀는 "걱정하지 마세요, 자기야. 플러피는 천국에 있을 거예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녀의 실용적인 딸은 "하느님께서 죽은 고양이에게 무엇을 원하시겠어요?"라고 대답했습니다. 한 어린 소년이 아버지에게 자신이 사랑하는 개가 천국에 있을지 물었습니다. 아버지는 현명하게 대답했습니다. "만약 그분이 당신을 행복하게 하시기 위해 천국에 계시다면, 저는 그분이 그곳에 계실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5:53 ​​죽은 사람은 썩지 않는 몸으로 다시 살아날 것이며, 산 사람도 불멸의 몸을 받을 것입니다. 바울은 이 구절의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에서 각각 자신이 선택한 서로 다른 용어로 죽은 자와 산 자를 대조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차이는 중요할 만큼 강력하지 않습니다. 죽은 자와 산 자 모두 썩지 아니할(즉, 불멸의) 몸을 받을 것이다.

15:54 이 변화는 이사야 25:8의 예언을 성취할 것이다. 바울이 방금 밝힌 내용은 예언적 성경과 일치합니다: 하나님은 죽음을 이기실 것입니다(참조, 23-28 절).

15:55 바울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 죽음(의인화)이 최악의 일을 하도록 하는 호세아의 도전적인 도전을 수정했으며(호 13:14), 그는 이 구절을 사용하여 죽음 자신을 조롱했습니다. 죽음은 사람들의 마지막 원수이다(참조, 25 절).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을 생명으로 일으키실 때 그것을 물리칠 것입니다.

15:56 죄로 인해 죽음의 치명적인 독침이 인간에게 닿았습니다(롬 6:23). 죄를 죄되게 만드는 것은 하나님의 율법입니다(롬 7:7-11).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를 이기시고 율법을 완성하셨기 때문에 사망이 그 먹이를 잡을 수 없습니다(롬 5:12-21). 죽음은 우리에게서 필멸의 생명을 앗아간다는 의미에서 여전히 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불멸의 영광스러운 삶으로 들어가는 문이기 때문에 신자에게는 두려운 것이 아닙니다.

15:57 율법과 죄와 사망의 정죄에 대한 승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에게 옵니다(참조, 롬 8:2). 이에 대해 바울은 모든 신자가 마땅히 그래야 하는 것처럼 하나님께 매우 감사했습니다(참조, 롬 7:25). "하나님께 감사하옵소서!"

15:58 바울은 현재에도 신실하라(“확고하고” “움직이지”)라는 권고로 부활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했다(참조, 4:16-17; 5:13; 6:20; 7:40; 10 :31-33; 11:33-34; 12:31; 14:39-40).

“바울이 15장 논증을 절정에 이르게 하는 장엄한 고조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말은 50-57절의 미래 희망과 승리에 대한 확실한 말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권면이다(58절). 따라서 서신서의 큰 관심인 종말론적 구원은 합당한 행위를 포함하거나 단순히 바울이 전하는 복음이 아니다.” [784]

“종말론은 도덕적 의미를 갖는다(6:13-14; 15:30-32, 58).” [785]

바울의 권고는 단지 윤리적인 행동(참조, 33-34 절)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주의 일에 더욱 힘쓰는" 복음의 일인 지상 명령을 이행하는 데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을 요구합니다. 바울은 고린도인들이 목표에 집중하도록 돕기 위한 격려적인 인센티브로 이 장을 마감했습니다. 그 목표에는 언젠가 신실한 봉사에 대한 보상이 포함될 것입니다. “너희 수고가 주 안에서 헛되지 않은 줄을 앎이니라.”

G. 캠벨 모건(G. Campbell Morgan)은 이 구절이 바울이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교제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는 "크고 근본적인 확증"을 소개한 1장 9절 이후로 바울이 이 서신에서 쓴 모든 것을 마무리한다고 믿었습니다. 모든 중간 자료는 이 교제를 방해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786]

이 장은 고린도 교회의 ​​일부 사람들이 부활을 부인하여 그 메시지에서 떠날 위험에 처해 있던 복음 메시지에 대한 검토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굳건하게 있으라는 명령(58절)은 아마도 주님과 사도들이 전해 준 대로 복음 안에 굳건히 머무르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바울의 독자들은 그것에서 멀어져서는 안 되며, 그 안에 흔들리지 말아야 합니다. 그들은 또한 바울이 그랬던 것처럼(10절) 주님을 섬기기 위한 노력(“항상 탁월함”)을 더해야 합니다. 신자는 현재만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32절) 미래를 분명히 염두에 두고 현재에 살아야 한다(참조, 1:9; 9:26). 어느 날 우리는 우리의 청지기 직분에 대해 보고해야 할 것입니다(3:12-15).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저편에 있는 일을 우리에게 알려 주려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이가 없느니라. 그러나 사도들을 통한 그분의 증언은 우리에게 죽음 이후에도 생명과 육체적 부활이 있다는 확신을 주기에 충분합니다. 우리는 멸망치 않는 변화된 몸을 입고 그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와 우리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죄를 덮은 채 우리 존재의 단계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787]

G. 예루살렘 신자들을 위한 헌금 16:1-12

나는 이 부분을 바울의 결론적 논평보다는 고린도교인들이 바울에게 물었던 질문을 다루는 다른 부분과 함께 포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왜냐하면 이 부분이 peri de (“지금에 관하여”, 7:1, 25; 8:1; 12:1; 16:12; 참조, 8:4). 아마도 그들은 바울이 모이는 헌금에 대해 편지나 메신저를 통해 문의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이 서신에서 가장 대립이 적은 부분이다. 여기서도 긴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모음집에 대한 문제는 고린도후서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대부분의 고대 편지는 간단했고 많은 수가 사업과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바울의 서신 대부분은 도덕적인 주제에 대해 담론하는 철학자들의 편지와 더 유사하지만 사업에 대해서도 다룰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788]

“이 장은 오늘날 우리의 필요와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청지기 직분의 세 가지 영역, 즉 돈(고전 16:1-4), 기회(고전 16:5-9), 그리고 사람들(고전 16:10-24) 이것은 아마도 오늘날 교회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자원일 것이며 낭비되어서는 안 됩니다.” [789]

15장 마지막 절과 16장 첫 절 사이에는 논리적인 연결이 있습니다. 이 모음집은 고린도 신자들이 20세기를 통해 얻은 승리를 생각하여 탁월하게 되어야 했던 "주의 일"의 일부였습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 [790]

1. 헌금을 위한 준비 16:1-4

16:1 고린도 교인들은 바울이 예루살렘에 있는 가난한 성도들을 위해 모인다는(헬라어 로게이아 , 추가 헌금) 소식을 듣고(3절) 헌금하고 싶어 한 것 같습니다 . 야고보, 베드로, 요한은 바울과 바나바에게 예루살렘에 있을 때 가난한 자들을 기억하라고 격려했습니다(갈 2:10; 참조 행 11:27-30).

"유대인의 의식과 의식에 번영이 크게 좌우되는 도시에서 기독교로 개종하는 사람들은 일자리를 확보하고 재정적 지원을 얻는 데 특별한 [특별한]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791]

바울이 여기에서 언급한 갈라디아 교회들에게 지시한 지시에 대한 기록은 현존하는 다른 어떤 서신에도 없습니다. 갈라디아 교회는 비시디아 안디옥, 이고니온, 리스트라, 데르베를 포함하여 갈라디아 남부에 있던 교회였던 것 같습니다. 바울은 이 서신을 쓴 곳인 에베소를 향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이 지역을 통과했습니다(행 18:23).

16:2 교회가 설립된 초기부터 그리스도인들은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여 예배를 드리기 위해 일요일에 모였습니다. 주님은 이것을 명하지 않으셨으나 곧 그것이 관례가 되었습니다. 구원받지 못한 유대인들은 토요일에 모였습니다.

"이것은 사도 교회가 주일의 첫날을 일찍 봉헌한 것에 관한 우리의 최초의 증거입니다. 분명히 '주의 날'이라는 이름은 아직 사용되지 않았으며, 주일의 첫날은 결코 '안식일'이라고 불리지 않습니다. 성경에." [792]

특히 이 날은 성찰 예배를 위해 모인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의 책임을 검토하는 날이었기 때문에 일요일은 동료 신자들을 위해 돈을 따로 저축하는 자연스러운 기회였을 것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인 개인이 나중에 분배하기 위해 자신이 소유한 돈을 저축해야 하는지, 아니면 교회 관리가 그렇게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사도의 언어로 볼 때 전자의 대안이 더 타당해 보인다. [793]

또한 바울은 주님께서 그들에게 축복하신 대로 해야 한다는 점 외에는 얼마나 떼어 놓아야 하는지 말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금액은 전적으로 기부자의 몫이었습니다. 바울은 여기에서 소득에 비례하여 기부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앞서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가 이 교회를 구성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11:21). 바울의 조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중에 자금을 크게 인출할 필요가 없도록 지금 정기적으로 조금씩 저축해 두십시오.

“기독교 기부의 본질적인 특징은 여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1) 기부 시간, (2) 기부의 규칙성, (3) 기부 참여자, (4) 기부의 기초, (5) 기부 방식 기부." [794]

"내가 텍사스에서 한 교회를 목회할 때, 내 장교 중 한 명이 코카콜라 공장을 여러 대 소유하고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우리 마을에 있었습니다. 그는 돈이 많은 사람이었고 우리가 사냥을 하러 가던 목장을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종종 그는 나에게 왜 십일조에 대해 설교하지 않는지 물었습니다. 어느 날 나는 '왜 십일조에 관해 설교해야 합니까?'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왜냐하면 그것이 성경의 베푸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나는 '그렇습니다. 그것은 구약의 헌금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은혜 아래서는 십일조를 그렇게 해야 한다고 믿지 않습니다.'라고 동의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나에게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라고 물었습니다. 나는 그를 다음 구절로 데려갔습니다. '하나님이 그에게 형통하게 하신 것 같이'. 지금은 대공황 때였습니다. 저처럼 나이가 많으신 분들은 1930년대 대공황이 매우 심각한 시기였다는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그래서 제가 그에게 '뭔가 이상한 이유에서 코카콜라가 팔고 있는데, 아주 잘하고 계시네요. 그런데 우리 교회에 지금 십일조를 못 드리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나님께서 십일조를 하라고 하신다는 게 믿어지지 않습니다. 그들은 풍족한 대로 내야 하고 절반도 내야 합니다.' 이 사람이 다시는 나에게 십일조에 대해 설교하자고 제안하지 않았다는 것을 아십니까? 그 이유는 그가 십일조를 냈지만 하나님께서 그에게 형통하게 하신 대로 헌금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795]

"신의 축복 없이는 부지런한 손이 저절로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은 그분의 은총이자 축복입니다." [796]

16:3 바울은 기부하는 각 교회, 또는 가능하다면 각 교회 그룹의 대표자들을 예물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보낼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가 언급한 편지들은 자신이 쓴 소개장이었을 것입니다. 당시 바울은 직접 이 여행을 갈 계획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한 절차는 돈이 안전하게 도착하고 모든 사람이 전체 프로젝트가 정직하게 수행된 것으로 볼 수 있도록 보장할 것입니다(참조, 고후 8:21).

16:4 사도는 이것이 최선이라고 생각된다면(“나도 가는 것이 합당하다면”) 무리의 일원으로(“저희가 나와 함께 갈 것임”) 예루살렘으로 갈 가능성에 열려 있었습니다. 그는 이 편지를 쓴 후 가기로 결정했고(롬 15:25-26) 실제로 갔다(행 20:16, 22, 21:17, 24:17).

"기독교국의 어머니 교회가 필요에 따라 딸 교회들에 의해 부양되어야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으며, 동시에 그가 이 기부금을 모으고 그들에게 전달하기를 가장 열망하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감동적인 상황입니다. 그 이전에 핍박하던 열심이 의심할 바 없이(행 26장 10절을 보라) 그 성도들 중 적지 않은 사람을 과부와 고아로 만들었느니라 .” [797]

“우리 구주께서 잃어버린 세상을 위해 자신을 내어 주시기 위해 하늘에서 오셨을 때 우리 구주께서 감동을 주셨던 동일한 사랑을 신자들이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러한 실제적인 사역입니다. 그들을." [798]

"목회자들이 자선 사업을 홍보하거나 도울 때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799]

이 몇 구절은 고린도후서 8~9장, 빌립보서 4장 10~19절, 로마서 12장 8절과 함께 개인 그리스도인과 교회에 헌금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바울이 옹호한 원칙은 기부를 위해 저축을 정기적으로 해야 하며, 기부는 주님의 물질적 공급에 응답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신자들은 자신의 은사를 정직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그들이 행한 모든 일은 비난할 여지가 없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그것을 그렇게 인식해야 합니다.

바울은 여기에서든 다른 곳에서든 십일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모세의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규정하신 헌금 방식입니다. 고대 근동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예배 행위로 십일조를 실천했다(참조, 창 28:22). 그것은 또한 공통세이기도 했다. 이것은 일부 현대 국가에서는 여전히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모든 사람의 세금 중 일부가 영국 교회를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부 주민들은 세금 중 이 부분을 교회에 대한 기부금 또는 십일조로 간주합니다. 모세의 율법은 실제로 이스라엘 사람들이 수입의 약 22%를 하나님께 돌려드릴 것을 요구했습니다(참조, 레 27:30-33; 신 12:5-6, 11, 18; 14:28-29). [802]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모세의 율법 아래 있지 않습니다(롬 10:4; 등).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나 사도들이 십일조를 명하지 않았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입니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쳤고(창 14:20) 야곱이 십일조를 드렸기 때문에(창 28:22) 십일조는 모세 율법보다 앞선 것이며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에게 구속력이 있다고 믿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적 실천은 성경적 교훈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더욱이, 신약성경에 십일조에 대한 언급이 없고 다른 지침이 있다는 사실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이 다른 방법을 따르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그리스도인의 헌금에 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은 신약성서 전체에 나타나 있지만 주로 고린도전서 16장, 고린도후서 8~9장, 빌립보서 4장에 나와 있습니다.

"압력도 없고, 속임수도 없고, 감정도 없습니다. 필요가 충족되어야 했고, 고린도인들은 그 안에서 역할을 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면에서 눈에 띄는 돈 캠페인이 벌어지는 시대에, 보다 일관되고 목적이 분명한 접근 방식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803]

"오늘날 많은 기독교인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것보다 이웃의 지위 상징과 경쟁하는 데 더 관심이 있습니다." [804]

2. 바울과 동료 사도들의 여행 계획 16:5-12

앞 구절에서 밝혀진 것처럼, 바울의 계획은 어느 정도 잠정적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고린도로 돌아가고 몇 달간 머물기를 기대한다는 사실을 고린도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습니다. 디모데와 아볼로도 돌아올 수 있습니다.

16:5 편지를 쓸 당시 바울은 에베소에서 북쪽으로 갔다가 서쪽으로 가서 마케도니아에서 얼마 동안 머물 계획이었습니다. 마케도니아는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뢰아가 있던 고린도 북쪽의 로마 속주였습니다. 그의 계획은 남쪽의 고린도(Corinth)로 여행하는 것이었다. 바울은 나중에 이 계획을 변경하여 에베소에서 고린도로 직접 여행한 다음(고후 2:1; 12:14; 13:1-2) 에베소로 돌아왔습니다(참조, 고후 2:5-8; 7: 12). 나중에 그는 마케도니아와 고린도를 방문했습니다(고후 2:12-13; 7:6-16). [805]

16:6-7 바울은 고린도에서 겨울을 보냈다. 그러나 그 겨울은 그가 그곳에 있기를 기대했던 그 이후의 겨울, 즉 56-57년이 아니라 AD 57-58년의 겨울이었다(참조, 행 20:2-3; 로마서 16:1, 23). 그는 고린도를 오랫동안 방문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그가 이 편지에서 언급한 교회의 문제들을 고려하여 우리는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6:8 유대인들은 5월 말이나 6월 초에 오순절을 기념했기 때문에 바울은 아마도 주후 56년 봄에 고린도전서를 썼을 것이다(참조, 5:7; 15:20). 그가 유대인 복음화를 마음에 품은 유대인 신자였기 때문에 오순절(레 23:15-21)과 같은 유대력의 중요한 사건들을 언급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아마도 초기 기독교인들은 오늘날 많은 교회보다 교회 생활의 중요한 사건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을 것입니다. "기독교의 해"를 지키는 교회는 이러한 기념일을 더 많이 지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오순절은 성령 강림을 알리는 날이기도 합니다(행 2장).

16:9 바울은 때때로 문을 기회에 대한 은유로 사용했다(참조, 고후 2:12; 골 4:3). 그는 그곳에서 효과적인 봉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3년 동안 에베소에 머물렀습니다. 그는 그곳의 대적들을 문이 닫혀 있다는 표시로 여기지 않았고, 하나님께서 그가 더 편안한 사역으로 나아가기를 원하신다는 표시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조언을 따랐으며 에베소에서 "견고하고 흔들리지 않고" "주의 일에 탁월한" 상태를 유지했습니다(15:58).

"대적과 반대는 신실한 목회자들의 정신을 꺾지 못하고 그들의 열심을 불붙일 뿐입니다." [806]

16:10-11 디모데가 에베소에서 고린도를 방문한 일은 더욱 확실했다. 바울이 이 서신을 기록할 때(4:17) 이미 그를 보냈거나(그리고 에라스도; 행 19:22) 그를 보내려고 하던 중이었습니다. 분명히 디모데는 상대적으로 젊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그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는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참조, 딤전 4:12). 바울은 외모로 판단하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디모데에게 바울과 함께 주님의 일을 하는 데 합당한 존경을 표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바울이 마케도니아를 방문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직접 고린도로 가도록 마음을 움직인 것은 디모데가 에베소로 돌아왔을 때 고린도의 상황에 대해 보고한 것일 수 있습니다. 나중에 바울은 이 방문이 고통스러웠다고 언급했는데, 왜냐하면 그가 고린도에 있는 동안 강한 반대에 부딪혔기 때문입니다(참조, 고후 2:1-8; 7:12; 12:14; 13:1-2).

16:12 이 절에는 고린도인들이 그에게 질문한 것에 대한 바울의 마지막 대답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핵심 문구 peri de ("현재 관련")의 여섯 번째 인스턴스입니다. 이 절에서 알 수 있듯이(참조, 1:12) 바울과 웅변가 아볼로의 관계는 완전히 우호적이었다. 우리는 아폴로가 왜 디모데와 함께 고린도를 다시 방문하기를 원하지 않았는지, 그가 그 도시를 다시 방문한 적이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IV. 결론 16:13-24

사도 바울은 일련의 명령과 권고, 뉴스 기사로 이 서신을 마무리했습니다.

A. 마지막 권고 16:13-18

이 서신의 각 부분은 몇 가지 실용적인 권고로 마무리됩니다. 이 구절은 전체 편지에 대한 요약 권고를 구성합니다.

16:13-14 바울은 다소 불안정한 독자들에게 교회 내부와 외부로부터의 위험을 조심하라고 촉구했습니다(참조, 행 20:29-30). 이 교회의 문제 대부분은 이교의 영향으로 인해 회중 내에서 발생한 것 같습니다. “깨어 있으라”는 주님의 다시 오심을 기대하면서 때때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그 사건(휴거)은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들을 조심해야 할 필요성뿐만 아니라 바울의 마음에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예: 마 24:42). 그의 독자들은 또한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그의 말씀과 뜻에 대한 헌신에 굳게 서야 한다(참조, 15:58).

고린도의 신자들은 미성숙한 어린이처럼 행동하기보다는 성숙한 남자처럼 행동해야 합니다(참조, 1:12). 이 권고는 용기와 성숙함을 모두 요구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믿음이 약하기보다는 주님 안에서 강해야 한다(참조, 수 1:7-8) .

"당신은 나에게 약하고 흔들리는 신자를 보여 주지만 나는 당신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는 그리스도인을 보여 주겠습니다. 강하고 헌신적이며 열렬한 그리스도인, 오직 주님의 영광만을 구하는 사람을 보여주십시오. 예수 그리스도님, 책에 기록된 분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808]

"그러므로 당신이 힘을 원한다면, 이것이 당신이 얻는 방법입니다. 그리스도와 교제하며 살고, 성령 안에서 행하고, 그분의 말씀을 먹고, 그분의 말씀에 순종하십시오. 그러면 시련의 시간이 올 때 당신은 약해지지 않을 것입니다. 무릎을 꿇고 흔들리지 아니하며 바람 앞에 흔들리지 아니하고 설 수 있는 힘을 얻으며 불 가운데에서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리라.” [809]

무엇보다도 사랑은 바울의 독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구별해야 합니다(13장). 이것이 이 교회에 가장 필요한 것이었다. 13절과 14절은 바울이 이 편지에서 기록한 모든 내용에서 독자들에게 기대했던 바를 요약합니다.

16:15-16 우리가 본 것처럼 고린도인들은 권위에 복종하는 데 특별한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교회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하고 싶어했습니다. 16-18절은 그들에게 덜 화려한 주님의 종들에 대해 감사하도록 격려했을 것입니다.

스데바나와 그의 가족은 고린도가 속한 로마 지방 아가야 지방에서 바울의 첫 번째 개종자들이었습니다(1:16). 그들은 고린도 사람들을 섬기는 데 비이기적으로 자신을 바쳤습니다. 그들은 아마도 바울에게 충성을 다했을 것입니다. 바울은 독자들에게 스데바나와 그의 가족들의 사역에 대해 감사하고 그들을 무시하지 말고 겸손히 그들에게 복종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들은 이 신자들과 같은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존경심으로 대해야 합니다. 지위가 아니라 봉사가 교회에서 명예의 기초가 되어야 합니다.

16:17-18 스데바나는 최근에 다른 두 고린도 신자인 포르투나투스와 아가이고와 함께 에베소에 있는 바울을 방문했습니다. 그들은 바울이 이 편지에서 대답한 질문들과 교회의 상황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왔을 것입니다. 고대 성서 세계에서는 여행자들이 정부 업무를 제외한 모든 우편물을 가지고 다녔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고린도에서 그랬던 것처럼 바울에게 상쾌한 사역을 주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이 그들에게 합당한 존경을 확실히 베풀기를 원했습니다.

나. 마지막 인사와 축도 16:19-24

“이제 편지는 일련의 (바울을 위한) 표준 문안(19-22절)과 은혜의 축복(23절)으로 끝납니다. 그러나 바울은 편지의 긴급성을 도저히 포기할 수 없어서 이 두 가지를 중단합니다. 그에게 슬픔을 안겨준 사람들에게 마지막으로 경고하는 말과 함께 그의 결론의 다소 끊임없는 요소들이 이번에는 특별한 저주의 형식으로 주어졌습니다(22절). 그들에 대한 그의 사랑을 확언하는 마지막 말(24절)은 그의 현존하는 편지들에서만 발견됩니다. 따라서 끝까지 이 편지를 만든 독특한 관심이 표현됩니다." [811]

16:19 바울이 그 수도인 에베소를 활동 거점으로 삼는 동안 로마의 아시아 속주에 여러 교회가 생겨났습니다(행 19:10). 신약성서에서 "아시아"에 대한 언급은 소아시아(현재의 서부 터키) 지리적 지역의 서쪽과 남서쪽에 위치한 로마의 아시아 속주를 일관되게 지칭합니다.

아굴라와 브리스가(브리스길라)의 이름은 신약성서에서 대개 역순으로 나온다. 분명히 바울을 포함한 그들의 친구들은 두 명령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그들이 조화로운 팀으로 주님을 섬겼음을 암시합니다. 그들은 로마를 떠난 후 고린도에 살았고(행 18:2), 바울이 그들을 처음 만난 곳도 그곳이었던 것 같습니다. 나중에 그들은 바울과 함께 고린도를 떠나 에베소로 여행하여 그 도시에 정착했습니다(행 18:18-21). 그 후 에베소에 있는 그들의 집은 교회의 모임 장소가 되었습니다(참조, 롬 16:5). 교회 건물은 3세기까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812]

16:20 거룩한 입맞춤, 즉 성도들이 교환했기 때문에 거룩한 것(1:2)은 신자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습이었으며, 오늘날에도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그렇습니다.

“거룩한 입맞춤(참조, 고후 13:12; 롬 16:16; 살전 5:25[원문 , 26]; 베드로전서 5:14)은 주로 사랑과 용서와 사랑의 상징적 표현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존재해야 할 일치로서 그것은 성찬 준수의 서막으로 성찬을 거행하는 것과 연관되게 되었습니다(참조, Justin Apology 1. 65. 2). 이것은 신자들을 하나로 묶는 가족적 유대의 표시였습니다. 신약 시대에는 그것이 자신의 성별에만 국한되었다는 증거가 없습니다(참조, 눅 7:37, 45). 입맞추기 위해 성별을 분리하자는 제안은 2세기 후반에 비기독교인의 비판과 성적 학대의 위험(참조, Athenagorus Supplication 32; Clement of Alexandria Pedagogue 3. 81. 2-4). [813]

16:21 바울은 관례적으로 그의 편지를 받아쓰게 하고 보조자는 그것을 받아 적었다(참조, 롬 16:22). 그러나 그는 대개 자신의 서신이 자신에게서 온 것임을 입증하는 인사말을 손으로 마지막에 덧붙였습니다(참조, 갈 6:11; 골 4:18; 살후 3:17). 다음 내용은 아마도 그가 추가한 내용일 것입니다.

16:22 일반적으로 바울은 “사랑”을 뜻하는 헬라어 단어 아가페를 사용했다 (딛 3:15 제외). 여기서 그는 phileo 를 사용했습니다 . 결과적으로 이것은 신자들이 교회의 회중 예배에서 사용했던 말이었을 것이다. "마라나타"는 "우리 주님, 오시옵소서"라는 뜻의 아람어 표현입니다. 아마도 바울은 이 단어를 헬라어로 번역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신자들이 초대교회 예배에서 이 단어를 아람어로 자주 사용했기 때문이다(참조, 계 22:20). 아람어였으므로 이 단어는 아마도 사람들이 그 언어를 사용했던 이스라엘 땅에서 유래했을 것입니다. 그들은 아마도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그리스어 회중들에게 그것을 수출했을 것입니다.

"그리스 교회에 보낸 그리스 편지에서 아람어 문구를 만나는 것은 이상합니다. 설명은 그 문구가 표어와 암호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초대 교회의 중요한 희망을 요약했고, 그리스도인들은 이를 각 사람에게 속삭였습니다. 이방인이 이해할 수 없는 언어로 서로를 식별하였느니라." [814]

“그러면 초기 기독교인들이 '마라나타'라는 용어를 고정적으로 사용한 것은 그리스도의 임박한 재림에 대한 그들의 강한 믿음을 증거한 것 같습니다. 만약 그들이 다른 사건들로 인해 그리스도가 어느 순간에도 재림하실 수 없다는 것을 안다면 또는 먼저 일어나야 하는 기간(즉, 환난)이 있는데, 왜 그들은 그분이 언제든지 오실 수 있음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그분께 청원했습니까?" [815]

"마라나타"는 "주님, 오시옵소서" 또는 "주님께서 오십니다"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16:23-24 바울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기도하는 마음의 축복으로 이 강력하면서도 사랑이 넘치는 서신을 마무리했습니다. 이 편지도 “은혜를 베푸소서”(1:3)로 시작된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은혜는 기독교 복음 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자기 백성을 위해 행하셨고 행하실 일을 가장 완전하게 표현하는 단일 단어입니다." [816]

바울은 또한 자신을 지지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고린도의 모든 신자들을 사랑한다는 확신도 덧붙였습니다.

부록 1

하나님 보시기에 결혼의 끝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의 가르침

마태복음 5:27-32

간음은 죄입니다. 27절(출애굽기 20:14; 신명기 5:18)

1. 음욕을 품는 것은 간음이므로 죄입니다.
28절

2. 그러므로 예수님의 제자들은 성적 유혹에 진지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vv. 29-30

3.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혼을 허락했습니다. 31 절

4. 이혼했다가 다른 사람과 재혼하는 사람은 간음하는 것입니다. 32절

5. 그러나 이혼한 당사자가 음행을 하여 재혼해도 간음은 되지 않습니다. 32절

6. (결혼 불성실, 그리스어 포르네아는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 성관계를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7. 요약: 이혼은 허용되지만 결코 하나님의 최선은 아닙니다(말 2:16).

마태복음 19:9

(위의 5~7번 항목과 동일합니다.)

마가복음 10:11-12; 누가복음 16:18

(위의 5번 항목과 동일합니다.)

바울의 가르침

1 오호. 7:11-16

1. 이혼하는 그리스도인에게는 두 가지 선택권이 있습니다: 미혼으로 남거나 화해하는 것입니다. vv. 11-12

2. 비기독교인과 결혼한 그리스도인은 이혼을 해서는 안 됩니다. 13 절

3. 비그리스도인과 결혼한 그리스도인은 배우자가 이혼을 주장하더라도 이혼 허락을 거부해서는 안 됩니다. vv. 14-16

1 오호. 7:39-40

1. 오직 죽음만이 하나님 보시기에 결혼을 끝냅니다(간음, 결혼 불성실, 이혼이 아님). 39 절

2. 과부와 홀아비는 다른 그리스도인과 자유롭게 재혼할 수 있습니다. 39 절

3. 하지만 결혼하지 않은 채 지내면 더 행복할 수도 있습니다. 40 절

부록 2

영적인 은사에 대한 나의 이해 요약

 

제가 보기에는 신약성서에서는 영적인 은사를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시는 능력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능력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므로 어떤 의미에서 인간의 모든 능력은 하나님의 은사라는 점에서 영적인 은사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인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도 영적인 은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 가진 모든 것은 하나님에게서 왔으며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입니다. 하나님은 태어날 때와 출생 후 다양한 때에 사람들에게 능력을 주셨습니다.

그러나 신약에서 “영적인 자”(고전 12:1; 헬라 카리스마타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의미에서 그들은 특히 영적인 삶과 사역에 관련된 은사(또는 능력)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손의 재주, 운동능력, 지적 민첩성 등과 같은 타고난 능력은 신약성경의 영적 은사 논의에서 고려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고려하고 있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이 삶의 영적 영역과 교회에서 그리스도를 섬기며 기능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신약성서에 나오는 이러한 은사의 목록에는 나열된 것 외에 다른 은사도 허용되는 것 같습니다. 독신의 은사는 은사 ( 고전 7:7)라고 불리지만 영적인 은사의 목록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분명한 것 같습니다. 믿음, 소망, 사랑은 그리스도인들이 삶의 영적인 영역에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이고, 교회에서는 그리스도를 섬기는 일이기 때문에 나는 그것들을 성령의 열매일 뿐만 아니라 영적인 은사라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그 내용은 고린도전서 12-14장에서 바울이 영적인 은사에 대해 논의하는 핵심 부분에 두드러지게 등장합니다.

특히 사도의 은사와 선지자의 은사는 신약에서 기술적인 의미와 일반적인 의미를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다. 공식적인 사도와 선지자가 있었지만 비공식적인 사도와 선지자도 있었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두 유형의 사도와 두 유형의 선지자의 구별을 강조하기 위해 단어를 대문자로 사용하거나 일부러 대문자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사도들은 열두 사도와 바울을 더해 총 13명이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본 사람들이었고,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세우도록 친히 임명하신 사람들이었습니다(고전 9:1).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도들은 정의상(헬. 아포스톨로스 ) 메시지를 가지고 보냄을 받은 사람들이다. 이런 의미에서 1세기뿐만 아니라 교회 역사를 통틀어 많은 사도들이 있었습니다. 신약성서는 바나바, 디모데,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이런 의미에서 사도라고 부릅니다(행 14:4; 고후 8:23; 빌 2:25). 공식 사도와 직무 사도를 포함한 모든 사도의 기능은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고 세우는 것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신약에서도 선지자라는 단어를 기술적인 의미와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선지자는 주님으로부터 새로운 권위 있는 계시를 받고 그것을 하나님의 백성에게 전달하는 개인이었습니다. 이것은 때때로 미래를 예언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선지자들은 주님의 말씀, 즉 권면과 덕을 세우는 말과 위로의 말을 전했습니다(고전 14:3). 이런 의미에서 선지자들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일을 인도했다(참조, 대상 25:1). 이런 종류의 예언은 새로운 계시를 주는 것이 아니라 주님께서 선지자의 마음에 전하라고 주신 메시지일 뿐입니다. 이것이 사도행전 21:11에서 아가보가 행한 일이고 빌립의 딸들이 행한 일입니다(행 21:9). 오늘날 교회에는 선지자가 없지만 선지자는 많습니다. 설교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약성서의 선지자들이 말로 그리스도인들을 권면하고 격려하고 위로할 때 했던 일을 합니다. 구약의 선지자는 공식 선지자와 직무 선지자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공식 사도 열두 사도와 사도 바울
새로운 계시를 전함
기능적(비공식) 사도 교회 개척자와 선교사
교화와 권고와 위로를 전달함

 

에베소서 4장에서 하나님께서 교회에 주신 은사들의 목록은 역사 전반에 걸쳐 교회에 있어서 그들이 중요한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사도들과 선지자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세웠고, 전도자들과 목사-교사들은 그 터 위에 세웠습니다. 고린도전서 12장에 나오는 목록도 중요한 순서대로 나온 것 같습니다. 문맥에서 바울은 매우 탁월하고 일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도와 선지자뿐만 아니라 모든 은사가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분명한 것 같습니다.

초대교회에서 예언하는 은사와 가르치는 은사의 차이점은 예언하는 것은 주님께서 선지자의 마음에 주신 말씀을 전하는 것이었지만 가르치는 것은 성경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여자들에게 교회 집회에서 예언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가르치는 것은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가르치는 것이 비공식적인 예언에 비해 더 권위 있는 은사였기 때문입니다(고전 11:5; 딤전 2:11-12). 고린도전서 12장의 은사 목록에서 “선지자” 다음에 “선생님”이 나오는데, 그 이유는 비공적인 선지자가 아니라 공식적인 선지자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공식 선지자는 교사보다 더 많은 권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표징 은사의 중단과 관련하여 그 중단에 대한 가장 좋은 주장은 교회사에서 나온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성경은 방언의 은사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하고 암시하지만(고전 13:8; 엡 2:20; 히 2:3-4), 언제인지는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도들 이후 초기 세대에 살았던 일부 교부들은 이러한 현상이 사라지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교부들의 일부 참고 문헌에 대해서는 사도행전 주석에서 사도행전 19:6에 대한 주석을 참조하십시오.) 따라서 방언과 다른 표징의 은사가 그쳤다는 결론은 여러 성경에 근거한 추론입니다(삼위일체 교리와 같은). 한 구절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추론입니다. [817]

개인적으로 방언을 말하는 습관은 바울이 길게 논의하지 않았지만 일부 그리스도인들이 옹호하는 것입니다. 바울은 개인적으로 방언을 말하는 것은 방언하는 사람의 덕을 세우지만 교회의 덕은 세우지 못한다고 썼습니다(고전 14:4). 이 구절의 방언에 대한 전체 논의에서 바울은 외국어로 말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또한 이 능력을 정기적으로 행사하는 것에 대해서도 말씀하셨습니다. 만약 방언의 은사가 그쳤고 나는 그것이 끝났다고 믿는다면, 요점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들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능력을 공개적으로나 사적으로 행사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외국어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만일 그들이 자기 방언을 통역할 수 없다면, 침묵을 지키라는 바울의 훈계는 공적인 행위뿐 아니라 개인적인 행위에도 적용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말하는 사람을 영적으로 세워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바울이 은밀하게 방언을 말하는 사람은 자신을 덕을 세운다고 썼을 때 그 사람이 이 능력을 받았다는 사실에 격려를 받고 그 사람이 자신을 통해 어느 정도 행복을 느낀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합니다.

나는 또한 방언(또는 치유, 기적 행함 등) 현상 과 방언의 은사 등을 구별합니다 . 이 현상은 사람들이 방언을 말하는 임의의 사례를 설명합니다. 그들만의 놀라움.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삶에서 한 번 또는 몇 번만 발생합니다. 은사  자주 그리고 마음대로(성령의 통제에 따라) 방언을 말하는 능력을 설명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어떤 사람이 어떤 일에 능숙함을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그 사람을 은사라고 묘사하는데, 나는 이것이 신약성서에 나오는 성령의 은사를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차이점은 기간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 현상은 은사를 행사할 때 실제보다 더 직접적인 방식으로 하나님께서 시작하시는 것으로서, 은사를 받은 사람은 성령의 능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합니다. 나는 방언의 은사(또는 치유, 기적 행함)가 오늘날 교회에 있다고 믿지 않지만, 하나님께서 소수의 사람들에게 자신이 공부하지 않은 언어로 말할 수 있게(또는 다른 사람을 고치도록) 능력을 주실 수 있다고 믿습니다 . 등) 드문 경우입니다. 나는 이것을 신성한 재능 의 예라기보다는 신성한 개입 으로 간주합니다 . 아마도 오순절 날에 말한 방언은 은사를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개입을 예시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오순절 날에 방언을 말한 그리스도인들이 계속해서 방언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나는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았으며 이것이 하나님의 개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부록 3

 

 

 

 

 

서지

아담스, 제이. 성경에 나오는 결혼, 이혼, 재혼 . 뉴저지 주 필립스버그: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80.

아데예미, 페미. “새 언약의 율법과 그리스도의 법.” Bibliotheca Sacra 163:652 (2006년 10월-12월):438-52.

알포드, 헨리. 그리스어 성서 . 4권 새로운 에디션. 케임브리지: Deighton, Bell, and Co., 1883, 1881, 1880, 1884.

올콘, 클리프. "현재 사용하기 위해 카리스마적 표징 선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무익하다는 점에 대해." 세대주의 신학 저널 16:49 (2012년 12월):61-79.

앤더슨, J. 커비. 도덕적 딜레마: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성경적 관점 . Swindoll 리더십 라이브러리 시리즈. 내슈빌: 워드 출판, 1998.

Andrews, JN "여성이 회의에서 말할 수 있습니까?" 리뷰앤헤럴드 . 1879년 1월 2일. Adventist Review 165:5(1988년 2월 4일):17 에 재인쇄됨 .

Archer, Gleason L., Jr. 성경 난제 백과사전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82.

Arndt, 윌리엄 F., F. 윌버 깅그리치. 신약의 그리스어-영어 사전 . 네 번째 판. 시카고: 시카고 대학 출판부, 1957.

베일리, 마크 L. 그분을 따르라: 제자의 일곱 가지 표시 . 오레곤 주 자매: Multnomah 출판사, 1997.

베일리, 마크 L., 토마스 L. 컨스터블. 신약성경 탐험가 . Nashville: Word Publishing Co., 1999. Nelson's New Testament Survey 로 재인쇄됨 . 내슈빌: 토마스 넬슨 출판사, 1999.

바클레이, 윌리엄. 무슨 권위로? 밸리 포지: Judson Press, 1974.

_____.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편지 . 데일리 스터디 성경 시리즈입니다. 2판 에든버러: 세인트 앤드류 출판사, 1962.

바렛, 찰스 킹슬리. 고린도전서에 대한 주석. 하퍼의 신약성서 주석 시리즈. 뉴욕: 하퍼 앤 로우, 1968.

Bassler, Jouette M. “바울의 신학: 어디서 그리고 어디로?” 바울신학 에서 . Vol. II: 고린도전서, 후서 , pp. 3-17. 데이비드 M. 헤이에 의해 편집됨.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출판부, 1993.

베이티, 리차드. “고린도 사람들과 바울의 상호 작용.” 성서문학저널 84 (1965):139-46.

박스터, J. Sidlow. 책을 탐험해보세요 . 1960. 1권. 에드.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80.

비데일, 스티븐. “ 바울서신에 나오는  팔레 의 의미 .” 신학 연구 저널 NS5 (1954):211-15.

비트, J. 한천.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서신에 대한 해설 . 6판 런던: Hodder & Stoughton, 1895.

버딩, 케네스. "'영적 은사'의 단어와 개념 혼동: 우리는 제임스 바(James Barr)의 권고를 잊었나요?" 복음주의신학회지 43:1 (2000년 3월):37-51.

Betz, Harlan D. 영원을 위한 무대 설정: 그리스도의 심판대와 그것이 이생과 내세에서 신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킹우드, 텍사스: Falcon Publishing Ltd., 2006.

Bilezikian, Gilbert G. 성 역할 너머 .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85.

Blampied, Anne B. "고린도전서 14:34-35의 '여자들'을 위한 바울과 침묵." Studia Biblica et Theologica 18:2(1983년 10월):143-65.

Blomquist, Jean M. “영적 성장에 대한 이혼 경험의 영향.” 목회심리학 34:2 (1985년 겨울):82-91.

Brindle, Wayne A. “휴거가 임박했다는 성경적 증거.” Bibliotheca Sacra 158:630 (2001년 4월-6월):138-51.

브로드벤트, EH 순례자 교회 . 런던: Pickering & Inglis Ltd., 1931, 1955.

브루스, FF, 에디션. 고린도전서 와 고린도후서 . 신세기 성경 시리즈. 런던: 마샬, 모건, 스콧, 올리펀츠, 1971.

_____. 데살로니가전후서 . 말씀성경주석 시리즈. 와코: 단어 책, 1982.

버클리, 잭. “바울, 여자들, 그리고 교회.” 영원 31:11(1980년 12월):30-35.

번즈, J. 래니어. “방언의 목적에 대한 재강조.” Bibliotheca Sacra 132:527(1975년 7월~9월):242-49.

케어드, 조지 브래드포드. 공국과 권한 . 옥스포드 : Clarendon Press, 1956.

케언즈, Earle E. 수세기를 통한 기독교: 기독교 교회의 역사 . 3  _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58년.

캘빈, 존.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사도 바울의 첫 번째 서신 . 존 W. 프레이저 번역. David W. Torrance와 Thomas F. Torrance가 편집함. 칼빈의 주석 시리즈. 재인쇄 에드.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73.

_____. 기독교 종교 교육원 . 기독교 고전 도서관 시리즈, 20권과 21권. John T. McNeill 편집. Ford Lewis Battles가 번역함.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출판부, 1960.

캠벨, 바스. “고전 5:5의 육신과 영: 신약의 수사적 비평 연습.” 복음주의신학회지 36:3(1993년 9월):331-42.

Carson, Donald A. 십자가와 기독교 사역: 고린도전서의 구절 해설 .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및 영국 레스터: InterVarsity Press, 1993.

카슨, 도널드 A., 더글러스 J. 무. 신약성경 소개 . 2  판. 그랜드래피즈: 존더반, 2005.

채드윅, H.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I Cor. IX. 22)." 신약 연구 1(1954-55):261-75.

체이퍼, 루이스 스페리. 영적인 사람 . 1918; 개정판.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아카데미 도서, 1967.

_____. 주요 성경 주제 . 그랜드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26년, 1971년.

_____. 조직신학 . 8 권. 달라스: 달라스 신학교 출판부, 1947-48.

Chitwood, Arlen L. 그리스도의 심판석 . 노먼, 오클라호마: The Lamp Broadcast, Inc., 1986.

Clagett, John Y. “양심의 개념과 고린도 서신의 기독교 윤리와의 관계.” Th.M. 논문, 달라스 신학교, 1971.

클라크, 스티븐 B. 그리스도 안의 남자와 여자 . 미시간주 앤아버: 서번트 북스, 1980.

콜, 셔우드 A. “생물학, 동성애, 도덕적 과실.” Bibliotheca Sacra 154:615(1997년 7월~9월):355-66.

Constable, Robert L. Called Saints: 고린도전서 1-3 장 무디 만나 시리즈 연구. 시카고: 무디 성경 연구소, 1962.

_____. 살아있는 성도들: 고린도전서 4-16장 연구 . 무디 만나 시리즈. 시카고: 무디 성경 연구소, 1966.

경호원, 토마스 L. “복음 메시지.” Walvoord : A Tribute, pp. 201-17. 도널드 K. 캠벨이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82.

코니베어, 윌리엄 존, 존 사울 하우슨. 성 바울의 생애와 서신 . 런던: np, 1851; 새로운 에디션.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64.

Conzelmann, H. 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에 대한 주석 .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75.

Cousar, Charles B. “설명 기사: 고린도전서 2:1-13.” 해석 44:2(1990년 4월):169-73.

_____. “고린도전서의 신학적 과제.” 바울신학 에서 . Vol. II: 고린도전서, 후서 , 90-102 쪽. 데이비드 M. 헤이에 의해 편집됨.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출판부, 1993.

Dahms, John V. “아들의 종속.” 복음주의신학회지 37:3(1994년 9월):351-64.

다비, 존 넬슨. 고린도서에 대한 독서 노트 . 런던: 무어어, nd

_____. 성경의 개요. 5권 개정판. 뉴욕: Loizeaux Brothers 출판사, 1942.

Davis, Stephen T. Risen 실제로: 부활을 이해하기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93.

Decker, Rodney J. “새 언약과 교회의 관계.” Bibliotheca Sacra 152:607(1995년 7월~9월):290-305.

디어, 잭. 성령의 능력에 놀랐습니다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93.

다이스만, 아돌프. Paul: 사회 및 종교사 연구 . 윌리엄 E. 윌슨 번역. 하퍼 토치북 에디션. 뉴욕: Harper and Row, Harper Torchbooks, 1957.

델루즈, 가스통. 고린도전서의 동반자 . Grace E. Watt가 편집하고 번역했습니다. 런던: Darton, Longman & Todd, 1963.

성경 사전 . 제임스 헤이스팅스에 의해 편집됨. 1898년 판. 4권 Sv "주의 날", NJD White, 3:138-41.

Dillow, Joseph C. 종 왕의 통치 . 마이애미 스프링스, 플로리다: Schoettle Publishing Co., 1992.

_____. 방언 으로 말하기 : 일곱 가지 중요한 질문 .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75년, 1980년.

도빈스, 리차드. “성직자의 결혼을 훼손하는 두 가지 사악한 세력.” 사역 4:1 (1985-86 겨울):31-32, 39.

도즈, 마커스.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 런던: Hodder와 Stoughton, 1889.

달러, 조지 W. “교회사와 방언 운동.” Bibliotheca Sacra 120:480 (1963년 10월-12월):316-21.

Donfried, KP “바울의 칭의와 최후의 심판.” 해석 30:2(1976년 4월):140-52.

드러먼드, 헨리. 고린도전서 13장 에 나오는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일" . 재인쇄 에드. 세인트 루이스: 성경 기억 협회, nd

듀란트, 윌, 아리엘. 역사의 교훈 . 뉴욕: 사이먼과 슈스터, 1968년.

이튼, 마이클. 비난 없음: 확신의 새로운 신학 . 다우너스 그로브, 일리노이: InterVarsity Press, 1995.

에더샤임, 알프레드. 성전: 예수 그리스도 당시의 사역과 봉사. 재인쇄 에드.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72.

에드가, 토마스 R. “표시 선물의 중단.” Bibliotheca Sacra 145:580(1988년 10월-12월):371-86.

_____. 기적의 선물: 오늘을 위한 것인가? 뉴저지주 해왕성: Loizeaux Brothers 출판사, 1983년.

Ehrman, Bart D. 신약에 대한 간략한 소개 . 뉴욕 및 영국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4.

_____. 신약성서: 초기 기독교 저술에 대한 역사적 소개 . 3  _ 뉴욕 및 영국 옥스퍼드: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0, 2004.

엘리콧, 찰스 T. 세인트 폴이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 번째 서신 . 런던: 롱맨스, 그린, 1887.

Engberg-Pedersen, Troels. “주님의 죽음을 선포합니다.” 바울신학 에서 . Vol. II: 고린도전서, 2 서, 103-32쪽. 데이비드 M. 헤이에 의해 편집됨.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출판부, 1993.

Erdman, Charles R.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바울의 첫째 서신 .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출판부, 1928.

페어베른, 패트릭. 성경의 모형론 . 2 권. 여섯 번째 판. 에든버러: T. & T. Clark, 1876.

파넬, F. 데이비드. "예언의 은사는 오늘날을 위한 것입니까?" Bibliotheca Sacra 149:595(1992년 7월-9월):277-303; 596(1992년 10월-12월):387-410; 150:597(1993년 1월-3월):62-88; 및 598(1993년 4월-6월):171-202.

수수료, 고든 D.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 신약성서 시리즈에 대한 새로운 국제 주석.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87.

_____. “방언—가장 작은 은사? 고린도전서 12~14장에 대한 주석적 관찰.” 뉴마 2(1980):3-14.

_____. “고린도전서의 신학을 향하여.” 바울신학 에서 . Vol. II: 고린도전서, 후서 , pp. 37-58. 데이비드 M. 헤이에 의해 편집됨.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출판부, 1993.

Fiddes, Paul S. "'여자의 머리는 남자이다:' 바울 본문에 대한 교리적 고찰." 침례교계간지 31:8(1986년 10월):370-83.

Findlay, GG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 번째 서신.” 해설자의 그리스어 성서 에서 . 2 (1912):727-953. 4  _ W. 로버트슨 니콜에 의해 수정됨. 런던: 5권. Hodder와 Stoughton, 1900-12.

Fishbane, Michael, "거울을 통해: 에스겔서 43:3, 민수기 12:8 및 고린도전서 13:8에 대한 묵상." 히브리어 연례 검토 10 (1986):63-74.

Fisk, Bruce K.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 먹기: 고린도전서 8~10장의 고린도식 행동과 바울의 반응(Gordon Fee에 대한 반응)", Trinity Journal 10 NS:1(1989년 봄):49-70.

포, 수잔 T. 여성과 하나님의 말씀 . 필립스버그, 뉴저지: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79.

Fung, Ronald YK "바울에 따른 사역의 성격," Evangelical Quarterly 54 (1982):129-46.

가구, 빅터 폴. “고린도전서의 신학.” 바울신학 에서 . Vol. II: 고린도전서, 2서 , 59-89쪽. 데이비드 M. 헤이에 의해 편집됨.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출판부, 1993.

Gaebelein, Arno C. 주석이 달린 성경 . 4권 재인쇄 에드. 시카고: Moody Press, 뉴욕: Loizeaux Brothers, Inc., 1970.

Gaffin, Richard B., Jr. "'생명을 주는 영': 바울의 공기학 중심 조사." 복음주의신학회지 41:4(1998년 12월):573-89.

Gangel, Kenneth O. “성경적 페미니즘과 교회 리더십.” Bibliotheca Sacra 140:557(1983년 1월-3월):55-63.

가스송, 라파엘. 도전적인 위조 . 뉴저지주 플레인필드: 로고스 인터내셔널, 1966년, 1969년.

가이슬러, 노먼 L.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의 중요성.” Bibliotheca Sacra 146:582(1989년 4월-6월):148-70.

겔다드, 마크. "이혼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 마태복음 5장 32절과 19장 9절에서 포르네이아 의 의미에 대한 생각 ." Churchman 92:2 (1978):134-43.

Gerstner, John H. 주요 종파의 신학 .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60.

Gilmour, SM “신약 교회의 목회적 돌봄.” 신약 연구 10(1963-64):393-98.

Glenn, Donald R. “시편 8편과 히브리서 2장: 성경 해석학과 성경 신학의 사례 연구.” Walvoord : A Tribute , pp. 39-51. 도널드 K. 캠벨이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82.

Godet, F.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째 서신에 대한 주석 . 2 권. A. Cusin이 번역했습니다. 고전 해설 도서관 시리즈. 에든버러: T. & T. Clark, 1886; 재인쇄 에드.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57년.

곤잘레스, 엘리에제르. “바울서신에 나타난 치유: 왜 침묵하는가?” 복음주의신학회지 56:3 (2013년 9월):557-75.

그레이엄, 빌리. 성령: 당신의 삶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활성화시키십시오 . Nc: W 출판 그룹, 1978, 1988.

그랜트, FW 왕관을 쓴 그리스도 . 재인쇄 에드. 뉴욕: 로이조 형제, 1945.

신약의 그리스어-영어 사전 . CG 윌크 지음. CL Wilibald Grimm이 개정함. 1889년 Joseph Henry Thayer가 번역, 개정 및 확대함.

그린베리, 제임스. “고린도전서 14:34-35: 예언의 재검토 평가.” 복음주의신학회지 51:4 (2008년 12월):721-31.

Gromacki, Robert G. 현대 방언 운동 . 필라델피아: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7; 재판판,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nd

_____. 성령 . Swindoll 리더십 라이브러리 시리즈. 내슈빌: 워드 출판, 1999.

Grosheide, FW 고린도전서 주석 . 신약성서 시리즈에 대한 새로운 국제 주석.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53.

그루뎀, 웨인. " 케팔레 ('머리')는 그리스 문학에서 '출처' 또는 '위대한 권위'를 의미합니까? 2,336개의 예에 대한 조사입니다." 트리니티 저널 6NS (1985):38-59.

_____. 고린도전서에 있는 예언의 은사 . 워싱턴 DC: 미국 대학 출판부, 1982.

_____. 신약과 오늘날의 예언의 은사 . 일리노이주 웨스트체스터: Crossway Books, 1988.

_____ " 케팔레 의 의미 : 최근 연구에 대한 응답." 트리니티 저널 11NS (1990):3-72.

_____. “ 케팔레 ('머리') 의 의미 : 실제와 주장의 새로운 증거에 대한 평가.” 복음주의신학회지 44:1 (2001년 3월):25-65.

_____. “예언—그렇지만 가르치는 것은—아니요: 통치권 없이 여성들의 참여를 옹호하는 바울의 일관적인 주장.” 복음주의신학회지 30:1 (1987년 3월):11-23.

_____. 조직신학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94.

_____.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예언할 수 있는 이유.” Christian Today , 1988년 9월 16일, pp.29-31, 34-35.

거스리, 도널드. 신약성서 소개: 바울서신 . 2판 재인쇄되었습니다. 런던: Tyndale Press, 1961, 1966.

하버마스, 게리, 앤서니 플루. 예수님은 죽음에서 부활하셨나요? 샌프란시스코: 하퍼 앤 로우, 1987.

Hanna, Kenneth G. 복음서에서 영광까지: 신약성서 탐구 . 인디애나주 블루밍턴: CrossBooks, 2014.

헤이즈, 에드. 교회: 오늘날 세계 속의 그리스도의 몸 . Swindoll 리더십 라이브러리 시리즈. 내슈빌: 워드 출판, 1999.

헨리, 매튜. 성경 전체에 대한 해설 . 1권 에디션. 레슬리 F. 교회에 의해 편집됨.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Publishing Co., 1961.

헤스, 윌리엄 A., 고든 J. 웬햄. 예수와 이혼 . 런던: Hodder와 Stoughton, 1984.

히버트, D. 에드먼드. “고린도전서 15장의 증거.” 전천년설의 경우: 새로운 합의 , 225-34페이지. Donald K. Campbell과 Jeffrey L. Townsend가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92.

Hill, CE “고린도전서 15:20-28에 나오는 그리스도의 왕국에 대한 바울의 이해.” Novum Testamentum 30:4 (1988년 10월):297-320.

히치콕, 마크 L. “계시록의 도미티아누스 연대에 대한 변호.” 박사. 논문, 달라스 신학대학원, 2005.

호지, 찰스. 고린도전서 및 후서에 대한 해설 . 1857년과 1859년; 재인쇄 에드. 에든버러: 진실 신뢰의 깃발, 1983년.

_____. 조직신학 . 3권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들, 1887년.

호지스, 이클립스의 제인 C. 그레이스 . 달라스: Redencion Viva, 1981.

_____. 배고픈 상속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72.

_____. “방언의 목적.” Bibliotheca Sacra 120:479(1963년 7월~9월):226-33.

Hoehner, Harold W. “고린도전서 14:20-25의 방언의 목적.” Walvoord : A Tribute , pp. 53-66. 도널드 K. 캠벨이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82.

Hoekema, Anthony A. "McQuilkin에 대한 반응" 성화에 대한 다섯 가지 견해 , 187-90쪽. 대위법 시리즈.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87.

홀름야드, 해럴드 R., III. "고린도전서 11:2-16은 교회에서 기도하고 예언하는 여성들을 언급하고 있습니까?" Bibliotheca Sacra 154:616(1997년 10월-12월):461-72.

성경: 영어 표준 버전 . 휘튼: 좋은 소식 출판사, 2001.

성경: Holman 기독교 표준 성경 . 내슈빌: 홀먼 성경 출판사, 2004년.

성경: 새로운 국제 버전 . 콜로라도 스프링스 외: 국제성서공회(International Bible Society), 1984.

성경: 뉴 킹제임스 버전 . 내슈빌: 토마스 넬슨 출판사, 1982.

성경: 개정 표준역 . 뉴욕: Thomas Nelson & Sons, 1952.

후커, Morna D. “그녀의 머리에 대한 권위: I Cor. XI. 10의 시험.” 신약 연구 10(1963-64):410-16.

호튼, 스탠리 M. “오순절 관점.” 성화에 대한 다섯 가지 견해 , 105-35쪽. 대위법 시리즈.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87.

Houghton, Myron J. “고린도전서 13:8-13의 재검토.” Bibliotheca Sacra 153:611(1996년 7월~9월):344-56.

하우스, H. 웨인. "중간에 잡혔습니다", Kindred Spirit 13:2(1989년 여름):12-14.

_____. “사도시대와 사도시대 이후의 여성 사역.” Bibliotheca Sacra 145:580 (1988년 10월-12월):387-99.

_____. “부활, 환생, 그리고 인간성.” Bibliotheca Sacra 148:590(1991년 4월-6월):131-50.

_____. "여자가 남자 앞에서 예언해야 합니까, 아니면 설교해야 합니까?" Bibliotheca Sacra 145:578(1988년 4월-6월):141-61.

_____. “여자의 말과 율법의 금지”. Bibliotheca Sacra 145:579(1988년 7월~9월):301-18.

_____. “방언과 고린도의 신비 종교.” Bibliotheca Sacra 140:558(1983년 4월-6월):134-50.

하워드, 릭, 제이미 래쉬. 이것은 당신의 삶이었습니다! 하나님과 대면하여 만날 준비를 합니다. 그랜드 래피즈: 선택된 책, 1998.

Howell, Timothy D. “교회와 에이즈 위기.” Bibliotheca Sacra 149:593(1992년 1월-3월):74-82.

Hoyt, Samuel L. “그리스도와 자백하지 않은 죄의 심판대.” Bibliotheca Sacra 137:545 (1980년 1월-3월):32-40.

_____. “기독교인의 판단의 부정적인 측면.” Bibliotheca Sacra 137:546 (1980년 4월-6월):125-32.

Hullinger, Jerry M. “폴의 운동 암시의 역사적 배경.” Bibliotheca Sacra 161:643 2004년 7월-9월):343-59.

_____. “에스겔 40~48장의 동물 희생 문제.” Bibliotheca Sacra 152:607(1995년 7월~9월):279-89.

헌트, 드와이트 L.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사도 바울의 첫 서신.” 은혜 신약 주석 , 2:709-65. 로버트 N. 윌킨(Robert N. Wilkin)이 편집함. 2 권. 텍사스 주 덴턴: 그레이스 복음주의 협회, 2010.

허드, JC, Jr. 고린도전서의 기원 . 뉴욕 : Seabury Press, 1965.

헐리, 제임스 B. 성경적 관점에서 본 남자와 여자 . 현대 복음주의 관점 시리즈.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81.

황, 제리. “우상 절기의 상황을 뒤집음: 바울이 고린도전서 10장 7절에서 출애굽기 32장 6절을 사용함.” 복음주의신학회지 54:3 (2011년 9월):573-87.

Ironside, Harry A.는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에 대해 연설합니다 . 뉴욕: Loizeaux Brothers 출판사, 1938.

어빈, 도로시. “초대 교회의 여성 사역: 고고학적 증거.” 시금석 4:1(1986년 1월):24-33.

이삭손, 아벨. “새 성전에서의 결혼과 사역.” 닐 톰킨슨 번역. Th.D. 논문,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 1965.

잭슨, 토마스 A. “영적 은사에 관하여: 고린도전서 12장 연구.” 신앙과 사명 7:1(1989년 가을):61-69.

제이미슨, 로버트; AR 포셋; 그리고 데이비드 브라운. 주석 성경 전체에 대한 실용적이고 설명적인 . 재인쇄 에드.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61년.

예레미야, 요아킴. “혈과 육은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을 수 없느니라.” 신약 연구 2(1955-56):151-59.

_____. 예수 시대의 예루살렘 . 런던: SCM 출판사, 1969.

Jewett, 남성과 여성 역의 Paul K. Man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75.

Johnson, Elliott E. 설명 해석학: 소개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아카데미 도서, 1990.

Johnson, John E. “목회적 정체성의 패러다임으로서의 구약성경 사무실.” Bibliotheca Sacra 152:606(1995년 4월-6월):182-200.

존슨, S. 루이스 2세. “고린도전서.” 위클리프 성경 주석 , 1227-60쪽 . Charles F. Pfeiffer와 Everett F. Harrison이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2.

_____. “방언의 은사와 사도행전.” Bibliotheca Sacra 120:480 (1963년 10월-12월):309-11.

존스, 피터. “바울이 교회에서 이교주의에 맞서다: 고린도전서 15:45의 사례 연구.” 복음주의신학회지 (49:4(2006년 12월):713-37).

요세푸스, 플라비우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작품 . 윌리엄 휘스턴 번역. 런던: T. Nelson and Sons, 1866; 재인쇄 에드. 매사추세츠주 피바디: 헨드릭슨 출판사, 1988.

정의, 샘. “성직자 이혼: 당혹스러운 문제.” 사역 4:1 (1985-86 겨울):24-25, 29-30.

키너, 크레이그 S. 1~고린도후서 . 영국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5.

_____. “고대의 여성 교육과 대중 연설.” 복음주의신학회지 50:4 (2007년 12월):747-59.

Keil, CF 및 Franz Delitzsch. 오경 . 3권 제임스 마틴 번역. 구약성서에 대한 성경 주석. Np; 재인쇄판, Grand Rapids: Wm. B. Eerdmans 출판사

주방, Ted G. “교정적인 교회 징계의 경계.” Bibliotheca Sacra 148:590(1991년 4월~6월):201-13.

나이트, 조지 W., III. 남성과 여성의 역할 관계에 대한 신약의 가르침 .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77.

레이시, WK 고전 그리스의 가족 . 런던: 템즈와 허드슨, 1968.

래드, 조지 엘든. 신약의 신학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74, 1979.

램프, 피터. “신학적 지혜와 '십자가에 관한 말씀': 고린도전서 1~4장의 수사학적 체계.” 해석 44:2(1990년 4월):117-31.

Lampe, WH “교회 권징과 고린도서에 대한 해석.” 기독교 역사와 해석: 존 녹스(John Knox)에게 제시된 연구 . WR Farmer, CFD Moule 및 RR Niebuhr가 편집했습니다.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67.

레이니, J. 칼. “교회 권징의 성경적 실천.” Bibliotheca Sacra 143:572 (1986년 10월-12월):353-64.

_____. 이혼 신화 . 미니애폴리스: 베다니 하우스 출판사, 1981.

랭, 존 피터, 에디션. 성경에 대한 주석 . 12권 재판판,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60. Vol. 10: 로마서와 고린도서 , JP Lange, FR Fay, Christian Friedrich Kling 저작. JF 허스트(JF Hurst), 다니엘 W. 푸어(Daniel W. Poor), 콘웨이 P. 윙(Conway P. Wing) 번역.

라투레트, 케네스 스캇. 기독교의 역사 . 뉴욕: 하퍼 앤 브라더스 출판사, 1953년.

라우, 테리.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 글을 쓰는 것은 아니다." 복음주의신학회지 60:1 (2017년 3월):105-24.

Lenski, Richard CH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서신의 해석. 1937. 미니애폴리스: 아우크스부르크 출판사, 1961.

Lester, Andrew D. “목회에서 여성의 심리적 영향에 대한 몇 가지 관찰.” 검토 및 해설자 83:1(1986년 겨울):63-70.

루이스, 클라이브 스테이플스. 기적: 예비 연구 . 런던: Geffrey Bles, The Centenary Press, 1947.

Lias, JJ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 캠브리지 그리스어 성경 주석 시리즈.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888.

Lightfoot, JB 성 바울 서신에 대한 노트 . 재인쇄 에드. 인디애나주 위노나 레이크: Alpha Publications, nd

라이트너, 로버트 P. 복음주의 신학 .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86.

_____. 방언과 신유로 말하는 것 . 두 번째 판. 일리노이주 샴버그: 정규 침례교 출판부, 1978년.

린시쿰, 데이비드. "바울과 증언 : 쿠오 바데무스?" 복음주의신학회지 51:2 (2008년 6월):297-308.

린다르스, 바나바. “트럼펫의 소리: 바울과 종말론.” 맨체스터의 John Rylands 대학 도서관 게시판 67:2(1985년 봄):766-82.

리트핀, A. 듀안. “복음주의 페미니즘: 전통주의자들이 그것을 거부하는 이유.” Bibliotheca Sacra 136:543(1979년 7월~9월):259-71.

리빙바이블(The Living Bible): 의역 . 휘튼: Tyndale House 출판사; 런던: Coverdale House 출판사, 1973.

López, René A. " 예수 가족 무덤이 그의 육체적 부활을 반증합니까?" Bibliotheca Sacra 165:660 (2008년 10월-12월):425-46.

_____. "고린도전서 6장 9-10절에 나오는 악의 목록은 신자들을 묘사하는가, 아니면 믿지 않는 자들을 묘사하는가?" Bibliotheca Sacra 164:653(2007년 1월-3월):59-73.

_____. “예수와 신자의 부활체의 본질.” Bibliotheca Sacra 170:678(2013년 4월~6월):143-53.

_____. “왕국 상속에 관한 바울의 구절에 관한 연구.” Bibliotheca Sacra 168:672(2011년 10월~12월):443-59.

_____. “악덕 목록이 포함된 Pauline 구절에 대한 연구.” Bibliotheca Sacra 168:671(2011년 7월~9월):301-16.

_____. “바울의 악덕 목록과 왕국 상속에 대한 견해.” Bibliotheca Sacra 168:669 (2011년 1월-3월)81-97.

Lowery, David K. “고린도전서.” 성경 지식 주석: 신약 505-49 면. John F. Walvoord와 Roy B. Zuck이 편집함. 휘튼: Bible Press Publications, Victor Books, 1983년.

_____. “고린도전서 11:2-34의 머리 덮개와 성찬.” Bibliotheca Sacra 143:570 (1986년 4월-6월):155-63.

_____. “바울의 선교 서신의 신학.” 신약성경신학 , 243-97쪽 . 로이 B. 저크(Roy B. Zuck)가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94.

맥아더, 존 F., 2세 고린도전서 . 맥아더 신약성서 주석 시리즈.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84.

_____. 카리스마적 혼돈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92.

_____. 은사주의: 교리적인 관점 .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79.

_____. 믿음은 역사합니다: 사도들이 전한 복음 . 달라스: 워드 출판, 1993.

메이첸, J. Gresham. 기독교와 자유주의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23.

Malick, David E. “고린도전서 6:9의 동성애 정죄.” Bibliotheca Sacra 150:600(1993년 10월-12월):479-92.

마레, W. 해롤드. “고린도전서.” 로마서-갈라디아서 에서 . Vol. 해설자의 성경 주석 10장 . 12권 Frank E. Gaebelein과 JD Douglas가 편집함.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78.

메이베리-포스터, 루시. 여성과 교회: 그리스도를 위해 여성들에게 접근하고, 가르치고, 발전시킵니다 . Swindoll 리더십 라이브러리 시리즈. 내슈빌: 워드 출판, 1999.

McClain, Alva J. 왕국의 위대함, 하나님 왕국에 대한 귀납적 연구 . 인디애나주 위노나 레이크: BMH Books, 1959;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8.

맥도웰, 조쉬. 목수 그 이상 . 휘튼: 틴데일, 1977.

맥기, J. 버논. J. Vernon McGee와 함께 성경을 통해 . 5권 캘리포니아 패서디나: Thru The Bible Radio; 및 내슈빌: Thomas Nelson, Inc., 1983.

맥닐, 앨런 휴. 신약 연구 소개 t. 2  판. CSC Williams에 의해 개정되었습니다. 옥스퍼드: Clarendon Press, 1927, 1953.

McRae, William J. 영적 은사의 역동성 .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76년.

Merkle, Benjamin L. "고린도전서 11:8-9 및 디모데전서 2:13-14의 창조에 대한 바울의 주장: 명백한 불일치에 대한 답변." 복음주의신학회지 49:3 (2006년 9월):527-48.

Minirth, Frank, Paul Meier, Frank Wichern, Bill Brewer 및 States Skipper입니다. 워커홀릭과 그의 가족: 내부 모습 .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81.

버지니아주 몰렌콧. 여자, 남자 그리고 성경 . 내슈빌: 애빙던, 1977.

모건, G. 캠벨. 기독교 신앙의 절대적 명령 . 개정판. 뉴저지 주 웨스트우드: 플레밍 H. 레벨 컴퍼니, 1965.

_____. 바울의 고린도서 . 뉴욕: 플레밍 H. 레벨 컴퍼니, 1946년.

_____. 성경 전체에 대한 해설 . 뉴저지주 웨스트우드: 플레밍 H. 레벨(Fleming H. Revell), 1959년.

_____. 성경의 살아있는 메시지 . 2 권. 뉴욕: 플레밍 H. 레벨 컴퍼니, 1912년.

_____. 성경의 전개되는 메시지 . 뉴저지주 웨스트우드: 플레밍 H. 레벨 컴퍼니, 1961년.

모리슨, 프랭크. 누가 돌을 옮겼나요?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58년.

모리스, 레온.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바울의 첫 번째 서신 .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58.

Mounce, William D. 성서 그리스어 문법의 기초: 제2판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2003.

머레이, 존. 이혼 . 필라델피아: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72.

넬슨 연구 성경 . Earl D. Radmacher가 편집함. 내슈빌: 토마스 넬슨 출판사, 1997.

NET2(새 영어 번역) 성경 . Nc: 성서언론재단, 2019.

Neubauer, 아돌프, 에디션. 유대인 해석가들에 따르면, 이사야서 53장. 2 권. 뉴욕: Ktav 출판사, 1969.

새로운 미국 표준 성경 . 캘리포니아주 라하브라: 록맨 재단, 2020.

외경이 포함된 새로운 영어 성경. Nc: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및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70.

새로운 스코필드 참조 성경 . E. Schuyler English 등 편집자. 뉴욕: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67.

나이퀴스트, J. 폴, 카슨 나이퀴스트. 포스트교회 기독교인 . 시카고: 무디 출판사, 2013.

올덤, 로저 싱글턴. “직위 및 기능적 평등: 여성 안수에 대한 주요 주장에 대한 평가.” Mid-America Theological Journal 9:2 (1985년 가을):1-29.

Olshausen, H.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서신에 대한 성서 주석 . 에든버러: T. & T. Clark, 1851.

오르틀런드, 개빈. “메시야로 부활하셨습니다: 선지자, 제사장, 왕으로 부활하신 그리스도.” 복음주의신학회지 54:4 (2011년 12월):749-66.

오트, 루드비히. 가톨릭 교리의 기초 . 6  _ 패트릭 린치 번역. 제임스 캐논 바스티블(James Canon Bastible)이 편집함. 세인트 루이스: B. Herder Book Co., 1964.

파체, 르네. 미래의 삶 . Helen I. Needham이 번역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2.

페이지, 시드니 HT "사탄: 하나님의 종." 복음주의신학회지 50:3 (2007년 9월):449-65.

Panton, DM 그리스도의 심판석 . 노스캐롤라이나 주 헤이즈빌: Schoettle Publishing Co., Inc., 1984, 1993.

오순절, J. 드와이트. 성숙을 위한 패턴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6.

_____. 앞으로 다가올 일들 . 오하이오주 핀들레이: Dunham Publishing Co., 1958, 1963.

_____. 당신의 왕국이 오십시오 . 휘튼: Bible Press Publications, Victor Books, 1990.

파이퍼(Pfeifer), 다니엘 J. “상징 또는 참조 대상 중 어느 것이 먼저 나왔습니까? 역사적 12사도에 대한 연구.” Bibliotheca Sacra 172:688(2015년 10월~12월):433-49.

파이퍼, 로버트 H. 외경 소개와 함께 신약 시대의 역사 . 런던: 아담과 찰스 블랙, 1949, 1963.

필립스, JB 너의 신은 너무 작다 . 뉴욕: 맥밀란 주식회사, 1952.

픽업, 마틴. “구약의 신약 해석: 미드라식 주석의 신학적 근거.” 복음주의신학회지 51:2 (2008년 6월):353-81.

_____. "'셋째 날':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시간 틀." 복음주의신학회지 56:3 (2013년 9월):511-42.

Plummer, Robert L. “고린도전서에서 바울과 교회의 선교적 역할을 모방함.” 복음주의신학회지 44:2 (2001년 6월):219-35.

Poirier, John C. 천사의 방언: 고전 유대교 및 기독교 문헌에 나타난 천사 언어의 개념.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2/287. 튀빙겐: 모어 지베크, 2010.

포이트레스, 베른 셰리던. “사도적 은사와 유사한 현대 영적 은사: 중단주의 신학 내에서 성령의 놀라운 사역을 확증함.” 복음주의신학회지 39:1 (1996년 3월):71-101.

프록터, 존. “하나님의 집에 있는 불: 신약에서 말라기 3장의 영향.” 복음주의신학회지 36:1 (1993년 3월):9-14.

Pyne, Robert A. “회심에서 성령의 역할.” Bibliotheca Sacra 150:598(1993년 4월-6월):203-18.

Quine, Jay A. “교회 징계에 대한 법원의 개입.” Bibliotheca Sacra 149:593(1992년 1월-3월):60-73 및 594(1992년 4월-6월):223-36.

레이니, 데니스. 20세기 가족을 위한 성역 . Swindoll 리더십 라이브러리 시리즈. 내슈빌: 워드 출판, 2001.

램, 버나드. 개신교 성서해석 . 개정판. 보스턴: WA Wilde Co., 1956.

Ramsay, William M. 세인트 폴의 도시 . 뉴욕 : Hodder & Stoughton, 1907.

Reaume, John D. "고린도전서 15:29, '죽은 자를 위한 세례'를 다시 살펴보세요." Bibliotheca Sacra 152:608(1995년 10월-12월):457-75.

리즈, 알렉산더. 그리스도의 재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런던: 마샬, 모건, 스콧, 1937; 재판판, Grand Rapids: Grand Rapids International Publications, 1975.

개정판 . 영국 옥스퍼드 및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및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885년.

라인, C. 토마스. “설명 기사: 고린도전서 3:1-9.” 해석 44:2(1990년 4월):174-78.

리처드슨, 앨런. 신약성경의 신학 입문 . 뉴욕: 하퍼 앤 로우, 1958.

Ridderbos, H. Paul: 그의 신학 개요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75.

로버트슨, 아치볼드 토마스. 신약성경에 나오는 단어 그림 . 6 권. 내슈빌: 브로드맨 출판부, 1931.

로버트슨, 아치볼드, 알프레드 플러머.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째 서신에 대한 비판적이고 주석적인 주석. 국제 비평 논평 시리즈. 두 번째 판. 에든버러: T. & T. Clark, 1963.

Roper, Albert L. 예수님은 죽음에서 부활하셨나요? 그랜드래피즈: 존더반, 1965.

Rosner, Brian S. “고린도전서 5장의 성전과 거룩함.” Tyndale Bulletin 42 (1991):137-45.

Rosscup, James E. "고린도전서 3:12에 대한 새로운 시각 - '금, 은, 보석'" Master's Seminary Journal 1:1 (Spring (1990):33-51.

라이리, 찰스 콜드웰. 그리스도인 생활의 균형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9.

_____. 기초신학 . 휘튼: Bible Press Publications, Victor Books, 1986년.

_____. “이혼과 재혼에 관한 성경적 가르침.” 저자, 1981.

_____. 신약의 성서신학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59.

_____. “성화에 대한 대조되는 견해.” Walvoord : A Tribute , pp. 189-200. 도널드 K. 캠벨이 편집함.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82.

_____. 하나님의 은혜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3.

_____. 성령 . 성경 교리 시리즈 핸드북.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65, 1967.

_____. 교회에서 여성의 위치 . 뉴욕: 맥밀란, 1958; 재인쇄 에드. Chicago: Moody Press, 1968. (Moody Press에서 출판한 1978년판 제목은 The Role of Women in the Church 입니다 .)

_____. 라이리 스터디 바이블(Ryrie Study Bible)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78.

_____. "영성이란 무엇입니까?" Bibliotheca Sacra 126:503(1969년 7월~9월):204-13.

_____. 성경이 다음과 같이 가르친다는 뜻이군요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74.

Saucy, Robert L. 진보적 세대주의의 사례 .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출판사, 1993.

_____. "용서받은 '죄인'인가, 죄를 지은 '성도'인가?" Bibliotheca Sacra 152:608(1995년 10월-12월):400-12.

야만인, Paula A. “그리스 여성 드레스.” 성경 삽화가 12:2(1986년 겨울):17-23.

Scanzoni, Letha 및 Nancy Hardesty. 우리가 될 운명의 모든 것 . 와코: 단어 책, 1975.

Schaeffer, Francis A. 거기 계신 하나님 . 2  미국 인쇄. 시카고: Inter-Varsity Press, 1968, 1969.

샤프, 필립. 기독교 교회의 역사 . 8 권. 1910. 재인쇄판.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66.

판매자, C. 노먼. 방언에 관한 성경적 결론 . 마이애미: 저자, nd

쉐드(Shedd), 윌리엄 GT 교의신학 . 2 권. 에든버러: T. & T. Clark, 1889.

Simon, WGH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서문 및 해설 . 런던: SCM, 1959.

Smith, Jay E. "타락한 지도자들이 리더십을 회복할 수 있습니까? Bibliotheca Sacra 151:604(1994년 10월-12월):455-80.

_____. “고린도전서의 슬로건.” Bibliotheca Sacra 167:655(2010년 1월~3월):68-88.

스미스, 보존됨. 유럽의 종교개혁 . 뉴욕: 콜리어 북스; 런던: Collier-Macmillan Ltd., 1920, 1966.

스미스, 윌버. “하늘의 상속과 상급.” 영원(Eternity) , 1977년 3월, p. 79.

스미스, 윌리엄 로버트슨. 셈족의 종교에 관한 강의 . 3판 뉴욕: Ktav 출판사, 1969.

스프로울, RC 하나님의 뜻과 기독교인 . 휘튼: 틴데일 하우스 출판사, 1984.

스펄젼, 앤드류 B. “고린도전서 14장의 바울의 명령과 여성.” Bibliotheca Sacra 168:671(2011년 7월~9월):317-33.

스펄젼, 찰스 해든. 만능 사역 . 재인쇄 에드. 런던과 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 진실의 깃발 신뢰, 1900, 1972.

표준, 존. “고린도전서.” 바울서신 조사 , 51-83쪽. 폴 D. 위버에 의해 편집됨. [뉴욕주 슈룬 레이크]: 생명의 말씀, 2017.

Stanton, Gerald B. 시간을 지키다 . 네 번째 판. 마이애미 스프링스, 플로리다: Schoettle Publishing Co., 1991.

스튜어트, 제임스 S.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 성 바울 종교의 필수 요소 . 1935. 재인쇄판. 런던: Hodder & Stoughton Ltd., 1964.

Stott, John RW 신약성서 기본 입문 . 1  미국판.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64.

_____. 그리스도의 십자가 . 일리노이주 다우너스 그로브: InterVarsity Press, 1986.

스트라우흐, 알렉산더. 사랑에 대한 15가지 설명: 모든 기독교 지도자 및 교사에게 적용됩니다 . 콜로라도주 리틀턴: Lewis & Roth 출판사, 2018.

_____. 성경적 장로직 . 콜로라도 주 리틀턴: Lewis & Roth 출판사, 1986.

Svigel, Michael J. “사도 교부들의 선지자들의 통과.” Bibliotheca Sacra 176:704(2019년 10월~12월):459-75.

스위니, 제임스. “예수, 바울, 그리고 성전: 연속성의 일부 패턴에 대한 탐구.” 복음주의신학회지 46:4 (2003년 12월):605-31.

스위팅, 조지. 사랑은 가장 위대한 것입니다 . 1968년; 개정판.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74.

Swindoll, Charles R. Swindoll 연구용 성경 . Carol Stream, Ill.: Tyndale House 출판사, 2017.

_____. 3보 전진, 2보 후퇴: 압박감을 견디는 것 . 내슈빌: 토마스 넬슨 출판사, 1980.

Swindoll, Charles R., John F. Walvoord, J. Dwight Pentecost 등 아마겟돈으로 가는 길 . 내슈빌: 워드 출판, 1999.

Tenney, Merrill C. 신약성서: 역사적이고 분석적인 조사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53, 1957.

_____. 부활의 현실 . 뉴욕 등: Harper & Row, 출판사, 1963.

테리, 밀턴 S. 성서해석학 . 두 번째 판. 재인쇄되었습니다.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64년.

신약의 신학 사전 . 게르하르트 키텔(Gerhard Kittel)과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Gerhard Friedrich)가 편집함. Geoffrey W. Bromiley가 번역하고 편집했습니다. 1964-76 에디션. 10 권. Sv " erchomai ", Johannes Schneider 저, 2(1964):666-75.

티센, 헨리 클라렌스. 신약성경 소개 .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43, 1962.

Thomas, Robert L. "고전 13:11 재검토: 주석 업데이트." 석사 신학교 저널 4:2 (1993년 가을):187-201.

_____. “예언의 재발견? 신약과 오늘날의 예언의 은사 에 대한 검토 .” Bibliotheca Sacra 149:593(1992년 1월-3월):83-96.

_____. "'방언은… 그칠 것이다'." 복음주의신학회지 17:2 (1974년 봄):81-89.

_____. 영적 은사의 이해: 고린도전서 12-14장에 대한 주석적 연구입니다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78.

톰슨, WM 땅과 책 . 2 권. 뉴욕: 하퍼 & 브라더스 출판사, 1873.

Thrall, ME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바울의 첫째와 둘째 편지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65.

Toussaint, Stanley D. “고린도전서 13장과 방언에 관한 질문,” Bibliotheca Sacra 120:480(1963년 10월-12월):311-16.

_____. “방언을 다시 생각하다.” Bibliotheca Sacr a 172:686(2015년 4월~6월):177-189.

_____. “영적인 사람.” Bibliotheca Sacra 125:498(1968년 4월-6월):139-46.

_____.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에서 고난을 당함.”  , 오 하느님? 성경과 교회에서의 고통과 장애 , 183-93페이지. Larry J. Waters와 Roy B. Zuck이 편집함. 휘튼: 크로스웨이, 2011.

토저, AW 하나님을 추구함 .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 기독교 출판물, 1948년.

트렌치, 리차드 체네빅스. 우리 주님의 기적에 관한 메모 . 10  _ 개정. 런던: 맥밀런 앤 컴퍼니, 1874년.

우클레자, P. 마이클. “신약성서의 동성애.” Bibliotheca Sacra 140:560 (1983년 10월-12월):350-58.

Unger, Merrill F. 오늘날 세계의 악마: 하나님의 말씀에 비추어 신비주의에 대한 연구. 일리노이주 휘튼: Tyndale House 출판사, 1971.

_____. 신약의 방언 가르침 . 재인쇄 에드. 그랜드래피즈: 크레겔, 1971.

반 바알렌, 얀 카렐. 이단의 혼돈: 현대주의에 관한 연구 . 2  개정 및 증보판. 그랜드래피즈: Wm. B. Eerdmans 출판사, 1938, 1956.

Verbruggen, Jan L. "총구와 황소에 관하여: 신명기 25:4 및 고린도전서 9:9." 복음주의신학회지 49:4 (2006년 12월):699-711.

포도나무, 우리 고린도전서 . 런던: 올리펀트, 1951.

von Campenhausen, H. 처음 3세기 교회의 교회 권위와 영적 힘 .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교, 1969.

Wall, Joe L. 금메달을 향해 나아갑니다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91.

Waltke, Bruce K. “고린도전서 11:2-16: 해석.” Bibliotheca Sacra 135:537(1978년 1월-3월):46-57.

Walvoord, John F. 축복받은 희망과 환난 . 현대 복음주의 관점 시리즈. 그랜드 래피즈: 존더반 출판사, 1976년.

_____. “성령 교리의 현대적 이슈. 제4부: 오늘날의 영적 은사.” Bibliotheca Sacra 130:520 (1973년 10월-12월):315-28. "성령과 영적 은사"로 재인쇄되었습니다. Bibliotheca Sacra 143:570 (1986년 4월-6월):109-21.

_____. 마지막 때: 성경 예언을 통해 오늘날의 세계 사건 이해하기 . Swindoll 리더십 라이브러리 시리즈. 내슈빌: 워드 출판, 1998.

_____. 성령 . 3판 오하이오 주 핀들레이: Dunham Publishing Co., 1958.

_____. 에드. Lewis Sperry Chafer 조직신학, 제1권, 요약판 . 일리노이주 휘튼: 성경 출판사, 빅터 북스, 1988년.

_____. 휴거 질문 . 오하이오 주 핀들레이: Dunham Publishing Co., 1957.

워터스, 래리 J. “바울 서신의 역설.” Bibliotheca Sacra 167:668(2010년 10월-12월):423-41.

웬햄, 존. 부활절 수수께끼: 부활 이야기가 충돌하는가? 두 번째 판.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92.

White, Joel R. "죽은 자 때문에 세례를 받다": 문맥상 고린도전서 15:29의 의미."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16:3 (1997):487-99.

화이트, R. 파울러. "하나님은 오늘날 성경과 별개로 말씀하십니까? 다가오는 복음주의 위기 에서 , pp. 77-90. John H. Armstrong 편집. Chicago: Moody Press, 1996.

Wiersbe, Warren W. 성경 박람회 해설 . 2 권. 휘튼: 성경 출판사, 빅터 북스, 1989.

Wilkin, Robert N. "신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법적입니까?" Grace Evangelical Society 뉴스레터 4:7 (1989년 7월):2.

_____. "소위 소위 형제." Grace Evangelical Society News 6:10 (1991년 10월):2-3.

윌리엄스, 찰스 B. 바울 서신에 대한 주석 . 시카고: 무디 출판사, 1953.

윌슨, 앤드류. “고린도전서 15:20-28의 보편주의에 대한 가장 강력한 논증.” 복음주의신학회지 59:4 (2016):805-12.

Wilson, Kenneth T. "여성은 머리 덮개를 착용해야 합니까?" Bibliotheca Sacra 148:592(1991년 10월-12월):442-62.

Yamauchi, Edwin M. “고대 세계의 결혼의 문화적 측면.” Bibliotheca Sacra 135:539(1978년 7월~9월):241-52.

Zuck, Roy B. 기본 성경 해석 . 일리노이주 휘튼: 빅터 북스, 1991.

_____. “양심의 교리.” Bibliotheca Sacra 126:504(1969년 10월-12월):329-40.



[1] W. Harold Mare, "1 Corinthians," inRomans-Galatians, vol. 해설자의 성경 주석10장, 175-76쪽, 대부분의 해설자에게 도움이 되는 역사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2] GG 핀들레이(GG Findlay),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The Expositor's Greek Testament, 2:730.

[3] CK Barrett,고린도전서 주석, p. 1. 참조.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유대인 전쟁, 3:10:9; JS Howson,성 바울의 생애와 서신, p. 324, 엔. 7.

[4] 같은 책, p. 325.

[5] 고든 D. 피(Gordon D. Fee),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p. 2. 또한 David K. Lowery, "고린도전서",성경 지식 주석: 신약, 12쪽을 참조하십시오. 505, 고대 작가들이 고린도에 관해 인용한 다른 내용.

[6] Findlay, 2:734.

[7] Archibald Robertson과 Alfred Plummer,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째 서신에 대한 비판적이고 주석적인 주석, p. xii.

[8] 수수료, 2-3페이지를 참조하세요.

[9] 같은 책, p. 삼.

[10] 마레(Mare)에 있는 고린도 중심부의 도표를 참조하세요. 186.

[11] 참조. 하우슨, p. 540.

[12]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이 노트에 있는 영어 성경 인용문은New American Standard Bible

[13] 고린도전서의 완전성에 관해서는 Donald A. Carson과 Douglas J. Moo,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pp. 442-44를 참조하십시오.

[14] 수수료, 4-15페이지를 참조하세요.

[15] 바렛, p. 26.

[16] S. 루이스 존슨 이세(S. Lewis Johnson Jr.),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p. 1229.

[17] WJ Conybeare,성 바울의 생애와 서신, p. 380.

[18] 카슨과 무, p. 450.

[19] 같은 책, p. 451.

[20] J. Sidlow Baxter,책 탐색, 6:93.

[21] 같은 책, 6:94.

[22] 로버트 L. 컨스터블(Robert L. Constable),부르심을 받은 성도들, 묵상 3, p. 2.

[23] JB Lightfoot,성 바울 서신에 관한 주석, p. 170.

[24] G. Campbell Morgan,성경의 살아있는 메시지, 2:1:111-28에서 발췌.

[25] RCH Lenski,The Interpretation of St. Paul's First and Second Epistles to the Corinthians, pp. 21-22는 그가 다른 사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26] Findlay, 2:758.

[27] 크레이그 S. 키너(Craig S. Keener),고린도전서 1~2, p. 21, 많은 것으로 믿었습니다.

[28] 제임스 S. 스튜어트(James S. Stewart),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A Man in Christ)을.

[29] J. Vernon McGee,J. Vernon McGee와 함께 성경을 통해, 5:4-5.

[30] Robert L. Saucy, "용서받은 '죄인' 또는 죄를 짓는 '성도'?"를 참조하세요. Bibliotheca Sacra152:608(1995년 10월-12월):400-12.

[31] 존슨, p. 1230.

[32] 수수료, 17-18페이지.

[33] Ibid., p. 18.

[34] NIV는 The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을의미합니다.

[35] 수수료, p. 36.

[36] 키너, p. 22.

[37] Wayne A. Brindle, "휴거가 임박했다는 성경적 증거,"Bibliotheca Sacra158:630(2001년 4월-6월):146-48을 참조하세요.

[38] 뉴 스코필드 참고 성경, p. 1233.

[39] 동일하다.

[40] G. 캠벨 모건(G. Campbell Morgan),성경의 펼쳐지는 메시지, pp. 389-90; 동일,바울의 고린도 서신, p. 19.

[41] 수수료, p. 46. ​​문단구분을 생략함.

[42] Idem, "고린도전서 신학을 향하여", inPauline Theology. Vol. II: 고린도전서, 2서, p. 38.

[43] Ibid., pp. 38-39.

[44] Idem, The First…, p. 50.

[45] Findlay, 2:739.

[46] 수수료, "...을 향해", p. 41.

[47] 존 칼빈,고린도인들에게 보낸 바울의 첫 번째 서신, p. 25.

[48] ​​수수료, "...를 향해", p. 47. 묵시적인 언어는 세상의 완전한 멸망을 묘사하는 언어이다.

[49] 맥기, 5:8.

[50] Findlay, 2:764.

[51] 렌스키, p. 43.

[52] 라이트풋, p. 155.

[53] FF Bruce, ed.,고린도전서, 2서, p. 34.

[54] AT 로버트슨,신약의 단어 그림, 4:76.

[55] 칼빈, p. 31.

[56] 윌리엄 바클레이(William Barclay),고린도인들에게 보낸 편지, p. 22.

[57] 바렛, p. 49.

[58] 존슨, p. 1231.

[59] 칼빈, p. 34.

[60] 바렛, p. 49.

[61] 빅터 폴 퍼니쉬(Victor Paul Furnish), “고린도전서의 신학”, 『바울신학』. Vol. II: 고린도전서, 2서, p. 63. 문단구분을 생략함.

[62] Ibid., p. 65. 문단구분을 생략함.

[63] 수수료, 첫 번째…, p. 68.

[64] G. Campbell Morgan,기독교 신앙의 정언명령, p. 71에서는로고스를그리스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65] DA Carson,십자가와 기독교 사역, p. 12. 문단구분을 생략함.

[66] Ibid., pp. 15-16.

[67] 칼빈, p. 38.

[68] Larry J. Waters, "Paradoxes in the Pauline Epistles,"Bibliotheca Sacra167:668(2010년 10-12월):430-35을 참조하세요.

[69] Lenski, pp. 60-61.

[70] Peter Lampe, "신학적 지혜와 '십자가에 관한 말씀': 고린도전서 1~4장의 수사학적 체계,"해석44:2(1990년 4월):120.

[71] 수수료, 첫 번째 …, p. 74.

[72] 매튜 헨리(Matthew Henry),성경 전체 주석, p. 1804.

[73] 라이트풋, p. 163.

[74] 수수료, 첫 번째 …, p. 76.

[75] 맥기, 5:12.

[76] 바렛, p. 54.

[77] 헨리 앨포드(Henry Alford),그리스어 성서, 2:2:481.

[78] 상동.

[79] Lenski, p. 71.

[80] 카슨, p. 26.

[81] 수수료, 첫 번째…, pp. 77-78.

[82] 라이트풋, p. 165.

[83] 렌스키, p. 77.

[84] Alford, 2:2:482.

[85] Morgan, The Corinthian Letters of Paul,p. 41.

[86] Jouette M. Bassler, "바울의 신학: 어디서 그리고 어디로?" 바울신학에서Vol. II: 고린도전서, 2서, p. 15.

[87] Charles B. Cousar, "설명 기사: 고린도전서 2:1-13,"해석 44:2(1990년 4월):169. 영지주의의 교리 중 하나는 입문자만이 깊은 진리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88] 라이트풋, p. 170.

[89] 키너, p. 34.

[90] Morgan, The Corinthian…,p. 44.

[91] 칼빈, p. 49.

[92] 해리 A. 아이언사이드(Harry A. Ironside),고린도전서에 대한 연설, 80-81쪽.

[93] 예, Barclay, p. 26.

[94] 바렛, p. 63.

[95] Charles B. Cousar, "고린도전서의 신학적 과제", inPauline Theology. Vol. II: 고린도전서, 2서, p. 102.

[96] 카슨, p. 35.

[97]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1.

[98] 칼빈, p. 50.

[99] Charles R. Erdman,고린도인들에게 보낸 바울의 첫째 서신, p. 30.

[100] 워렌 W. 위어스비(Warren W. Wiersbe),성경 설명 해설, 1:573.

[101]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3.

[102] 레온 모리스(Leon Morris),고린도인들에게 보낸 바울의 첫째 서신, p. 52.

[103] 카슨, 46, 52, 56페이지.

[104] 수수료, 첫 번째…, p. 100. 문단구분을 생략한다.

[105] 카슨, p. 47.

[106] 칼빈, p. 53.

[107] Cousar, "설명 기사...", p. 171.

[108] Erdman, p. 33.

[109] 모리스, p. 57.

[110] Erdman, p. 34.

[111] 존 칼빈,기독교 강요, 1:7:4.

[112] 수수료, 첫 번째…, p. 110.

[113] Ibid., p. 111.

[114] 브루스, p. 40. RV는 개정판을의미합니다.

[115] 로버트슨, 4:87.

[116] Francis A. Schaeffer,거기 계신 하나님, p. 18.

[117] 칼빈, The First…,p. 60.

[118] 라이트풋, p. 180.

[119] 헨리, p. 18:05.

[120] Barrett, p. 77.

[121] Robert A. Pyne, "회심에서 성령의 역할,"Bibliotheca Sacra150:598(1993년 4월-6월):204-5을 참조하십시오.

[122] 카슨, p. 64.

[123] 존슨, p. 1233.

[124] 맥기, 5:15.

[125] Charles C. Ryrie의 "영성이란 무엇인가?"를 참조하십시오. Bibliotheca Sacra 126:503 (1969년 7월-9월):204-13, 또는 idem,Balancing the Christian Life, pp. 12-23.

[126] 수수료, "...를 향해", 37-38페이지.

[127] Idem, The First…, p. 120.

[128] 동일.

[129] 헨리, p. 1806.

[130] 수수료, 첫 번째…, p. 123.

[131] NET2 성경The NET2 (New English Translation) Bible, 2019 ed.

HCSB 는 The Holy Bible: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을의미합니다.

[133] 예, John F. MacArthur Jr.,Faith Works, p. 126; Anthony A. Hoekema, "McQuilkin에 대한 반응",성화에 대한 다섯 가지 견해, p. 189.

[134] 예를 들어, Lewis S. Chafer,영적인 사람, pp. 3-14; 드와이트 L. 헌트(Dwight L. Hunt),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사도 바울의 첫째 서신”,The Grace New Testament Commentary, 2:719-20.

[135] 예, Stanley D. Toussaint, "The Spiritual Man,"Bibliotheca Sacra 125:498 (1968년 4월-6월):139-46.

[136] 육신적인 신자에 대한 훌륭한 논의를 보려면 Joseph C. Dillow,The Reign of the Servant Kings, pp. 311-31을 참조하십시오.

[137] Will 및 Ariel Durant,역사의 교훈, p. 32.

[138] 수수료, 첫 번째…, p. 127.

[139] Ibid., p. 129. Jay E. Smith, "Slogans in 1 Corinthians,"Bibliotheca Sacra167:655 (2010년 1월-3월):68-88을 참조하십시오.

[140] Wiersbe, 1:569.

[141] 수수료, 첫 번째…, p. 128.

[142] 존슨, p. 1231.

[143] Lenski, p. 127.

[144] J. Dwight Pentecost,Things to Come, 219-26 페이지 참조; ; Harlan D. Betz,영원을 위한 무대 설정; 릭 하워드와 제이미 래쉬,이것이 당신의 삶이었습니다!

[145] Constable, 신앙 23, p. 2.

[146] Erdman, p. 40.

[147] 칼빈, 종교 강요, 2:5:17.

[148] Idem, The First…,p. 72.

[149] 스미스, p. 134.

[150] C. Thomas Rhyne, "설명 기사: 고린도전서 3:1-9,"해석 44:2(1990년 4월):177.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151] Wiersbe, 1: 579.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152] 수수료, 첫 번째…, p. 138.

[153] Barrett, 87-88페이지를 참조하세요.

[154] James E. Rosscup, "고린도전서 3:12에 대한 새로운 시각 - '금, 은, 보석'",Master's Seminary Journal1:1 (1990년 봄):33.

[155] Lewis S. Chafer,Major Bible Themes, ch. XLVI: "신자의 행위에 대한 심판," 283-87쪽; 르네 파슈(René Pache),미래의 삶, pp. 220-43; 조 L. 월(Joe L. Wall),금을 향해 나아가다(Going for the Gold), pp. 31-37; 및 Arlen L. Chitwood,그리스도의 심판대, p. 10.

[156] 마이클 이튼(Michael Eaton),비난 없음, p. 37.

[157] 참조. 카슨, pp. 79-80.

[158] 존 프록터(John Proctor), "하나님의 집에 불: 신약에서 말라기 3장의 영향,"복음주의 신학 협회 저널36:1(1993년 3월):9-14.

[159] 아이언사이드, p. 129.

[160] 베마에서의 부정적인 판단에 대한 설명은 Wall, pp. 112-21을 참조하십시오.

[161] 조지 E. 래드(George E. Ladd),신약성경의 신학, p. 521.

[162] 그리스도인의 상급 연구에 대한 유용한 소개는 Wall, 또는 Zane C. Hodges,Grace in Eclipse를.

[163] 마크 베일리, 그분을 따르기 위해, p. 55.

[164] 아이언사이드, p. 132.

[165] Lewis S. Chafer,조직신학, 1:xxvi.

[166] 연옥 교리에 대한 추가 반박을 보려면 Calvin,Institutes of …, 3:5:6-9; 그리고 Lightfoot, p. 193.

[167] Wilbur Smith, "하늘에서의 상속과 보상,"Eternity, 1977년 3월, p. 79.

[168] 벽, p. 19.

[169] Ibid., p. 21.

[170] 수수료, 첫 번째…, p. 145.

[171] James Sweeney, "Jesus, Paul, and the Temple: An Exploration of Some Patterns of Continuity",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46:4(2003년 12월):605-31을 참조하세요.

[172] Brian S. Rosner, "고린도전서 5장의 성전과 거룩함",Tyndale Bulletin42 (1991):137-45.

[173] Johnson, pp. 1234-35. 참조. 로워리, p. 511.

[174] 수수료, 첫 번째 …, p. 149.

인클루 시오는 브라케팅, 북엔딩 또는 봉투 구조라고도 알려진 동심 원리에 기반한 문학적 장치로, 섹션의 시작과 끝 부분에 유사한 자료를 배치하여 프레임을 만드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176] Wiersbe, 1:581.

[177] 카슨, p. 86.

[178] Findlay, 2:796.

[179] 수수료, 첫 번째…, p. 155.

[180] 카슨, p. 93.

[181] 수수료, 첫 번째…, p. 157.

[182] Ibid., p. 156.

[183] ​​라이트풋, p. 197.

[184] 키너, p. 43.

[185] 아이언사이드, p. 144.

[186] Roy B. Zuck, "The Doctrine of Conscience",Bibliotheca Sacra 126:504 (1969년 10-12월):329-40을 참조하십시오.

[187] 아이언사이드, p. 145.

[188] 존슨, p. 1235.

[189] 신약의 신학 사전, sv "erchomai", Johannes Schneider 작성, 2(1964):674.

[190] Morgan, The Corinthian…,p. 72.

[191] 아이언사이드, p. 147.

[192] 바렛, p. 104.

[193] 칼빈, The First…,p. 89.

[194] 수수료, 첫 번째…, p. 156.

[195] Findlay, 2:801.

[196] Alva J. McClain,왕국의 위대함, p. 433.

[197] 수수료, 첫 번째…, p. 165.

[198] 키너, p. 45.

[199] 브루스, p. 50.

[200] 헨리, p. 1808.

[201] 수수료, 첫 번째…, pp. 174-75; 핀들레이, p. 801.

[202] 바클레이, p. 45.

[203] Findlay, 2:802.

[204] 모리스, p. 81.

[205] 라이트풋, p. 201.

[206] 바울이 실제로 교회를 부끄럽게 하려고 했다는 견해를 옹호하려면Te-Li Lau, "내가 너희를 부끄럽게 하려고 이 글을 쓰는 것이 아니다",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고린도전서.

[207] 브루스, p. 51.

[208] 칼빈, 최초의…,98-99페이지.

[209] Findlay, 2:804.

[210] 키너, p. 45.

[211] 수수료, 첫 번째…, p. 187.

[212] 카슨, p. 111.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213] 맥클레인, p. 435.

[214] 예, The Nelson Study Bible, p. 1919; 헌트, 2:725.

[215] 카슨, p. 94.

[216] Ibid., p. 103.

[217] Ibid., p. 108.

[218] Ronald YK Fung, "바울에 따른 사역의 성격",Evangelical Quarterly54 (1982):132.

[219] 수수료, 첫 번째…, pp. 193-94.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220] 브루스, pp. 52-53.

[221] Cousar, "The Theological…," p. 101.

[222] Erdman, p. 55.

[223] 존슨, p. 1236.

[224] 수수료, 첫 번째…, p. 197.

[225] Cousar, "The Theological…," p. 98.

[226] Findlay, 2:807.

[227] 로버트슨과 플러머, p. 96. 참조. 바클레이, p. 49.

[228] Lightfoot, pp. 202-203; 핀들레이, 2:807.

[229] 수수료, 첫 번째…, pp. 199-200.

[230] 존슨, p. 1236.

[231] 수수료, 첫 번째…, p. 203. 또한 Barrett, p. 122.

[232] 칼빈, The First…,p. 105.

[233] 주장을 뒷받침하려면 Fee,The First…, pp. 206-8을 참조하세요.

[234] 키너, p. 48.

[235] 칼빈, 신학교, 4:12:5-6; 라이트풋, p. 204; Findlay, 2:809; H. Conzelmann,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주석, p. 97; SM Gilmour, "신약 교회의 목회적 돌봄,"New Testament Studies10 (1963-64):395; JC Hurd Jr.,고린도전서의 기원, p.137, p. 286, 엔. 5; GWH Lampe, "교회 규율과 고린도서에 대한 해석",기독교 역사와 해석: John Knox에게 제시된 연구, pp. 349, 353; 모리스, pp. 88-89; 존슨, p. 1237; 그리고 브루스, pp. 54-55.

[236] 시드니 HT 페이지, "사탄: 하나님의 종",복음주의 신학 협회 저널50:3(2007년 9월):449-65 참조.

[237] 윌리엄 바클레이(William Barclay),무슨 권위로? 피. 118; M. Dods,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p. 118; H. 올샤우젠(H. Olshausen),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서신에 대한 성경 주석, p. 90; H. Ridderbos,바울: 그의 신학 개요, p. 471; WGH Simon,고린도전서: 서문 및 해설, p. 78; 그리고 ME Thrall,바울이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와 둘째 편지, p. 40.

[238] FW Grosheide,고린도전서 주석, p. 123; Lenski, pp. 216-17; JJ Lias,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서신, p. 67; 모건,코린트식 …, p. 83.

[239] 동일하다.

[240] B. Campbell, "고전 5:5의 육체와 영: 신약의 수사적 비평에 대한 연습,"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36:3 (1993년 9월):341; KP Donfried, “바울의 칭의와 최후의 심판,”해석30(1976년 4월):150-51; H. von Campenhausen,처음 3세기 교회의 교회 권위와 영적 힘, pp. 134-135, n. 50; 그리고 초대교회 교부인 터툴리안(Tertullian).

[241] 칼빈, The First…,p. 108; 수수료,첫 번째…, pp. 208-15; Barclay,The Letters…, p. 50; 로버트슨, 4:113.

[242] Findlay, 2:809.

[243] 수수료, 첫 번째…,p. 209. William D. Mounce,Basics of Biblical Greek Grammar: Second Edition, p.54.

[244] 참조. 로워리, p. 514.

예 를 들어 , Alford, 2:2:506; 에드 헤이즈(Ed Hayes),교회, p. 127..

[246] Ironside, pp. 169-70.

[247] Hunt, 2:726.

[248] 브루스, p. 54.

[249] 아이언사이드, p. 171.

[250] Alfred Edersheim,The Temple, p. 220.

[251] 라이트풋, p. 205.

[252] 수수료, "...을 향해", p. 51.

[253] 동일하다.

[254] Ibid., p. 53.

[255] Findlay, 2:810.

[256] 헨리, p. 1810.

[257] 이 노트의 서문 섹션에서 이 편지에 대한 나의 의견을 참조하세요.

[258] 예, 수수료,첫 번째…, p. 226.

[259]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07.

[260] 칼빈, The First…,p. 114; FF 브루스,데살로니가전후서, p. 210.

[261] Robert N. Wilkin, "소위 소위 형제",Grace Evangelical Society News6:10(1991년 10월):2-3.

[262] Wiersbe, 1:586.

[263] Alexander Strauch,성경적 장로직, p. 115.

[264] René A. López, "A Study of Pauline Passages with Vice Lists",Bibliotheca Sacra168:671(2011년 7월-9월):301-16을 참조하세요.

[265] 교회 권징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는 J. Carl Laney, "The Biblical Practice of Church Discipline,"Bibliotheca Sacra143:572 (1986년 10-12월):353-64; Ted G. Kitchens, "교정적인 교회 징계의 경계,"Bibliotheca Sacra148:590(1991년 4월-6월):201-13; 및 데니스 레이니(Dennis Rainey),20세기 가족 성역, 261~273쪽. 교회 권징을 실천하는 지방 교회와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소송 주제에 대해서는 Jay A. Quine, "Court Involvement in Church Discipline,"Bibliotheca Sacra149:593(1992년 1월-3월):60-73 및 594(4월)을-1992년 6월):223-36.

[266] Timothy D. Howell, "The Church and the AIDS Crisis",Bibliotheca Sacra149:593(1992년 1월-3월):74-82도 참조하세요.

[267] Barclay, The Letters…, pp. 55, 56.

[268] 키너, p. 52.

[269] Cousar, "The Theological…," pp. 98-99.

[270] 바렛, p. 134.

[271] 수수료, 첫 번째…, p. 231.

[27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11.

[273] 아이언사이드, p. 178.

[274] Morgan, The Corinthian…,p. 86.

[275] Fee,The First…, pp. 233-34를 참조하십시오.

[276] Alford, 2:2:512.

[277] 또한 Robertson and Plummer, p. 113.

[278] Lightfoot, p. 참조. 211; 그리고 Barrett, p. 137.

[279] 칼빈, The First…,p. 120. 또한 Robert L. Constable,Live Saints, 묵상집 16쪽을 참조하십시오.

ESV는 성경 : 영어 표준 버전(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을가리킨다.

NKJV 는 성경: 뉴 킹제임스 버전(The Holy Bible: New King James Version)을가리킨다.

[282] 바렛, p. 138.

[283]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59.

예 를 들어 , MacArthur, pp. 127-29; 그리고 J. Dwight Pentecost,Thy Kingdom Come, p. 283.

[285] P. Michael Ukleja, "Homo sexuality in the New Testament,"Bibliotheca Sacra140:560 (1983년 10월-12월):350-58; 및 Sherwood A. Cole, "생물학, 동성애 및 도덕적 과실,"Bibliotheca Sacra 154:615(1997년 7월-9월):355-66.

[286] David E. Malick, "고린도전서 6:9의 동성애에 대한 비난,"Bibliotheca Sacra150:600(1993년 10월-12월):479-92. J. Kirby Anderson,Moral Dilemmas, ch. 13: "동성애."

[287] 키너, p. 55.

[288] Barclay, The Letters…, p. 60.

[289] Ibid., p. 59.

[290]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19.

[291] René A. López, "Paul의 악덕 목록 및 왕국 상속에 대한 견해",Bibliotheca Sacra168:669(2011년 1월-3월)81-97을 참조하세요.

[292] 예를 들어, DM Panton,그리스도의 심판대.

예 를 들어 , Hunt, 2:729.

[294] René A. López의 "고린도전서 6:9-10의 악덕 목록은 신자를 묘사하는가, 아니면 믿지 않는 자를 묘사하는가?"를 참조하십시오. Bibliotheca Sacra164:653(2007년 1월-3월):59-73.

[295] 바렛, p. 143.

[296] 알포드, 2:2:516

[297] Barclay, The Letters…, p. 62.

[298] 존슨, p. 1238.

[299] 수수료, 첫 번째…, pp. 250-51.

[300] Ibid., p. 251.

[301] Dillow, pp. 245-69 참조.

[302] 로버트 N. 윌킨(Robert N. Wilkin)의 "신자들에게 모든 것이 허용됩니까?"를 참조하십시오. Grace Evangelical Society 뉴스레터4:7 (1989년 7월):2.

[303] 수수료, 첫 번째…, p. 251. 참조. 10:23.

[304] Barrett, p. 145.

[305] 수수료, 첫 번째…, p. 252.

[306] Erdman, p. 63.

[307] 아이언사이드, p. 192.

[308] J. Paul Nyquist,The Post-Church Christian, p. 115. 문단구분을 생략함.

[309]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22.

[310] 키너, p. 57.

[311]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23.

[312] 바렛, p. 147.

[313] Erdman, p. 63.

[314] 수수료, 첫 번째…, p. 258.

[315] Wiersbe, 1:589.

[316] 맥기, 5:29-30.

[317] Findlay, 2:820.

[318] Stewart, p. 147.

[319] Findlay, 2:820.

키아스무스( chiasmus)는 단어, 문법적 구성 또는 개념이 역순으로, 동일하거나 수정된 ​​형태로 반복되는 수사적 또는 문학적 형태입니다.

[321] 수수료, 첫 번째…, p. 262.

[322] Jay E. Smith, "타락한 지도자들이 리더십으로 회복될 수 있습니까?Bibliotheca Sacra151:604(1994년 10월-12월):480.

[323] Sweeney, p. 629.

[324] Findlay, 2:821.

[325] 수수료, 첫 번째…, p. 264.

[326] Cousar, "The Theological…," p. 99.

[327] 키너, p. 62.

[328] 수수료, 첫 번째…, pp. 266-67.

[329]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66.

[330] 수수료, 첫 번째…, p. 268.

[331] Ibid., pp. 269-70.

[332] Ibid., p. 270.

전통적인 해석을 옹호하는 사람들로는 Godet, Lightfoot, Grosheide, Morris, Mare 및 Wiersbe가 있습니다 .

[334] Lenski, p. 273; 수수료,첫 번째…, p. 275; 로워리, p. 517; 키너, p. 62.

[335] 바렛, p. 154.

[336] Findlay, 2:822; 모리스, p. 105.

[337] 키너, p. 62.

[338]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33.

[339] Ibid., p. 134.

[340] 키너, p. 63.

[341] 수수료, 첫 번째…, p. 284.

[342] 이 견해에 대한 추가 지원은 ibid., pp. 287-88을 참조하십시오.

[343] 칼빈, The First…,p. 144.

[344] 키너, p. 64.

[345] 수수료, 첫 번째…, p. 291.

[346] Ibid., p. 293.

[347] William F. Arndt 및 F. Wilbur Gingrich,신약 그리스어-영어 사전, p. 899.

[348] Gleason L. Archer,성경 난제 백과사전, 398-401쪽 참조.

[349]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69.

[350] Anderson, ch. 10: "이혼."

[351] Barclay, The Letters…, p. 70.

[352] 바렛, p. 164.

[353] 라이트풋, p. 226.

[354]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42.

[355] EH 브로드벤트,순례자 교회, pp. 8-9.

[356] 존슨, p. 1240.

[357] 예를 들어, Robertson 및 Plummer, p. 143; 수수료,첫 번째 …, pp. 302-3.

예를 들어 , William A. Heth 및 Gordon J. Wenham,Jesus and Divorce.

예 를 들어, Barrett, p. 166; 브루스,고린도전서, 2쪽, p. 70; Lenski, pp. 294-95; 로워리, p. 518; 모리스, p. 111; 그리고 키너, p. 65.

[360] Robertson, 4:128 참조. 부록 1 "하느님 보시기에 결혼의 끝은 무엇입니까?"도 참조하십시오. 이 메모 끝에.

[361] 바렛, p. 167.

[362] 수수료, 첫 번째…, p. 307.

[363] Ibid., p. 311. 참조.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44.

[364] Ibid., p. 146. 또한 Keener, p. 66.

[365] 라이트풋, p. 228.

[366] 수수료, 첫 번째…, p. 319.

[367] 바렛, p. 175; Barclay,The Letters…, p. 77; 외.

[368] 수수료, 첫 번째…, p. 334. 또한 Lenski, p. 315.

[369] Charles B. Williams,A Commentary on the Pauline Epistles, p. 125.

[370]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58.

[371] 바렛, p. 181.

[372] RC Sproul,God's Will & the Christian, pt.를 참조하세요. 2, 채널. 2: "결혼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뜻"

예 를 들어, NASB; 또한 Robertson과 Plummer, p. 158; 로워리, p. 520.

예 를 들어, NIV; NEB:외경이 있는 새로운 영어 성경. 또한 Barrett, p. 184.

[375] Robertson, 4:135.

[376] 수수료, 첫 번째…, p. 355.

[377] Barclay, The Letters…, p. 79.

[378] 라이트풋, p. 235.

[379] 칼빈, The First…,p. 168.

이 주제에 대한 다른 유용한 자료는 이 노트 의 참고문헌을 참조하세요.

[381] 수수료, 첫 번째…, pp. 360-61.

[382] Ibid., pp. 361-62.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예 를 들어 , Barrett, pp. 188-89; 및 Wiersbe, 1:594.

[384] Findlay, 2:839.

[385] 수수료, 첫 번째…, p. 368.

[386] Barrett, p. 190.

[387] Wiersbe, 1:595.

[388] 바렛, p. 190.

[389] 수수료, 첫 번째…, p. 373.

[390] Cousar, "The Theological…," p. 99. 문단구분을 생략함.

[391] Frank Minirth, Paul Meier, et al.,The Workaholic and His Family, ch. 7: "죄책감 여행."

[392] Erdman, p. 79.

[393] Charles R. Swindoll,The Swindoll Study Bible, p. 1418.

[394] 로버트슨과 플러머, p. 170.

[395] 예, Bruce K. Fisk, "우상에게 바친 고기 먹기: 고린도전서 8~10장의 고린도식 행동과 바울의 반응(Gordon Fee에 대한 응답)",Trinity Journal10 NS:1(1989년 봄):49- 70.

[396] Calvin, The First…,p. 179.

[397] 나이퀴스트, pp. 115-16.

[398] Ibid., p. 114.

[399] Calvin, The First…,p. 181.

[400] 로버트슨(Robertson), 4:137-38.

[401] Lowery, p. 522.

[402] 수수료, 첫 번째…, p. 399.

[403] 다양한 연구에 대해서는Jan L. Verbruggen, "Of Muzzles and Oxen: Deuteronomy 25:4 and 1 Corinthians 9:9,"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바울이 신명기를 이해하고 사용했을 수 있는 방법. 25:4.

[404] 맥기, 5:41-42.

[405] Wiersbe, 1:599.

[406] Lowery, p. 523.

[407] 맥기, 5:42.

[408] 수수료, 첫 번째 …, p. 414.

[409] 모리스, p. 137. 또한 Barrett, p. 210.

[410] Erdman, p. 81.

[411] Ibid., p. 84.

[412] Femi Adeyemi, "새 언약 율법과 그리스도의 율법,"Bibliotheca Sacra163:652(2006년 10월-12월):438-52는 그리스도의 율법을 새 언약 율법과 정확하게 동일시했습니다(참조, Jer. 31:31-34).

[413] 바렛, p. 212.

[414] H. Chadwick,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고전 IX. 22),"New Testament Studies1 (1954-55):261-75 참조.

[415] Erdman, p. 86.

[416] 키너, pp. 81-82.

[417] 모리스, p. 139.

[418] Bruce, 고린도전서, 2서, p. 89.

[419] Findlay, 2:855-56; 모리스, p. 139.

[420] 맥기, 5:43.

[421]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89.

[422] Robertson, 4:149.

[423] Wall, pp. 79-89 참조.

[424] Jerry M. Hullinger, "Paul의 체육 암시의 역사적 배경,"Bibliotheca Sacra161:643 2004년 7월-9월):343-59를 참조하세요.

[425] J. Smith, "Can Fallen…", 466-67페이지 참조.

[426] Charles R. Swindoll,Three Steps Forward, Two Steps Back, ch. 12: “탈북: 타협의 마지막 단계”, pp. 169-83.

[427] 카슨, p. 116.

[428] Findlay, 2:858 ​​참조.

[429] 유형에 대한 추가 정보는 Bernard Ramm,Protestant Biblical Interpretation, pp. 196-219; Milton S. Terry,Biblical Hermeneutics, pp. 334-46; 패트릭 페어번(Patrick Fairbairn),성경의 모형론; 그리고 Elliott E. Johnson,해설 해석학: 소개, pp. 126, 208-9.

[430] Jerry Hwang, "우상 절기의 역전: 바울이 고린도전서 10:7에서 출애굽기 32:6을 사용함",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54:3(2011년 9월):573-87을 참조하세요.

[431] Erdman, p. 91.

[432] 칠십인역(Septuagint)은 기원전 3세기에 만들어진 히브리어 성경(우리 구약성서)의 그리스어 번역본이다. 서기 1세기에 대부분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이 사용했던 구약성경의 번역본이다.

[433] 유혹에 있어서 하나님의 역할을 다루는 다른 구절들을 보려면 출애굽기 3:13을 보라. 16:4; 신명기 8:2; 역대상 1장 21:1; 욥기 1:12; 2:6; 매트. 6:13; 야고보서 1:13. Swindoll, Three Steps …, ch.를참조하십시오7: "유혹: 취약한 약점," 85-102페이지.

[434] Lenski, p. 405.

[435] 맥기, 5:46.

[436] 수수료, 첫 번째 …, p. 467.

[437]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94.

[438] 칼빈, The First…,p. 215.

[439] Findlay, 2:864.

[440] 아이언사이드, p. 295.

[441]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15.

[442] Merrill F. Unger,Demons in the World Today, pp. 147-73을 참조하세요.

[443] Howson, p. 230.

[444] 아이언사이드, p. 305.

[445] Raphael Gasson,도전적인 위조품.

[446] 수수료, 첫 번째…, p. 477.

[447] 나이퀴스트, p. 116. 문단구분을 생략함.

[448] 수수료, 첫 번째…, p. 485.

[449]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00.

[450] 수수료, 첫 번째…, p. 488.

[451] AW Tozer,하나님을 추구함, p. 127.

[452] 수수료, "...을 향해", p. 40.

[453] 나이퀴스트, p. 117.

[454] Barclay, The Letters…, p. 105.

[455] Robert L. Plummer, "Imitation of Paul and the Church's Missionary Role in 1 Corinthians,"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44:2 (2001년 6월):219-35 참조.

[456] Wiersbe, 1:594.

[457] 바렛, p. 247.

[458] Findlay, 2:872.

[459] 넬슨…,p. 1928.

[460] 도움이 되는 연구를 보려면 Stephen Bedale, "The Meaning ofkephalein the Pauline Epistles,"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NS5 (1954):211-15; Paul S. Fiddes, "'여자의 머리는 남자이다:' 바울 본문에 대한 교리적 고찰,"Baptist Quarterly31:8 (1986년 10월):370-83; Wayne Grudem, "케팔레('머리')는 그리스 문학에서 '출처' 또는 '위의 권위'를 의미합니까? 2,336개 사례에 대한 조사,"Trinity Journal6NS (1985):38-59; 같은 저자. " 케팔레의 의미: 최근 연구에 대한 반응,"Trinity Journal11NS (1990):3-72; 그리고 이뎀, " 케팔레의 의미: 실제와 주장의 새로운 증거에 대한 평가,"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44:1 (2001년 3월):25-65.

[461] 바렛, p. 248.

[462] 권위 견해를 옹호하려면Lucy Mabery-Foster,Women and the Church그녀의 5장: "신약에 따른 여성의 역할은 무엇인가?" 관련된 모든 텍스트를 다룹니다.

[463] Alford, 2:2:565.

[464] 키너, p. 91.

[465] WM Thomson,The Land and the Book, 1:34.

[466] 예, Harold R. Holmyard III, "고린도전서 11:2-16은 여성이 교회에서 기도하고 예언하는 것을 언급합니까?" Bibliotheca Sacra154:616(1997년 10월-12월):461-72; JN Darby,고린도서 독서 노트, 85-87 쪽; 올샤우젠, p. 174; CT Ellicott,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 서신, p. 202; 우리 포도나무,고린도전서, p. 147; JA Beet,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서신에 대한 주석, p. 181; Lenski, pp. 436-37; Grosheide, pp. 341-42; J. MacArthur Jr.,고린도전서, p. 256.

[467] 신약 그리스어-영어 사전, sv "propheeuo," p. 553. 또한 Wayne A. Grudem, "예언은 그렇습니다. 하지만 가르치는 것은 아닙니다: 통치 권위 없이 여성의 참여에 대한 바울의 일관된 옹호,"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30:1 (1987년 3월):11-23; 그리고 이뎀은 "왜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예언할 수 있는가",Christian Today, 1988년 9월 16일, 29-31, 34-35페이지입니다. 그루뎀은 예언의 은사에 대한 카리스마적 해석과 비카리스마적 해석 사이의 중간 위치를 추구했습니다. 고린도전서의 예언의 은사신약과 현대의 예언의 은사를참조하세요. Robert L. Thomas, "예언의 재발견? 신약과 오늘날의 예언의 은사검토,"Bibliotheca Sacra149:593(1992년 1월-3월):83-96은 Grudem의 견해에 대한 유용한 비평을 제공했습니다.

[468] 찰스 하지(Charles Hodge),조직신학, 2:462.

[469] Fee,The First…, pp. 495-97, 509-10을 참조하십시오.

[470]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04.

[471] 요아킴 예레미야스(Joachim Jeremias),예수 시대의 예루살렘, p. 359.

[472] Lowery, p. 529. 또한 H. Wayne House, "여자가 남자 앞에서 예언해야 합니까, 아니면 설교해야 합니까?"를 참조하십시오. Bibliotheca Sacra145:578 (1988년 4월-6월):141-61, 그녀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473] Wiersbe, 1:604.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474] Lenski, p. 439.

[475] Thomson, 1:35.

[476] 칼빈, The First…,p. 231.

[477] Williams, p. 140; G. Campbell Morgan,성경 전체 해설, p. 474; 동일,고린도전서…,p. 136. 성경적 지시가 해당 문화에만 국한되는지 아니면 초문화적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Roy B. Zuck,Basic Bible Interpretation, 90-97 쪽을 참조하십시오.

[478] Ironside, pp. 330-31을 참조하세요.

[479] 오늘날 교회 모임에서 여성이 머리 덮개를 착용해야 한다는 견해를 옹호하려면 Bruce K. Waltke, "1 Corinthians 11:2-16: An Interpretation," Bibliotheca Sacra 135:537(1978년 1월-3월)을 참조하십시오. 46-57; Arno C. Gaebelein,주석이 달린 성경, 3:2:120; 아이언사이드, pp. 323-40; 및 SL Johnson Jr., pp. 1247-48.

[480] 수수료, 첫 번째…, p. 512. 또한 David K. Lowery, "고린도전서 11:2-34의 머리 덮개와 주의 만찬,"Bibliotheca Sacra 143:570(1986년 4월-6월):159; 케네스 T. 윌슨, "여성은 머리 덮개를 써야 할까요?" Bibliotheca Sacra148:592(1991년 10월-12월):442-62; 그리고 Barclay,The Letters…, p. 110.

[481] 바렛, p. 249.

[482] 벤저민 L. 머클(Benjamin L. Merkle), "고린도전서 11:8-9 및 디모데전서 2:13-14의 창조에 대한 바울의 주장: 명백한 불일치에 대한 답변", 복음주의 신학 협회 저널 49:3(2006년 9월)참조 :527-48.

[483] Lowery, "고린도전서," p. 529.

[484] 또한 F. Godet,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성 바울의 첫째 서신에 대한 주석, 2:122; 및 Charles Hodge,고린도전서 및 후서 주석, p. 211.

RSV 는 성경: 개정 표준 버전(The Holy Bible: Revised Standard Version)을의미합니다.

[486] Baxter, 6:114; 브루스,고린도전서, 2쪽, p. 106; MD Hooker, "그녀의 머리에 있는 권위: 고린도전서 11장 10절에 대한 검토,"New Testament Studies 10 (1963-64):410-16.

[487] William M. Ramsay,The Cities of St. Paul, pp. 202-5; 모리스, p. 154.

[488] Barrett, p. 255.

[489]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33.

[490] 수수료, 첫 번째…, p. 522.

[491] 칼빈, The First…,p. 235; 바렛, p. 257.

[492] LGBTQ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퀴어를 지칭합니다.

[493] 카슨과 무, p. 420.

[494] 키너, p. 98.

[495] Barclay, The Letters…, pp. 112-13.

[496] Ibid., p. 113.

[497] 수수료, 첫 번째 …, p. 548.

[498] David Lincicum, "Paul and theTestimonia: Quo Vademus?"복음주의신학회지51:2 (2008년 6월):297-308.

[499] Ludwig Ott,Fundamentals of Catholic Dogma, pp. 371-87을 참조하세요.

[500] Earle E. Cairns,수세기를 통한 기독교, p. 216.

[501] Kenneth Scott Latourette,기독교의 역사, p. 531.

[502] 브로드벤트, pp. 25-26.

[503] 케언즈, pp. 319-20.

[504] Lenski, p. 467.

[505] 칼빈, The First…,p. 250; 윌리엄 GT 쉐드(William GT Shedd),교의신학, 2:565-74.

[507] 수수료, 첫 번째…, p. 550. 이러한 견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보려면 주의 만찬에 관한 기사와 성경 백과사전의 동의어를 참조하십시오. 또한 Preserved Smith,유럽의 개혁, 91-93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508] 규례에 대한 추가 연구는 Charles C. Ryrie,Basic Theology, 421-27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509] Rodney J. Decker, "The Church's Relationship to the New Covenant,"Bibliotheca Sacra152:607(1995년 7월-9월):290-305 참조.

[510] Findlay, 2:881.

[511] JN Darby,성경 개요, 4:252.

[51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49.

[513] 헨리, p. 1818.

[514] 바렛, p. 268.

[515] 에더샤임(Edersheim), p. 232.

[516] 칼빈, 종교 강요, 4:17:37.

[517] Jerry M. Hullinger, "The Problem of Animal 희생 in Ezekiel 40-48,"Bibliotheca Sacra152:607(1995년 7월-9월):279-89를 참조하세요.

[518] Wiersbe, 1:607.

[519] Constable, Live Saints, 묵상 13.

[520] Troels Engberg-Pedersen, "주의 죽음을 선포함", inPauline Theology. Vol. II: 고린도전서, 2서, p. 116.

[521] 맥기, p. 52.

[522] Findlay, 2:882.

[523] Wiersbe, 1:606.

[524] Cousar, "The Theological…," p. 100.

[525] Darby, 4:255.

[526] Stanley D. Toussaint의 " 왜, 오 하나님?"에서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의 고난"을 참조하십시오. 성경과 교회에서의 고난과 장애, pp. 188-89.

[527] Findlay, 2:884.

[528] 수수료, "...을 향해", p. 45.

[529] Robert G. Gromacki,The Holy Spirit, pp. 227-35 참조.

[530] Idem, The First…, pp. 572-73.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531] Constable, Live Saints, 묵상 17.

[532] H. Wayne House, "고린도의 방언과 신비 종교",Bibliotheca Sacra140:558(1983년 4월-6월):147-48.

[533] Gasson, p. 48.

[534] Robert G. Gromacki,The Modern Tongues Movement, pp. 5-9 참조.

[535]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17.

[536] 바렛, p. 279. 참조. 신명기 13:2-6; 18:21-22.

[537] 로버트 L. 토마스(Robert L. Thomas),영적 은사의 이해, p. 24.

[538] Robertson, 4:167.

[539] 수수료, 첫 번째…, p. 582.

[540]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62.

[541] Eliezer Gonzalez의 "바울서신의 치유: 왜 침묵하는가?"를 참조하십시오. 복음주의신학회지56:3 (2013년 9월):557-75. 영적인 은사가 능력이라기보다 사역이라는 견해를 옹호하려면 Kenneth Berding, "Confusing Word and Concept in 'Spiritual Gifts': Have We Forgotten James Barr's Exhortations?"를 참조하십시오. 복음주의신학회지43:1 (2000년 3월):37-51.

[542] John F. Walvoord 편집,Lewis Sperry Chafer Systematic Theology, 제1권, 요약판, p. 271.

[543] Constable, Live Saints, 묵상 18.

[544] Erdman, p. 108.

[545] Gromacki, The Holy…, p. 205.

[546] Erdman, p. 109.

[547] 모리스, p. 170.

[548] 토마스, 영적인 이해…,p. 37.

[549] 칼빈, The First…,p. 262.

[550] Barrett, pp. 284-85.

예 를 들어, William J. McRae,The Dynamics of Spiritual Gifts, pp. 64-66.

[552] Gasson, p. 60.

[553] 일부 은사의 일시적인 성격, 즉 초대 교회에서는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는 논의에 대해서는 Thomas R. Edgar, "The Cessation of the Sign Gifts," Bibliotheca Sacra145: 580(1988년 10월-12월):371-86; 및 John F. Walvoord, "성령 교리의 현대적 문제. 제4부: 오늘날의 영적 은사",Bibliotheca Sacra130:520(1973년 10월-12월):315-28. 이 기사는 Bibliotheca Sacra143:570(1986년 4월-6월):109-21에 "성령과 영적 은사"라는 제목으로 재인쇄되었습니다또한 Vern S. Poythress, "사도적 은사와 유사한 현대 영적 은사: 중단주의 신학 내에서 성령의 특별한 사역을 확인함",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39:1(1996년 3월):71-101을 참조하십시오.

[554] Gasson, pp. 61-65, 73-79 참조.

[555] CS Lewis,Miracles.

[556] 칼빈, The First…,p. 262.

[557] Mark L. Hitchcock, "A Defense of the Domitianic Date of the Book of Revelation"(Dallas Theological Seminary 박사 학위 논문), 2005 참조.

[558] 수수료, 첫 번째…, p. 595.

[559] 키너, p. 101.

[560] Gasson, pp. 51-57 참조.

[561] 웅거(Unger), p. 125.

[562] Findlay, 2:889; Erdman, pp. 110, 126-27; 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방언"이 황홀한 현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563] Gromacki,The Modern…,pp. 53-68을 참조하세요.

[564] 수수료, 첫 번째…, p. 572. 참조. idem, "방언—가장 작은 은사? 고린도전서 12~14장에 대한 일부 주석적 관찰,"Pneuma2(1980):3-14.

[565] Lowery, "고린도전서," p. 533. 또한 Erdman, pp. 110, 122; 다비, 4:268.

[566] Ladd, pp. 534-35에서 수정됨.

[567] www.churchgrowth.org를 확인해 보세요.

[568] Wiersbe, 1:607.

[569] Stanley M. Horton, "오순절 관점",성화에 대한 다섯 가지 견해, p. 128.

[570] 바렛, p. 289.

[571] John F. Walvoord,The Holy Spirit, pp. 146, 231; Charles C. Ryrie,성령, pp. 76, 109.

[57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73.

[573] R. Jamieson, AR Fausset 및 D. Brown,성경 전체에 대한 실제적이고 설명적인 주석, p. 1216.

[574] 맥기, 5:61.

[575] Barclay, The Letters…, p. 127.

[576] 수수료, 첫 번째…, 613-14페이지.

[577] Barclay, The Letters…, p. 126.

Jamieson 등, p. 1216.

[579] 키너, p. 104.

[580] Morgan, The Corinthian…,p. 159.

[581] 칼빈, The First…,p. 271.

[582] 동일하다.

[583] Barclay, The Letters…, p. 129.

[584] 아이언사이드, p. 152.

[585] 칼빈, The First…,p. 272

[586]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81, 각주. 참조. 성경 사전, sv "주의 날", NJD White 저, 3:141.

[587] Wiersbe, 1:609.

[588] SL Johnson Jr., p. 1251.

[589] Horton, p. 130.

[591] 빌리 그레함(Billy Graham)의성령(The Holy Spirit), 170-74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토마스,영적인 이해…,p.를 참조하십시오. 50, 하나님께서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거듭나는 순간에 갖게 될 모든 영적 은사를 주신다는 견해에 근거합니다.

[592] Barclay,The Letters…, p. 참조. 120.

[593] Lenski, p. 542.

[594] 토마스, 영적인 이해…,p. 88.

[595] John E. Johnson, "The Old Testament Offices as Paradigm for Pastoral Identity,"Bibliotheca Sacra152:606 (1995년 4월-6월):182-200을 참조하십시오.

[596] 맥기, 5:62.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597] Thomas A. Jackson, "영적 은사에 관하여: 고린도전서 12장 연구," Faith and Mission7:1(Fall 1989):68.

[598] Calvin, The First…, p. 274.

[599] 수수료, 첫 번째 …, p. 625.

[600] 로버트슨과 플러머, pp. 269-70. 다음 차트는 Wiersbe, 1:607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601] Bruce, 고린도전서, 2서, p. 124.

[602] 수수료, 첫 번째…, p. 630.

[603]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88.

[604] Wiersbe, 1:610.

[605] John C. Poirier,The Tongues of Angels: The Concept of Angelic Languages ​​in Classical Jewish and Christian Texts를 참조하세요.

[606] Lowery, "고린도전서", 537-38페이지를 참조하세요.

[607] 칼빈, The First…,pp. 274-75. 과장법은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과장된 표현입니다.

[608] 예, Lowery, "1 Corinthians," p. 535; 키너, p. 108.

[609] 헨리, p. 1819.

[610]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25; Barclay,The Letters…, p. 131;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89.

[611] 헨리, p. 1819.

[612] 바렛, p. 303.

[613] 키너, p. 107.

[614] Erdman, p. 118.

[615] Henry Drummond,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것",고린도전서 13장, 21-22쪽.

[616] 키너, p. 107.

[617] SL Johnson Jr., p. 1251.

[618] Barclay, The Letters…, p. 136.

[619] Wiersbe, 1:611.

[620]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94.

[621] 수수료, 첫 번째…, p. 639.

[622] Barclay, The Letters…, p. 137.

[623]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27.

[624]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95. 또한 Morgan,The Corinthian …,p. 165.

[625] Erdman, p. 120.

[626] 맥기, 5:65.

[627] Robertson, 4:179.

[628] Stanley D. Toussaint, "First Corinthians 13 and The Tongues Question,"Bibliotheca Sacra120:480 (1963년 10-12월):311-16을 참조하십시오.

Origen (ca. 185-ca. 254 AD), "Against Celsus," 7:8 inThe Ante-Nicene Fathers, 4:614; 크리소스톰(347-407 AD), "마태복음 강론 12장",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10:77; idem, "로마서 강론 14장," ibid., 11:447; idem, “고린도전서 강론 29장,” ibid., 12:168; idem, "고린도전서 강론 6장," ibid., 12:31; 어거스틴(354-430 AD), "세례에 대하여, 도나투스파에 반대하여", 3:16:21, ibid., 4:443; 동일하게, “성 요한의 서신,” 6:10, ibid., 7:497-98; idem, "요한1서. 강론," 6:10, ibid., 7:497-98; idem, "도나티스트에게 보낸 청원서에 대한 답변," 2:32:74, ibid., 4:548; 그리고 동일하게, "성 요한의 복음서, Tractate," 32:7, ibid., 7:195. Michael J. Svigel, "The Passing of the Prophets in the Apostolic Fathers",Bibliotheca Sacra176:704(2019년 10월-12월):459-75를 참조하세요. 또한 칼빈,신학교, 4:19:6, 19; 딜로우(Dillow),방언으로 말하기, 147-64쪽; 그리고 Philip Schaff,기독교 교회의 역사, 1:236-37; 방언의 은사가 역사적으로 중단된 것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또한 George W. Dollar, "Church History and the Tongues Movement,"Bibliotheca Sacra120:480 (1963년 10-12월):316-21; 그리고 F. David Farnell의 4개 기사 시리즈, "오늘날을 위한 예언의 은사가 있습니까?" Bibliotheca Sacra149:595(1992년 7월-9월):277-303; 596(1992년 10월-12월):387-410; 150:597(1993년 1월-3월):62-88; 및 598(1993년 4월-6월):171-202; Gromacki,현대…,pp. 11-18.

[630] 바렛, p. 306.

[631] 수수료, 첫 번째…, p. 645; Lowery, "고린도전서," p. 536; Thomas R. Edgar,기적의 선물: 오늘을 위한 것인가? 333-34면; 키너, p. 109.

[632] Toussaint, "고린도전서...," pp. 312-14; 헌트, 2:752.

[633] Charles C. Ryrie,The Ryrie Study Bible, p. 1744;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97; 맥레이, p. 92.

[634] 토마스, 영적인 이해…, pp. 106-13; idem, "'방언은 그치리라'"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17:2 (Spring 1974):81-89; 그리고 이뎀, "고전 13:11 재검토: 주석 업데이트,"Master's Seminary Journal4:2 (1993년 가을):187-201. 또한 Farnell, 150:598:191-93을 참조하십시오.

[635] Merrill F. Unger,신약의 방언 교육, p. 95; Myron J. Houghton, "고린도전서 13:8-13의 재검토,"Bibliotheca Sacra 153:611(1996년 7월-9월):344-56; 딜로우(Dillow),다음에서 말함, pp. 119-36. 또한 Chafer,Systematic Theology, 1:101을 참조하십시오.

[636] John F. MacArthur Jr.,카리스마적 혼돈, p. 231.

[637] 수수료, 첫 번째…, 647-48페이지. 참조. 로버트슨과 플러머, p. 298; 핀들레이, 2:901.

[638] Michael Fishbane, "거울을 통해: 겔 43:3, 민 12:8 및 고린도전서 13:8에 대한 고찰",히브리어 연례 검토10(1986):63-74 참조.

[639] Erdman, p. 125.

[640] 칼빈, The First…,p. 283.

[641] 바렛, p. 311.

[642] Alexander Strauch의사랑에 대한 15가지 설명을.

[643] Wiersbe, 1:612.

[644] 수수료, 첫 번째…, p. 655.

[645] Lenski, p. 576.

[646] Ibid., p. 609.

[647] 예, Robertson 및 Plummer, pp. 301, 306.

[648] Keener, pp. 112-13, S. Lewis Johnson Jr., "The Gift of Tongues and the Book of Acts,"Bibliotheca Sacra120:480(1963년 10-12월):310-11을 참조하십시오.

[649] 수수료, 첫 번째…, p. 657.

[650] Alford, 2:2:590.

11:4에 대한 나의 메모 를 참조하십시오.

[652] Lowery, "고린도전서," p. 538.

[653] 아이언사이드, p. 444.

의성어 는 이름이 붙은 것과 관련된 소리에서 단어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655] 수수료, 첫 번째…, p. 666.

[656] 칼빈, The First…,p. 291.

[657] Ibid., p. 292.

[658] 맥기, 5:68.

[659] 헨리, p. 18:21.

[660] 방언을 말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지침의 예를보려면 Gromacki,The Modern…,

[661] Walvoord, The Holy…, pp. 185-86.

[662] Chadwick, p. 269.

[663] 키너, p. 114.

[664] Stanley D. Toussaint, "Rethinking Tongues",Bibliotheca Sacra 172:686(2015년 4월-6월):184.

[665] Barclay, The Letters…, p. 145.

[666]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15.

[667] Wiersbe, 1:614.

[668] Zane C. Hodges, "The Purpose of Tongues,"Bibliotheca Sacra 120:479(1963년 7월-9월):226-33; J. Lanier Burns, "방언의 목적에 대한 재강조,"Bibliotheca Sacra132:527 (1975년 7월-9월):242-49; 및 Harold W. Hoehner, "고린도전서 14:20-25의 방언의 목적", Walvoord: A Tribute, 53-66쪽.

[669]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17.

[670] Ibid., p. 318.

[671] 바렛, p. 324.

[67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19.

[673] 바렛, p. 327.

[674] Erdman, p. 132.

[675] Baxter, 6:116-17 참조.

[676] 토마스, 영적인 이해…,151, 152쪽.

[677] R. Fowler White, "하나님은 다가오는 복음주의 위기(The Coming Evangelical Crisis)에서 오늘날 성경과 별개로 말씀하십니까?이 에세이는 Jack Deere의 가르침에 대한 반박입니다.성령의 능력에 놀라다, pp.이 주제에 관한Grudem,The Gift..., idem,Systematic Theology

[678] Barclay, The Letters…,p. 150.

[679] 수수료, 첫 번째…, p. 697.

[680] 칼빈, The First…,p. 306

[681] 키너, p. 119.

[682] Idem, "고대의 여성 교육 및 대중 연설",복음주의 신학 협회 저널50:4(2007년 12월):759.

[683] 칼빈, The First…,p. 307.

[684] 아이언사이드, p. 455.

[685]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136-37페이지; 모리스, pp. 201-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25; 제임스 B. 헐리(James B. Hurley),성경적 관점에서 본 남자와 여자, 188, 190쪽; NET2 성경; 외.

[686]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19.

[687] 상당히 최근의 옹호자들로는 Thomas,Understanding Spiritual…,pp.158-61; 제임스 그린버리(James Greenbury), "고린도전서 14:34-35: 예언의 재검토 평가,"복음주의 신학학회지51:4(2008년 12월):721-31.

[688] Lenski, p. 614.

[689] Barclay, The Letters…, p. 151.

[690] Morgan, The Corinthian…,pp. 180-81.

[691] Barrett, pp. 332-33.

[692] 수수료, 첫 번째…, 699-702페이지.

[693] 아이언사이드, p. 454-55. 참조. Wiersbe, 1:616.

[694] Lowery, "고린도전서," p. 541.

[695] SL Johnson Jr., "첫 번째…," p. 1255.

[696] Findlay, 2:915; H. 웨인 하우스, "중간에 잡혔습니다",Kindred Spirit 13:2 (1989년 여름):14; idem, "여성에 대한 이야기와 율법의 금지",Bibliotheca Sacra145:579(1988년 7월-9월):301-18.

[697] Anne B. Blampied, "고린도전서 14:34-35의 '여성'을 위한 바울과 침묵,"Studia Biblica et Theologica18:2(1983년 10월):143-65. 또한 Calvin,The First…,pp. 306-7을 참조하십시오.

[698] Andrew B. Spurgeon, "고린도전서 14장의 바울의 명령과 여성",Bibliotheca Sacra168:671(2011년 7월-9월):317-33.

[699] 예, 브루스(Bruce),고린도전서 및 후서, p. 135.

[700] 수수료, 첫 번째…, p. 709.

[701] 상동. 또한 Strauch,성경적 장로직, 63-64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702] Gasson, p. 48.

[703]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28.

이 주제에 대한 추가 논의는 이 노트 끝에 있는 부록 2 "영적 은사에 대한 나의 이해 요약"을 참조하십시오 .

[705]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22. 문단 구분을 생략함.

[706] 수수료, 첫 번째…, p. 713.

[707]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29. 교리는 교회, 정당 또는 기타 단체가 보유하고 가르치는 신념 또는 일련의 신념입니다.

[708] 수수료, 첫 번째…, p. 716.

[709] 파체, p. 163.

[710] CH Spurgeon,만능 사역, p. 308.

[711]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38.

[71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33.

[713] 수수료, "...을 향해", p. 49.

[714] 각주 56: A. Neubauer, ed.,The Fifty-Third Chapter of Isaiah,[the] Jewish Interpreters,2 vols.

[715] 수수료, 첫 번째 …, p. 724.

[716] J. Gresham Machen,기독교와 자유주의, p. 27.

[717] 아이언사이드, p. 468. 참조 페이지. 478.

[718] Martin Pickup, "'On the Third Day': The Time Frame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56:3(2013년 9월):511-42를 참조하세요.

[719] Thomas L. Constable, "복음 메시지", Walvoord: A Tribute, p. 203. 또한 John RW Stott,The Cross of Christ, p. 232; 및 Gavin Ortlund, "메시아로 부활함: 선지자, 제사장, 왕으로 부활하신 그리스도",복음주의 신학 협회 저널54:4(2011년 12월):749-66.

[720] Daniel J. Pfeifer, "Which Came First, Symbol or the Referent? A Study of the Historical Twelve,"Bibliotheca Sacra172:688(2015년 10월-12월):433-49를 참조하세요.

[721] 뉴 스코필드…,p. 1247.

[722] 칼빈, The First…,p. 315.

[723] 수수료, 첫 번째…, p. 733. 단락 구분이 생략되었습니다.

[724]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26. 라틴어 문구reductio ad absurdum (문자적으로, 터무니없는 것으로 환원)은 전제의 논리적 결과가 터무니없거나 모순적임을 보여줌으로써 전제의 허위성을 증명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726] 가구, p. 74.

[727] Barclay, The Letter…, p. 156.

[728] 동일하다.

[729] Merrill C. Tenney,부활의 현실, p. 23.

[730] Ibid., p. 77.

[731] Norman L. Geisler,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의 중요성,"Bibliotheca Sacra146:582 (1989년 4월-6월):148-70을 참조하십시오.

[732] 수수료, 첫 번째…, p. 743.

[733] Barclay, The Letter…, p. 153.

[734] 아이언사이드, p. 475.

[735] Andrew Wilson, "고린도전서 15:20-28의 보편주의에 대한 가장 강력한 주장,"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59:4 (2016):805-12를 참조하세요.

[736] Wiersbe, 1:618.

[737] Robert L. Saucy,진보적 세대주의에 대한 사례, p. 280.

[738] D. Edmond Hiebert, "고린도전서 15장의 증거",A Case for Premillennialism: A New Consensus, p. 234.

[739] Donald R. Glenn, "시편 8편과 히브리서 2장: 성서 해석학과 성서 신학의 사례 연구," inWalvoord: A Tribute, pp. 44-45; 및 Martin Pickup, "구약의 신약 해석: 미드라식 주석의 신학적 근거,"복음주의 신학 협회 저널51:2(2008년 6월):353-81.

[740] 참조. Saucy,The Case…, pp. 321-22.

[741] 예, CE Hill, "고린도전서 15:20-28에서 바울의 그리스도 왕국에 대한 이해",Novum Testamentum30:4 (1988년 10월):297-320.

[742] John V. Dahms, "아들의 종속",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37:3(1994년 9월):351-64.

[743]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58.

[744] Alford, 2:2:612; 파체, pp. 90-92.

[745] 모리스, p. 219. 다른 견해에 대한 주석과 John D. Reaume, "Another Look at 1 Corinthians 15:29, 'Baptized for the Dead',"Bibliotheca Sacra152:608 (1995년 10월-12월):457-75; 궁수, 401-2페이지.

[746] Lowery, "고린도전서," p. 544.

[747] Barrett, pp. 362-63; 그리고 Robertson과 Plummer, p. 360.

[748] Jan Karel Van Baalen,The Chaos of Cults, p. 168; John H. Gerstner,주요 종파의 신학, pp. 50, 178.

[749] Joel R. White, "죽은 자 때문에 세례를 받다": 문맥상 고린도전서 15:29의 의미,"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16:3 (1997):487-99.

[750] Ironside, pp. 496-504.

[751] 브루스, 고린도전서, 2서, p. 149;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62.

[752] 모리스, p. 221.

[753] 수수료, "...을 향해", p. 40.

[754] 부활을 부인하는 환생에 대한 소개는 H. Wayne House, "Resurrection, Reincarnation, and Humanness,"Bibliotheca Sacra148:590(1991년 4월-6월):131-50을 참조하세요. 또한 Van Baalen, 51-64페이지; Gerstner, pp. 91-103, 185.

[755] 수수료, 첫 번째…, p. 778.

[756] Barclay, p. 157.

[757] Erdman, p. 147.

[758] Wiersbe, 1:620.

[759] 수수료, 첫 번째…, p. 783.

[760] RenéA. López, "예수와 신자의 부활체의 본질,"Bibliotheca Sacra170:678(2013년 4월-6월):143-53을 참조하세요.

[761] Peter Jones, "Paul Confronts Paganism in the Church: A Case Study of First Corinthians 15:45,"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49:4 (2006년 12월):736. 라틴어 문구sine qua non(lit) . [cause] which 없이 not)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René A. López, "DoesThe Jesus Family TombDisprove His Physical Resurrection?"을Bibliotheca Sacra165:660(2008년 10월-12월):425-46 .

[762] Baxter, 6:118.

[763] "마지막 아담"에 대한 논의는FW Grant,The Crowned Christ

[764] Richard B. Gaffin Jr., "'Life-Giving Spirit': Probing the Center of Paul's Pneumatology,"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41:4(1998년 12월):573-89를 참조하세요.

[765] "두 번째 사람"에 대한 논의는 Grant, pp. 55-67을 참조하세요.

[766]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74.

[767] McGee, 5:79 참조.

[768] 수수료, 첫 번째…, p. 795.

[769]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33.

[770] RenéA. López, "A Study of Pauline Passages on Inheriting the Kingdom,"Bibliotheca Sacra168:672(2011년 10월-12월):447-48을 참조하세요.

[771] Gaebelein, 3:2:141.

[772] John F. Walvoord,The Rapture Question, ch. 10: "부분 휴거 이론", 105-25페이지.

[773] Barnabas Lindars, "The Sound of the Trumpet: Paul and Eschatology,"Bulletin of the John Rylands University Library of Manchester67:2(1985년 봄):766-82를 참조하세요.

[774] John F. Walvoord,End Times, p. 28. 또한 Ironside, p. 529.

[775]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77.

[776] 예, Alexander Reese,다가오는 그리스도의 재림, p. 73. 환난후주의자들은 그리스도인들이 환난을 겪게 될 것이라고 믿는 반면, 환난전주의자들은 휴거가 환난 전에 일어날 것이라고 믿습니다.

[777] 레날드 E. 샤워스,마라나타: 우리 주님, 오십시오! 교회의 휴거에 대한 결정적인 연구, 259-69쪽.

휴거 가 환란 전에 일어난다는 더 많은 증거를 보려면 Pentecost,Things to…, pp. 193-218; 존 F. 월보드(John F. Walvoord),휴거 idem,복된 소망과 환난; 그리고 Ryrie,Basic Theology, pp. 482-87.

[779] John F. Walvoord, "휴거: 하나님의 달력에 따른 다음 사건",The Road to Armageddon, p. 30.

[780] Gaston Deluz,A Companion to I Corinthians, p. 248. 또한 Gerald B. Stanton, Kept from the Hour, ch. 6: "교회를 위한 그리스도의 재림이 임박함", pp. 108-37.

[781] Lenski, p. 737.

[782] 부록 3 "사람이 죽은 후에는 어떻게 되나요?"를 참조하세요. 이 메모 끝에.

[783] Joachim Jeremias, "살과 피는 하나님의 왕국을 유업으로 받을 수 없습니다."New Testament Studies2 (1955-56):152.

[784] 수수료, "...을 향해", p. 58.

[785]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35.

[786] Morgan, The Unfolding…, pp. 389-90; 동일,고린도전서…,p. 205.

[787] Gary Habermas 및 Anthony Flew,예수는 죽음에서 부활하셨습니까? ; 존 웬햄(John Wenham),< 부활절 수수께끼: 부활 이야기는 충돌하는가?> ; 조쉬 맥도웰,목수 그 이상; 스티븐 T. 데이비스(Stephen T. Davis), 실제로 부활: 부활을 이해하기; 프랭크 모리슨,누가 돌을 옮겼는가? Albert L. Roper,예수께서는 죽음에서 부활하셨습니까?

[788]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36.

[789] Wiersbe, 1:621.

[790] Erdman, p. 154.

[791] Ibid., p. 153.

[792] 로버트슨과 플러머, p. 384.

[793] 수수료, 첫 번째…, p. 813.

[794] 뉴 스코필드…,p. 1250.

[795] McGee, 5:82.

[796] 헨리, p. 1826.

[797] Alford, 2:2:621.

[798] 아이언사이드, p. 538.

[799] 헨리, p. 1826.

[800] CF Keil과 Franz Delitzsch,구약 성경 주석: 오경, 1:207 참조.

[801] W. 로버트슨 스미스(W. Robertson Smith),셈족의 종교에 관한 강의, pp. 245-51.

[802] Charles C. Ryrie,그리스도인 생활의 균형 잡기, p. 86.

[803] 수수료, 첫 번째…, p. 817.

[804]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39.

[805] Richard Batey, "Paul's Interaction with the Corinthians,"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84 (1985):139-43을 참조하십시오.

[806] 헨리, p. 18:26.

[807] 넬슨…,p. 1941년.

[808] 아이언사이드, p. 558.

[809] Ibid., p. 560.

[810] Keener, 고린도전서 1~2, p. 140.

[811] 수수료, 첫 번째…, p. 834.

[812] Barclay, The Letter…, p. 187

[813] Lowery, "고린도전서," p. 548.

[814] Barclay, The Letter…, p. 188.

[815] 샤워, p. 131. 참조. 계 3:11; 22:7, 12, 17, 20.

[816] 수수료, 첫 번째…, p. 839.

[817] 또한 Cliff Allcorn, "현재 사용을 위해 카리스마 표징 선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무익하다는 점에 관하여"Journal of Dispensational Theology16:49 (2012년 12월):61-79; Walvoord,The Holy…,pp. 173-88; Gromacki,The Holy…,pp. 218-25.

[818] RC Trench,우리 주님의 기적에 관한 메모, 49-62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819] "상자 안의 신"에 대한 논의는JB Philips,Your God Is Too Small

'神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교  (0) 2023.12.03
야콥 뵈메  (0) 2023.10.08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간증  (0) 2023.08.18
종교의 개념-stanford.edu  (1) 2023.08.18
루드비히 포이어바흐 - 기독교의 본질 원본  (0) 202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