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 중의 소수민족 '모수오족'의 여인천하...
- 1,500여년 동안 '모계사회를 이어온 지구상의 마지막 여인국(女人國) -
★'모수오(摩梭 Mosuo)족' 은 누구인가...?
摩(mo): 갈 마, 마찰하다, 비비다, 어루만지다, 쓰다듬다, 절차탁마하다, 탐구하다摩天(motian): 하늘에 닿을 듯 높다, 摩天大樓(마천대루), 摩天大廈(마천대하)
摩崖(moya): 마애, (석벽에) 그림, 글씨, 불상 등을 새긴 것
梭(suo): 북 사, (베틀) 북, 日月如梭(일월여사):해와 달이 베틀 북과 같다.
세월이 빠르다. 북 같이 생긴 것, 香梭(향사): 붉은 꼬치고기
. 예전에는 '모수오족'을 고대 중국대륙의 서북지방인 '칭하이성(靑海省)'지역에 살고 있던
'창족(羌族)'이 전쟁을 피해 남쪽(雲南省 일대)으로 내려와 정착한 것으로 추정했음.
. '모수아족'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에는 포함되지 않은 소수민족 중의 소수민족으로 '모수오족',
또는 '모쒀족'으로 불리며 중국에서 1950년대에는 '나시족(納西族)'과 유사한 종족으로 분류했음.
. 그러나 '모수오족'이 자신들의 조상은 '나시족'이 아니며, '티베트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반발하자 1986년 '윈난성(雲南省) 인민 대표대회'에서 중국의 55개 소수민족과는 별개로
'모수오족'임을 결의를 통해 인정함.
. 최근 중국의 인류학자들이 '모수오족'의 혈통(血統)에 관한 'DNA 연구 결과'를 내놓았는데
내용인즉은...
-. '부계(父系)'와 '모계(母系)' 혈통이 완연히 다른 유전구조를 가지고 있어 차이가 있음.
-. 아버지쪽의 혈통은 '티베트족(藏族)', 어머니쪽의 혈통은 '리장(麗江)'지역에 살고 있는
'나시(納西)족'으로 추정함.
-. '모계사회'의 특성 때문에 '부계'와 '모계'의 유전자구조가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그 혈통은
신비의 베일에 싸여 있음.
★ '모수오족'의 인구수와 살고 있는 땅...
. 약 1만 5천명 정도로 추정 (1990년대 통계, 호구조사가 어려워 정확한 인구수 파악 불가). 중국 '윈난(雲南)성' 일대, 특히 윈난성 서북쪽에 위치한 '루구호(호沽湖)' 일대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모수오족'은 조상 대대로 1,200년 이상 함께 하며 살아 온 '루구호' 호수를
'어머니의 호수(母湖)'라 부름...
※ 호(Hu): 강 이름 호, '삼 수(水)변+지게 호(戶)'자를 씀.
. '윈난성' '융닝'이란 도시 가까이에도 많이 살고 있음.
★ '모수오족'의 가족관계와 생활상...
. 철저한 '모계사회(母系社會)', 집안의 최고 권위자는 할머니와 어머니임.
가장(家長)은 무조건 어머니이며 모든 자녀들은 어머니의 성(姓)을 따르고, 어머니를 제일
존경하고 절대 복종함.
. 중국의 소수민족 중의 소수민족인 '모수오족'은 '나시(納西)족'과 유사한 '모계(母系)중심사회'를
이루고 있어 여자가 한 집안의 가장(家長) 역활을 하며,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것도
여자 몫이고 '재산권'은 모두 여자, 특히 집안의 원로(元老)인 '할머니'에게 있음..
딸(女)을 낳으면 애지중지하고, 중국정부의 '산아제한 정책'에 복종하지 않은 유일한 민족임.
지금도 중국정부의 한 자녀 출산 통제를 받지 않으며 셋 이상도 출산 가능...
. 남자들은 죽을 때까지 어머니(집)에게 얹혀 살며, 결혼(?)을 하여 자식을 낳아도 가끔
여자집에 들려 보고 올 뿐이지 누가 내 자식인지 알 수도 없고, 데려와 같이 살 수도 없으므로
평생 자기 자식이 없는 것과 같음. 육아, 부양 책임도 없음.
. 남녀가 뜻이 맞아 자식을 낳으면 어머니의 성(姓)을 따르고 아버지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에
옛날에는 아예 '아버지(父)'란 말 자체가 없었으나 지금은 '바바(baba)'라 부르고 있음.
※ 파(ba): 아비 파, 아버지, 아빠, '父 아래 巴'자를 씀
. 경제적으로도 부부는 각각 독립적이므로 서로간에 재산을 두고 다투는 일이 없음.
. 쌀농사를 위주로 경작하며 1년에 한 번 추수하고, 마을 주민들 끼리 서로 도와 '품앗이'를 함.
'흑돼지'를 귀중하게 기르며, 먹을 것만 있으면 재산을 모으는데 신경 쓰지 않는 태평한 민족성...
★ '모수오족'의 결혼(結婚)풍습...
. '모계(母系)사회'의 특이한 결혼풍습인 '주혼(走婚)'이란 전통이 지금도 이어져 오고 있음.
. '남불취(男不娶) 여불가(女不嫁)'란 조상 대대로 내려온 혼인(婚姻)풍습은
'사내는 장가(丈家) 들지 않고, 여자는 시집(媤家) 가지 않는다'는 뜻...
※ 娶: 장가 들 취 / 嫁: 시집갈 가
. 18세가 넘으면 자유롭게 남녀간의 이성교제를 할 수 있음.
. 서로 교제하고 있는 연인을 '모수오족' 말로 '아샤(阿夏)'라고 부르며, 남자는 '아쭈(阿注)'라고
부르기도 함.
. 남자나 여자나 여러명의 이성(異性)을 만나고 교제하는 것은 무관하지만 동시에 두 명의
'아?(阿夏)'를 둘 수는 없음.
. 남녀가 서로 교제중이거나 또는 자식을 낳은 사이라 하더라도 헤어지기로 마음 먹으면 별도의
절차가 필요 없이 여자는 문(門)을 열어주지 않으면 되고, 남자는 여자집에 찾아가지
않으면 됨.
. 결혼과 남녀간의 연애는 자유분방하며, 중매나 정략결혼 같은 것이 없음.
. 밤에만 남자가 '아샤(阿夏)'여자의 집으로 몰래 찾아가서 동침(同寢)하고, 해가 뜨기
전에 여자집을 빠져나오는 '방문결혼 풍습'이 전해내려오고 있음.
. 남녀가 한 두 번 만나 자식을 낳고 헤어져도 그만이며 서로 책임(?) 질 의무(필요)가 없고,
평생을 함께 하는 남녀간의 연애를 '악시아'라고 함.
. 중국 '마오쩌둥(毛澤東)'의 문화대혁명시기 전통적인 결혼풍습인 '주혼(走婚)'이 탄압 받고
수난을 당했으나 '덩샤오핑(鄧小平)'에 의해 '혼인증명제'제도에서 예외(例外) 허락을
받은 유일한 소수민족임...
★ '모수오족'의 전통풍습...
. 13살때 중요한 전통의식인 '성인식(조상의 환생이라 여김)'을 치르며, 죽은 조상(할머니 등)이썼던 '모자'를 물려받아 쓰고 '조상의 이름'을 물려 받음...
'성인식'을 치룰 때는 '라마승'과 '무당'의 입회하에 '호도나무'를 태워 그 연기로 주위를
정화하며 '대모(代母)' 역활을 하는 여인이 참석함...
. 부부가 한집에 같이 살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은 '아버지(父)'가 누구인지 모르며,
아버지 대신 '외삼촌이 아이의 아버지 역활'을 하며 양육 책임을 짐.
. 4대째 태어나는 아이는 '조상(祖上)이 환생(還生)'한 것이라 여겨 특별히 귀하게 여김...
. 전통의상(하의는 흰색 치마, 상의는 붉은색이나 황색의상)을 입고 절(티베트 불교와 비슷)에
가서 불공을 드림...
blog.daum.net/chunhao 만년설/영겁의 약속...
'문화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육유와 모택동의 매화에 관하여 (0) | 2018.09.10 |
---|---|
Classical Radio Stations (0) | 2018.08.31 |
[스크랩] 고전소설 50선(현대어역) (0) | 2018.08.15 |
東醫寶鑑에 대한 의사학적 고찰 (0) | 2018.08.13 |
[스크랩]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 왕궁, 운하, 꽃 시장. (0) | 2018.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