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208

종교의 본질-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종교의 본질-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에 대한 보충과 조금더 일반화시킨 포이어바흐의 종교 비판 서적이다. 은 종교철학,비판서이지만 다루고 있는 개념과 주제가 신학적이어서 신학서적 느낌이 많이 나는데 은 좀 더 철학 서적에 가까운것 같다. 하지만 여전히 내용 이해하기는 난해하고 한번의 독해로 포이어바흐를 알기에는 나에겐 무리가 있어보인다. 그래도 그가 가리키고자 하는 방향으로만 눈만은 돌려 보자는 마음으로 기록을 남긴다. 포이어바흐는 전형적인 개신교 집안에서 자랐다고한다. 아버지는 변호사 였으며 형은 대학 수학과 교수 또한 동생은 고고학자 였다고하니 집안이 모두 학자적 집안 이었다. 자연스레 집안의 영향으로 포이어바흐는 꿈이 신학을 공부하여 목사가 되는것이었는데 그가 대학에서 만난 신학은 천편일률적이고 자가당착.. 2021. 1. 7.
UTILITARIANISM UTILITARIANISM RESOURCES Utilitarian Glossary A History of Utilitarianism Utilitarian.org (Nigel Phillips) John Stuart Mill (biographical details) JS Mill: Biography (Richard Reeves) J.S.Mill (Internet Encyclopedia) Utilitarianism (Catholic Encyclopedia) Utilitarianism (Encyclopaedia Britannica) Utilitarianism (Wikipedia) Utilitarian Philosophers Essays on Reducing Suffering (Brian Tomasik) Nega.. 2020. 12. 8.
러시아 혁명사 상-1 러시아 혁명사 상-1 (1장-10장) 저자 서문 1장: 러시아 사회발전의 특이성 2장: 전시의 짜르체제 3장: 노동자계급과 농민 4장: 짜르와 황후 5장: 무혈쿠데타에 대한 논의 6장: 구체제 멸망의 격심한 고통 7장: 5일간(1917년 2월 23일부터 27일까지) 8장: 누가 2월봉기를 지도했는가? 9장: 2월혁명의 역설 10장: 새로운 권력 저자 서문 1917년 첫 2개월 동안 러시아는 여전히 로마노프 왕조의 나라였다. 그러나 8개월 후 볼셰비키들은 국가권력을 장악했다. 1917년이 시작되었을 때 이들의 존재를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이들의 지도자들이 권좌에 올랐을 때 이들은 국가반역죄로 기소된 상태에 있었다. 역사상 이렇게 모든 일이 순식간에 바뀐 경우를 볼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2020. 12. 2.
Th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written by Leon Trotsky 러시아 혁명사 레온 트로츠키 2월 혁명을 다룬 본 저서 제 1권은 왜 그리고 어떻게 이 혁명이 아무 성과도 가지고 올 수 없었는지를 보여주었다. 본 저서 제 2권은 어떻게 10월 혁명이 승리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본문 중에서 레프 다비도비치 트로츠키은 소비에트 연방의 전 해군 군사인민위원, 외교관, 정치가, 사상가이자 노동운동가이다. 볼셰비키 혁명가이며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 그의 사상을 따로 일러 트로츠키주의라고 한다. 보통 레프의 영어식 이름을 따서 레온 트로츠키, 뜨로쯔끼라고도 부른다. 위키백과 출생: 1879년 11월 7일, 우크라이나 Bereslavka 본명: Lev Davidovich Bronstein 암살 날짜/장소: 1940년 8월 21일, 멕시코 멕시코시티 코요아칸 자녀: 세르게이 세.. 2020. 11. 18.
ON LIBERTY by John Stuart Mill(1859) 이 글(Essay)의 주제는 불행히도 철학적 필연론으로 잘못 이름 붙여진 학설과 반대되는 이른바 "자유의지"에 관 한 것이 아나니라, 시민의 자유 혹은 사회의 자유에 관한 에세이이다. - 관용이란, 때때로 실책을 동반한다. CHAPTER I INTRODUCTORY THE subject of this Essay is not the so-called Liberty of the Will, so unfortunately opposed to the misnamed doctrine of Philosophical Necessity; but Civil, or Social Liberty: the nature and limits of the power which can be .. 2020. 11. 12.
Utilitarianism -효용주의(效用主義) 공리주의 용어집 공리주의의 역사 Utilitarian.org (Nigel Phillips) John Stuart Mill (전기적 세부 사항) JS Mill : 전기 (리차드 리브스) JSMill (인터넷 백과 사전) 공리주의 (가톨릭 백과 사전) 공리주의 (브리태니커 백과 사전) 공리주의 (위키 백과) 공리주의 철학자 고통 감소에 관한 에세이 (Brian Tomasik) 부정적인 공리주의 (NU Study Group, 2016) 괴로움 중심 윤리 (Magnus Vinding, 2020) 오멜 라스를 떠나는 사람들 (Ursula K. Le Guin) Felicifia (온라인 공리주의 커뮤니티) Ethicspapers.com 제레미 벤담의 귀환 제레미 벤담 Links Jeremy Bentham의 가장 큰.. 202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