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208

독일 농민전쟁 독일 농민전쟁 종교 개혁의 일부 농민군 슈바벤 동맹 토마스 뮌처 † 미하엘 가이스마이르 한스 뮐러 폰 부르겐바흐 † 벤델 히플러 † 플로리안 가이어 폰 기벨슈타트 † 게오르크 3세 폰 발트부르크차일 필리프 1세 폰 헤센 방백 게오르크 폰 작센 공작 하인리히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괴츠 폰 베를리힝겐 300,000여명 미상 100,000여명 이상 미상 독일농민전쟁(獨逸農民戰爭, 독일어: Deutscher Bauernkrieg 도이처 바우에른크리그[*])은 1524년에서 1525년까지 중앙유럽의 독일어권 지역을 준동시킨 민란이다. 30만 명의 농민들이 봉기했으나, 빈약한 무장상태 및 귀족들의 강경한 진압으로 인해 10만여 명이 학살당한 농민군의 패배로 끝났다.[1] 생존자들에게는 벌금이 부과되었고, .. 2022. 12. 5.
마르크스21- [논쟁: 데이비드 하비 비판] 알렉스 캘리니코스2021-11-02 19:53 주제: 경제, 경제이론,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 저명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의 이윤율 저하 경향 법칙을 받아들이지 않아 왔다. 최근 하비는 이윤율이 떨어져도 이윤량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며 이윤율과 이윤량을 대립시키고 후자를 더 중시하는 관점을 제시해 왔다. 최근 국내에 번역·출간된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의 한 장에도 이와 관련된 논의가 담겨 있다. 다음은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명예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장, 《자본론 행간 읽기》의 저자인 알렉스 캘리니코스가 8월 31일에 발표한 논평으로, 이에 관한 논쟁을 소개하고 하비의 주장을 비판한다.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계급 투쟁의 중요성.. 2022. 12. 2.
자본과그룬트리세 http://jbreview.jinbo.net/maynews/data/theory/files/20050725162536/7%ED%98%B8%EB%B9%84%ED%83%88%EB%A6%AC%EB%B9%84%EA%B3%A0%EC%B8%A0%ED%82%A4%EC%99%B8-%EC%9E%90%EB%B3%B8%EA%B3%BC%EA%B7%B8%EB%A3%AC%ED%8A%B8%EB%A6%AC%EC%84%B8.pdf 비탈리비고츠키 외-자본과그룬트리세.pdf 페이지 이동 알림 cr.naver.com 비탈리 비고츠키/알렉산드르 체푸렌코 번역: 김성구(한신대 교수, 경제학) 해설 마르크스주의의 위기 속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전화할 것인가 아니면 교조적으로 고수하거나 또는 폐기할 것인가라는 긴요한 과제는 두말할 것도 없이 마르크.. 2022. 12. 2.
마르크스의 《자본론》 마르크스의 《자본론》 이해 대중의 급진화와 저항의 분출 1990년대 이후 대중이 급진화하고 신자유주의에 맞선 저항이 일어난 것이 주요 요인입니다.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주장의 지적 토대는 초기에는 다양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마르크스주의의 정치경제학 비판으로 초점이 모아졌습니다. 그러다가 《자본론》에 대한 관심도 다시 살아난 것이죠. 데이비드 하비의 《자본론》 강독과 그 강의를 엮어 낸 책[국역: 《맑스 『자본』 강의》, 창비, 2011]이 큰 관심을 끈 것을 보면, 마르크스의 《자본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둘째 요인은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이 부흥하고, 《자본론》을 둘러싼 마르크스주의 학자들의 논의가 활발해진 것입니다. 이와 관계 있는 한 가지.. 2022. 12. 2.
종교 개혁 기독교 펼치기 예수 그리스도 펼치기 기초 펼치기 경전 펼치기 기독교 신학 펼치기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 펼치기 교파 펼치기 기독교 관련 설화 펼치기 기타 일반 v t e 95개조 반박문 종교 개혁(라틴어: reformatio, 독일어: Reformation, 영어: Reformation) 혹은 교회 개혁은 서방교회의 개혁을 위한 교회 내부 운동이다. 1517년 10월 31일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당시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서유럽 정치와 서방교회의 면죄부 판매, 연옥에 대한 교황권 주장, 그리고 공로사상을 비판한 내용의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하는 사건으로 출발하여 다섯 솔라로 요약되는 교리를 주장한 데에서 출발하여, 부패한 교황제도 중심의 서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제도를 새롭게 개혁시키고자 했던 서방교회 .. 2022. 12. 2.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 초상. 크리스토펠 반 시켐의 1608년 판화. 뮌처 생존 당대의 초상은 남아 있는 것이 없다. 혹자는 이 판화는 한스 홀바인이 바젤에서 뮌처를 그린 그림을 보고 베낀 것이라고도 하지만, 모든 증거는 홀바인이 뮌처가 1524년 말 바젤을 방문하기 전에 홀바인은 프랑스를 떠났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제발트 베함이 원래 그림을 그렸을 수도 있다. 베함은 소위 뉘른베르크의 신을 믿지 않는 세 화가 중 한 명이었는데, 뮌처는 1524년 뉘른베르크를 방문했다. 토마스 뮌처(Thomas Münzer, 1489년? ~ 1525년 5월 27일)는 종교개혁 시기에 활동한 독일의 급진 종교 개혁가이며 재세례파 지도자이다. 그는 폭력 투쟁을 통해 봉건영주의 통치권에 대항하여 교회와 하층..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