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적 인간학에서 논하는 인격 개념 / 이덕휴 신학포럼
1. 서론
인간이란 누구인가?
또는 인간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역사이래로 꾸준히 제기되는 질문이다.
그 이유는 인간의 본질을 깨닫는 것은 인생의 의미를 찾게 하는 인간의 실존과
자기 인식에 대한 문제 제기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철학적, 사회학적, 인류학적, 심리학적, 생물학적 등의 사유(思惟)를 통한
인간의 본질 찾기는 지금도 계속 되고 있다.
이것은 신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신학적 인간학은 인간의 자기이해를 하나님과의 관계성 속에서 시도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실재성에 대한 선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신학적 인간학에서의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으로 귀결된다.
신학적 인간학의 독특성 중의 하나는 인간이 인격적 존재라는 점이다.
근세 이전의 철학적 인간학에서는 경험과 관찰을 통한 과학적 보편진리 탐구를 통해
대상을 파악하기 때문에 인격 개념에 대한 정의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신학에서는 하나님의 본성 연구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인격개념이 도출되었고,
인간의 인간됨을 정의하는 독특한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2)
그러므로 인간의 본질을 아는 것은 인간의 인격성의 정의를 깨달음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인간이 누구인가 라는 질문은 인격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 소고에서는 인격 개념이 역사적으로 형성된 배경과
현대 신학에서의 인격 이해를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2. 인격 개념의 역사적 배경
교회사에 있어서 기독교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는 부단한 노력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논쟁이 일어났고,
초기 변증가들은 기독교 진리의 정립과 변증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게 되었다.
특히 삼위일체 논쟁은 그 핵심에 있었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의 본질에 대한 질문은
기독교 교리의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3)
삼위일체 개념에 대한 설명을 위해 교부들은 헬라 철학에 근거하여
로고스와 위격(또는 인격, person)의 개념을 도입했는데,
최초의 인물은 이레네우스(Irenaeus, 140-220)이다.
그는 성부의 위격이 로고스와 지혜(성자와 성령)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삼위일체 개념은 모호함과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지금의 신학적인 삼위일체론(Trinity)의 지평을 연 것은 터툴리안(Tertullian, 160-220)이었다.
그는 하나님은 한 본질(substance)이시나 세 위격(persons)이라고 정의 내렸다.4)
세 위격이 한 하나님의 본질에 속한다는 개념이다.
구속사의 전개 속에서 하나님이 세 위격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는 신앙의 기본진리인 구속사를 하나님의 위격(인격) 개념을 사용해 설명하였던 것이다.
터툴리안이 사용한 위격(person)이라는 단어 페르소나(persona)는
본래 법정에 출석하지 않은 피고인을 대신하여 판결을 받는 대리인이었다.
그는 이 단어를 구속사의 과정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하나님의 속성을 설명하는데
적당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 인격이라는 단어가 신학적인 용어로 정착되었다.5)
어거스틴은 인격 개념에 관계성을 불어넣었다.
세 위격을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관계(relatio)로 본 것이다.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관계가 하나의 실체가 된다.
하나님의 모든 속성은 일체이지만 위격은 관계로서
하나님의 내적 생명이나 피조물과 관련되어 의미되어진다.6)
그는 삼위일체의 경륜적 의미에 커다란 통찰을 제공하고 삼신론적 가능성을 배제시켰다.
그러나 중세기로의 전환점에서 보에티우스(A.M.S Boethius, 480-524)는
“위격은 이성적 본성의 개체적 실체이다”
(the individual substance of the rational nature)라고 주장함으로서
위격의 관계적 의미를 상실시켰다.
인격은 개별적인 하나의 실체로서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7)
보에티우스의 정의를 통해 인격은 철학적 의미에서
인간에게 적용되는 전문 용어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개체성 또는 개인성을 관계성보다 중시하는 사조가 정착되었다.8)
중세기에 이르러서는 성 빅토르의 리차드(Richard von St. Victor)가 인격은
“지성적 본성의 직접적 실존”이라고 주장함으로서
인격이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시공간의 역사 속에서 성취되어가는 실존으로 파악하였다.9)
여기서 관계성의 의미는 상실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중세기의 스콜라 신학자 스코투스(Duns Scotus, 1266-1308)는
인격체로서의 인간의 본질을 하나님과의 관계성 속에서 찾아내려 하였다.10)
토마스 아퀴나스도 그의 명저(名著) 신학대전에서 보에티우스의 인격 개념을 비평하면서
인격을 개별적 실체(essence)로 볼 수 없으며,11)
또한 인격의 정의에는 관계성이 필수적으로 내포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12)
근대에 오면서 인격 개념이 철학적으로도 본격적으로 해석되는데,
데카르트의 cogito(나는 생각한다)는 인간 이해와 인격 개념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칸트에게는 인격이란 도덕성에 근거한 인격성 내지는 인간성으로,
겔에게는 관념적 정신으로서의 인격으로 해석되어진다.
포이에르바하(L. Feuerbach)는 인격을 인간학적 ‘나와 너'라는 인칭적 관계 속에서 해석하였다.13)
그에 따르면 인격은 나와 너의 정신적 관계 속에서 일어난다.
포이에르바하의 인칭적 인격 해석은 큰 영향력을 끼쳤는데,
키에르케고르는 '나와 너'의 관계를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로 해석하였고,
마틴 부버(Martin Buber)는 유명한 「나와 너」라는 저술을 통해
나의 존재는 타자(他者)로 부터 실존을 선사받게 된다는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즉, 그는 “인간은 스스로의 힘으로는 결코 인격이 될 수 없다”고 단정지었다.14)
부버의 이러한 “나와 너” 개념은 철학적으로,
신학적으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정립에 획기적인 사상적 기저(基底)를 제공한다.
여기서 우리는 인격 개념의 발전에 있어서 두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보게 되는데,
하나는 어거스틴의 관계성으로서의 인격과 보에티우스의 개체성으로서의 인격이다.
후자가 철학적 인격 개념의 사조를 형성했다면,
전자는 신학적으로 중요한 해석의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후기로 오면서 이런 단절성은 보이지 않고,
어거스틴이 제시한 삼위 하나님의 관계성이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관계성으로 투영되는 인격 개념으로 발전되어 오게 됨을 볼 수 있다.
결국 신학적 인간학의 역사 속에서 인격은 인격 자체의 어떤 실체로서의 의미보다는
관계성을 통해 얻어지는 개념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좋아요 공감
공유하기
통계
글 요소
'홈지기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에 대한 여러 논의 (0) | 2020.06.16 |
---|---|
너희가 서로 짐을 지라 (0) | 2020.06.02 |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0) | 2020.04.11 |
만나교회 李德休牧師의 神學과 實踐 (0) | 2020.04.01 |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자유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