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

밀튼 의 작품과 생애

by 이덕휴-dhleepaul 2022. 3. 19.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ilton

 
17th-century English poet and civil servant 17세기 영국 시인과 공무원

John Milt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For other people named John Milton, see John Milton (disambiguation).
John MiltonBornDiedResting placeAlma materOccupationSpouse(s)ChildrenLanguageNotable worksSignature
Portrait of Milton, circa 1629
9 December 1608
Bread Street, Cheapside, London, England
8 November 1674 (aged 65)
Bunhill, London, England
St Giles-without-Cripplegate
Christ's College, Cambridge
  • Poet
  • Intellectual
  • Civil Servant
Mary Powell
(m. 1642; died 1652)​

Katherine Woodcock
(m. 1656; died 1658)​

Elizabeth Mynshull
 
(m. 1663)​
5
Writing career
English, Latin, Greek, Hebrew, French, Spanish, Italian, Old English, Dutch, Aramaic, Syriac
Paradise Lost
Areopagitica
Lycidas
 

John Milton (9 December 1608 – 8 November 1674) was an English poet and intellectual who served as a civil servant for the Commonwealth of England under its Council of State and later under Oliver Cromwell. He wrote at a time of religious flux and political upheaval, and is best known for his epic poem Paradise Lost (1667). Written in blank verse, Paradise Lost is wide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greatest works of literature ever written.[1]

Writing in English, Latin, and Italian, he achieved international renown within his lifetime; his celebrated Areopagitica (1644), written in condemnation of pre-publication censorship, is among history's most influential and impassioned defences of freedom of speech and freedom of the press. His desire for freedom extended into his style: he introduced new words (coined from Latin and Ancient Greek) to the English language, and was the first modern writer to employ unrhymed verse outside of the theatre or translations.

William Hayley's 1796 biography called him the "greatest English author",[2] and he remain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pre-eminent writers in the English language",[3] though critical reception has oscillated in the centuries since his death (often on account of his republicanism). Samuel Johnson praised Paradise Lost as "a poem which ... with respect to design may claim the first place, and with respect to performance, the second, among the productions of the human mind", though he (a Tory) described Milton's politics as those of an "acrimonious and surly republican".[4] Poets such as William Blake, William Wordsworth and Thomas Hardy revered him.

John Milton (9 December 1608 – 8 November 1674) was an English poet and intellectual who served as a civil servant for the Commonwealth of England under its Council of State and later under Oliver Cromwell.존 밀턴(John Milton, 1608년 12월 9일 ~ 1674년 11월 8일)은 영국 시인이자 지식인으로, 국무원(Council of State)과 후에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밑에서 영국연방의 공무원을 지냈다. He wrote at a time of religious flux and political upheaval, and is best known for his epic poem Paradise Lost (1667).그는 종교적인 흐름과 정치적 격변의 시기에 글을 썼으며, 그의 서사시 파라다이스 로스트 (1667년)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Written in blank verse, Paradise Lost is wide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greatest works of literature ever written.[1]백절로 쓰여진 파라다이스 로스트는 지금까지 쓰여진 문학 작품 중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진다.[1]

Writing in English, Latin, and Italian, he achieved international renown within his lifetime; his celebrated Areopagitica (1644), written in condemnation of pre-publication censorship, is among history's most influential and impassioned defences of freedom of speech and freedom of the press.영어, 라틴어, 이탈리아어로 글을 쓰면서, 그는 일생 동안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유명한 아로파기티카 (1644)는 언론 자유와 언론의 자유에 대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고 열정적인 옹호자들 중 하나이다. His desire for freedom extended into his style: he introduced new words (coined from Latin and Ancient Greek) to the English language, and was the first modern writer to employ unrhymed verse outside of the theatre or translations.그의 자유에 대한 욕구는 그의 문체로 확장되었다: 그는 새로운 단어들을 영어에 도입했고, 현대 작가로는 처음으로 극장이나 번역 이외의 다른 곳에서 비정형 시구를 채택했다.

William Hayley's 1796 biography called him the "greatest English author",[2] and he remain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pre-eminent writers in the English language",[3] though critical reception has oscillated in the centuries since his death (often on account of his republicanism).윌리엄 헤일리의 1796년 전기는 그를 "가장 위대한 영국 작가"[2]라고 불렀으며, 비록 그가 죽은 이후(흔히 그의 공화주의 때문에) 수세기 동안 비판적인 환영이 흔들렸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가장 뛰어난 작가 중 한 명"[3]으로 간주하고 있다. Samuel Johnson praised Paradise Lost as "a poem which ... with respect to design may claim the first place, and with respect to performance, the second, among the productions of the human mind", though he (a Tory) described Milton's politics as those of an "acrimonious and surly republican".[4]새뮤얼 존슨은 밀턴의 정치를 "신랄하고 냉혹한 공화주의자"[4]의 시라고 묘사했지만, "디자인에 관해서 ...는 인간의 정신의 산물 중 1위를 차지할 수 있는 시"라고 칭송했다. Poets such as William Blake, William Wordsworth and Thomas Hardy revered him.윌리엄 블레이크, 윌리엄 워즈워스, 토마스 하디와 같은 시인들은 그를 존경했다.

Biography전기[[edit편집하다]]

The phases of Milton's life parallel the major historical and political divisions in Stuart Britain.밀턴의 생애의 단계는 스튜어트 브리튼의 주요한 역사적, 정치적 분열과 병행된다. Milton studied, travelled, wrote poetry mostly for private circulation, and launched a career as pamphleteer and publicist under the increasingly personal rule of Charles I and its breakdown into constitutional confusion and war.밀턴은 공부, 여행, 주로 사적인 유통을 위해 시를 썼고, 찰스 1세의 점점 더 개인적인 통치와 그것이 헌법상의 혼란과 전쟁으로 붕괴되는 상황에서 팜플렛 제작자 및 홍보 담당자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The shift in accepted attitudes in government placed him in public office under the Commonwealth of England, from being thought dangerously radical and heretical, and he even acted as an official spokesman in certain of his publications.정부에서 받아들여지는 태도가 바뀌면서 그는 위험할 정도로 급진적이고 이단적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에서 벗어나 영국 연방 산하의 공직에 있게 되었고, 그는 심지어 그의 출판물에서 공식적인 대변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The Restoration of 1660 deprived Milton, now completely blind, of his public platform, but this period saw him complete most of his major works of poetry.1660년 복원은 이제 완전히 맹목적인 밀턴의 대중적 강령을 박탈했지만, 이 시대는 그가 그의 주요 시가의 대부분을 완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Milton's views developed from his very extensive reading, as well as travel and experience, from his student days of the 1620s to the English Civil War.[5]밀턴의 견해는 1620년대 학생 시절부터 영국 남북전쟁에 이르기까지 여행과 경험은 물론 매우 광범위한 독서에서 발전했다.[5] By the time of his death in 1674, Milton was impoverished and on the margins of English intellectual life, yet famous throughout Europe and unrepentant for his political choices.1674년 그가 사망할 무렵, 밀턴은 가난했고 영국 지적 생활의 여백에 있었지만, 유럽 전역에서 유명했고 그의 정치적 선택에 대해 뉘우치지 않았다.

Early life초년기[[edit편집하다]]

 
Blue plaque in Bread Street, London, where Milton was born밀턴이 태어난 런던 브레드 가의 파란색 명판

John Milton was born in Bread Street, London, on 9 December 1608, the son of composer John Milton and his wife Sarah Jeffrey.존 밀턴은 1608년 12월 9일 런던의 브레드 스트리트에서 작곡가 존 밀턴과 그의 아내 세라 제프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The senior John Milton (1562–1647) moved to London around 1583 after being disinherited by his devout Catholic father Richard "the Ranger" Milton for embracing Protestantism.[6]1583년경 존 밀턴(1562~1647)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 리차드 '레인저' 밀턴이 개신교를 포용했다는 이유로 상속권을 박탈당한 뒤 런던으로 이주했다.[6] In London, the senior John Milton married Sarah Jeffrey (1572–1637) and found lasting financial success as a scrivener.[7]런던에서 선배인 존 밀턴은 사라 제프리(1572~1637)와 결혼하여 스크리버로서 지속적인 재정적인 성공을 거두었다.[7] He lived in and worked from a house on Bread Street, where the Mermaid Tavern was located in Cheapside.는 인어 주점있는 브레드 가의 한 집에서 살았고 그곳에서 일했다. The elder Milton was noted for his skill as a musical composer, and this talent left his son with a lifelong appreciation for music and friendships with musicians such as Henry Lawes.[8]장로 밀턴은 음악 작곡가로서의 실력으로 주목받았고, 이 재능은 그의 아들에게 헨리 로이스와 같은 음악가들과의 우정과 음악에 대한 평생의 감상을 남겼다.[8]

Milton's father's prosperity provided his eldest son with a private tutor, Thomas Young, a Scottish Presbyterian with an M.A. from the University of St.밀턴의 아버지의 번영은 그의 장남에게 세인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스코틀랜드 장로교인 토마스 영 과외 선생을 제공했다. Andrews. 앤드류스. Research suggests that Young's influence served as the poet's introduction to religious radicalism.[9]연구에 따르면 영의 영향력은 그 시인이 종교적 급진주의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9] After Young's tutorship, Milton attended St Paul's School in London.영의 지도교수 이후, 밀튼은 런던에 있는 세인트 폴스 학교에 다녔다. There he began the study of Latin and Greek, and the classical languages left an imprint on both his poetry and prose in English (he also wrote in Latin and Italian).그곳에서 그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고전 언어들은 그의 시와 산문을 영어로 모두 각인시켰다(그는 라틴어와 이탈리아어로도 썼다).

 
John Milton at age 10 by Cornelis Janssens van Ceulen.존 밀튼은 10살에 코넬리스 얀센스쿨렌의 작품이다. In Milton's Cottage, Chalfont St Giles.밀턴의 오두막에서 찰폰 스트 자일즈.

Milton's first datable compositions are two psalms done at age 15 at Long Bennington.밀턴의 첫 데이타블 작곡은 15세에 롱 베닝턴에서 행해진 두 편의 시편이다. One contemporary source is the Brief Lives of John Aubrey, an uneven compilation including first-hand reports. 현대적 출처는 존 오버리의 '간단한 삶'으로, 직접 보고를 포함한 고르지 못한 편집이다. In the work, Aubrey quotes Christopher, Milton's younger brother: "When he was young, he studied very hard and sat up very late, commonly till twelve or one o'clock at night".이 작품에서 오브레이는 밀턴의 동생 크리스토퍼의 말을 인용, "그는 어렸을 때 매우 열심히 공부했고 보통 밤 12시나 1시까지 매우 늦게 일어났다"고 말했다. Aubrey adds, "His complexion exceeding faire—he was so faire that they called him the Lady of Christ's College.오브리는 "그의 안색이 더 창백했다. 그는 너무 부드러워서 그들은 그를 그리스도의 대학의 아가씨라고 불렀다."[10] "[10]

In 1625, Milton began attending Christ's College, Cambridge.1625년 밀턴은 캠브리지에 있는 크라이스트스 칼리지에 다니기 시작했다. He graduated with a B.A. in 1629,[11] ranking fourth of 24 honours graduates that year in the University of Cambridge.[12]그는 1629년에 B.A.로 졸업했으며,[11] 그해 캠브리지 대학에서 24명의 명예 졸업생 중 4위를 차지했다.[12] Preparing to become an Anglican priest, Milton stayed on and obtained his Master of Arts degree on 3 July 1632.성공회 성직자가 되기 위해 준비했던 밀턴은 1632년 7월 3일에 계속 남아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

Milton may have been rusticated (suspended) in his first year for quarrelling with his tutor, Bishop William Chappell.밀턴은 그의 가정교사 윌리엄 채펠 주교와 싸운 죄로 1학년 때 녹슬어 버렸을지도 모른다. He was certainly at home in London in the Lent Term 1626; there he wrote his Elegia Prima, a first Latin elegy, to Charles Diodati, a friend from St Paul's.그는 1626년 사순절 기간에 분명히 런던에 있는 집에 있었다. 그곳에서 그는 첫 라틴어 엘리제엘레지아 프리마를 성 바울의 친구인 찰스 디오다티에게 썼다. Based on remarks of John Aubrey, Chappell "whipt" Milton.[10]존 오버리의 말을 근거로 채펠은 밀턴을 "발짓"했다.[10] This story is now disputed, though certainly Milton disliked Chappell.[13]이 이야기는 밀턴이 확실히 채플을 싫어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논란이 되고 있다.[13] Historian Christopher Hill cautiously notes that Milton was "apparently" rusticated, a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Chappell and Milton may have been either religious or personal.[14]역사학자 크리스토퍼 힐은 밀턴이 "분명히" 녹슬어 있었고, 채펠과 밀턴의 차이는 종교적이거나 개인적인 것일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지적한다.[14] It is also possible that, like Isaac Newton four decades later, Milton was sent home because of the plague, by which Cambridge was badly affected in 1625.또한 40년 후 아이작 뉴턴처럼 밀턴은 1625년 케임브리지가 심하게 영향을 받은 페스트 때문에 집으로 보내졌을 가능성도 있다. In 1626, Milton's tutor was Nathaniel Tovey.1626년 밀턴의 가정교사는 나다니엘 토비였다.

At Cambridge, Milton was on good terms with Edward King, for whom he later wrote "Lycidas".캠브리지에서 밀턴은 에드워드 킹과 사이가 좋았고, 그 때문에 나중에 "Lycidas"를 썼다. He also befriended Anglo-American dissident and theologian Roger Williams.그는 또한 영미 반체제 인사와 신학자 로저 윌리엄스와 친구가 되었다. Milton tutored Williams in Hebrew in exchange for lessons in Dutch.[15][better source needed]밀턴은 네덜란드어 수업의 대가로 윌리엄스를 히브리어로 가르쳤다.[15][better source needed] Despite developing a reputation for poetic skill and general erudition, Milton experienced alienation from his peers and university life as a whole.밀턴은 시적인 기술과 일반적인 학식으로 명성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또래들과 대학 생활 전반에 대한 소외감을 경험했다. Having once watched his fellow students attempting comedy upon the college stage, he later observed 'they thought themselves gallant men, and I thought them fools'.[16]대학 무대에서 코미디를 시도하는 동료 학생들을 본 적이 있는 그는 나중에 '그들은 자신들이 용감한 사람이라고 생각했고, 나는 그들이 바보라고 생각했다'[16]고 말했다.

Milton was disdainful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which consisted of stilted formal debates conducted in Latin on abstruse topics.밀턴은 난해한 주제에 대해 라틴어로 행해지는 지루한 공식 토론으로 구성된 대학 교육과정을 경멸했다. His own corpus is not devoid of humour, notably his sixth prolusion and his epitaphs on the death of Thomas Hobson.그의 말뭉치에는 유머가 없고, 특히 그의 여섯 번째 탈옥토마스 홉슨의 죽음에 대한 비문이 있다. While at Cambridge, he wrote a number of his well-known shorter English poems, among them "On the Morning of Christ's Nativity", his "Epitaph on the admirable Dramaticke Poet, W. Shakespeare" (his first poem to appear in print), L'Allegro, and Il Penseroso.케임브리지에 있는 동안, 그는 유명한 짧은 영어 시들을 많이 썼는데, 그 중 "그리스도의 탄생의 아침에"와 "존경할 만한 드라마틱케 시인, W. 셰익스피어 에피타프"(인쇄된 그의 첫 시), "알레그로"와 "일 펜세소"가 그것이다.

Study, poetry, and travel공부, 시, 여행[[edit편집하다]]

Further information: Early life of John Milton추가 정보: 존 밀턴의 초기
.mw-parser-output .quotebox{background-color:#F9F9F9;border:1px solid #aaa;box-sizing:border-box;padding:10px;font-size:88%;max-width:100%}.mw-parser-output .quotebox.floatleft{margin:.5em 1.4em .8em 0}.mw-parser-output .quotebox.floatright{margin:.5em 0 .8em 1.4em}.mw-parser-output .quotebox.centered{overflow:hidden;position:relative;margin:.5em auto .8em auto}.mw-parser-output .quotebox.floatleft span,.mw-parser-output .quotebox.floatright span{font-style:inherit}.mw-parser-output .quotebox>blockquote{margin:0;padding:0;border-left:0;font-family:inherit;font-size:inherit}.mw-parser-output .quotebox-title{background-color:#F9F9F9;text-align:center;font-size:110%;font-weight:bold}.mw-parser-output .quotebox-quote>:first-child{margin-top:0}.mw-parser-output .quotebox-quote:last-child>:last-child{margin-bottom:0}.mw-parser-output .quotebox-quote.quoted:befor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weight:bold;font-size:large;color:gray;content:" “ ";vertical-align:-45%;line-height:0}.mw-parser-output .quotebox-quote.quoted:after{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weight:bold;font-size:large;color:gray;content:" ” ";line-height:0}.mw-parser-output .quotebox .left-aligned{text-align:left}.mw-parser-output .quotebox .right-aligned{text-align:right}.mw-parser-output .quotebox .center-aligned{text-align:center}.mw-parser-output .quotebox .quote-title,.mw-parser-output .quotebox .quotebox-quote{display:block}.mw-parser-output .quotebox cite{display:block;font-style:normal}@media screen and (max-width:640px){.mw-parser-output .quotebox{width:100%!important;margin:0 0 .8em!important;float:none!important}}

It appears in all his writings that he had the usual concomitant of great abilities, a lofty and steady confidence in himself, perhaps not without some contempt of others; for scarcely any man ever wrote so much, and praised so few.그의 모든 저술에서 그는 위대한 능력을 가진 평소의 동반자였고, 자신에 대한 고상하고 꾸준한 신뢰감을 가졌는데, 아마도 다른 사람에 대한 경멸이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거의 어떤 사람도 그렇게 많이 쓰고, 극소수만을 칭찬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Of his praise he was very frugal; as he set its value high, and considered his mention of a name as a security against the waste of time, and a certain preservative from oblivion.[17]그의 칭찬은 매우 검소했다. 그는 그 가치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에,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시간 낭비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그리고 망각으로부터 어떤 방부제로 간주했다.[17]

Samuel Johnson, Lives of the Most Eminent English Poets

Upon receiving his M.A. in 1632, Milton retired to Hammersmith, his father's new home since the previous year.1632년 M.A.를 받자마자 밀턴은 전년부터 아버지의 새 집인 해머스미스로 은퇴했다. He also lived at Horton, Berkshire, from 1635 and undertook six years of self-directed private study.그는 또한 1635년부터 버크셔 주 호튼에서 살았고, 6년간 자기주도적인 사학을 공부했다. Hill argues that this was not retreat into a rural idyll; Hammersmith was then a "suburban village" falling into the orbit of London, and even Horton was becoming deforested and suffered from the plague.[18]힐은 이것이 시골의 전원주택으로 후퇴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해머스미스는 당시 런던 궤도에 떨어진 '하버반 마을'이었고, 호튼조차도 숲이 황폐해지고 역병으로 고통받고 있었다.[18] He read both ancient and modern works of theology, philosophy, history, politics, literature, and science in preparation for a prospective poetical career.그는 신학, 철학, 역사, 정치, 문학, 과학 등의 고대 및 현대 작품들을 모두 읽으며 시인의 앞길을 준비했다. Milton's intellectual development can be charted via entries in his commonplace book (like a scrapbook), now in the British Library.밀턴의 지적 발달은 현재 영국 도서관에 있는 그의 평범한 책(스크랩북처럼)의 항목을 통해 차트화 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such intensive study, Milton is considered to be among the most learned of all English poets.이러한 집중적인 연구의 결과, 밀턴은 모든 영국 시인 중에서 가장 많이 배운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In addition to his years of private study, Milton had command of Latin, Greek, Hebrew, French, Spanish, and Italian from his school and undergraduate days; he also added Old English to his linguistic repertoire in the 1650s while researching his History of Britain, and probably acquired proficiency in Dutch soon after.[19]밀턴은 학부 시절과 학부 시절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를 구사했으며, 1650년대에 영국사를 연구하면서 언어 레퍼토리에 올드 잉글리쉬를 추가했고, 아마도 곧이어 네덜란드어에 능숙해질 것이다.[19]

 
Commemorative blue plaque 'John Milton lived here 1632–1638' at Berkyn Manor Farm, Horton, Berkshire기념 파란색 명판 '존 밀턴은 1632–1638년 버크셔 호튼의 베르킨 매너 팜'

Milton continued to write poetry during this period of study; his Arcades and Comus were both commissioned for masques composed for noble patrons, connections of the Egerton family, and performed in 1632 and 1634 respectively.밀턴은 이 연구 기간 동안 계속 시를 썼다. 그의 아르카데스코무스는 둘 다 귀족 후원자들을 위해 작곡된 마스크, 에거튼 가문의 연줄을 위해 작사되었고, 1632년과 1634년에 각각 공연되었다. Comus argues for the virtuousness of temperance and chastity.코무스절제정절의 덕성을 주장한다. He contributed his pastoral elegy Lycidas to a memorial collection for one of his fellow-students at Cambridge.그는 캠브리지의 동료 학생 중 한 명을 위한 기념 컬렉션에 목회자 엘레시디스를 기부했다. Drafts of these poems are preserved in Milton's poetry notebook, known as the Trinity Manuscript because it is now kept at Trinity College, Cambridge.이 시들의 초고는 현재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니티 원고라고 알려진 밀턴의 시 노트에 보존되어 있다.

In May 1638, Milton embarked upon a tour of France and Italy that lasted until July or August 1639.[20]1638년 5월, 밀턴은 1639년 7월 또는 8월까지 지속된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하기 시작했다.[20] His travels supplemented his study with new and direct experience of artistic and religious traditions, especially Roman Catholicism.그의 여행은 그의 연구를 예술적이고 종교적인 전통, 특히 로마 가톨릭에 대한 새롭고 직접적인 경험으로 보충했다. He met famous theorists and intellectuals of the time, and was able to display his poetic skills.그는 당대의 유명한 이론가들과 지식인들을 만났고, 그의 시적 기술을 발휘할 수 있었다. For specific details of what happened within Milton's "grand tour", there appears to be just one primary source:밀턴의 "그랜드 투어"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단지 한 가지 주요 출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Milton's own Defensio Secunda.밀턴의 독자적인 데펜시오 세쿤다. There are other records, including some letters and some references in his other prose tracts, but the bulk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tour comes from a work that, according to Barbara Lewalski, "was not intended as autobiography but as rhetoric, designed to emphasise his sterling reputation with the learned of Europe.바바라 르왈스키에 따르면, 그의 다른 산문 작품들에는 편지와 참고문헌을 포함한 다른 기록들이 있지만, 이 여행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자서전이 아니라, 유럽 학자들과 함께 그의 훌륭한 명성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수사학으로 만들어진 작품에서 나온 것이다."[21] "[21]

He first went to Calais and then on to Paris, riding horseback, with a letter from diplomat Henry Wotton to ambassador John Scudamore.그는 처음에 칼레로 간 다음 말을 타고 파리로 가서 외교관 헨리 워튼이 존 스커다모어 대사에게 보낸 편지를 가지고 갔다. Through Scudamore, Milton met Hugo Grotius, a Dutch law philosopher, playwright, and poet.밀턴은 스쿠다모어를 통해 네덜란드의 법철학자, 극작가, 시인 휴고 그로티우스를 만났다. Milton left France soon after this meeting.밀턴은 이 회의 직후 프랑스를 떠났다. He travelled south from Nice to Genoa, and then to Livorno and Pisa.그는 니스에서 제노바까지, 그리고 리보르노피사로 남쪽을 여행했다. He reached Florence in July 1638.그는 1638년 7월에 플로렌스에 도착했다. While there, Milton enjoyed many of the sites and structures of the city.그곳에 있는 동안, 밀턴은 도시의 많은 유적지와 건축물들을 즐겼다. His candour of manner and erudite neo-Latin poetry earned him friends in Florentine intellectual circles, and he met the astronomer Galileo who was under house arrest at Arcetri, as well as others.[22]그의 솔직함과 박식한 네오라틴 시는 플로렌타인 지식인 사회에서 그를 친구로 만들었고, 그는 아르케트리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있던 천문학자 갈릴레오를 다른 사람들뿐만 아니라 만났다.[22] Milton probably visited the Florentine Academy and the Accademia della Crusca along with smaller academies in the area, including the Apatisti and the Svogliati.밀턴은 아마 이 지역의 아파티스티, 스보글리아티 등 소규모 학원과 함께 플로렌타인 아카데미와 아카데미 델라 크루스카를 방문했을 것이다.

In [Florence], which I have always admired above all others because of the elegance, not just of its tongue, but also of its wit, I lingered for about two months.혀뿐 아니라 재치까지 겸비하여 언제나 남보다 존경해왔던 [플로렌스]에서 나는 두 달여 동안을 머물렀다. There I at once became the friend of many gentlemen eminent in rank and learning, whose private academies I frequented—a Florentine institution which deserves great praise not only for promoting humane studies but also for encouraging friendly intercourse.[23]그곳에서 나는 곧 신분과 학문에 뛰어난 많은 신사들의 친구가 되었는데, 그 신사의 학원은 내가 자주 다녔던 곳인데, 그것은 인간적인 학문을 장려할 뿐만 아니라 친근한 교제를 장려한다는 점에서 큰 찬사를 받을 만한 플로렌스 학원이었습니다.[23]

– Milton's account of Florence in Defensio Secunda

He left Florence in September to continue to Rome.그는 9월에 피렌체를 떠나 로마로 계속 갔다. With the connections from Florence, Milton was able to have easy access to Rome's intellectual society.플로렌스로부터의 연줄로 밀턴은 로마의 지식인 사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His poetic abilities impressed those like Giovanni Salzilli, who praised Milton within an epigram.그의 시적 능력은 지오반니 살질리 같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는데, 그는 경구 안에서 밀턴을 칭찬했다. In late October, Milton attended a dinner given by the English College, Rome, despite his dislike for the Society of Jesus, meeting English Catholics who were also guests—theologian Henry Holden and the poet Patrick Cary.[24]10월 말, 밀턴은 예수회를 싫어함에도 불구하고, 신학자 헨리 홀든과 시인 패트릭 캐리를 만나면서, 영국 대학인 로마에서 열린 만찬에 참석했다.[24] He also attended musical events, including oratorios, operas, and melodramas.그는 또한 오라토리오, 오페라, 멜로 드라마 등 음악 행사에도 참석했다. Milton left for Naples toward the end of November, where he stayed only for a month because of the Spanish control.[25]밀턴은 11월 말쯤 나폴리로 떠났고, 스페인 통제 때문에 한 달밖에 머물지 못했다.[25] During that time, he was introduced to Giovanni Battista Manso, patron to both Torquato Tasso and to Giambattista Marino.[26]그 기간 동안 토르콰토 타쏘지암바티스타 마리노의 후원자인 조반니 바티스타 만소에게 소개되었다.[26]

Originally, Milton wanted to leave Naples in order to travel to Sicily and then on to Greece, but he returned to England during the summer of 1639 because of what he claimed in Defensio Secunda[27] were "sad tidings of civil war in England."[28]원래 밀턴은 시칠리아로 여행을 갔다가 그리스로 여행을 가기 위해 나폴리를 떠나고 싶었으나 데펜시오 세쿤다에서[27] 주장한 것이 "영국의 내전의 슬픈 소식"이기 때문에 1639년 여름 영국으로 돌아왔다.[28] Matters became more complicated when Milton received word that his childhood friend Diodati had died.밀턴이 어린 시절 친구 디오다티가 죽었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Milton in fact stayed another seven months on the continent, and spent time at Geneva with Diodati's uncle after he returned to Rome.밀턴은 사실 대륙에서 7개월을 더 머물렀고, 로마로 돌아온 후 디오다티의 삼촌과 제네바에서 시간을 보냈다. In Defensio Secunda, Milton proclaimed that he was warned against a return to Rome because of his frankness about religion, but he stayed in the city for two months and was able to experience Carnival and meet Lukas Holste, a Vatican librarian who guided Milton through its collection.데펜시오 세쿤다에서 밀턴은 종교에 대한 솔직함 때문에 로마로의 귀환을 경고받았다고 선언했지만, 두 달 동안 이 도시에 머물면서 카니발을 체험하고 밀턴의 수집품을 안내한 바티칸 사서 루카스 홀스테를 만날 수 있었다. He was introduced to Cardinal Francesco Barberini who invited Milton to an opera hosted by the Cardinal.그는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 추기경이 주최하는 오페라에 밀턴을 초청한 것을 소개받았다. Around March, Milton travelled once again to Florence, staying there for two months, attending further meetings of the academies, and spending time with friends.3월경, 밀튼은 다시 한번 플로렌스로 여행을 갔고, 그곳에서 두 달 동안 머물며, 학원의 추가 회의에 참석하고, 친구들과 시간을 보냈다. After leaving Florence, he travelled through Lucca, Bologna, and Ferrara before coming to Venice.피렌체를 떠난 후, 그는 베네치아에 오기 전에 루카, 볼로냐, 페라라를 여행했다. In Venice, Milton was exposed to a model of Republicanism, later important in his political writings, but he soon found another model when he travelled to Geneva.베니스에서 밀턴은 훗날 정치 저술에서 중요한 공화주의의 모델에 노출되었지만, 곧 제네바로 여행하면서 또 다른 모델을 발견했다. From Switzerland, Milton travelled to Paris and then to Calais before finally arriving back in England in either July or August 1639.[29]스위스에서 밀턴은 파리를 거쳐 칼레로 여행하다가 마침내 1639년 7월이나 8월에 영국에 돌아왔다.[29]

Civil war, prose tracts, and marriage내전, 산문, 결혼[[edit편집하다]]

 
Title page of the 1644 edition of Areopagitica1644년판 아레오파기티카 타이틀 페이지

On returning to England where the Bishops' Wars presaged further armed conflict, Milton began to write prose tracts against episcopacy, in the service of the Puritan and Parliamentary cause.주교들의 전쟁이 더 이상의 무력 충돌을 예고한 영국으로 돌아오자, 밀턴은 청교도의회 대의명분을 위해 성공회에 반대하는 산문을 쓰기 시작했다. Milton's first foray into polemics was Of Reformation touching Church Discipline in England (1641), followed by Of Prelatical Episcopacy, the two defences of Smectymnuus (a group of Presbyterian divines named from their initials; the "TY" belonged to Milton's old tutor Thomas Young), and The Reason of Church-Government Urged against Prelaty.Milton's first foray into polemics was Of Reformation touching Church Discipline in England (1641), followed by Of Prelatical Episcopacy, the two defences of Smectymnuus (a group of Presbyterian divines named from their initials; the "TY" belonged to Milton's old tutor Thomas Young), and The Reason of Church-Government Urged against Prelaty. He vigorously attacked the High-church party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ir leader William Laud, Archbishop of Canterbury, with frequent passages of real eloquence lighting up the rough controversial style of the period, and deploying a wide knowledge of church history.그는 영국 교회의 하이처치 당과 그들의 지도자,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로드를 맹렬히 공격했는데, 실제 웅변의 잦은 구절이 그 시대의 거친 논쟁 양식을 밝히고, 교회 역사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배치했다.

He was supported by his father's investments, but Milton became a private schoolmaster at this time, educating his nephews and other children of the well-to-do.아버지의 투자로 지원을 받았으나 밀턴은 이때 사학 교장이 되어 조카들과 유복한 자식들을 교육시켰다. This experience and discussions with educational reformer Samuel Hartlib led him to write his short tract Of Education in 1644, urging a reform of the national universities.교육개혁가 새뮤얼 하틀리브와의 이러한 경험과 토론은 1644년 그가 국립대학의 개혁을 촉구하며 짧은 '교육의 길'을 쓰게 만들었다.

In June 1642, Milton paid a visit to the manor house at Forest Hill, Oxfordshire, and at 34 got married to 17 year old Mary Powell[30][31] The marriage got off to a poor start as Mary did not adapt to Milton's austere lifestyle or get along with his nephews.1642년 6월, 밀턴은 옥스포드셔의 포레스트 힐에 있는 마너 하우스를 방문했고, 34살에 17살의 메리 파웰과[30][31] 결혼했다. 메리가 밀턴의 엄격한 생활양식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그의 조카들과 친하게 지내지 못하면서 결혼은 초라한 출발을 했다. Milton found her intellectually unsatisfying and disliked the royalist views she'd absorbed from her family.밀턴은 그녀가 지적으로 불만족스러웠고 가족에게서 흡수해 온 왕당주의적 관점을 싫어했다. It is also speculated that she refused to consummate the marriage.결혼생활의 완성을 거부했다는 추측도 나온다. Mary soon returned home to her parents and did not come back until 1645, partly because of the outbreak of the Civil War.[30]메어리는 곧 그녀의 부모에게 집으로 돌아왔고 부분적으로 남북전쟁의 발발 때문에 1645년이 되어서야 돌아왔다.[30]

In the meantime, her desertion prompted Milton to publish a series of pamphlets over the next three years arguing for the legality and morality of divorce beyond grounds of adultery. (Anna Beer, one of Milton's most recent biographers, points to a lack of evidence and the dangers of cynicism in urging that it wa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the p한편 그녀의 탈영으로 밀턴은 이후 3년 동안 간통죄의 근거를 넘어 이혼의 합법성과 도덕성을 주장하는 팸플릿을 연재하게 되었다.(밀턴의 가장 최근 전기작가 중 한 명인 안나 비어는 이 팸플릿이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라고 재촉하면서 증거 부족과 냉소의 위험성을 지적한다.rivate life so animated the public polemicising.)대중의 극성을 자극하는 삶을 활기차게 만들어라.) In 1643, Milton had a brush with the authorities over these writings, in parallel with Hezekiah Woodward, who had more trouble.[32]1643년 밀턴은 이러한 글들을 놓고 당국과 붓을 잡았는데, 히스기야 우드워드와 병행하여 더욱 곤란을 겪게 되었다.[32] It was the hostile response accorded the divorce tracts that spurred Milton to write Areopagitica; A speech of Mr. John Milton for the Liberty of Unlicenc'd Printing, to the Parlament of England, his celebrated attack on pre-printing censorship.그것은 밀턴이 아로파기티카를 쓰도록 자극한 이혼 소송에 대한 적대적 반응이었다; 존 밀튼이 영국 대사관에서 한 연설, 인쇄 전 검열에 대한 유명한 공격이었다. In Areopagitica, Milton aligns himself with the parliamentary cause, and he also begins to synthesize the ideal of neo-Roman liberty with that of Christian liberty.아레오파기티카에서 밀턴은 의회 대의에 자신을 맞추고, 신로마 자유라는 이상을 기독교 자유의 이상과 합성하기 시작한다. Milton also courted another woman during this time; we know nothing of her except that her name was Davis and she turned him down.밀튼은 또한 이 시기 동안 다른 여자에게 구애했다; 우리는 그녀의 이름이 데이비스라는 것 외에는 그녀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 그리고 그녀가 그를 거절했다. However, it was enough to induce Mary Powell into returning to him which she did unexpectedly by begging him to take her back.그러나, 그것은 메리 파웰에게 그녀를 되찾아 달라고 애원함으로써 그녀가 뜻밖에 했던 그에게로 돌아가도록 유도하기에 충분했다. She bore him two daughters in quick succession following their reconciliation.[33][34]그녀는 화해의 뒤를 이어 두 딸을 연이어 낳았다.[33][34]

Secretary for Foreign Tongues외무장관[[edit편집하다]]

With the Parliamentary victory in the Civil War, Milton used his pen in defence of the republican principles represented by the Commonwealth.남북전쟁에서 의회의 승리로 밀턴은 영연방이 대표하는 공화주의 원칙을 옹호하는 데 펜을 사용했다. The Tenure of Kings and Magistrates (1649) defended the right of the people to hold their rulers to account, and implicitly sanctioned the regicide; Milton's political reputation got him appointed Secretary for Foreign Tongues by the Council of State in March 1649.왕과 치안판사테뉴어(1649년)는 국민들이 통치자에게 책임을 물을 권리를 옹호하고, 암묵적으로 그 자제를 승인했다. 밀턴의 정치적 명성은 그를 1649년 3월 국무원에 의해 외무장관으로 임명하게 했다. His main job description was to compose the English Republic's foreign correspondence in Latin and other languages, but he also was called upon to produce propaganda for the regime and to serve as a censor.[35]그의 주된 업무 설명은 영국 공화국의 외국 서신을 라틴어 등 언어로 구성하는 것이었지만, 그는 또한 정권을 위한 선전물을 제작하고 검열관의 역할을 하도록 요구받았다.[35]

 
The back of no 19 York Street (1848).19번 요크 가의 뒷모습(1848년). In 1651, Milton moved into a "pretty garden-house" in Petty France, Westminster.1651년 밀턴은 웨스트민스터의 페티프랑스에 있는 "예쁜 정원집"으로 이사했다. He lived there until the Restoration.그는 복원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Later it became No. 19 York Street, belonged to Jeremy Bentham, was occupied successively by James Mill and William Hazlitt, and finally was demolished in 1877.[36]이후 19번 요크 가가 되었고, 제레미 벤담의 소유로 제임스 밀과 윌리엄 헤이즐릿에 의해 연속적으로 점령되었고, 마침내 1877년에 철거되었다.[36]

In October 1649, he published Eikonoklastes, an explicit defence of the regicide, in response to the Eikon Basilike, a phenomenal best-seller popularly attributed to Charles I that portrayed the King as an innocent Christian martyr.1649년 10월, 그는 왕을 순진한 기독교 순교자로 묘사한 찰스 1세의 공적으로 귀속된 경이로운 베스트 셀러인 에이콘 바실리케에 대응하여, 섭정을 명시적으로 옹호하는 아이코노크라스테스를 출판하였다. Milton tried to break this powerful image of Charles I (the literal translation of Eikonoklastes is 'the image breaker').밀턴은 찰스 1세의 이 강력한 이미지를 깨려고 노력했다(이코노크라테스의 문자 그대로 번역은 '이미지 브레이커'이다). A month later, however, the exiled Charles II and his party published the defence of monarchy Defensio Regia pro Carolo Primo, written by leading humanist Claudius Salmasius.그러나 한 달 뒤 망명중인 찰스 2세와 그의 일당은 대표적인 휴머니스트 클라우디우스 살마시우스가 쓴 군주제 데펜시오 레지아 프로 카롤로 프리모의 방어를 발표했다. By January of the following year, Milton was ordered to write a defence of the English people by the Council of State.이듬해 1월까지 밀턴은 국무원으로부터 영국인 방어서를 쓰라는 명령을 받았다. Milton worked more slowly than usual, given the European audience and the English Republic's desire to establish diplomatic and cultural legitimacy, as he drew on the learning marshalled by his years of study to compose a riposte.밀턴은 유럽 청중과 영국 공화국의 외교·문화적 정당성을 확립하려는 열망을 감안할 때 평소보다 더 느리게 일을 했다. 그는 그의 수년간의 연구로 아낌없는 학습을 이끌어냈다.

On 24 February 1652, Milton published his Latin defence of the English people Defensio pro Populo Anglicano, also known as the First Defence.1652년 2월 24일, 밀튼은 영국인 데펜시오 프로 포퓰리코 영국식민지노에 대한 라틴어 방어(First Defense)라고도 알려진 자신의 라틴어 방어(First Defense)라고도 한다. Milton's pure Latin prose and evident learning exemplified in the First Defence quickly made him a European reputation, and the work ran to numerous editions.[37]제1차 방어에서 모범을 보인 밀턴의 순수한 라틴어 산문과 명백한 학문이 그를 유럽의 명성으로 빠르게 만들었고, 이 작품은 수많은 판본으로 이어졌다.[37] He addressed his Sonnet 16 to 'The Lord Generall Cromwell in May 1652' beginning "Cromwell, our chief of men...", although it was not published until 1654.[38]그는 1654년까지는 출판되지 않았지만 '1652년 5월 크롬웰 경'에서 "크롬웰, 우리 인간 대장..."[38]을 시작하라고 소네트 16을 연설했다.

In 1654, Milton completed the second defence of the English nation Defensio secunda in response to an anonymous Royalist tract "Regii Sanguinis Clamor ad Coelum Adversus Parricidas Anglicanos" [The Cry of the Royal Blood to Heaven Against the English Parricides], a work that made many personal attacks on Milton.[39]1654년 밀턴은 밀턴에 인신공격을 많이 한 작품인 익명의 왕립주의 트랙인 "Regi Sanguinis Clamor ad Coelum Adidas Parricides Huccessos"[The Cry of the Royal Blood to the English Parricides]에 대응하여 영국 국가 데펜시오 세쿤다의 2차 수비를 마쳤다.[39] The second defence praised Oliver Cromwell, now Lord Protector, while exhorting him to remain true to the principles of the Revolution.두 번째 변론은 혁명의 원리에 충실할 것을 권하면서 지금의 보호자인 올리버 크롬웰을 칭찬했다. Alexander Morus, to whom Milton wrongly attributed the Clamor (in fact by Peter du Moulin), published an attack on Milton, in response to which Milton published the autobiographical Defensio pro se in 1655.밀턴이 클라모르(사실상 피터물랭의)를 잘못 귀속시킨 알렉산더 모루스는 밀턴에 대한 공격을 발표했는데, 이에 밀턴은 1655년 자전적 데펜시오 프로 세를 출판했다. Milton held the appointment of Secretary for Foreign Tongues to the Commonwealth Council of State until 1660, although after he had become totally blind, most of the work was done by his deputies, Georg Rudolph Wecklein, then Philip Meadows, and from 1657 by the poet Andrew Marvell.[40]밀턴은 비록 완전히 장님이 된 후, 대부분의 일은 그의 대신인 게오르크 루돌프 베클린, 당시 필립 메도우스에 의해, 1657년부터 시인 앤드류 마벨에 의해 영연방 국무회의에 외무장관 임명을 1660년까지 치렀다.[40]

By 1652, Milton had become totally blind;[41] the cause of his blindness is debated but bilateral retinal detachment or glaucoma are most likely.[42]1652년, 밀턴은 완전히 장님이 되었다.[41] 그의 실명의 원인은 논의되고 있지만 양쪽 망막 분리녹내장이 가장 유력하다.[42] His blindness forced him to dictate his verse and prose to amanuenses who copied them out for him; one of these was Andrew Marvell.그의 시각장애는 그에게 그의 운문과 산문을 자신을 위해 베껴 쓴 무안렌즈에게 지시하도록 강요했다; 이것들 중 하나는 앤드류 마벨이었다. One of his best-known sonnets, When I Consider How My Light is Spent, titled by a later editor, John Newton, "On His Blindness", is presumed to date from this period.[43]그의 가장 잘 알려진 소네트 중 하나인 '내 빛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생각해보면'이라는 제목의 후기 편집자는 존 뉴턴의 "그의 실명에 대하여"를 이 시기로 추정한다.[43]

The Restoration리바이벌[[edit편집하다]]

Cromwell's death in 1658 caused the English Republic to collapse into feuding military and political factions.1658년 크롬웰의 죽음은 영국 공화국을 반목하는 군사 및 정파로 붕괴시켰다. Milton, however, stubbornly clung to the beliefs that had originally inspired him to write for the Commonwealth.그러나 밀턴은 원래 영연방을 위해 글을 쓰도록 영감을 준 신념에 완강히 매달렸다. In 1659, he published A Treatise of Civil Power, attacking the concept of a state-dominated church (the position known as Erastianism), as well as Considerations touching the likeliest means to remove hirelings, denouncing corrupt practises in church governance.1659년, 그는 '시민권력 논문'을 발표하여 국가가 지배하는 교회(에라스티즘으로 알려진 지위)의 개념을 공격하고, 고용인을 제거하는 가장 유력한 수단에 손을 대는 '고려'도 교회 통치의 부패한 관행들을 비난하였다. As the Republic disintegrated, Milton wrote several proposals to retain a non-monarchical government against the wishes of parliament, soldiers, and the people.[44][45]공화국이 해체되자 밀턴은 의회, 군인, 국민의 뜻에 반하여 비독재 정부를 유지하자는 몇 가지 제안을 썼다.[44][45]

  • A Letter to a Friend, Concerning the Ruptures of the Commonwealth, written in October 1659, was a response to General Lambert's recent dissolution of the Rump Parliament.1659년 10월에 작성된 "영연방의 파열과 관련하여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램버트 장군이 최근 럼프 의회를 해산한 것에 대한 응답이었다.
  • Proposals of certain expedients for the preventing of a civil war now feared, written in November 1659.1659년 11월에 쓰여진, 내전 예방을 위한 어떤 편법의 제안은 현재 두려워하고 있다.
  • The Ready and Easy Way to Establishing a Free Commonwealth, in two editions, responded to General Monck's march towards London to restore the Long Parliament (which led to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자유연방정치위한 준비와 쉬운 길은 두 판으로 나뉘어, 먼 의회를 회복하기 위한 런던을 향한 몬크 장군의 행진(군주권 회복을 이끌었다)에 대응했다. The work is an impassioned, bitter, and futile jeremiad damning the English people for backsliding from the cause of liberty and advocating the establishment of an authoritarian rule by an oligarchy set up by unelected parliament.이 작품은 자유라는 명분에서 후퇴한 영국인들을 핍박하고 선출되지 않은 의회가 수립한 과두정치에 의한 권위주의적 통치 확립을 옹호하는 열렬하고 쓰며 부질없는 제레미드다.

Upon the Restoration in May 1660, Milton, fearing for his life, went into hiding, while a warrant was issued for his arrest and his writings were burnt.1660년 5월 '복원'과 동시에 목숨을 두려워한 밀턴은 은신하게 되었고, 밀튼은 체포 영장이 발부되어 그의 글은 불에 탔다. He re-emerged after a general pardon was issued, but was nevertheless arrested and briefly imprisoned before influential friends intervened, such as Marvell, now an MP. Milton married for a third and final time on 24 February 1663, marrying Elizabeth (Betty) Minshull, aged 24, a native of Wistaston, Cheshire.그는 일반 사면이 내려진 후 재등장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포되어 잠시 투옥되었다가 1663년 2월 24일 현재의 밀턴 하원의원과 세 번째이자 마지막 결혼을 한 1663년 2월 24일, 체셔주 위스타스턴 출신 엘리자베스(베티) 민술과 결혼하는 등 영향력 있는 친구들이 개입하기 전에 체포되어 잠시 투옥되었다. He spent the remaining decade of his life living quietly in London, only retiring to a cottage during the Great Plague of LondonMilton's Cottage in Chalfont St.그는 남은 인생의 10년을 런던에서 조용히 살았으며, 런던 대 전염병찰폰 가트밀턴 가가운트 기간 동안만 별장으로 은퇴했다. Giles, his only extant home. 그의 유일한 외딴 집인 자일즈.

During this period, Milton published several minor prose works, such as the grammar textbook Art of Logic and a History of Britain.이 기간 동안, 밀턴은 문법 교과서인 "Art of Logic"과 "A History of British"와 같은 몇 편의 작은 산문 작품을 출판했다. His only explicitly political tracts were the 1672 Of True Religion, arguing for toleration (except for Catholics), and a translation of a Polish tract advocating an elective monarchy.그의 유일한 명시적인 정치적 행보는 (카톨릭을 제외한) 관용을 주장하는 1672년 참종교와 선택적 군주제를 옹호하는 폴란드 지부의 번역이었다. Both these works were referred to in the Exclusion debate, the attempt to exclude the heir presumptive from the throne of England—James, Duke of York—because he was Roman Catholic.이 두 작품 모두 영국의 왕좌에서 추정된 후계자 제임스(James, Duke of York)를 로마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제외하려는 시도인 배제 논쟁에서 언급되었다. That debate preoccupied politics in the 1670s and 1680s and precipitated the formation of the Whig party and the Glorious Revolution.그 논쟁은 1670년대와 1680년대의 정치를 집중시켰고 휘그당명예혁명을 촉발시켰다.

Death죽음[[edit편집하다]]

.mw-parser-output .tmulti .thumbinner{display:flex;flex-direction:column}.mw-parser-output .tmulti .trow{display:flex;flex-direction:row;clear:left;flex-wrap:wrap;width:100%;box-sizing:border-box}.mw-parser-output .tmulti .tsingle{margin:1px;float:left}.mw-parser-output .tmulti .theader{clear:both;font-weight:bold;text-align:center;align-self:center;background-color:transparent;width:100%}.mw-parser-output .tmulti .thumbcaption{background-color:transparent}.mw-parser-output .tmulti .text-align-left{text-align:left}.mw-parser-output .tmulti .text-align-right{text-align:right}.mw-parser-output .tmulti .text-align-center{text-align:center}@media all and (max-width:720px){.mw-parser-output .tmulti .thumbinner{width:100%!important;box-sizing:border-box;max-width:none!important;align-items:center}.mw-parser-output .tmulti .trow{justify-content:center}.mw-parser-output .tmulti .tsingle{float:none!important;max-width:100%!important;box-sizing:border-box;text-align:center}.mw-parser-output .tmulti .tsingle .thumbcaption{text-align:left}.mw-parser-output .tmulti .trow>.thumbcaption{text-align:center}}
Milton’s statue and memorial in St Giles-without-Cripplegate church, London런던 성 자일스 교회에 있는 밀턴의 동상과 기념비

Milton died on 8 November 1674 and was buried in the church of St Giles-without-Cripplegate, Fore Street, London.[46]밀턴은 1674년 11월 8일 사망했으며 런던 포어 스트리트(Fore Street)의 크리프레게이트(Cripplegate) 없는 성 자일스(St Giles) 교회에 안장되었다.[46] However, sources differ as to whether the cause of death was consumption or gout.[46][47]다만 사망 원인이 소비인지 통풍인지에 대해서는 소식통이 엇갈린다.[46][47] According to an early biographer, his funeral was attended by "his learned and great Friends in London, not without a friendly concourse of the Vulgar."[48]초기 전기작가에 따르면, 그의 장례식에는 "저속한 사람들의 친근한 콘센트가 없는 것이 아니라 런던에서 학식과 위대한 친구들"[48]이 참석했다. A monument was added in 1793, sculpted by John Bacon the Elder.1793년에 존 베이컨 장로가 조각한 기념비가 추가되었다.

Family가족[[edit편집하다]]

Milton and his first wife Mary Powell (1625–1652) had four children:[49] 밀턴과 그의 첫 부인 메리 파월(1625–1652)은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49]

  • Anne (born 29 July 1646)앤 (1646년 7월 29일생)
  • Mary (born 25 October 1648)메리 (1648년 10월 25일생)
  • John (16 March 1651 – June 1652)존 (1651년 3월 16일 – 1652년 6월)
  • Deborah (2 May 1652 – 10 August 1727[50])데보라 (1652년 5월 2일 – 1727년[50] 8월 10일)

Mary Powell died on 5 May 1652 from complications following Deborah's birth.메리 파월은 데보라의 출생에 따른 합병증으로 1652년 5월 5일 세상을 떠났다. Milton's daughters survived to adulthood, but he always had a strained relationship with them.밀턴의 딸들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지만, 밀튼은 항상 그들과 긴장된 관계를 유지했다.

On 12 November 1656, Milton was married to Katherine Woodcock at St Margaret's, Westminster.[51]1656년 11월 12일, 밀튼은 웨스트민스터 세인트 마가렛즈에서 캐서린 우드콕과 결혼했다.[51] She died on 3 February 1658, less than four months after giving birth to her daughter Katherine, who also died.그녀는 딸 캐서린을 낳은 지 넉 달도 안 된 1658년 2월 3일에 죽었는데, 이 역시 죽었다.

Milton married for a third time on 24 February 1663 to Elizabeth Mynshull or Minshull (1638–1728), the niece of Thomas Mynshull, a wealthy apothecary and philanthropist in Manchester.밀턴은 1663년 2월 24일 맨체스터의 부유한 약제사이자 자선가인 토마스 뮌술의 조카인 엘리자베스 뮌술 또는 민술 (1638년–1728년)과 세 번째 결혼을 했다. The marriage took place at St Mary Aldermary in the City of London.그 결혼은 런던 시에 있는 세인트 메리 알더마리에서 열렸다. Despite a 31-year age gap, the marriage seemed happy, according to John Aubrey, and lasted more than 12 years until Milton's death. (A plaque on the wall of Mynshull's House in Manchester describes Elizabeth as Milton's "3rd and Best wife".)존 오버리에 따르면 31세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결혼은 행복한 듯 보였고 밀턴이 죽을 때까지 12년 이상 지속되었다. (맨체스터에 있는 마인술의 집 벽에 걸린 명패는 엘리자베스를 밀턴의 '제3의 가장 좋은 아내'로 묘사하고 있다. Samuel Johnson, however, claims that Mynshull was "a domestic companion and attendant" and that Milton's nephew Edward Phillips relates that Mynshull "oppressed his children in his lifetime, and cheated them at his death".[52]그러나 새뮤얼 존슨은 "Mynshull이 "가정적인 동반자이자 수행자"였으며 밀턴의 조카 에드워드 필립스가 "Mynshull이 생전에 아이들을 억압했고, 죽었을 때 그들을 속였다"고 진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52]

His nephews, Edward and John Phillips (sons of Milton's sister Anne), were educated by Milton and became writers themselves.그의 조카인 에드워드와 존 필립스(밀턴의 여동생 앤의 아들)는 밀턴에게 교육을 받고 스스로 작가가 되었다. John acted as a secretary, and Edward was Milton's first biographer.존은 비서 역할을 했고, 에드워드는 밀턴의 첫 전기 작가였다.

Poetry시[[edit편집하다]]

Milton's poetry was slow to see the light of day, at least under his name.밀턴의 시는 적어도 그의 이름 아래에서는 낮의 빛을 보는 것이 느렸다. His first published poem was "On Shakespeare" (1630), anonymously included in the Second Folio edition of William Shakespeare's plays in 1632.그의 첫 출판된 시는 "셰익스피어에 대하여"(1630년)로, 1632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제2편 폴리오 판에 익명으로 수록되었다. An annotated copy of the First Folio has been suggested to contain marginal notes by Milton.[53]주석을 단 최초의 폴리오 사본은 밀턴에 의해 한계 음을 포함하도록 제안되었다.[53] Milton collected his work in 1645 Poems in the midst of the excitement attend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English government.밀턴은 새로운 영국 정부 수립 가능성에 참석한 가운데 1645년 에서 그의 작품을 수집했다. The anonymous edition of Comus was published in 1637, and the publication of Lycidas in 1638 in Justa Edouardo King Naufrago was signed J. M.코무스의 익명판은 1637년에 출판되었고, 1638년 저스타 에두아르도나우프라고에서 리키다스의 출판은 J. M.에 서명되었다. Otherwise.그렇지 않으면. The 1645 collection was the only poetry of his to see print until Paradise Lost appeared in 1667.이 1645년 수집품은 1667년 파라다이스 로스트가 등장하기 전까지 그가 판화를 본 유일한 시였다.

 

파라다이스 로스트[[edit편집하다]]

Main article: Paradise Lost주요기사: 파라다이스 로스트
 
Milton Dictates the Lost Paradise to His Three Daughters, ca. 1826, by Eugène Delacroix밀턴, 외젠 들라크루아스1826년 딸에게 잃어버린 천국을 지시하다

Milton's magnum opus, the blank-verse epic poem Paradise Lost, was composed by the blind and impoverished Milton from 1658 to 1664 (first edition), with small but significant revisions published in 1674 (second edition).밀턴의 마그넘 오푸스(Magnum opus, blank-verse special spois Paradise Lost)는 1658년부터 1664년(제1판)까지 시각장애인이자 피폐한 밀턴에 의해 작곡되었으며, 작지만 중요한 개정판이 1674년(제2판)에 발표되었다. As a blind poet, Milton dictated his verse to a series of aides in his employ.맹목적인 시인으로서 밀턴은 자신의 직장에 있는 일련의 보좌관들에게 자신의 시를 받아쓰게 했다. It has been argued that the poem reflects his personal despair at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yet affirms an ultimate optimism in human potential. 시는 혁명의 실패에 대한 그의 개인적인 절망을 반영하면서도 인간의 잠재력에 대한 궁극적인 낙관론을 긍정한다는 주장이 있다. Some literary critics have argued that Milton encoded many references to his unyielding support for the "Good Old Cause".[54]일부 문학 비평가들은 밀턴이 "좋은원인"[54]에 대한 그의 굽히지 않는 지지에 대해 많은 언급들을 암호화했다고 주장해왔다.

On 27 April 1667,[55] Milton sold the publication rights for Paradise Lost to publisher Samuel Simmons for £5 (equivalent to approximately £770 in 2015 purchasing power),[56] with a further £5 to be paid if and when each print run sold out of between 1,300 and 1,500 copies.[57]밀턴은 1667년 4월 27일, 파라다이스 로스트에 대한 출판권을 출판사 사무엘 시몬스에게 5파운드(2015년 구매력 약 770파운드)에 판매했으며,[56] 각 인쇄물이 1,300~1,500부까지 팔릴 경우 추가로 5파운드를 지불해야 했다.[55][57] The first run was a quarto edition priced at three shillings per copy (about £23 in 2015 purchasing power equivalent), published in August 1667, and it sold out in eighteen months.[58]1차 판매는 1667년 8월 발행된 1부당 3실링(2015년 구매력 등가 약 23파운드)짜리 쿼토판으로 18개월 만에 완판됐다.[58]

Milton followed up the publication Paradise Lost with its sequel Paradise Regained, which was published alongside the tragedy Samson Agonistes in 1671.밀턴은 1671년 비극 삼손 애제지스트와 함께 출간된 후속작 파라다이스 로스트(Paradise Lost)를 연재했다. Both of these works also reflect Milton's post-Restoration political situation.이 두 작품 모두 밀턴의 회복 이후의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기도 한다. Just before his death in 1674, Milton supervised a second edition of Paradise Lost, accompanied by an explanation of "why the poem rhymes not", and prefatory verses by Andrew Marvell.밀턴은 1674년 죽기 직전 '왜 시가 운을 맞추지 않는가'에 대한 설명과 앤드류 마벨의 사전 구절을 곁들인 파라다이스 로스트 2판을 감독했다. In 1673, Milton republished his 1645 Poems, as well as a collection of his letters and the Latin prolusions from his Cambridge days.1673년 밀턴은 그의 1645년 시와 함께 그의 편지와 캠브리지 시절의 라틴어 탈옥을 다시 출판했다.

Views보기[[edit편집하다]]

An unfinished religious manifesto, De doctrina christiana, probably written by Milton, lays out many of his heterodox theological views, and was not discovered and published until 1823.미완성된 종교적 선언서, 아마도 밀턴에 의해 쓰여진 데 교조리나 크리스티아나는 그의 이단 신학적 견해의 많은 부분을 제시하고 있으며, 1823년까지 발견되어 출판되지 않았다. Milton's key beliefs were idiosyncratic, not those of an identifiable group or faction, and often they go well beyond the orthodoxy of the time.밀턴의 핵심 신념은 식별할 수 있는 집단이나 파벌의 신념이 아닌 특이적이었으며, 종종 그 시대의 정설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 Their tone, however, stemmed from the Puritan emphasis on the centrality and inviolability of conscience.[59]그러나 이들의 어조는 청교도들이 양심의 중심성과 불가침성을 강조한 데서 비롯됐다.[59] He was his own man, but he was anticipated by Henry Robinson in Areopagitica.[clarification needed]그는 자신의 남자였지만 아레오파기티카사는 헨리 로빈슨에 의해 기대되었다.[clarification needed]

Philosophy철학[[edit편집하다]]

While Milton's belief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consistent with Protestant Christianity, Stephen Fallon argues that by the late 1650s, Milton may have at least toyed with the idea of monism or animist materialism, the notion that a single material substance which is "animate, self-active, and free" composes everything in the universe: from st밀턴의 신념이 일반적으로 개신교 기독교와 일치한다고 여겨지는 반면, 스티븐 팰런은 1650년대 후반에 이르러 밀턴은 적어도 "동물적이고, 자기 활동적이며, 자유로운" 단일 물질적 물질이 우주의 모든 것을 구성한다는 개념인 모니즘이나 애니미스트 물질주의 사상에 놀아났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ones and trees and bodies to minds, souls, angels, and God.[60]나무와 몸을 마음과 영혼과 천사와 하나님께 바친다.[60] Fallon claims that Milton devised this position to avoid the mind-body dualism of Plato and Descartes as well as the mechanistic determinism of Hobbes.팰런은 밀턴이 홉스기계론적 결정론물론 플라톤과 데카르트의 심신 이원론을 피하기 위해 이런 입장을 고안했다고 주장한다. According to Fallon, Milton's monism is most notably reflected in Paradise Lost when he has angels eat (5.433–39)[clarification needed] and apparently engage in sexual intercourse (8.622–29)[clarification needed] and the De Doctrina, where he denies the dual natures of man and argues for a theory of Creation ex Deo.팰런에 따르면 밀턴의 일리주의는 천사가 식사를 하게 할 때(5.433~39년)[clarification needed] 가장 에 띄게 파라다이스 로스트에 반영되며, 분명히 성교(8.622–29년)[clarification needed]와 데 교리나를 하는 것으로, 여기서 그는 인간의 이중적 본성을 부정하고 크리에이션데오 이론을 주장한다.

Political thought정치사상[[edit편집하다]]

Milton was a "passionately individual Christian Humanist poet."[61]밀턴은 "열성적으로 개성이 있는 기독교 휴머니스트 시인"[61]이었다. He appears on the pages of seventeenth century English Puritanism, an age characterized as "the world turned upside down."[62]그는 "세상이 뒤집혔다"[62]는 특징이 있는 17세기 영국 청교도들의 페이지에 등장한다. He was a Puritan and yet was unwilling to surrender conscience to party positions on public policy.그는 청교도였지만 공공정책에 관한 당의 입장에 양심을 내맡기는 것을 꺼렸다. Thus, Milton's political thought, driven by competing convictions, a Reformed faith and a Humanist spirit, led to enigmatic outcomes.따라서 경쟁적인 신념과 리폼된 신앙과 휴머니스트 정신에 의해 추진된 밀턴의 정치적 사상은 수수께끼 같은 결과를 낳았다.

Milton’s apparently contradictory stance on the vital problems of his age, arose from religious contestations, to the questions of the divine rights of kings.밀턴은 종교적인 논쟁에서 왕들의 신성한 권리에 대한 의문에 이르기까지 자기 시대의 중대한 문제에 대해 명백히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In both the cases, he seems in control, taking stock of the situation arising from the polarization of the English society on religious and political lines.두 경우 모두 종교와 정치 노선에 대한 영국 사회의 양극화에서 비롯된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He fought with the Puritans against the Cavaliers i.e. the King’s party, and helped win the day.그는 청교도들과 함께 카발리에스, 즉 킹스 파티에 대항하여 싸웠고, 그날 승리하는 것을 도왔다. But the very same constitutional and republican polity, when tried to curtail freedom of speech, Milton, given his humanistic zeal, wrote Areopagitica . . .[63]그러나 바로 그 헌법과 공화정 정치는 언론의 자유를 축소하려 할 때, 그의 인간주의적 열성을 감안한 밀턴은 아레오파기티카라고 썼다.[63]

 
Title page of John Milton's 1644 edition of Areopagitica존 밀턴 1644년판 아로파기티카 타이틀 페이지

Milton's political thought may be best categorized according to respective periods in his life and times.밀턴의 정치적 사상은 그의 생애와 시대에 따라 각각의 시기에 따라 가장 잘 분류될 수 있다. The years 1641–42 were dedicated to church politics and the struggle against episcopacy.1641~42년은 교회 정치와 성공회와의 투쟁에 바쳐졌다. After his divorce writings, Areopagitica, and a gap, he wrote in 1649–54 in the aftermath of the execution of Charles I, and in polemic justification of the regicide and the existing Parliamentarian regime.이혼서인 아레오파기티카(Areopagitica)와 틈새(gap)를 쓴 뒤, 샤를 1세의 처형 여파로 1649~54년, 섭정제도와 기존 의회제정권의 극적 정당성에 글을 썼다. Then in 1659–60 he foresaw the Restoration, and wrote to head it off.[64]그리고 나서 1659–60년에 그는 복원을 예견했고, 그것을 막기 위해 편지를 썼다.[64]

Milton's own beliefs were in some cases unpopular, particularly his commitment to republicanism.밀턴 자신의 신념은 경우에 따라 인기가 없었고, 특히 공화주의에 대한 그의 헌신은 인기가 없었다. In coming centuries, Milton would be claimed as an early apostle of liberalism.[65]다가올 세기 동안 밀턴은 자유주의의 초기 사도로 주장될 것이다.[65] According to James Tully: 제임스 툴리에 따르면:

... with Locke as with Milton, republican and contraction conceptions of political freedom join hands in common opposition to the disengaged and passive subjection offered by absolutists such as Hobbes and Robert Filmer.[66]... 로크가 밀턴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자유의 공화주의와 위축된 개념들은 홉스나 로버트 필머와 같은 절대주의자들이 제공하는 해제되고 수동적인 복종에 대해 공통적으로 반대한다.[66]

A friend and ally in the pamphlet wars was Marchamont Nedham.팜플렛 전쟁의 친구이자 동맹자는 Marchamont Nedham이었다. Austin Woolrych considers that although they were quite close, there is "little real affinity, beyond a broad republicanism", between their approaches.[67]오스틴 울리치는 비록 그들이 꽤 가까웠지만, 그들의 접근법 사이에는 "넓은 공화주의를 넘어" 진정한 친화력이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67] Blair Worden remarks that both Milton and Nedham, with others such as Andrew Marvell and James Harrington, would have taken their problem with the Rump Parliament to be not the republic itself, but the fact that it was not a proper republic.[68]블레어 워든앤드류 마벨, 제임스 해링턴과 같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밀턴과 네드햄 둘 다 럼프 의회와의 그들의 문제를 공화국 그 자체가 아니라, 제대로 된 공화국이 아니라는 사실로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말한다.[68] Woolrych speaks of "the gulf between Milton's vision of the Commonwealth's future and the reality".[69]울리치는 "밀턴의 영연방 미래에 대한 비전과 현실의 괴리"[69]를 말한다. In the early version of his History of Britain, begun in 1649, Milton was already writing off the members of the Long Parliament as incorrigible.[70]1649년에 시작된 그의 '영국사'의 초기 버전에서 밀턴은 이미 장군의회 의원들을 구제불능으로 탕감하고 있었다.[70]

He praised Oliver Cromwell as the Protectorate was set up; though subsequently he had major reservations.그는 올리버 크롬웰을 보호국이 세워졌다고 칭찬했다. 그러나 그 후 그는 많은 예약을 받았다. When Cromwell seemed to be backsliding as a revolutionary, after a couple of years in power, Milton moved closer to the position of Sir Henry Vane, to whom he wrote a sonnet in 1652.[71][72]크롬웰이 혁명가로서 뒷걸음질치는 것 같았을 때, 두어 해 집권한 뒤 밀턴은 1652년 소네트(sonnet)를 쓴 헨리 베인 경의 지위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71][72] The group of disaffected republicans included, besides Vane, John Bradshaw, John Hutchinson, Edmund Ludlow, Henry Marten, Robert Overton, Edward Sexby and John Streater; but not Marvell, who remained with Cromwell's party.[73]불만을 품은 공화당원 그룹에는 베인, 존 브래드쇼, 존 허친슨, 에드먼드 루들로, 헨리 마르텐, 로버트 오버턴, 에드워드 섹스비, 존 스트레이터 등이 포함되었지만, 크롬웰의 당에 남아 있던 마벨은 포함되지 않았다.[73] Milton had already commended Overton, along with Edmund Whalley and Bulstrode Whitelocke, in Defensio Secunda.[74]밀턴은 이미 데펜시오 세쿤다에서 에드먼드 월리, 불스트로데 화이트리스트케와 함께 오버톤을 추천했었다.[74] Nigel Smith writes that Nigel Smith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 John Streater, and the form of republicanism he stood for, was a fulfilment of Milton's most optimistic ideas of free speech and of public heroism [...][75]…존 스트레이터, 그리고 그가 표방했던 공화주의의 형태는 자유언론과 공공의 영웅주의에 대한 밀턴의 가장 낙천적인 사상을 충족시킨 것이었다 [...][75]

As Richard Cromwell fell from power, he envisaged a step towards a freer republic or "free commonwealth", writing in the hope of this outcome in early 1660.리차드 크롬웰이 권좌에서 떨어지자, 그는 1660년 초 이 결과를 바라면서 더 자유로운 공화국 또는 "자유로운 영연방"을 향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Milton had argued for an awkward position, in the Ready and Easy Way, because he wanted to invoke the Good Old Cause and gain the support of the republicans, but without offering a democratic solution of any kind.[76]밀턴은 '좋은 명분'을 발동하여 공화당의 지지를 얻고 싶었지만 어떤 종류의 민주적인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레디이지 웨이'에서 어색한 입장을 주장했었다.[76] His proposal, backed by reference (amongst other reasons) to the oligarchical Dutch and Venetian constitutions, was for a council with perpetual membership.그의 제안은 네덜란드와 베네치아 헌법에 대한 언급(다른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에 의해 뒷받침된 것으로, 영구적인 회원권을 가진 의회를 위한 것이었다. This attitude cut right across the grain of popular opinion of the time, which swung decisively behind the restoration of the Stuart monarchy that took place later in the year.[77]이러한 태도는 그 해 말에 일어난 스튜어트 왕정 회복의 배후에 결정적으로 휘둘러진 당대의 민심의 곡선을 바로 가로지르는 것이었다.[77] Milton, an associate of and advocate on behalf of the regicides, was silenced on political matters as Charles II returned.섭정파의 동료이자 옹호자인 밀턴은 찰스 2세가 돌아오자 정치적 문제에 침묵했다.

Theology신학[[edit편집하다]]

Milton was neither a clergyman nor a theologian; however, theology, and particularly English Calvinism, formed the palette on which John Milton created his greatest thoughts.밀턴은 성직자도 신학자도 아니었지만, 신학, 특히 영국의 칼뱅주의는 존 밀튼이 그의 가장 위대한 생각을 창조한 팔레트를 형성했다. John Milton wrestled with the great doctrines of the Church amidst the theological crosswinds of his age.존 밀턴은 당대의 신학적 역풍 속에서 교회의 위대한 교리와 씨름했다. The great poet was undoubtedly Reformed (though his grandfather, Richard "the Ranger" Milton had been Roman Catholic).[78][6]그 위대한 시인은 의심할 여지 없이 리폼드였다(그의 할아버지 리차드 "레인저" 밀턴은 로마 가톨릭 신자였지만).[78][6] However, Milton's Calvinism had to find expression in a broad-spirited Humanism.그러나 밀턴의 칼뱅주의는 광범한 휴머니즘에서 표현을 찾아야 했다. Like many Renaissance artists before him, Milton attempted to integrate Christian theology with classical modes.그의 이전의 많은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처럼 밀턴은 기독교 신학을 고전적 양식에 접목시키려고 시도했다. In his early poems, the poet narrator expresses a tension between vice and virtue, the latter invariably related to Protestantism.그의 초기 시에서 시인 나레이터는 악과 덕 사이의 긴장을 표현하는데, 후자는 항상 개신교와 관련이 있다. In Comus, Milton may make ironic use of the Caroline court masque by elevating notions of purity and virtue over the conventions of court revelry and superstition.코머스에서는 밀턴이 법정의 흥청망청하는 관습과 미신보다 순결과 덕에 대한 개념을 높임으로써 캐롤라인 법정의 마스크를 아이러니하게 활용할 수도 있다. In his later poems, Milton's theological concerns become more explicit.그의 후기 시에서 밀턴의 신학적 우려는 더욱 노골화된다.

His use of biblical citation was wide-ranging; Harris Fletcher, standing at the beginning of the intensification of the study of the use of scripture in Milton's work (poetry and prose, in all languages Milton mastered), notes that typically Milton clipped and adapted biblical quotations to suit the purpose, giving precise chapter and verse only in그의 성경 인용의 사용은 광범위했다; 밀턴의 작품에서 경전 사용의 연구 강화의 시작에 서 있는 해리스 플레처(Harris Fletcher)는, 밀턴이 전형적으로 목적에 맞게 성경 인용구를 잘라서 각색하고 각색시켰으며, 오직 에 정확한 장과 구절을 주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texts for a more specialized readership.보다 전문화된 독자층을 위한 교과서 As for the plenitude of Milton's quotations from scripture, Fletcher comments, "For this work, I have in all actually collated about twenty-five hundred of the five to ten thousand direct Biblical quotations which appear therein".[79]필쳐는 밀턴이 경전에서 인용한 글의 강도에 대해 "이 작품을 위해 나는 실제로 거기에 등장하는 5만에서 1만 개의 직접 성경 인용문 중 약 2천 5백 개를 수집했다"고 평한다.[79] Milton's customary English Bible was the Authorized King James.[80]밀턴의 관습적인 영어 성경은 인가된 제임스 왕이었다.[80] When citing and writing in other languages, he usually employed the Latin translation by Immanuel Tremellius, though "he was equipped to read the Bible in Latin, in Greek, and in Hebrew, including the Targumim or Aramaic paraphrase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Syriac version of the New, together with the available commentaries of those several v다른 언어로 인용하고 글을 쓸 때는 "그는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로 구약성서의 타르굼이나 아라미어 표어, 신약성서의 시리아크판 등 성경을 읽을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대개 임마누엘 트레멜리우스의 라틴어 번역을 채용했다.ersions".[79]어시온스"[79]

Milton embraced many heterodox Christian theological views.밀턴은 많은 이단적인 기독교 신학적 관점을 수용했다. He has been accused of rejecting the Trinity, believing instead that the Son was subordinate to the Father, a position known as Arianism; and his sympathy or curiosity was probably engaged by Socinianism: in August 1650 he licensed for publication by William Dugard the Racovian Catechism, based on a non-trinitarian creed.[81][82]그는 아들이 아리안주의로 알려진 아버지로부터 종속되었다고 믿고 삼위일체를 거부했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그의 동정이나 호기심은 아마도 소시니아주의에 의해 관여되었을 것이다: 1650년 8월 그는 비삼위일체적인 신조에 근거하여 라코비아 카테치주의자윌리엄 듀가드에 의해 출판 허가를 받았다.[81][82] Milton's alleged Arianism, like much of his theology, is still subject of debate and controversy.밀턴의 주장인 아리안주의는 그의 신학의 많은 부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논쟁과 논쟁의 대상이다. Rufus Wilmot Griswold argued that "In none of his great works is there a passage from which it can be inferred that he was an Arian; and in the very last of his writings he declares that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a plain doctrine in Scripture."[83]루퍼스 윌모트 그리스월드는 "그의 위대한 작품들 중 어느 것도 그가 아리안인이라고 추론할 수 있는 구절은 없다"고 주장했고, 그의 마지막 글에서 그는 "삼위일체 교리는 성경의 평범한 교리"라고 선언한다.[83] In Areopagitica, Milton classified Arians and Socinians as "errorists" and "schismatics" alongside Arminians and Anabaptists.[84]아레오파기티카에서 밀턴은 아리아인과 소시니아인을 아르미니아인과 아나밥티스트와 나란히 '에러리스트'와 '슈시즘'으로 분류했다.[84] A source has interpreted him as broadly Protestant, if not always easy to locate in a more precise religious category.한 소식통은 그를 좀 더 정확한 종교적 범주에서 항상 쉽게 찾을 수는 없겠지만 대체로 개신교 신자로 해석했다. In 2019, John Rogers stated, "Heretics both, John Milton and Isaac Newton were, as most scholars now agree, Arians."[85][86] 2019년 존 로저스는 "이단자, 존 밀턴과 아이작 뉴턴은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처럼 아리안"이라고 말했다.[85][86]

In his 1641 treatise, Of Reformation, Milton expressed his dislike for Catholicism and episcopacy, presenting Rome as a modern Babylon, and bishops as Egyptian taskmasters.밀턴은 1641년 논문 '개혁의 서약'에서 로마를 현대 바빌로니아로, 주교들을 이집트 태스마스터로 내세우며 가톨릭과 성공회에 대한 반감을 표명했다. These analogies conform to Milton's puritanical preference for Old Testament imagery.이러한 유사점들은 구약성서 이미지에 대한 밀턴의 청교도적 선호에 부합한다. He knew at least four commentaries on Genesis: those of John Calvin, Paulus Fagius, David Pareus and Andreus Rivetus.[87]그는 창세기에 대한 적어도 4명의 논평들을 알고 있었다: 존 캘빈, 폴루스 파기우스, 데이비드 파레우스, 그리고 안드레우스 리벳투스의 논평들.[87]

Through the Interregnum, Milton often presents England, rescued from the trappings of a worldly monarchy, as an elect nation akin to the Old Testament Israel, and shows its leader, Oliver Cromwell, as a latter-day Moses.밀턴은 인터폴을 통해 구약성서 이스라엘과 유사한 선출국으로서 세속적인 군주제의 위장에서 구출된 영국을 자주 제시하며, 지도자인 올리버 크롬웰을 후기 모세로 보여준다. These views were bound up in Protestant views of the Millennium, which some sects, such as the Fifth Monarchists predicted would arrive in England.이러한 견해는 제5군주교도와 같은 일부 종파가 영국에 도착할 것으로 예측한 밀레니엄에 대한 개신교적 견해에 얽매여 있었다. Milton, however, would later criticise the "worldly" millenarian views of these and others, and expressed orthodox ideas on the prophecy of the Four Empires.[88]그러나 밀턴은 나중에 이것들과 다른 것들에 대한 "세계적인" 밀레나리아적 관점을 비판하고, 사대제국의 예언에 대한 정통 사상을 표현했다.[88]

The Restoration of the Stuart monarchy in 1660 began a new phase in Milton's work.1660년 스튜어트 왕정 복원은 밀턴의 작품에 새로운 국면을 시작했다. In Paradise Lost, Paradise Regained and Samson Agonistes, Milton mourns the end of the godly Commonwealth.밀턴은 파라다이스 로스트, 파라다이스 리턴트, 샘슨 애제스트에서 신성한 영연방의 종말을 애도한다. The Garden of Eden may allegorically reflect Milton's view of England's recent Fall from Grace, while Samson's blindness and captivity—mirroring Milton's own lost sight—may be a metaphor for England's blind acceptance of Charles II as king.에덴 동산은 잉글랜드의 최근 '그레이스로부터 추락'에 대한 밀턴의 견해를 우화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반면, 밀턴의 실명과 감금, 즉 밀턴의 실명을 거울삼아 영국이 찰스 2세를 왕으로 맹목적으로 받아들인 것을 비유한 것일 수도 있다. Illustrated by Paradise Lost is mortalism, the belief that the soul lies dormant after the body dies.[89]파라다이스 로스트(Paradise Lost)가 묘사하는 박격주의(Mortalism)는 영혼이 육체가 죽은 후 휴면 상태에 있다는 믿음이다.[89]

Despite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 Milton did not lose his personal faith; Samson shows how the loss of national salvation did not necessarily preclude the salvation of the individual, while Paradise Regained expresses Milton's continuing belief in the promise of Christian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왕정복구에도 불구하고 밀턴은 개인적인 믿음을 잃지 않았다; 삼손은 어떻게 민족구원의 상실이 개인의 구원을 반드시 배제하지 않았는지, 파라다이스 리턴트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기독교 구원의 약속에 대한 밀턴의 지속적인 믿음을 표현하고 있다.

Though he maintained his personal faith in spite of the defeats suffered by his cause, the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recounted how he had been alienated from the Church of England by Archbishop William Laud, and then moved similarly from the Dissenters by their denunciation of religious tolerance in England.비록 명분에 의해 당한 패배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신앙을 유지했지만, 국립 전기 사전은 그가 어떻게 윌리엄 라우드 대주교에 의해 영국 교회로부터 소외되어 왔는지를 다시 한번 설명했고, 영국에서의 종교적 관용을 폄하함으로써 반대파로부터 유사하게 이동했다.

Milton had come to stand apart from all sects, though apparently finding the Quakers most congenial.밀턴은 분명히 퀘이커들이 가장 잘 어울리다고 생각했지만, 모든 종파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 He never went to any religious services in his later years.그는 만년에 어떤 종교 예배에도 가지 않았다. When a servant brought back accounts of sermons from nonconformist meetings, Milton became so sarcastic that the man at last gave up his place.하인이 부적격자 모임에서 설교에 대한 설명을 가지고 돌아오자, 밀턴은 비아냥거려 마침내 그 남자가 자리를 양보했다.

Writing of the enigmatic and often conflicting views of Milton in the Puritan age, David Daiches wrote convincingly,청교도 시대에 밀턴에 대한 수수께끼 같은, 그리고 종종 모순되는 견해를 쓴 데이비드 데이체스는 설득력 있게 썼다.

"Christian and Humanist, Protestant, patriot and heir of the golden ages of Greece and Rome, he faced what appeared to him to be the birth-pangs of a new and regenerate England with high excitement and idealistic optimism.”[61]"기독교와 휴머니스트, 개신교, 애국자, 그리스와 로마의 황금시대의 후계자로 보이는 것을 그는 높은 흥분과 이상주의적 낙관주의로 새로운 영국을 재생시키는 새로운 왕국으로 보이는 것에 직면했다."[61]

A fair theological summary may be: that John Milton was a Puritan, though his tendency to press further for liberty of conscience, sometimes out of conviction and often out of mere intellectual curiosity, made the great man, at least, a vital if not uncomfortable ally in the broader Puritan movement.[63][78]공정한 신학적 요약은 다음과 같다: 존 밀턴은 청교도였지만, 때로는 확신에서 벗어나고 종종 단순한 지적 호기심에서 양심의 자유를 더 압박하는 그의 경향은 적어도 그 위인을 더 넓은 청교도 운동에서 불편하지는 않더라도 중요한 동맹자로 만들었다.[63][78]

Religious toleration종교적 관용[[edit편집하다]]

Milton called in the Areopagitica for "the liberty to know, to utter, and to argue freely according to conscience, above all liberties" to the conflicting Protestant denominations.[90]밀턴은 충돌하는 개신교 종파에 대해 아레오파기티카를 불러 "무엇보다 양심에 따라 알 자유, 말할 자유, 자유롭게 논쟁할 자유"를 요구했다.[90] According to American historian William Hunter, "Milton argued for disestablishment as the only effective way of achieving broad toleration.미국 역사학자 윌리엄 헌터에 따르면 밀턴은 광범위한 관용을 실현하는 유일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립을 주장했다고 한다. Rather than force a man's conscience, government should recognise the persuasive force of the gospel."[91] 사람의 양심을 강요하기보다는 정부가 복음의 설득력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91]

Divorce이혼[[edit편집하다]]

Milton wrote The Doctrine and Discipline of Divorce in 1643, at the beginning of the English Civil War.밀턴은 1643년 영국 남북전쟁 초기에 이혼의 교리와 규율을 썼다. In August of that year, he presented his thoughts to the Westminster Assembly of Divines, which had been created by the Long Parliament to bring greater reform to the Church of England.그 해 8월, 그는 영국 교회에 더 큰 개혁을 가져오기 위해 긴 의회가 만든 디바인 웨스트민스터 의회에 자신의 생각을 발표했다. The Assembly convened on 1 July against the will of King Charles I.의회는 찰스 1세의 의사에 반하여 7월 1일에 소집되었다.

Milton's thinking on divorce caused him considerable trouble with the authorities.밀튼은 이혼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당국과 상당한 갈등을 빚었다. An orthodox Presbyterian view of the time was that Milton's views on divorce constituted a one-man heresy: 당시 장로교에서는 밀턴의 이혼에 대한 관점이 1인 이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The fervently Presbyterian Edwards had included Milton's divorce tracts in his list in Gangraena of heretical publications that threatened the religious and moral fabric of the nation; Milton responded by mocking him as "shallow Edwards" in the satirical sonnet "On the New Forcers of Conscience under the Long Parliament", usually dated to the latte열렬한 장로교 에드워즈는 국가의 종교적, 도덕적 구조를 위협하는 이단적 출판물의 갱라이나에 밀턴의 이혼소송을 포함시켰고 밀튼은 보통 라떼에 나오는 풍자 소네트 "오뉴 포서즈 오브 더 양심의회"에서 밀턴을 "허울한 에드워즈"라고 조롱하며 응수했다.r half of 1646.[92]1646년의 절반.[92]

Even here, though, his originality is qualified:그러나 여기서도 그의 독창성은 다음과 같은 자격이 있다. Thomas Gataker had already identified "mutual solace" as a principal goal in marriage.[93]토마스 가타커는 이미 결혼의 주요 목표로서 "상호간의 위안"을 식별했다.[93] Milton abandoned his campaign to legitimise divorce after 1645, but he expressed support for polygamy in the De Doctrina Christiana, the theological treatise that provides the clearest evidence for his views.[94]밀턴은 1645년 이후 이혼 합법화 운동을 포기했지만, 자신의 견해에 대한 가장 명확한 증거를 제공하는 신학 논문인 '데 교조리나 크리스찬라'에서 일부다처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94]

Milton wrote during a period when thoughts about divorce were anything but simplistic; rather, there was active debate among thinkers and intellectuals at the time.밀턴은 이혼에 대한 생각이 단순한 것에 지나지 않는 시기에 글을 썼다. 오히려, 당시 사상가와 지식인들 사이에 활발한 논쟁이 있었다. However, Milton's basic approval of divorce within strict parameters set by the biblical witness was typical of many influential Christian intellectuals, particularly the Westminster divines.그러나 성서 목격자가 정한 엄격한 매개 변수 안에서 밀턴이 이혼을 기본적으로 승인한 것은 많은 영향력 있는 기독교 지식인들, 특히 웨스트민스터 점쟁이들의 전형이었다. Milton addressed the Assembly on the matter of divorce in August 1643,[95] at a moment when the Assembly was beginning to form its opinion on the matter.밀턴은 1643년 8월,[95] 국회가 그 문제에 대한 의견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국회에 이혼 문제에 대해 연설했다. In the Doctrine & Discipline of Divorce, Milton argued that divorce was a private matter, not a legal or ecclesiastical one.밀턴은 '이혼의 교리와 규율'에서 이혼은 법률이나 교회가 아닌 사적인 문제라고 주장했다. Neither the Assembly nor Parliament condemned Milton or his ideas.의회도 의회도 밀턴이나 그의 생각을 비난하지 않았다. In fact, when the Westminster Assembly wrote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y allowed for divorce ('Of Marriage and Divorce,' Chapter 24, Section 5) in cases of infidelity or abandonment.실제로 웨스트민스터 의회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작성할 때 그들은 불륜이나 포기의 경우 이혼을 허용했다('결혼과 이혼' 24장 5절). Thus, the Christian community, at least a majority within the 'Puritan' sub-set, approved of Milton's views.따라서 기독교계는 적어도 '푸리탄' 하위집합 내에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여 밀턴의 견해를 승인하였다.

Nevertheless, reaction among Puritans to Milton's views on divorce was mixed.그럼에도 불구하고 밀턴의 이혼에 대한 견해에 대한 청교도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Herbert Palmer, a member of the Westminster Assembly, condemned Milton in the strongest possible language:웨스트민스터 의회 의원인 허버트 팔머는 가능한 가장 강력한 언어로 밀턴을 비난했다.

If any plead Conscience ...양심의 가책을 받는다면... for divorce for other causes than Christ and His Apostles mention; Of which a wicked booke is abroad and uncensured, though deserving to be burnt, whose Author, hath been so impudent as to set his Name to it, and dedicate it to your selves ... will you grant a Toleration for all this?그리스도와 그의 사도들이 말하는 것 이외의 다른 이유로 이혼을 할 수 있다. 그 중 악한 야유는 타버릴 만하지만, 그 야유에 대한 처벌이 없다. 그의 저자는 너무나 뻔뻔스러워서, 그의 이름을 거기에 붙여서, 그 이름을 당신 자신에게 바쳤다. 이 모든 일에 대해 너는 관용을 베풀 것인가?

— The Glasse of God's Providence Towards His Faithfull Ones, 1644, p. 54.[96]— The Glasse of God's Providence Towards His Faithfull Ones, 1644, p. 54.[96]

Palmer expressed his disapproval in a sermon addressed to the Westminster Assembly.파머는 웨스트민스터 의회에서 연설한 설교에서 그의 반대를 표명했다. The Scottish commissioner Robert Baillie described Palmer's sermon as one "of the most Scottish and free sermons that ever I heard any where."[97]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벨리 청장은 팔머의 설교를 "내가 어디서 들어본 가장 스코틀랜드적이고 자유로운 설교 중 하나"[97]라고 묘사했다.

History역사[[edit편집하다]]

History wa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political class of the period, and Lewalski considers that Milton "more than most illustrates" a remark of Thomas Hobbes on the weight placed at the time on the classical Latin historical writers Tacitus, Livy, Sallust and Cicero, and their republican attitudes.[98]역사는 그 시대의 정치계급에게 특히 중요했고, 르왈스키는 밀턴이 당시 라틴의 고전적인 역사작가 타키투스, 리비, 살루스트, 키케로에 놓여 있던 무게와 그들의 공화주의적 태도에 대해 토머스 홉스의 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여긴다.[98] Milton himself wrote that "Worthy deeds are not often destitute of worthy relaters", in Book II of his History of Britain.밀턴 자신도 그의 영국사 제2권에 "가치 있는 행동은 가치 있는 토론자들이 종종 부족하지 않다"고 썼다. A sense of history mattered greatly to him:[99] 그에게 역사의식은 크게 중요했다.[99]

The course of human history, the immediate impact of the civil disorders, and his own traumatic personal life, are all regarded by Milton as typical of the predicament he describes as "the misery that has bin since Adam".[100]밀턴은 인간 역사의 과정, 시민 장애의 즉각적인 영향, 그리고 자신의 외상적 사생활까지 모두 그가 "아담 이후 빈털터리가 된 비참함"이라고 묘사한 곤경의 전형으로 간주하고 있다.[100]

Legacy and influence유산 및 영향[[edit편집하다]]

Once Paradise Lost was published, Milton's stature as epic poet was immediately recognised.일단 파라다이스 로스트가 출판되자, 밀턴의 서사시로서의 위상은 즉시 인정되었다. He cast a formidable shadow over English poetr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he was often judged equal or superior to all other English poets, including Shakespeare.그는 18세기와 19세기에 영국 시에 가공할 그림자를 드리웠다; 그는 종종 셰익스피어를 포함한 다른 모든 영국 시인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하다고 평가받았다. Very early on, though, he was championed by Whigs, and decried by Tories: with the regicide Edmund Ludlow he was claimed as an early Whig,[101] while the High Tory Anglican minister Luke Milbourne lumped Milton in with other "Agents of Darkness" such as John Knox, George Buchanan, Richard Baxter, Algernon Sidney and John Locke.[102]Very early on, though, he was championed by Whigs, and decried by Tories: with the regicide Edmund Ludlow he was claimed as an early Whig,[101] while the High Tory Anglican minister Luke Milbourne lumped Milton in with other "Agents of Darkness" such as John Knox, George Buchanan, Richard Baxter, Algernon Sidney and John Locke.[102] The political ideas of Milton, Locke, Sidney, and James Harrington strongly influenced the Radical Whigs, whose ideology in turn was central to the American Revolution.[103]밀턴, 로크, 시드니, 제임스 해링턴의 정치 사상은 미국 혁명의 중심이었던 급진적인 휘그족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103] Modern scholars of Milton's life, politics, and work are known as Miltonists:밀턴의 생활, 정치, 일에 대한 현대 학자들은 밀턴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his work is the subject of a very large amount of academic scholarship".[104]"그의 작품은 매우 많은 양의 학문적 장학금의 대상이다."[104]

In 2008, John Milton Passage, a short passage by Bread Street into St Mary-le-Bow Churchyard in London, was unveiled.[105]2008년, 브레드 스트리트가 런던의 세인트 메리 르 보우 교회 마당으로 들어가는 짧은 통로인 존 밀턴 패스가 공개되었다.[105]

Early reception of the poetry시의 조기 수신[[edit편집하다]]

 
Title page of a 1752–1761 edition of "The Poetical Works of John Milton with Notes of Various Authors by Thomas Newton" printed by J. & R. Tonson in the Strand스트랜드의 J. & R. 톤톤이 인쇄한 1752-1761년판 "토머스 뉴턴의 다양한 저자의 노트와 함께 한 존 밀턴의 시적 작품"의 제목 페이지

John Dryden, an early enthusiast, in 1677 began the trend of describing Milton as the poet of the sublime.[106]초기 열성가였던 존 드라이든은 1677년에 밀턴을 숭고한 시인으로 묘사하는 추세를 시작했다.[106] Dryden's The State of Innocence and the Fall of Man: an Opera (1677) is evidence of an immediate cultural influence.드라이든의 <순수의 상태>와 <인간의 몰락: 오페라>(1677)는 즉각적인 문화적 영향의 증거다. In 1695, Patrick Hume became the first editor of Paradise Lost, providing an extensive apparatus of annotation and commentary, particularly chasing down allusions.[107]1695년, 패트릭 흄은 주석과 논평의 광범위한 기구를 제공하며 특히 암시를 쫓는 파라다이스 로스트의 초대 편집자가 되었다.[107]

In 1732, the classical scholar Richard Bentley offered a corrected version of Paradise Lost.[108]1732년, 고전학자 리처드 벤틀리파라다이스 로스트의 수정본을 제공했다.[108] Bentley was considered presumptuous, and was attacked in the following year by Zachary Pearce.벤틀리는 주제넘은 것으로 여겨졌고, 이듬해 자커리 피어스의 공격을 받았다. Christopher Ricks judges that, as critic, Bentley was both acute and wrong-headed, and "incorrigibly eccentric"; William Empson also finds Pearce to be more sympathetic to Bentley's underlying line of thought than is warranted.[109][110]크리스토퍼 릭스는 비평가로서 벤틀리가 예리하면서도 머리가 나쁘고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괴짜"라고 판단한다; 윌리엄 엡손은 또한 피어스가 벤틀리의 근본적인 사고방식에 대해 보증된 것보다 더 공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109][110]

There was an early, partial translation of Paradise Lost into German by Theodore Haak, and based on that a standard verse translation by Ernest Gottlieb von Berge.테오도르 하크에 의해 독일어로 잃어버린 파라다이스의 초기 부분 번역이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에르네스트 고틀리브 폰 베르게의 표준시 번역이 있었다. A subsequent prose translation by Johann Jakob Bodmer was very popular; it influenced Friedrich Gottlieb Klopstock.Johann Jakob Bodmer의 후속 산문 번역은 매우 인기가 있었다; 그것은 Friedrich Gottlieb Clopstock에게 영향을 주었다. The German-language Milton tradition returned to England in the person of the artist Henry Fuseli.독일어로 된 밀턴 전통은 예술가인 헨리 퓨슬리의 모습으로 영국으로 돌아왔다.

Many Enlightenment thinkers of the 18th century revered and commented on Milton's poetry and non-poetical works.18세기의 많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밀턴의 시와 비시적 작품에 대해 존경하고 논평했다. In addition to John Dryden, among them were Alexander Pope, Joseph Addison, Thomas Newton, and Samuel Johnson.존 드라이든 외에도 알렉산더 포프, 조셉 애디슨, 토마스 뉴턴, 사무엘 존슨 등이 그 중 한 명이었다. For example, in The Spectator,[111] Joseph Addison wrote extensive notes,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certain passages of Paradise Lost.예를 들어, The Spectator에서,[111] Joseph Addison은 파라다이스 로스트의 특정 구절에 대한 광범위한 주석과 주석, 그리고 해석을 썼다. Jonathan Richardson, senior, and Jonathan Richardson, the younger, co-wrote a book of criticism.[112]선배인 조나단 리처드슨과 후배인 조나단 리처드슨이 함께 비판의 책을 썼다.[112] In 1749, Thomas Newton published an extensive edition of Milton's poetical works with annotations provided by himself, Dryden, Pope, Addison, the Richardsons (father and son) and others.1749년, 토마스 뉴턴은 직접 제공한 주석을 가지고 밀턴의 시적 저작의 광범위한 판을 발표하였다. Newton's edition of Milton was a culmination of the honour bestowed upon Milton by early Enlightenment thinkers; it may also have been prompted by Richard Bentley's infamous edition, described above.뉴턴의 밀턴 에디션은 초기 계몽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밀턴에게 수여된 영예의 절정이었다; 그것은 또한 위에 기술된 리차드 벤틀리의 악명 높은 에디션에 의해 촉발되었을지도 모른다. Samuel Johnson wrote numerous essays on Paradise Lost, and Milton was included in his Lives of the Most Eminent English Poets (1779–1781).새뮤얼 존슨은 파라다이스 로스트에 대해 수많은 에세이를 썼고, 밀턴은 그의 '가장 저명한 영국 시인의 삶' (1779–1781)에 포함되었다. In The Age of Louis XIV, Voltaire said "Milton remains the glory and the wonder (l'admiration) of England."[113] 볼테르는 '루이스 14세 시대'에서 "밀턴은 영국의 영광과 경이로움(찬양)으로 남아 있다"[113]고 말했다.

Blake블레이크[[edit편집하다]]

William Blake considered Milton the major English poet.윌리엄 블레이크는 밀턴을 영국의 주요 시인이라고 생각했다. Blake placed Edmund Spenser as Milton's precursor, and saw himself as Milton's poetical son.[114]블레이크는 에드먼드 스펜서를 밀턴의 선구자로 앉히고, 자신을 밀턴의 시적 아들로 보았다.[114] In his Milton: A Poem in Two Books, Blake uses Milton as a character.그의 밀턴: 에서 블레이크는 밀턴을 등장인물로 사용한다.

Romantic theory낭만론[[edit편집하다]]

Edmund Burke was a theorist of the sublime, and he regarded Milton's description of Hell as exemplary of sublimity as an aesthetic concept.에드먼드 버크숭고함의 이론가였고, 그는 밀턴의 헬에 대한 묘사를 미적 개념으로 승화의 모범으로 여겼다. For Burke, it was to set alongside mountain-tops, a storm at sea, and infinity.[115]버크에게는 산꼭대기, 바다 위의 폭풍, 무한대와 나란히 서는 것이었다.[115] In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he wrote: "No person seems better to have understood the secret of heightening, or of setting terrible things, if I may use the expression, in their strongest light, by the force of a judicious obscurity than Milton."[116] 그는 <아름다운 미녀>와 <수블라임>에서 "내가 밀턴보다 현명한 무명의 힘으로, 그들의 가장 강한 빛으로, 그 표현을 쓴다면, 키 높이기의 비밀, 또는 끔찍한 일을 설정하는 비밀을 이해한 사람은 없는 것 같다"[116]고 썼다.

The Romantic poets valued his exploration of blank verse, but for the most part rejected his religiosity.낭만주의 시인들은 그의 백시 탐구를 중시했지만, 대부분은 그의 종교성을 거부했다. William Wordsworth began his sonnet "London, 1802" with "Milton! thou should'st be living at this hour"[117] and modelled The Prelude, his own blank verse epic, on Paradise Lost.윌리엄 워즈워스는 그의 소네트 "런던, 1802년"을 "밀튼! 너는 이 시간에 살아야 한다"[117]로 시작했으며 파라다이스 로스트에서 자신의 빈 구절 서사시인 "더 프루트"를 모델링 했다. John Keats found the yoke of Milton's style uncongenial;[118] he exclaimed that "Miltonic verse cannot be written but in an artful or rather artist's humour."[119] Keats felt that Paradise Lost was a "beautiful and grand curiosity", but his own unfinished attempt at epic poetry, Hyperion, was unsatisfactory to the author because, amongst other things, it ha[118]그는 "Miltonic 시를 쓸 수 없지만에 있는 또는 오히려 교묘한 예술가의 유머가 소리 쳤다 존 키츠, 밀턴의 스타일 마음에 안 드는의 멍에를 발견했다.과 웅장한 curiosity"었지만 다른 무엇보다도 먼저, ha 서사 시에서 자기의 미완성,'하이페 이언'이라는 저자에 불만족스러워"[119]키츠는 실낙원은 느꼈습니다."beautiful.d too many "Miltonic inversions".[119]miltonic inversion이 너무 많다.[119] In The Madwoman in the Attic, Sandra Gilbert and Susan Gubar note that Mary Shelley's novel Frankenstein is, in the view of many critics, "one of the key 'Romantic' readings of Paradise Lost."[120] 산드라 길버트수잔 구황은 '다락방매드우먼'에서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이 많은 비평가들의 관점에서 "낙원 로스트의 핵심 '로맨틱' 읽기의 하나"라고 언급한다.[120]

Later legacy후기 레거시[[edit편집하다]]

The Victorian age witnessed a continuation of Milton's influence, George Eliot[121] and Thomas Hardy being particularly inspired by Milton's poetry and biography.빅토리아 시대는 밀턴의 영향력의 연속, 조지 엘리엇[121] 토마스 하디가 밀턴의 시와 전기에서 특히 영감을 받는 것을 목격했다. Hostile 20th-century criticism by T. S. Eliot and Ezra Pound did not reduce Milton's stature.[122]T. S. 엘리엇에즈라 파운드의 적대적인 20세기 비판은 밀턴의 위상을 떨어뜨리지 않았다.[122] F. R. Leavis, in The Common Pursuit, responded to the points made by Eliot, in particular the claim that "the study of Milton could be of no help: it was only a hindrance", by arguing, "As if it were a matter of deciding not to study Milton!《공통추구》에서 F. R. 레비스는 엘리엇이 지적한 요점, 특히 '밀턴에 대한 연구는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다: 그것은 방해에 불과했다'는 주장에 대해 "밀턴에 대한 연구는 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문제인 것처럼! The problem, rather, was to escape from an influence that was so difficult to escape from because it was unrecognized, belonging, as it did, to the climate of the habitual and 'natural'."[123]문제는 오히려 인식되지 않고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탈피하기 어려운 영향에서 습관적이고 '자연적인' 풍토까지 탈출하는 것이었다."[123] Harold Bloom, in The Anxiety of Influence, wrote that "Milton is the central problem in any theory and history of poetic influence in English [...]".[124] <영향불안>에 나오는 해롤드 블룸은 "밀턴은 영어로 된 시적 영향력의 어떤 이론과 역사에서도 중심적인 문제"라고 썼다.[124]

Milton's Areopagitica is still cited as relevant to the First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125]밀턴의 아레오파기티카여전히 미국 헌법 수정 제1조와 관련된 것으로 인용되고 있다.[125] A quotation from Areopagitica—"A good book is the precious lifeblood of a master spirit, embalmed and treasured up on purpose to a life beyond life"—is displayed in many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New York Public Library.아레오파기티카(Areopagitica)의 인용문—"좋은 책은 삶을 초월한 삶으로 일부러 방부되고 소중히 간직된 주인 정신의 소중한 생명선"이라고 뉴욕 공공도서관을 비롯한 많은 공공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

The title of Philip Pullman's His Dark Materials trilogy is derived from a quotation, "His dark materials to create more worlds", line 915 of Book II in Paradise Lost.필립 풀먼의 'His Dark Materials' 3부작의 제목은 파라다이스 로스트에 있는 책 2의 915행인 "더 많은 세계를 창조하기 위한 그의 어두운 재료"라는 인용구에서 유래되었다. Pullman was concerned to produce a version of Milton's poem accessible to teenagers,[126] and has spoken of Milton as "our greatest public poet".[127]풀먼은 10대들이 접근할 수 있는 밀턴 시의 버전을 제작하는 것을 우려했고,[126] 밀턴을 "우리의 위대한 공공 시인"[127]이라고 말해왔다.

Titles of a number of other well-known literary works are also derived from Milton's writings.다른 유명한 문학 작품들의 제목도 밀턴의 글에서 따온 것이다. Examples include Thomas Wolfe's Look Homeward, Angel, Aldous Huxley's Eyeless in Gaza, Arthur Koestler's Darkness at Noon, and William Golding's Darkness Visible.[128]토마스 울프집, 천사, 가자 지구알두스 헉슬리아이리스, 노우아서 쾰러의 어둠, 윌리엄 골딩어둠 비주얼 등이 그 예다.[128]

T. S. Eliot believed that "of no other poet is it so difficult to consider the poetry simply as poetry, without our theological and political dispositions...T. S. 엘리엇은 "다른 시인들 중에서 우리의 신학적, 정치적 성향 없이 단순히 시를 시로 간주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 믿었다. making unlawful entry".[129]불법 입국"[129]

Literary legacy문학적 유산[[edit편집하다]]

 
Milton is commemorated in the temple of British Worthies, Stowe, Buckinghamshire밀턴은 버킹햄셔 스토우, 브리티시 워디스의 신전에서 기념된다.

Milton's use of blank verse, in addition to his stylistic innovations (such as grandiloquence of voice and vision, peculiar diction and phraseology) influenced later poets.밀턴이 그의 양식적 혁신(목성과 시각의 웅장함, 독특한 어법 및 어법 등) 외에 빈를 사용한 것은 후대 시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At the time, poetic blank verse was considered distinct from its use in verse drama, and Paradise Lost was taken as a unique examplar.[130]당시 시적 빈 시는 시극에서 사용하는 것과 구별되는 것으로 여겨졌고, 파라다이스 로스트(Paradise Lost)는 독특한 시험장으로 받아들여졌다.[130] Said Isaac Watts in 1734, "Mr. Milton is esteemed the parent and author of blank verse among us".[131]1734년 아이작 와츠가 말했다. "밀턴 씨는 우리 사이에서 빈 구절의 부모이자 저자로 존경받고 있다."[131] "Miltonic verse" might be synonymous for a century with blank verse as poetry, a new poetic terrain independent from both the drama and the heroic couplet.'밀토닉 시'는 드라마와 영웅적인 쿠펠레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시적 지형인 시로서 빈 구절을 가진 한 세기의 동의어일 수 있다.

Lack of rhyme was sometimes taken as Milton's defining innovation.운율의 부족은 때때로 밀턴이 정의하는 혁신으로 받아들여졌다. He himself considered the rhymeless quality of Paradise Lost to be an extension of his own personal liberty: 그 자신은 운율 없는 천국 로스트의 질을 자신의 개인적 자유의 연장선으로 여겼다.

This neglect then of Rhime ...Rhime의 이 방치는... is to be esteem'd an example set, the first in English, of ancient liberty recover'd to heroic Poem from the troublesom and modern bondage of Rimeing.[132]영어로는 처음으로 리밍의 문제점과 현대적 속박에서 영웅적인 시로 자유를 되찾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132]

This pursuit of freedom was largely a reaction against conservative values entrenched within the rigid heroic couplet.[133]이러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은 경직된 영웅적 쿠데타 안에 고착된 보수적 가치에 대한 반작용이었다.[133] Within a dominant culture that stressed elegance and finish, he granted primacy to freedom, breadth and imaginative suggestiveness, eventually developed into the romantic vision of sublime terror.우아함과 마무리를 강조하는 지배적인 문화 속에서 그는 자유, 넓음, 상상력이 풍부한 시사성에 우매함을 부여했고 결국 숭고한 공포의 낭만적 비전으로 발전했다. Reaction to Milton's poetic worldview included, grudgingly, acknowledgement that of poet's resemblance to classical writers (Greek and Roman poetry being unrhymed).밀턴의 시적 세계관에 대한 반응은 마지못해 시인이 고전 작가들과 닮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을 포함했다. Blank verse came to be a recognised medium for religious works and for translations of the classics.빈 시는 종교 작품과 고전의 번역에 있어서 인정된 매개체가 되었다. Unrhymed lyrics like Collins' Ode to Evening (in the meter of Milton's translation of Horace's Ode to Pyrrha) were not uncommon after 1740.[134]콜린스의 <오데 이브닝>(밀턴의 <호레이스>의 <오데 투 피라> 번역의 미터에서)와 같은 비휘발성 가사는 1740년 이후로는 드물지 않았다.[134]

A second aspect of Milton's blank verse was the use of unconventional rhythm: 밀턴의 빈 구절의 두 번째 측면은 파격적인 리듬의 사용이었다.

His blank-verse paragraph, and his audacious and victorious attempt to combine blank and rhymed verse with paragraphic effect in Lycidas, lay down indestructible models and patterns of English verse-rhythm, as distinguished from the narrower and more strait-laced forms of English metre.[135]그의 백과십절 단락, 그리고 리키다스에서 빈 구절과 운을 맞춘 그의 대담하고 승리한 시도는 더 좁고 더 좁은 형태의 영어 미터와 구별되는 영어 시 리듬의 파괴할 수 없는 모델과 패턴을 내려놓았다.[135]

Before Milton, "the sense of regular rhythm ...밀턴 이전에, "정규적인 리듬의 감각... had been knocked into the English head so securely that it was part of their nature".[136]영국인의 머리에 너무 안전하게 박혀버려서 그들의 본성의 일부였다."[136] The "Heroick measure", according to Samuel Johnson, "is pure ...사무엘 존슨의 말에 따르면 "영웅적 조치"는 "순수하다... when the accent rests upon every second syllable through the whole line ...악센트가 모든 2음절에 있을 때... The repetition of this sound or percussion at equal times, is the most complete harmony of which a single verse is capable".[137]이 소리나 타악기를 같은 시간에 반복하는 것은 하나의 운문이 가능한 가장 완전한 조화다."[137] Caesural pauses, most agreed, were best placed at the middle and the end of the line.대부분 동의한 세수랄 멈춤은 줄의 중간과 끝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In order to support this symmetry, lines were most often octo- or deca-syllabic, with no enjambed endings.이 대칭을 지지하기 위해 선은 대부분 옥토 또는 데카 음절이며, 이 있는 끝부분이 없었다. To this schema Milton introduced modifications, which included hypermetrical syllables (trisyllabic feet), inversion or slighting of stresses, and the shifting of pauses to all parts of the line.[138]이 스키마에 밀턴은 초계수 음절(트리실라브 ), 반전 또는 경미한 스트레스의 변화, 정지선의 모든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정을 도입했다.[138] Milton deemed these features to be reflective of "the transcendental union of order and freedom".[139]밀턴은 이러한 특징들이 "질서와 자유의 초월적 결합"[139]을 반영한다고 생각했다. Admirers remained hesitant to adopt such departures from traditional metrical schemes: "The English ...찬미자들은 전통적인 계략으로부터 그러한 일탈을 받아들이기를 주저했다: "영어는... had been writing separate lines for so long that they could not rid themselves of the habit".[140]그들은 그 습관을 버릴 수 없을 정도로 오랫동안 별개의 글을 쓰고 있었다.[140] Isaac Watts preferred his lines distinct from each other, as did Oliver Goldsmith, Henry Pemberton, and Scott of Amwell, whose general opinion it was that Milton's frequent omission of the initial unaccented foot was "displeasing to a nice ear".[141]이삭 왓츠는 올리버 골드스미스, 헨리 펨버튼, 그리고 암웰의 스콧처럼 서로 구별되는 자신의 대사를 선호했는데, 그의 일반적인 의견은 밀턴이 처음 발에 오르지도 않은 발을 자주 빠뜨리는 것이 "귀가 좋지 않은" 것이었음을 말해 주었다.[141] It was not until the late 18th century that poets (beginning with Gray) began to appreciate "the composition of Milton's harmony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시인(그레이와 함께 시작)이 "밀턴의 조화의 구성 ..."을 감상하기 시작했다. how he loved to vary his pauses, his measures, and his feet, which gives that enchanting air of freedom and wilderness to his versification".[142]그가 어떻게 멈춤과 척도와 발을 변화시키기를 좋아했는지, 그것은 그의 다양화에 자유와 황야의 매혹적인 분위기를 준다."[142] By the 20th century, American poet and critic John Hollander would go so far as to say that Milton "was able, by plying that most remarkable instrument of English meter ... to invent a new mode of image-making in English poetry."[143] 20세기까지 미국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존 홀랜더는 밀턴이 "영어 시에서 새로운 이미지 제작 방식을 발명하기 위해 영국 미터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악기를 두드려 볼 수 있었다"[143]고 말할 정도였다.

Milton's pursuit of liberty extended into his vocabulary as well.밀턴의 자유 추구는 그의 어휘로도 확장되었다. It included many Latinate neologisms, as well as obsolete words already dropped from popular usage so completely that their meanings were no longer understood.그것은 많은 라티네이트 신조어뿐만 아니라 이미 대중적인 사용에서 완전히 떨어져서 그 의미가 더 이상 이해되지 않는 구식 단어들도 포함했다. In 1740, Francis Peck identified some examples of Milton's "old" words (now popular).[144]1740년 프란시스 펙은 밀턴의 "오래된" 단어의 몇 가지 예를 확인했다(현재 유행하고 있다).[144] The "Miltonian dialect", as it was called, was emulated by later poets; Pope used the diction of Paradise Lost in his Homer translation, while the lyric poetry of Gray and Collins was frequently criticised for their use of "obsolete words out of Spenser and Milton".[145]'밀턴어 방언'은 후기 시인에 의해 모방되었다; 교황은 호머 번역에서 파라다이스 로스트의 어법을 사용했고, 그레이와 콜린스의 서정시는 "스펜서와 밀턴어 중에서 거친 단어"[145]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자주 비판을 받았다. The language of Thomson's finest poems (e.g.톰슨의 가장 훌륭한 시의 언어(예: The Seasons, The Castle of Indolence) was self-consciously modelled after the Miltonian dialect, with the same tone and sensibilities as Paradise Lost.<계절>, <인돌렌스의 성>)은 밀턴 사투리를 본떠 자명하게 모델링한 것으로, 파라다이스 로스트와 같은 음색과 감성을 지니고 있었다. Following to Milton, English poetry from Pope to John Keats exhibited a steadily increasing attention to the connotative, the imaginative and poetic, value of words.[146]밀턴에 이어 교황에서 존 키츠에 이르는 영시(英詩)[146]는 말의 함축성, 상상력과 시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Musical settings음악 설정[[edit편집하다]]

Milton's ode At a solemn Musick was set for choir and orchestra as Blest Pair of Sirens by Hubert Parry (1848–1918), and Milton's poem On the Morning of Christ's Nativity was set as a large-scale choral work by Cyril Rootham (1875–1938).밀턴의 오데 어어 엄숙한 뮤식(Musick)은 휴버트 패리의 '블레스 페어 오브 사이렌즈'(1848–1918), 밀턴의 시 ' 더 모닝 오브 크라이스트'(1875–1938)는 시릴 로담(1875–1938)의 대규모 합창 작품으로 정해졌다. Milton also wrote the hymn Let us with a gladsome mind, a versification of Psalm 136.밀튼은 또한 찬송가 렛츠를 시편 136의 판화인 기쁜 마음으로 썼다. His 'L'Allegro' and 'Il Penseroso', with additional material, were magnificently set by Handel (1740).그의 '알레그로'와 '일펜세로스오'는 추가 재료가 들어간 헨델(1740)이 화려하게 세팅했다.

Works작동하다[[edit편집하다]]

 
This section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이 섹션은 검증 위해 추가 인용구가 필요하다.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인용문을 추가하여 이 기사를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April 2017)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비소싱 소재에 이의를 제기하여 제거할 수 있음(2017년 4월) (이 템플릿 메시지 제거 방법시기 학습)

Poetry and drama시와 드라마[[edit편집하다]]

Prose산문[[edit편집하다]]

Notes메모들[[edit편집하다]]

.mw-parser-output .reflist{font-size:90%;margin-bottom:0.5em;list-style-type:decimal}.mw-parser-output .reflist .references{font-size:100%;margin-bottom:0;list-style-type:inherit}.mw-parser-output .reflist-columns-2{column-width:30em}.mw-parser-output .reflist-columns-3{column-width:25em}.mw-parser-output .reflist-columns{margin-top:0.3em}.mw-parser-output .reflist-columns ol{margin-top:0}.mw-parser-output .reflist-columns li{page-break-inside:avoid;break-inside:avoid-column}.mw-parser-output .reflist-upper-alpha{list-style-type:upper-alpha}.mw-parser-output .reflist-upper-roman{list-style-type:upper-roman}.mw-parser-output .reflist-lower-alpha{list-style-type:lower-alpha}.mw-parser-output .reflist-lower-greek{list-style-type:lower-greek}.mw-parser-output .reflist-lower-roman{list-style-type:lower-roman}

  1. ^^ "When I consider how my light is spent" is one of the best known of Milton's sonnets."내 빛이 어떻게 소비되는지를 고려할 때"는 밀턴의 소네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하나이다. The last three lines (concluding with "They also serve who only stand and wait") are particularly well known, though rarely in context.마지막 세 줄("서서 기다리는 사람만을 섬긴다"와 결탁한)은 문맥상으로는 드물지만 특히 잘 알려져 있다. The poem may have been written as early as 1652, although most scholars believe it was composed sometime between June and October 1655, when Milton's blindness was essentially complete.대부분의 학자들은 밀턴의 실명이 본질적으로 완성된 1655년 6월과 10월 사이에 이 시가 작곡되었다고 믿고 있지만, 이 시는 1652년 초에 쓰여졌을지도 모른다.

References참조[[edit편집하다]]

  1. ^^ .mw-parser-output cite.citation{font-style:inherit;word-wrap:break-word}.mw-parser-output .citation q{quotes:"\"""\"""'""'"}.mw-parser-output .citation:target{background-color:rgba(0,127,255,0.133)}.mw-parser-output .id-lock-free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free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Lock-green.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id-lock-limited a,.mw-parser-output .id-lock-registra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limited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registrati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6/Lock-gray-alt-2.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id-lock-subscrip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subscripti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Lock-red-alt-2.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cs1-ws-ic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Wikisource-logo.svg")right 0.1em center/12px no-repeat}.mw-parser-output .cs1-code{color:inherit;background:inherit;border:none;padding:inherit}.mw-parser-output .cs1-hidden-error{display:none;color:#d33}.mw-parser-output .cs1-visible-error{color:#d33}.mw-parser-output .cs1-maint{display:none;color:#3a3;margin-left:0.3em}.mw-parser-output .cs1-format{font-size:95%}.mw-parser-output .cs1-kern-left{padding-left:0.2em}.mw-parser-output .cs1-kern-right{padding-right:0.2em}.mw-parser-output .citation .mw-selflink{font-weight:inherit} Rogers, John. "Paradise Lost, Book I".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October 2021.
  2. ^^ McCalman 2001 p. 605.맥칼만 2001 페이지 605.
  3. ^^ Contemporary Literary Criticism.현대 문학 비평. "Milton, John – Introduction"."밀턴, 존 – 소개"
  4. ^^ Murphy, Arthur (1837). The Works of Samuel Johnson, LL. D.: An essay on the life and genius of Samuel Johnson. New York, NY: George Dearborn.
  5. ^^ Masson 1859 pp. v–vi.1859 페이지 v-vi.
  6.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Jenks, Tudor (1905). In the Days of Milton. New York: A.S. Barnes & Company. pp. 35–36.
  7. ^^ Forsyth, Neil (2008). "St. Paul's". John Milton A Biography (1st ed.). Wilkinson House, Jordan Hill Road, Oxford OX2 8DR, England: Lion Hudson. p. 16. ISBN 978-0-7459-5310-6.{{cite book}}: CS1 maint: location (link): CS1 maint : 위치(링크)
  8. ^^ Lewalski 2003 p. 3.르왈스키 2003 페이지 3
  9. ^^ Skerpan-Wheeler, Elizabeth.스커판 휠러, 엘리자베스 "John Milton.""존 밀턴." British Rhetoricians and Logicians, 1500–1660: Second Series.영국 수사관 및 로직, 1500–1660: Second Series. Ed. Edward A.에드워드 A. Malone.말론. Detroit: Gale, 2003.디트로이트: 게일, 2003.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Vol. 281.문학 전기 사전 제281권 Literature Resource Center.문학 자원 센터.
  10.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Dick 1962 pp. 270–75.딕 1962 페이지 270-75.
  11. ^^ "Milton, John (MLTN624J)".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12. ^^ Hunter 1980 p. 99.헌터 1980 페이지 99.
  13. ^^ Wedgwood 1961 p. 178.웨지우드 1961 페이지 178.
  14. ^^ Hill 1977 p. 34.1977년 페이지 34.
  15. ^^ Pfeiffer 1955 pp. 363–73.파이퍼 1955 페이지 363–73.
  16. ^^ Milton 1959 pp. 887–88.밀턴 1959 페이지 887–88.
  17. ^^ Johnson 1826 Vol.존슨 1826년 책 I. p. 64.I. 페이지 64.
  18. ^^ Hill 1977 p. 38.1977 페이지 38.
  19. ^^ Lewalski 2003 p. 103.르왈스키 2003 페이지 103.
  20. ^^ Chaney 1985 and 2000.셰이니 1985년과 2000년.
  21. ^^ Lewalski 2003 pp. 87–88.르왈스키 2003 페이지 87–88.
  22. ^^ Lewalski 2003 pp. 88–94.르왈스키 2003 페이지 88-94.
  23. ^^ Milton 1959 Vol.밀턴 1959년 책 IV part I. pp. 615–17.IV 파트 I. 페이지 615–17.
  24. ^^ Chaney 1985 and 2000 and Lewalski p. 96.셰이니 1985년과 2000년 그리고 르왈스키 96페이지.
  25. ^^ Chaney 1985 p. 244–51 and Chaney 2000 p. 313.Chaney 1985 페이지 244–51과 Chaney 2000 페이지 313.
  26. ^^ Lewalski 2003 pp. 94–98.르왈스키 2003 페이지 94–98.
  27. ^^ Lewalski 2003 p. 98.르왈스키 2003 페이지 98.
  28. ^^ Milton 1959 Vol.밀턴 1959년 책 IV part I pp. 618–19.IV 제 1부 618-19쪽
  29. ^^ Lewalski 2003 pp. 99–109.르왈스키 2003 페이지 99-109.
  30.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Campbell, Gordon (2004). "Milton, John (1608–1674)".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 1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18800. Retrieved 25 October 2013. (Subscription or UK public library membership required.)(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31. ^^ Lobel 1957 pp. 122–34.로벨 1957 페이지 122–34.
  32. ^^ Lewalski 2003 pp. 181–82, 600.르왈스키 2003 페이지 181–82, 600.
  33. ^^ Ann Hughes, 'Milton, Areopagitica, and the Parliamentary Cause', The Oxford Handbook of Milton, ed.앤 휴즈, '밀턴, 아레오파기티카, 의회 원인' '밀턴의 옥스포드 핸드북, 에드' Nicholas McDowell and Nigel Smi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9Nicholas McDowell and Nigel Smith,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9년
  34. ^^ Blair Hoxby, 'Areopagitica and Liberty', The Oxford Handbook of Milton, ed.블레어 홉스비, '아레오파기티카와 자유', 옥스포드 핸드북 오브 밀턴, 에드. Nicholas McDowell and Nigel Smi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9Nicholas McDowell and Nigel Smith,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9년
  35. ^^ C. Sullivan, 'Milton and the Beginning of Civil Service', in Literature in the Public Service (2013), Ch. 2.C. 설리번, '밀튼과 민원 서비스의 시작', 공공 서비스의 문학(2013), 2장.
  36. ^^
    Stephen, Leslie (1894). "Milton, John (1608-1674)". In Lee, Sidney (e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 38. London: Smith, Elder & Co. p. 32.
  37. ^^ von Maltzahn 1999 p. 239.폰 몰트존 1999 페이지 239.
  38. ^^ POOLEY, ROGER (1993). "The poets' Cromwell". Critical Survey. 5 (3): 223–234. JSTOR 41555744.
  39. ^^ Corns, Thomas N. (2012). The Milton Encyclopedia. Yale University Press. p. 216. ISBN 978-0300094442.
  40. ^^ "Milton appointed Latin Secretary History Today". www.historytoday.com. Retrieved 3 August 2018.
  41. ^^ John Leonard, in the introduction to "Paradise Lost", Penguin Classics page ix 2000John Leonard, Penguin Classic 페이지 ix 2000의 "Paradise Lost" 소개에서
  42. ^^ Sorsby, A. (1930). "On The Nature of Milton's Blindness".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14 (7): 339–54. doi:10.1136/bjo.14.7.339. PMC 511199. PMID 18168884.
  43. ^^ Shawcross, John T. (1986). "The Poet in the Poem: John Milton's Presence in "Paradise Lost"". CEA Critic. 48/49: 32–55. JSTOR 44378181.
  44. ^^ "Milton's Works". Milton's Works. Christ's College Cambridge. 3 February 2017.
  45. ^^ Lewalski, Barbara Kiefer (1959). "Milton: Political Beliefs and Polemical Methods, 1659–60". PMLA. 74 (3): 191–202. doi:10.2307/460581. JSTOR 460581.
  46.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Walter Thornbury, 'Cripplegate', in Old and New London: Volume 2 (London, 1878), pp. 229-245.Old and New London의 'Cripplegate' 월터 손베리: 제2권 (London, 1878), 페이지 229-245. British History Online http://www.british-history.ac.uk/old-new-london/vol2/pp229-245 [accessed 7 July 2020].영국 역사 온라인 http://www.british-history.ac.uk/old-new-london/vol2/pp229-245 [2020년 7월 7일]
  47. ^^ "John Milton - Samson Agonistes".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4 September 2021.
  48. ^^ Toland 1932 p. 193.토랜드 1932 페이지 193.
  49. ^^ Dates in this section are taken from John Milton's autograph memoranda in his Bible, in the British Library, call number Add MS 32310.이 섹션의 날짜는 존 밀턴의 성경에 있는 그의 성서에 있는 서명 메모리에서 따온 것이다. 전화번호는 Add MS 32310이다.
  50. ^^ The Monthly Mirror: Reflecting Men and Manners. Edinburgh: Harding & Wright. 1810. p. 49 – via Google Books.
  51. ^^ 'Milton, John', in Journal of the Society of Arts, 8 November 1867, p. 7551867년 11월 8일, 예술 협회지에 실린 '밀턴, 존' 페이지 755
  52. ^^ Johnson 1826 Vol.존슨 1826년 책 I 86.I 86.
  53. ^^ Flood, Alison, When Milton met Shakespeare: poet's notes on Bard appear to have been found , The Guardian, 16 September 2019Flood, Alison, Milton이 셰익스피어를 만났을 때: Bard에 대한 시인의 노트가 발견된 것 같다, The Guardian, 2019년 9월 16일
  54. ^^ Hill 1977.1977년 언덕.
  55. ^^ Lindenbaum, Peter (1995). "Authors and Publishers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New Evidence on their Relations". The Library. Oxford University Press. s6-17 (3): 250–69. doi:10.1093/library/s6-17.3.250. ISSN 0024-2160.
  56. ^^ "MeasuringWorth, 2010, "Purchasing Power of British Pounds from 1264 to Present". Access date: 13 January 2017".
  57. ^^ Darbishire, Helen (October 1941). "The Printing of the First Edition of Paradise Lost". The Review of Englis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17 (68): 415–27. doi:10.1093/res/os-XVII.68.415. JSTOR 509858.
  58. ^^ "John Milton's Paradise Lost". The Morgan Library &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11. Retrieved 25 April 2011.
  59. ^^ See, for instance, Barker, Arthur.예를 들어, 바커, 아서. Milton and the Puritan Dilemma, 1641–1660.밀턴과 청교도 딜레마, 1641–1660. Toronto:토론토: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42: 338 and passim; Wolfe, Don M. Milton in the Puritan Revolution.토론토 대학 출판부, 1942: 338과 passim; 청교도 혁명의 Wolfe, Don M. M. Milton. New York: T.뉴욕: T. Nelson and Sons, 1941: 19.넬슨 앤 선즈 1941: 19
  60. ^^ Stephen Fallon, Milton Among the Philosopher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p. 81.Stephen Fallon, Milton In the Lichor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페이지 81.
  61.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Daiches, David (1960). A Critical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Vol. I. London: Seeker & Warburg. p. 457.
  62. ^^ Hill, Christopher (1984).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Radical Ideas During the English Revolution. London: Penguin. ISBN 9780140137323.
  63.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Khan, Abdul Hamid (July–September 2016). "The Conflict of Puritanism in Milton: An Analysis" (PDF). The Dialogue. XI: 355–356 – via Qurtuba University.
  64. ^^ Blair Word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Cromwellian England: John Milton, Andrew Marvell and Marchamont Nedham (2007), p. 154.블레어 워든, 크롬웰리안 잉글랜드의 문학정치: 밀턴, 앤드류 마벨, 그리고 마르카몬트 네드햄(2007) 페이지 154.
  65. ^^ Milton and Republicanism, ed.밀턴과 공화주의, 에드 David Armitage, Armand Himy, and Quentin Skinner (Oxford:데이비드 아미티지, 아만드 히미, 쿠엔틴 스키너(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5).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5).
  66. ^^ James Tully, An Approach to Political Philosophy: Locke in Contexts (1993), p. 301.제임스 툴리, 정치철학에 대한 접근법: 상황에서의 로크(1993) 페이지 301.
  67. ^^ Austin Woolrych, Commonwealth to Protectorate (1982), p. 34.오스틴 울리치, 연방 보호국 (1982) 페이지 34.
  68. ^^ Worden p. 149.149페이지.
  69. ^^ Austin Woolrych, Commonwealth to Protectorate (1982), p. 101.오스틴 울리치, 연방 보호국 (1982년), 페이지 101.
  70. ^^ G. E. Aylmer (editor), The Interregnum:G. E. Aylmer (편집자), The Inter veginum: The Quest for Settlement 1646–1660 (1972), p. 17. 1646–1660 (1972), 페이지 17.
  71. ^^ Christopher Hill, God's Englishman (1972 edition), p. 200.Christopher Hill, God's Englishman (1972년판) 200페이지.
  72. ^^ To S r Henry Vane the younger. – The Poetical Works of John Milton.
  73. ^^ Creaser, John W. (March 2000). "John W. Creaser – Prosodic Style and Conceptions of Liberty in Milton and Marvell – Milton Quarterly 34:1". Milton Quarterly. Muse.jhu.edu. 34 (1): 1–13. doi:10.1111/j.1094-348X.2000.tb00613.x. S2CID 162341986. Retrieved 9 December 2008.
  74. ^^ William Riley Parker and Gordon Campbell, Milton (1996), p. 444.윌리엄 라일리 파커와 고든 캠벨, 밀턴(1996), 페이지 444.
  75. ^^ Nigel Smith, Popular Republicanism in the 1650s: John Streater's 'heroick mechanics', p. 154, in David Armitage, Armand Himy, Quentin Skinner (editors), Milton and Republicanism (1998).나이젤 스미스, 1650년대 인기 공화주의:스트레이터 '영웅적 역학' 페이지 154, 데이비드 아미티지, 아만드 히미, 쿠엔틴 스키너(편집자), 밀턴과 공화주의(1998년)의 '영웅적 역학'이다.
  76. ^^ Blair Word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Cromwellian England: John Milton, Andrew Marvell and Marchamont Nedham (2007), Ch. 14, Milton and the Good Old Cause.블레어 워든, 크롬웰리안 잉글랜드의 문학과 정치: 밀턴, 앤드류 마벨과 마르카몬트 네드햄(2007), 14장, 밀턴과 굿 올드 원인.
  77. ^^ Austin Woolrych, Last Quest for Settlement 1657–1660, p. 202, in G. E. Aylmer (editor), The Interregnum:오스틴 울리치, 1657–1660, 페이지 202, G. E. Aylmer (편집자)의 마지막 정착지 퀘스트, The Internalityum: The Quest for Settlement 1646–1660 (1972), p. 17.1646–1660 (1972), 페이지 17.
  78.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Shawcross, John T. (2004). The Arms of the Family: The Significance of John Milton's Relatives and Associates. Lexingto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 7. ISBN 978-0813122915.
  79.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Fletcher, -Harris (1927). "Milton's Use of Biblical Quotations". The Journal of English and Germanic Philology. 26 (2): 145–165. JSTOR 27703025.
  80. ^^ Baldwin, E. C. (1921). "The Authorized Version's Influence Upon Milton's Diction". Modern Language Notes. xxxvi (6): 376–7. doi:10.2307/2914990. JSTOR 2914990.
  81. ^^ Lewalski, Life of Milton, p. 253.Lewalski, Life of Milton, 253페이지.
  82. ^^ William Bridges Hunter, A Milton Encyclopedia (1980), Vol.윌리엄 브리지스 헌터, 밀턴 백과사전(1980), 볼. VIII, p. 13.8번 페이지 13번
  83. ^^ John Milton, The Prose Works of John Milton:존 밀턴의 산문 작품: With a Biographical Introduction by Rufus Wilmot Griswold.루퍼스 윌못 그리즈월드의 전기소개서와 함께. In Two Volumes (Philadelphia: John W. Moore, 1847).Two Volumes (Philadelphia: John W. Moore, 1847). Vol. 1.제1권 The Prose Works of John Milton, Biographical introduction존 밀턴의 산문작품, 전기소개론
  84. ^^ W.F. Draper, "The Religious Life and Opinions of John Milton."W.F. 드레이퍼 "존 밀턴의 종교적인 삶과 의견" In "The Bibliotheca Sacra and Biblical Repository," Volume 17 (1860) p. 38."비블리오테카 사크라 및 성서 보관소"에서 제17권(1860) 페이지 38.
  85. ^^ John Rogers, "Newton's Arian Epistemology and the Cosmogony of Paradise Lost." ELH: English Literary History 86.1 (2019): 77-106 online.존 로저스, "뉴턴의 아리안 인식론과 파라다이스 로스트의 코스모고니" ELH: 영어 문학사 86.1(2019): 77-106 온라인.
  86. ^^ Snobelen, Stephen D. (1999). "Isaac Newton, heretic : the strategies of a Nicodemite" (PDF).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32 (4): 381–419. doi:10.1017/S00070874990037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8 September 2014.
  87. ^^ Arnold Williams, Renaissance Commentaries on "Genesis" and Some Elements of the Theology of Paradise Lost, PMLA, Vol. 56, No. 1 (Mar. 1941), pp. 151–64.아놀드 윌리엄스, 르네상스 논평 "제네시스"와 "낙원의 신학 일부 요소", PMLA, 56권, 1위 (1941년 3월), 151–64페이지.
  88. ^^ Walter S. H. Lim, John Milton, Radical Politics, and Biblical Republicanism (2006), p. 141.월터 S. H. 임, 존 밀턴, 급진 정치, 그리고 성서 공화주의(2006) 페이지 141.
  89. ^^ John Rogers, The Matter of Revolutio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p. xi.존 로저스, The Matter of Revolutio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p. xi.
  90. ^^ Hill, C.힐, C. Milton and the English Revolution.밀턴과 영국 혁명. Faber & Faber. 1977. pp. 155–57파버 앤 파버 1977 페이지 155-57
  91. ^^ Hunter, William Bridges.헌터, 윌리엄 브리지스. A Milton Encyclopedia, Volume 8 (East Brunswick, NJ: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980). pp. 71, 72.밀턴 백과사전, 제8권 (East Brunswick, NJ: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980). 페이지 71, 72. ISBN 0-8387-1841-8.ISBN 0-8387-1841-8
  92. ^^ (PDF) Nicholas McDowell, Family Politics; Or, How John Phillips Read His Uncle's Satirical Sonnets, Milton Quarterly Vol. 42 Issue 1, pp. 1–21.(PDF) Nicholas McDowell, 가족 정치; 또는 John Phillips가 삼촌의 풍자적인 소네트 읽는 방법, Milton Quarterly Volume 1, 페이지 1–21. Published online: 17 April 2008.온라인 출판: 2008년 4월 17일[dead link][데드링크]
  93. ^^ Christopher Hill, Milton and the English Revolution (1977), p. 127.Christopher Hill, Milton and English Revolution(1977), 페이지 127.
  94. ^^ John Milton, The Christian Doctrine in Complete Poems and Major Prose, ed.John Milton, The Christian Drution in Complete Possibles and Major Acident, ed. Merritt Hughes (Hackett:메리트 휴스(해켓: Indianapolis, 2003), pp. 994–1000; Leo Miller, John Milton among the Polygamophiles (New York: Loewenthal Press, 1974).인디애나폴리스, 2003), 페이지 994–1000; 폴리가모필드의 레오 밀러, 존 밀턴(뉴욕: 루웬탈 프레스, 1974년).
  9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13. Retrieved 10 May 2013.{{cite web}}: CS1 maint: archived copy as title (link):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96. ^^ Ernest Sirluck, "Introduction", Complete Prose Works of John Milton, New Haven: Yale U. Press, 1959, II, 103어니스트 설룩, "소개서", 존 밀턴의 산문작품 완성: 예일 U. 출판, 1959, II, 103
  97. ^^ Baillie, Letters and Journals, Edinburgh, 1841, II, 220.배일리, 편지 & 저널즈, 에든버러, 1841, II, 220
  98. ^^ Lewalski, Life of Milton, p. 199.Lewalski, Life of Milton, 199페이지.
  99. ^^ Nicholas Von Maltzahn, Milton's History of Britain: republican historiography in the English Revolution, Oxford: Clarendon Press, 1991니콜라스 본 몰트존, 밀턴의 영국사: 영국혁명의 공화주의 역사학, 옥스퍼드: 클라렌던 프레스, 1991
  100. ^^ Timothy Kenyon, Utopian Communism and Political Thought in Early Modern England (1989), p. 34.Timothy Kenyon, Utophia Community and Political Thought in Early Modern England (1989), 페이지 34.
  101. ^^ Kevin Sharpe, Remapping Early Modern England:케빈 샤프, 초기 모던잉글랜드 리메이크: The Culture of Seventeenth-century Politics (2000), p. 7. 17세기 정치 문화 (2000, 페이지 7).
  102. ^^ J. P. Kenyon, Revolution Principles (1977), p. 77.J. P. 케년, 혁명원리(1977), 페이지 77.
  103. ^^ Robert Middlekauff (2005),로버트 미들카우프(2005) The Great Cause:위대한 원인: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1588-2, pp. 51, 136ff 미국 혁명, 1763–1789, 개정 및 확장판,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ISBN 978-0-19-531588-2, 페이지 51, 136f
  104. ^^ Zagorin, Perez (2002). "The World of Milton Scholarship". Virginia Quarterly Review. Retrieved 11 May 2016.
  105. ^^ Forsyth, Neil (2008). John Milton: A Biography. Lion Books. p. 15. ISBN 978-0745953106.
  106. ^^ Al-Zubi, Hasan A. (2007). "Audience and human nature in the poetry of Milton and Dryden/Milton ve Dryden'in siirlerinde izleyici ve insan dogasi – Interactions – Find Articles at B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anuary 2011. Retrieved 9 December 2008 – via Find Articles.
  107. ^^ Joseph M. Levine, The Battle of the Books: History and Literature in the Augustan Age (1994), p. 247.조셉 M. 레빈, 책들의 전투: 아우구스탄 시대 (1994년), 247페이지.
  108. ^^ "Online text of one book". Andromeda.rutgers.edu. Retrieved 4 January 2010.
  109. ^^ Christopher Ricks, Milton's Grand Style (1963), pp. 9, 14, 57.Christopher Ricks, Milton's Grand Style(1963), 페이지 9, 14, 57.
  110. ^^ William Empson, Some Versions of Pastoral (1974 edition), p. 147.William Empson, Some Version of Polent (1974년판), 147페이지.
  111. ^^ Nos 267, 273, 279, 285, 291, 297, 303, 309, 315, 321, 327, 333, 339, 345, 351, 357, 363, and 369.267번, 273번, 279번, 285번, 291번, 291번, 303번, 309번, 315번, 321번, 327번, 333번, 339번, 345번, 351번, 357번, 363번, 369번.
  112. ^^ Explanatory Notes and Remarks on Milton's Paradise Lost (1734).Milton의 파라다이스 로스트에 대한 설명의견(1734).
  113. ^^ Voltaire, Le Siecle de Louis XIV 2, Paris: Garnier-Flammarion, 1966, p.66.볼테르, 르 시클레 루이 14세, 파리: 가르니에-플람마리온, 1966년, p.66.
  114. ^^ S. Foster Damon, A Blake Dictionary (1973), p. 274.S. 포스터 데이먼, 블레이크 사전(1973) 페이지 274.
  115. ^^ Bill Beckley, Sticky Sublime (2001), p. 63.빌 베클리, 스티키 서브라이임(2001), 페이지 63.
  116. ^^ Part II, Section I: Adelaide.edu.au Archived 26 October 2008 at the Wayback Machine.파트 2, 섹션 I: Adelaide.edu.au 2008년 10월 26일 웨이백 머신보관.
  117. ^^ "Francis T. Palgrave, ed. (1824–1897). The Golden Treasury. 1875". Bartleby.com. Retrieved 4 January 2010.
  118. ^^ Thomas N. Corns, A Companion to Milton (2003), p. 474.토마스 콘스 밀턴(2003년)의 동반자 474페이지.
  119.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Leader, Zachary.리더, 재커리. "Revision and Romantic Authorship"."개정과 낭만주의 작가" Oxford:옥스퍼드: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98.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9. 298. ISBN 0-19-818634-7.ISBN 0-19-818634-7
  120. ^^ Cited from the original in J. Paul Hunter (editor), Frankenstein by Mary Shelley (1996), p. 225.J. Paul Hunter (편집자)의 원문에서 인용한 프랑켄슈타인은 마리 셸리(1996)에 의해 225페이지로 인용되었다.
  121. ^^ Nardo, Anna K.나르도, 안나 K George Eliot's Dialogue with Milton.조지 엘리엇과 밀턴의 대화.
  122. ^^ Printz-Påhlson, Göran.z란, 프린츠펠슨. Letters of Blood and Other Works in English.Letters of Blood and Other Works in English. [1] pp. 10–14[1] 페이지 10-14
  123. ^^ Leavis, F. R.레비스, F. R. The Common Pursuit.공동 추구. https://books.google.com/books?id=9Yl1ax4_hukC&printsec=frontcover#v=onepage&q&f=falsehttps://books.google.com/books?id=9Yl1ax4_hukC&printsec=frontcover#v=onepage&q&f=false
  124. ^^ Harold Bloom, The Anxiety of Influence:해롤드 블룸, 영향력의 불안: A theory of poetry (1997), p. 33. 시론(1997), 페이지 33.
  125. ^^ "Milton's Areopagitica and the Modern First Amendment by Vincent Blasi". Nationalhumanitiescenter.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07. Retrieved 4 January 2010.
  126. ^^ "Imitating Milton: The Legacy of Paradise Lost". University of Cambrid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08. Retrieved 4 January 2010.
  127. ^^ "Philip Pullman opens Bodleian Milton exhibition". University of Oxfo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09. Retrieved 4 January 2010.
  128. ^^ Rosen, J. "Return to Paradise".로젠, J. "낙원으로 돌아가라" The New Yorker, 2 June 2008, pp. 72–6.뉴요커, 2008년 6월 2일자 72~6면.
  129. ^^ Eliot 1947 p. 63.엘리엇 1947 페이지 63.
  130. ^^ Saintsbury 1908 ii. 443.세인트베리 1908년 2월 443일
  131. ^^ Watts 1810 iv. 619.와트 1810 IV 619
  132. ^^ Milton 1668 xi.밀턴 1668 Xi.
  133. ^^ Gordon 2008 p. 234.고든 2008 페이지 234.
  134. ^^ Dexter 1922 p. 46.덱스터 1922 페이지 46.
  135. ^^ Saintsbury 1908 ii. 457.세인트베리 1908년 2월 457일
  136. ^^ Saintsbury 1916 p. 101.세인트베리 1916 페이지 101.
  137. ^^ Johnson 1751 no. 86.존슨 1751번 86번.
  138. ^^ Dexter 1922 p. 57.덱스터 1922 페이지 57.
  139. ^^ Saintsbury 1908 ii. 458–59.세인트베리 1908i. 458–59.
  140. ^^ Dexter 1922 p. 59.덱스터 1922 페이지 59.
  141. ^^ Saintsbury 1916 p. 114.세인트베리 1916 페이지 114.
  142. ^^ Gray 1748 Observations on English Metre.Gray 1748 영국 미터 관측.
  143. ^^ Hollander, John (1975). Vision and resonance : two senses of poetic for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16. ISBN 0-19-501898-2. OCLC 1530446.
  144. ^^ They included "self-same", "hue", "minstrelsy", "murky", "carol", and "chaunt".그들은 "셀프 같은" "후" "민스트렐리" "머키" "카롤" 그리고 "chaunt"을 포함했다. Among Milton's naturalized Latin words were "humid", "orient", "hostil", "facil", "fervid", "jubilant", "ire", "bland", "reluctant", "palpable", "fragil", and "ornate".밀턴의 귀화 라틴어 중에는 "습기", "오리엔트", "호스티일", "facil", "fervid", "jubilant", "ire", "ire", "bland", "relicant", "palpable", "fragil", "ornatiform" 등이 있었다. Peck 1740 pp. 110–11.펙 1740 페이지 110–11.
  145. ^^ Scott 1785 63.스콧 1785 63.
  146. ^^ Saintsbury 1908 ii. 468.세인트베리 1908년 2월 468일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자민 프랭클린의 자서전  (0) 2022.03.23
영국혁명과 밀턴  (0) 2022.03.20
헨리 조지  (0) 2022.02.23
비교정치학(比較政治學, 영어: comparative politics)  (0) 2022.02.02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0)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