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The Book of Deuteronomy)
Moses delivers his final words of warning and wisdom to the Israelites before they enter
the promised land.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된 땅으로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 경고의 말씀들과 지혜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달합니다.
This is the epic conclusion of the Torah!
이것이 토라(=모세오경)의 서사적인 결론입니다!
And, spoiler alert : Moses dies.
그리고, 스포일러 경고 : 모세가 죽습니다.
The book of Deuteronomy (from Ancient Greek: Δευτερονόμιον, Deuteronómion;[1] Hebrew: דְּבָרִים, Dəḇārīm, "Names") is the fifth book of the Torah, and the fifth book of the Christian Old Testament.
이 책의 1~30장은 모압 평야에서 모세가 약속된 땅에 들어가기 직전에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한 세 가지 설교나 연설로 구성되어 있다.첫 번째 설교에서는 그 순간까지 이어진 40년간의 황야를 회상하며 율법을 지키라는 권유로 끝을 맺는다.두 번째 설교에서는 야훼와 그가 준 율법(또는 가르침)을 따라야 한다는 것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일깨워 주는데, 이 율법은 이스라엘 자손이 땅을 소유하느냐에 달려 있다.세 번째 설교는 이스라엘 민족이 불성실한 것으로 판명되어 그 땅을 잃더라도 회개하여 모든 것을 회복할 수 있다는 위안을 준다.[2]
마지막 4장(31~34)에는 모세의 노래와 모세의 축복, 모세의 지도력 맨틀이 모세로부터 여호수아에게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네보 산에서 모세가 죽었다는 내용을 담은 내러티브가 실려 있다.
그것의 가장 중요한 구절 중 하나는 Deuteronomy 6:4, Shema Yisrael인데, 이것은 유대인의 정체성에 대한 결정적인 진술이 되었다: "Hear, O 이스라엘: 주 우리의 하나님, 주 하나님은 하나다."[3]6장 4절~5절은 또한 예수께서 마크 12장 28절 34절에서 대계령으로 인용하셨다.
내용
구조[편집하다]
패트릭 D.Miller는 Deuteronomy에 대한 그의 논평에서 이 책의 구조에 대한 다른 견해들이 그것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에 대한 다른 견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제안한다.[4]
그 구조는 흔히 3연설이나 설교(장 1:1–4:43,4:44–29:1,29:2–30시 20분)일련의 짧은 appendices[5]– 밀러의 뒤에 숫자를 이"문학"구조로서를, 대안적으로 가끔은 중핵(장 12–26, 신명기의 코드)과 내외가 한 ring-structure으로 보인다 설명되어 있다. 나가.액자 (4-11/27–30장, 1-3/31–34장)[5] – 밀러는 이것을 언약 하부구조라고 부르고,[4] 마지막으로 십계명 제1호에서 확립된 야훼의 배타적 예배("너에게는 내 앞에 다른 신이 없다")와 쉐마(Shema)의 주제에서 드러난 신학적 구조를 말한다.[4]
요약[편집하다]
(다음의 "문학적"의 개요는 존 반 세터스(John Van Seters)에서 나온 것이다.[6] 알렉산더 로페가 자신의 신학에서 "공조적" 분석을 한 것과 대조될 수 있다.이슈 및 해석)[7]
- 1~4장:호렙(시나이)에서 카데슈까지, 그리고 모압까지 황무지를 통과하는 여정이 회상된다.
- 4장 11절: 4:44~49절의 두 번째 소개 후 호렙 산에서의 사건들은 십계명을 부여하면서 상기된다.각 가문의 우두머리들은 율법에 따라 보살핌을 받는 자들에게 지시하고, 야훼 이외의 신을 섬기지 말라고 경고하며, 이스라엘과 약속한 땅을 찬미하며, 백성들에게 복종을 촉구한다.
- 12~26장, 신역학 코드: 이스라엘의 예배를 지배하는 법률 (12~16a장), 지역사회와 종교 지도자의 임명과 규제 (16b~18장), 사회 규제 (19~25장), 정체성과 충성도의 고백 (26장)
- 27장 28절: 법을 지키고 어기는 자들에게 축복과 저주를 내린다.
- 제29장~30장: 호렙에서 주어진 후 신구법칙(12장 26절)의 모든 율법을 포함하여 모압 땅에서 맺어진 언약에 대한 끝맺음 담론; 이스라엘은 다시 복종을 권한다.
- 제31장 34절: 여호수아는 모세의 후계자로 설치되고 모세는 레위 사람(제사장 카스트)에게 율법을 전하며, 네보 산이나 비스가를 등반하여 그곳에서 죽어서 하나님께 묻힌다.이 사건들의 서술은 모세의 노래와 모세의 축복이라는 두 시로 인해 중단된다.
마지막 구절인 34장 10절–12절, "모세와 같은 예언자는 다시는 이스라엘에서 일어나지 않았다"는 신학에 대한 권위 있는 신학관과 이스라엘의 유일신으로서 야훼를 숭배하는 것이 유일한 허용 가능한 종교라는 주장을 가장 위대한 예언자들에 의해 봉인되었다.[8]
신구 부호[편집하다]
Deuteronomy 12–26, Deuteronomy 12–26는 이 책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며 나머지는 개발되었다.[9]약속된 땅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스라엘 자손에게 내리는 미츠보트(명령)의 연속이다.다음 목록은 대부분의 법률을 주제 그룹으로 분류한다.
종교의 준법[편집하다]
- 모든 희생을 가져오고 서약은 중심 성소에서 해야 한다.[10]
- 가나안 신들의 숭배는 금지되어 있다.그들의 예배[11] 장소를 파괴하고, 가나안 사람 등을 상대로 '증거할 수 있는' 종교적 신념으로 대량학살을 저지르라는 명령이 내려진다.[12]
- 고의적인 훼손과 같은 토착적인 애도 관행은 금지되어 있다.[13]
- 생산물을 tithing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것을 기부하는 절차가 주어진다.[14]
- 동물을 허용하고 소비를 금지한 카탈로그.[15]
- 죽은 채로 발견되어 도살되지 않은 동물의 섭취는 금지된다.[16]
- 희생된 동물은 흠이 없어야 한다.[17]
- 첫째 수컷 가축은 반드시[18] 희생되어야 한다.
- 유월절, 샤부오트, 수코트의 순례 축제가 열린다.[19]
- 아세라 숲에서의 예배와 의식의 기둥을 세우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20]
- 작물, 가축, 직물의 혼합 금지.[21]
- 티츠잇은 의무사항이다.[22]
공무원에 관한 법률[편집하다]
- 판사는 모든 도시에서 임명되어야 한다.[23]
- 법관은 공정하고 뇌물은 금지되어 있다.[24]
- 중앙 재판소가 설치되다.[25]
- 이스라엘 자손이 왕의 지배를 받는 것을 택하면, 그 직책에 대한 규정이 주어진다.[26]
- 레위 사람의 권리와 수입에 관한 규정이 주어진다.[27]
- 미래의 예언자(지정되지 않은)에 대하여.[28]
- 성직자에 대한 규정이 있다.[29]
민법[편집하다]
- 부채는 7년 안에 풀릴 예정이다.[30]
- 노예제도의 규정과 노예해방을 위한 절차.[31]
- 전쟁에서 취한 외국인 아내의 처우에 관한 규정.[32]
- 전쟁에서는 노예와 약탈을 허용하는 규정이다.[33]
- 분실물, 발견되면 소유자에게[34] 복구해야 함
- 여성과 의붓자매간의 결혼은 금지되어 있다.[35]
- 그 캠프는 깨끗하게 유지될 것이다.[36]
- 고리 대금업은 젠틀맨을 제외하고는 금지되어 있다.[37]
- 서약과 서약에 대한 규정이 주어진다.[38]
- 짜라스에 대한 절차(해부 조건)가 주어진다.[39]
- 고용된 노동자들은 정당한 보수를 받아야 한다.[40]
- 정의는 이방인, 과부, 고아들에게 보여져야 한다.[41]
- 농작물의 일부("기울기")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어진다.[42]
형법[편집하다]
- 거짓 증인에 대한 규정이 주어진다.[43]
- 처녀성을 의심받은 신부를 위한 절차가 주어진다.[44]
- 간통, 간음, 강간에 관한 다양한 법이 주어진다.[45]
- 또 다른 이스라엘 사람을 납치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46]
- 단지 무게와 척도는 의무적이다.[47]
구성[편집하다]
구성이력[편집하다]
이 책의 구성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용어로 보인다.[48]
- 기원전 8세기 후반에 유다와 이스라엘은 아시리아의 신하였다.이스라엘은 반란을 일으켜 기원전 722년에 멸망했다.유다로 도망치는 피난민들은 여러 가지 새로운 전통(적어도 유다에게는 새로운)을 가지고 왔다.그 중 하나는 유다에서 이미 알려져 예배를 드리는 야훼 신만이 신들 중 가장 중요한 신일 뿐만 아니라 섬겨야 할 유일한 신이라는 점이었다.이러한 전망은 유다 토지의 지배 계급에 영향을 미쳤는데, 유다의 아버지 아몬이 살해된 후 여덟 살 난 요시야를 왕위에 앉힌 후, 궁정에서 매우 강력해졌다.
- 요시야 열여덟 해가 되자 아시리아 세력은 급속히 쇠퇴하고 있었고, 궁정에서는 독립 찬성 운동이 힘을 모았다.이 운동은 야훼에 대한 충성의 국가신학에서 이스라엘의 유일신으로서 자신을 표현하였다.이들은 요시야의 지원으로 유다와 앗시리아를 대체하기 위해 유다와 야훼의 언약 형식을 취하는 초기 형태의 신토노미 5-26에 기초한 본격적인 예배 개혁에 착수했다.이 언약은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보내는 연설로 정해졌다(대자학 5:1)
- 다음 단계는 바빌로니아 포로생활 중에 일어났다.기원전 586년 바빌론에 의해 유다 왕국이 멸망하고 왕권이 끝난 것은 현재 바빌론 시에 망명 중인 신노동주의 엘리트들 사이에서 많은 반성과 신학적 추측의 계기가 되었다.그 재앙은 아마도 야훼가 법을 따르지 않은 것을 처벌한 것으로 추측되며, 그래서 그들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역사(왕들을 통해 여호수아의 책)를 만들었다.
- 망명 말기에 페르시아인들이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에 성전을 다시 세우고 다시 지을 수 있다는 데 동의했을 때, 1-4장과 29~30장이 추가되었고, 중터노미가 이 역사의 입문서가 되어, 약속된 땅에 막 들어가려는 한 민족에 대한 이야기가 곧 그 땅으로 돌아가려는 한 민족에 대한 이야기가 되었다.19~25장의 법적 부분은 발생한 새로운 상황에 맞게 확장되었고, 31~34장은 새로운 결론으로 추가되었다.
사실상 모든 세속적인 학자(그리고 대부분의 기독교와 유대인 학자들)는 디터노미의 전통적인 모자이크 작가를 거부하고 기원전 7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이 책의 연대를 훨씬 늦게 한다.[49]그것의 저자들은 아마도 총칭적으로 중역학자로 불리는 레위트 카스트일 것이며, 그들의 경제적 필요와 사회적 지위가 반영되어 있다.[50]
신구법칙을 포함하는 12~26장이 가장 이른 섹션이다.[51]W.M.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후부터.1805년 L de Wette,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핵심이 기원전 7세기에 바빌로니아 포로생활 (기원전 597년–539년)이나 페르시아 시대 (기원전 539년–332년)에 의해 진전된 종교개혁의 맥락에서 예루살렘에서 구성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였다.[52][53][54]두 번째 프롤로그(5-11장)는 다음으로 구성되는 섹션이었고, 그 다음 첫 번째 프롤로그(1-4)는 다음과 같은 26장을 층별로 나누었다.[51]
이스라엘-유다 사단[편집하다]
요시야보다 약 1세기 전에 예루살렘에서 활동한 예언자 이사야는 출애굽기, 신과의 계약, 신의 율법 불복종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고, 반대로 이스라엘 북부 왕국에서 활동 중인 이사야의 현대 호사는 출애굽기, 황야 방랑, 언약, 외국 신들의 위험과 신들의 위험을 자주 언급한다.홀로 야훼를 숭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학자들이 중터노미의 이면에 있는 전통들이 북쪽의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관점으로 이끌었다.[55]이 책의 본질을 이루는 12~26장의 법칙 집합인 신소학 코드가 요시야 시대(7세기 말)나 그 이전에 쓰여졌는지는 논쟁의 대상이 되지만, 개별법 중 많은 것이 수집 자체보다 더 오래된 것이다.[56]32~33장 모세의 노래와 모세의 축복이라는 두 시는 아마도 원래 독립된 시였을 것이다.[55]
히브리 성경의 위치[편집하다]
중역학은 성경에 곤혹스러운 위치를 차지하여, 이스라엘 자손이 광야에서 떠돌던 이야기와 가나안에서의 그들의 역사 이야기를 어느 쪽에도 완전히 소속되지 않은 채 연결시킨다.황무지의 이야기는 숫자로 꽤 쉽게 끝날 수 있고, 적어도 줄거리의 수준에서는 여호수아의 정복에 대한 이야기는 그것 없이 존재할 수 있지만, 두 경우 모두 주제적(신론적) 요소가 빠져 있을 것이다.학자들은 그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해답을 내놓았다.신역학사 이론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이론이다(원래는 법전과 언약에 불과했고, 요시야의 종교 개혁을 공고히 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후에 완전한 역사의 도입부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신역학을 숫자에 속하고, 조슈아를 일종의 수자로 보는 낡은 이론이 있다.그것에 만족하다.이 아이디어는 여전히 지지자가 있지만, 주류의 이해는, 역사가 소개된 후, 중수학계가 나중에 그것으로부터 분리되어 창세기-에 포함되었다는 것이다.출애굽기-레비티쿠스-Numbers는 이미 모세를 중심 인물로 삼았기 때문이다.이 가설에 따르면 모세의 죽음은 원래 숫자의 결말이었고, 거기서 간단히 신토모니의 결말로 옮겨졌다.[57]
테마[편집하다]
개요[편집하다]
중역학은 신의 고유성, 예배의 과감한 중앙집권화의 필요성, 가난하고 혜택 받지 못한 사람들의 입장에 대한 우려를 강조한다.[58]그것의 많은 주제들은 이스라엘의 세 극지방인 야훼와 그들을 하나로 묶는 언약을 중심으로 조직될 수 있다.
이스라엘[편집하다]
이스라엘과 관련된 신통학의 주제는 선거, 충실, 복종, 야훼의 축복 약속 등인데, 모두 '관념은 일차적으로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에게 부과하는 의무가 아니라, 언약 관계의 표현'[59]이라는 언약을 통해 표현된다.야훼는 이스라엘을 그의 특별한 재산(신 7:6 등)으로 선출했고,[60] 모세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신과 언약에 대한 복종의 필요성과 불성과 불복종의 결과를 강조한다.[61]그러나 디터노믹의 첫 번째 몇 장은 이스라엘의 과거 불복종을 오랫동안 되짚어 보는 것이기도 하지만, 신의 자애로운 보살핌이 이스라엘에 죽음보다 삶을, 저주를보다는 복을 택하라는 긴 요구(7장 11절)로 이어졌다.
야훼[편집하다]
Deuteronomy의 신에 대한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었다.초창기 7세기 층은 단발성으로, 다른 신들의 실상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에서 야훼를 숭배하는 것만을 강요한다.후에 엑실릭은 6세기 중엽부터 층을 이루며, 특히 제4장에서는 이것이 유일신앙이 되고, 이는 오직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관념이 된다.[62]신은 신전과 하늘에 동시에 존재하는데, 이것은 "이름 신학"이라고 불리는 중요하고 혁신적인 개념이다.[63]
1~4장에서 이스라엘 역사를 검토한 후 5장에 십계명 재작성이 있다.이 자료의 배열은 율법의 제정 이전에 하나님과 이스라엘과의 주권적 관계를 강조한다.[64]
코버넌트[편집하다]
신소학의 핵심은 충성과 복종의 맹세로 야훼와 이스라엘을 결속시키는 언약이다.[65]하나님은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가르침에 충실하기만 하면 땅과 다산과 번영의 축복을 이스라엘에게 주실 것이며, 불복종하면 저주와 벌로 이어질 것이다.[66]그러나 신학자들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주된 죄는 신앙의 결여, 배교다. 첫 번째 그리고 근본적인 계명과는 반대로, 백성은 다른 신들과 관계를 맺어왔다.[67]
딜라드와 롱맨은 구약성경 서론에서 야훼와 이스라엘이 한 민족으로서 맺은 언약의 살아있는 본질을 강조한다.이스라엘 백성은 모세가 단결로서 다루며, 그들의 언약에 대한 충성은 순종하는 것이 아니라, 아브라함과 성립하고 출애굽기 행사가 증명하는 신과 이스라엘의 전존적인 관계에서 나오므로, 신(神)의 법칙이 이스라엘 민족을 구분하여, 신(神)의 고유한 지위를 나타내게 된다.유대 [68]민족이 땅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주신 선물이며, 이스라엘이 이 땅을 점령한 것에 비추어 중신론의 많은 법과 축제, 지시사항들이 주어진다.딜라드와 롱먼은 "이 책에서 동사 '주는 것'의 167배 중 131배에서 그 작용의 주체는 야훼"라고 지적한다.[69]중역학은 토라를 이스라엘의 궁극적인 권위로 삼는데, 이 권위는 왕도 대상이다.[70]
유대교의 주간 토라(Torah) 부분은 신통학서에 수록되어 있다.[편집하다]
- 데바림(Devarim, Deuteronomy 1–3): 족장, 정찰병, 에돔, 암몬 사람, 시혼, 오그, 두 지파와 반 지파를 위하여 상륙한다.
- 바에차난, 신구 3-7: 피신도시, 십계명, 쉐마, 권고, 정복지침
- 아이케프, 디오토노미 7-11: 순종, 땅 빼앗기, 금송아지, 아론의 죽음, 레위 사람의 임무
- Re'eh, Deuteronomy 11–16: 중앙집중식 예배, 식이요법, 십일조, 안식년, 순례자 축제
- 소페딤, 16-21: 이스라엘 자손의 기본 사회 구조
- Ki Teitzei, Deuteronomy 21–25: 민가와 가정 생활에 관한 잡다한 법률
- Ki Tavo, Deuteronomy 26–29: 첫번째 과일, 십일조, 축복과 저주, 권면
- 니차빔, 신토노미 29-30: 언약, 위반, 축복과 저주를 선택하라.
- 바예레흐, 뉴테로노미 31: 격려, 읽기, 쓰기
- 하진누, 신학 32에: 벌, 벌, 절제, 이별의 말
- V'Zot Haberachah, Deuteronomy 33–34의 V'Zot Haberachah: 안녕히 계십시오 축복과 모세의 죽음
유대교와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편집하다]
유대교[편집하다]
신학 6:4–5: "히어, 오 이스라엘(쉐마 이스라엘), 주님은 우리의 하나님, 주님은 하나이십니다!" 유대교의 기본 신조가 되었고, 매일 두 번씩 암송하는 것은 미츠바(종교 계명)이다.`너희는 주 너희의 하나님을 온 마음과 온 영혼과 온 힘을 다하여 사랑하여라' 하고 계속된다. 그러므로 주 너희의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에 대한 중심 유대인의 개념과 그 결과로 생기는 보상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기독교[편집하다]
마태복음서에서 예수님은 위대한 계명으로 디터노믹 6:5를 인용하셨다.초창기 기독교 저자들은 이스라엘 복원에 대한 뉴토노미의 예언을 예수 그리스도와 기독교 교회 설립(루케 1-2, 법 2-5)에서 이행(또는 대체)한 것으로 해석했고, 예수는 18:15(행 3:2223)에서 모세가 예언한 '나 같은 예언자'(즉, 예언자)로 해석했다.사도 바울과 유대교의 정확한 입장은 여전히 논의되고 있지만, 공통적인 견해는 신학(新學)에서 출발하는 미츠바 대신 30:11–14에 그려진 사도 바울이 모자이크 협약의 유지가 예수와 복음(신규약)에 대한 믿음으로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71]
참고 항목[편집하다]
참조[편집하다]
- ^ "Deuteronomy" Wayback Machine Dictionary.com에 2018-06-20 보관.
- ^ 필립스, 페이지 1-2
- ^ 중역학 6:4
- ^ 위로 이동:밀러, 페이지 10
- ^ 위로 이동:크리스텐슨, 페이지 211
- ^ Van Seters 1998, 페이지 15-17.
- ^ 로페, 페이지 1-4
- ^ 티게이, 페이지 137ff.
- ^ Van Seters 1998, 페이지 16.
- ^ 중역학 12:1–28
- ^ 중역학 12:29–31
- ^ 중역학 20:16–18
- ^ 중역학 14:1–2
- ^ 중역학 14:22–29
- ^ 중역학 14:3–20
- ^ 중역학 14:21
- ^ 중역학 15:21, 17:1
- ^ 신소학 15:19–23
- ^ 중역학 16:1-17
- ^ 중역학 16:21–22
- ^ 중역학 22:9–11
- ^ 중역학 22:12
- ^ 신소학 16:18
- ^ 중역학 16:19–20
- ^ 중역학 17:8–13
- ^ 중역학 17:14–20
- ^ 신소학 18:1–8
- ^ 신소학 18:9–22
- ^ 신소학 23:1–8
- ^ 신소학 15:1-11
- ^ 신소학 15:12–18
- ^ 더터노믹 21:10–14
- ^ 중역학 20:14
- ^ 신소학 22:1–4
- ^ 신소학 22:30
- ^ 중역학 23:9–14
- ^ 듀터노믹 23:19–20
- ^ Deuteronomy 23:21–23, 24:6, 24:10–13
- ^ 중역학 24:8–9
- ^ 중역학 24:14–15
- ^ 중역학 24:17–18
- ^ 듀터노믹 24:19–22
- ^ 중역학 19:15–21
- ^ 중역학 22:13–21
- ^ 신소학 22:22–29
- ^ 신소학 24:7
- ^ 중역학 25:13–16
- ^ 로거슨 2003.
- ^ Bos 2013, 페이지 133.
- ^ 소머 2015, 페이지 18.
- ^ 위로 이동:Van Seters 2015, 페이지 79–82.
- ^ 로페 2002 페이지 4-5.
- ^ Pakkala 2009, 페이지 391.
- ^ 데이비스 2013 페이지 101-103.
- ^ 위로 이동:Van Seters 1998, 페이지 17.
- ^ 기사, 페이지 66
- ^ 밴드스트라, 페이지190–191
- ^ 맥콘빌
- ^ 블록, 페이지 172
- ^ 매켄지, 페이지 266
- ^ 볼트먼, 페이지 135
- ^ 로머(1994), 페이지 200-201
- ^ 매켄지, 페이지 265
- ^ 톰슨, 중역학 112번지
- ^ 브뢰게만, 페이지 53
- ^ 래피, 페이지 337
- ^ 필립스, 페이지 8
- ^ 딜라드 & 롱맨, 페이지 102.
- ^ 딜라드 & 롱맨, 페이지 117.
- ^ 보그트, 페이지 31
- ^ 맥콘빌, 24페이지
참고 문헌 목록[편집하다]
번역[편집하다]
코멘터리[편집하다]
- Craigie, Peter C (1976). The Book of Deuteronomy. Eerdmans. ISBN 9780802825247.
- Miller, Patrick D (1990). Deute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664237370.
- Phillips, Anthony (1973). Deuteronom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ISBN 9780521097727.
- 플라우트, W. 건터(1981)The Torah: A Modern 논평.ISBN 0-8074-0055-6
- Miller, Avigdor (2001). Fortunate Nation: Comments and notes on DVARIM.
일반[편집하다]
- Ausloos, Hans (2015-10-22). The Deuteronomist's History: The Role of the Deuteronomist in Historical-Critical Research into Genesis-Numbers. ISBN 9789004307049.
- Bandstra, Barry L (2004). Reading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Wadsworth. ISBN 9780495391050.
- Block, Daniel I (2005). "Deuteronomy". In Kevin J. Vanhoozer (ed.). Dictionary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aker Academic.
- Bos, James M. (2013). Reconsidering the Date and Provenance of the Book of Hosea. Bloomsbury. ISBN 978-0-567-06889-7.
- Braulik, G (1998). The Theology of Deuteronomy: Collected Essays of Georg Braulik. D&F Scott Publishing. ISBN 9780941037303.
- Brueggemann, Walter (2002). Reverberations of Faith: A Theological Handbook of Old Testament Themes. Westminster John Knox. ISBN 9780664222314.
- Bultman, Christoph (2001). "Deuteronomy". In John Barton; John Muddiman (eds.). Oxford Bible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755005.
- Christensen, Duane L (1991). "Deuteronomy". In Watson E. Mills; Roger Aubrey Bullard (eds.). Mercer Dictionary of the Bible. Mercer University Press. ISBN 9780865543737.
- 클레멘츠, 로널드(1968년)신의 선택받은 사람들: 신학적 해석.시리즈로, 종교 서적 클럽 182. 런던: S.C.M. 프레스.
- Davies, Philip R. (2013). Rethinking Biblical Scholarship. Changing Perspectives. Vol. 4. New York: Routledge. ISBN 978-1-84465-727-8.
- 고트왈드, 노먼, Stephen L. Cook에 대한 리뷰, 성서 야훼의 사회적 뿌리, 성서 문학 협회, 2004
- Knight, Douglas A (1995). "Deuteronomy and the Deuteronomists". In James Luther Mays; David L. Petersen; Kent Harold Richards (eds.). Old Testament Interpretation. T&T Clark. ISBN 9780567292896.
- 길리 쿠글러, 쿠글러, 모세가 죽고 백성들이 옮겨갔다 - 신토모니의 숨겨진 이야기
- Laffey, Alice L (2007). "Deuteronomistic Theology". In Orlando O. Espín; James B. Nickoloff (eds.).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ISBN 9780814658567.
- Markl, Dominik (2013). "Moses' Praise and Blame – Israel's Honour and Shame: Rhetorical Devices in the Ethical Foundations of Deuteronomy". Verbum et Ecclesia. 34. 34 (2). doi:10.4102/ve.v34i2.861.
- Mendenhall, George E (September 1, 1954). Covenant Forms in Israelite Tradition. Biblical Archeology 3/17.
- McConville, J.G (2002). "Deuteronomy" (PDF). In T. Desmond Alexander; David W. Baker (eds.).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The Pentateuch. Eisenbrau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04-13. Retrieved 2007-11-02.
- McKenzie, Steven L (1995). "Postscript". In Linda S. Schearing; Steven L McKenzie (eds.). Those Elusive Deuteronomists: The Phenomenon of Pan-Deuteronomism. T&T Clark. ISBN 9780567563361.
- Pakkala, Juha (2009). "The date of the oldest edition of Deuteronomy".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121 (3): 388–401. doi:10.1515/ZAW.2009.026. hdl:10138/328053. S2CID 170672330.
- Richter, Sandra L (2002). The Deuteronomistic History and the Name Theology.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173765.
- Rofé, Alexander (2002). Deuteronomy: Issues and Interpretation. T&T Clark. ISBN 9780567087546.
- Rogerson, John W. (2003). "Deuteronomy". In James D. G. Dunn; John William Rogerson (eds.).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Eerdmans. ISBN 9780802837110.
- Romer, Thomas (2000). "Deuteronomy In Search of Origins". In Gary N. Knoppers; J. Gordon McConville (eds.). Reconsidering Israel and Judah: Recent Studies on the Deuteronomistic History. Eisenbrauns. ISBN 9781575060378.
- Romer, Thomas (1994). "The Book of Deuteronomy". In Steven L. McKenzie; Matt Patrick Graham (eds.). The history of Israel's Traditions: The Heritage of Martin Noth. Sheffield Academic Press. ISBN 9780567230355.
- Sommer, Benjamin D. (June 30, 2015). Revelation and Authority: Sinai in Jewish Scripture and Tradition. Anchor Yale Bible Reference Library.
- Tigay, Jeffrey (1996). "The Significance of the End of Deuteronomy". In Michael V. Fox; et al. (eds.). Texts, Temples, and Traditions: A Tribute to Menahem Haran. Eisenbrauns. ISBN 9781575060033.
- Van Seters, John (1998). "The Pentateuch". In Steven L. McKenzie; Matt Patrick Graham (eds.). The Hebrew Bible Today: An Introduction to Critical Issue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ISBN 9780664256524.
- Van Seters, John (2015). The Pentateuch: A Social-Science Commentary. Bloomsbury T&T Clark. ISBN 978-0-567-65880-7.
- Vogt, Peter T (2006). Deuteronomic Theology and the Significance of Torah: A Reappraisal. Eisenbrauns. ISBN 9781575061078.
외부 링크[편집하다]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Wikiquote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Book of Deuteronomy. |
- 바이블 게이트웨이의 중역학
- Paterson, James Alexander (1911). "Deuteronomy" .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 Jastrow, Morris (1905). "Deuteronomy" .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 유대어 번역:
- 메천-마므레에서의 중역학 (유대인출판학회 번역 수정)
- 디터노노미 (The Living Torah) 랍비 아례 카플란의 번역과 논평은 Ort.org
- Devarim – Deuteronomy (Judaica Press) 번역 [Rashi의 해설과 함께] Chabad.org
- דְּבָרִים Devarim – Deuteronomy (Hebre – English Mechon-Mamre.org)
- 기독교 번역:
- GospelHall.org(King James 버전)의 온라인 성경
- Oremus Bible Browser(새 개정 표준 버전)
- Oremus Bible Browser(승인된 새로운 개정 표준 버전)
- Wikisource의 Deuteronomy(인증된 킹 제임스 버전)
- LibriVox의 중역학 공용 도메인 오디오북 다양한 버전
신소학서
|
||
선행자 | 히브리어 성경 | 성공자 |
기독교의 구약성서 |
'성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3계명 (0) | 2022.05.01 |
---|---|
Maimonides (0) | 2022.05.01 |
Masoretic Text (0) | 2022.05.01 |
호크마주석 (0) | 2022.04.03 |
•Bible Reading Tools (0) | 202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