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최근 수정 시각:
<img class='wiki-image' width='100%'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c4b80ea12eba39ac75fdc6094cfb06ad844bc54347ecedd3c76f3749277dc3f93ee7e3b95237b2718b52a94515528d01b0d5bc7a61a4e217d0d576ad7c6856a05c243e94cf864e6a24eda6b9f38eb3c1?e=1520612770&k=O9P0ybYqxFRggr8diGY5pw' alt='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법조인/목록
관련 문서: 불교/인물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이름 | 우병우(禹柄宇) |
출생 | |
거주지 | |
신장 | 174cm |
아내 | 이민정# |
자녀 | |
경력 | 제29회 사법시험 최연소 합격 |
학력 | |
병역 | |
종교 |
1. 개요[편집]
국정농단 마지막 거물
검찰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는 인물
대한민국의 전직 검사. 인품에 대한 평판은 안 좋으나(아래 '기타' 문단 참조) 사냥개로서는 유능하다는 평가를 받아 # 2015년 1월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었다가 아래 서술된 것과 같은 논란에 휘말린 끝에 결국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책임을 이유로 2016년 10월 말 사임하였다.
간략한 인생사와 성향은 이 기사를 참조. 국정조사에서 "박근혜와 김기춘을 존경한다"고 밝힌 바가 있다. 이로 인해 "리틀 김기춘"이라는 별명이 붙었다.[3]
아래 서술된 것과 같이 수많은 논란에 휘말려 있으나, <신동아> 기자의 논평을 빌리면, "우 수석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온 공직자이자 화제의 중심에 선 인물이지만,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그는 강남 땅 매매와 관련해 몇 마디 한 것 말고는 언론 앞에서 입을 연 적이 거의 없다."[특종] “우병우 사단? 검사 20년 했는데 없다면…” 위 보도는 민정수석 취임 몇 달 후인 2015년 4월 6일 몇몇 기자들과 식사 자리에서 나눈 이야기를 폭로한 것인데, 이를 보면 언론에 대해 '나에 대해 좋은 기사를 거의 안 쓴다' 라며 매우 부정적인 속내를 서슴없이 토로하고 있다. 그런데 평생의 행적, 특히 민정수석이 된 후의 행적을 보면, 아무리 봐도 언론이 좋은 기사를 써 줄 구석 자체가 없어 보인다.
비록 당사자는 아니라지만, 간접적으로 넥슨 게이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등에 모두 연루되어 있는 인물인줄 알았는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전모가 점점 더 드러나면서 그 장본인 중 하나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의 스캔들의 내용 중 가장 심각한 부분이 바로, 민정수석실의 협조가 없이는 일어날 수가 없었던 일이기 때문.
검사로서는 매우 유능했다는 것이 중론이지만, 민정수석비서관으로서는 설령 법적 책임은 없더라도 낙제라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민정수석의 업무인 민심 동향 파악, 사정 및 공직 기강 확립, 법률 보좌, 인사 검증 중 어느 것 하나도 제대로 이루어진 것이 없었기 때문.[4]
끝내 구속을 면한 것은 "혼자 죽지 않겠다"라고 검찰에 으름장을 놓았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법조계에까지 파다하다.[5]#[6] 그런데, 말이 씨가 된다고(?), 이른바 우병우 사단에 대한 대폭적인 좌천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 같이 죽게' 생겼다.... 라기도 뭐한 게, 이 일당이 쌓아놓은 법조계 인맥과 재산 규모를 고려하면, 이 정도로는 '죽는다' 는 표현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2017년 6월 16일 열린 첫 공판에서 '내가 잘못한 것은 하나도 없지만, 정치적 책임은 통감한다.'라는 취지로 말했는데,# 이는 그의 롤모델인 김기춘이 10여일 후 피고인 신문에서 한 진술과 같은 취지의 발언이다. 그러나 그가 이날 공판정에서 "이 자리를 통해 국민들께 깊은 사죄를 드린다"라고 한 말을 진심이라고 받아들이는 국민은 별로 없을 것이다.
2017년 12월 13일 검찰은 우 수석에 대해 3번째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구속에 대한 확신이 있다"며 구속의지를 확신했다.
2017년 12월 15일 오전 1시경 우 전수석에 대한 3번에 걸친 구속영장 끝에 결국 구속되었다.드디어 뚫린 우병우 방패
2. 행적[편집]
2.1. 초년 시절[편집]
1967년 1월 28일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가곡리에서 초등교사 우용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실제로는 1965년생이라는 설이 있다. 84학번인데 1967년 1월생이라는 건, 호적에 출생신고를 늦게 했다는 것이다. 그 뒤 영주시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학창시절부터 장래 희망이 검사였다. 고3 때 담임의 회고에 의하면, “우 수석에게 왜 검사를 하려고 하느냐 물었다. 그는 "정의로운 사회와 부정부패가 없는 국가를 만들겠다"고 당돌하리만큼 또박또박 말했다. 참 독특한 학생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우병우는 어린 시절의 다짐과 달리, 부정부패한 사회와 정의가 없는 국가를 만들었으며, 고3 때의 저 발언도 진정성이 없는 것이었다고 의심받게 하는 일화가 존재한다. 영주고등학교 재학 중, 우병우는 당시 부임한 지 얼마 안 된 교사가 있었는데, "그 교사에게 문제가 있으니 바꿔 달라"고 친구들 몇 명과 함께 이사장에게 직접 가서 요구한 것이다.
결국 이사장이 이 요구를 흔쾌히 들어주어, 교사는 교체되었다. 고등학교에서 명문대 합격생을 많이 배출하면 학교의 위상이 달라지며, 영주고등학교는 사립학교이기 때문에, 이사장으로서도 잘하면 서울대학교 입학도 노릴 수 있는 최상위권 성적을 가진 학생들의 말을 들어준 것이다. 물론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문교부 간부인 조부의 힘도 연관 있는 듯. 이를 그것이 알고 싶다에 제보한 고교 동창이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당시 나도 그렇고 병우도 그렇고 고등학교 때 싸가지가 없었고, 그게 잘못된 거라고 지적해주는 사람이 없었다.
다만, 문제가 있다 싶은 교사의 교체요구는 학생의 정당한 권리라고 볼 수 있기에, 해당 교사가 꼬투리를 잡힌 이유를 알기 전에는 속단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해당 내용을 다룬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이 교사가 왜 꼬투리가 잡혔는지를 정확히 짚고 가지는 않았다. 사립학교는 학생들의 명문대 진학률을 위해서 물불을 안 가리는 공간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교사 채용에 비리가 판을 치기도 하며 능력 미달 교사가 이사장이나 이사회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자리보전을 하는 경우도 흔한 이중적인 공간이라는 점 역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고교 동창의 '우리는 싸가지가 없었다.'라는 발언 또한 이미 우병우가 나쁜 놈으로 밝혀진 후의 인터뷰이니 진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우병우가 고3 이전부터 썩어 있었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에 있어 이 일화의 사용은 다소 부적합하다.
이후 영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학력고사 전국석차 53위의 탁월한 성적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였다. 대학 3학년 재학 중인 1987년, 제29회 사법시험에 최연소 합격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 20세[7]였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나이가 10살 많은 이종걸이 사법시험 기수로 따지면 우병우보다 1기수 후배다. 당시 29회 사법시험 최고령 합격자는 1949년생(당시 만 38살)이었다. 게다가 보통 이런 식으로 이른 나이에 사시 합격한 경우는 대부분 변호사로 바로 빠지기 마련인데, 우병우는 그 경쟁률도 뚫고 검사직에 올라섰다. 사시 합격 후 신체검사에서 고도 근시에 의한 ‘질병 또는 심신장애’를 이유로 신체등급 5급 제2국민역 판정을 받았다.#
1990년 사법연수원 제 19기를 차석으로 수료하고 검찰에 들어가서[8] 주로 특수부 계통의 검사로 활동했다.
어린 나이에 사법고시에 합격하고 재벌집 사위로 장가갔으며 친일파 조부를 두어서 그랬는지, 그의 거만함을 빗대어 목에 깁스를 두른 것 같다고 해서 젊은 시절 별명이 "깁스"였다고 한다. 사실 그도 그런 것이, 대한민국 검사라면 수사권과 기소권이라는 중대한 권한을 전부 가지고 있는 인사다. 또한 1980년대 후반 90년대 초 이 당시에는 검사란 직책은 내무부, 안기부를 제외하면 그야말로 권력의 최정점으로 인식되던 분위기였다.[9]판사는? 지금도 권력의 최정점이긴 하다 그런 사회 분위기에서 우병우는 사법고시 최연소 합격한 당시 수재 중의 수재에 앞날이 보장된 20대 초반의 젊은이였다. 친구들이 대학생활을 하고 있을 때, 그는 이미 기업인들에게 대우받고, 정부 인사들과 술자리를 같이 하는 인물이었다.
검찰 내에서 수사능력만큼은 정평이 났던 우 전 수석이 부천지청장(차장검사급) 시절 평검사 등 후배검사들의 수사력 약화를 지적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지만, 그의 권위주의적인 성향을 보여준다는 증언이 나왔다.
2.2. 검사 시절[편집]
1990년 서울지방검찰청에서 검사생활을 시작했다. 평검사 시절 서방파 행동대장 이양재[10], 대전진술파 두목, 이화여자대학교의료원 수련의 임용과정에서 돈을 받은 피부과장 등을 구속했다. 비슷한 시기 서울 시내 폐수·소음·진동을 배출한 환경오염업체 55곳에 이어 세균폐수를 방출한 을지병원·백병원·차병원·중앙대학교병원을 적발했다.
1992년 8월 대구지방검찰청 경주지청 검사로 부임, 1993년 경주대학교, 서라벌대학교 이사장 김일윤 전 의원을 학교공금 53억 원 횡령혐의로 기소하고, 아파트 감리와 관련해 청탁한 경주시 건축과장 등을 구속하는 등 정권 핵심에 친분이 있는 지역 유지를 수사하다가 창원지방검찰청 밀양지청으로 내쳐졌다고 한다.[11]
그 후 1994년 2월 수원지방검찰청 검사, 1997년 2월 제주지방검찰청 검사를 거쳐 1999년 2월부터는 법무부 국제법무과에서 근무하고, 2001년 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형사6부에 부임했다. 이때 영화배급을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직배영화사 전 대표와 영화사 대표를 구속했다.
2001년 12월부터 2002년 3월까지는 이용호 게이트 특검팀 특별 수사관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 당시 송해운·윤대진 검사[12]와 함께 ‘이용호 게이트 특검’(차정일 특검) 특별수사관 3인방으로 불렸다.
노무현 정부 시절 '대북송금 특검'과 함께 가장 성공한 특검으로 평가받는 이용호 게이트 특검은 당시 신승남 검찰총장의 동생인 신승환을 구속함으로써 신승남 총장의 조기퇴진을 가져왔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70ad9d74b05ae850fdacea0a1e796020f77aeb46376f8c51671a5ad220ba503018e6e19d0c08bd84cb7a64273d5c127886cfadb8a77ad73cfe4b3316e0f55a59163d40e29fe37f3619161f8ce9cab045?e=1523694984&k=t1PAYIlVhkdhfoRszHhsLA' alt='파일:11_11_11_35_SMLn_D003_0_5.jpg'>
영월지청장 시절의 우병우
2002년 춘천지방검찰청 영월지청장으로 부임했고, 2003년 8월에는 서울지방검찰청 부부장으로 올라왔다. 그 시절 이정일 민주당 의원, 이상국 KBO 사무총장을 긴급체포하거나 구속했다. 김충환 한나라당 의원도 소환조사했고, 배기선 열린우리당 의원을 불구속 기소했다. 김광식 전 강원랜드 대표와 권오정 전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이사장, 심기섭 농수산물유통공사 감사 등도 그의 칼날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전·현직 국회의원들과 관련해서는 '봐주기 수사'라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헐값 발행사건 수사에 참여했을 때는 크게 두각을 나타냈다. 이때 삼성그룹은 특수2부 부장검사부터 평검사까지 모든 인맥을 동원해 사람을 붙였으나, 유독 부부장이던 우병우만 삼성그룹 사람들을 절대 만나 주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회자되었다. 결국 신상규(서울중앙지검 3차장)-채동욱(특수2부장)-우병우·박용주로 이어지는 수사진은 2003년 12월 업무상 배임의 공소시효(7년)를 하루 앞두고 허태학·박노빈 전·현직 에버랜드 사장을 전격 기소했다.
당시 공소시효가 끝나기 전에 전환사채 헐값 발행에 직접 관여한 일부 인사들을 '표본'으로 기소해 공소시효를 정지시키자는 아이디어를 낸 이가 바로 우병우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우병우 검사가 수사의 구슬을 뀄다"라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당시 검찰은 '참고인 중지 결정'을 내려 이건희&홍라희 부부를 수사대상에서 제외하는 '중대한 오점'을 남겼다. 어쨌든 이러한 분리기소는 2007년 '1심보다 더 무거운' 항소심 유죄 판결을 이끌어냈다.
2004년 6월 대구지방검찰청 특수부 부장으로 발령받았다. 이용호 게이트 특검 수사 등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특수통 검사'의 길에 접어든 것이다. 이때 대구 유니버시아드 휘장 비리 사건을 수사하며 강신성일 의원, 박주천 전 의원, 김명규 가스공사 사장, 박명환 전 의원 등을 구속시켰다.
2005년 부터는 법무부 법무실 법조인력정책과 과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재직시 한 언론과의 전화인터뷰다. 당시기사 (대략 1분후부터)
2007년 2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부장검사 자격으로 예금보험공사에 파견되어 부실채무기업특별조사단 단장을 맡았다. 2008년 3월에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2부 부장검사로 활약했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장 시절이던 2008년 7월 이명박 대통령의 처사촌 김옥희의 공천 청탁 금품 수수 사건을 수사했다. 이명박 정권이 공식 출범한 지 5개월 만에 일어난 친인척 사건이었다. 결국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을 미끼로 30억여 원을 받은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로 같은 해 8월 김씨를 구속했다. 그리고 김평수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구속했는데, 그 과정은 집요하다 못해 지독할 정도였다. 구속영장이 2번이나 기각된 김평수에 대해 반 년 이상 추가 수사를 벌여 결국 배임수재 혐의로 3번째 영장에서 구속시켰다.
2.2.1. 검사장 승진 탈락[편집]
2009년 1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중앙수사1과장으로 역진하였다.[13] 중수1과장 시절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박연차 로비 사건을 기소를 담당하는 주임검사로서 수사하였다. 이 당시 이인규 중수부장, 홍만표 수사기획관과 함께 수사의 핵심이었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직접 취조하였다. 우병우는 윗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의 고집을 굽히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2009년 5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자살하고 그 여파로 임채진 검찰총장과 이인규 중수부장이 사직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병우는 법무부 법무실 법조인력정책과장 시절 법무실장으로 함께 근무했던 김준규 대전고검장이 신임 검찰총장으로 임명되면서 2009년 8월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 2010년 7월 대검찰청 수사기획관 등 검찰총장의 최측근 요직을 두루 거쳤다.
그러나 김준규 검찰총장이 퇴임한 이후 2011년 8월 인사에서는 검사장 승진에서 탈락해 인천지방검찰청 부천지청장으로 좌천되었다.[14] 2012년 7월에는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가게 되었고 2013년 4월 검사장 승진에서도 탈락하였다.
아무래도 2009년 박연차 게이트 관련해 노무현 전 대통령을 너무 무리하게 수사했던 것이 약점이 되어 2013년 검사장 인사에서 탈락했다는 소문이 당시 파다했다. 검찰 안에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가 너무 심했다"고 인정하는 분위기가 강했다는 얘기다.
한편 그의 검사장 승진 탈락에 대해 ‘너무 많은 재산’이 더 큰 악재였을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았다.# 그리고 그때 우병우 검사장 승진 문제로 우병우를 감찰, 검증했던 당시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바로 조응천 現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조응천 의원은 이후 김어준의 파파 이스등에서 우병우에 대해 "내가 우병우 잘랐다. (선천적 4가지 결핍증은 둘째치고) 노 대통령 강압수사의 직접적 책임이 있는 자이고 야당의 비토가 센데 뭐하러 정치적인 부담을 떠안으면서 우병우를 승진시키냐. 절대 안됨." 하고 밝혔다.
어쨌든 그렇게 검사장 승진인사에서 탈락하자, 검찰을 박차고 나왔다. 나가면서 "승진은 다른 놈 다 시켜주고!"라고 하는 등 매우 억울해 했었다.[15]
2.2.2. 처가에 관한 행보[편집]
검사로 임관한 이후 결혼했는데, 장인은 엘빈 스미스 이상달 정강중기·건설 회장이었다. 이상달은 딸만 넷을 두었는데, 우병우는 차녀인 이민정과 결혼하였다. 이상달은 원래 사채업으로 재산을 쌓아 중기건설업을 시작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씨에 대해서는 " 「장래성」있는 인사들에게 수시로 접근, 친분관계를 쌓은 뒤 요직에 앉으면 인사에 개입하거나 자신의 사업에 비호세력으로 이용해 왔다"는 평이 있다. 그리고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에서 최태민이 우병우의 결혼식에 참석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1993년 이상달이 구속되는 일이 있었다. 장인 이상달은 기흥컨트리클럽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원래 기흥컨트리클럽은 전두환 정부 시절 퇴직 경찰관의 모임인 재향경우회가 사업권을 받아 만든 골프장 사업체였다. 그런데 이 사업 지분의 과반수 이상이 이상달과 그 지인에게 넘어간 것이 드러나자, 1993년 5월 경찰은 이상달이 전직 치안본부장 옥기진 등 경우회 간부에 뇌물을 공여했는지 조사하기 시작했다.
결국 1993년 6월에는 전 치안감이자 경우회 이사인 옥기진이 이상달에게서 다방운영권을 넘겨받아 이익을 챙긴 게 드러났다. 이로 인해 전직 치안감인 옥기진[16] 은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되었고, 이때 우병우의 장인 이상달도 함께 구속되었다. 당시 이상달 회장을 구속한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장은 정홍원 국무총리였다.
1993년 7월에는 이인섭 전 경찰청장 역시 이상달에게 1천만 원을 받았다며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되었다.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21부는 이상달에게 배임 및 뇌물공여죄로 징역 3년형을 선고했는데, 사건 자체가 전직 치안총수가 구속되는 등 큰 파문을 일으켰던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그 주범인 이상달이 달랑 징역 3년형에 그친 것은 검사 사위 우병우가 무마해준 덕이라는 말이 나왔다.
2008년 6월 이상달이 사망하고 2개월 뒤, 아내 김장자와 딸 넷 등은 기흥컨트리클럽의 운영사인 삼남개발의 대주주인 SD&J홀딩스를 설립해, 자신들의 지분을 회사소유로 돌렸고 현재 지분을 각각 20%씩 나눠 가졌다. 우병우 검사의 아내, 처형, 처제들은 강남역 인근의 부동산 1,020평을 상속 받았고, 우병우 검사 부부도 부동산 임대 업체 3곳의 주식을 상속받았다.
2008년 골프장들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 수사했다. 골프장들의 불법행위에 대해서 명성대로 샅샅이 뒤지면서도, 정작 처가의 기흥컨트리클럽에 대해서는 모로쇠로 넘어갔다. 기흥컨트리 클럽 안에는 건축물대장에 직원기숙사로 등록해 놓고 가족이 사적으로 사용하는 불법 별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b0af74497eaafdfde8272646a751e35072792243887114ca7df3462f56a8a71e49800af9b1f4e60830e7a21369b7d3434465e95913242b8e1f29d090d4641291f90354e2ef5051d853aae46e52ae3e84?e=1522496460&k=jJqcUX4hs7Jolv8hkE99vA' alt='파일:external/pbs.twimg.com/CpYDSqpUAAERuXW.jpg'>
처가가 상속세를 납부하지 못하자 부동산들에 근저당이 설정되었고 결국 강남역 부동산을 매물로 내놨다.
2011년 3월 넥슨에 처가의 강남 부동산을 매각했다.(후술)[17]
2.3. 변호사 시절[편집]
2013년 5월 '홍만표 법률사무소'가 10층에 위치한 서울 서초동 오퓨런스 빌딩 1111호에 변호사 사무실을 열었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60dbaa259c480570a60bdd85fd303d9a86ca1f310f17daef2f15b4650b249be7f5f326db8c13366795ceec85628ad7af89344dedb7876011c81bf581c648606a4f5bc7c0811c5b2c6038792af9f62f32?e=1517145600&k=5FXswC2Ee0wbJigKsigx-A' alt='파일:external/img.khan.co.kr/l_2016071901002566100196551.jpg'>
그리고 3년 뒤 조선일보 기자가 바로 이 건물 옥상에 기어올라가 우병우 본인의 황제소환 사진을 찍는 초대박을 터트린다.[18]
이후 홍만표와의 ‘도나도나 다단계 사기사건’[19]과 ‘정운호 전 네이처리퍼블릭 대표 사건’ 등 몰래변론 의혹이 생긴 시점도 이 때다. 검찰은 홍 변호사와 우 수석이 공동 변론한 사건이 2013년 한 해 8건인 것으로 파악했다.
변호사가 된 후 모교가 있는 영주시의 재경 향우회에 얼굴을 내미는 등 정계 진출을 염두에 둔 듯한 행보도 보였다. 그에 대한 검찰 내부의 평가도 썩 호의적이지 않았는데, 특히 변호사로 개업한 후, 후배 변호사들에게도 무시당하는 기분이 들었던 것 같다. 이런 사유로 후일 인사권에 문제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는지도 모른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리고 변호사 활동 때, 수임료 내역을 숨겨 탈세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변호사로 활동했던 2013년 ~ 2014년의 1년간 62억 순소득을 벌었다.
효성그룹 조석래 회장의 차남 조현문 전 부사장과 그의 형 조현준 사장의 ‘형제의 난’ 관련 민사사건을 수임하고도 해당 내역을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2014년 뇌물 공여 혐의 사건 등 검찰의 내사 단계에 있던 최소 3건을 수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통상적으로 내사는 수사기관이 최대한 은밀하게 범죄 혐의 추적을 시작하는 단계여서 피내사자가 본인이 내사를 받는다는 사실을 알기가 어렵다. 그래서 우 전 수석이 어떤 경위로 이 내사 사건을 수임하게 됐는지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또, 변호사로 개업하자마자 2년 전 자신이 수사했던 사건의 핵심 피의자가 관련된 사건을 수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2.4. 민정비서관 시절[편집]
청와대 7시간 의혹이 불거지고 민정수석실 조응천 공직기강비서관이 해임된 후인 2014년 5월 대통령비서실에 민정비서관으로 들어왔다[20]. 그 과정에서 인사검증 결과 '불가' 판정을 받았는데 안봉근 제2부속실 비서관의 압박으로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평가 점수를 높여 준 것으로 드러났다.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을 공개했는데, 총재산액이 423억 3,230만 원이나 되어 화제가 되었다.[21] 재산 대부분은 골프장을 운영하던 장인 이상달 회장[22]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서 일하면서 김기춘 비서실장으로부터 높은 신임을 얻었다. 청와대 문건유출사건 등 까다로운 일들을 무난히 마무리한 덕분이었다.이때 상관인 김영한 민정수석을 제치고 김기춘 실장에게 직보하는 일이 잦았다. 호랑이를 키웠네 이 때문에 김영한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원회 증인 출석을 거부한 뒤 사퇴하는 등 '항명사태'를 일으킬 정도였다.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조직을 다잡고 일을 밀어붙이는 기질 면에서 김기춘과 우병우 두 사람은 닮은 점이 있다”고 하였다.
2.5. 민정수석비서관 시절[편집]
2015년 1월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승진했다. 민정수석은 대통령 친인척을 관리하고 공직자 사정을 총괄하는 막중한 자리다. 휘하에 민정비서관, 공직기강비서관, 법무비서관, 민원비서관 등 4명의 비서관을 거느린다. 이들 비서관 밑에는 검찰·경찰은 물론이고, 감사원·금감원·공정위·기무사·행자부 등 사정 관련기관의 최정예 인력이 파견된다.
이로써 노무현 정부 시절 전해철 민정수석에 이어 40대 민정수석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민정수석 보다 직급은 한 등급 위지만 권한이나 위상은 비슷한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으로 재직한 사람들이 당시 황교안과 김진태인데, 이들보다 10살 넘게 어린 나이로 민정수석이 된 셈이다.
당시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소년등과(少年登科)를 해서인지 검사 때부터 추진력은 있으나 너무나 당돌해 반대세력이 많았다"라며 "하지만 청와대에서는 '잘한다'는 평가가 많고, 실제로 청와대 실세로 평가받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 당시 대구광역시 출신인 김수남이 대검 차장에 임명되고, 경북 청도군 출신인 박성재가 서울중앙지검장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청와대 민정수석-대검 차장-서울중앙지검장'이 모두 TK(대구경북) 출신에 의해 장악되었다는 말이 나왔다.[23]
2015년 2월 검사 관련 인사들은 우병우 라인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대해 정의당 노회찬 의원은 편법으로 우병우의 측근들을 청와대에 근무시킨 후 검찰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5년 3월부터 김기춘 실장이 기획한 박근혜 정부의 이명박 정부에 대한 사정을 주도했다. 다만 두 사람이 직접 앞에 나서기는 어렵다는 판단 하에 이완구 총리에게 총대를 메게한다. 이완구는 '부패와의 전쟁'이라는 명목으로 2015년 3월 12일 포스코 사정을 시작으로 1주일 뒤 자원외교 비리와 관련해서 경남기업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인다. 그러자 경남기업 회장 성완종은 백방으로 탄원하다가 끝내 자살하고 만다. 결국 성완종 회장이 자살하면서 뇌물 리스트를 남겨 김 전 실장과 이 총리의 경우 도리어 곤혹스러운 입장에 빠지게 되었다.관련기사 자원외교비리 관련 수사가 성완종 리스트로 인해 친박계로 번질 조짐을 보이자 몇몇 친이계 인사들에 수사만 집중적으로 벌리고 흐지부지 마무리 하는 모습을 보인다.
김기춘 실장의 후임으로 이병기 실장이 임명되었으나, 온건파인 이병기 실장을 제치고 강경파인 우병우 민정수석이 득세한다는 소문이 나돌더니, 결국 이병기 실장은 20대 총선 후 2016년 5월부로 사임한다.
2015년 봄 메르스(MERS. 중동 호흡기 증후군) 사태 당시, 감염을 피하려 가족들을 미국으로 도피시켰다. 당시는 박근혜 정부가 "괴담 유포자를 처벌하겠다"고 엄포를 놓던 때였다. 비서실장 이원종은 2016년 10월 21일 이에 대해 도의적인 문제이지 법률적인 문제는 아니며, 메르스를 피해 가족을 외국으로 보낸 것은 개인의 '행복 추구권'에 해당한다고 답했다.
2016년 4월 20대 총선은 야권의 분열로 새누리당이 국회선진화법에 따라 직권상정을 할 수 있는 최저 의석수인 180석을 차지할 거라는 꿈을 깨고 여소야대의 형국을 받아들게 되었다. 이런 뜻밖의 상황에 가장 당황한 사람들 중에 하나가 바로 청와대였는데, 그 전에 미리 짜두었던 계획, 즉 180석 이상 차지해서 무소불위로 밀고 나가려던 계획이 완전히 꼬여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들의 계획대로 되었다면, 국민들은 최순실이란 이름을 들어볼 일이 없었을 것이다.[24]
이후 현실 적응이 되지 못한 반응들을 계속 보이기 시작했다.
2.5.1. 의혹 제기와 논란[편집]
2016년 7월경부터 각 언론에 의해 우병우 민정수석의 비리가 연쇄적으로 폭로되면서 사방팔방으로부터 사퇴압력을 받았다. 그러나 박근혜는 몇 달에 걸치는 기간 동안 우병우를 옹호하였고, 심지어는 "국기문란"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면서 우병우를 보호하였다. 그리고 우병우 자신 역시 2016년 10월 20일 자신과 관련한 각종 의혹에 대해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 하지 않을 일에 대해서 의혹이 제기됐기에 책임지는 게 맞지 않다”며 사퇴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2016년 10월 26일 최순실의 국정농단 사태가 사실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청와대 내부에서 비서진 총사퇴 카드가 나왔다. 그러나 안종범과 우병우 두 사람이 강력하게 반대했다.
그러다가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10% 초반대까지 떨어지자, 2016년 10월 30일 안종범 정책수석 등과 함께 경질되었다. 그 다음날 텔레그램에 가입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카카오톡 사찰 논란 당시 텔레그램을 싫어했던 사람들이 텔레그램을 쓴다는 것에 조롱과 비웃음이 난무했다.
그리고 재산공개 되자마자 자신의 BMW 530i 차량을 처분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외에도 우병우의 가족은 제네시스 G80(우병우의 아내가 주로 사용했다고 하며, 우병우가 청문회 등에 출석할때 의전용으로 사용했던 차량이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우병우가 주로 사용. 마세라티의 플래그십 기함), 포르쉐 911과 포르쉐 파나메라('코너링' 논란으로 유명해진 우병우의 아들이 주로 사용) 등 고가의 고급 차량들과 미니밴인 기아 카니발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두 우병우가 거주하는 압구정 현대아파트에 우병우의 동호수로 등록되어 있는 차량이다.
같은 아파트 주민의 말에 의하면 포르쉐는 주로 우병우의 아들이 타고 다녔다고 하며, 제네시스는 주로 부인인 이민정이 타고 다녔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청문회에서 포르쉐와 레인지로버는 본인 집의 소유가 아닌 처제 집의 차량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비밀 감찰조직인 삼청동을 운영했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1f3003128c12d5027bf5bdb9c676dba1a42f8fcc84fbb2a98a27c5d6c69ee22c8272374bc7612f68445431915031d74ae30a772931bc70e56ac660bd13fb06d7ebeaef3d6b25ddcbf36ae1fffc7110ff?e=1520780390&k=orOiv27hzKHSRP2BfLrUxg' alt='파일:external/imgnews.naver.net/NISI20161106_0012364292_web_99_20161106142603.jpg'>
근 수십 년간 볼 수 없었던 언론의 공격 화력을 집중하는 대상이 되었다. 김기춘을 JTBC가 공격한다면, 우병우는 조선일보가 집중공격하는 모양새다. 대체 뭔 짓을 하고 돌아다녔으면...
2.5.2. 피의자 신분[편집]
2016년 7월 18일 조선일보에서, 2011년 경 넥슨에 부탁하여 처가 부동산을 매입시켰는지 모른다는 의혹 기사가 게재되었다. 청와대 측은 이에 대해 즉각 반박 성명을 내고 조선일보를 상대로 고소를 시전했다. 그리고 <TV조선>은 윤상현 의원의 공천개입의혹 녹취록을 폭로했다.
사건 개요 : ‘말죽거리 잔혹사’ 선도부장 우병우, 반장 이석수
22일 대통령 직속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조사에 착수하겠다는 뜻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달하면서, 특별감찰관제 도입 이후 감찰 첫 번째 대상자가 됐다. 이에 우병우 수석은 "주말만 지나면 여론이 잠잠해질 텐데 왜 특별감찰로 사건을 키우느냐"며 강력히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특별감찰은 재임 시절 벌어진 일들로만 국한되기 때문에 논란의 핵심인 처가 부동산 문제 등이 감찰 대상에서 벗어나자 검찰 조사 전 시간 끌기 아니냐는 논란이 빚어졌다.
2016년 8월 17일 MBC에서 이석수 감찰관이 감찰 내용을 특정 언론사에 누설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청와대는 바로 다음 날 정작 우 수석의 구설수에 관해서는 아무런 입장 표명도 하지 않은 채 "특별감찰관이 감찰결과를 유출했으며 이는 국기문란이다"라는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청와대의 반응에 대해 주요 언론사들은,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개소리 하지 말라는 사설들을 내었다. 아래 사설 제목들을 살펴보면, 보수와 진보를 넘어서 청와대의 반응에 강한 비판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선에 따라 논조가 심하게 갈리는 우리나라 주요 언론사들이 일치된 내용의 사설을 낸다는 것은, 그만큼 여론이 엄중하다는 사실의 방증이다. 특히 문화일보는 특별감찰관이 감찰결과를 유출한 것을 비난하는 사설도 내었지만, 그런 문화일보조차 청와대를 성토하는 데에는 예외가 아닌 실정이다.
"검찰, ‘우병우 비리’ 수사 더 미적댈 이유 없다"(한겨레),
"범죄 혐의 포착된 우병우 수석 즉각 경질해야"(한국일보),
"피의자 된 우병우, 자기 수사 지휘하는 저질 코미디 할 건가"(경향신문),
"검찰, 수사 의뢰된 '우병우 의혹' 철저하게 밝혀야"(중앙일보),
"이석수 특감이 검찰 수사 의뢰한 우병우 수석 사퇴가 도리"(세계일보),
"우병우 민정수석, 즉각 사퇴하고 검찰 수사 받아야"(동아일보),
"대통령 최측근 우병우 수사 의뢰, '政權 도덕성'에 치명적 상처"(조선일보),
"우병우 수석, 검찰 가기 전 거취 밝히는 게 옳다"(서울신문),
"靑 ‘李특감 공격’은 本末 뒤집는 ‘우병우 감싸기’다"(문화일보).
청와대의 반응에 압박을 느낀 이석수 특별감찰관 측은 아래 논란 중 민정수석 시절의 일인 아들의 '꿀보직' 전보 논란, 가족회사 논란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다. 민정수석의 비재임시 의혹에 관해서는 투기자본감시센터에 의해 고발되었다.(자세한 고발 내용) 또한 MBC가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제3자 유출이나 해킹 등 불법이 저질러졌을 가능성에 대한 수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서석구가 대표로 있는 대한민국수호천주교인모임이라는가짜 천주교 신자 모임[25] 보수단체는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특정 언론사 관계자에게 감찰 내용을 유출했다는 의혹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2013년 10월 결성되었는데, 친박인사들이 발기인으로 참여한 단체여서, 그 실체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대한민국수호천주교인모임, 알고 보니 ‘친박’ 인사들 모임?
이에 대해 여당인 새누리당에서마저 "수사를 지휘해야 하는 민정수석이 수사를 받을 수는 없지 않는가" 하는 지적을 하면서 우병우 수석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고, 야권에서는 검찰 곳곳에 '우병우 라인'이 깔려 있어서 제대로 수사가 진행되지 않을 것임을 지적하였다.
결국 우병우와 이석수 양측을 수사해야 하는 처지가 된 검찰은 사건 배당도 하지 못한채 특검요청까지 고려하다가 8월 23일에야 특별수사팀을 구성하기로 결정한다. 더불어 민주당 금태섭 의원은 이에 대해 "예를 들어 검찰이 어떤 사건 수사를 하다가, 피의자 편에 있는 시민단체가 검사를 직권남용 등으로 고발한 사건이 있다고 치자. 그러면 피의자와 검사를 같은 수사팀이 수사하나? 이건 말이 안 된다. 전형적 물타기다." 라는 지적을 했다.
8월 24일 윤갑근 대구고검장을 특별수사팀장으로 임명했다. 윤갑근 검사에 대해서는 '국정원 증거조작사건'과 '정윤회 문건수사' 등의 사건에서 정권에 면죄부를 던져줬다는 평을 받은 바가 있으며 우병우 전 수석의 사법연수원 동기이며 황교안 총리의 대학교 후배라는 점에서 이 사건의 적임자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이와 별도로 24일 오후 참여연대가 우 수석을 공무집행방해죄와 뇌물죄, 업무상 횡령, 조세포탈 혐의로, 부인과 처가 식구들을 업무상 횡령 및 조세포탈,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위반 등 혐의로 대검에 고발했다.
그리고 28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에게 일괄 사표 제출을 지시했으며, 이틀 후인 30일에 결국 사표가 수리되었다.
현재 계좌추적 중이며, 11월 4일 소환통보를 할 예정.
앞서 우병우의 부인 이민정에 대하여 땅 차명 보유·횡령 의혹을 조사하기 위한 검찰 출석 요구가 2차례 있었으나 깔끔하게 불응하고 있다가 우병우가 사퇴하고 검찰이 체포영장 청구를 검토하자, 30일에 비공개로 출석하여 조사를 받았다. 전 국민의 이목이 집중된 사건임에도 비밀스럽게 조사를 받았고, 하루가 지난 다음에서야 조사사실이 알려졌다.
현재 최순실 외 기타인들의 국정농단을 방조한 직무유기 피의자로 입건됐다.
2.5.3. 소환, 그리고 논란[편집]
검찰의 Alpha male[26]
우병우는 드디어 2016년 11월 6일 횡령 및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출석했다.
원래 공개 소환을 거부하였고 검찰이 이를 수용하였으나, 비난 여론이 커지자 결국 공개 소환이 되었다. 비공개 소환 요청이 없었다는 짤막한 기사가 나오기는 했으나 그걸 믿을 사람은 이제 없다. 청사로 들어가기 전 기자들이 몰려 질문을 했는데, "검찰조사에 성실히 응하겠다"라는 말만 반복했다. 사실 이 때의 기자들의 질문도 대부분이 답정너 식이라 문제가 있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768ba5d6c6080590a30a38b95e1273bbb0fd90618c3294deb51c208896170ff8a6be95d8de6130e79be4f85206c3f1f55222e16d6b02a074f60d0751dbbdae541a58bd9e95d2ebc865a3b5ad8e3a4f50?e=1523786301&k=EEcBz3nSseypG8N-RRvBxQ' alt='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6110607370001300_P4.jpg'>
그러나 문제는… 화면 좌측에 있던 여기자[27]가 가족회사 관련 의혹 질문을 꺼내자 눈을 감고 한숨을 쉬며 도리어 노려보는 모습이 그대로 방송을 탔고(위 영상 20초부터 보면 된다), “들어갑시다”라고 하는 등 뻔뻔한 태도를 보여 국민들의 공분을 샀다.
그의 지인들의 평에 따르면 '잘 모르는 사람이 볼 때는 황당하거나 생경할 수 있지만, 우 前 수석의 평소 모습이 그렇다', '우 전 수석의 평소 모습에 비하면, 출두할 때의 모습은 엄청 자제하고 참은 것'이라고 밝혔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aef1d0756cc9e4f31f19f290403b30fda2a21ce8bde7bd865e37131916500fd3bddf9808b3d0c143e9757c393148e8aff416775d0ffd4bc6673e99b222924c7d4e7ae79608242a068948ff0b3cc899f7?e=1519714350&k=qgRmKI2f1ttY6YdaytiJEw' alt='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6110701657_3.jpg'>
11월 6일 오후 9시 25분경, 검찰 조사 장면이 포착되었는데, 과연 황제소환이라 할 만한 모습 그대로, 후배직원들과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보이면서 제대로 된 수사를 전혀 받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관련 기사)[28] 조사 중 휴식 시간의 모습이라 추정되지만, 검찰의 위상을 생각해본다면 일반인이 조사받을 때 볼 수 없는 광경을 찍는데 성공한 것이다.
검찰의 대선배님이 서 계시니 후배 검사들도 공손히 일어서 있는 모습에서, 검찰 내 그의 위세를 알 수 있다. 더욱이 취재기자에 의하면, 오른쪽의 검사와 수사관은 "처음엔 앉아 있다가 우병우가 다가오자 벌떡 일어나 두 손을 모으고 서 있었다"고 한다. TV조선 단독 동영상으로 재구성한 우병우 팔짱.
비정규직에다가 베테랑도 아니고 27살 어린 나이의 2년차인 고운호가 조선일보의 객원기자 신분으로 보기 드문 특종 사진을 찍었는데, 과연 "백만 꼭지 글보다도 사진 1장이 갖는 힘이 크다"라는 덕담을 들을 만 하였다. 여담으로 이 사진을 찍은 고운호 기자는, 11월 21일부로 객원을 떼고 정기자가 되었다고 한다. 취재기 취재 기자 인터뷰 우병우 찍은 위치, 카메라 가격 등[29] 취재기자 TV조선 출연이후의 결혼 사진도 이 구도를 패러디해서 연출했다고. 고운호 본인으로서도 이 사진으로 기자로서의 명성을 얻게 되었으니 감회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문제의 장면에 관해 검찰의 해명은 "조사 중 잠깐 휴식을 취하는 장면이 촬영되어 오해를 불러 일으킨 것"이라는 것이었고, 우병우 본인도 "휴식 시간 때 그랬던 것"이라고 청문회에서 말했다. 그러나 법조계 관계자들의 평은 "정부 고위직 출신이나 유명인사들이 검찰에 소환될 경우, 조사하기 전 부장검사실에서 차를 마시는 경우는 가끔 있다. 그렇지만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경우처럼, 조사를 받던 중 휴식을 취하면서 팔짱을 끼고 여유 있는 모습으로 휴식을 취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라고 한다.
결국, 김수남 검찰총장은 '황제 수사' 비난여론을 자초한 특별수사팀(팀장 윤갑근 대구고검장)을 강도 높게 질책하고, 특별수사팀이 아닌 특별수사본부가 직접 우 전 수석을 추가로 조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특별수사본부가 법무부에 출국금지를 요청하였고, 신분도 조사대상에서 수사대상으로 전환되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우병우 특별수사팀 공보관인 이헌상 차장과 최순실 특별수사본부의 공보관인 노승권 1차장의 오늘 오후 법조기자 브리핑에 의하면, "양쪽 수사팀은 검찰총장으로부터 황제소환에 대해 질책을 받은 적도 없고, 총장으로부터 직무유기혐의를 수사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도 없는 것 같다"는 전언이 다시 나왔다. 11월 8일 현재 우병우의 위세는 건재하다는 이야기다.
이후 국회청문회에서 위의 행동은 추워서 팔짱을 낀 거라고 한다...만 과연?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9824b9bc439d587d7e69f11d2bc1cfc20aecb6c87ba27d9a0d0c3e0270d0db92991b36560b12a655a19f25984f9d935ec49d579d7a1a645337a0aa522f28817e4a5a6aeeb2ea6f4b88e21633817dcb89?e=1517170720&k=CfIqyF7IUqil9wNUoy8CxQ' alt='파일:external/imgnews.naver.net/0002572279_001_20170221110917402.jpg'>
그런데 또 이번에 서울중앙지법에서 또 기자를 노려봤다.
검찰 출석 때 여기자를 노려본 것에 대해 국회 청문회에서 "그 여기자 분이 갑자기 가슴 쪽으로 다가와서 뭔가 크게 질문해 놀랐다. 갑자기 저도 상당히 당황했다."라며 노려본 것이 아니라고 해명(?)한 바 있으나, 영장실질심사 때 남기자를 노려보는 모습도 표정이 그 때와 똑같다.
2.5.4. 자리를 지킨 이유[편집]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기 전까지 무려 3달 반 동안 사퇴압력을 버텨냈다.
의혹만으로도 10번은 더 잘려나갔어야 정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처음 의혹이 제기된 2016년 7월 18일부터 10월 30일까지 거의 15주 정도를 잘리지 않고 그대로 있었다. 위의 의혹들이 모두 무죄라 하더라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패배와 연이은 부실인사만 하더라도 충분히 자진사퇴했어야 정상인 상황이었다.
초반에는 전원책 등의 정치평론가들도 얼마 가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고[30],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은 사퇴를 요구했고, 처음에는 관망 혹은 두둔하던 여당인 새누리당마저도 온갖 의혹이 밑도 끝도 없이 나와서 이리저리 연계되자 우병우의 용퇴를 조용히 타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병우는 멀쩡했다. 보통 사실관계 여부과 관계없이 우병우 의혹의 반만 되어도 사퇴하고, 한두 건 정도에도 우선은 사의를 표하든 사과를 하든 반성하는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게 보통이다.
각 사안별 수준도 위장전입이나 단순 부패 수준이 아니라, 당대에 불거진 정재계 연계에 다 한 다리씩 걸쳐 있고 매우 규모가 크다. 2016년 8~9월 현재 대한민국 정치계에서 가장 큰 떡밥인 정운호 게이트와 넥슨 게이트에 동시에 연관되어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정도면 정권 실세고 국회의원이고 못 버티는 게 정상이다.
당장 성완종 게이트 당시를 생각해보자. 대통령의 측근이자 직전 여당 원내대표(의원직도 유지 중)이며 여야에 두루 인맥을 두고 있어 거의 무적의 방어력을 지녔던 이완구 당시 국무총리도 잘려나갔다. 아니, 잘려나간 수준이 아니라 정치적 사망선고를 받았다. 이 때는 이완구 전 총리의 어그로도 영향이 컸지만, 우 수석의 경우 훨씬 큰 레벨의 사건에, 그것도 2개나 걸쳐 있다.
하지만 우병우는 사과 없이 침묵하였고 기사 #를 보면 알겠지만 청와대는 국기문란이라는 표현을 쓰면서까지 우병우를 보호하였다. 청와대가 얼마나 강경했던지 새누리당도 우병우 보호로 돌아섰다.
그렇다면 우병우 수석을 보호해서 얻는 정치적 이익이 있었는가? 없었다. 애초에 의혹이 벌어진 초반에 진작 사퇴했으면, 이렇게 양파처럼 까이진 않았을 것이고, 그냥 해프닝 정도로나 끝났을 일이었다. 잠깐 지지율이 떨어지긴 했겠지만, 시간이 약이라고 곧 회복했을 것이며, 연이은 북풍 덕분에 결과적으로는 오히려 지지율이 올랐을 수도 있었다.[31]
우병우 수석이 유례 없을 정도로 오랫동안 건재했던 이유는 몇 가지가 꼽힌다.
- 청와대의 사정라인 장악 유지
검경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고, 이곳 인사에 중요 역할을 한 우병우 수석이 없었으면 청와대가 사정라인, 즉 검경계에 미치는 힘이 약해졌을 거라는 것. 실제로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 출신인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검찰이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불법, 비리 의혹을 제대로 수사하지 못할 것"이라며 "문제는 (우병우에게) 인사권이 있냐 없냐가 핵심"이고 "우병우 수석은 검찰 및 사정기관 인사에 막강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행사해 왔기에, 우 수석이 민정수석 자리를 지키면 검찰 수사는 해보나마나일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하지만, 이후 지지율을 생각하면 일찌감치 잘라낸 게 더 이득이었을 것이다. 국정장악 역시 레임덕 방지에 중요하지만, 지지율은 더 중요하다. 대통령이 국정을 아무리 잘 장악해봐야 임기 끝나면 자연인이다. 따라서 재집권할 확률이 높아야 공무원들이 더 적극적으로 반응하게 되고 레임덕도 방지할 수 있을 터이다. 박 대통령은 '우병우 지키기로 잃는 장악력'과 '우병우 버리기로 잃는 장악력' 사이에서 치킨게임을 했었는지도 모른다.
-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인사권을 비롯한 권력행사 의지
논지를 펼치기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박 대통령은 처음 수석 대변인으로 뉴데일리에 문재인 당시 후보에 대해서 온갖 모욕적인 논설을 쓴 윤창중을 임명해서 지지자들마저 경악하게 했다. 결국은 미국에 가서 사고치고 짤렸다.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윤진숙 전 장관을 임명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윤 전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보호를 해야하는 새누리당이 빡쳐서 털어버릴 정도로 수준미달이었던 인물이다. 야당의 반대에 대해서 새누리당도 차마 동의해달라고는 못하고 청와대에 불가하다고 알렸고, 인사청문회 보고서는 미채택 되었다. 하지만 청와대는 윤진숙을 적극적으로 감싸면서 임명을 강행했다. 그리고 이 사람마저 짤렸다 우병우 사태 이후에는 조윤선, 김재수 장관 인사 청문회도 부적격이 되었지만 전자결재로 임명을 강행했다.
사례에서 보듯이 박근혜 대통령은 인사권에 있어서 주변의 의견, 국회의 동의나 청문회 절차라는 것을 몹시 불쾌해 하고 불필요하게 여긴다. 그리고 외부의 시선이나 청문회 결과와 상관없이 인사권을 실행하는, 좋게 말하면 의지가 강하고, 나쁘게 말하면 독단적인 인사스타일을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있어서 인사권에 대한 침해는 받아 들일 수 없는 것이고, 그게 특히나 청와대에 속한 사람이라면 박근혜 대통령 자신의 인사권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했을 수도 있다.
특히나 여소야대 정국에서 야당의 공세로 청와대 비서관이 짤리는 모양새가 되면 레임덕이 가속화될 것이 뻔하기에 권력을 틀어쥐고 끝까지 가려는 성격상 우병우에 대한 공격을 박근혜 대통령 자신에 대한 공격으로 여기고 버텼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청와대는 '국기문란' 운운하면서 우병우를 보호했다. 아무리 권력자라고 한들 일개 비서의 비리 의혹 제기를 '국기문란'이라고까지 여기는 것은 비정상적인 일이다. 그러나 권위적인 박근혜 정부의 관점에선 청와대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높다.
- 우병우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의 약점을 알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음모론 (이는 소수의 의견으로 보인다.)
유시민 전 장관의 경우, 박 대통령이 '자르고 싶어도 못 자르는 것 같다'고까지 추측하기도 했는데,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그 의혹이 더 심화되고 있다. 해당 의혹 이후 추가적인 폭로들과 함께 지나치리만큼 온갖 권력을 몰아준 점이 밝혀지고 보호하는 모습이 보이면서, 아예 박근혜의 일가친척보다 더한 비호와 총애를 받는 점을 들어 "뭔가 수상한 관계가 아니냐"는 비이냥이나 의혹까지 조심스레 나오고 있는 지경.
- 최순실과의 연관성
이 의혹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본격적으로 점화되면서 생긴 의혹으로, 최순실은 박근혜 대통령 배후에서 모든 것을 조정했다는 강한 의혹을 받고 있으며, 인사권 또한 깊숙히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우병우 수석의 거취는 박근혜의 의지가 아닌 최순실의 의지로, 최순실이 우병우의 사퇴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리가 유지되었을 가능성이다.
또한 우병우 수석의 비리논란은 박근혜 대통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미르 재단 건을 덮기 위한 방패막이로 의심되기도 한다. 시사팟캐스트인 '시사통 김종배입니다'의 "[이슈통] 최순실과 2개의 시점" 에피소드는 한겨레 보도의 검찰 관계자의 진단을 인용하면서 우병우 수석의 문제가 불거질 때 “청와대로서는 우병우 수석의 비리 보도가 고마웠을 수 있다."며 미르 재단에 대한 관심을 우병우 수석 사건으로 덮을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한마디로 우병우 비리는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유도탄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재단문제와 우병우 비리 둘 다 제대로 터지고 말았다.
한편, 현재 보여주는 어마어마한 위세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우병우에 대한 수사는 잘 될 것이라는 전망이 다음과 같이 언론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었다.[32]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11월 2일) <김어준의 파파이스>에 출연하여 우병우 수사에 대해서, “그건 잘 될 겁니다. 끈이 떨어졌으니까”라고 간단명료하게 답했다.
조응천 의원은 그의 페이스북에 "愚의 황제소환에 대해 너무 질책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년 전 청와대문건 유출사건으로 제가 중앙지검 수사를 받을 때는, 20년 정도 후배 검사가 제게 "어이 조응천 씨"라고 부를 정도로 기개가 있었습니다. 愚가 확실히 끈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검사도 "우병우 씨"라고 할 겁니다. 너무 걱정 마시고 좀만 기다려 봐주시죠"#라고 하였다.
또한 특히 채동욱의 '수사 잘 될 거다. 끈 떨어졌으니까'라는 간단명료한 이 발언이 파파이스-한겨레 중심으로 인터넷상에 화제가 되면서 2016년 11월 극초반만 해도 '우병우 바로 털리나?'라는 언론들의 보도와 대중의 기대가 많았으나, 며칠이 지난 뒤 상황은 조선일보가 역대급 명장면의 특종을 냈고 난리가 난 것처럼 모두가 알다시피… 자리에서 나와서도 사람들의 기대와 달리 우 황제라는 별명까지 얻던 청와대의 핵심실세는 채동욱 전 검찰청장의 생각과는 달리, 아직까지도 끈이 탄탄한 살아있는 권력 그 자체인 것이었다.
채동욱의 말을 빌린 2일의 기사 이후 벌어진 기막힌 상황과, 그 이후 김정필 기자와의 인터뷰 형식의 이후의 한겨례 기사(11월 8일) 또한
-조사실에서 팔짱 낀 사진 화제.
“수사만 20년 넘게 했으니 조사실이 그리 불편하지 않았을 거예요. 까마득한 후배 검사들도 자기 손길 거친 사람들이고. 아쉬운 건 상황인식이죠. 우병우도, 맞은편 검사도 그러고 있을 때 아니잖아요. 공분 사기 충분하죠.”
-구속돼 수의 입어도 뻣뻣할까요?
“모르죠. 근데 검찰이 제대로 조사할지 의문입니다.”기사
모든 의혹에 대해서 우병우는 모두 전면 부인했다.기사
3.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건[편집]
사실상 진 최종보스
최순실이 박근혜와의 친분 관계를 이용해서 나라를 지 맘대로 주무른 국정 농단 사태가 있었을 때, 우병우는 대통령과 측근의 비리를 감시해야 할 민정수석비서관이었다. 그런데도 "최순실을 몰랐다"라는 무능한 바보를 연기하며 법적 책임을 회피하려고 시도했다.
국민의 개가, 주인인 국민의 말을 듣지 않고, 오히려 주인을 마구 물어대는 것을 사실상 방조하고 도운 역적 패당의 실질적인 진정한 흑막이다.[33] 주권자인 국민의 뜻에 반해, 절대다수의 선량한 국민들을 우롱하고 속이며 나라의 온갖 폐단들을 가져왔으며, 그러면서도 알량한 기지로 받고있는 혐의는 모두 부정하면서, 응당 마땅히 치러야 할 죗값은 미꾸라지처럼 이리저리 피해다니는 인면수심의 극치며, 또한 일련의 행위들이 티끌만이라도 국민과 국익을 위한 이유였다는 명분이나 변명조차도 되지 않는, 본인과 주위의 소수만을 위했던 탐욕이라는 점에서 변호의 여지가 없을 절대악 그 자체. 사실 이런 인간이야말로 박근혜, 최순실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 처단해야 할 적폐 0순위임에도, 제대로 된 구속조차 쉽지 않은 상태다.
국회 청문회 증인으로 소환되었지만, 소환서를 받지 않고 피해다니다가 논란이 되었다. 논란 문서 참고.
결국, 국민 여론을 못 이기고 제5차 국정조사 청문회에 참석했지만, 모든 혐의를 부정하는 뻔뻔스러운 태도와 불리한 것은 기억이 안 나는 모르쇠, 유리한 대목만 기억이 나는 '선택적 기억상실'로 국민적 비난을 받았다.
법적으로는 민정수석으로 최순실의 국정농단을 몰랐거나 알면서도 묵인했다면 직무유기죄에 해당하고, 세월호 7시간에 개입한 의혹이 있는데 사실이라면 직권남용죄가 적용되고, 청문회에서 알고 있는 사실과 다른 증언을 한 위증죄, 덤으로 증거인멸죄 혐의가 있다.
3.1. 특검 수사[편집]
3.1.1. 잠적[편집]
국정조사에 불응하는 모습을 보이더니 언제부턴가 아예 행방불명이 되어버려 논란이 예상된다. 우병우 잠적설…“우병우, 가족과 행방불명” (중앙일보) 12월 5일부터 행방이 묘연하다고 채널A가 보도했다. 가족과 함께 살던 압구정동 소재의 현대아파트를 아예 비우고, 다른 곳에 잠적해 있는 것이다.그럼 그 집을 추첨해서 집 없는 사람에게 넘기면 된다.
우병우는 청문회 출석요구서가 처음 송달 시도된, 11월 27일 이후 집을 비웠다.
12월 7일, 국회 직원들이 청문회 동행명령장을 전달하지 못했다.
김성태 의원이 TV조선 프로그램인 박종진 라이브에 출연했을 때, 우병우를 찾는 사람에게 사비로 100만원을 주겠다고 밝혔다. 27분 19초부터
정봉주 전 의원도 제보하는 사람에게 200만원을 걸었다가 500만원으로 올렸다. 안민석 의원도 500만원을 걸었다. 정청래 전 의원도 현상금을 100만원을 걸었다 100+500+500+100 = 1,200만원의 현상금이다. 일반 시민들이 현상금에 써달라고 모금한 금액까지 합하면 2,000만원이 넘는다고 한다.
그러자 주식갤러리에서는 1건 더 올리고자 추적에 들어갔고 보배드림에서 추적을 독려하기 시작하였다. 우병우 GO
이렇게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의 네티즌들이 직접 찾으려고 나섰지만, 우병우의 생활반응을 아직까지는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에 들어오는 제보 중에 의외의 것들이 있다고 한다. 후에 청문회에서 밝힐 예정. 김성회 보좌관 인터뷰
2016년 12월 13일, 2주 이상의 잠적 또는 행방불명 상태를 깨고, 연합뉴스와 전화 통화를 했다. 우병우는 오는 19일 청문회 출석을 돌연 밝혔다. 우병우 본인은 "청와대 민정수석은 공개 석상에서 업무와 관련한 발언을 하지 않은 관행과 원칙을 지키느라 지난 7일 2차 청문회에 나가지 못했다"고 했으며, 지인에 의하면 "민정수석을 그만둔 그 날부터 기자들이 집앞에 거의 상주하다시피하면서, 가족들을 상대로 취재 공세를 펴는 것을 도저히 버틸수가 없어 집을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우병우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회사 정강과 부인, 아들[34]도 이번 게이트에 연관 의혹이 있기 때문에 아예 가족 모두가 통째로 기자들을 피해 거주지를 임시로 옮긴 것이다. 우병우가 청문회에 출석하겠다고 하면서 청문회가 22일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론에 출석 의사를 밝힌 것과는 달리 아직까지 국회 측에 공식적으로 출석 의사를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언론 플레이의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가족들을 데리고 피신하다 보니 대학생인 딸은 기말시험을 치르지 못했고, 그 딸이 추가 시험을 보는 날을 알아낸 누리꾼들이 찾아갈 것이라고 압박을 한 결과, 가족들이 언론에 까발려지는 것을 두려워한 우병우가 마침내 손을 들었다고 한다. 실제로는 경고조로 딸의 사진과 페이스북, 남자친구의 신상을 털었고 고려대 경영학과 16학번인 딸을 아예 학교에 못 다니게 하겠다고 압박했다. 더불어 정강빌딩에 직접 잠입하여 마세라티 등 우병우의 차량을 추적해 사진을 올렸다.
김성태 국조특위 위원장은 이후 속칭 우병우 방지법을 발의했다. 이것은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인데, 국회는 증인 출석요구서를 송달하기 위해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통신사, 기타 기관에 증인·감정인·참고인의 주소와 출입국 사실, 전화번호 등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이 골자다. 또한 국회사무처가 동행명령 집행에 협조 요청을 보낼 경우 관할 경찰서는 이에 응해야 하며, 국회사무처 직원에게는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우병우 방지법의 내용이다.
이후 국조특위 위원들이 단체로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이 법안을 29일 국회 본회의에 직권상정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4개 교섭단체[35] 원내대표 합의 없이 직권상정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고 밝혔다.
잠적 22일만인 12월 19일 밤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가족회사 '정강' 사무실에서 일행과 함께 있는 모습이 더 팩트 취재진의 카메라에 촬영되었다.
<img class='wiki-image'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da541dd59695ecce24ff2021d53d311de7454ab93e8c19c154315b6f621f98fd5245307c19a0e9545f2773f3901578f2a111c0d41ec4a96efa255dea71bc7320bebf54bfe72a7f28c380f7dcccd100e1?e=1515814226&k=aWJnjMZ7aZPJBTPkSG81Fw' alt='파일:external/img.segye.com/20161220002634_0.jpg'>
'정강' 사무실에서 청문회 준비를 마치고, 본래 집인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아니라, 장모인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의 논현동 자택으로 갔다고 한다.
3.1.2. 특검 수사 본격화[편집]
2017년 1월 27일부터 한 동안 매스컴에서 사라진 우병우에 대한 특검 수사가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설 연휴가 지난 후 우병우의 특검 소환이 예정 되었다.하지만 특검이 구속영장을 청구하였지만 2월 22일날 법원에서 기각이라는 판결이 나왔다. 특검에 소환될 때 오전에 소환되어 자정 쯤에 조사가 끝났다. 그 후 우병우는 집에 가지 않고 5시간 동안 조서를 통채로 외웠다고 한다.#
구속은 면하였지만 그는 정치적으로 사형선고를 받았다. 성격이 오만방자하고 법꾸라지라는 주홍글씨가 붙었지, 국회의원을 나가봤자 과거의 치부와 행적때문에 공천을 받아봤자 탈락이고, 어느 공직도 거절당할 것이 뻔하다.
하지만 워낙 해먹은 것도 많고 법조계를 주무르며 법과 시민들을 우롱하다시피 했는데도 구속되지 않는다면 우병우의 승리기 때문에, 진짜 정의구현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 여론은 우병우의 강력처벌에 대해서 회의적인 의견이 많다. 우병우는 "나 죽이면 검찰 수뇌부 너희도 다 죽는다"며 협박한 인간이다. 이 때문에 검찰이 조직 보신 차원에서 우병우를 기소하기 하겠지만 우병우와 적당히 타협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17-12-26 구속적부심을 신청했다. 만약 구속적부심으로 풀려날 경우 현 정권은 적폐청산이 물거품이 될수도 있다. 우병우 측에 반격을 당할 수도 있다.
3.2. 박근혜 전 대통령 구속사건 이후[편집]
검찰은 2017년 4월 6일 우병우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이번 소환은 3번째 소환조사였는데, 지난 2차례의 소환조사에서 안하무인격의 태도로 논란이 되었던 것과 달리, 기력도 빠지고 기자들의 질문에도 힘 없는 목소리로 순순히 대답하는 모습을 보였다.##
4월 9일,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하였다. 12일 자정 결국 기각되었다. 도망 다녀 국민들이 현상금까지 걸었던 이력이 있음에도[36] 도주 우려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기각되었다. 같은 시기에 내부고발자이며 수사에 협조한 고영태가 긴급체포 됨으로써 이 영장기각 사유는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4월 13일 자정경, 검찰이 범죄사실을 1/3으로 줄여 구속영장을 청구했다는 기사가 나오면서 더 큰 논란이 생겼다.
처음에는 우병우는 풀어 주고 고영태는 구속한 권순호 판사에 대한 비난여론이 많았으나, 검찰이 수사 자체를 대충 한 정황이 점차 드러나면서 여론의 비난의 화살이 검찰 쪽을 향하고 있다. 그렇게 된 이유를 법조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고 있다.
검찰 조직이 살기 위해서는 법무장관이건 검찰총장이건 가차없이 구속해온 게 검찰의 속성이지만[37][38] 우병우를 잡으려 하다가는 지금의 검찰 수뇌부와 검찰조직이 같이 죽게 생겼기 때문에 제대로 수사하지 못했다는 것이 검찰 내부사정을 잘 아는 법조인들의 평가다.#[39]
4월 15일 고영태가 도주 우려가 높다는 이유로 끝내 구속영장이 발부되고 그 영장판사가 권순호임이 알려지면서 검찰쪽에 쏠렸던 비난 여론이 다시 사법부 쪽으로 번지고 있다.
그리고 모두의 예상대로 우병우의 개인비리는 검찰에서 무혐의 처리했다#
현재까지 동료들의 비호로 무사할 수 있었지만 혐의와 증거가 나와 재구속이나 특검이 들어오면 천하의 우병우라도 살아남기 힘들 것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우병우를 잡기위해 후임 민정수석에 법학자인 조국을 두었고 돈봉투 만찬 사건으로 연루자인 그를 비호한 이영렬과 안태근도 검사생명이 끝났다. 후임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임명된 윤석열 검사는 우병우 사단과 관계없이 공평무사하게 일을 처리하는 강골검사이다.
물론 이 판국에 정유라가 불구속되는 등 아직 신뢰성이 좋지 않지만, 조만간 우병우 사단이 싹쓸이 되고 조사가 시작되면 구속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6월 8일 우병우 라인에 대한 고위 검사에 대한 좌천 인사가 단행되었다. #
방산비리에 관련되었다는 말도 나왔다.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지만, 애먼 데서 발목이 잡혀 빈틈이 보일 지, 또 뻔뻔하게 넘어갈지 모를 일이다.[40]
3.2.1. 문건 발견, 그리고 그 후[편집]
7월 3일. 민정수석실의 가구 배치를 개조하던 중 박근혜 임기 당시의 대통령 기록물을 찾게 된다. 민정수석실에서 만들어진 자료의 상당 부분을 우병우가 생산하여 검찰로 넘겼음을 청와대가 밝힘으로서, 이 자료들은 우병우를 구속시킬 중요한 증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게 정말 놀라운 것이, 2016년 10월 최순실 게이트 최초 보도가 나온 직후 청와대는 대량의 용지 파쇄기를 구입했었고, 19대 대선기간 동안 박근혜 정부 주요 문서들을 대통령 지정 기록물로 봉인했었다. 그럼에도 이런 문서들이 발견됐다는 것은, 지금까지 밝혀진 국정농단 비리는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41]
우병우는 당연히 모른다고 얘기했다. "어? 13기 선배님께서 죄다 봉인하셨을텐데?"
아니나 다를까. 문건이 줄줄이 나오고 있다. 위안부, 세월호, 국정교과서, 선거, 삼성, 블랙리스트 관련 내용들. 심지어는 이런 엄청난 의혹까지 드러나고 있다. #
청와대 삼성 경영권 승계 지시한 의혹을 받고 있는데, 기사 물론 우병우는 모르쇠로 일관한다. 그러나 정권 교체 이후 박근혜정부 하의 거대한 비리들이 우병우의 민정수석 때 발생했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리고 컨설팅 업체 대원어드바이저리의 이현주 대표[42]에게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고소 당했다. #
3.2.2. 추명호 관련 논란[편집]
문고리 3인방도 뇌물로 골로 간 가운데 이제 우병우만 남았다.
알자회 소속 추명호와 관련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알자회의 일원인 추명호가 우병우에게 직보를 했다고 한다.
하지만 오민석이 우병우, 추명호의 영장을 기각하고 있다. 추명호가 구속되면 우병우도 자멸할 수 있고, 앞서 말했듯 우병우의 자폭으로 이어질수 있어 윗선에서 기각을 하려고 압박하거나 자의로 기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로 알려진 사실과 달리 우병우가 추명호에게 먼저 직보를 요구했다고 한다.# 이후 검찰은 추명호에게 구속영장을 재청구하였고, 11월 4일 구속되었다.
우병우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관해서는 '내가 무슨 사리사욕을 꾀한 것도 아니고, 대통령이 시키는 대로 한 것밖에 없다'라고 발뺌해 왔고, 이석수 특별감찰관에 대해서도 특별감찰관법을 빌미로 역습을 가한 것으로만 생각되었으나, 이석수를 '털기' 위해 추명호를 통해 국정원의 힘까지 동원한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만일 이 혐의가 사실이라면 자신의 보신을 위해 공권력마저 동원한 것이어서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결국 검찰은 우병우가 불법사찰을 한 혐의를 포착하여 소환 조사를 하기로 하였으며, 구속영장 청구까지 검토하고 있다. 수사 과정에서,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관여한 혐의도 추가되었다.#
그리고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 팀에서 우병우의 차량과 휴대폰을 기습 압수수색 했다. ## 이 때 지금까지 무표정과 여유로 일관하던 우병우 조차 당황한 역력이 그대로 드러났다.
이 기습 수색은 우병우와 추명호, 최윤수의 말 맞추기가 드러난데에 현직 검사 간부 ㄱ씨가 연결고리 노릇을 한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검찰에서 11월 29일 공무원·민간인 불법사찰과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리 혐의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이번에도 절묘하게 빠져나갈지, 아니면 결국 법망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구속될지 주목된다. 본인 4번째 소환을 자신의 숙명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말하면서 '이번에도 해쳐나가겠다는' 말을 덧붙였다. 16시간의 조사를 마치고 나오면서 보고를 받은 것은 관행이었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또한 과학계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에 대해 관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국정원이 과학계를 사찰하는 것이 다소 뜬금없는데 그 이유는 김대중 대통령 시절 장관을 지냈던 김명자 전 장관이 과학계에 영향력있는 한국과학기술연합회의 회장으로 선출되자 과학계가 정부 비판 세력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였다고 한다.# 동기도 어처구니없지만, 이쯤되면 대한민국 내부에 어떠한 비판 세력도 남기지 않겠다는 편집증마저 엿보이는 수준이다.
여기에 박근혜 청와대에 비판적인 교육감들의 개인 비위 의혹 등을 파악하기위해 이들에 대한 불법 사찰을 국정원에 요구한 정황도 드러났다. 당시 정부의 누리과정 예산 편성에 반발하는 교육감들을 억누르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며, 국정원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출신 교사의 교육청 발탁 인사, 친교육감 인사의 내부 승진, 해당 교육감들과 친분 있는 단체와 교육청의 수의계약 등을 특혜 의혹으로 공격할 수 있다고 파악해 민정수석실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발표한 소위 ‘세종도서’와 관련해, 좌편향으로 분류되는 도서와 저자들을 사찰하고 검열하도록 국정원을 독려해 '출판문학계 블랙리스트'에 까지 연루된 사실이 확인됐다. # 이쯤되면 이렇게 혐의가 끊임없이 나오는 판국에 왜 구속이 되지 않는지 이상할 지경이다.
결국 검찰은 11일 우병우에게 세번째 영장 청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판사가 또 권순호여서 기각될거라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그런데...
3.2.3. 구속[편집]
인생짤[43]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f3801f566794215eba3adcafbc76f735a6616597e8549da8678c99a79e7f667aa14da3d8a7b27e788035af5e2537128b080d7f2f638f4018db0443f29c36c8d9a02fbfb2c11d3140732595d54bb44e22?e=1517173560&k=l09TorTI8Y00r5m4WoU3Tw' alt='파일:우병우 구속 후 첫 검찰조사.jpg'> <img class='wiki-image' width='100%' src='//cdn.namuwikiusercontent.com/s/122581c477ecf9ed941cd036e660dc9ec7137b832aafe5a2aa440592d0d594c9b6ea7ad855c48dcb65a88b575ace002e34c2da2a4fb830b898d735df31bf7ad276a598c9ed570878178d7f7729873256?e=1521215128&k=aamQ3dtNjuhQ8jPFCFCeRQ' alt='파일:우병우 포승줄 뒷모습.jpg'>
세 번째 영장 청구 끝에 12월 15일 새벽 결국 구속되었다. 국정농단이 온 나라를 휩쓸어 한창 뜨겁게 달궜을 때조차 권순호 판사가 기각한 전례가 있었으나, 같은 판사가 구속영장을 발부 한 것을 보면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검찰에게 '혼자 죽지 않겠다'며 사실상 협박을 했던 우병우가 이번 구속으로 과연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이 날을 국경일로 지정하자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우병우의 구속은 전 국민의 전폭적인 환호를 받았다. 그러나 어차피 구속적부심에서 풀려나는 거 아니냐는 냉소적인 우스갯소리도 있다.
아니나 다를까 12월 26일, 정말로 구속적부심을 신청했다. 심리는 27일 오후로 결정되었다. 일단 배정 판사는 국민 모두가 우려하는 인물인 신광렬이 아니다. 본래라면 중앙지법의 사무분담상 구속적부심은 형사 51부가 담당하게 되어 있는데 신광렬이 사건 재배당을 요청하여 신광렬이 맡지 않게 되었다.[44] 형사 2부의 이우철 판사가 이번 사건 심리를 담당한다고 한다.기사 참조 어떻게 보면 말이 씨가 된 셈인데 그만큼 현재 국민들의 사법불신이 임계치를 넘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재의 반응은 "올 것이 왔다."는 반응과 함께 만약 구속적부심에서 우병우의 석방이 결정될 경우 법원으로 쳐들어가겠다는 격한 반응까지 나오고 있는 판이다.
본래 구속적부심이란 것은 인용될 확률이 극히 낮을 뿐 아니라 영장을 발부한 동료 판사를 엿먹이는 행위가 되기 때문에 인용을 극히 꺼리는 심사다. 그런데 이미 김관진과 임관빈이 이 구속적부심에서 풀려나가 버린데다 우병우 앞에만 서면 작아지는 모습을 보였던 법원인지라 우병우의 석방이 현실화될 경우 국민들의 분노가 어디로 발산될지 알 수가 없다. 더 이상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해 달라."는 말이 설득력을 얻기도 힘들어질 것이다.[45]
우려와는 달리, 27일 밤 10시를 넘겨서 구속적부심 청구가 기각되었다. 이로써 국정농단을 거치면서 피의자들 중 유일하게 자유로운 몸이었던 우병우는 확실히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되었다.
4. 논란과 의혹[편집]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마지막 퍼즐이자 최악의 흑막
분량이 많아 따로 분리하였다. 우병우/논란 참조.
5. 기타[편집]
하술돼있지만 성격이 무척 오만방자하다. 오죽하면 검찰 출두 시 기자들의 시선이 집중되는 포토라인에서도 거만한 태도를 드러냈다. 동료 검사들이 "실력은 나무랄 데가 없는데, 싸가지가 없다", "너무 뻣뻣하다"고 입을 모았다. 대학 시절부터 할아버지 빽 믿고 워낙에 자존심 강하고, 자기 잘난 맛에 살아서 별명이 '기브스'였다고 한다. # 마찬가지로 국정농단의 주축이자 악질이지만, 개인적인 성격은 상당히 점잖고 예의바르다고 하는 김기춘과는 대비되는 점. 검사장 승진에서 밀린 이유도 '성정이 포악하고 예의가 없다(=안하무인)'는 점이 컸다.[46] 검사장이 아닌 상황에서도 그렇게 사람들과 척을 지는데 검사장이 되면 더 많은 적을 만들 수도 있는 사람이었다. 그러면 조직에 부담이 된다.
서울대 법대 선배라도 자기보다 사법시험에 늦게 합격한 사람에게는 반말을 했다
자기보다 직위가 낮은 사람에게 반말을 하는 설정은 어느 드라마에 등장하는 어느 그룹 재무이사이지만[47]고 한다. 문제는 우병우가 소년등과(최연소 합격)[48]에다가 군대도 안 갔기 때문에, 남들이 사법시험 한창 보고 있을 나이인 25세부터 검사를 했고, 대부분의 신참 검사가 우병우보다 연장자였기 때문에 우병우는 대놓고 선배들에게 반말을 한 것이다. 대학 졸업 전에 사법고시를 합격하고 군면제까지 받아서, 대학 동기나 선배보다 훨씬 먼저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다른 예로 윤석열 검사는 서울대 법대 79학번이었지만, 낙방을 거듭한 끝에 1990년 사법시험에 늦깎이로 합격했다. 84학번인 우병우보다 7살이나 많지만, 우병우가 87년에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90년에 검사 임용이 되었으니, 검찰 임관으로서는 윤석렬에 비해 2년 선배가 된다. 우병우는 이런 연장자에게도 반말을 한 것.이러니 적이 널렸다. 그래서 "아무리 내가 검찰후배지만 나이도 더 많고 학교 선배인데, 자기가 검찰선배라고 반말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드러낸 사람이 많았다.정상적으로 병역의무를 이행하면 그렇게 일찍 임관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대학 1 ~ 2학년을 마친 뒤 병 / 부사관으로서의 병역의무를 이행하면 아무리 빨리 사법시험에 합격하더라도 22 ~ 24세 정도는 되어야 가능하기 때문.
2002년 8월 춘천지검 영월지청장으로 부임했을 때는,[49] 영월지청에 대학 동기가 그의 밑에서 평검사로 근무하고 있었다. 그런데 "직원들이 다 보는 앞에서 대학 동기인 평검사를 아주 험악하게 조졌다"고 한다.
2004년 대구지검 특수부장 시절에는 동향 출신 고위 공무원 모임에 나가 술에 취해 군수에게 막말을 하는 장면이 목격되었다고 한다. "요새 민선 지자체장들은 선거로 뽑혀서 그런지, 목이 너무 뻣뻣해. 그래서 인사도 제대로 할 줄 몰라. 그래도 되는 거야?"라는 말까지 하며 자기보다 나이 많은 군수에게 호통을 쳤다고… 그런데 이에 대해 머리가 하얗게 센 고령군 군수[50]는 "부장님, 죄송합니다. 제가 잘못했습니다."라며 연신 고개를 조아렸다고 한다.[51] 선거의 의미를 생각하면 상당히 씁쓸해지는 대목이다.[52][53]
2016년 11월 민정수석 자리에서 물러나고 검찰수사에 응하여 출석했을 때, 횡령 및 직권남용죄 피의자가 아니라 피고발인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했다. 이에 대해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6년 11월 6일 “피의자가 아니라 피고발인, 소명을 듣는다… 이대로 해준다면 수사하는 검사가 아니라 변명을 들어주는 속기사에 불과하다”면서 “기존 의혹 말고도 최순실과 관련하여 조사할 게 많을텐데, 이러려고 우병우 자택 압수수색도 안 하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도 형사8부 막내검사에게 맡겨 한가하게 조서만 꾸미고 있었던 건지”라면서 의문을 제기했다. # 그리고 “이런 식으로 검찰 소환조사가 이뤄진다면 앞으론 우병우가 아니라 우갑우(又甲又), 그리고 검찰이 아니라 겁찰(怯察)로 불러드려야 할 것 같다.”고 꼬집었다. 팔짱끼고 조사받는건 덤.
2016년 10월 31일 한겨레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우병우는 텔레그램에 가입해 있었다고 한다. 카카오톡 사찰 논란 당시 텔레그램을 싫어했던 높으신 분들이 정작자기들도 텔레그램을 썼다는 사실에 대해 온갖 조롱과 비웃음이 난무했다
2016년 10월 21일 청와대 국정감사 중 운영위원장 정진석 의원이 우병우의 국감 출석 여부를 묻고 확인전화를 하라며 국감을 중지시켰다. 이원종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장이 우병우에게 전화 후 "못 온다고 합니다"라고 답하자, 김대중 정부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박지원 의원이 "비서실장이 오라는데 오라고 해도 안 온다는 말이에요?"라며 격앙된 듯한 말투로 물었다. 이에 이원종은 “의원님[54]이 비서실장 하실 때와 요 사이는 다릅니다”라며 우병우가 권력 실세로서 여전히 변함 없다는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역시 박근혜의 총애를 받는 실세 중의 실세유시민은 이를 "승지와 도승지가 바뀐 꼴"이라고 비유했다.[55] 국정감사 당시 박지원은 이원종에게 '우병우 수석을 보호한다고 잘 될 것 같으냐?'와 같은 발언을 하였다.#
유일하게 윗사람이었던 사람을 대할 때 빼면 정부체계의 명목상 윗 계급이거나 연장자 혹은 총리라도 아랫사람 대하듯 했다.[56] 이러한 그의 뻣뻣한 태도와, 인사권으로 정부조직을 장악해 온 절대권력을 합쳐 그의 별명을
우왕'황제',역시 황제… 검사 앞에서 팔짱 낀 채 웃는 우병우우병우 귀가… 검찰 조사 때도 '황제급 대우' 우 황제(우황제) 등으로 빗대기도 한다. 예전에 그에게 아부하려는 사람들은 별명을 '우 황제(우황제)'라고 지어도 존칭의 의미로 카메라 뒤에서 몰래 썼겠지만, 엄청 히트 친 각종 '우황제(우 황제) 패러디' 등과 대중적인 이 별명은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권신에 대한 비판의 의미 또한 강하게 담긴 것이 맞는다.[57] 그런데 여러 유머모음 사이트에서 박근혜 대통령이나 최순실 이명박 패러디들도 살아남는 판에 가장 인기도 높았던 '우 황제 시리즈'들만, 원본들이 하루 만에 몇 개씩은 갑자기 안 보이기도 한다. 우황제의 즐거운 하루 우 황제의 황제수사 그림 패러디 시리즈 사본이라도 찾은 분은 링크 바람.
과거 검찰 내부 인터뷰에서 우병우가 "나는 (평검사 시절인) 23살 때도 45살인 계장(수사관)을 수족(手足) 부리듯이 부려먹었다."라고 자랑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어 대중의 공분을 샀다. 또한 "(지방)경찰청장도 내 가방을 들어주고 그랬다."며 경찰에 대한 검찰의 우월감과 특유의 권위주의 의식을 드러내면서 안하무인, 비호감이란 질타를 받았다.#
그의 행방을 수소문하기 위해 정치인과 시민들이 약 2,000만원 상당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그리고 우병우의 현상수배 포스터를 우에하라 아이의 AV포스터를 패러디해 만들었다.
경찰 최경락 경위의 자살과 연관되어 있다는 의혹이 있다.
볼프강 프록쉐 (Wolfgang proksch) 안경을 사용한다. (독일산) 유승민 의원과 같은 브랜드. 렌즈는 고가의 칼짜이즈의 플래그십라인 렌즈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안경알 가격만 3자리수(백만원 단위)대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소견. 당연하게도 이 안경테는 일반적인 안경테에 비해 상당히 비싸다.
위의 자업자득스러운 '우황제(우 황제)'나 '우갑우'란 별명과 더불어 이름이 앞뒤를 거꾸로 해도 똑같은 대칭형 이름에다 비유가 쉬운 탓에 본인이나 아들이 이름 장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댓글이나 디시에서 많이 장난치는 별명 중 하나는 "좌캔좌(…)" "병든소(…)" "우회전(…)"[59] 앞~뒤가 똑~같은 민정수석~♩
배우 김의성이 우병우를 닮아서 화제가 되었다. 그래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실사판으로 만들어진다면 김의성이 우병우 배역을 맡아야한다!"는 반응이 많았는데 실제로 김의성 본인이 스스로 우병우와 닮은 꼴을 인정하면서 "이런 배역은 귤만 까먹어도 아카데미상 받을 수 있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제 우 전 수석이 KTX에서 어그로만 끌면 완벽해지…려나?그외에도 닮은 사람이 많다. 트로츠키, 윤다훈 등...
경기도 여주시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던 우병우의 남동생이, 옆에 있던 여직원이 우병우를 험담하자 쌍방간에 폭행이 일어나 여주시에서 징계조치를 하였다. 아무래도 그 여직원이 자기 형에 대한 험담을 하니 화가 나서 저질렀는지 모르지만, 네티즌들은 "그 형에 그 동생"이라고 비꼬았다.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우병우 일가의 감찰에 나서자 우병우 본인은 물론 처자식과 회사 관계자들까지 조사에 불응했으며, 이에 특별감찰관실에서 질문서를 보내 서면조사를 하려고 하자 정작 질문하는 내용에는 답변하지 않고 "불법감찰은 오히려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라는 취지의 협박조의 글만 적은 달랑 1장짜리 답변서를 서명, 날인도 없이 제출하였다고 한다.# 정작 자신은 민정수석의 권력을 이용해 수많은 공무원과 민간인을 불법사찰을 한 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이기에 그야말로 내로남불.
박지원의 주장에 따르면 이미지나 성품 면에서 상극인 것과는 달리 우병우와 윤석열은 서로의 능력은 인정하고 신뢰했단다. 능력이야 둘 다 최고이니 능력에 대해 서로 인정하는 것이야 특별할 게 없지만, 위에 나왔듯이 대단히 오만한 성품인 우병우가 윤석열을 인정하고 신뢰했다는 점은 특이한 편.
6. 말말말[편집]
국정 농단을 사전에 방지할 책임도, 사후에 처벌할 책임도 그에게 있었다.
우 前 수석이 민정수석 본연의 자세를 조금이나마 지켰다면 그 자신은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겠지만 박근혜 정부가 지금 같은 처지로 굴러떨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가 법망을 빠져나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최순실 사건의 최대 책임자 중 한 명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 조선일보 2017년 2월 23일자 사설#
"앞뒤가 똑같은 민정수석~ 앞뒤가 똑같은 민정수석~ 우병우~ 우병우~ 앞뒤가 똑같은~ 민정수석~ 우병우를 구속~하! 라!"
- 우병우 구속가
우 전 수석의 대통령에 대한 그릇된 충성심과 과도한 권력욕이 박근혜 정부의 파국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 경향신문 2017년 4월 7일자 기사 [단독]우병우, 아직도 “대통령님…” 공직 망각한 맹목적 충성
돌이켜보면 ‘박근혜 국정 농단 사건’은 시작도 마무리도 우병우였다.
우병우는 분명 거악의 행동대장이었고, 견제와 감시라는 본연의 임무보다 권력자가 물라면 무는 사냥견 역할에만 몰입해 국정을 혼란시켰다.
- [양선희의 시시각각] 법이 비껴간 우병우의 죄
지난 1년 사이에 포토라인에 4번째 섰습니다. 이게 제 숙명이라면 받아들이고 또 헤쳐나가는 것도 제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구속2017년 11월 29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포토라인 앞에서 기자들에게# 그런데, 행간을 읽어 보면, '내가 설마 검찰에 꼬리를 잡힐까 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아직 법망을 빠져나갈 자신이 있다'라는, 한 점 죄의식도 없는, 오만하기 짝이 없는 말이다.
7. 둘러보기[편집]
|
'세상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의학의 세계 (0) | 2018.02.04 |
---|---|
암을 이기는 식생활 습관 (0) | 2018.01.27 |
[스크랩] 12] 진보당 사건 (0) | 2018.01.27 |
[스크랩] 어느 장애인 아내가 남편에게 바치는 사부곡 (0) | 2018.01.09 |
[스크랩] 올바른 허리 건강법 (0) | 2018.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