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Sein und Zeit -Martin Heidegger

by 이덕휴-dhleepaul 2019. 9. 9.

존재와 시간

요약 테이블
저작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요약 하이데거는 이 저서에서 고대 그리스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음이 제기되어 온 존재 일반의 의미를 살아 있는 인간의 실존을 통해 해명하면서, 그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의미를 ‘시간성’을 통해 밝히고 있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사상은 야스퍼스, 사르트르 등의 실존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존재의 본질적인 실존론 구조를 해명

『존재와 시간』이 발표된 것은 1927년이지만 집필은 1923년에 시작되었다. 이는 이 저술이 제1차 세계대전 직후에 일어난 사상계의 격동을 배경으로 탄생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전쟁이 가져온 혼란은 그 무렵의 정신 세계 역시 격동의 시대로 밀어 넣으며 오랫동안 철학계를 지배해 온 신칸트학파의 몰락을 재촉했다.

이를 대신해 인간 존재의 적나라한 모습을 한 점 남김없이 응시하고자 한 생의 철학과 현상학이 새로이 대두했다. 또한 니체와 키르케고르의 사상이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변증법 신학이 등장하며 또 현대 문학의 새로운 동향이 시작된 것도 이 시기였다.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은 인간 존재의 ‘실존’의 모습을 맨 처음 획기적으로 그리고 신선한 모습으로 비춰 낸 20세기 철학계의 금자탑이 된 저작이었다.

이 저술은 원래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재고찰하려고 한 ‘존재론’적인 야심에서 의도된 것이었다.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그 의의가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실증과학 면을 살펴보자. 실증과학은 그것이 자연과학이든 역사과학이든 자연과 역사라는 ‘존재자’의 다양한 사실이 구체적으로 부여된 것으로 간주하고 조사해 그 현실적 모습을 파악하려고 한다. 물론 이때 실증과학 그 자체는 이들 ‘존재자’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당연히 분명한 것으로 여기고 이를 캐물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면, 이 ‘존재자’의 ‘존재한다’는 의미가 명백하게 고찰되지 않을 경우, 이를 다루는 과학의 근본 개념도 올바르게 확립될 수 없게 된다.

그런 점에서 모든 실증과학은 ‘존재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암암리에 전제로 삼고 있다. 원래 다양한 형태의 존재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의 본질적 의미를 근본적으로 캐물어 인간과 세계의 전체 구조를 고찰하고자 하는 철학상의 시도는 ‘존재론’이다.

하이데거의 말에 따르면, 이러한 의미의 존재론을 철저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이 실행될 때 사용하고 있는 방법과 기초를 확실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와 같은 기초는 어디에 있는가. 그 기초는 그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미를 묻지 않고는 견딜 수 없을 정도로 그 같은 물음의 대상이 되는 우리 인간, 곧 다른 존재자와는 다르게 뛰어난 특질을 가지고 있는 우리 인간이라는 존재자의 존재 구조를 고찰한다는 데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존재자가 존재하고 인간과 세계의 모습이 전체로서 성립하고 있는 것에 대해 ‘존재적으로 이해’하면서 살아가며, 아울러 존재하고 있는 우리 자신의 존재 양태의 구조와 의미에 대해 되묻고 그를 해명하고자 하는 점에 존재론의 기초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존재론의 시도에 가장 근본적 기초를 제공하는 ‘기초존재론’이다. 『존재와 시간』은 이러한 기초존재론의 시도로 행해진 것이다.

하이데거는 우리 인간이라는 존재자를 ‘현존재(現存在, Da-sein)’라고 부르고 있다. 현존재란 세계 속에 ‘현재’ 존재하고 생활하며, 자기 자신 이외의 존재자와 맺은 관계 속에서 특히 자기 자신의 ‘존재’의 모습을 어떠한 형태로든 스스로 결정하면서 살아가야만 하는 존재자라는 의미이다. ‘현존재’란 ‘그 존재에서 현재의 자신의 존재에 관련되어 있는 존재자’인 것이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이러한 현존재가 그와 같이 관련되어 있는 현재의 자기 자신의 ‘존재’를 ‘실존’이라고 불렀다. 따라서 ‘기초존재론’은 ‘현존재의 실존론적인 분석론’이라는 형태로 전개된다.

‘실존론적’이라는 의미는, 실존의 본질적인 구조를 추출해 낸다는 뜻이다. 곧, 모든 사람이 실제로 실존할 때의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내용은 각 개인 자신의 ‘실존적’ 문제이며, 실존적인 분석론이 관여되는 것은 아니다. 『존재와 시간』이 시도한 것은 현존재의 본질적인 실존론 구조의 해명인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시도하면서 하이데거는 ‘현상학’의 방법을 모색했다. 현상학이란, 스스로 드러내는 것을, 그 자신으로부터 드러나는 그대로 그 자신으로부터 보이게 하는 것이다. 사실상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현존재의 실존이라는 존재 양식을, 그것이 스스로를 드러내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해 주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이는 후설의 ‘의식의 현상학’과 달리, 어디까지나 ‘실존의 현상학’이 된다. 그리고 이때 실존에 둘러싸인 잘못된 편견이나 일반적인 속견, 곧 잘못된 존재 이해각주1) 를 파괴해 현재의 현존재에 스스로의 존재 구조와 존재 의미의 본래적 내실이 ‘고지’되는 방식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올바른 본질 사태를 ‘고지’한다는 것이 다름 아닌 바로 ‘해석학’이라고 하이데거는 말한다. 그러므로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사실상 실존에 관련되는 ‘해석학적 현상학’이 수행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현존재의 시간성

그렇다면 이러한 분석의 결과, 하이데거는 어떠한 결론에 이르고 있는가. 『존재와 시간』은 두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 ‘현존재의 예비적 기초 분석’에서 하이데거가 도달한 결론은, 현존재의 ‘존재’는 그 통일적 전체 구조에 대한 ‘관심(Sorge)각주2) ’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제2편 ‘현존재와 시간성’에서 도달한 결론은, 현존재의 ‘존재 의미’는 ‘시간성’에 있다는 점이다. 곧, 현존재의 실존론적 존재 구조는 다양한 계기를 포함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관심’이라는 근본 구조 속에 묶여 있으며, 그 ‘관심’은 현존재의 존재 의미인 ‘시간성’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이 책의 기본 주장이다.

그리고 ‘시간성’에 기초하는 ‘시간’이라는 시각을 통해 모든 존재자의 존재 의미도 해명될 수 있다는 뜻에서 총체적인 표어적 의미를 담아 『존재와 시간』이라는 제목이 붙여진 것이다. 그러나 현존재 이외의 존재자도 포함한 이 같은 존재 전체의 존재 의미, 곧 ‘존재 일반의 의미’를 시간이라는 시각을 통해 논한 부분은 결국 미완성으로 머물렀다. 곧, 오늘날 소개되어 있는 『존재와 시간』은, 현존재라고 하는 우리 인간적 존재자의 존재 구조가 시간성에 의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을 밝힌 데에서 끝나고 있다.

현존재의 존재가 ‘관심’이라고 한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는 ‘세계 내의 존재’로 간주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할 때에는 반드시 자신 이외의 다양한 존재자, 예를 들어 도구적 존재자를 그 목적과 수단이라는 연관 속에 묶어 두므로 이를 ‘배려’한 관심 또는 공동의 현존재인 타인을 다양하게 ‘고려’하는 관심을 보이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또 그뿐 아니라 이른바 자신의 지나온 과거에도 관심을 가지며 살고 있다.

현존재는 이유를 알 수 없이 세상 속에 던져진 ‘피투성(被投性, Geworfenheit)’을 스스로 등에 진 채 현재 존재하고 있는 자신의 ‘사실성’을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태는 ‘정상성(情狀性)’이라는 기분을 통해 자신도 알고 있는 것이다. 또 현존재는 자신의 존재 가능성을 ‘이해’하고, 이를 장래를 향해 ‘기투(企投, Entwurf)각주3) ’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존재의 구조 전체는 첫째로 ‘자신에게 앞서서’ 자신의 존재 가능성을 장래를 향해 ‘기투’한다는 ‘실존성’을 포함하고, 둘째로 ‘이미 세계 속에 존재한다’고 하는 ‘피투적’인 ‘사실성’을 지고 있으며, 셋째로 그와 같은 상태인 동시에 ‘세계 내부적으로 만나게 되는 존재자들 사이에서 존재한다’는, 곧 도구와 타인에 대해 배려하거나 고려하면서 존재한다는 세 가지 계기로 이루어진 통일적 전체 구조를 의미하며, 그 전체 구조는 다름 아니라 바로 ‘관심’인 것이다.

그런데 하이데거에 의하면, ‘당장 대부분’의 ‘평균적 일상성’에서 현존재는 특히 제3의 계기인 도구와 타인에 대해 배려하고 고려한다는 이른바 ‘함께하는 존재’에 깊이 몰입되어 있는 모습으로 살아간다고 한다. 하이데거는 이를 ‘퇴락’이라고 불렀다.

이와 같은 현존재는 세상 속의 불특정한 사람들의 생각이나 삶의 방법에 좌우되어 살면서 본래의 자기를 상실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데거는 여기에서의 불특정한 사람을 ‘세상 사람’이라고 불렀다. ‘세상 사람’ 속에 매몰되어 도구에 대해 배려하며 자기 자신을 잃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 보통 세계 내의 존재가 보이는 존재 방식으로, 이는 활기에 넘치는 삶의 방식이다. 이것이 어째서 평균적 일상성을 지닌 존재 방식이 되는가를 파악한 점에서 하이데거의 매우 특이한 사고방식이 엿보인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는 본래의 자기 자신의 적나라한 세계 안의 존재로 되돌아가게 되면 이유 없이 내던져지고, 또한 자신의 존재의 모습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자신의 피투적 기투 존재와 직면해 ‘불안’한 기분에 휩싸이므로,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실제로 퇴락한 존재 양태 속으로 도피해 살고 있는 것이다. 본래의 세계 안의 존재는 어쩐지 불안하고 마음 편하지 않으며 그러한 상태가 가장 근본적 기분이므로 현존재는 퇴락적으로 도피해 세상 사람 속으로 숨어 들어가 대개 무책임하고 안락한 삶의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이 같은 퇴락한 존재 양태를 ‘비본래성’이라고 부르며, 그것에서 벗어나 자신으로 되돌아가는 것에서 바로 ‘본래성’이 성립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본래성은 어떻게 하여 실제로 가능하게 되는 것인가. 사람들은 누구나 죽는다. 이 ‘죽음’이야말로 절대적으로 다른 사람으로 대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모든 사람의 실존에 가장 깊이 관련되고 또 추월이 불가능한 것이다. 현존재란, ‘죽음을 향한 존재’이다. 죽음이란 자신의 실존이 더 이상 존재할 수 없게 될 가능성에 대해 ‘선구(先驅)’함으로써 현존재의 ‘본래적 전체 존재의 가능성’을 발휘하게 된다.

그렇지만 인간은 본래 자기 자신을 ‘죽음을 향한 존재’로 받아들이기를 꺼리며 이로부터 눈을 돌리고자 한다. 이러한 비본래적 도피를 타파하고 자기 자신의 ‘본래적인 전체 존재의 가능성’을 받아들이도록 촉구하는 것이 바로 ‘양심’의 목소리이다.

양심의 목소리는 무언의 말로 퇴락한 비본래적인 존재 모습에서 현존재를 박탈해 본래적인 존재의 모습이 되도록 만들고 있다. 이러한 양심의 목소리에 따를 때 본래적인 자기 자신이 되고자 하는 ‘결의성’은 결실을 맺게 된다. 결의성이란 앞에서의 ‘선구’와 연결될 때 비로소 근본으로 돌아간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선구적 결의성’이 바로 현존재가 추구해 온 ‘본래적인 전체 존재의 가능성’이 실존적 증거를 거쳐 나타나는 본래의 모습이다.

그렇다면 이때 현존재는 어떠한 모습을 통해 본래적으로 실존할 수 있는가. 실은 현존재란, 스스로 자신의 존재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본래성을 잃고 ‘비본래적’ 존재의 모습으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 모든 것을 기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오직 하나만 이룰 수 있는 존재로 철저하게 ‘무력’하며, 이른바 될 수 없는 곳에 있는 ‘책임 있는 존재’이다. 이처럼 책임은 있지만 무력한 자기 자신을 본래적인 것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받아들여 철저히 그에 따라 살아간다는 것이 바로 ‘선구적 결의성’의 실상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자신에게 의탁되어 있는 존재의 가능성을 철저하게 받아들인 채 살아가는 삶이며, ‘운명’을 사랑하는 삶의 생존 방식이다. 곧, 본래적인 ‘역사성’의 존재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재의 선구적 결의성뿐 아니라 ‘관심’의 일반적 존재 양태, 곧 본래성과 비본래성을 포함한 현존재의 존재 자체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에서 실은 ‘시간성’이라는 점이 분명하게 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첫째, 본래적이든 비본래적이든 자기 자신에 앞서 자신의 존재 가능을 기투한다고 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자기 자신에게 이르게(도래, 到來) 하는 것’이며, 이것은 ‘도래’라는 시간성에 대해 현존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둘째로 이미 세계 속에 존재한다고 하는 것 역시 원래 현존재가 ‘이미 계속해 존재한다’고 하는 시간성에 대해 존재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셋째로 세계 내부적 존재자와 관련될 수 있는 것도 원래 현존재가 그들의 존재자를 ‘만날 수 있게 한 것’이라는 의미에서 ‘현성화(現成化)시킨 것’이라는 시간성에 대해 존재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현존재는 ‘이미 계속되고 있으며 현성화되어 도래한다’는 ‘시간성’에 대해 존재해 있기 때문에 바로 본래적인 선구적 결의성의 존재 모습은 물론, 관심의 세 가지 계기도 가능하게 되어 현존재는 그 존재 의미에서 ‘시간성’이라고 하이데거는 단정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시간성’이란, 시계로 측정되는 시간이 아닌 ‘근원적 시간성’이다. 이러한 시간성이 ‘시간의 성숙(時熟)각주4) ’에 의해, 현존재의 본래적이며 비본래적인 실존의 모든 양상이 모두 가능하게 되는 점을 더욱 구체적으로 하이데거는 해명하고 있다. 또한, 비본래적 실존을 가능하게 하는 시간성이 시간의 성숙에 의해 마침내 시계로도 측정 가능한 통속적 시간 개념이 파생되는 과정까지 보여 주고 있다. 이렇게 하여 ‘시간성’의 시간의 성숙이라는 구조 속에서 현존재의 세계 내 존재 전체가 그 존재에 대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해명하면서 나아가 존재 일반이 그러한 의미에서 시간이라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는 대목에서 이 저서는 끝나고 있다.

『존재와 시간』은 하이데거의 연구 생활에 관한 전반부를 대표하는 저술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인간이라는 ‘현존재’의 ‘존재’를 해명하면서, 그 같은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의미’를 ‘시간성’을 통해 밝히며 또 그에 기초해 존재 일반의 의미를 ‘시간’으로 규명하고자 했지만, 이는 결국 미완성으로 끝났다.

이와 달리 후기의 하이데거는 ‘전향’의 길을 걷는다. 곧, 그것은 『존재와 시간』과는 반대로 ‘존재’ 자체에서 ‘현존재’를 비춰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생활 후반부의 복잡한 도정의 결과, 마침내 하이데거는 1969년 『시간과 존재』라는 저술을 발표하면서 『존재와 시간』에서 미완성으로 남겨 놓았던 문제에 대한 최종 해답을 시도했다. 곧, 존재와 시간 사이에 놓여 있는 일반적 관계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존재자만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는 가장 심오한 것에 의해 우리 인간에게 주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또 그것이 제공되는 양상은 시간을 통해서라고 했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그 어떤 심오한 것이 우리 인간에게 시간을 보내주고 있지만, 그러나 시간은 우리 인간이 존재에게 다가가게 하기도 하고 멀어져 가게 하기도 한다. 시간은 이미 있는 것은 물론, 앞으로 도래할 것도 포함하고 있어 모든 것을 현재에만 제공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또 시간에는 거부하거나 이룩되지 않도록 하는 성격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시간에 기초해 우리에게 존재를 보내 주는 심오한 것을 하이데거는 ‘에라이그니스각주5) ’라고 불렀다.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1927)은 하이데거(1889~1976)가 마르부르크대학교 교수 시절인 1927년 38세 때 후설이 감수한 『철학 및 현상학적 연구를 위한 연보(Jahrbuch für Philosophie und phänomenologische Forschung)』 제8권에 처음 발표한 뒤, 곧 단행본으로 출판한 저작으로, 하이데거의 연구 생활의 전반부를 대표하는 저술이다.

이 책의 제6판까지는 ‘전편’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어 ‘후편’이 이어질 것을 알리고 있었지만, 1953년 제7판 이후부터는 이 표시가 삭제되어 사실상 미완성인 채 독립된 한 작품이 되었다.

당초의 계획으로는 이 책을 두 개 부문으로 나누어 각각 세 편의 논문을 수록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재 소개되어 있는 책은 제1부 제2편까지밖에 쓰이지 않았다. 원서는 437페이지(제6판까지는 438페이지)에 이르는 대작으로, 하이데거의 혼이 담긴 역작이다.

이 책이 발표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사상계의 격동기에 해당했던 시기로, 이 책은 세상에 나오자마자 ‘이상하리만큼 흥분’을 불러일으키며 ‘순식간’에 성공을 거두었다. 실제로 이 책의 등장으로 20세기 전반부의 철학계는 지형도를 대부분 바꾸어야 했다. 이 책은 방법론적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딜타이의 해석학도 섭취한 ‘해석학적 현상학’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면에서는 ‘기초 존재론’을 전개하며 ‘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론’을 개진하고 있다.

이 책에 제기된 새로운 철학하는 방법이 계기가 되어 그 뒤 ‘존재론’과 ‘실존의 현상학’ 그리고 ‘실존 철학’ 등이 독일과 프랑스에서 활발히 논의되었다. 따라서 20세기 초반 이후에 등장한 현대 철학의 새로운 경향은 이처럼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서 기초적 실마리를 찾았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하이데거 자신은 이후 자신의 후기 철학에서는 ‘실존’보다 ‘존재’ 자체에 대한 사색에 몰두했다.

마르틴 하이데거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사사키 다케시 집필자 소개

1942년 아키타 현 출생. 도쿄대 법학부 졸업, 전 도쿄대 총장. 현대 정치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으로 유명한 사사키 다케시 교수는 1968년부터 조교수, 1978년 교수를 거쳐, 1999년부터..펼쳐보기



[Daum백과]
존재와 시간절대지식 세계고전, 사사키 다케시 외, 이다미디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哲學)이란 무엇인가?   (0) 2019.10.27
기독교 변증학  (0) 2019.09.09
道德形而上學   (0) 2019.02.16
인문학으로서의 철학  (0) 2019.02.14
분석철학  (0) 201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