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83 철학과 신학의 관계 1장 철학과 신학의 관계를 설정하는 제유형 신학과 철학 사이의 변화무쌍한 관계사를 조직적인 의도를 갖고 접근하기 원한다면 양자의 관계가 어떤 형태를 채택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신학과 철학에 대한 어떤 전형적인 관계 설정이 그 관계의 역사에 실제적으로 등장했는지에 대해서 우.. 2017. 12. 24. 2장 플라토니즘을 수용한 기독교 2장 플라토니즘을 수용한 기독교1) 그 어떤 고대 철학도 플라토니즘 만큼 기독교 신학을 그 유래와 발전과정에서 강하게 각인시키지 못했다. 이 경우에 플라톤 사상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이것은 오히려 생산적 수용2)과 동화의 경과에 관.. 2017. 12. 24. 3장 기독교 신학에 끼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3장 기독교 신학에 끼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1. 플라톤과의 관계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핵심 사상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원전 335년에 아테네의 뉘케이온에서 자신의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서 플라톤이 죽은 지 10년 후에 플라톤의 제자들과 헤어졌으며, 또한 자신의 글에서 플라톤에 .. 2017. 12. 24. 4장 기독교 사상과 스토아 철학의 관계 4장 기독교 사상과 스토아 철학의 관계 1. 스토아 학파의 출발점과 그 개요 스토아라는 말은 폴리그노트라는 벽화로 장식된 아덴의 (스토아 포이킬레) “채색 강당”이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강당에서는 스토아 학자들이 강의했다. 스토아 철학은 기원전 4세기 말경에 페니키아 출.. 2017. 12. 24. 5장 철학 주제의 영속성을 위한 기독교의 기여 5장 철학 주제의 영속성을 위한 기독교의 기여 기독교 신학은 철학적 사유를 받아들다. 그러나 기독교는 자기 입장에서 철학적인 의식을 변화시켰다. 이것은 기독교 신앙이 현실성(Wirklichkeit)을 새롭게 이해하는 데, 또한 세계와 그 신적인 근원의 현실성을, 그리고 인간의 현실성을 새롭.. 2017. 12. 24. 6장 기독교로부터 근대 문화의 해방 6장 기독교로부터 근대 문화의 해방 어떤 이들은 니콜라우스 쿠자누스(1464년 졸)를 첫 근대 사상가라고 보았다. 또한 어떤 이들은 족히 1세기 후에 등장한 브루노(Giordano Bruno)를 그렇게 보기도 한다. 근대의 개념은 틀림 없이 15세기로 소급된다. 이미 1435년에 이미 마테오 팔미에리(Matteo Pal.. 2017. 12. 24. 이전 1 ··· 603 604 605 606 607 608 609 ··· 6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