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300 박윤선의 교훈 한국교회의 현실과 박윤선 박사의 목회적 교훈 실천신학/목회학 설정 한국교회의 현실과 박윤선 박사의 목회적 교훈 허순길 교수 (전 고려신학대학원장) 1. 내가 아는 박윤선 박윤선 박사는 그의 생애의 황금기를 부산 고려신학교에서 보냈다. 그는 1905년 생으로 41세이던 때인 1946년 9월 신설된 고려신학교 첫 번 째 교수로 봉사를 시작하여 55세 때인 1960년 10월까지 14년간 봉사했으니 그의 생애의 가장 중요한 때를 고려신학교에서 보내게 된 것이다. 그는 고려신학교 개교 후 박형룡 박사가 만주에서 돌아올 때까지 약 1년간 교장서리로 겸허하게 봉사하였다. 1947년 10월 박형룡 박사가 도착한 후 평교수로 봉사하다 1958년 5월 그가 장로회신학교를 세우기 위해 서울로 떠나게 되었을 때 교장직을 계승.. 2021. 9. 21. 박윤선의 딸이 쓴 글에 대한 비평 나는 최근에야 박혜란이 쓴 “목사의 딸”이란 책을 접했다. 그동안 이 책을 읽은 분들은 딸이 그의 아버지 박윤선 목사에 관해 쓴 글이기에 놀랐을 줄 안다. 내가 놀란 것은 그 책에서 보여준 그의 자만한 품격과 내용 대부분이 허구이기 때문이다. 혜란은 파격적인 자기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예순아홉 살’이 되던 2009년 4월에 “김상복 목사님의 권유로 한국독립교회 및 선교단체연합회(KALCAM)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라고 자랑스럽게 말한다. 그는 미국 시민권소유자이다. 거기에선 65세가 되면 일반적으로 은퇴한다. 하지만 ‘예순아홉 살’에 목사 안수를 받고 “비로소 내가 서야할 자리에 서게 된 것이다.”라고 했다. 교회 역사상 유례가 없는 파격적인 일로 보인다. 내가 이 글을 쓰는 것은 이런 문제를 거론.. 2021. 9. 21.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 -조지훈 승무에서 煩惱 인간의 심신을 미혹하게 만드는 인간의 몸이나 마음을 괴롭히고 어지럽히며 미혹하게 하는 모든 정신작용. 쉽게 말해서 세상 살면서 겪는 모든 생각에 의한 괴로움을 표현하는 불교식 한자어. 범어 klesa의 의역으로[1], 煩은 신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다는 뜻으로 '번역증 날 번' 자라고도 하고 '번민할 번' 자라고도 한다. 惱자는 괴로워할 뇌이다. 즉, 생각에 의해 생기는 괴로움 또는 생각에 의해 괴로워하는 것을 번뇌라고 한다. 또한 외부 세계를 바르게 알지 못하는 잘못된 견해가 그 근원을 이루기 때문에 '미혹'이라고도 하며, 또한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마음 속에 사악한 성질로 잠재되어 있다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마음에 잠자고 있다'는 뜻으로 '수면(隨眠)'이라고도 한다. 이.. 2021. 9. 8. 위대한 미국인 가장 위대한 미국인 1백인 (The 100 Greatest Americans)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은 누구일까? 노예해방을 이룬 아브라함 링컨인가? 전설적인 홈런왕 베이브 루스(Babe Ruth)인가? 그렇지 않으면 골프천재 겸 스캔들 천재라고 하는 타이거 우즈(Tiger Woods)인가, 아니면 미디어 모굴(Mogul)인 오프라 윈프리(Oprah Winfrey)? 지난 2005년, 미국 최대의 케이블 TV인 디스커버리 채널(Discovery Channel)은 오랜 여론조사 끝에 1백인의 위대한 미국인을 선정하여 최종 발표하였다. 디스커버리 채널은 1백인의 ‘위대한 미국인’을 도출하기 위해 4회의 에피소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첫 에피소드는 일반인으로부터 접수한 수많은 후보군 중에서 1백인을 .. 2021. 9. 1. 이엠랄로 교도소 이엠랄로 교도소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무료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서 Jump to navigation네비게이션으로 이동Jump to search검색으로 이동 Prison in Turkey터키의 교도소 İmralı prison이엠랄로 교도소CoordinatesCoordinatesOpened열린State/province주/도Country나라 Entrance of İmralı prison이므랄로 교도소 입구 Wikimedia | © OpenStreetMap 40°33′21″N40°33′21″N 28°32′35″E28°32′35″E / / 40.55583°N 28.54306°E40.553°N 28.54306°E / 40.55583; 28.54306 / 40.55583.. 2021. 6. 24. phytoncide http://mini-files.thinkpool.com/files/mini/2010/02/06/gf11_장미[1].swf"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570" height="420" />피톤치드 언제 마시는 게 좋을까? 피톤치드는 나무나 그 밖의 식물이 해충이나 곰팡이에 저항하려고 스스로 만들어 발산하는 휘발성 물질이다. 희랍어로 ‘식물의’라는 뜻과 ‘죽이다’라는 뜻의 단어가 결합해 생긴 말로 1937년 러시아의 생화학자인 토킨에 의해 명명됐다. 피톤치드에는 건강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피톤치드를 마시면 우리 몸의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피톤치드는 삼림욕을 통해 마실 수 있다. 피톤치드의 효능과 피톤치드를 효과적으로 마시는 방법을 알아.. 2021. 3. 1.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