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
|
|
소재지 |
|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일기류 |
수량/면적 |
합 9책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
||
이름 |
한국어 |
난중일기(亂中日記) |
영어 |
||
프랑스어 |
||
국가·위치 |
||
소장·관리 |
||
등재 유형 |
기록유산 |
|
등재 연도 |
||
제작 시기 |
1592년 ~ 1598년 |
2.1. 보기2.2. 이순신의 체질2.3. 개인적 면모 / 인물 평가
3. 위상
3.1. 사료적 가치3.2. 문학적 가치3.3. 대중에게
4. 초서 해독(脫草)5. 번역6. 도난 사건7. 기타
1. 개요[편집]
|
亂中日記
조선 선조 시기의 무신(武臣)이었던 충무공 이순신이 1592년 ~ 1598년(임란 7년)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를 말한다. 정확히는 1592년(선조 25년) 정월(1월) 1일부터 전사하기 이틀 전인 1598년(선조 31년) 11월 17일(양력 1598년 12월 14일)까지 2,539일간 기록한 일기이다. 현재까지도 이순신이 직접 쓴 일기 초고본 8권 중 7권이 남아서 충남 현충사에 비치되어 있고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76호로 지정되었으며[3] 2013년 6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본디 출판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 아니고 이순신 개인의 사적인 일기지만 국내에서 이순신과 그의 전공이 크게 알려짐에 따라, 또 사료로서 주목받아 따로 연구, 출판되기 시작하였고 조선조의 기록물치고는 한국 대중에게 매우 인지도가 높다.
난중일기(亂中日記)라는 제목은 '전란 중에 쓴 일기'라는 뜻으로 원래 이순신이 쓴 초본에는 난중일기가 아니라 해당년도의 이름을 붙인 임진일기, 을미일기 등의 제목이 붙어있다. 난중일기란 이름이 붙은 계기는 이순신 사후 200년이 지난 조선 제22대 왕인 정조 때에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를 편집할 시 거기에 수록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2. 내용[편집]
난중일기는 주로 당일의 기상 변화, 군무 내용, 진중의 군정 등이 기재되어 있고, 본가에 대한 걱정, 자식과 아내, 모친에 대한 그리움, 평생의 후원자였던 류성룡에 대한 걱정 등 사적인 정서도 적지 않다. 각각의 일지는 대체로 요점만을 적은 간략한 기록이며 내용이 짧으면 그냥 날씨만 기재된 날도 있다. 날씨 맑음(晴), 이 한 글자만 써놓는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읽다 보면 다소 무미건조한 느낌도 받을 수 있는데, 아래에서 보듯이 상황에 따라서는 본인의 절절하고 애틋한 감정을 숨김없이 적어놓은 부분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정유년(1597년) 일기에서 그런 부분이 두드러진다.[4]
2.1. 보기[편집]
-
원문 출처는 한국 고전 종합 DB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보기로서 극소수 일부만을 발췌한 것이며 번역은 오역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번역문을 참고하며 원문 전체를 읽어보고 싶은 사람은 난중일기를 자체 번역하여 올리는 사람들이 많으니 검색해보아도 좋다.
1592년 1월 1일. '난중일기의 첫 일기'
初一日壬戌。 晴。 曉。 舍弟汝弼及姪子菶, 豚薈來話。 但離天只。 再過南中。 不勝懷恨之至。 兵使軍官李敬信。 來納兵使簡及歲物, 長片箭雜物。
초1일 임술. 맑음. 새벽에 아우 여필(汝弼)과 조카 봉(菶), 아들 회(薈)가 와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다만 어머니[5]를 떠나서 다시 남쪽에서 설을 보내니 지극한 회한을 이길 수가 없다. 병마절도사의 군관 이경신이 와서 병마 절도사의 편지와 설날 선물, 장전(長箭)[6]과 편전(片箭)[7]과 그외 여러가지 잡물을 바쳤다.
1592년 1월 16일 일기
十六日丁丑。晴。出東軒公事。各官品官色吏現謁。防踏兵船軍官,色吏。以其兵船不爲修繕决杖。虞候假守。亦不檢飭。至於此極。不勝駭恠。徒事肥己。如是不顧。他日之事。亦可知矣。城底土兵朴夢世。以石手往先生院鎖石浮出處。害及四隣狗子。故决杖八十。
16일 정축. 맑음. 동헌에 나가 공무를 보았다. 각 관아의 관리들과 색리들이 알현하러 왔다. 방답의 병선 군관과 색리들이 병선을 수리하지 않았으므로 장형에 처했다. 우후(虞候)와 가수(假守)들 또한 점검하고 경계하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해괴함을 이길 수가 없다. 헛되이 제 한 몸 살찌우기만 일삼고 이리 돌보지 않으니, 다른 날의 일도 알 만한 것이리라. 성 밑의 토박이 병사인 박몽세는 석수로서 선생원(先生院) 쇄석에 쓸 돌 뜨는 곳에 가서 이웃 강아지에 해를 끼친 고로 장형 80대에 처했다.
1592년 2월 4일 일기
初四日乙未。 晴。 出東軒公事後。 上北峯築煙臺處。 築處甚善。 萬無頹落之理。 李鳳壽之勤事。 可知矣。 終日觀望。 當夕下來。 廵視垓坑。
초4일 을미. 맑음. 동헌에 나가서 공무를 본 후에 북봉의 연대(煙臺) 지은 곳으로 올라갔다. 지은 곳이 너무 훌륭해서 무너질 리가 만무했다. 이봉수가 정말 부지런히 일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하루종일 구경하다가 저녁이 되어서야 내려왔다. 해자 구덩이를 순시했다.
1592년 2월 19일 일기
十九日庚戌。 晴。 發廵到白也串監牧官處。 則昇平府伯率其弟來待。 妓生亦來。 雨後山花爛開。 景物之勝。 難可形言。 暮到梨木龜尾。 乘船到呂島。 則瀛洲倅與呂島權管出迎。 防備點閱。 興陽以其明日行祭先行。
19일 경술. 맑음. 순시를 떠나 백야곶 감목관이 있는 곳에 이르렀다. 승평 부사가 그 아우를 데리고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기생(妓生)도 데려왔다. 비 온후에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는데 훌륭한 경치를 가히 형언하기가 어려웠다. 날이 저물어 이목구미에 이른 뒤 배를 타고 여도에 가니 영주 현관과 여도 권관이 나와서 맞이하였다. 방비를 검열하였다. 흥양 현감은 명일 제사지내는 것 때문에 먼저 갔다.
1592년 4월 13일 일기. (임란 발발 당일)[8]
十三日壬寅。晴。出東軒公事後。射帿十五廵。
13일 임인. 맑음. 동헌에 나가 공무를 본 후 활 십오 순을 쏘았다[9].
1592년 4월 15일 일기. (임란 발발 및 전황이 이순신에게 최초로 고지됨.)
十五日甲辰。晴。以國忌不坐。修廵使答簡及別錄。卽令驛子馳送。日沒時嶺南右水使傳通內。倭船九十餘出來。釜山前絶影島駐泊。一時又到水使關。倭賊三百五十餘隻。已到釜山浦越邊云。故卽刻馳啓。兼移廵使,兵使,右水使處。嶺南方伯關。亦到如是。
15일 갑진. 맑음. 국기일(國忌日)이므로 공무를 보지 않았다. 순사(巡使)[10]에게 보내는 답장과 별록을 고친 뒤 즉시 역자(驛子)[11]로 하여금 가게 하였다. 일몰 때 영남 우수사가 보낸 통문을 보니 왜선 구십 여척이 나와 부산 앞 절영도 앞에 정박하였다고 한다. 동시에 온 수사(水使)의 관문(關文)[12]을 보니 왜선 삼백 오십여 척이 이미 부산포 건너편에 이르렀다고 한다. 고로 즉각 장계를 써서 보냈고 순사, 병사, 우수사에게도 공문을 돌렸다. 영남 방백의 관문 역시 왔는데 같은 내용이었다.
1592년 4월 16일 일기.
十六日乙巳。二更。嶺南右水使移關。釜山巨鎭。已爲陷城云。不勝憤惋。卽馳啓。又移文三道。
16일 을사. 이경(二更)[13]에 영남 우수사가 관문을 보내왔는데 부산 거진이 이미 함락되었다고 한다. 분하고 한스러움을 이길 수 없다. 즉시 장계를 올렸고 삼도에 공문을 돌렸다.
二十九日戊戌。晴。右水使不來。獨率諸將。曉發直到露梁。則慶尙右水使來會。問賊所泊處。則賊在泗川船滄云。故直至其處。倭人已爲下陸。結陣峯上。列泊其船于峯下。拒戰甚固。余督令諸將。一時馳突。射矢如雨。放各㨾銃筒。亂如風雷。賊徒畏退。逢箭者不知幾百數。多斬倭頭。焚滅十三隻。軍官羅大用中丸。余亦左肩上中丸。貫于背。不至重傷。
29일 무술. 맑음. 우수사가 오지 않아 홀로 제장들을 거느리고 새벽에 발진하여 곧장 노량에 이르니 경상 우수사가 와서 합류하였다. 적이 정박한 곳을 물었더니 사천(泗川) 선창에 있다 하여 곧바로 그곳에 이르렀는데 왜인들은 이미 상륙하여 산 위에 진을 치고 있었고 산 아래에 전선을 줄지어 대놓았다. 거전(拒戰)이 매우 완강했는데, 나는 제장들을 지휘하여 일시에 돌진하게 하였다. 화살을 비처럼 쏘아댔고 각양의 총통을 쏘아대니 그 대란이 폭풍 우레와 같았다. 적의 무리는 두려워하며 달아났는데 화살에 맞은 자가 몇백인지 부지기수였다. 왜인의 수급을 많이 베었고 적선 십삼 척을 불살랐다. 군관 나대용이 탄환을 맞았다. 나 역시 왼쪽 어깨에 탄환을 맞아 등까지 관통했으나 중상에 이르진 않았다.
1592년 6월 2일 당포 해전 일기
初二日庚子。晴。朝發直到唐浦前船滄。則賊船二十餘隻列泊。回擁相戰。大船一隻。大如我國板屋船。船上粧樓。高可二丈。閣上。倭將巍坐不動。以片箭及大中勝字銃筒。如雨亂射。倭將中箭墜落。諸倭一時驚散。諸將卒一時攢射。逢箭顚仆者不知其數。盡殲無餘。俄而。倭大船二十餘隻。自釜山列海入來。望見我師。奔入介島
초2일 경자. 맑음. 아침에 발진하여 곧장 당포(唐浦) 앞 선창에 이르렀다. 적선 이십여 척이 줄지어 정박해있었다. 둘러싸고 교전하였는데 큰 배 한 척은 크기가 우리 나라 판옥선과 같았다. 배 위의 장루(粧樓)는 높이가 이 장(丈)쯤 되었고 누각 위에 왜인 장수가 위엄있게 앉아서 움직이지 않았다. 편전과 대(大), 중(中) 승자 총통을 비처럼 난사했다. 왜인 장수가 화살을 맞고 추락하니 모든 왜군이 일시에 놀라 흩어졌다. 모든 장졸들이 일시에 집중하여 쏘았다. 화살을 맞고 고꾸라지는 자가 부지기수였고 남김없이 모두 섬멸하였다. 잠시 후 큰 왜선 이십여 척이 부산으로부터 줄지어 바다로 나오다가 우리 군을 보고는 다투어 개도(介島)로 들어갔다.
1597년 9월 15일 명량해전 전야 일기
十五日癸卯。晴。數小舟師。不可背鳴梁爲陣。故移陣于右水營前洋。招集諸將約束曰。兵法云。必死則生。必生則死。又曰。一夫當逕。足懼千夫。今我之謂矣。爾各諸將。勿以生爲心。小有違令。卽當軍律。再三嚴約。是夜。神人夢告曰。如此則大捷。如此則取敗云。
15일 계묘. 맑음. 소수의 수군으로는 명량을 등지고 진을 칠 수 없는 까닭에 우수영 앞바다로 진을 옮겼다. 제장들을 불러모아 약속하며 말하였다.
"병법에 이르길 '반드시 죽으려 하면 살고 반드시 살려 하면 죽는다.' 하였다. 또 '한 사람이 좁은 길을 지키면 천 명을 두렵게 할 수 있다.'고 했으니 지금의 우리를 이르는 것이다. 너희 각 제장들은 살 마음을 먹지 말라. 조금이라도 군령을 어기면 즉시 군율로 다스릴 것이다."라고 말하며 두세 번을 엄히 약속하였다.
이 밤에 신인(神人)께서 꿈에 나타나 말씀하시기를 "이리하면 크게 이길 것이요 저리하면 패할 것이니라." 하셨다.
1597년 9월 16일 명량해전 일기
十六日甲辰。晴。
早朝、別望進告:「賊船不知其數、直向我船云。」卽令諸船、擧碇出海。賊船百三十餘隻回擁我諸船。諸將自度衆寡不敵、便生回避之計。右水使金億秋、退在渺然之地。余促櫓突前、亂放地玄各㨾銃筒、發如風雷。軍官等簇立船上、如雨亂射。賊徒不能抵當、乍近乍退。然圍之數重、勢將不測。一船之人、相顧失色。余從容諭之曰:「賊雖千隻、莫敵我船!切勿動心!盡力射賊!」
顧見諸將船、則退在遠海、觀望不進欲回船。直泊中軍金應諴船先斬梟示、而我船回頭、則恐諸船次次遠退、賊船漸迫、事勢狼狽。卽令角立中軍令下旗、又立招搖旗。則中軍將彌助項僉使金應諴船漸近我船、巨濟縣令安衛船先至。
余立于船上、親呼安衛曰:「安衛、欲死軍法乎?汝欲死軍法乎?逃生何所耶?」安衛慌忙突入賊船中。又呼金應諴曰:「汝爲中軍而遠避不救大將、罪安可逃!欲爲行刑、則賊勢又急姑令立功。」
兩船直入交鋒之際、賊將指揮其麾下船三隻。一時蟻附安衛船、攀緣爭登。安衛及船上之人、殊死亂擊、幾至力盡。余回船直入、如雨亂射、賊船三隻無遺盡勦。鹿島萬戶宋汝悰、平山浦代將丁應斗船繼至、合力射賊。
降倭俊沙者、乃安骨賊陣投降來者也、在於我船上俯視曰:「着畫文紅錦衣者、乃安骨陣賊將馬多時也!」吾使金石孫鉤上船頭、則俊沙踴躍曰:「是馬多時!」云 故卽令寸斬、賊氣大挫。
諸船一時皷噪齊進、各放地玄字射矢如雨、聲震河岳。賊船三十隻撞破。賊船退走、更不敢近我師。
此實天幸。
水勢極險、勢亦孤危、移陣唐笥島
16일 갑진. 맑음. 이른 아침 별망군이 와서 고하기를 "적선이 부지기수이며 곧바로 우리 배가 있는 곳으로 향하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즉시 전 함대에 명하여 닻을 올리고 바다로 나가니 적선 삼백삼십여 척이 우리 전 함대를 감쌌다. 제장들은 스스로 중과부적이라고 헤아려 거듭 피하고 도망갈 궁리만 하였다. 우수사 김억추(金億秋)가 탄 배는 아득한 곳으로 물러나 있었다. 나는 노(櫓)를 재촉하여 앞으로 돌입한 뒤 지자, 현자, 각양의 총통을 폭풍 우레처럼 난사했고 군관들은 배 위에 빽빽히 서서 비 오듯 난사했다. 적의 무리는 당해내지 못하고 잠깐 다가오다 잠깐 물러나곤 하였는데 우리를 수 겹으로 에워싼 탓에 전세를 예측할 수가 없었고 나와 같은 배의 병사들은 서로 돌아보며 실색(失色)이 되어 있었다. 나는 침착하게 타이르며 말하였다.
"적이 비록 천 척이라도 우리 배를 대적할 순 없으니 결코 마음이 흔들리지 말고 전력을 다하여 적을 쏘라"
제장들의 배들을 돌아보니 먼바다로 물러나서 관망(觀望)만 할 뿐 나오지 않았으며 배를 돌리고자 하는 눈치였다. 곧장 중군 김응함(金應諴)에 배에 댄 뒤 참수, 효시하고 싶었으나 내 배가 선두를 돌리면 두려움에 떨고 있는 여러 배들이 차차 멀리 물러날 터이고, 적선이 점차 압박해와서 사세는 낭패가 될 터였다. 즉시 중군영하기(中軍令下旗)를 세우라고 명하고 또 초요기(招搖旗)를 세우니 중군장 겸 미조항(彌助項) 첨사 김응함의 배가 점차 내 배로 가까이 왔는데, 거제 현령 안위(安衛)의 배가 먼저 왔다. 나는 배 위에 서서 직접 안위를 불러 말하였다.
"안위야 군법에 죽으려 하느냐? 네가 군법에 죽으려 하느냐? 도망가면 어디서 살 것이냐?"
안위가 황망해 하며 적선 안으로 돌입하였다. 또 김응함을 불러 말하였다.
"너는 중군(中軍)이 되어 멀리 피하기만 할 뿐 대장(大將)을 구하지 않았으니 어찌 죄를 면할 수 있겠는가? 당장 처형하고 싶지만 적세가 또한 급하니 일단은 공을 세우라"
두 배가 교전의 틈으로 곧장 돌입하니 적장이 그 휘하 전선 세 척을 지휘하여 일시에 개미떼처럼 안위로 배로 달라붙었고 매달려서는 다투어 안위의 배로 올랐다. 안위와 안위 배 위의 병사들이 죽기를 각오하고 미친 듯이 공격하여 거의 힘이 다할 지경에 이르렀다. 나도 배를 돌려 곧바로 돌입해 비 오듯 난사했고 적선 세 척을 남김없이 멸하였다. 여도 만호 송여종(宋汝悰)과 평산포 대장 정응두(丁應斗)의 배가 속속 이르러 힘을 합쳐 적을 쏘았다. 항왜(降倭)[15] 준사(俊沙)는 안골의 적진에서 투항해온 자인데 이때 내 배 위에 타고 있다가 (바다를) 굽어보며 말하기를 "그림 무늬의 붉은 비단옷을 입은 자가 안골 진영의 적장 마다시(馬多時)입니다."라고 하였다. 나는 김돌손(金石孫)[16]으로 하여금 갈고리로 그 자를 선두 위로 끌어올리게 하였다. 그러자 준사(俊沙)가 보곤 뛰면서 말하기를 "이 자가 마다시입니다!"라고 하였다. 고로 즉시 참수하게 하였고 이에 적의 사기가 대폭 꺾였다. 전 함대가 일시에 쩌렁쩌렁 북을 치면서 일제히 전진했고 각 지자, 현자 총통을 쏘아대고 화살을 비 오듯 쏘아대니 그 소리가 강산을 진동하게 하였다. 적선 삼십 척을 쳐부수자 적 함대가 물러나 달아났으며 다시는 감히 우리 군에 접근하지 못했다. 이것은 실로 하늘이 준 행운[17]이었다. 수세(水勢)가 극히 험하고 아군의 세력도 지쳐 위태로웠으므로 당사도(唐笥島)로 진을 옮겼다.
2.2. 이순신의 체질[편집]
이순신의 약골설은 이우혁의 왜란종결자에서 기인하였다. 하지만 이는 작가가 허구로 지어낸 것이 아니라 난중일기의 기록에 근거하여 만들어낸 것이다. 난중일기를 보면 기(氣)가 불편하다, 즉 '몸이 좋지 않았다.'는 내용이 매우 많다. 설사병이 너무 심해 하루종일 화장실을 들락거리느라 아무 것도 못했다든지, 탈이 나거나 병을 앓았다든지 하는 내용 등. 때문에 이순신을 허약한 체질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에 이미 48세였다. 환갑이면 장수했다는 그 시대로서는 노장 소리를 들을 연령대였다. 백의종군 이후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면서 급격히 신체가 약화. 그 외에도 수군 통제사로서의 격무까지 처리했으니 몸이 망가지는 것이 당연하다. 특히 사천 해전 때 어깨에 총상을 입었는데, 그 시대 의료기술 수준이라곤 뻔한 만큼 후유증이 심각했다. 해전 1년 후 류성룡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어깨 뼈가 많이 상했고 상처에서 늘 진물이 흘러 밤낮 없이 뽕나무 잿물과 바닷물로 소독한다."라고 적어, 사천 해전 때의 총상도 건강 악화에 한몫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백의종군 전에도 여러 차례, 며칠에 걸쳐 아팠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니 '본래는 강건한 무장이었다.'고 단정짓는것도 무리. 종합하자면 이순신의 일생 전반이 허약했는지 강건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당시의 '노장' 이순신은 몸이 그리 좋지 않았으며 이는 총상과 고문의 후유증, 격무에 시달리며 더더욱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순신의 완벽주의적 성격을 감안하면, 전시라는 상황에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아 몸이 망가졌을 수 있다.
2.3. 개인적 면모 / 인물 평가[편집]
당일의 기상 변화, 전황, 군정 외에도 이순신의 개인의 사사(私事)와 자잘한 감정, 번민이 많이 적혀있다.
홀로 앉아 촛불을 밝히고 밤을 새며 국사를 걱정하며 눈물을 흘렸다는 내용이나, 백의종군 이후 삼도수군통제사로 복귀하여 몰락한 수군의 꼴을 보자 자기도 모르게 아무도 없는 구석의 잘 안보이는 곳에 털썩 주저앉아 이제부터 뭘 어째야 하는지 한참을 고민했다는 이야기 등 알려지지 않은 번민이 그대로 적혀 있다.
당시 나라를 범한 왜적에 대한 적개심 역시 그대로 적혀 있다. 왜군 포로를 잡았는데 그들이 척 봐도 엉터리 정보를 보여주거나 조선을 아주 우습게 보는 투로 대꾸하자 가차없이 베어버렸으며, 포로를 능지처참한 적도 2번이나 있다. 정유년(1597년)에 셋째 아들 이면이 왜군에게 살해당했기 때문에 왜군은 나라와 백성의 원수 뿐만 아니라 장군 개인의 원수이기도 했다.[18]
그 외 꿈을 꾼 이야기나 꿈에 대한 장군 나름대로의 해석, 어떤 일을 두고 점을 치는 장면, 원균, 권율 등 주변 인물에 대한 적나라한 평가[19]와 진중에서 쓴 시, 독서한 후의 소회 등도 살펴볼 수 있다.
어느 병사가 나이가 너무 많아 전역시키면서 병사들끼리 여는 간단한 축하식에 어울리며 돼지고기를 같이 먹는데 몇 점 집어먹었다는 소소한 이야기도 있다.
장군 본인의 취미 및 여가 생활도 상세하게 나와 있다. 주로 부하 장수들과 활쏘기 내기나 일종의 보드 게임인 승경도를 즐겼고 무엇보다 음주 이야기가 많다. '부하들과 밤새 술을 마시고 함께 잤다' 등의 기록이 여럿 나온다. 심지어 칠천량 해전 이후 다시 통제사로 복귀하고 나서 몸이 아픈 와중에도 '몸이 차서 그런가 보다'라고 생각하고 더 술을 마셨다가 오히려 병이 더쳐서 사흘 동안 앓아누운 일도 있다. 이를 토대로 장군은 전쟁 수행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술로 풀었다는 해석이 있다.
내가 일찍이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보니 어머니를 그리워해서 밤낮으로 애쓰고 지성으로 슬퍼했음이 사람을 감동시킬 만했다. - 다산 정약용, 경세유표
가족에 대한 애틋함을 표현한 구절이 많은데 특히 '어머니께서 무탈하시니 다행이다'라는 서술은 난중일기에서 꽤 자주 등장하는 표현. 이순신이 일기 속에서 가장 걱정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1594년 1월 12일에는 이순신이 잠깐 본가에 왔다가 떠나는데 일기에 자당에 대한 기사가 쓰여있다.
朝食後 告辭天只前 則敎以好赴 大雪國辱 再三論諭 少無以別意爲歎也。
아침밥을 먹은 후 어머니께 하직을 고하니 하교하시길, "잘 가거라. 나라의 치욕을 크게 씻거라" 라고 두세 번 타이르시는데 조금도 이별을 아쉬워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으셨다.
1593년 6월 12일 일기를 보면 충무공이 흰 머리를 뽑았다고 기록한 일기가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늙으신 어머니가 계시기 때문이라고 적었을 정도였다.[20]
이후 자당께서 돌아가신 날에는 '어찌 하랴, 어찌 하랴, 세상에 나 같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어서 죽느니만 못하구나'(1597년 4월 19일)라고 지극히 슬퍼하고 있다.[21]
심지어 다음 일기에는 꿈에 죽은 두 형(희신, 요신)이 나타나 함께 임종을 지키지도 못하고 장례도 함께하지 못했다며 애통함에 서로 붙들고 통곡했다고 한다.
자식들을 걱정하거나 자식들이 와병중인 것을 걱정하는 내용 역시 적혀있다. 이순신의 셋째 아들이자 막내 아들인 이면(李葂)은 1597년에 전사하였는데(이순신의 가족을 포로로 잡아 이순신을 협박하기 위해 왜군이 이면을 잡아가려 하였으나 그는 굴복하지 않고 당당하게 맞서 싸우다 죽었다) 그의 죽음을 전하는 편지를 읽은 이순신의 비애 역시 일기에 기록되어있다.
十四日辛未。晴。四更。夢余騎馬行邱上。馬失足落川中而不蹶。末豚葂似有扶抱之形而覺。不知是何兆耶。夕。有人自天安來傳家書。未開封。骨肉先動。心氣慌亂。粗展初封。見䓲書則外面書痛哭二字。知葂戰死。不覺墮膽失聲。痛哭痛哭。天何不仁之如是耶。我死汝生。理之常也。汝死我生。何理之乖也。天地昏黑。白日變色。哀我小子。棄我何歸。英氣脫凡。天不留世耶。余之造罪。禍及汝身耶。今我在世。竟將何依。號慟而已。度夜如年。
14일[22] 신미. 맑음. 사경에 꿈을 꾸었는데, 내가 말을 타고 언덕 위를 가던 중 말이 발을 헛디뎌 냇속으로 떨어졌으나 나는 넘어지지 않았다. 그리고는 막내 아들 면(葂)이 나를 껴안는 듯한 형상이 보이는 듯 하더니 잠에서 깼다. 무슨 징조인지 알 수 없었다. 저녁이 되어 천안에서 온 사람이 집[23]의 편지를 전하였는데 열어보지도 않았건만 살과 뼈가 먼저 떨리고 마음이 황란(慌亂)하였다. 겉 봉투를 대강 열어보니 그 겉에 예(䓲)[24]가 쓴 '통곡'이라는 두 글자가 보였다. 이내 면(葂)이 전사했다는 걸 알고 나도 모르게 낙담하여 목소리가 나오질 않았다. 통곡하고 또 통곡하도다! 하늘이 어찌 이렇게 어질지 못하실 수가 있는가. 내가 죽고 네가 사는 게 올바른 이치인데 네가 죽고 내가 사는 것은 무슨 괴상한 이치란 말인가. 온 세상이 깜깜하고 해조차 색이 바래보인다. 슬프다 내 작은 아들아,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갔느냐! 출중하고 영민하여 하늘이 세상에 남겨두지를 않으시는구나. 나의 죄가 네게 화를 미쳤구나. 나는 세상에 살아있지만 장차 어디에 의지하랴. 부르짖고 서글피 울 뿐이다. 하룻밤을 넘기기가 한 해와 같도다.
그후 16일의 일기에는 "나는 내일이 막내 아들의 죽음을 들은지 나흘이 되는 날인데도 마음놓고 울어보지도 못했다."(1597년 10월 16일) 라는 기록 등 지휘관으로서 휘하 장졸들 앞에서 드러내지 못한 비감을 쓴 바가 많다.
3. 위상[편집]
3.1. 사료적 가치[편집]
이순신의 면밀한 성품 탓에 사소한 사정까지도 자세히 적혀 있어 그 당시의 전황과 시대상, 역사까지 짚어볼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 책'이다. 이 시기를 다룬 역사 사료로서는 조선 조정 움직임이 높은 평가이나 개인 입장이 강조되어 징비록과 함께 실록 바로 다음가는 위치.[25]
또한 몇 쪽만 넘겨보아도 창고를 검열했더니 장부에는 수백 발이 있다던 화살이 알고 보니 죄다 습기 먹거나 썩어서 못 쓰게 됐다거나, 배를 보러 갔더니 역시 물에 뜨지도 못하는 배가 있다거나 해서 허구한 날 관계자들이 줄빠따를 맞는 이야기가 빠지질 않는 등 당시 조선군의 열악한 상황을 알 수 있다.[26]
이순신에 관해서 서술된 기록물 중에서 난중일기만큼 신뢰성 있으면서도 이순신에 대해서 비판적인 사료가 없다.[27]
3.2. 문학적 가치[편집]
여러 대학, 기관에서 권장 도서로 선정되어 읽기를 권하고 있다. 이순신을 다룬 소설 칼의 노래를 쓴 소설가 김훈은 문학으로서의 난중일기를 '수식을 배제한 무인다운 글의 전범' 이라고 하며 문체와 내용을 극찬하였다.
"삶과 죽음 오가며 칼을 휘두르는 마음으로 글 쓴다"
3.3. 대중에게[편집]
저자인 이순신이 거의 절대적인 명망을 자랑하기 때문에 난중일기 역시 현대에 굉장히 저명하다.
조선 시대의 기록물로서는 조선 왕조 실록, 승정원 일기 등의 국가 기록들에 버금갈 정도로 거의 최고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과거 조선조의 학자, 대유(大儒)들이 쓴 저서들 중 목민심서, 징비록 등의 책도 유명하다지만 모르는 사람이 적지 않은 반면 난중일기는 적어도 '책 제목'이나 '누가 썼는가?' 따위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4. 초서 해독(脫草)[편집]
난중일기는 이순신 장군이 쓴 개인의 일기이다. 수많은 고문서들이 그렇듯이 난중일기 역시 한자 초서로 쓰여졌다. 따라서 난중일기 원본만 봐서는 이게 무슨 내용인지 파악하는것이 상당히 곤란하다. 또한 연구자들 입장에서는 그 귀한 원본을 접해볼 기회도 매우 드물다. 이러한 이유에서 난중일기 원본의 초서를 알아보기 쉬운 정자로 바꾸는 작업(탈초 脫草)이 몇차례 있었다.
가장 먼저 정자 편집이 이루어진 것은 조선 정조의 어명으로 간행된 충무공전서(忠武公全書)이다.[28] 1795년 목판본으로 인쇄된 이 전서에 난중일기 정자본이 실려 있다. 그러나 충무공전서는 편집 기간이 불과 2년에 불과하여 오자나 잘못 정자화한 부분이 상당히 많고 더 큰 문제는 의도적인 내용 누락이 꽤 많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 다음은 1935년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가 간행한 '난중일기초(草)'이다. 정확한 명칭은 '조선사료총간 제6집 - 난중일기초.임진장초'. 조사와 편찬에 총 8년이란 긴 시간을 투자했고 당대의 한학자들이 대거 투입되어 완성도가 상당히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관련 기사 상당히 많은 부수가 인쇄 간행되었기에 지금도 꽤 많이 남아있고 심지어 고서점에도 매물이 등장한다.링크
물론 오해하면 안 될 것이 조선사편수회는 일제 식민사관에 입각한 역사서인 '조선사'의 편찬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식민사관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쓴 방대한 책인 '조선사'를 쓰기 위해서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면서 했던 활동의 일환인 것이다. 이전 서술로는 조선총독부를 찬양하는 황당한 서술이 있었다.
무엇보다 조선을 식민지로 두고 있는 상황이기에, 일본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선조들이 과거부터 조선을 정복하고자 했지만 이런 엄청난 장수가 있어서 실패했었는데 지금의 우리는 당당히 성공했다.' 같은 프로파간다로 써먹기 좋았기 때문에 조선총독부로써도 굳이 이순신을 감추려 하지 않고 널리 알리려 했다.[29] 더구나 일본과의 전쟁 중에 '일지'로써 작성된 리얼타임의 기록인데다[30] 조선 주둔 일본군의 동향이나 조선군과 일본군 간의 교전 상황을 기록하고 있는 등[31] 일본으로써도 자국의 조선 침략 전쟁을 연구할 역사적인 사료로 간주되었으니만큼 굳이 방기할 이유가 없기도 했다.
2005년에는 당시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던 노승석(탈초팀)이 난중일기 정자 데이터베이스화를 단기에 완료했다. 임진장초를 포함하여 총 약 13만자 가량을 판독하였다고 한다.
2017년 9월 12일 '개정판 교감원문(校勘原文) 난중일기(노승석 교감, 도서출판 여해)'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난중일기 친필 초고본과 이충무공전서의 난중일기, 1935년의 난중일기초 등 후대의 이본, 국가기록유산의 난중일기 DB본 등을 모두 망라했는데, 중국의 교감학자 진원(陳垣)의 이론으로[대교법, 본교법, 타교법, 이교법] 원문을 교감하고 종합 정리한 난중일기 원문 책자이다. 현재에 이르기까지 난중일기의 초서글씨를 탈초한 원문 책자로서는 가장 완벽한 책이다. 초고본과 함께 10여 년 동안 노승석 교수가 발굴하여 찾아낸 난중일기 이본(일치초, 태촌집, 동포실기 등)의 글자를 모두 포함하면 난중일기 글자는 모두 93,011자이다.
5. 번역[편집]
지금까지는 1968년 시인 이은상이 난중일기 초고본과 충무공전서본을 합본해 처음으로 우리 말로 옮긴 것이 첫 한글 번역본이라고 알려졌지만, 그 이전 1955년 북한 평양에서 간행된 난중일기 한글 번역본이 최근 입수되었다. 벽초 홍명희의 아들, 국어학자 홍기문이 1955년 11월 30일 평양에서 펴낸 '리순신 장군 전집'에 실은 난중일기 번역본을 찾아낸 것이다. 이 책을 입수한 노승석 교수가 2013년 5월 31일 kbs 9시 뉴스에 처음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현재 국내 번역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노승석 교수가 번역한 난중일기가 가장 우수하다는 평가가 있다. 문팔초이(文八草二)의 방법으로 해독 및 원문을 교감(校勘)하고 기존에 없는 새로운 일기를 발굴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노승석 교수의 번역본은 2005년에 최초로 동아 일보사에서 한국어 완역본으로 출판했다. 그 뒤에 교감을 거쳐서 2010년에 민음사에서 다시 출판했다. 이 번역본에는 새로운 32일치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2013년 6월 19일 난중일기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되었는데, 이때 민음사본이 심의자료로 제출되었다. 또한 그 뒤에도 교감을 거쳐서 2014년에 여해에서 또 다시 출판했다. 이 번역본에는 이순신이 삼국지연의에서 교훈이 되는 내용을 옮겨 적은 내용과 홍기문이 1955년에 최초로 우리 말로 번역한 난중일기 번역본을 반영했다. 그 후 1년도 지나지 않아 2015년에 동일한 출판사에서 또 다시 번역했다. 이번 번역본에서는 갑오년에 쓴 9일치 일기를 추가했다. 거기에다 2016년에는 새로운 일기 35일치와 금토패문 및 문헌고증 내용을 추가하고 새로 해독한 2일치 일기를 포함해 총 200여 곳을 교감하여 개정판을 펴냈다.
2017년 9월 12일 도서출판 여해에서 '개정판 교감원문 난중일기(노승석 교감)'가 간행되었는데, 이는 기존 활자로 된 한문판 난중일기 판본으로, 친필 초고본과 전서본, 이본이 모두 망라되었고, 2005년 국가기록유산 난중일기 DB에 있는 전산 오류와 일부 오타의 수정내용을 모두 반영하였다. 결국 이 책자는 초고본을 비롯한 난중일기 활자본의 모든 문제가 다 해결된 것이다. 그러나 이 책 이후에 나온 다른 난중일기에는 이 책의 간행 상황과 수정 사실이 누락되었다.
2018년 3월 30일, '글항아리'에서 펴낸 '난중일기(박종평 역)'는 주석이 본문보다 더 많아 무려 1230페이지에 달한다. 난중일기 외로, 이순신 장군의 친필 편지를 모은 <서간첩>과 장계를 모은 <임진장초> 등까지 합본된 것이다. 기존 번역의 오류를 많이 수정하여 가장 완벽한 번역판이라고 한다. 문화재청 사이트에 있는 난중일기가 가장 공신력 있는 것이라 할 것인데. 본서에는 문화재청 게재 내용의 글자 누락, 오기 등도 수정하고 있다. 한 예를 들면, 애매한 글자 옆에 붙은 일본어의 카(カ, 일까? 인듯?라는 의문 표시)가 힘力자로 입력되어 있는 등(p.582 주석 참조. 조선사 편수회 일본인 번역을 그대로?) 번역 저본 자체가 의심스러웠는데 문화재청은 2017년 12월 29일, '발견된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서'라는 공지와 함께 원문 텍스트를 내려 놓았다.
그런데 이 글항아리 책에서 적시한 일본어는 기존 번역서에서는 전혀 없었고, 이 책에서 적시한 오기는 일부의 오타가 있었지만 실제는 대부분이 다른 판본 활자본[전서본]의 이본(異本) 글자로 확인되었고, 기존의 교감완역 난중일기(2016년 증쇄본 기준)책에서는 친필 초고본 위주의 내용으로 이미 모두 바르게 수정된 것이 추후 확인되었다.
2019년 10월 15일 난중일기 유적편(노승석 역, 도서출판 여해)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난중일기에 나오는 주요 유적지 4백 여 곳을 일일이 고증하여 해당 위치를 찾아 그곳의 사진을 해당 본문에 수록했다. 지금까지 나온 난중일기들이 많지만 이처럼 현장의 사진을 수록한 경우는 이 책이 처음이다. 경기와 충청, 전라, 경상 지역의 수많은 유적지를 수년동안 저자가 고지도를 참고하고 현지의 세거주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었다. 특히 이순신의 가족묘, 아산의 자당기거지, 여수의 채석장, 통영의 통영별로와 통제사길 등을 처음 소개했다. 현재의 지번에서 난중일기의 유적지를 모두 찾아낸 전대미문의 역작이라고 평가되었다. 링크.
2019년 11월 18일 도서출판 여해에서 '교감완역 난중일기' 개정2판(노승석 역)이 출간되었다. 기존 또는 최근에 나온 다른 번역서들은 서로가 완벽하다고 주장하지만 문맥에 맞지 않는 번역과 초서 글자를 오독하는 등 해독상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못했다. 이번 개정2판은 그간 논란이 많았던 지명의 오류 3백여 곳을 바로잡아 새로운 위치를 비정하고 최근까지 논란이 되었던 내용들과 오역 등을 모두 바로잡았다. 예컨대 이순신이 백의종군하러 갔던 합천지역에 대해 새로운 고증을 더했는데, 정유년 6월 4일과 5일 사이에 적힌 모여곡(毛汝谷) 을 5일자에 처음 삽입하여 해석을 했다. 이는 전후 상황에 잘 맞는 해석이라는 평가가 있다. 특히 1935년 일본인이 오독한 여진입/삽(女眞卄/卅)과 일맥금전(一脈金錢)을 각각 여진공(女眞共), 일맥금전(一陌金錢)으로 교감하고 이에 대한 고증내용을 상세히 밝혔다.
민음사본을 시작으로 개정 2판까지 10년 간의 전통을 이어온 '교감완역 난중일기'는 홍기문의 번역과 삼국지 인용문, 새로운 일기 35일치를 최초로 수록하고, 지명 3백여 곳을 새롭게 고증하는 등 하나의 발굴 역사를 이룬 것이다. 이 책은 중고교 교과서 27종에 수록되었으며[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2010 ~ 2019년 통계자료 인용], 지금까지 고전 관련한 학계를 비롯하여 국내 및 해외에까지 최고의 학술번역서로 호평을 받았다. 이 책은 2015년 문화관광부 산하의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으로 베트남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이 이외에도 난중일기 번역서가 계속 간행되고 있지만,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를 기준으로 최근의 연구상황을 종합해보면 이 이외에 교감을 더한 번역서는 보이지 않고 다만 이순신의 정신적 측면, 점법(占法), 리더십 위주의 연구서들이 확인된다. 한편 대중적인 책으로는 쉽게 보는 난중일기가 있는데 2016년 한국출판문화진흥원에서 대학신입생 추천도서로 선정되었다. 그외 1960년 초기 홍기문 등의 번역서가 종종 간행되고 있다.
외국 출판의 경우 이미 영역, 일역되었으며 2015년 올레그 피로젠코 주한 러시아 대사관이 번역한 난중일기가 있다.
그외 난중일기 원문 및 번역사이트들[32]##임진장초 원문
6. 도난 사건[편집]
1967년 12월 31일 난중일기가 도난 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난중일기는 당시 현충사의 유물 전시관에 전시되고 있었는데 범인들은 저녁 8시 ~ 10시경에 철문을 부수고 다이얼을 맞추고 침입하여 서간첩, 임진장초, 충무공유사 등 10책을 훔쳤다.
수사를 벌였지만 일주일이 지나도록 지지부진하자 박정희 대통령은 1968년 1월 8일 문화재 도난에 따른 전례 없는 특별 담화를 발표하였는데 그 요지는 "1월 17일까지 난중일기를 찾지 못하면 전 수사 기관을 동원하여 범인을 체포 엄벌하겠으며 범인 스스로 뉘우쳐 자수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면 그 죄에 대해서는 일체 불문에 붙이고 난중일기의 행방을 알려주는 시민에게는 특별 상금을 주겠다"는 강경과 회유책이었다. 박정희 대통령부터가 개인적으로 이순신을 존경한다고 하기도 했고, 한민족 영웅 기념 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었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움직였다는 평이 있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인 1968년 1월 9일, 한 어린 시민의 제보로 끝내 범인들은 부산에서 체포되었고 난중일기는 도난 10일 만에 '일본으로 유출되기 직전' 회수되었다. 검거 당시 난중일기는 비닐에 싸여 고추장 항아리 속에 감추어져 있었다. 신고자는 공범의 조카였다고 한다.
주범은 유근필이라는 자로 당시에 37세, 무직자 였으며 이미 1966년에 통도사에서 동은사마법병을 훔쳐내 재벌 이 모씨에게 팔아넘긴 혐의로 9개월 징역형을 살고 나온 적이 있는 전과자였다. 당시 그 외 6명을 검거하고 한 명은 수배하였다고 발표했다. 기사를 보면 절도범은 다 잡히고 공범 양씨만이 도주하다 목숨을 끊었다고 하는데, 정황상 수배가 내려진 사람이 자살한 양씨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절도 전에 현충사 전시관을 답사하였고 난중일기를 일본에 가져가 1천만원 정도에 판후 나눠갖기로 모의했다고 한다. 소비자 물가 지수를 기준으로 화폐 가치를 환산해 보면 1967년의 1천만원은 2018년 기준 3억750만원이다.# 즉 이들은 감히 가치를 환산할 수 없는 국보급 중요 사료를 고작 인당 5천만원도 안 되는 돈에 팔아버리려고 한 미친인간들이다.
당시 1965년의 한일기본조약이나 그것을 반대한 6.3 항쟁이 1964년에 벌어지는 등 대일 감정이 매우 좋지 않던 시기였기 때문에 만일 진짜로 난중일기가 일본에 유출이라도 되었었다면 저 자들은 일본에 맞서 싸운 성웅의 중요 유품을 다른 곳도 아닌 일본에 팔아먹은 매국노로 여겨져 성난 시민들에게 백주 대낮에 길거리에서 맞아죽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기사에 따르면 주범 유근필에게 징역 5년이 선고되었다고...
이 일이 있은 후 정부에서는 50부의 영인본을 만들어 전국에 보냈고 원본은 열람이 금지되었다.
이 사건을 다룬 영상 - 대한뉴스 658호
7. 기타[편집]
-
일기 곳곳에서 어머니를 칭할 때 어머니(母)라는 말 대신 천지(天只 : 하늘 천 / 다만 지)라는 표현으로 칭하는 부분이 많다. '천지(天只)를 떠나서~', '천지(天只)께서 평안하시다고 한다. 다행이고 또 다행이다.' 이런 식인데 이것은, 시경(詩經)의 '모야천지(母也天只)', 즉 '어머니는 하늘이다'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
난중일기에서 이 충무공이 제일 길게 적은 일기는 정유년(1597년) 9월 16일의 일기다. 다름 아닌 명량 해전을 치르던 날의 일기. 명량 해전은 이 충무공 역시 일생에서 가장 길었고, 긴박한 시간으로 느꼈을 것이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오죽하면 이날 일기 마지막에 '실로 천행한 일이었다'고 덧붙였을 정도이니. 난중일기 곳곳에 장군의 감정이나 생각이 잘 드러나는 편이지만 무엇보다 감정이 제일 잘 드러나는 일기는 정유년 일기다. 이 해에 워낙 많은 일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
문화재청에서는 난중일기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기로 하고 2012년에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하였다. 이후 2013년 6월 18일 세계 기록 유산 국제 자문 위원회(IAC)의 최종 심사를 거쳐 새마을운동 기록물과 함께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로써 2015년 10월 9일 기준 '특별 생방송 이산 가족을 찾습니다'와 한국의 유교책판이 추가로 등재되면서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된 한국 기록물은 13개가 되었다. 아시아에서도 독보적인 1위이며 세계구급으로도 상당히 많은 편.(공동 4위)
-
난중일기에는 짤막하게 여진(女眞)이라는 이름이 등장하는데 이제까지 이순신과 관계한 여인의 이름으로 해석되어 왔고 번역될 때에도 그렇게 번역했지만[33] 이것이 오역이라는 주장이 있다. # 원문 여진(女眞) 뒤에 나오는 스물입(卄)자, 서른 삽(卅)자는 1935년 일본인이 오독한 것인데, 노승석 교수가 이를 공(共)자로 교감한 것에 대해 고전 및 초서 전문가들 다수가 공감했다. 이 공(共)자의 명확한 용례가 난중일기 안에 있기 때문이다. 사실 난중일기 내에 여러 계집종,관노와 잤다는 얘기가 있으나 동침(與)이란 글자가 들어가지 않아 그냥 관노들을 불러 심부름을 시키고 혼자 잤다는 설이 있다. 2020년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사망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일부 친문성향의 커뮤니티에서 해당 내용을 언급하면서 옹호하여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기사 #논란 정리글
-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나, 실제 난중일기는 총 8권이 있어야 한다. 연수로는 7년이라 당연히 7권이 맞지 않느냐 할 수 있겠지만, 정유년을 다룬 정유년의 일기가 정유일기, 속정유일기 두권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이다. 누락된 부분은 1595년 을미년을 다룬 을미일기로 이는 문화재청 홈페이지에도 나와 있는 내용이다. 한국사에서 난중일기의 역사적 위치가 위치인 만큼 이 '을미일기'가 발견된다면 임진왜란 중 을미년의 내용이 상당히 바뀔 것이라는 평도 존재한다. 다만 기사에 따르면 이미 이충무공전서에 을미일기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어 중요한 부분은 알려졌다고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참고로 이 기사에선 충무공의 다른 유물들의 허술한 관리 실태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으니 읽어보면 좋다.
-
유튜브 채널 Extra Credits[34]에서 이순신 이야기를 시리즈로 연재하였는데.[35] 시리즈 마지막까지 보면 고증 담당자가 나와서 관련 이야기를 하는 영상이 있다. 그런데 그 고증 담당자 왈, 자기가 찾아본 자료 중 난중일기가 제일 이순신에게 비판적이었다고 한다. 타인들은 이순신을 찬양하거나 부풀리기 바빴던 반면 난중일기는 이순신 본인이 담담하게 자기 이야기를 적어넣은 것이니 그럴만도.
-
한국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나왔다. 난중일기(애니메이션).
[A] [2] Le journal intime de guerre de l'Amiral Yi Sun-sin[3] 지정 명칭은 이충무공난중일기부서간첩임진장초(李忠武公亂中日記附書簡帖壬辰狀草)이다. 부록으로 서간첩 1책, 임진장초 1책, 합 9책이다.[4] 이순신 본인이 모함 때문에 파직되고, 모친이 객사하고, 막내아들이 전사했으며, 명량 해전도 그 해에 일어났다.[5] 이순신은 일기에서 시종일관 어머니를 天只(천지)라고 칭하고 있다.[6] 긴 화살[7] 일명 애기살. 덧살로 쏨[8] 아직 임란 발발이 고지되지 않은 상태였다.[9] 순(巡)이란 화살 다섯 발 쏘는 것을 말한다. 즉 십오순(十五廵)은 75발을 쐈다는 뜻.[10] 순찰사(巡察使)를 말함.[11] 역에서 일을 보던 구실아치[12] 공문서[13] 밤 9시부터 11시 사이[14] 이충무공이 임진란 개전 후 첫 해전을 치른 5월 초순에서 중순까지의 일기는 결여(缺如)되었다고 되어있음.[15] 항복한 왜군[16] 한문으로 쓸 때는 金石孫이지만 읽을 때는 '김돌손'으로 읽는다.[17] 천행(天幸)[18] 포로한테만 이러는게 아니라 아군이라도 군율을 어기거나 직무에 태만한 것을 발견하면 가차없이 처벌했다.[19] 원균의 경우는 당연히 지독히 나쁘게 평가하고 있다. 역사저널 그날에서 다룬 바론 난중일기에서 원균에 대한 험담만 4년간 30여차례에 이르는데, '흉악하고 음험하고 거짓된 사람'이란 평을 내리며 거리를 두었으며 나중엔 원흉이라고 부를 수준으로 미워했다.[20] 아들이 늙은 것을 보고 어머니 마음이 상할까봐 그랬다는 의미. 참고로 현대 대한민국에서도 부모님에게 본인의 흰 머리카락을 내보이는 것을 불효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아직 남아 있는데, 이것이 중장년층 대상으로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 염색 약이 꾸준한 수요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21] 이때 나이 90에 가까운 어머니가 여수에서 충청도 아산까지 배를 타고 올라오다가 배 위에서 돌아가셨다. 많은 연세에도 이렇게 무리하신 것은 아들인 이순신 장군이 파직되고 의금부에 잡혀갔다는 소식에 놀랐기 때문으로, 이때 급히 상경하시다 돌아가신 것. 이순신 장군은 이미 함경도에서 근무하던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그때도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22] 1597년 10월 14일[23] 이순신의 집.[24] 이순신의 둘째 아들. 면의 형.[25] 영국의 대영박물관 등에 가보면 대항해시대 때 말단 영국 해군 수병이 고향에 주고받은 편지라든지 식료품 가게의 음식 목록 따위의 굉장히 사소한 기록물들까지 보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당시의 생활상을 자세히 파악하게 해주는 기록들로서 가치가 큰 탓이다. 한국의 경우는 이런 종류의 기록이 없지는 않지만 대부분 한자로 쓰여진 바람에 번역이 안 되어 있었는데 요즘에는 이런 생활상에 대한 기록들도 번역되는 일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26] 조선군이 이렇게 된 건 장장 20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오랜 평화 때문이며, 특히나 여진족이 약탈을 했던 북방과 달리 남쪽은 일본 쪽에서 자기들끼리 싸우느라 정신이 없어서 왜구가 고려 때에 비해 크게 줄어 후방이나 다름없었다.[27] 징비록, 실록, 일본 측 기록, 중국 측 기록 등 당시 전쟁상을 적어둔 기록들은 이순신에 대해서 칭찬한다.[28] 우리가 아는 '난중일기'라는 제목이 바로 충무공전서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29] 물론 이것과는 별개로 미국인 선교사 셔우드 홀이 1932년 조선에서 발행한 크리스마스 씰에 거북선 그림을 넣으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검열로 차단하는 등 가차없었다.트라우마가 워낙 셌다 보니#[30] 어떤 사건에 대한 사료는 사건이 일어난 직후에서 시점이 멀지 않을 수록, 그리고 사료를 작성한 당사자가 그 사건과 관련이 깊을 수록 1급으로 취급된다.[31] 한국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마냥 한국 사료만 쓰는 것이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측의 사료도 교차검증해서 사용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일본인이 조선측 적장인 이순신의 기록을 자신들의 사료로써 중시한다고 해서 이상할 것도 없고 그것에 대해서 일본을 고평가할 이유도 전혀 없다.[32] 정조때 편찬된 이충무공전서 원문이 많고 초고본은 원문은 매우 드물다. 대신 초고본 한글 번역문은 꽤 많은 편[33] 칼의 노래에도 그렇게 등장한다.[34] 게임 개발자가 진행하는 채널로, 주로 게임과 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한다. 그러나 별도로 'Extra History'라는 코너에서 역사 관련 영상도 올리고 있다.[35] 평가도 좋고(좋아요가 평균 8천에 100만을 넘으며 댓글도 다들 정말 대단한 인물이라는 반응.), 고증도 적절한 편이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namu.wikiContáctenosTérminos de usoOperado por umanle S.R.L.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
Su zona horaria es Asia/SeoulImpulsado por the seed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