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론방 -Q&A

pain -苦痛, 痛症이란 무엇인가- 철학적 물음

by 이덕휴-dhleepaul 2021. 1. 31.

고통 -Pain     " 이 명백한 역설은 철학자가 고통에 특히 관심이 있는 주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들어가는 말

통증을 생명공학적으로 즉, 생물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한 문건을 소개합니다.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고통없는 세계 그것을 우리는 간단히 파라다이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이것이 신학적으로 옳은 것인지에 대하 비판적 견해는 본론에서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사실 모든 기독신자들이 고통으로부터 해방할 수만 있다면 그것이 천국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이러한 문제를 가급적이면 현실적으로 부딪쳐보기로 합니다. 본인의 웹사이트

blog.daum.net/dhleepaul/1494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덕휴식

 

통증(pain)은 가려움, 간지럼, 팅팅, 오르가즘 등을 포함하는 신체 감각으로 알려진 감각의 부류 중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다. 신체 감각은 일반적으로 신체 부위에 기인하며 부피, 강도, 지속시간 등과 같은 특징들이 일반적으로 물리적 물체나 양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감각들은 종종 논리적으로 사사롭고 주관적이며 자기 성찰적이며 그것을 가진 사람들에게 구제불능 지식의 근원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통증(다른 유사한 신체 감각과 함께)은 우리가 신체 부위에서 인지하는 물리적 물체나 조건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모두에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명백한 역설은 철학자들이 특히 고통에 관심을 갖는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 이 명백한 역설을 다루는 점점 더 인기 있지만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고통에 대한 지각적 또는 대표적 관점을 옹호하는 것인데, 이 관점에 따르면 고통을 느끼는 것은 보는 것, 듣는 것, 만지는 것 등과 같은 다른 표준적인 지각 과정을 거치는 것과 원칙적으로 다르지 않다. 그러나 고통은 그런 치료에 순응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20세기 대부분에 걸쳐 철학적 논의를 지배했던 것은 감각 차별적 경험으로서의 고통의 치료였지만, 근래 들어 고통의 감정적 동력의 차원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고 있다.

 

* 용어의 정의 : 본문에서 "실"(thread)은 위키백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참조하기 바랍니다. - 이덕휴식

스레드(thread)는 어떠한 프로그램 내에서, 특히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지만, 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둘 이상의 스레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 방식을 멀티스레드(multithread)라고 한다. 1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비교 2 스레드의 종류

 

본문 목록

 

1. 통증의 상식적 개념

1.1 첫 번째 실: 몸의 어떤 부분과 같은 통증

1.2 두 번째 실: 주관적 경험으로서의 고통

1.3 두 나사산 사이의 장력

 

2. 감각-데이터텀 이론

2.1 소개

2.2 감각-데이터텀 이론의 문제점

 

3. 지각 이론

3.1 소개

3.2 외관/실제 문제

3.3 통증 위치의 문제

3.4 직간접 지각 이론

3.5 부사 지각 이론

 

4. 대표주의 이론

4.1 소개

4.2 초점의 문제

4.3 감정 현상학의 문제

 

5. 평가적, 동기적 이론

 

6.통증에 대한 제거주의

6.1 통증을 없애기 위한 반응적 분리의 주장

6.2 제거주의에 대한 기타 주장

 

7. 결론

 

참고 문헌 목록

학술 도구

 

 

1. 통증의 상식적 개념

 

통증의 상식 개념에는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두 가지 주요 실(thread)이 있다. 우리는 이 긴장을 우리의 통상적인 고통 개념에 내재된 행동-객체 이중성(또는 모호성)이라고 부를지도 모른다.

1.1 첫 번째 실: 몸의 어떤 부분과 같은 통증

첫 번째 실에서는 통증을 신체 부위에 공간적으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강도와 같은 특징뿐만 아니라 신체 부위의 특정 조건으로서 취급한다. 이 실은 다음과 같이 통증을 신체 부위에 귀속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나타난다.

(1) 오른 손등에 날카로운 통증이 있다. (2) 왼쪽 허벅지가 욱신욱신 쑤신다. (3) 오른쪽 어깨가 아프다. (4) 사랑니가 아프다.

이 실에 따르면 통증은 물리적 물체나 물리적 물체의 특정 조건과 같다. 우리는 또한 신체 부위에 기인한 통증과 우리의 인식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흔히 'feel' 또는 '경험'이라는 동사를 사용한다.

(5) 오른 손등에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 (6) 왼쪽 위 허벅지 등에 통증을 느끼고 있다.

(5) 우리가 특정 주피오템포럴과 일종의 지각 관계에 있음을 암시한다. 무기한 기사가 없으면 (6) 허벅지의 어떤 수량화 가능한 특징이나 상태를 인지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우리가 신체 부위에 통증을 느낄 때, 우리의 주의와 간병행위는 그 위치를 향한다.

덜 자주, 우리는 또한 되돌아오거나 간헐적으로 지속되는 같은 고통에 대해 이야기한다.

(7) 조깅을 시작할 때마다 무릎에 같은 통증이 있어 왔다. (8) 같은 논쟁을 다시 시작하는 순간 두통이 되돌아왔다.

그래서 이 실에 따르면, 우리가 몸의 일부에서 고통을 느낄 때, 우리는 그 부분의 어떤 또는 어떤 상태를 인지한다. 우리가 (1)부터 (8)까지와 같은 문장을 내뱉으며 보고할 때, 우리는 지각적 보고를 하는 것 같다. 이러한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보다 직접적인 지각적 보고서와 동등한 것으로 보인다.

(9) 오른 손등에 검게 변색된 것이 보인다. (10) 탁자 위에 붉은 사과가 보인다. (11) 큰 폭발음이 들렸다. (12) 장미원에서 나는 달콤한 냄새를 맡고 있다. (13) 표면 등의 매끄러운 질감을 느낀다.

예를 들어, (5)와 (9)를 비교하라: 그들은 유사한 지각적 읽기를 요구하는 동일한 표면 문법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내가 어떤 것과 어떤 종류의 지각적 관계에 서 있는 것에 따라서.

그러므로 우리의 통상적인 개념에 있는 이 실타래는 마치 고통들이 우리의 인식의 대상인 것처럼 이해하는데 유리하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물리적 물체나 양에 기인하는 다른 유사한 특징들과 함께 주걱턱을 가진 것으로 취급하는 우리의 표준 관행과 결합될 때, 그것은 우리의 신체 부위의 신체적 특징이나 조건과 함께 그럴듯하게 식별될 수 있는 통증에 대한 이해를 가리킨다.조직에 대한 신체적 손상이나 외상이 임박한 경우 실제로 우리가 고통을 이야기하는 방식을 보면, 마치 테이블 위에 썩은 사과가 있는 것을 시각적 지각으로 보고하는 것처럼, 거기서 그 기면적인 인식을 보고함으로써 신체적인 위치에 나쁜 것을 귀속시키고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똑같은 상식은 비록 그 방향을 가리키지만, 몸 속에 인스턴스화된 어떤 신체적 특징이나 상태를 가지고 고통을 식별하는 것에 저항한다. 따라서 그것은 또한 신체 부위의 통증을 신체 부위에서 느끼는 것을 인지하는 것에 저항하는 것처럼 보인다.

빠른 사고 실험이 이것을 확인해야 한다. 우리가 실제로 육체적 상태를 PC라고 부르는, 우리가 고통을 신체 부위에 귀속시킬 때, 그리고 PC가 그러한 경험의 지각 대상이라고 가정해보자. 예를 들어, 존의 현재 고통스러운 경험(이 E라고 부름)은 그의 오른쪽 허벅지에 있는 신체적 조건에 의해 발생하며, 우리의 일반적인 고통의 개념은 그의 허벅지에 있는 이러한 상태에 첫 번째 경우에 적용된다. 이것으로부터는 그렇게 될 것이다.

(a) John은 E가 있으면 통증이 없겠지만 허벅지에는 PC가 없다.

(예를 들어, 환상 사지 통증과 좌골신경통과 같은 중심적으로 생성된 만성 통증의 경우)

반대로,

(b) John은 PC가 있지만 E가 없다면 고통을 겪을 것이다.

(예를 들어, 그가 절대적으로 효과적인 진통제를 먹었거나 허벅지 마취를 당했더라면 그랬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진술들은 직관적으로 부정확하다. 그것들은 우리의 보통적이거나 지배적인 고통의 개념과 충돌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은 육체적 조건보다는 고통(경험)의 감정을 추적하는 것 같다. 국소적으로 가능한 신체적 조건에서의 통증 식별에 대한 이러한 저항은 고통에 대한 매우 상식적인 개념에서 발견된 두 번째 실에서 비롯된다.

1.2 두 번째 실: 주관적 경험으로서의 고통

그 고통은 주관적인 경험인 것 같다. 통증에 대한 우리의 상식적인 이해를 고려할 때, 이것은 더 지배적인 실인 것 같다: 고통을 지각 경험의 대상으로 취급하는 대신, 그것은 그들을 경험 그 자체로 취급한다. 실제로 '고통'에 대한 공식적인 과학적 정의가 따지고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 실인데, 1979년 국제통증연구회(IASP)가 조직한 위원회에서 처음 공식화되었고, 그 이후 과학계와 임상의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

통증: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 및 정서적 경험 또는 그러한 손상 측면에서 설명된다.

참고: ... 고통은 언제나 주관적이다. 각 개인은 어릴 적 상해와 관련된 경험을 통해 단어 적용을 배운다. 생물학자들은 고통을 유발하는 자극들이 조직에 손상을 입히기 쉽다는 것을 인지한다. 따라서, 고통은 우리가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에 연관되는 경험이다. 그것은 의심의 여지없이 신체의 일부나 일부에서 일어나는 감각이지만, 또한 항상 불쾌하고 따라서 감정적인 경험이기도 하다. 핥기 등 고통을 닮았지만 불쾌하지는 않은 경험을 고통이라고 해서는 안 된다. 불쾌한 비정상적 경험(다이스테시아)도 고통일 수 있지만, 주관적으로 통증의 일반적인 감각적 특성을 갖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많은 사람들은 조직 손상이나 가능한 병태생리학적 원인이 없을 때 고통을 보고한다; 보통 이것은 심리적인 이유로 일어난다. 주관적인 보고서를 보면 대개 조직 손상으로 인한 그들의 경험과 그것을 구분할 방법이 없다. 만약 그들이 자신의 경험을 고통으로 간주하고, 조직 손상으로 인한 고통과 같은 방식으로 보고한다면, 그것은 고통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 정의는 고통을 자극에 묶는 것을 피한다. 유해한 자극에 의해 nociceptor와 nociceptive 경로에서 유도된 활동은 통증이 아니며, 이것은 우리가 가장 흔히 고통에 근접한 물리적 원인이 있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IASP 2011 Web Edition, cf) IASP-태스크-Force-On-Taxonomy 1994)

의식적인 에피소드로서의 다른 경험처럼 고통은 사적인, 주관적인, 자기본위적인, 그리고 구제할 수 없는 지식의 근원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IASP 특성화에서 분명히 발견될 수 있으며, 또한 고통 경험은 불쾌하다고 덧붙인다. 실제로 고통은 언제나 '정신적 상태'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이 노트는 위의 첫 번째 실에 의해 제시된 고통의 개념에 대해 경고한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우리가 고통에 대해 경험으로 이야기할 때, 우리는 또한 같은 숨결에 이러한 경험들이 마치 내면의 인식의 대상인 것처럼 느끼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자기성찰을 암시한다. 실제로 사생활, 주체성, 자기본위성, 구제불능에 대한 논의는 당연히 우리에게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도록 강요한다. 이것들은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현상을 그렇게 표시한다고 생각해왔던 패러다임의 특징들이다.

고통은 자신의 고통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즉 그것을 느끼고 알게 됨으로써 자신의 고통에 접근하는 방법에서 누구도 자신의 고통에 지각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는 강한 의미에서 주인에게는 사적인 것이라고 한다. 이는 표준 인식 대상의 공공성, 즉 자신의 몸을 포함한 즉각적인 외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이 사실을 말살이라고 부르자. 자신의 내적 활동에 대한 접근인 자기성찰과 대조적으로 말이다. 예를 들어, 내가 테이블에서 보는 바로 그 사과가 아마도 내가 보는 것과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의미에서 사적인 것은 아니다.

고통은 또한 그들의 존재가 그것을 느끼는 것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주관적인 것처럼 보인다. 누군가가 녹지 않은 통증에 대해 말할 때 역설적인 분위기가 있다. 사람은 자연히 주인이 고통을 느끼지 않으면 고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싶은 유혹을 받는다. 다시 통증의 주관성을 표준 박멸 대상의 '객관성'과 비교한다. 내가 보는 사과는 존재하기 위해 내가 그것을 인식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 (공간 버클리와 경이주의자들은) 그것의 존재는 나와 독립되어 있다. 또는 그것을 보는 다른 사람의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고통에 대한 특별한 인식론적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고통에 대해 매우 특별한 인식론적 권위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그들의 고통과 고통에 대해 구제할 수 없고 심지어는 전혀 신뢰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필연적으로 내가 고통받고 있다고 진심으로 믿는다면, 나는 고통에 빠진다. 반대로 내가 고통을 느낀다면, 나는 내가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안다. 이것은 고통 경험의 자기 자극적인 측면이다.

요컨대 고통의 출현과 고통 속에 있는 것(즉, 고통에 대한 외모/현실성 구분이 적용되지 않는다) 사이에 가능한 틈이 있을 여지가 없어 보인다. 크립케는 다음과 같이 명기했다.

통증이 있을 때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인식론적 상황에 있다는 것은 고통을 갖는 것이고, 고통이 없을 때 얻을 수 있는 인식론적 상황에 있다는 것은 고통을 갖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고통은 그것의 우연한 특성들 중 하나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즉각적인 현상학적 품질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다. 만약 어떤 현상이 우리가 고통을 고르는 것과 정확히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다면, 그 현상은 고통이다. (Kripke 1980, 페이지 152–53)

고통에 적용되는 외모/현실 구분이 없다면, 보는 사과의 존재와 성질에 대해 오인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고통을 느끼는 것에 기초하여 형성된 자신의 고통에 대한 신념을 오해할 수 없을 것 같다. 후자의 경우, 사과의 지각적 외관이 실제 사과의 모습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외모가 정확하게 오도될 수 있다. 분명히 고통과는 대조적으로, 정상적인 박멸은 항상 오인감각의 가능성을 수반하며, 따라서 오분류(즉, 박멸의 대상에 개념을 잘못 적용하는 것)를 수반한다. 통증 경험(또는 일반적으로 감각)이 항상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지에 대한 건강한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곧 보게 되겠지만, 통증 경험에 대한 이러한 특징들의 강하고 견고한(대부분의 정의) 연관성이 고통을 혼란스럽게 하고 문제를 일으키기에 충분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1.3 두 나사산 사이의 장력

통증에 대한 우리의 통상적인 개념에 있는 두 실이 완전히 시야에 들어오게 되었으니, 왜 긴장에 빠져 있는지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경험은 머릿속에 있다, 어디든 있다면. 실제로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에게는 뇌나 중추신경계에서 실현되는 것으로 머리 속에 있다. 따라서 우리가 (1)에서 (6)까지와 같은 문장을 정확하게 말할 때 신체 부위에서 통증 Qa 경험(또는 그 문제에 대한 Qua 감각)을 찾을 수 없다. -- 아마도 두통을 할인해 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고통을 신체 부위로 돌리는 것처럼 보일 때, 우리는 무엇을 찾고 있는가? 비록 우리의 상식적인 개념의 첫 번째 실이 통증에 대해 공공연히 위치할 수 있는 세부 사항이나 신체 부위의 특정 상태로 취급하지만, 통증과 고통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기하라. 통증은 다른 신뢰할 수 있는 대안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에 비추어 그러한 식별에 압력을 가할 뿐이다(그러나 아래를 참조한다. 우리는 이미 1.1절에서 이것을 끄집어내기 위해 약간의 사고실험을 실시했다. 다음의 두 문장을 비교해 보면 긴장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오른 손등에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

(9) 오른 손등에 검게 변색된 것이 보인다.

(9)이 사실이기 위해서는 오른손 뒷면의 어두운 변색, 즉 내 손등에 있는 어떤 표면적인 부분, 즉 내가 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는 어떤 부위를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상당히 명백하다.e it. 만약 내가 손등에 어두운 변색을 환각하고 있다면, (9)는 그야말로 거짓이라는 것에 주목하라. 또한 (9)의 진리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로 표현되는 어떤 개념의 소유를 요구하지는 않지만, (9)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9)를 말하는 것은 우리가 자신의 생각의 표현과 같은 말을 하고 개념으로 구성되도록 생각한다면, 전형적으로 그렇다. 그래서 나의 시야는 전형적으로 내 손등에 있는 무언가를 어두운 변색이라고 개념적으로 확인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이것은 기만적인 경험에 의해 유도된 개념에 따라 외적인 것을 분류하는 전형적인 경우다. 물론 내가 (9)라고 말하는 것은 물리적 재산을 신체 부위에 귀속시키는 것 이상의 것을 하는데, 그것은 또한 내가 그것을 보고 있다고 보고한다.

(5)가 진실되려면 어떤 경우가 있어야 하는가? (5)와 같은 문장에 대한 완전한 분석이 어떤 것이든 간에, 한 가지는 합리적으로 분명한 것 같다: (5)의 진실 조건은 내 손으로 사물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어떤 제약도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의 통상적인 고통 개념을 충분히 숙달한 사람이라면 내 손에는 물리적으로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 어떻게 (5)가 여전히 진실일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통증 증후군을 유발한 경우다.[2]

그래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5)와 같은 문장을 사용하여 신체 위치에서 느끼는 통증에 대해 정확하게 진술한다. 심지어 그 부위에 이상이 없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그것이 어디가 아프다고 주장할 때, 엄밀히 말하면, 우리는 실제로 그 장소들에서 신체적으로 잘못된 것이 있다고 논리적으로 약속하는 것을 삼간다 - 비록 우리가 보통 신체적인 장애를 발견할 것으로 예상할지라도. 손등에 변색된 아주 생생한 시각적 환각을 가지고 있다는 근거로 이것을 나의 삐걱거리는 소리(9)와 비교해 보라. 이런 경우에 내 말은 부정확할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중얼거림 (9)에서 손등에 어떤 신체적 조건 (명칭, 어두운 변색)을 찾기로 다짐하기 때문이다. 만약 내가 환각을 느꼈다면, 그리고 내가 손등에 변색이 보이는 것 같았다거나, 내게 변색이 있는 것처럼 보였다 등의 말로 나를 바로잡고 자기성찰 모드로 되돌아간다. 내 손에 신체적으로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것을 깨닫거나 들었을 때 이런 종류의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나는 여전히 내가 거기서 느끼는 고통을 정확하게 같은 문장, 즉 그 동등한 문장들을 발음함으로써 보고하고 있다. 나는 통증 보고서에 어떤 수정도 할 필요가 없다. 이는 첫 번째 쓰레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위의 IASP 정의가 실제로 나타내듯이, 고통에 대한 지배적인 상식적 개념을 포착하는 것처럼 보이는 두 번째 실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여전히 수수께끼는 남아있다: 내가 정확히 (5)를 발음함으로써 내 손등에 무언가를 귀속시키고 있는 것처럼 보일 때, 내가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동의한 대로, 나는 정신적 경험이나 육체적 상태를 귀속시키고 있지 않다. 이 질문에 상식적인 답변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건강한 신체 부위의 통증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우리의 일반적인 관행의 문제에 과학적 정의가 닿지 않는 것처럼, 만약 문제가 명백하게 표현되고 그 질문이 정말 강하게 압박된다면 상식도 아마 멍이 들 것이다.

아니면 말구. 직관적이고 다소 순진하게, 상식이 우리에게 강하게 눌렀을 때 어떤 말로 몰아붙일 것인가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3] 물론, (5) 나는 내 손등에 어떤 종류의 신체적 사물이나 상태를 귀속시키거나, 거기에 정신적인 경험을 위치시키지 않는다. 경험과 감각은 어딘가에 있다면 엄밀하게 머리 속에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 속 깊은 눈으로 내 손에 손을 잡으면, 말하자면 거기서 분명히 뭔가를 느낀다. 나는 그것의 날카로움, 부피, 강도, 불쾌함, 불타는 품질 등과 같은 그것의 다른 특성들을 면밀히 검토할 수 있다. 나는 실시간으로 그것의 변화를 따라갈 수 있다: 지금은 다소 덜 격렬하고 불쾌하고, 더 많이; 지금은 점점 더 무뎌지고 있고, 조금 전에는 더 날카롭고 밝아지고; 손가락 쪽으로 움직이는 것 같다. 분명히, 나는 공간적으로 어떤 것에 직면하거나 알고 있는 것 같은데, 내가 실시간으로 주의 깊게 검토하고 그것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 보고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내면의 관심의 대상이며, 내면의 주의의 대상이며, 내면의 주의의 대상이며, 내면의 주의는 본질적으로 사적이고 주관적이며, 내가 틀릴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이것이 직관적이고 순진하게 말하고 싶은 것이라면, 그 이상한 결과를 삼킬 준비를 해야 한다: 나의 내면의 관심의 대상은 공공 공간에 있고 논리적으로 사적인 것이다. 즉, 오직 나만이 공공장소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물체의 존재는 문자 그대로 그것에 대한 나의 인식론적 접근에 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내가 그것을 느끼지 않을 때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게다가 (내 관심과는 별개로) 내 관심의 대상이라면 어떻게 내가 틀릴 수 없는 일이 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이 물체가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면 어떤 종류의 물체가 될 수 있을까? 내 머리 너머에 있는 유령같은 정신 질환?

고통이라는 우리의 통상적인 개념에 내재된 행위-객체적 이중성은 논리적인 목적까지 직관적이고 순진하게 따랐을 때 이상한 결과를 낳는다. 그러나 아마도 이 이중성은 모든 인식과 자기 성찰의 바탕에 깔려 있는 더 깊은 진리의 강력한 증상일 것이다. 아마도 고통은 비록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이 깊은 밑에 있는 빙산이 그것의 끝을 가장 두드러지게 그리고 드러나게 보여주는 광범위한 지각 경험의 가장 패러다임적인 예일 것이다. 실로 소위 센스 데이텀 이론에 따르면 바로 그렇다.

 

2. 감각-데이터텀 이론

2.1 소개

표준 인식(예외)은 공공 객체의 인식(행위)을 수반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지각 과목의 일부에 대한 지각 행위는 일반적으로 개념 분류, 즉 지각의 대상과 그 자질에 대한 개념의 적용을 유도하는 경험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므로 지각 경험은 지각자에게 투명해 보이는데, 지각 경험자는 먼저 지각하거나 경험 그 자체나 그 자질을 인지하지 않고 직접 외계의 현실을 지각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이 견해는 상식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전형적으로 순진하거나 직접적인 현실주의라고 불린다.

간접현실주의자들의 말에 따르면, 이러한 직접성은 환상이다; 사실 우리는 경험적 매개자들을 직접 알고 있고, 우리는 이러한 매개자들을 직접 알고 있기 때문에 외적 세계를 간접적으로만 인지한다. 대부분의 초기 간접 현실주의자(예: Moore 1903, 1939; Russell 1912; Price 1950)는 이러한 중개자들을 일반적으로 감각 데이터라고 불리는 경이적 또는 정신적 세부사항으로 생각했다. 빨간 사과의 환각을 생각해봐. 직관적으로 환각을 가진 사람은 뭔가를 보는 것 같다. 이것은 물론 사과가 아니다. 그러나 감각-데이터텀 이론가들에 따르면, 그것은 사과처럼 생겼고 정말로 붉은 색인 물체라고 한다. 그것은 감각-데이터텀으로, 시각적으로 보이는 자질을 실제로 가지고 있는 경이로운 (정신적인) 개인이다. 그러나 감각 데이터는 평범한 대상이 아니다: 그것들은 사적인 것이고 주관적이며 자기 성찰적이며 구제할 수 없는 지식의 원천이다. 센스 데이텀 이론가들에 따르면, 센스 데이타는 사람의 의식 내부에 있다: 그들은 사람의 감각 오르간 앞에 있지 않다. 이러한 이론들은 지각 인식 그 자체에 숨겨진 행위-객체 구조가 있다고 주장한다. 모든 지각의식은 경이로운 물체와 이러한 지각의식을 현상으로 결정짓는 그들의 자질을 의식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식이 환각인지 아니면 외부 물체에 대한 진실한 인식인지.

감각-기초 이론에서, 사람들은 감각-데이터를 자신의 의식 내부에 직접 인지(알고 있거나 알고 있음)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외부 물체와 그 특성들을 인지한다. 그러나 센스 데이텀 이론가들에 따르면, 우리는 보통 (검증적) 박멸에 있어서 이러한 간접적인 것을 거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방향성이 반드시 발생해야 한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은 지각 인식의 특징에 대한 비판적 철학적 성찰일 뿐이다. 고통과 다른 (직관적인) 신체 감각의 중요성은 우리가 신체 부위에 부여한 고통을 그 어떤 신체적인 것으로도 식별하기를 꺼리는 것에서 보여지듯이 그 방향성이 의심스럽게 쉽게 드러나는 것 같다는 사실에 있다.

감각-데이터텀 이론이 진정한 인식(예외)과 오인감(오인감)과 관련하여 가질 수 있는 장단점이 무엇이든 간에, 그 매력은 고통과 가려움, 간지럼, 간지럼, 간지럼 등 다른 "직관적" 육체적 감각에 대한 그것의 취급에 있어서 부정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4] 많은 감각-데이터텀 이론가들에 따르면, 고통은 경이로운 개인들의 패러다임 예로서, 그들의 존재는 감지되거나 느껴지는 것에 의존하는 경이로운 성질을 지닌 정신적 대상이며, 따라서 그것을 느끼는 주인에게는 논리적으로 사적인 것이라고 한다. 이 입장은 앞에서 논의한 고통 대화에서 우리가 행동-객체 이중성 또는 모호성을 갖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누군가의 경험적 행동 없이는 지역적으로 가능한 고통이 존재할 수 없다(Broad 1959).[5] 즉, 고통의 개념은 행동-객체 쌍의 목적 부분과 이러한 대상을 직접 인식하는 행위 모두에 그럴듯하게 적용된다.

신체 부위의 통증 위치를 찾는 퍼즐은 이 프레임워크 내에서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다. 가장 솔직한 방법은 단순히 현상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정신적 물체나 감각 데이터로서의 고통이 말 그대로 신체 부위나, 가령 절단 전 팔이 있었을 빈 공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곳에 위치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한 고통은 정신적인 세부사항이며, 그들의 존재에 따라 감지되는 것이 명백히 논리적으로 그들이 문자 그대로 공간적 위치를 가질 수 있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이 선은 잭슨 1976, 1977 참조).[6]

두 번째이자 더 일반적인 위치 문제 처리 방법은 통증들이 문자 그대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할 수는 없더라도, 물리적 공간에서 어떻게든 이형적이거나 조직적으로 상대방과 관련이 있는 경이로운 공간이나 분야에서 위치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부 주피오템포럴 프레임워크를 필요로 하는 시각적 감각 데이터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 신체 감각의 경우, 이 경이로운 공간을 물리적 공간에 매핑하는 시각적 영역(Price 1950)과 유추하여 자신의 체적 영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7]

2.2 감각-데이터텀 이론의 문제점

센스-데이텀 이론의 가장 중요한 강점은 고통 경험의 특성과 우리가 위에서 논의한 다른 직관적 육체적 감각에 맞게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이론들은 상식 속에 내재된 고통에 대한 순진하고, 어쩌면 다소 혼란스럽지만 직관적인 이해를 받아들여 그것을 인식에 관한 일반적이고 독립적인 플랫폼에서 뒷받침되는 본격적인 철학 이론으로 바꾸는 것 같다. 즉, 이러한 이론들은 고통에 대한 상식적인 개념에 내재된 행위-객체적 이중성을 정당화시키는 것 같다.

여기에는 아이러니가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감각-데이터엄 이론은 그것들과 함께 분류되기보다는 전통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표준적인 지각적 경험들과 대조되어온 고통과 같은 본능적인 육체적 감각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본거지를 발견한다는 것이다(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느끼는 것은 전혀 지각적인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두 가지 이유로 아이러니하다. 첫째로, 감각-데이터엄 이론의 주요 지지자들은 이러한 이론들을 주로 박멸 이론, 즉 외부 물리적 현실에 대한 인식 이론으로 발전시켰다. 둘째로, 표준적 박멸에 적용했을 때, 감각-데이텀 이론은 상식의 지각적 직접(네이브) 사실주의를 전혀 뒷받침하지 않는 것 같다. 실제로 상식에 따르면 테이블 위에 붉은 사과를 보면 사과(적어도 그 표면이 나를 향함)와 그 붉음과 같은 특성을 직접 보고 있다. 요컨대 일반적으로 인식론(예외)으로서 명백하게 진보된 감각-데이터텀 이론은 큰 확신을 낳지는 못하지만, 보통 지각이라고 생각되지 않았던 고통과 같은 무의식적인 육체적 감각에 적용하면 더욱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상식과 충돌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지각에 관련된 것에 대한 센스-데이텀 이론에 대한 강력한 주장을 발전시켰다. (Moore 1903, 1939; Russell 1912; Price 1950; Broad 1959; Jackson 1977, 그 밖의 것들 중) 센스 데이텀 이론에 반대하는 강력한 주장도 있다. 두 종류의 논쟁은 모두 고통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주장인 경향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을 것이다(그러나 감지 데이터에 대한 항목을 참조). 감각-데이터텀 이론의 운명이 일반적인 박멸 이론처럼 무엇이든지 간에, 고통과 다른 직관적 육체적 감각을 이해하는 모델로서의 그들의 매력은 매우 강하다. 실제로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자기성찰은 고통과 관련된 올바른 접근 방식인 것 같다. 그래서 표준적인 몰수작용을 위해 반감-다툼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발견하고 이러한 종류의 간접적인 현실주의를 배척한다고 해도, 여전히 비타협적인 육체적 감각과 특히 고통을 위한 감각-다툼 이론을 채택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기능이 단지 고통의 개념적 특수성을 설명하기 보다는 하나의 이론으로 코드화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이 명백한 고통의 강인함도 그들의 주요 약점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 것이 타당하다. 감각-데이터엄 이론이 고통과 다른 신체 감각을 어떻게 치료하는지 들은 후, 이러한 감각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크게 심화되거나 진전되지 않는 것 같다. 고통이라는 상식적인 개념만을 눈앞에 두고 처음에 어떤 퍼즐을 가졌는지, 이론 자체가 무엇을 말하거나 암시하는지에 대한 퍼즐로 바뀌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단지 그 부분에 고통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할 때 우리의 신체 부위에서 무엇을 귀속시키거나 위치를 알아내는 것 같은지에 대한 질문은, 이론의 한 버전에서, 우리는 문자 그대로 그 부분들에서 경이로운 성질을 가진 정신 사물을 찾아낸다고 대답한다. 그러나 고통은 감각-기초 이론의 기준에 의해서도 정신에 의존하는 대상이며, 많은 이들이 고통은 자신의 의식이나 경험에 내재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이것 때문에 주인에게 인식적으로 투명하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 이것을 취해왔다(Perkins 1983, 2006).[8] 그들이 말 그대로 물리적 공간에 있었다면, 이것은 사람의 마음이 공간적으로 자신의 몸과 확장되거나 겹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그 대신에, 적어도 원칙적으로는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고통, 즉 그 고통에 접근하고 그들과 신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지 않을까? 고통이 말 그대로 물리적 공간에 있다는 논리적인 모순이 없다고 말하는 것과 그 견해를 그럴듯하게 만드는 것은 별개의 일이다. 후자는 왜 반대되는 우리의 직관이 우리를 여기로 오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주장을 할 것을 요구한다.

그 이론의 다른 버전에서는, 비록 우리가 공공 공간에서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외모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말을 듣는다; 오히려, 우리는 실제 공간의 표현만이 아니라 일종의 공간이라고 여겨지는 사적인 경이적인 공간에서 사적인 정신적 물체를 찾고 있다. 그래서, 이 버전에서, 통증은, 결국, 신체 부위에,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 두 공간이 어떻게 서로 연관되거나 상호 작용해야 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경이로운 공간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며, 그 공간의 하위 영역도 아니다. 따라서 그들이 어떻게 인과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두 가지 이유로 이슈가 된다. 첫째로, 비물리적 공간에서 물리적 사건이 비물리적 사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표준적인 우려가 있다. 둘째, 이 두 공간은 서로 조직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지만, 특히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 상관관계에 대해 원칙적인 매핑 함수를 정의할 수 있을지는 명확하지 않다. 어쨌든, 이것들은 이 견해의 옹호자들에게 중요한 도전들을 구성한다.

그들의 이상한 결과와는 별개로, 감각 데이터베이스 이론은 그들의 옹호자들을 반물리주의에 맡기는 것 같다. 물리학자 틀 안에서 고통 현상을 이해하려고 애쓰는 자연주의자는 경이로운 물체의 존재를 거의 인정할 수 없었다(Lycan 1987a, 1987b 감각 데이터가 있다면 물리주의는 단지 거짓인 것처럼 보인다. 물리주의자는 실제 물체, 즉 문자 그대로 색깔, 모양, 움직이는 것 등을 인정할 수 없으며, 지각의 외적인 물체와 동일하지는 않다. 따라서 물리적 세계에서는 감지 데이터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3. 지각 이론

감각-기타 이론은 직관적 육체적 감각에 적용했을 때 가장 그럴듯하기 때문에, 감각 데이터를 도입하지 않고도 보통의 지각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설명이 주어질 수 있다고 믿는 많은 철학자들은 고통과 다른 육체적 감각을 보통 지각의 종(exteroception)으로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왔다. 고통에 대한 소위 지각 이론들은 첫 번째 출현과는 달리 고통과 다른 직관적 육체적 감각들이 성공적인 직접 현실주의자의 설명이 주어질 수 있는 다른 감각적 양식을 지배하는 동일한 원리에 작용하는 정보 수집의 종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진보되고 옹호된다.

3.1 소개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말하자면, 고통에 대한 지각적 관점의 핵심 약속은 보통 고통을 느끼거나 느낄 때, 사람이 외적인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즉, 고통을 느끼는 것은 보통 어떤 것을 좋은 시각으로 볼 때 빨간 사과를 지각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것은 박멸을 수반한다. 때로는 일반적인 말로 '통증'이라는 용어를 '통증 인식'에서와 같이 '통증'과 연계하여 고통에 대한 인식, 또는 단지 느낌/실험적인 고통을 의미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것은 '감각'의 자기성찰적 용법이며, 고통을 느끼는 것이 무엇인가를 지각하는 것을 수반한다고 주장할 때 지각 이론가들이 의미하는 것과 뚜렷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그들은 멸종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우리는 항상 이런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지각 이론가들에 따르면 손등에 심한 통증이 느껴질 때 손의 어떤 신체적 특징이나 상태를 인지한다고 한다. 이러한 인식에 대한 적절한 양식성은 촉각이나 자기감각의 감각적 양식성(몸과 신체 부위의 위치와 움직임을 알려 주는 자신의 몸 내부의 감각적 양식성)과 유사하게 소모텐시리(somatosensory)이다. 대부분의 지각 이론가들은 이 특징을 조직 손상이나 그 상태로 유지된다면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조직의 어떤 상태와 함께 식별한다. 좀 더 추상적으로 말하면 어떤 조직 외상, 자극, 염증, 또는 어떤 병적인 상태, 또는 그와 가까운 상태에 기인한 일종의 신체 장애다. 또한 손상되거나 자극된 조직을 내향적으로 자극하는 nociceptor의 활성화로 고통 속에 있는 지각의 대상을 식별할 수도 있다. (nociciceptor는 잠재적으로 해로운 자극, 즉 유해한 자극에 반응하기 위해 비교적 전문화된 말초신경종말이다.) 지각 이론가들에 따르면, 신체 조직의 신체적인 무질서한 상태가 고통을 느낄 때 인식된다고 하는 어떤 것에 대한 대비책으로 '문제적 손상'을 사용하자. 보통 우리가 통증의 위치를 이야기할 때, 우리는 이 지각 대상의 위치, 즉 조직 손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하려고 하는 위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감각-데이텀 이론의 대안으로서 고통의 지각 이론은 1960년대에 처음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되고 철학적으로 발전되었다. 가장 영향력 있고 뛰어난 수비수들은 암스트롱(1962; 1968)과 투수(1970; 1971)이다. 다른 것도 있었지만,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이어지는 토론의 기조와 철학적 어젠다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어느 누구도 그들의 엄청난 영향력을 능가하지 못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9] 그 당시 지배적인 견해는 통증과 기타 비타협적인 신체 감각은 전혀 지각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것들은 (실제 또는 임박한) 부상이나 신체 조직이나 내부 장기에 대한 손상에 의해 신뢰성 있게 야기되는 감각이나 경험(감각-기반 이론)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그것들은 유용한 경고 신호라고 생각되었지만, 외과의 세계를 인지하는 표준적인 방법과는 큰 공통점이 없었다. 이 견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옹호자들을 가지고 있다. 비록 고통을 감각 데이터로 하는 개념은 대체로 포기되었지만, 지각 이론에 공감하지 않는 사람들은 여전히 "통증의 감각 또는 질적 관점"이라고 불릴 만한 것을 가지고 있는데, 그에 따라 고통은 경이적인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의 경이적인 질, 또는 그 대안으로, 그것은 주관적인 경험이다. 고통스러울 때 직접 알고 있는 어떤 자격이나 질적 특성. (Conee 1984)은 고통에 대한 자격관을 옹호한다. 그러나 그는 고통 속에 있는 상태와 이 주의 질적인 내용인 자격증을 구별한다. 그는 우리가 문맥에 따라 두 가지 모두에 '고통'을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아이덴데 2019는 완전한 물리학자 자격증을 가진 부사적이고 약한 대표론자인 자격증 이론의 현대판을 개발하고 있으며, 오래된 자격증 이론들을 괴롭혔던 문제들로부터 자유롭다고 주장한다.)

3.2 외관/실제 문제

통증에 대한 지각적 관점에 대한 저항의 주요 원천은 통증은 필수적인 사생활, 주관성, 자기본능성, 그리고 구제불능의 감각에 따라 통증의 상식적 개념에서 온다. 이러한 고통의 명백하게 필수적인 특징들은 어떤 지각 이론에도 어려움을 준다. 실제로, 그것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일반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반인지적 주장을 진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진정한 인식은 본질적으로 사적이고 주관적이지 않은 지각적 대상을 잘못 해석할 가능성을 항상 수반한다. 즉, 진정한 인식의 대상에는 항상 외관/현실성 구분이 적용되어 있어 이 대상의 지각적 외관이 실제의 대상과 같은 것에 대해 우리를 오도할 가능성을 낳는다. 그 주된 이유는 이러한 물체들이 겉보기 이상의 실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공공의 물건이며, 그것에 대한 누구의 인식 없이도 스스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고통을 느끼는 것은 이런 특징들 중 하나도 없다. 따라서 진정한 인식일 수는 없다.

그렇다면, 고통을 지각의 한 형태로 취급하는 것에 대한 직관적인 저항 뒤에 놓여 있는 이러한 반대를 지각 이론가들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지각적 관점의 핵심 공약(명칭, 고통을 느끼는 것은 외적인 것을 인지하는 것을 수반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지각 이론가들은 고통을 조직 손상으로 식별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런 견해를 가지면 위의 반대 의견이 그것에 대해 거의 결정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수비수들이 실제로 이 길을 택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뉴턴(1989), 스티븐스와 그레이엄(1987), 힐(2004, 2006)이 있다. 암스트롱과 피처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른 이들은 통증에 대한 상식적인 이해에 고개를 숙이고 통증에 대한 경험이나 감각으로 고통을 식별했으며, 직접적인 현실주의 방식으로 이해했다. 통증이 원인(즉, 조직 손상)이 아닌 경험으로 확인되면 위의 반대는 사라지는 것 같다(그러나 아래 참조).

대부분의 지각 이론가들이 고통에 대한 우리의 통상적인 개념에서 두 번째 줄기를 따르는 과학자와 임상의가 하는 고통(위의 IASP 정의 참조)과 마찬가지로, 애초에 고통을 경험하면서 느끼는 것을 식별하는 것은 주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이것은 조직 손상에 대한 인식에 중재하거나 관여하는 경험이다. 즉, 그들은 고통의 (지배적) 개념이 주관적 경험의 개념이라고 인정하지만, 그들은 이 경험이 본질적으로 지각적이라 주장한다: 그것은 조직 손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구성한다. 상황을 보는 것과 비교하라. 빨간 사과를 좋은 시각으로 볼 때, 나는 지각적인 시각적 경험을 하고 있다: 그것은 내가 빨간 사과를 보는 것을 구성한다. 그 차이는 정보의 흐름이 아니라 지각적 경험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도되는 우리의 자발적 관심사와 개념적 식별의 위치에 있다. 대부분의 지각 이론가들에 따르면, 우리는 주로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지각적 경험, 즉 조직 손상(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상식은 '통증'이라는 단어를 혼동스럽게 사용하여 조직 손상이 어디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를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통증의 개념을 적용한다고 한다.o 신체의 위치—이것이 곧 있으면 더 많은 것).[10 즉, '고통'은 주관적인 경험을 명명한다. 그러나, 시각에서 개념적 식별의 중심은 다르다: 보통 그것은 우리가 좋은 시각에서 보고 그렇게 식별된 빨간 사과에 관심이 있는 우리의 시각적 경험의 대상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시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의 개념인 RED, ROUND, APPLE을 그것에 적용함으로써 지각적으로 그리고 개념적으로 그것과 그것의 붉음, 둥글음 등과 같은 가시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물론, 우리는 때때로 우리의 시각적 경험에 관심을 가지고 집중해서 보고할 수 있지만, 이것은 보통 우리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 확실하지 않을 때 일어난다.

따라서 보고 고통을 느낄 때 들어오는 자극에 대한 우리의 자발적 반응에는 비대칭성이 있다. 즉, 지각 경험에서 직접 발생하는 우리의 자발적 관심과 초점은 각각의 경우에 다르다. 우리는 이러한 비대칭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그림 1).

Figure 1

그림 1: 대비 사례에서 정보 흐름의 구조가 대칭적일 수 있다고 가정할 때에도 개념 적용에는 비대칭성이 있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구제불능은 발생되는 경험에 대한 구제불능으로 줄어든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경험을 차별하고 개념적으로 식별하는 데 있어서 구제불능인 정도까지, 그 정도까지 우리는 우리 자신의 고통에 대해 틀릴 수 없다. 따라서 우리가 마치 고통의 개념을 신체 부위에 적용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아래 참조) 개념 적용의 중심은 통증 경험이다. 환각이나 환상이 한 가지 의미에서 가능한 것은, 느낌/실험적인 고통이 아니라, 이러한 경험들이 어떤 조직의 손상, 즉 고통을 느끼는 데 있어서 지각의 대상을 올바르게 나타내는지에 관한 것이다.

고통의 프라이버시와 주관성은 유사하게 설명된다. 고통이 경험이라면 누군가의 마음의 상태가 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정신 상태나 과정이며, 따라서 본질적으로 정신에 의존하는 것이다. 고통의 사생활은 다시 경험의 사생활로 줄어든다. 완전한 물리적 세계에서 사생활, 주체성, 청렴성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철학적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문제가 있다면, 그것들은 고통과 다른 비타협적 육체적 감각에 반드시 관련된 것이 아니라 어떤 종류의 지각적 경험을 가지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문제들이다.

3.3 통증 위치의 문제

경험으로 고통을 식별하는 지각학자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지각 이론학자는 고통을 신체 부위에 귀속시키는 일반적인 관행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통증이 지각적 경험인 경우, 통증은 신체 부위(아마도 머리 부분 제외)에 위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지각학적 치료는 (1)~(6)와 같이 고통을 신체 부위에 귀속시키는 문장을 분석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 문장은 고통에 대한 우리의 상식적 개념의 모든 측면에 완전한 정의를 행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인 회계처리는, 주장되고 있다. 기본 제안에 따르면 내가 다음과 같은 문장을 말할 때

(5) 오른 손등에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지고,

나는 주로 의도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는 특정한 종류의 경험을 자성한다(Armstrong 1962, 1968, 페이지 314–316; 그리고 투수 1970, 페이지 383–385, 1971 — 또한 Dretske 1999, 2006; Tye 1997, 2006a 참조). 경험에 의도적인 내용이 있다고 하는 것은 어떤 상황이나 상황을 나타낸다고 하는 것(이것은 상당히 복잡할 수 있음)이나, 명령어(inperative contents-아래 참조)를 발급하는 것과 같은 비지시적 기능을 가진 의도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테이블 위에 있는 빨간 사과를 보면, 다른 것들 중에서도 빨간 사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일부 지각학자들은 사과나 표와 같은 일반적인 물건의 관점에서 표현되는 것을 명명하지 않음으로써 덜 객관적인 용어로 경험의 적절한 의도적 또는 대표적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가들에게 있어서, 그러한 사물의 분별 있는 특성이 자신의 지각 분야에서 인스턴스화되거나 분산되는 방법의 관점에서 지각 경험의 대표적 내용을 특징짓는 것이 더 적절하다. 경험은 이러한 자질을 감지하거나 추적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나의 시각적 경험이 특정한 (사과와 같은) 모양 품질의 인스턴스화 등과 함께 빨개짐의 인스턴스화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내용을 특징짓는 두 가지 방법 모두 그들이 외적 현실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객관적이 되도록 의도되었다(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모든 것이 소위 이차적 자질을 어떻게 은폐하느냐에 달려 있다). 지각 경험을 의도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은 적절하며, 일반적으로 지각 계정을 개발하는 이면에 있는 자연주의적인 동기에 따라, 이것이 그들이 주인에게 신체 환경을 포함한 즉각적인 외과적 환경에 대해 알리는 주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제안은 다른 지각적 경험과 마찬가지로 고통 경험도 대변한다는 것이다. 그것들은 신체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조직 손상을 나타낸다. 그렇다면 통증의 위치는 통증 경험으로 대표되는 조직 손상의 위치다. 장소는 의도적인 장소다. 그래서 (5)는 내 손등에서 일어나는 어떤 종류의 조직 손상을 나타내는 경험에 스스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즉, 문장의 표면 구조(5)가 고통을 신체 위치에 귀속시키는 것이 있음을 시사한다(더 엄격하게 말하면, 나는 내 몸의 일부에 위치한 고통과 관련된 느낌에 서 있다), 제안된 분석은 이것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내가 (5)를 말할 때 하는 일은 다른 종류의 귀속이다: 나는 내 몸의 특정 부위가 어떤 종류의 육체적 상태에 있다는 효과에 의도적인 내용을 갖는 감정 상태(경험)를 나 자신에게 귀속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통증은 내 손에 있지 않고, 고통은 감정이나 경험의 상태로서 '내 마음 속에' 있기 때문에, 상식적인 말투에 혼란이 있다. 내 감정 상태가 나타내는 것은 내 손에 들려 있는 육체적 동요다(데카르트가 표현하듯이 혼란스럽고 불분명한 방법으로).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는 (5) 나는 실제로 의도적인 감정 상태를 나 자신에게 돌리며, 그 결과 육체적인 장애가 내 손에 돌게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구어체적인 말투는 단지 소동과 고통을 뒤섞어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고 오도한다. 이런 관점에서 고통은 경험이지 우리의 경험의 대상이 아니다. 더욱이 이러한 경험은 표현적 내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성 조건이 있다: 정확하거나 부정확할 수 있고, 검증적으로 표현하거나 잘못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잘못 전할 때에도 이러한 경험은 고통 경험이다. 그래서 내 손에는 신체적으로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나는 진정한 고통을 느낄 수 있다.

이 분석에 따르면 어떤 의미에서 두 가지 종류의 재산 귀속(경험의 귀속)이 진행되며 조직 손상의 귀속은 신체 부위에 귀속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5) 나는 전자의 귀속만 하고 후자는 하지 않는다. 후자의 귀속은 내가 아니라 내 경험에 의해서, 말하자면 내 손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이 내가 일반적으로 거기서 찾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긴 하지만, 진정으로 내뱉는 (5)에서 내 손에 있는 조직 손상을 찾는데 논리적으로 전념하지 않는 이유다. 실제로 제1절에서 관찰한 바와 같이 내 손에 육체적으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나는 틀리지 않는다.(5)는 여전히 사실이다. 그러나 내 경험은 이제 틀렸다. 마치 손등에 신체적으로 이상이 있는 것처럼 잘못 표현된 것이다. 마치 조직 손상이 그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나는 내 손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진짜 고통스러워. 환각적 고통 경험은 여전히 진정한 고통이다.

암스트롱과 피쳐스의 통증 부위에 대한 지각적 설명은 매우 영향력이 있었다. 통증 위치를 통증 경험에 표현된 조직 손상의 의도적인 위치로 취급하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 이 영역의 사고를 지배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증의 위치나 통증의 공간성에 관한 문제는 대체로 상당한 철학적 문헌이 있다.[11

3.4 직간접 지각 이론

지금까지 제시된 고통에 대한 지각적 견해는 비록 역사적 사실로서 간접적 현실주의자조차 그렇게 한 적이 거의 없지만, 간접 현실주의자조차 동의할 수 있는 견해다(Perkins 1983, 2006; Maund 2003, 2006). 감각-데이터 이론가는 감각-데이터가 우발적으로 그들을 대표하게 되는 세상의 감각-데이터와 특정한 체계적 관계에 있는 감각-데이터에 대한 직접적인 인식에 의해 매개되어 외부현실에 대한 모든 인식이 간접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통증 감지 데이터도 또한 대표적이라는 것을 유지하는 것은 사실 전적으로 가능하다. 다른 세계에서는 통증 감지 데이터에 대한 직접적인 인식이 전형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이러한 감지 데이터를 야기하는 신체 부위의 조직 손상에 대한 간접적인 인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선이 간접 현실주의자들에 의해 추구되지 않았던 이유는 아마도 위에서 논의한 우리의 통상적인 관념에 이미 내재되어 있는 고통의 어떤 지각적 관점에 대한 직관적 저항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12] 감각-데이터텀 이론가들과 같은 간접 현실주의자들은 우리가 이미 보았듯이, 지각론자의 틀에 억지로 집어넣지 않고도 고통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수용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가지고 있다. 아무런 거리낌 없이, 그들은 이것이 조직 손상을 나타내거나 신호를 보내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우리가 직접적으로 그리고 즉시 정신적 물체나 질을 인식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그들이 이미 고통의 개념에 대한 이론에 개념 적용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PING은 경험이나 그 내부의 직접적 목적, 즉 감각-데이터텀이나 그 직접적인 인식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 이것은 상식에 내재된 모든 직관을 수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왜 더 멀리 가는가? 나아가 한 사람이 지각학자가 아니라면 우리가 초점 문제, 즉 왜 고통과 표준적 전멸 사이에 개념적 초점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는가를 설명하는 문제, 즉 두 가지가 모두 진실로 지각학자가 아니라면 그 아래에 우리가 말할 것을 다룰 의무는 없다.

그러나 실제론 고통에 대한 지각적 관점의 거의 모든 옹호자들은 직접 현실주의자들이다. 그러나 지각 이론의 직접적 현실주의 버전을 실행하고자 한다면, 사람들은 즉시 직접적인 지각 인식을 위한 적절한 위치를 찾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고, 그 문제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개념 적용, 즉 우리가 자발적인 대상, 상태 또는 사건을 찾는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ly는 우리가 우리의 통증, 가려움, 간지럼 등을 정확히 알고 있을 때 통증, 가려움, 간지럼 등을 바르고 이를 근거로 보고한다. 이러한 난관은 인식론에서 (초기) 직접적인 현실주의의 표시가 표준 전멸을 중재하는 의식적으로 이용 가능한 지각 매개체의 거부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내가 테이블 위에 붉은 사과를 볼 때 사과와 구별되는 물체나 품질은 없고 사과가 미덕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붉은 색은 없다.f 그것을 보는 것(또는 더 일반적으로, 직접적으로 인지하거나 인지하는 것 때문에) 직접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나는 사과를 볼 때 사과와 그 붉음과 같은 특성을 직접 지각하거나 직접 알게 된다. 이 견해는 진부한 인식에서 잘 통한다: 개념 적용의 중심은 사과와 그것의 속성처럼 항상 인식의 공공의 대상이다. 환각을 일으키거나 환상을 가질 때도 자발적 개념 적용이 왜 그런 것인지 설명하기도 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이 붉은 사과를 환각할 때조차도, RED APPLE이라는 개념을 자신의 인식론적 노력의 공공의 대상이 되기 위해 취하거나 취하고자 하는 것에 적용하려고 자연스레 마음먹게 되고, 그 인식론적 노력의 공공의 대상이 되고자 하는 유혹을 받게 되며, 설사 그렇더라도 사적인 정신적 대상이나 자질이라고 믿는 것에 대해서는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통의 개념은 어떤 종류의 주관적인 감각/경험의 개념이라는 인정과 어떻게 조정될 수 있는 의식적으로 이용 가능한 지각 매개자들의 거부감이 있는가? 대부분의 지각 이론가들은 신체 부위의 통증에 대한 자기성찰적 보고가 그러한 부위에서 어떤 종류의 신체적 장애를 나타내는 경험의 보고라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을 상기하라. 이것은 단지 고통 속에 있을 때 감각이나 경험, 즉 고통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이것은 우리가 고통을 느낄 때 자연스럽게 적용하도록 유도된 개념과 다른 직관적인 신체 감각은 애초에 자극적인 감각/경험에 직접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의식적인 감각이나 경험에 대한 직접 현실주의자의 이야기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3.5 부사 지각 이론

직접 현실주의자들은 감각-데이터텀 이론가들과 다른 간접 현실주의자들이 진일보한 지각 경험의 행위-객체 분석을 거부한다. 대부분의 초기 직접 현실주의자(예: Ducasse 1952, Sellars 1975)에 따르면, 테이블 위에 있는 빨간 사과를 시각적으로 환각할 때에도, 사적인 정신적 특수성이나 정신적 자질의 별자리를 직접 보지 않고, 오히려 실제로 경험할 때 보통 초래되는 경험 같은 시각적 경험을 하고 있다고 한다.테이블 위에 진짜 빨간 사과가 있다. 즉, 직접 현실주의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러한 경우를 사적인 정신적 대상이나 질과 일정한 지각적 관계에 서 있는 지각자의 관점에서 분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분석은 오직 한 가지 특정한 상황, 즉 지각자 자신과 그녀가 어떤 것을 진정으로 지각하는 특정한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야기되는 특정한 종류의 (지각적, 경험적) 상태나 상태에 있는 것을 포함한다. 표준적인 경우, 진리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때, 지각자의 경험적 상태는 그녀의 인식의 실제 대상에 의해 발생하며, 지각자의 상태는 공공 대상의 분별 있는 성질의 인과적 영향에 의해 질적으로 구별된다. 환각이나 환상과 같은 비표준적인 경우에는 현상학적으로 동일한 종류의 상태가 다른 인과 경로에 의해 발생하며, 이와 같은 비검증적인 경우에서 경험적 상태의 질적 분화는 일탈적인 인과적 영향의 결과물이다.(피처 1970, 페이지 384).

경험의 이런 종류의 분석은 문학에서 때로는 부사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붉은 물체를 지각하는 데 있어서 어떤 것을 "빨간" 지각하는 상태에 있다고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말하는 방식의 이론적 의미는 붉은색을 감지하는 것이 그 물체를 인식하는 방식이며, 만약 그 물체가 파란색을 띠면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과 구별되는 것이고, 그 경우 그 물체를 "푸른 색"으로 지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한 사람이 붉은 물체를 환각할 때, 특정한 방식으로 감지하고 있는 물체, 즉 빨갛게 감지되는 물체는 오직 한 가지뿐입니다. 즉, '빨간색'은 사적인 물체가 아니라 사람의 상태나 활동, 즉 상태가 빨갛게 된 물리적 물체를 지각하거나 감지하는 방식이라고 한다.[13] 우리의 목적을 위해서, 직접적인 현실주의 관점을 발전시키는 데 숨겨진 일반적인 자연주의적 동기를 따라, 우리는 광고주의를, 비유적으로 비용이 덜 드는 상태나 사람들의 활동이나 경험의 주체에 적합한 인식의 매너나 행동들을 유리하게 하기 위한 신비한 정신적 대상이나 자질들을 제거하려는 시도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래서 직접 현실주의자에게 고통 경험은 조직 손상이 신체 부위에서 (소마토센스적으로) 인식되는 특정한 방법이다. 우리가 고통을 보고할 때, 우리는 이렇게 이해된 경험의 발생을 부사로 보고한다.

이런 종류의 부사는 경험에 관한 의도주의나 대표주의와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부사와 대표주의의 연결에 대해서는 Kraut 1982와 Lycan 1987a, 1987b 참조). 부사자는 이러한 방법이나 감지/승리하는 매너를 구별하기 위해 어떻게든 특성화해야 하며, 그렇게 하는 자연스러운 방법은 그러한 지각적 사건들이 야기되는 표준적 또는 표준적 조건에 호소하는 것이다(직접 현실주의자들이 시각적 환각을 다루고자 하는 방법을 상기하라: 사람은 시각적 환각을 가지고 있다). 실제 빨간 사과를 테이블에서 볼 때 보통 일어나는 경험과도 같은 경험이다. 따라서 그러한 표준적 조건이 개인의 특정 지각 사건이나 활동이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각 활동이 적색(= 적색의 인스턴스화를 나타내는 지각 사건)의 인식을 구성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다. 적색 표면으로 인해 정기적으로(수평적으로) 야기되는 심리적인 사건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감각 양식의 정신물리학이 자세히 설명되기를 기대할 수 있다. 객관적 용어로 표준적 또는 표준적 조건. 비록 이 기동은 현실주의자들에게 열려있지만, 그것은 선택사항이다. 어떤 사람이 이 옵션을 선택했을 때 결과는 상당히 강력한 형태의 대표성이다. 즉, 다음 섹션을 참조하라.

부사의 경우 여러 가지 기술적 어려움이 있는데, 특히 각기 다른 질적 성격의 세 가지 고통이 동시에 일어나는 등 현상학적으로 복잡한 전반적 경험을 다룰 때는 더욱 그렇다. 부사적 접근법이 서로 다른 위치의 올바른 통증이나 조직 손상과 다른 품질에 해당하는 적절한 매너를 성공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종류의 자세한 비평은 잭슨 1975, 1977년 참조; Tye 1996a, 페이지 74–77에 유용한 요약이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이 부사적 움직임으로 감각 자료와 같은 신비한 정신적 대상을 성공적으로 없앨 수 있을 때에도, 브래지어에 의해 실현된 경험에 의해 즉흥적으로 어떤 (비물리적) 현상학적 특성을 직접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비물리적) 속성 이원론의 형태로 여전히 이어질 수 있을지는 명확하지 않다.주립으로 이러한 자질들은 지각자의 서로 다른 지각 활동의 예절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것 같다.

고통의 직접적인 지각 이론과 다른 직관적인 신체 감각에 대한 저항의 다른 원천들이 있다. 일부 반대론들은 직접적인 지각 이론이 일반적으로 적절한 인식의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려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고통에 대한 그들의 치료에는 특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직접 지각 이론에 대해 가장 자주 논의되는 걱정거리 중 하나는 지각 경험이 경이적으로 풍부하고 외계에 밀릴 수 없는 방식으로 특이하다는 내분주의적 직관에 대해 정의를 행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암스트롱이나 피처와 같은 초기 직접 현실주의자들의 경우, 이러한 우려는 그들이 전반적으로 지각 경험에 대해 인지주의자들이었기 때문에 더욱 긴박하다; 즉, 그들은 믿음 획득(또는 믿음과 같은 인지 상태의 획득)의 관점에서 인식에 대해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믿음은 지각 경험 및 신체 감각과 관련된 올바른 종류의 현상학을 가지고 있는 것 같지 않다(이런 종류의 비판은 에버릿 1988과 그렉 1991 참조). 앞서 지적했듯이, 초기 직접 현실주의자들은 경험적 현상학의 중요성을 경시하고 때로는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 감각 데이터나 "불가역적으로 초능력적인" 자격의 도입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여 그것의 존재를 부정하기도 했다.[14] 그러나 일반적으로 질적 또는 현상학에 대한 이러한 우려는 이러한 이론들이 결국 지각 경험의 풍부하고 강력한 현상학을 포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확신으로 초기 직접 지각 이론(특히 회의론과 인식론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았던 사람들)으로부터 많은 사람들을 멀어지게 했다.

 

4. 대표주의 이론

그러한 어려움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 직접적 현실주의 뒤에 숨겨진 기본적인 직관력과 자연주의적인 동기를 보존하면서 현상학적으로 풍부한 경험의 존재를 공공연히 인정하는 강한 형태의 대표주의를 채택하는 것이 유혹적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이 유혹에 굴복했다.

4.1 소개

고통에 대한 표현주의는 고통 경험의 전체 현상학이 그 표현적 또는 의도적 내용과 엄격히 동일하다는 견해다. 즉 고통의 경이적이고 대표적인 내용들은 하나이고 같은 것이기 때문에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이해한 고통대표주의의 옹호자 중에는 하만(1990), 드레츠케(1995, 1999, 2003), 타이(1996, 1997, 2006a, 2006b), 바이른(2001), 시거(2002), 베인(2003, 2007, 2013, 2017), 커터 앤 타이(2011), 커터(2017), 커터(2017) 등이 있다.[15]

대부분의 초기 현실주의자들의 인식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들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경험에 대한 강력한 현상학을 인정하는 것에 대해 수줍어했다. 이는 주로 체험적 현상학이 특히 간접적 사실주의 및 감각 데이터 이론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많은 초기 직접 현실주의자들은 부사를 받아들였는데, 왜냐하면 부사는 경험에 대해 현실주의자가 되는 방식을 약속하고, 경험에 대한 행위-객관적 관점을 피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직접 현실주의자들은 그들의 대상보다는 감각적 경험으로 고통을 식별했기 때문에, 통증에 대한 직접적인 지각 이론가들은 경험에 대한 확고한 (현실주의자) 개념이 필요했다. 부사론은 의도적인 내용이 인과적으로/법적으로 지각 경험의 발생을 통제하는 그러한 규범적 조건에 기초하여 귀화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강력한 형태의 대표론에 자리를 내주었다. 이것은 완전히 자연주의적인 자격증을 가진 견실한 경험 현상학에 대한 직접적인 현실주의를 옹호할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 결과는 모든 경험적 현상학에 대한 강한 대표론이었고, 그에 따라 어떤 경험의 전체 경이적인(질적) 성격이나 자질이 그 (넓은) 대표론적 내용(=선명한 내용)에 의해 나머지 없이 은유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경험에 대한 대표론은 환원주의적 의미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보았듯이, 간접현실주의 이론들, 특히 감각-데이터텀 이론의 형태로도 표현 이론으로 진전되었다(아마도 육체적 감각은 배제했을 것이다). 실제로 간접현실주의의 옛 명칭은 '대표적 리얼리즘'이었다. 이러한 이론들에 대해, 지각 경험을 하는 데 있어서 우리는 경험의 본질적인 특성이나 감각 데이터와 같은 경이로운 개인의 특성으로 이해되는 적격성과 직접적으로 친숙하다. 그러나 적어도 표준적인 방종에서, 이러한 특성은 공공 대상의 유사성 또는 그 인스턴스화 또는 둘 다에 의해 정기적으로 야기되는 것으로 인해 우발적으로 공공 대상의 객관적 합리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간접 현실주의자 접근방식에서, 그들은 뚜렷한 존재들이다: 자격이나 감각 데이터는 그들 사이의 어떤 우발적 관계 때문에 공공 물체와 그들의 분별 있는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온다.

그러나 현상학을 인정하면서 환원론적 직접실현주의자는 어떻게 해서든 그런 경이로운 대상을 마음이나 경험에 내포할 수 없고, 또한 우리가 자기성찰에서 직접 인식할 수 있는 경험에 내재된 자질의 존재를 보증할 수도 없다 - 기본적인 직접 지각론자의 직관, 회상. 우리의 경험은 우리에게 직접 그리고 즉각적으로 세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투명하다. (이 외적 관계는 일차적이다.) 그러므로 만약 자격이 인식의 직접 현실주의 그림에서 유지되려면, 이러한 자격은 지각 상태의 대표적 내용으로 축소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때때로 '강력한 대표주의'를 사용하여 이러한 관점과 '대표적 현실주의'를 구별할 것이다(Block 2006 — 블록은 동일한 구별을 표시하기 위해 '대표주의'를 사용한다).

이전의 직접 현실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강한 대표주의자들은 자연주의자나 물리주의자인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론들은 대개 이러한 상태들이 어떻게 그들의 대표적 내용을 획득하는지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설명을 동반한다. 가장 일반적인 계정은 이상적인 인과적 공분산 이론(정보적 의미론 — Dretske 1981, Forder 1987, Ayede 및 Güzelder 2005 참조) 또는 원격심리학(Milikan 1984, Papineau 1987 참조) 또는 둘 다(Dretske 1988, 1995; Tye 1996a)이다. 이것들은 외부주의 이론들이다.[16]

다시 요약하면, 강한 표현주의는 인식에 대한 현대의 직접적인 현실주의인데, 여기서 부사는 어떻게 지각 경험이 그들의 현상학을 구성하는 그들의 (아날로그) 표현 콘텐츠를 획득하는지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이야기에 달려 있다. 그래서 강한 대표론에 따르면 고통 경험은 그들의 대표성 내용 덕택에 그들이 하는 방식을 느끼고, 다른 것은 아무것도 느끼지 못한다. 그것들은 신체 조직의 여러 가지 무질서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들이 이러한 조건들을 표현하는 방식은 우리의 시각 시스템이 색을 표현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색상이 표면 스펙트럼 반사율과 같은 표면의 객관적 특징(적어도 부분적)이라면, 우리의 시각적 경험은 그러한 색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색상을 "회색 없는" 시각적 표현에 기초하여 스펙트럼 반사율로서 개념화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의 통증 경험이 조직 손상을 그렇게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은 표현주의에 이의가 없으며, 즉 고통 경험이 단지 이러한 경험에 근거하여 조직 손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반드시 개념화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지각적 경험은 비개념적으로 하는 일을 나타낸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아날로그 내용(그림과 같은 연속적 표현으로 실현되는 경우)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이것을 경험들이 표현적으로 구조화되는 방법에 대한 주장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것들은 보통 생각되는 것처럼 개념으로 구조화되지 않는다. 모든 감각 모달리티는 그들이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독점적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고통 경험은 시각에 비해 정보 내용 면에서 덜 풍부할 수 있지만, 다르지 않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증 경험의 질적 차이는 그들의 다른 신체 조건을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타당하다. Tye는 여러 후보를 나열한다.

…통증의 징조는 경미하고 짧은 손상 사례를 나타낸다. 욱신욱신 쑤시는 것은 빠른 맥박 장애를 나타낸다. 통증은 표면이 아닌 신체 내부의 손상 부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지역은 점차적으로 시작과 끝이 되고, 심각성이 증가하면서 서서히 사라지는 양으로 표현된다. 그렇게 표현된 책들은 정확하거나 날카로운 경계로 표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쑤시는 통증과는 달리 정확한 위치가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찌르는 듯한 통증은 잘 정의된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갑작스러운 손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지역은 날카롭고 뾰족한 것(단검의 그것처럼)의 형태로서 (이차원이 아니라) 부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표현된다. 찌르는 듯한 통증의 경우, 관련 손상은 표면이나 바로 아래에 갑자기 시작과 끝이 나고, 매우 작은 부위를 덮는 것으로 표현된다. 긁히는 통증은 손상이 내부 신체 부위(예: 근육)의 스트레칭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Tye 1997, 페이지 333; cf. Tye 1996, 2006a)

통증 위치의 문제는 초기 지각 이론들이 다루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된다: 고통의 위치는 통증이 조직 손상이 일어나는 곳을 나타내는 위치다. 이러한 종류의 계정은 현상학적-쿰-표현적-콘텐츠가 조직 손상의 위치를 직접 안내하는 경험에 대한 훨씬 더 견고하고 현실주의적인 개념을 갖게 되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더욱 매력적이 된다. 고통 경험의 현상학은 이제 직접적으로 (투명하게) 그 표현적 내용(Tye 2006a, 2006b)으로 그 정체성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에게 조직 손상을 나타낸다.

4.2 초점의 문제

통증에 대한 지각적/표현적 관점의 중심적 어려움 중 하나는 통증을 느끼는 것이 신체 부위의 조직 손상을 진정으로 인지하는 것이라면 조직 손상보다는 그 경험을 보고하는 것이다(난이도의 진술은 투수 1970, 페이지 379–80, 암스트롱 1962, 페이지 125, 그리고 아옌데 2009, 2017b 참조).[17] 우리는 이러한 어려움을 일반적으로 지각 이론에 대한 초점의 문제(강력한 대표론적 견해 포함)라고 부를 수도 있다. 통증의 상식 개념에 따르면(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대부분의 지각 이론은) 우리는 인식론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그 대상인 조직 손상보다 경험에 더 관심이 많다. 우리의 자발적인 개념적 반응은 또한 이러한 패턴을 따른다: 표준 전멸과 고통 사이에 개념 적용의 위치나 개념적 식별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위의 그림 1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둘 사이에는 명백한 비대칭성이 있다. 만약 통증을 느끼는 것이 붉은 사과를 보는 것과 동등한 신체 부위의 조직 손상을 인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면, 우리는 당연히 신체 부위의 통증을 보고할 때, 지각자와 지각한 외적 조건 사이에서 얻는 지각 관계를 보고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찾은 것이 아니다. 대신에, 우리가 발견한 것은 정보/대표적 식이학이 그 자체의 개념 분류에 아무런 차이가 없는 어떤 종류의 경험에 대한 보고서다. 통증 보고서란 표현 정확도가 보고서 자체의 정확성과 무관한 경험의 보고서다. 대부분의 지각 이론에서, 내가 (5)와 같은 문장을 말할 때, 나는 "나는 내 손등에 어떤 종류의 신체 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경험을 하고 있다"와 같은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다시 말해, 나는 단순히 나에게 무언가를 말해주는 경험을 보고한다. 내가 그것이 말해주는 것을 믿게 되느냐 마느냐 하는 것은 (5)의 진실 조건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읽어서는 안 되는 요인의 문제다. 사실 지각 이론가들이 제안한 이런 종류의 분석은 통증에 대한 통상적인 개념으로 볼 때 처음에는 그럴듯해 보이며, 따라서 그러한 이론에 찬성하는 주장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이곳이 지각 이론에 문제가 있는 곳이다. 왜 통증보고서는 그 경험이 진정으로 지각적(지각적)이라면 첫 번째 경우의 경험에 대한 보고인가? 이상하지 않아? 이런 종류의 일은 진정한 인식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사실 이러한 비대칭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각(강력한 대표론자뿐만 아니라) 이론에 대한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모든 진정한 인식의 경우는 지각 동사가 성공 동사로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9)-(13)와 유사한 문장으로 관련 모달리티의 인식 사례를 보고하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10) 탁자 위에 붉은 사과가 보인다.

이것은 정당한 이유인데, 인식은 본질적으로 자신의 (외과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활동이다(물론 자신의 내부 신체 환경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보고의 지배적인 형태가 지각자와 지각자 사이의 관계 형태라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후자가 자신의 환경의 외부 대상이나 조건이다. 또한 지각은 일반적으로 첫 번째 예에서 지각된 물체나 상태에 대한 개념적 범주화를 산출하는 것도 놀랍지 않다: 지각 과정의 일반적인 결과는 지각된 물체를 지각된 개념에 따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인식은 지각 활동 자체나 지각 경험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지각적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식된 대상에 프리미엄을 둔다. 따라서 인식의 전형적인 결과는 (9)~(13)와 같은 문장으로 표현 가능한 내용을 가진 믿음의 획득이다. 신체 부위의 통증을 보고하는 문장이 이러한 패턴을 따르지 않는다면, 즉, 이러한 문장이 지각자와 인식자 사이의 지각 관계에 대한 보고로 해석되지 않는다면 통증 보고는 인지하지 못하는 원시적인 측면이 된다.초당 보고서, 지각적 관계에 있다는 취지의 보고. 그러나 통증 보고서는 고통을 느낀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고통을 느끼는 것은 진정한 인식의 형태가 아니다. 이것을 지각 이론에 대한 초점으로부터의 주장이라고 부르자.

지각 이론가는 고통을 보고하는 것이 지각자와 외인 인식 대상 사이의 지각 관계를 얻는 것을 보고하는 경우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기 마련이라는 분명한 의미가 있다. 고통을 보고하는 것이 의식적인 경험을 보고하는 정도와 그것만이 내성적인 보고서인 만큼, 그것은 성내 활동에 대한 보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 이론가는 이 보고된 경험이 지각 경험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런데 왜 그 대상, 메시지보다는 그 경험을 보고하는가? 왜 우리가 메신저에 집착하는 거지?

지각 이론가가 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설명은 다른 지각 양식과 달리 통증을 느끼는 데 수반되는 조직 손상을 감지하는 행위(즉, 경험)는 매우 명백한 부정적 정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고통은 불쾌하고 끔찍하며 상처입고 고통스럽다(Peater 1970, 페이지 379ff; 그리고 암스트롱 1962, 페이지 125ff; 1968, p..310ff). 우리가 왜 경험 자체에 집착하는지 설명해주는 것은, 그것이 어떤 인식인지, 즉 정신적 충격을 받은 신체 부위에 대한 인식보다는, 이 부정적인 영향이다. 즉, 인식의 초점을 스스로, 그리고 그것을 가지고, 그것이 부착된 경험으로 돌리는 것은 이 부정적인 품질이다. 만약 이것이 맞다면, 물론 고통은 그들이 잘못 전했을 때에도 똑같이 불쾌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정보적 특성과 무관하게 외부 사물보다는 우리의 감지 행위(즉 경험 그 자체)를 고르는 것이다: 그것들이 진리적이든 아니든, 똑같이 상처를 입는다.

이것은 첫 번째 패스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인 것 같다. 사실, 지각 이론가는 심지어 그럴듯하게 왜 이러한 지각 경험들이 불쾌하게 느껴야 하는지에 대한 진화적인 이야기를 줄 수 있다: 그것들은 생존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는 신체 부위의 속성을 나타내거나 신호한다. 그러나, 가려움, 간지럼, 간지럼, 오르가즘과 같은 다른 직관적인 육체적 감각에도 같은 종류의 설명이 주어질 수 있을까? 아마도 그것은 대개 대단히 즐거우며 분명한 진화적 이점을 가지고 있는 오르가즘을 경험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Block 1996, Tye 1996b, Ayede 2019).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가려움증은 불쾌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보통 가려운 곳을 긁고 싶어진다. 그러나 간지럼과 간지럼은 때로는 즐겁고 다른 사람에게는 불쾌할 뿐만 아니라, 다른 때에는 감정적으로 중립적일 수 있다. 그러나 간지럽거나 따끔거리는 개념은 그들이 감지하거나 경험하는 행위들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고통의 개념과 같다. 이러한 행위들이 어떤 외부 조건들을 대표할 수 있는지 보다는 그것들이 무언가를 대표한다면 말이다.[18] 또한, 미각적, 후각적 경험은 유쾌하거나 불쾌하거나 감정적으로 중립적일 수 있지만, 이러한 감각적 양식의 운동에 관여하는 감지 행위는 우리가 이러한 경험의 외부 대상에 SWAT, WITH 등과 같은 관련 개념을 우선 적용한다는 점에서 대체로 투명하고, 오직 조롱거리만 있는 것 같다.감지 행위 또는 경험 자체에 대해 또는 우발적으로.

이러한 관찰은 초점에서의 비대칭성에 대해 지각 이론가가 제시한 설명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러나 지각 이론가는 여전히 그 설명이 다른 무의식적인 육체적 감각의 경우에 어떤 것이든, 고통에 대해 제시된 설명은 본질적으로 옳다고 주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이론가는 고통을 경험하는 것이 진정한 몰토셉에 관여하고 있다고 주장함에 있어서 입증의 부담을 해소했다고 결론지을 수도 있다.고통 경험은 거의 항상 명백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답장은 약간의 초기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한 사람이 (필요한 대로) 특정 종류의 육체적 감각의 전체적 비타협성이 통일된 설명을 가져야 한다고 의심한다면, 제시된 설명이 아마도 전체 이야기가 아닐 것이고, 따라서 그 자체로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결론짓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또한 통증 경험의 감각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이 서로 분리되는 비정상적인 통증 현상이 있다는 상당히 실질적인 과학적 증거도 있다 — 아래 6.1절 참조 및 추가 논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통증 무증상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증후군을 앓는 사람은 부정적인 영향 없이 통증을 경험한다. 흥미롭게도, 이 사람들은 여전히 그들의 경험을 고통으로 인식하지만, 전형적으로 고통의 불쾌한 면과 관련된 육체적, 감정적, 행동적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 그들은 아프지 않은 고통을 느끼고 있답니다! 이 증후군이 보여주는 것처럼 통증이 반드시 불쾌하지 않다면, 부정적인 영향 없이 고통을 느끼는 것이 여전히 그 비타협적인 성격을 유지하는지는 흥미롭고 공공연한 의문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영향을 호소하는 이 반응의 진짜 문제는 제공된 설명이 정확하더라도 지각 이론을 살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보고통증의 자발적 개념 적용의 의미적 초점은 이 경험의 외적 대상보다는 경험이라는 설명문(명칭)은 그럴듯하게 신체 부위의 통증을 느끼는 것은 거기서 외적 무언가를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정당화하는 것은 진정한 인식에 대한 합리적인 조건이다: 경험 종류는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경험의 적절한 대상이 되는 독점적 개념 애플리케이션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만 진정한 지각이다. 즉, 감각 과정이 진정으로 지각되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인지적 습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2차 품질의 개념은 각 감각적 형식에 대해 독점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실제로 이러한 개념은 주로 경험 그 자체(또는 그들이 경험하는 경우 파생적으로만)가 아니라 이러한 양식에 의해 생성되는 경험의 객체에 적용된다. 그러나 통증의 경우, 우리는 의미론적으로 PINE, 즉 그 물질에 대한 '통증'을 조직 손상에 적용하지 않는 것 같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전에 봤듯이, 고통을 선고로 돌리는 진실의 조건들에 의해 증명된다. 그래서 설명서가 맞을 수도 있지만, 그 목표인 설명서는 빗나가는 것 같다: 고통을 느끼는 것이 왜 진정으로 지각하지 않는가에 대한 설명인 것으로 밝혀진다.

초점 문제에 대한 또 다른 종류의 대응은 현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우리의 언어적 실천에서 기인하는 사이비적인 문제로 취급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주장될 수 있다(서신에서의 샬머; cf. 2006년, 2009년, 2017년). 우리는 지각적 물체가 존재하지 않아도 볼2 수 있는 '보기2'라는 용어를 발명할 수 있다(그러므로 '보기2'는 일반적인 '보기1'와는 달리 시각적 경험에 적용된다). 우리는1 또한 '감정1'이라는 용어를 발명할 수 있는데, 그러한 느낌은 지각 대상, 조직 손상(그래서 '감정1'은 일반적인 '감정2'과 다르다)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공교롭게도 우리말에서 '보기'는 '보기1'를, '기분'은 '기분2'을 표현하지만, 그것은 용어일 뿐이다. 현상 수준에서는 두 사건이 대등하다.

그러나 이 책략으로 문제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우선 첫째로, 그것은 위에서 주어진 초점에서 반 지각론적 주장을 실제로 다루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문제는 우리가 새로운 용어를 발명할 수 있는지, 혹은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여 두 현상이 유형 식별적인 것으로 판명될 수 있는지가 아니다. 언어실습은 우리의 개념실습, 우리가 어떻게 사고하고 개념적으로 들어오는 지각정보에 반응하는가를 반영한다. 사실, 우리의 개념적 관행은 두 경우에서 정보 흐름의 유형이 동일해 보이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보는 것과 다른 표준 전멸을 그들이 느끼는 고통을 다루는 방식과 다르게 다룬다. 문제는 왜? 이러한 관행은 우리의 인식론적 욕구와 우리의 행동에 나타나는 심리적 선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들은 제멋대로가 아니다. 지각은 우리가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일정한 방식으로 이러한 근거에 입각한 개념적, 행동적 대응을 일치시키는 심리적 과정이라면, 특히 그 편차가 우리의 인식적 n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일 때 이를 벗어나는 심리적인 과정이 지각인지를 묻는 것은 공정한 질문이다.소아과와 심리적 선호도는 전멸에 관련된 사람들과 현저하게 다르다. 고통을 느끼는 것이 지각인가 하는 문제는 순전히 형이상학적 질문이나 철학적인 질문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그리고 중요하게는 경험적(심리적) 질문이기도 하다.

4.3 감정 현상학의 문제

고통은 감각이나 지각적 경험일 뿐만 아니라, 감정적 운동적 경험이기도 하고, 적어도 감정적 측면이 있는 것 같다. 고통을 느끼는 것은 보통 끔찍하고, 상처를 주는,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고통은 부정적인 쾌락적 용맹이나 감정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강력한 대표론자들은 현상학의 모든 측면이 대표적이라고 주장하는데 전념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통의 부정적인 감정적 측면(즉, 고통의 질)이 고통의 전반적인 질적 현상학의 적절한 부분이라면, 그것은 또한 대표성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통증 현상학은 적어도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복잡해 보인다. 이전의 지각 이론가들과 함께 대표론자들은 고통의 감각적인 측면이 대표적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조직 손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감정적인 측면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그럴듯한 후보가 없는 것 같다.

초기 지각 이론가들, 특히 직접 현실론자들은 고통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인지주의자들이었다. 그들은 대략적으로, 그것은 그들 자신의 고통 경험에 대한 경험자의 자발적인 인지/원조적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반응은 원론적 또는 평가적 명제적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즉, 고통의 고통은 "[고통] 인식이 중단되어야 한다는 절박한 욕망을 즉각적으로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그들의 힘에 의해 구성되었다(Armstrong 1968, 페이지 314–16). (Stephens and Graham 1985, 1987, Nellkin 1986, 1994, Hall 1989 참조). Cf. 파피트 1984. 치솔름의 1987년 발표에 따르면 브렌타노는 고통과 쾌락은 부분적으로 감각 원소에 대한 원추적 반응이라고도 했다.)

이론적으로 인지주의가 대표주의를 위한 선택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채택하는 것은 강한 대표주의의 정신을 위반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것은 모두 인지주의 노선을 어떻게 발전시키느냐에 달려 있다. 한 가지 방법은 고통의 감정적인 측면이 질적이나 현상학적 측면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고통의 감각적 내용에 대해 인지적이고 행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착각하고 있다. 이 옵션은 강한 대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영향이 질적이 아니라면 그것을 대표성-cf로 취급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없다. Tye(1996, 페이지 111–16, 134–36, 1997, 페이지 332–3). 그러나 고통의 감정적인 측면이 감각적 내용만큼 질적이라는 것이 인정된다면, 인지주의는 강한 대표론자에게 타협책으로 다가온다. 왜냐하면 그것은 모든 경이로운 성격이 표현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이 후자의 옵션은 경험의 감각적 내용이 순수하게 표현적 계정으로 주어질 수 있는 반면 그것의 정서적 차원은 동기적 매개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이 내용을 기능적으로 처리하는 문제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고통 및 기타 비중립적 경험에 대한 표현적-기능적 접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지 태도가 기능적으로 포착될 수 있다는 가정).

일반적으로 인지주의의 문제는 직관적인 타당성 결여로 고통 받는다는 것이다. 즉, 고통 경험의 해치는 측면이 단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그들에 대한 우리의 인지적 반응의 문제일 뿐이라는 것은 확실히 보이지 않는다. 명제적 태도 형태의 인지적 반응은 그것들 특유의 질적 현상학을 별로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이 조치가 문제를 잘못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문제는: 고통, 고통의 질, 고통의 질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제시된 대답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경험에 대한 인지적/원조적 반응에서, 그것이 멈추기를 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그 경험이 고통스럽기 때문이지, 반대로 멈추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싶다.

대표론자에게 감정 현상학을 다루는 가장 솔직한 방법은 감각 현상학처럼 그것 역시 대표론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Tye는 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안하는 것 같다.

고통에 빠진 사람들은 그것을 없애거나 줄이려고 한다. 왜일까? 그 답은 분명 고통이 불쾌하거나 나쁘게 느껴지기 때문이며, 그렇게 경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확히 무엇이 불쾌한 경험인가? 고통을 느낄 때 주의력은 고통의 경험이 있는 곳과는 다른 곳으로 간다. 불쾌한 것으로 경험되는 성질은 자신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참석하는 신체 위치에 위치한다. 감정적 차원이 결여된 통증의 사람들은 국부적인 신체 부위에서 한 종류 혹은 다른 종류의 조직 손상의 순전히 감각적이고 비평가적인 표현을 경험한다. 고통이 정상인 사람도 같은 자질을 경험하지만, 이제는 그러한 자질은 그들에게 불쾌하게 느껴진다. 그것은 바로 그 자질들이 불쾌하거나 나쁜 것으로 경험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들에게 하는 인지적 반응, 고통을 멈추고 싶은 마음과 같은 반응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직 손상을 나쁜 만큼 경험하는 것은 그 손상을 나타내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보기에 고통의 감정적 차원은 감각 차원만큼이나 고통의 대표성 함량의 일부분이다.(Tye 2006a: 107)

그래서 손등에 심한 통증을 느낄 때 겪는 경험은 손의 조직 손상을 나타내며 그것이 나쁘다고 나타내기 때문에 그렇게 느낀다. 즉, 조직 손상이 나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O'Sulliban & Schroer 2012; Bain 2013, 2017 참조)

물론, 보통 사람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은 좋지 않다. 우리는 또한 보통 그것이 나쁘다고 생각한다/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조직 손상(즉, 통증을 느끼는 것)을 경험하는 것은 좋지 않다. 우리도 그렇게 생각한다/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에서 (추가적인 전제 없이) 그 경험이 그 피해를 나쁘게 나타낸다는 것은 따라오지 않는다. 이러한 진실은 실체적 형이상학적 주장인 이 마지막 주장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자신의 경험이 조직 손상을 나쁘게 나타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것은 자연주의자가 되기를 열망하는 강력한 대표론자에게는 비견할 수 없는 질문이다. 강한 대표주의는 보통 경험들이 어떻게 그들의 대표적 내용을 획득하는지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이야기와 함께 온다는 것을 상기하라. 그러므로 조직 손상을 나쁜 것으로 표현하는 것은 어떤 자연주의적인 이야기가든지 간에 그의 처분에서 현금화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Tye를 포함한 많은 대표론자들은 정보이론을 옹호한다. 그러나 그 경험이 그것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고 말할 수 있도록 그 경험에 의해 감지되거나 추적되는 조직 손상 자체의 자연적인 성질은 무엇인가? 나쁘다는 속성은 정보적으로 탐지하거나 변환할 수 있는 속성이 아닌 것 같다.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은, 정보-이론적 버전의 표현주의는 감정 현상학에는 그다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그러나 다른 선택사항과 비판적 논의에 대해서는 Tye 2006b를 참조, 베인 2017, Cutter & Tye 2014, Corns 2018 참조).

그러나 아마도 기능적 역할 의미론은 조직 손상을 나쁘게 나타내는 것이 통증 경험에 대한 의미를 현금화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고통 경험은 주인의 행동과 정신 경제에서 일정한 기능적/주의적인 역할을 한다는 생각이다. 특히, 그러한 경험은 일반적으로 부상의 신호를 보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일반적으로 인지 및 행동 효과의 특정 배터리와 인과적으로 관련된다. (단순한 정보 연계보다는) 이러한 인과적 또는 기능적 프로파일이 통증 경험이 조직 손상을 나쁜 것으로 나타내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기능주의에 대한 호소가 이루어지면 대표주의가 이 제안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우선 강력한 대표주의를 부분적 내부주의 이론으로 전환한다. 또 다른 예로, 기능적 역할 그 자체가 고통의 감정적 현상학을 구성한다고 간단히 말하지 않는 것은 어떨까? 실제로 정신철학의 기능주의(또는 더 나은:오작동주의)는 언제나 고통을 기능주의자의 제안으로 그럴듯하게 포착할 수 있는 현상학이 있는 질적 정신상태의 패러다임적인 예로 취급해 왔다. 이 프리마 페이시를 그럴듯하게 만든 것은 (그 감각 현상학과는 반대되는) 고통의 감정적 현상학이었으며, 이것은 본질적으로 고통이 내재적인 동기부여가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일단 기능주의가 허용되면 우리는 대표주의를 통해 우회할 필요가 없다. 사실, 어떤 경험이 어떤 것을 나쁜 것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떻게 그 자체로 내재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지 알기는 어렵다. 어떻게 설명하면, 대표론자는 대표론적 내용을 추진력과 동기부여와 연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학습?) 메커니즘을 광고해야 한다. (Ayede & Fulkerson 2014, 2019년, 고통에 대한 심령적 설명 및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표현주의에 대한 추가 비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yede & Fullkerson 2014, 2019을 참조하십시오. 비판은 콘스 2014를 참조하십시오.)

 

5. 평가적, 동기적 이론

감정 현상학의 기능주의적 치료는 순수하게 강한 대표론자들에게는 문제가 있어 보이지만, 고통에 대한 자연주의적 설명을 지각으로 하려는 일반 지각 이론가들에게 환영받을 수도 있다. 고통의 감정적 현상학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이 해야 할 일은 비록 지각은 그 본질을 소진하지는 않지만 고통을 느끼는 것은 지각과 관련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고통을 느끼는 것은 다른 요소, 예를 들어, 고통의 감각/표현적 내용의 기능적 역할을 환기시킴으로써 설명될 수 있는 감정/감정적 경험이기도 하다(examp의 경우 참조).Le, Lycan 1987a, pp. 60–61 및 Clark 2006, Ayede & Fulkerson 2019 이 노선을 따라 대략적으로 제안) 또는 고통의 감각 차별적 구성요소가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평가적 표현(예: 조직 손상의 나쁜 점) -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우리가 상기할 수 있듯이, 감정적 현상학을 포함하는 것이 고통에 대한 IASP의 정의가 권고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또한 고통이라는 상식적인 개념에 내재된 것 같다: 고통은 불쾌하다.

실제로 많은 이론가들은 '통증의 혼합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런 종류의 접근법을 받아들였다. 이것들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때로는 다른 일련의 우려에 의해 동기 부여되며, 따라서 고통의 다른 측면을 강조한다. 그러나 고통의 본질은 적어도 두 가지 정신적 요소로 이루어진 복잡하다는 것이 기본 생각이다. 일반적으로 한 가지 요소는 감각, 지각, 대표성, 차별성, 기술성 또는 정보성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하나는 감정적, 감정적, 동기적, 평가적, 지시적 또는 명령적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지금까지 우리는 전자의 측면을 강조해 온 그러한 이론들에 초점을 맞춰 왔다. 사실 이것은 적어도 철학적 전통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한 이론화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지난 10여 년 동안 고통은 적어도 그 감각적 또는 지각적 측면과는 구별되는 감정적, 동기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증가해왔다(일부 과학적인 증거는 다음 절 참조). 관찰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지각 이론가들과 약한 대표론자들은 고통의 감정적인 측면을 다양한 수준의 성공에 수용할 수 있었고, 역사적 사실의 문제로서, 주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인지주의자로 가짐으로써 가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 동안, 다수의 이론가들은 그들의 감각/지각적 측면보다는 고통 경험의 감정적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었는데, 아마도 고통 경험이나 다른 유사한 육체적 감각을 독특하고 독특하게 만드는 것이 이 측면이라고 느낄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접근법에는 역사적 선례가 있지만(예: 마샬 1892, 1894a, 1894b; 던커 1941) 나는 현대적인 관점의 발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Corns 2013은 고통에 대한 단일적 관점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으며, 다차원적 관점을 추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통에 대한 다원적 개념에 대한 다원적 모델에 대한 보그 외, 곧 다가올 것을 참조하라.)

좋은 예가 넬킨 1994이다. 넬킨은 자신의 이론인 '통증의 평가론'을 '통증의 이론'이라고 부르는데, 이에 따라 고통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그 중 하나는 신체 부위의 다양한 문제를 나타내는 발생적인 현상상태다. 두 번째 요소는 이 경이로운 상태에 대한 동시적이고 비추상적인 평가다. 넬킨은 이 평가를 경이로운 상태에 대한 자발적인 판단의 한 형태로서 신체에 대한 위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는 두 가지 요소 모두 고통 경험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놀랍게도 넬킨은 평가 구성요소가 고통을 경험하는 데 수반되는 영향과 동기와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넬킨에 따르면, 이 두 가지는 단지 우발적으로 고통 경험에 관련되어 있다. (1989년 홀에서도 이와 유사한 견해를 제시한다.)

보다 통합적으로 관점을 발전시키는 헬름(2002)에 의해 또 다른 평가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헬름에 따르면, 육체적 고통과 쾌락은 단지 느낌의 평가일 뿐이고,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자발적인 평가일 뿐이다. Helm에 따르면, 이러한 평가들은 보통 이해되는 판단들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경험자의 광범위한 배경 연상 및 인지 상태에 합리적으로 반응하는 의도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펠트 평가로서 그들은 전형적으로 고통과 쾌락과 관련된 행동을 본질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합리화한다. 그러므로 그것들은 고통의 분리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다. 고통과 즐거움은 단지 느낌의 평가일 뿐이다. 헬름의 설명은 그의 감정 이론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 면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Helm 2001).

아마도 최근 몇 년간, 고통에 대한 혼합된 평가 관점의 가장 두드러진 지지자는 마이클 타이(2006a,b, Cutter & Tye 2011)와 데이비드 베인(2003, 2013, 2017)일 것이다. 둘 다 고통의 감각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모두를 위해 강한 대표성을 옹호한다. 베인은 그 자리에 평가주의를 표방하고 간결하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피험자의 불쾌한 고통은 (i) 어떤 종류의 소란을 나타내는 경험(통증)을 겪는 것과 (ii) 신체적인 의미에서 소란을 그에게 나쁜 것으로 추가적으로 나타내는 같은 경험에서 이루어진다. (베인, 2013: S82)

타이(2006a,b)와 커터 앤 타이(2011)는 신체 장애의 악성을 진화적으로 중요한 교란 목적적 특성(해할 수 있는 적합성 등)으로 간주하는 반면 베인은 결국 그 악성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그러나 그의 2017년을 보라)에 대해 애매한 것처럼 보인다. (최근 평가주의에 대한 비판은 Ayede & Fullkerson 2019; Jacobson 2013, 2018; Cutter & Tye 2014에서 Jacobson 2013에 대한 응답을 참조하십시오. Jacobson 2018은 추가적으로 통증 영향을 미치는 1차 손상 방지 욕구 계정을 개발한다.)

홀(2008), 마르티네즈(2011), 클라인(2007)은 동기부여 이론의 등급에 속하는 고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그들은 그들의 견해를 '불멸적인' 이론(또는 그 견해가 알려지게 된 것과 같은 불완전성 이론)이라고 부르는데, 이에 따르면 고통은 순수한 의도적인 내용을 가진 경험이다: 홀과 마르티네즈에 따르면 고통은 부분적으로 서술적인 내용으로 구성되는 의도적인 내용들과 부분적으로 필수적인 내용의 혼합된 내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통증 경험은 신체 부위의 실제 또는 잠재적 손상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신체 부위와 관련된 특정 행동을 명령한다: "정지! 이 신체 부위를 가지고 하는 짓은 그만둬라."(홀 2008: 534), 또는 <이 신체 손상은 더 이상 안 된다!>(마르티네즈 2011).

클라인(2007년, 2015년)은 더 급진적인 방법으로 고통에 대한 이 긴급한 설명을 더 발전시킨다. 그는 고통 경험은 그들의 긴급한 내용만으로도 지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는 그들이 서술적(그의 말로 표현하자면, 대표적) 내용이 전혀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강력한 대표론자들이 그들의 설명을 제시하는 형이상학적 정신으로 자신의 설명을 의도한다. 즉 의도적인 내용상의 고통의 종류에 있어서의 차이. 강력한 대표론자들에 따르면(클라인의 용어로, 의도론자) 이 내용은 순전히 서술적이다. 클라인에 따르면, 고통을 느끼는 신체 부위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에 대한 처방을 내리는 것은 순전히 필수적이라고 한다. 2015년 클라인은 이 필수적인 내용을 <이러한 방법으로 그 신체 부위를 보호하라!>라는 신체가 대리인에게 발급하는 보호 명령으로 받아들인다. 클라인은 자신의 불완전성을 고통의 본질적 본질에 대한 설명으로 고통의 감각 차별적 요소에만 의존한다. Klein에 따르면, 감정적이고 불쾌한 측면은 우발적으로 고통과 관련이 있을 뿐이며, 고통의 필수적인 내용을 지시하는 2차적 필수적 수준의 명령으로 구성된다. (비평에 대해서는 베인 2011, Ayede [2017, 기타 인터넷 자료에서] 참조)

구스타프손(2006)은 고통을 감각적 경험으로 이해하는 것에 반대하는 확장적이고 다단계적인 주장을 전개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고통은 본질적으로 감정이다.

이러한 평가적, 동기적 이론의 자연주의적 기초를 탐구할 때, 고통의 감정적/평가적 차원의 기능주의적 또는 오동작적 감소가 이러한 이론가들에게는 가장 자연스러운 선택으로 판명될 수 있다. (최근의 평가적, 동기적 계정 등급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적 리뷰를 위해) 통증, 특히 통증의 감정적 측면, 코른스 2018과 아이덴스 & 풀커슨 2019를 참조하면 후자는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등 감각적 영향을 미치는 1차 경험적 손상 방지 욕구 계정을 개발한다.)

 

6.통증에 대한 제거주의

6.1 통증을 없애기 위한 반응적 분리의 주장

다니엘 데넷은 자신의 영향력 있는 글 '왜 고통을 느끼는 컴퓨터를 만들 수 없는가'(1978년)에서 고통이라는 평범한 개념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일관성이 없고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그가 고통의 "적극적인 분리"라고 부르는 몇몇 임상적인 고통 신드롬에 의존했다.

특정 수술 절차, 일부 약물, 특정 병리학적 조건 등은 그 감각적 차별적 측면을 보존하면서 통증의 불쾌감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전두엽 절제술(Freeman et al. 1942; Freeman and Wattz 1946, 1950; Hardy et al. 1952; Barcube 1959; Buckoms 1994) 또는 골절개술(Foltz and White 1962a, 1962b; White and Sweeteat 1969)을 거친 환자로부터 얻는다.lgia, 인과관계, 심한 정신질환 및 암통) 최면제시술(Barber 1964; Rainville et al. 1997, 1999), 아산화질소(웃음가스), 모르핀(Barber 1959)과 같은 일부 아편 유도체(Barber 1959). 이러한 환자들은 대체로 자신이 고통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고통을 그렇게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지만, 통증 경험에 특유한 방식으로 느끼거나 괴롭거나 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문헌에서는 인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환자들을 괴롭히는 현상들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는데, 이는 환자의 보고와 행동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통증 무증상은 또한 전형적으로 일종의 분열을 일으키는데, 다소 강한 종류는 때로는 정골절개술 환자와 비슷하지만 흥미롭게도 전두엽절개술 환자와는 다르다. (Rubins and Friedman; Hurt and Ballanantne 1974; Bertier et al. 1988, 1990; Devinskinsk 등, 1995; Weinstinstinstine et al. 1995). 사실, 통증 무증상이 진정한 분리의 유일한 형태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Grahek 2007). 예를 들어, 이러한 환자들은 바늘구멍, 작은 상처, 화상 같은 순간적인 고통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실험적인 통증 자극은 인식 가능한 감정 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자극이 고통을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들은 자신의 경험을 고통으로 식별한다(Rubins and Friedman 1948, Bestier et al. 1988, 1990, Dong et al. 1994, Weinstein et al. 1995). 반면에 전두엽절개술과 모르핀 환자들은 보통 고통스러운 자극에 의해 순간적으로 자극을 받았을 때 일반적인 감정적인 반응과 증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들은 지속되는 끈질기거나 만성적인 고통에 신경 쓰거나 신경 쓰이지 않는 것 같다. 아마도, 그들은 여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느끼지만 개의치 않는 반면, 무증상 환자는 순간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이 두 경우 또한 소위 선천성 통증 불감증과 구별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환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유해 자극에 대해 어떠한 통증 경험도 보고하지 않는 조건이다. 불행히도 이 환자들은 오래 살지 못한다(McMurray 1955, 1975; Baxter and Olszewski 1960; Sternbach 1963; Brand and Yancey 1993).[19]

그의 논문에서 데넷은 주로 전두엽절개술과 모르핀 케이스에 관련된 일종의 분열에 의존하고 있으며, 마치 그들이 통증 무증상과 관련된 강한 분열과 같은 종류의 분열을 수반하는 것처럼 취급한다. 그는 또한 멜잭과 월이 개발한 통증전달의 문-제어 이론의 어떤 측면도 제시하는데, 이는 이미 과학적인 통증연구(멜잭과 월 1965; 멜잭 1973)에 혁명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이 이론에서 영감을 받아 그는 통증 처리에 대한 추측성 하위 개인 기능 이론을 제시하는데, 이 이론에 따르면 통증 처리는 주로 중앙 신경계의 여러 다른 요소에서 기능적으로( 심지어 해부학적으로도) 발생하며, 그 중 일부는 선택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그는 이런 종류의 선택적 손상은 우리가 친숙한 종류의 분리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발견하여 상상할 수 있는 더 많은 기이한 현상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그의 통찰은 본질적인 직관력을 가진 우리의 통상적인 고통 개념은 통증 연구에서 그러한 과학적 발전이 함축하는 것을 견딜 수 없다는 것이다.

상식적인 고통 개념에 따르면 데넷은 이렇게 주장한다.

(14) 통증 경험은 본질적으로 고통스럽고 끔찍하며 혐오스럽기 때문에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통증 경험을 갖는 것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라는 것도 상식의 일부다.

(15) 환자의 통증 경험에 대한 접근은 본질적으로 "특권적 또는 무능력하거나 구제불능"이다. (1998, 페이지 226)

반응성 분열(RD) 환자들의 경우, 데넷에 따르면, 우리의 통상적인 고통 개념의 이 두 가지 주요 기둥이 돌이킬 수 없는 갈등에 빠지게 된다. 완전히 정신을 차리고 개념적으로 유능한 RD 환자는 (a) 통증 경험을 하고 있으며, (b) 통증 경험이 전혀 아프지 않다고 진심으로 믿는다. (14)와 (a)를 주어, 환자는 물론 우리도 그녀가 고통스러운 고통 경험을 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는 주어진 (15)이 진실임을 보증하는 그녀의 믿음 (b)과 모순된다. 그래서 우리는 고통에 대한 모순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그 어떤 것도 고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본적으로 모순되는 성질을 가진 사물이나 사건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데넷은 또 고통이라는 평범한 관념이 (14)나 (15) 중 하나를 포기해도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통증은 보통 이해되듯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고통에 대한 데넷의 제거론이다.

데넷의 도전에 대응하는 한 가지 방법은 고통에 대한 상식적인 관념이 정말로 (14)와 (15)를 요구했다면, 그것은 그야말로 잘못된 것이었다(Kaufman 1985).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아무것도 고통이라는 평범한 개념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증 경험이 거의 항상 불쾌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사실, 비병리학적 경우 항상 불쾌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결함이 있는 발상을 비어 있어 경보를 유발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운 새로운 발상으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 - (14)는 '필수적으로'가 아닌 '보통'으로 읽힌다. (15)에 대해서도 유사한 회선을 운행할 수 있다.

또는 (14)와 (15)는 실제로 통증의 상식 개념의 일부가 아니라고 데넷에게 주장할 수 있다(Conee 1984, Kaufman 1985, Guirguis 1998). 실제로 우리가 RD 사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완전한 세부사항을 들었을 때, 고통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된다고 결론지을 경향은 없다. 오히려 그러한 경우에 우리는 통증 현상학이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즉, 캐주얼한 자기성찰에서 단순하고 동질적인 현상학으로 보이는 것은 밀접하고 훈련된 검사에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15)의 엄격한 판독에 도전한다). 그렇다면 RD 케이스가 보여주는 것은 어떤 경험이 고통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감정적인 측면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러한 결론은 반응적 분리가 발견되기 훨씬 전에 초기 자기성찰주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촉구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고통의 정체성이 그 감정적인 측면보다는 감각적인 측면과 일치한다는 것을 배운다(실제로 플로너의 1999년 사례 연구가 보여주는 것처럼 보인다). 놀랍지, 그래, 하지만 큰 개념적 혼란만큼 좋은 건 없어 그러나 데넷의 전체적인 요점은 어떤 경우에도 인정되어야 한다: 과학 발전의 결과로 개념적으로 수정되거나 버려질 수 있는 것의 한계는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것보다 집에 훨씬 더 가까이 있을 수 있다.

6.2 제거주의에 대한 기타 주장

발레리 하드캐슬은 저서 고통의 신화(1999년)에서 고통에 대한 상식적인 이해와 일상적인 고통담의 상당 부분을 없애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녀는 통증의 상식적인 개념은 고통을 어떠한 복잡함도 없는 단순한 주관적 감각으로 둔다고 주장한다. 하드캐슬에 따르면, 고통은 많은 비사교적인 차원으로 구성된 복잡한 현상이다. 위에서 논의한 두 가지 요소(감각-차별적, 감정-동작적)에 대해서는 멜잭과 월(1988) 등에 이어 인지적 요소(자발적 판단, 신념, 기억, 환경 인식, 환자 자신의 역사)를 덧붙인다. 하드캐슬은 이러한 요소들이 통증의 상식적인 개념에 의해 무시되는 정도까지 그것이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 더구나 그녀의 견해로는, 이러한 주관적인 고통의 감각을 고통의 본질로 삼는 것은 치명적인 실수다. 왜냐하면 그녀는 고통에 대한 생물학적으로 더 현실적인 객관적 이해가 우리의 과학적 목적과 고통에 대한 상식적인 이해에 훨씬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걸 따라야 해

제니퍼 콘스(2015년)는 고통에 대한 데넷과 하드캐슬의 제거주의를 비판적으로 논하며, 우리가 과학적 제거주의와 전통적인 제거주의(민속적 개념에 대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고통에 대한 과학적 제거주의가 자연적인 종류로 만들어지더라도(2012년 그녀의 모습 참조) 후자가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한 고통이라는 민속적 개념을 없애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뒤따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퀄리티아의 성격이나 겉으로 드러나는 경이로운 물체의 존재와 관련된 고통에 대해 제거주의자가 되는 다른 방법들이 있다. 일부 철학자들은 자격이나 경이로운 물체는 떠오르는 과학적 자연주의에 의해 수용될 수 없다고 느끼고, 우리가 철학적으로 상상하는 것처럼 그것들이 단순히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짓는 경향이 있다(Dennett 1988, Rey 1997). 이것은 특히, 일반적으로, 그리고 특히 고통에 대한 생생한 걱정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마치 우리가 자연 세계 질서의 일부가 될 수 없는 경이로운 물체와 마주친 것처럼 우리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이론이 제시된 어떤 이론도 순수하게 물리적 세계가 어떻게 고통, 간지럼, 가려움, 오르가즘 등을 포함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면, 한 가지 방법은 자연주의나 물리주의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의 문제들은 보다 일반적이며, 정신철학의 광범위한 우려와 관련이 있다.

 

7. 결론

고통의 과학, 특히 고통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혁명을 일으킨 멜작과 월의 출판(1965년)과 멜작과 케이시의 출판(1968년) 이후 일어난 일을 보면 고통의 과학은 점점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인식보다는 감정(aff)에 가까운 것으로서 고통을 잉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ective states) 먼저 감각/관능적 구별을 그리고 나서 점점 더 그것의 감정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검토는 Price 1999 참조) 고통은 주로 감정이라는 지속적인 논쟁은 Gustafson 2006을 참조하십시오. A.D. Craig 2003은 과학적 근거에 따라 고통은 가정적인 감정이라고 주장한다. 고통과 감정을 연결하는 과학적 근거는 또한 Chapman & Nakamura 1999와 Vogt 2005를 참조하십시오.) 우리가 보았던 것처럼, 철학계의 흐름은 아주 최근까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20세기 2부부터 자연주의가 정설이 되기 시작하면서 철학자들은 점점 더 고통을 비전, 오디션 등과 같은 평범한 인식에 동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왔다.

철학에서 고통에 대한 지각적/대표적 관점의 배후에 있는 주요한 동기 중 하나는 정보 수집의 한 종으로서의 인식이 전적으로 물리적인 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는 믿음(또는 희망)이다. 물론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장이다. 의식적으로 경이적인 경험을 하는 것처럼 수반되는 인식이 순수하게 물리적 현상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20] 그러나 이러한 이론가들 조차도 고통과 다른 직관적 신체 감각에 대한 이해를 지각적/표현적 용어로 추구하는 것이 타당한 이론적 전략이라는 데 동의할 수 있다. 이 전략은 효과가 있다면 정신 현상의 다양성을 최소화하여 잠재적으로 보다 통일된 정신 이론의 전망을 제시한다. 만약 이 이론이 우리 과학의 나머지 부분과 그들의 기본적인 형이상학적, 방법론적 가정과 조화를 이룬 것으로 판명된다면, 훨씬 더 좋은 것이다. 실제로 많은 철학자들이 고통의 지각/표현적 이론을 진보하게 만든 것은 결국 이 전략의 타당성과 순수 자연주의적인 용어로 인식의 이해에 성공할 것이라는 믿음이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은 철학이 지난 세기 후반기에 지각과 정신에 대한 보다 자연주의적인 이해(예: 정신 표현과 그 (광범위한) 계산 처리의 개념적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다고 믿는다.

그러나 고통을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해하는 과학적인 경향은 인식보다는 유해한 자극에 대한 상당히 가변적인 연관성을 가진 감정에 더 가까운 것이 철학적 프로젝트를 저해하는 것일까? 간단한 대답은 없다. 다른 표준적 인식과 마찬가지로 고통은 엄연히 인식에 불과하다는 강력한 주장을 하는 것으로 지각/대표적 이론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그렇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만일 우리가 그들의 주장을 특정한 방식으로 이해한 인식의 어떤 형태를 수반한다는 효과(지각론자들이 초점에서 주장과 같은 그들의 견해에 반하는 다른 주장에 대해 대답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에 대해 약한 의미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아니오"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고통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 그 자체로 고통은 감각적 지각과 전혀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 같다. 오히려 지난 50여 년 동안 고통의 과학이 발굴했듯이 말초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순간부터 척수와 뇌에서 이러한 신호의 중앙처리까지 유해한 자극을 처리하는 비교적 전문화된 시스템이 존재한다.

만약 우리가 고통을 느끼는 것이 감각적 지각과 관련되지만 이것이 대부분 그것의 감정적 차원 때문에 그것의 본질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효과에 대해 약한 주장을 한다면, 우리는 여전히 그것의 감정적 측면에 대해 기능주의자(또는, 오동작주의자)에게 설명함으로써 고통에 대한 자연주의적 관점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고통의sensory-discriminative 면 아마도 정서적인 측면 representationally,[21]처리할 수 있는데 이 제안에 따르면에 오는 길로 줄어든다.sensory-discriminative 정보, 그 분석은 자극의에서 근처 또는 말초부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아닌 것이 아니라, signifi를 위해서 가공된다.이펙터 또는 모터 시스템뿐만 아니라 학습을 취소하여 자극의 정보 내용에 기초하여 행동에 대한 학습 및 동기 매개 변수를 설정하십시오. 서로 다른 발달 계층의 서로 다른 유기체의 진화 이야기에는 사실 그러한 논문에 대한 강력한 뒷받침 증거가 있다. 감정적 뇌에 대한 신경과학적 증거 또한 일반적으로 이 생각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22]

이것은 고통을 약한 대표성과 기능적 상태 둘 다로 취급하는 견해다. 그러한 견해는 여전히 우리가 보아온 초점 문제에 대한 좋은 답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모든 지각적/표현주의적 견해들을 괴롭힌다. 왜 개념 적용이나 개념 분류의 초점에 비대칭이 있는가? 고통이 부정적인 영향을 깊이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는 것은, 우리가 이 영향이 무엇에 포함되는지 충분한 설명을 가지고 있을 때 조차도 완전히 적절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이것들은 고통에 대한 적절한 지각적 설명이 만족스러운 대답을 제공해야 하는 주요 질문들이다. 따라서 지난 50여 년 동안 고통에 대한 우리의 철학적, 과학적 이해의 현저한 진보에도 불구하고, 통증에 대한 완전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다.

고통에 대한 과학적인 질문뿐만 아니라 다른 철학적인 질문들도 있다. 동물들은 고통을 느끼는가? 만약 그렇다면, 우리가 고통을 느끼는 방식과 비교가 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의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종교적 의미는 무엇인가? 어떻게 동물의 고통을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동물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방법론과 특히 동물의 고통에 대한 방법론은 무엇이 되어야 한다. 동물에 대한 통증 연구로 얻은 결과를 어떻게 인간에게 투영할 수 있는가? 태아와 어린 유아의 경우, 명백한 이유로 더욱 긴박하고 긴급한 경우 평행하거나 유사한 질문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고통과 쾌락, 또는 고통과 감정의 관계는 무엇인가? 고통의 윤리적 종교적 의미와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들과 많은 다른 질문들은 그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 (이 질문들을 다루는 문헌들은 거대하고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대표작들은 아래의 기타 인터넷 자원 섹션에서 인용한 고통에 관한 출판물의 참고 문헌을 참조하라.)

참고 문헌 목록

아디스, L, 1986. "인명과 다른 2차 정신 실체," 철학 및 현상학 연구, 47(1): 59–74.

1962년, D. M. 암스트롱. 런던: Routrege와 Kegan Paul.

–––, 1964. "신체감각에 대한 Vessey on Soderal Sensis," 호주 철학 저널, 42: 247–248.

–––, 1968. 뉴욕, 마음의 물질주의 이론: 인문학 출판사.

아우네, B, 1967년. 지식, 마음 및 자연: 뉴욕의 지식 이론과 정신 철학 소개: 랜덤 하우스.

아예데, M, 2009. "고통을 느끼는 것이 무언가에 대한 인식인가?" 철학 저널, 106(10): 531–67.

–––, 2017a. "고통의 IASP 정의 정의 정의" 100(4): 439–464.

–––, 2017b. "고통: 지각일까, 내성일까?" 고통의 철학 책자, J. 콘스 (ed.), 런던: 루틀리지.

–––, 2019. "통증의 경험은 투명한가? 놀라운 특성" 신디멘스, 196: 677–708.

아예데, M., M. 풀커슨, 2014년 "Affect: 대표론자들의 두통," 철학 연구 170(2): 175–198.

–––, 2019. 데이비드 베인, 마이클 브래디 & 제니퍼 콘스(eds), 고통의 철학: 불쾌함, 감정, 일탈, 루틀리지에서 "감각적 영향의 이유와 이론"을 다룬다.

아예데, M.와 G. Güzeldere, 2005. "인지적 아키텍처, 개념 및 내성: 경이로운 의식 문제에 대한 정보-이론적 해결책," Noûs, 39(2): 197–255.

바이얼, K, 1964년 「고통의 장소」 「철학적 분기」 14(55) : 138–150.

베인, D, 2003. "의도주의와 고통," 철학적 분기, 53 (213): 502–522.

–––, 2007. "고통의 위치", 철학 논문 36(2): 171–205.

–––, 2011. "고통의 절실한 관점," 18: 164–185의 의식 연구 저널.

–––, 2013. "무엇이 고통을 불쾌하게 하는가?" 철학 연구 (보조), 166: 69–89.

–––, 2017. "왜 진통제를 복용하는가?" Noûs, 2017년 9월 19일 첫 온라인. doi:10.111/nous.1228

T.X. 이발사, 1963년 "고통증에 대한 '고혈압'의 영향: 실험 및 임상 소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신의학, 25: 303–333.

–––, 1959. "고통설을 제기하라. 전전두엽 절제술, 아편, 위약, 최면술에 의한 만성 통증 완화" 심리학 회보, 56: 430–460.

백스터, D. W., J. 올체프스키, 1960. "의회적 보편적 고통 불감증" 브레인, 83: 381–393.

버리지, K. C. 1999. "쾌락, 고통, 욕망, 두려움은 다음과 같다. 감정의 핵심 과정 숨김" 웰빙: 쾌락심리학의 근간, D. Kahneman, E. Diener, N. 슈바르츠 (eds.) , 뉴욕: 러셀 세이지 재단: 525–557.

베니어, M. L., S. E. 스타크슈타인, R. 레이구아르다, 1988년 "아름다운 아첨볼리아: 감각-림프 분리 증후군,"신경학 연보, 24:41–49.

베스티어, M. L., S. E. 스타크슈타인, M. A. 노게스와 R. G. 로빈슨, 1990. "통증 무증상 환자의 양면 감각 발작" 27(1) : 109.

블록, N, 1996. "멘탈 페인트와 멘탈 라텍스", 철학 문제, 7: 19–49.

–––, 2006. "표현주의의 장애물로써 건전한 감각," 고통: 그것의 본질과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보그, 엠마, 리처드 해리슨, 제임스 스타지커, 팀 살로몬스가 곧 올 것이다. "통증의 민간개념은 다원적 개념인가?" Mind and Language, 2019년 2월 3일 첫 온라인. doi:10.111/mila.1227

부쿰스, A. J. 1994. 고통의 교과서, P. D. Wall and R.에서 "통증을 위한 림프절 수술". 멜잭(에드), 에든버러: 처칠 리빙스턴, 1171-87.

브랜드, P. W., P. 옌시, 1993년 고통: 아무도 원하지 않는 선물, 뉴욕: 하퍼 콜린스 출판사.

1959년 C.D. 브로드. 사이언티픽 사상, 패터슨, NJ: 리틀필드 아담스.

번, A, 2001. "의도주의 방어", 철학 리뷰 110(2): 199–240.

카루더스, 2000년 P. 경이로운 의식: 자연주의 이론,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찰머스, D. J. 1996년 의식: 근본 이론을 찾아서, 뉴욕: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채프먼, C. R., Y. 나카무라, 1999년 "영혼의 열정: 의식 연구자를 위한 고통에 대한 소개," 의식과 인식, 8: 391–422.

치솔름, R. M. 1957. 인지: 철학적 연구, 이타카: 코넬 대학 출판부.

–––, 1987. "브렌타노의 쾌락과 고통의 이론," 토포이 6:59–64.

클라크, A, 2006. 고통: 그 본질과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에서 "고통함은 수레가 아니다.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코번, R. C., 1966. "인원과 공간," 철학 저널 63(13): 381–396.

코니, E, 1984년 "고통의 방어," 철학 연구, 46: 239–248.

콘스, J, 2012년 "고통은 자연적인 종류가 아니다"라고 박사학위는 말했다. 논문, 뉴욕 시립대학.

–––, 2013. "통증의 단일 특성화의 불충분", 철학 연구, 169 (3): 355–78.

–––, 2014. "기분없음, 동기부여, 고통스러움," 마음과 언어, 29(2): 238–54.

–––, 2015. "고통주의: 과학적이고 전통적인," 신디사이즈, 193(9): 2949–2971.

––– (에드), 2017년. 런던, 고통 철학 교본: 루틀리지

–––, 2018. "최근 고통에 대한 작업," 분석, 78(4): 737–53.

2003년 A.D. 크레이그, 2003. "동향적 감정으로서의 고통의 새로운 이론," 신경과학의 경향, 26: 303–307.

커터, B, 2017년 J. Corns (편집) , London: Routrege of Pain의 철학의 Routrege 핸드북에 실린 "고통과 표현"

Cutter, B, Tye, M, 2011. "추적 대표주의와 고통의 고통" 철학 문제, 21(1): 90–109.

–––, 2014. "근거와 이유: 메신저를 죽이는 것이 합리적인 이유," 철학계 분기별, 64년(256년): 423-33.

데이비드슨, 1980년 D. 액션과 이벤트에 관한 에세이, 옥스포드, 뉴욕: 클라렌던 프레스.

데넷, D. C. 1978년 D에서 "고통을 느끼는 컴퓨터를 만들 수 없는 이유" 데넷, 브레인스톰, 캠브리지, MA: MIT 프레스.

–––, 1988. 현대 과학의 의식의 "Quining Qualia" A. 마르셀과 E. 비시아치(eds),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데빈스키, 오, M. J. 모렐, B. A. 보그트, 1995. 뇌, 118(1) : 279–306.

동, W. K, E. H. 처들러, K. 스기야마와 V. J. 로버츠, 1994. 신경생리학 저널(Journal of Neurophysiology, 72(2): 542–564.

더글러스, G, 1998년 철학적 연구 91(2): 127–148.

드레스케, 1981년 F. 지식과 정보의 흐름, 캠브리지, MA: MIT 프레스

–––, 1988. 동작 설명: Cambridge: MIT Press.

–––, 1995.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의 마인드 귀화.

–––, 1999. "자신에 대한 마음의 인식," 철학 연구 95(1–2): 103–124.

–––, 2003. 특권 액세스: "당신이 좀비가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자기지식에 대한 철학적 설명, B. 거틀러(에드), 햄프셔: 애쉬게이트 출판사.

–––, 2006. 고통의 인식론: 고통의 본질과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1952년 C.J. 두카세. P. A. Schilpp(에드), 뉴욕: "모어의 이상주의 반박" 튜더

던커, K, 1941년 "즐거움, 감정, 그리고 노력" 철학 및 현상학 연구, 1: 391–430.

1988년, 에버릿 "고통과 인식", 아리스토텔레스 협회, 89:113–124.

필즈, H. L., 1999. "고통: 불쾌한 주제," 고통 (보조), 6: 61–69.

플레밍, 1976년 "통증의 객관성" 마인드, 85(340): 522–541.

포도르, J, 1987년 정신감정학: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마음의 철학에서 의미에 관한 문제

폴츠, E. L., E. W. 화이트, 1962a. 국제 신경학 저널 6: 353–373 '통증' 완화에서 로스트랄 뇌척수막절개술의 역할

–––, 1962b. 신경외과 저널, 19:89–100

포스터, J, 2000년 인식의 본질,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프리먼, W.와트, J. W.와트, 1950. 정신 외과, 정신 질환과 난치성 고통을 치료하는 데 있어, 스프링필드, 일리노이주: 찰스.

–––, 1946. "전두엽절개술로 인한 유기질병 완화", 왕립의학회의회, 39:44–447.

프리먼, W, J. W. 와트, T. 헌트, 1942년 정신수술; 정신장애를 위한 전두엽절제술에 따른 지능, 감정, 사회적 행동, 스프링필드, IL: C. 토마스.

그레이슬리, R. H, R. 더블너, P. A. 맥그래스, 1979. "나르코틱 항게시아: Fentanyl은 강도를 낮추지만 고통스러운 치아 펄프 감각의 불쾌감은 줄이지 않는다." Science, 203: 1261–63.

그레이엄, G., G. L. 스티븐스, 1985년 "Qualia는 기능주의자들에게 골칫거리인가?" 아메리칸 철학적 분기별, 22: 73–80.

그렉, 1991년. "통증의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측면," 철학 심리학, 4: 249–266.

–––, 2007. MA: ME: ME: MEAT Press; 덴마크 올덴부르크, BIS-Verlag, Oldengurg 대학교, 2001.

1962년 그리스, H. P. 분석철학 R. J. 버틀러(ed.), 옥스퍼드: 블랙웰: 133–151페이지.

1998년 M. M. Guirguis. "로보토이드 관절염 또는 인간이 고통을 느끼는 방법," 철학적 글, 7: 3–12.

2006년 구스타프슨 D. 고통의 범주화: 고통의 본질과 그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홀, R. J. 1989. "통증은 반드시 불쾌한가?", 철학 및 현상학 연구, 49(4): 643–659.

–––, 2008. 호주 철학 저널, 86(4): 525–535.

Hardcastle, V. G. 1997. "고통이 아닐 때" 94(8): 381–409.

–––, 1999. 고통의 신화, 캠브리지, MA: MIT 프레스

하디, J. D., H. J. 울프, H. 구델, 1952. 볼티모어의 Pain Sensions and Reactions: 윌리엄스와 윌킨스.

하만, G, 1990. "경험의 본질적 질," 철학적 관점, 4: 31–52.

조타실, 2001년 감성적 이유: 숙고, 동기부여, 그리고 가치관의 본질, 캠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2002. "Feelt Evaluation: 즐거움과 고통의 이론," American Tychical Quarternal, 39(1): 13–30.

2004년 힐, C. Higher Order Consuments of Conception, J. Gennaro(에드), 암스테르담: 존 벤자민: 339–362.

––, 2006. "아! 고통의 역설" in Pain: 그 본질에 대한 새로운 에세이 및 연구 방법론,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 2009. 의식,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2012. "Qualia를 배치한다. 그들은 뇌에 살고 있을까, 몸과 세계에 살고 있을까?" 유형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 정신적, 육체적, 힐 크리스토퍼 & 고자노 시몬 (eds),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2017. "통증의 익숙한 개념의 오류선," 고통의 철학 책자 J. Corns (ed.), 런던: Routrege.

홀보로, 1966년 L. C. "Taylor on Pain Location," The Tylical Quarternal, 16 (63) : 151–158.

–––, 1969. "프로젝팅 통증 반대", 분석, 29: 105–108.

홀리, W. J. 1986. "통증의 공간 좌표" "철학적 분기별 36(144): 343–356.

허튼, 1974년, R. W.와 H. T. 발란티네 "지속적인 고통을 위한 강전측 응결 병변: 68건에 대한 보고서," 임상 신경외과, 21: 334–351.

하이먼, J, 2003년 "고통과 장소", 철학, 73(1): 5-24.

IASP, 1986. "통증 용어: 통증에 대한 정의와 참고 사항이 있는 목록", 통증(보조), 3: 216–21.

IASP(Task Force on Taxonomy), 1994. "IASP 통증 용어", 만성 통증 분류: 만성 통증 증후군 및 통증 용어의 정의, H. 메르스키와 N. 복덕(eds.), 시애틀: IASP 프레스: 209–214.

IASP, 2011. IASP 1994의 Web Edition "IASP 용어".

잭슨, F, 1975년 "시각적 경험의 부사적 분석" 은유법, 6: 127–135.

–––, 1976. "정신적 사물의 존재", 미국 철학 분기 13: 33–40; 지각 지식, 조나단 댄시(편집), 옥스포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88 페이지 113–126; The Nature of Mind, David M. 로젠탈(에드),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1 페이지 385–391.

–––, 1977. 인식: 케임브리지의 대표적인 이론: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1982. "Epiphenomal Qualia," The Tylical Quarternal, 32 (127): 127–136.

–––, 1986. "What Mary Didn't Know," The Journal of 철학 저널, 83(5): 291–295.

–––, 1998. "마인드, 방법 및 조건: 선별된 에세이," 국제 철학 학술지, 8(2): 259–261.

제이콥슨, H, 2013년 "메신저 죽이기: 대표주의와 고통의 고통" "철학적 분기별, 63 (252): 509–19.

–––, 2018. "메신저뿐만 아니라: "Tho Attorative-표현적 고통의 이론"에 대하여" 철학 및 현상학 연구, 2018년 2월 23일 첫 온라인. doi: 10.111/phr.123

카우프만, 1985년 "통증의 개념은 모순인가?" 남부 철학 저널, 23: 279–284.

클라인, C, 2007년 "고통의 필수 이론," 철학 저널 104(10) : 517~532.

–––, 2015. 본문 명령어: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고통의 명령론

–––, 2017. "임페라티즘" J. Corns (ed.), 런던: Routredge (Routready of Pain)의 "Routreditism".

1996년, C. M. 코르스가르드. 케임브리지의 노르마티성 출처: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크라우트, R, 1982년 "감각 상태 및 감각 대상," 노이즈, 16(2): 277–293.

크립케, S. A. 1980. 이름과 필요성, 캠브리지, MA: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95년, H, Langsam. "왜 고통은 정신적 대상인가" 92(6): 303–313.

레크네스, S, 아이린 트레이시 2008년 "통증과 쾌락을 위한 공통 신경생물학" Nature Reviews Neuro Science, 9: 314–320.

Lycan, W. G. 1987a. 의식, 케임브리지, MA: MIT 프레스.

----, 1987b. "훈민적인 사물: 백핸드 디펜스," 철학적 관점, 3: 513–526.

1976년 J.J. 마골리스. "고통과 인식," 국제 철학 연구, 8: 3–12.

1892년, H. R. 마샬. "쾌락-고통과 센세이션", 철학 리뷰 1(6): 625–648.

–––, 1894a. 고통, 즐거움 및 미학: 런던과 뉴욕의 고통과 쾌락의 심리에 관한 에세이: 맥밀런

–––, 1894b. "쾌락-고통" 마인드, 3(12): 533–535.

마티네즈, M, 2011년 현상학과 인지과학, 10(1): 67–90.

2003년 Maund, B, 2003. 지각, 체샴: 라고 하였습니다.

–––, 2006. 고통에서 "통증과 대표성 내용에 대한 차이": 그 성격과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메이베리, T. C. 1978년 "통증의 지각 이론," 철학적 조사, 1: 31–40.

–––, 1979. "통증의 지각 이론: 또 다른 모습," 철학적 조사, 2: 53–55.

맥켄지, J. C. 1968년 "통증의 외부화", 분석, 28: 189–193.

맥머레이, G. A. 1955년 캐나다 심리학 저널 9(2): 121–131.

–––, 1975. "통증과 선천적인 보편적 고통 불감증의 이론" 캐나다 심리학 저널 29(4): 302–315.

1973년 멜잭, R. 고통의 퍼즐, 뉴욕: 베이직 북스

멜잭, R. K. L. 케이시 1968년 "감각적, 동기적, 중앙통제적 고통 결정인자: 새로운 개념적 모델"은 피부 감각, D. 켄살로(에드), 스프링필드: 찰스 C. 토마스: 223 대 43.

1965년 멜잭, R., P. D. Wall. "고통 메커니즘: 새로운 이론" 과학, 150 (3699) : 971–979.

–––, 1988. 뉴욕, 런던, 고통의 도전: 펭귄 북스

1984년, R. G. 밀리칸. 언어, 생각 및 기타 생물학적 범주: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리얼리즘을 위한 새로운 재단.

무어, G. E. 1903년 "이상주의의 반박," 마인드, 12: 433–53.

–––, 1939. "외부의 세계 증명," 영국 학술원 의사록, 25: 273–300.

넬킨, 1986년 Pains and Pain Sensises, Journal of 철학, 83(3): 129–148.

–––, 1994. "고통을 다시 고려하라", 철학심리학, 7(3): 325–343.

뉴턴, 1989년 "고통을 이차적인 품질로 보는 것에 대하여," 노이즈, 23(5): 569–598.

노오르드호프, 2001년 "통증 중" 분석, 61(2): 95–97.

–––, 2002. "More in Pain," 분석, 62(2): 153–154.

–––, 2006. 고통의 상태에서: 고통의 본질과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아예데(에드). 캠브리지, MA, 브래드포드 북, MIT 프레스

오설리반, B., R. 슈뢰어, 2012년 "고통스러운 이유: 고통의 이론으로서의 대표주의," 철학적 분기별, 62: 737–758.

올리비에, 2006년 "고통의 공간성," 남아프리카 철학 저널 25(4): 336–349.

1987년 파피나우 D. 현실과 표현, 런던: 바질 블랙웰.

1984년 파피트 D. 이유와 사람,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파우츠, A, 2010년 "의식 이론은 실수에 안주하는가?" 철학 문제, 20: 333–67.

퍼킨스, M, 1983년 세계를 감지하는 인디애나폴리스: 해켓.

–––, 2006. 고통의 간접적 현실성, 고통의 인식에 대한 대표적 설명: 고통의 본질과 그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투수 G, 1969. "Mckenzie on Pains," 분석, 29: 103–105.

–––, 1970. "고통 인식", 철학 리뷰, 79(3): 368–393.

–––, 1971. 인식론, 프린스턴, NJ: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 1978. "통증의 지각 이론: 토마스 메이베리의 '통증의 지각 이론'에 대한 반응," 철학적 조사, 1: 44–46.

Ploner, M, H. J. Freund 그리고 A. 슈니츨러, 1999년 "Pain Impact with a Postcentral Lesion(중심부 병변 후 환자의 통증 감각 없이 통증에 영향을 미침)" Pain, 81(1/2): 211–214.

1988년 D.D. 프라이스. 고통의 심리적, 신경학적 메커니즘, 뉴욕: 래븐 프레스

–––, 1999. 시애틀의 통증 및 진통제의 심리적 메커니즘: IASP 프레스.

–––, 2000. 과학, 288(9): 1769–72.

–––, 2002. "감각과 고통의 영향 치수를 상호 연관시키는 중추 신경 메커니즘," 분자 개입, 2: 392–403.

–––, 2017. J. Corns(에드), London: Routrege의 고통철학 핸드북에 실린 "감각, 의미, 감정에 기초한 고통의 관점"

가격, H. H., 1950. 지각, 런던: 메수엔.

Rainville, P, B. Carrier, R. K. Hofbauer, M. C. Bushnell, G. H. Duncan, 1999. "최면적 변조를 이용한 고통의 감각적 및 감정적 차원의 분리," 82(2): 159–171.

Rainville, P. G. H. D. Price, B. C. B. C. Bushnell, 1997. 과학, 277 (5328): 968–971: "인간 전위 정맥류로 인코딩된 통증 영향(Science, 277 (5328): 968–971.

레이, G, 1997년 현대철학: 만족스럽게 고전적인 접근법, 캠브리지, MA: 바질 블랙웰.

로빈슨, H, 1982. Matter and Sense: A Critical of Contemporary Materialism, A Critical of Contemporary Materialis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94. 지각, 런던, 뉴욕: 루틀리지.

루빈스, J. L., E. D. 1948년 프리드먼 "통증을 위한 심볼리아," 신경과 정신의학 기록 보관소, 60: 554–73.

러셀, 1912년 런던 철학의 문제점: 윌리엄스와 노게이트.

시거, W. 2002. "감정적 자기성찰", 의식과 인식, 11(4): 666–687.

1975년 Sellars, W. "감각의 대상들에 대한 부사 이론," 은유법, 6: 144–160.

Stephens, G. L. and G. G. Graham, 1987. "P와 Q: 고통과 분별력 있는 특성" 노이즈, 21(3): 395–405.

스턴바흐, R. A., 1963. "의회적 고통 불감증: 비평," 심리학 회보, 60(3): 252–264.

1965년 테일러, D. M. "통증의 위치" "철학적 분기별, 15(58): 53–62.

–––, 1966. "고통의 위치: 홀보로우 씨에게의 회신," 철학적 분기, 16 (65): 359–360.

티, 엠, 1984a "시각적 경험에 대한 부사적 접근", 철학 리뷰, 93(2): 195–225.

–––, 1984b. "고통과 부사론", American Tylical Quarternal, 21: 319–328.

–––, 1996a. 의식의 10가지 문제: 케임브리지, MA: MIT 출판사의 경이로운 정신의 대표 이론.

–––, 1996b. "Orgasms Again", 철학 문제 7: 51–54.

–––, 1997. 의식의 본질에서 "고통과 그 경이로운 성격에 대한 대표론": 철학적 논쟁, N. Block, O. Flanagan and G. Güzeldere(에드), 캠브리지, MA: MIT 프레스.

–––, 2002. "통증의 위치에 대하여," 분석, 62(2): 150–153.

––, 2006a. 고통에 대한 또 다른 표현주의 보기: 고통의 본질과 그 연구의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 2006b. "대표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논평에 응답하라"는 제목의 고통: 그것의 본질과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에세이, M. MA: MIT 프레스, 캠브리지, Ayede (ed.), MA: MIT 프레스.

Vessey, G. N. A., 1964a. "신체감각에 대한 암스트롱", 철학, 39: 177–181.

––, 1964b. "Bodily Sensions," 호주 철학 저널 42: 232–247.

–––, 1965. "고통스러운 장소 위의 베지에 대한 배달", "철학적 분기" 15(58): 63–64.

–––, 1967. "신체감각의 위치에 있는 마골리스," 분석, 27: 174–176.

빌라누에바, E. (에드), 1996. 인식(철학적 문제: 제7권), 아타스카데로, CA: 리지뷰.

보그트, B. A. 2005. Nature Reviews 6: 533–544 신경과학 "Cingulate Gyrus의 하위 영역에서의 고통과 감정 상호작용"

와인스타인, E. A., R. L. 칸, W. H. 슬레이트, 1995. H. Slate, 1995. 신경과 정신의학 기록 보관소 74(3): 235–248.

White, J. C., W. H. Sweet, 1969. 고통과 신경외과 의사: 스프링필드, IL: 찰스 C. 토마스.

화이트, S. L. 1986. "Qualia의 저주," 68: 333–367.

윌크스, K. V. 1977. 영국 런던의 물리주의: 루틀리지.

윌러, T, 2005년 "삶의 고통의 장소," 철학, 8(3): 385–393.

 

아예데, M. 2017년 "콜린 클라인의 신체 명령 중요 공지: 고통의 명령론" (MIT 2015)은 2017년 1월 4일 볼티모어 동부 APA 디비전 회의에서 클라인의 책에 대한 저자-미트-비평가 세션의 프레젠테이션이다.

필페이퍼의 고통과 즐거움. 데이비드 샬머스(ANU)와 데이비드 버겟(U. London)이 유지하고 있는 학술 철학자들의 온라인 철학 기사와 서적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종합 디렉토리다윗 샬머스(ANU)와 데이비드 버겟(U. London)이 관리하고 있다.

 

무라트 아이덴데(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가 관리하는 Pain 서지학(약 340명 출품). 이것은 통증에 관한 철학적 문헌을 나열한 일부 주석이 달린 서지학이다. 그것은 또한 철학자들에게 특히 관심이 있거나 일반 대중들에게 유용한 몇몇 과학 작품들을 나열한다. 미적, 윤리적, 종교적 문제보다는 심리학적, 인식론적, 형이상학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국제 통증 연구 협회(IASP)

IASP 고충 용어

캐나다 통증학회(CPS)

유럽 통증 연방(UPF)

관련 항목

의식: 및 의도성 의식: 의 대표 이론 감정 정신적 내용: 의 인과 이론 정신적 내용: 비개념적 인식: 의 인식론적 문제 인식: 의 내용 인식: 의 문제 쾌락 qualia 감지 데이터

 

Copyright ©

무라트 아이덴데 <메이덴데마일루브카@..>

 

원문

This apparent paradox i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philosophers are especially interested in pain.

   이 명백한 역설은 철학자가 고통에 특히 관심이 있는 주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