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법철학

Philosophy of law

by 이덕휴-dhleepaul 2021. 2. 3.

 

Philosophy of law법철학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무료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에서

Jump to navigation네비게이션으로 이동Jump to search검색으로 이동

Branch of philosophy examining the nature of law법의 본질을 살피는 철학의 분과

Philosophy철학Branches나뭇가지Periods기간Traditions전통Literature문학Philosophers철학자ListsListsMiscellaneous 잡다한

Part of a series on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Traditions by region지역별 전통

Traditions by school학교별 전통

Traditions by religion종교별 전통

Philosophy portal철학포털
.mw-parser-output .navbar{display:inline;font-size:88%;font-weight:normal}.mw-parser-output .navbar-collapse{float:left;text-align:left}.mw-parser-output .navbar-boxtext{word-spacing:0}.mw-parser-output .navbar ul{display:inline-block;white-space:nowrap;line-height:inherit}.mw-parser-output .navbar-brackets::before{margin-right:-0.125em;content:"[ "}.mw-parser-output .navbar-brackets::after{margin-left:-0.125em;content:" ]"}.mw-parser-output .navbar li{word-spacing:-0.125em}.mw-parser-output .navbar-mini abbr{font-variant:small-caps;border-bottom:none;text-decoration:none;cursor:inherit}.mw-parser-output .navbar-ct-full{font-size:114%;margin:0 7em}.mw-parser-output .navbar-ct-mini{font-size:114%;margin:0 4em}.mw-parser-output .infobox .navbar{font-size:100%}.mw-parser-output .navbox .navbar{display:block;font-size:100%}.mw-parser-output .navbox-title .navbar{float:left;text-align:left;margin-right:0.5em}

Philosophy of law is a branch of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nature of law and law's relationship to other systems of norms, especially ethics and political philosophy.[1][2]법철학은 다른 규범 체계, 특히 윤리정치철학과법과 법과의 관계의 본질을 살피는 철학의 한 분야다.[1][2] It asks questions like "What is law?", "What are the criteria for legal validity?",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morality?" '법이란 무엇인가' '법적 타당성의 기준은 무엇인가' '법과 도덕의 관계는 무엇인가' 등의 질문을 던진다. Philosophy of law and jurisprudence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ough jurisprudence sometimes encompasses forms of reasoning that fit into economics or sociology.[3][4] 법학과 법학은 종종 서로 교환해서 쓰이지만, 법학은 때때로 경제학과 사회학에 맞는 추리의 형태를 포함한다.[3][4]

Philosophy of law can be sub-divided into analytical jurisprudence and normative jurisprudence.[5]법철학은 분석적 법학성과 규범적 법학으로 세분될 수 있다.[5] Analytical jurisprudence aims to define what law is and what it is not by identifying law's essential features. 분석법률학은 법의 본질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법이 무엇이고 무엇이 아닌지를 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ormative jurisprudence investigates both the non-legal norms that shape law and the legal norms that are generated by law and guide human action.[5] 규범적 법학은 법을 형성하는 비법률적 규범과 법률에 의해 생성되는 법률적 규범을 모두 조사하고 인간의 행동을 인도한다.[5]

Contents내용물

Analytical jurisprudence분석법률학[[edit편집]]

Analytical jurisprudence seeks to provide a general account of the nature of law through the tools of conceptual analysis.분석법률학은 개념 분석의 도구를 통해 법의 본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려고 한다. The account is general in the sense of targeting universal features of law that hold at all times and places.[6] 그 계정은 항상 그리고 장소에 존재하는 법의 보편적 특징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이다.[6] Whereas lawyers are interested in what the law is on a specific issue in a specific jurisdiction, philosophers of law are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features of law shared across cultures, times, and places. 변호사들은 특정 관할구역의 특정 문제에 관한 법률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있는 반면, 법철학자들은 문화, 시간, 장소에 걸쳐 공유되는 법률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관심이 있다. Taken together, these foundational features of law offer the kind of universal definition philosophers are after. 종합하면, 이러한 법의 근본적 특징들은 철학자들이 추구하는 보편적 정의의 종류를 제공한다. The general approach allows philosophers to ask questions about, for example, what separates law from morality, politics, or practical reason.[6] 일반적인 접근법은 철학자들이 예를 들어 법과 도덕, 정치, 또는 실용적인 이성을 구분하는 것에 대해 질문할 수 있도록 한다.[6] Often, scholars in the field presume that law has a unique set of features that separate it from other phenomena, though not all share the presumption. 종종, 이 분야의 학자들은 모든 것이 그 가정을 공유하지는 않지만, 법이 다른 현상과 그것을 구분하는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고 추측한다.

While the field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giving an account of law's nature, some scholars have begun to examine the nature of domains within law, e.g. tort law, contract law, or criminal law.전통적으로 이 분야가 법의 본질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춰온 반면, 일부 학자들은 불법행위법, 계약법, 형법 등과 같은 법 내 영역의 성격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These scholars focus on what makes certain domains of law distinctive and how one domain differs from another. 이들 학자들은 어떤 법률의 특정 영역을 차별화하는 것과 어떤 영역이 다른 영역과 어떻게 다른지에 초점을 맞춘다. A particularly fecund area of research has been the distinction between tort law and criminal law, which more generally bears on the difference between civil and criminal law.[7] 특히 많은 연구분야는 불법행위법과 형법의 구별인데, 이는 민법과 형법의 차이에 더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7]

Several schools of thought have developed around the nature of law, the most influential of which are: 여러 사상의 학파들이 법의 본질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며, 그 중 가장 영향력이 큰 학파는 다음과 같다.

  • Natural law theory, which asserts that law is inherent in nature and constitutive of morality, at least in part.[8]자연법칙 이론은 법이 본성과 도덕의 구성성에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하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렇다.[8] On this view, while legislators can enact and even successfully enforce immoral laws, such laws are legally invalid. 이런 관점에서, 입법자들은 부도덕한 법을 제정하고 심지어 성공적으로 집행할 수 있지만, 그러한 법은 법적으로 무효다. The view is captured by the maxim: an unjust law is not a true law, where 'unjust' means 'contrary to the natural law.' 그 견해는 격언에 의해 포착된다: 부당한 법은 진정한 법이 아니며, 여기서 '불공정한'은 '자연법에 반대한다'는 뜻이다. Natural law theory has medieval origins in the philosophy of Thomas Aquinas. 자연법 이론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에서 중세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 In late 20th century, John Finnis revived interest in the theory and provided a modern reworking of it.[9] 20세기 후반, 존 피니스는 그 이론에 대한 흥미를 되살려 현대적인 재작업을 제공했다.[9]
  • Legal positivism, which is the view that law depends primarily on social facts.[10]법률적 실증주의, 그것은 법이 주로 사회적 사실에 의존한다는 견해다.[10] Legal positivism has traditionally been associated with three doctrines: the pedigree thesis, the separability thesis, and the discretion thesis.[2] 법률 실증주의는 전통적으로 혈통논문, 분리 가능성논문, 재량논문 등 세 가지 교리와 연관되어 왔다.[2] The pedigree thesis says that the right way to determine whether a directive is law is to look at the directive's source. 혈통 논문은 지시가 법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올바른 방법은 지시의 근원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말한다. The thesis claims that it is the fact that the directive was issued by the proper official within a legitimate government, for example, that determines the directive's legal validity—not the directive's moral or practical merits. 논문은 지시의 도덕적 또는 실질적인 장점이 아니라, 예를 들어 지시의 법적 타당성을 결정하는 것은 적법한 정부 내의 적절한 공직자에 의해 지령이 내려졌다는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The separability thesis states that law is conceptually distinct from morality.[2] 분리 가능성 논문은 법은 개념적으로 도덕과 구별된다고 말한다.[2] While law might contain morality, the separability thesis states that "it is in no sense a necessary truth that laws reproduce or satisfy certain demands of morality, though in fact they have often done so."[11] 법에는 도덕성이 포함될 수 있지만, 분리 가능성 논문은 "사실상 법이 도덕의 특정 요구를 재생산하거나 충족시키는 것은 결코 필요한 진리가 아니다"라고 말한다.[11] Legal positivists disagree about the extent of the separability thesis. 법률 실증주의자들은 분리 가능성 논문의 범위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Exclusive legal positivists, notably Joseph Raz, go further than the standard thesis and deny that it is possible for morality to be a part of law at all. 독점적인 법률 실증주의자들, 특히 조셉 라즈는 표준논문보다 더 나아가 도덕성이 법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전혀 부정한다. The discretion thesis states that judges create new law when they are given discretion to adjudicate cases where existing law underdetermines the result. 재량 논문은 기존 법이 결과를 저하시킬 경우 판사들이 재량권을 부여받을 때 새로운 법을 만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The earliest proponent of legal positivism was John Austin who was influenced by the writings of Jeremy Bentham in the early 19th century. 법률 실증주의의 가장 초기 지지자는 19세기 초 제레미 벤담의 저술에 영향을 받은 존 오스틴이었다. Austin held that the law is the command of the sovereign backed by the threat of punishment. 오스틴은 그 법이 처벌의 위협을 뒷받침하는 주권자의 명령이라고 주장했다. Contemporary legal positivism has long abandoned this view. 현대의 법률적 실증주의는 오랫동안 이 관점을 포기해 왔다. In the twentieth century, two positivist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ield: 20세기에 두 명의 실증주의자가 그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Hans Kelsen and H. L. A. Hart. 한스 켈슨H. L. A. 하트. Kelsen is most influential for his notion of 'grundnorm,' an ultimate and basic legal norm, which some scholars, especially in Europe, accept today.[12] 켈젠은 궁극적이고 기본적인 법적 규범인 '그룬드노멀'에 대한 개념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데, 오늘날 유럽의 일부 학자들이 이를 수용하고 있다.[12] In the Anglophone world, Hart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scholar.[13] 앵글로폰 세계에서 하트는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였다.[13] Hart rejected the earlier claim that sanctions are essential to law and instead argued that law is rule-based. 하트는 제재가 법률에 필수적이라는 이전의 주장을 거부하고 대신 법은 규칙에 근거한다고 주장했다. According to Hart, law is a system of primary rules that guide the conduct of law's subjects, and secondary rules that regulate how the primary rules may be changed, identified, and adjudicated. 하트에 따르면, 법은 법 과목의 수행을 안내하는 일차 규칙의 체계로서, 일차 규칙이 어떻게 변경, 식별, 판결될 수 있는지를 규제하는 이차 규칙의 체계라고 한다. Hart's theory, although widely admired, sparked vigorous debate among late twentieth century philosophers of law including Ronald Dworkin, John Rawls, Joseph Raz, and John Finnis. 하트의 이론은 널리 존경받았지만, 로널드 드워킨, 존 롤스, 조셉 라즈, 그리고 존 피니스를 포함한 20세기 후반의 법철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Legal realism, which asserts that law is the product of decisions made by courts, law enforcement, and attorneys, which are often decided on contradictory or arbitrary grounds.법이란 법원, 법 집행관, 변호사의 결정의 산물이라고 주장하는 법률적 현실주의로, 모순적이거나 자의적인 근거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According to legal realism, law is not a rational system of rules and norms. 법률적 현실주의에 따르면 법은 규칙과 규범의 합리적 체계가 아니다. Legal realism is critical of the idea that law has a nature that can be analyzed in the abstract. 법률적 현실주의는 법에는 추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성질이 있다는 생각에 비판적이다. Instead, legal realists advocate an empirical approach to jurisprudence founded in social sciences and the actual practice of law in the world. 그 대신, 법률 현실주의자들은 사회과학에서 확립된 법학의 경험적 접근과 세계에서의 법률의 실제 실천을 옹호한다. For this reason, legal realism has often been associated with the sociology of law. 이러한 이유로 법률적 현실주의는 종종 법의 사회학과 연관되어 왔다. In the United States, legal realism gained prominenc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Oliver Wendell Holmes and John Chipman Grey.[1] 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 올리버 웬델 홈즈와 존 칩맨 그레이와 함께 법률 현실주의가 두각을 나타냈다.[1] Legal realism became influential in Scandinavia in the 20th century with Axel Hägerström.[14] 법 현실주의는 20세기에 액셀 헤거스트룀과 함께 스칸디나비아에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14]
  • Legal interpretivism, which denies that law is source-based because law necessarily depends on human interpretation that is guided by the moral norms of communities.법은 반드시 공동체의 도덕적 규범에 의해 인도되는 인간의 해석에 의존하기 때문에 법이 원천에 근거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법률 해석주의. Given that judges have discretion to adjudicate cases in more than one way, legal interpretivism says that judges characteristically adjudicate in the way that best preserves the moral norms, institutional facts, and social practices of the societies in which they are a part. 법관이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판례를 심판할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법 해석주의는 판사들이 그들이 속한 사회의 도덕적 규범, 제도적 사실, 사회적 관행을 가장 잘 보존하는 방식으로 특징적으로 판결한다고 말한다. It is consistent with legal interpretivism that one cannot know whether a society has a legal system in force, or what any of its laws are, until one knows some moral truths about the justifications for the practices in that society. 그 사회의 관습에 대한 정당성에 대한 도덕적 진리를 알기 전에는 어떤 사회가 법적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지 또는 그 법률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 법률 해석주의와 일치한다. In contrast with legal positivism or legal realism, it is possible for the legal interpretivist to claim that no one in a society knows what its laws are (because no one may know the best justification of its practices.) 법률적 실증주의나 법률적 현실주의와는 대조적으로, 법률 해석론자는 그 사회의 법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그 관습의 최선의 정당성을 아는 사람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Legal interpretivism originated with Ronald Dworkin in the late 20th century in his book Law's Empire. 법률적 해석주의는 20세기 후반 로널드 드워킨이 그의 저서 '법제국'에서 비롯되었다.

In recent years, debates about the nature of law have become increasingly fine-grained.최근 몇 년간, 법의 본질에 대한 논쟁은 점점 더 세밀해지고 있다. One important debate exists within legal positivism about the separability of law and morality. 법과 도덕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법적 실증주의 안에 하나의 중요한 논쟁이 존재한다. Exclusive legal positivists claim that the legal validity of a norm never depends on its moral correctness. 배타적 법률 실증주의자들은 규범의 법적 타당성은 결코 그것의 도덕적 올바름에 달려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Inclusive legal positivists claim that moral considerations may determine the legal validity of a norm, but that it is not necessary that this is the case. 포괄적 법률 실증주의자들은 도덕적 고려가 규범의 법적 타당성을 결정할 수 있지만, 이것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Positivism began as an inclusivist theory; but influential exclusive legal positivists, including Joseph Raz, John Gardner, and Leslie Green, later rejected the idea. 실증주의는 포괄주의 이론으로 시작되었지만 조셉 라즈, 존 가드너, 레슬리 그린을 포함한 영향력 있는 배타적 법률 실증주의자들은 나중에 그 생각을 거부했다.

A second important debate, often called the "Hart-Dworkin Debate,"[13] concerns the battle between the two most dominant schools in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y, legal interpretivism and legal positivism.종종 "하트-드워크린 논쟁"이라고 불리는 두 번째 중요한 논쟁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가장 지배적인 두 학교 사이의 싸움, 법적 해석주의와 법적 실증주의에 관한 것이다.[13]

Normative jurisprudence규범법학[[edit편집]]

In addition to analytic jurisprudence, legal philosophy is also concerned with normative theories of law.법률철학은 법학 분석 외에도 규범적 법 이론과도 관련이 있다. "Normative jurisprudence involves normative, evaluative, and otherwise prescriptive questions about the law."[8] "규범적 법학에는 규범적, 평가적, 그리고 그 밖의 법에 대한 규범적 질문이 포함된다."[8] For example, What is the goal or purpose of law? 예를 들어, 법의 목표나 목적은 무엇인가? What moral or political theories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law? 어떤 도덕적 또는 정치적 이론이 법의 기초를 제공하는가? Three approaches have been influential in contemporary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and these approaches are reflected in normative theories of law:[citation needed] 세 가지 접근법이 현대의 도덕적, 정치적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접근방식은 규범적 법 이론에 반영된다.[citation needed]

  • Utilitarianism is the view that laws should be crafted so as to produce the best consequences.공리주의는 최상의 결과를 내기 위해 법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견해다. Historically, utilitarian thought regarding law is associated with the philosopher Jeremy Bentham. 역사적으로, 법에 관한 공리주의적 사고는 철학자 제레미 벤담과 연관되어 있다. In contemporary legal theory, the utilitarian approach is frequently championed by scholars who work in the law and economics tradition. 현대 법학 이론에서 공리주의적 접근법은 종종 법과 경제 전통에 종사하는 학자들에 의해 옹호된다.
  • Deontology is the view that laws should reflect our obligation to preserve the autonomy and rights of others.신학(神學)은 법이 타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보존해야 할 우리의 의무를 반영해야 한다는 견해다. Historically, deontological thought regarding law is associated with Immanuel Kant, who formulated one particularly prominent deontological theory of law. 역사적으로, 법에 관한 신학적 사상은 임마누엘 칸트와 연관되어 있는데, 그는 특히 두드러진 신학적 법 이론을 공식화했다. Another deontological approach can be found in the work of contemporary legal philosopher Ronald Dworkin. 또 다른 신학적 접근법은 현대 법률철학자 로널드 드워킨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다.
  • Aretaic moral theories such as contemporary virtue ethics emphasize the role of character in morality.현대적 덕성 윤리학 등 아레아 도덕 이론은 도덕에서 인성의 역할을 강조한다. Virtue jurisprudence is the view that the laws sh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virtuous characters by citizens. 덕행법칙은 법률이 시민의 덕행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견해다. Historically, this approach is associated with Aristotle. 역사적으로 이 접근법은 아리스토텔레스와 연관되어 있다. Contemporary virtue jurisprudence is inspired by philosophical work on virtue ethics. 현대의 덕행 법학은 덕행윤리에 관한 철학적인 작업에 의해 영감을 받는다.

There are many other normative approaches to the philosophy of law, including critical legal studies and libertarian theories of law.법철학에는 비판적인 법률 연구자유주의적인 법 이론을 포함한 많은 다른 규범적 접근법이 있다.

Philosophical approaches to legal problems법적 문제에 대한 철학적 접근법[[edit편집]]

Philosophers of law are also concerned with a variety of philosophical problems that arise in particular legal subjects, such as constitutional law, Contract law, Criminal law, and Tort law.법철학자들도 헌법, 계약법, 형법, 토르트법 등 특정 법학 과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철학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 Thus, philosophy of law addresses such diverse topics as theories of contract law, theories of criminal punishment, theories of tort liability, and the question of whether judicial review is justified. 따라서 법철학은 계약법 이론, 형사처벌론, 불법행위 책임론, 사법심사의 정당성 여부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Notable philosophers of law저명한 법철학자[[edit편집]]

.mw-parser-output .div-col{margin-top:0.3em;column-width:30em}.mw-parser-output .div-col-small{font-size:90%}.mw-parser-output .div-col-rules{column-rule:1px solid #aaa}.mw-parser-output .div-col dl,.mw-parser-output .div-col ol,.mw-parser-output .div-col ul{margin-top:0}.mw-parser-output .div-col li,.mw-parser-output .div-col dd{page-break-inside:avoid;break-inside:avoid-column}

See also참고 항목[[edit편집]]

References참조[[edit편집]]

  1.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mw-parser-output cite.citation{font-style:inherit}.mw-parser-output .citation q{quotes:"\"""\"""'""'"}.mw-parser-output .id-lock-free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free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Lock-green.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id-lock-limited a,.mw-parser-output .id-lock-registra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limited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registrati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6/Lock-gray-alt-2.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id-lock-subscrip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subscripti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Lock-red-alt-2.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cs1-subscriptio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color:#555}.mw-parser-output .cs1-subscription spa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 span{border-bottom:1px dotted;cursor:help}.mw-parser-output .cs1-ws-ic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Wikisource-logo.svg")right 0.1em center/12px no-repeat}.mw-parser-output code.cs1-code{color:inherit;background:inherit;border:none;padding:inherit}.mw-parser-output .cs1-hidden-error{display:none;font-size:100%}.mw-parser-output .cs1-visible-error{font-size:100%}.mw-parser-output .cs1-maint{display:none;color:#33aa33;margin-left:0.3em}.mw-parser-output .cs1-format{font-size:95%}.mw-parser-output .cs1-kern-left,.mw-parser-output .cs1-kern-wl-left{padding-left:0.2em}.mw-parser-output .cs1-kern-right,.mw-parser-output .cs1-kern-wl-right{padding-right:0.2em}.mw-parser-output .citation .mw-selflink{font-weight:inherit} "Philosophy of law".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9-05-15.
  2. ^ Jump up to: a b c^ 위로 이동: Himma, Kenneth Einar (2019-05-15). "Philosophy of Law". Th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 Postema, Gerald J. (2011). "Economic Jurisprudence". In Postema, G.J. (ed.). A Treatise of Legal Philosophy and General Jurisprudence. A Treatise of Legal Philosophy and General Jurisprudence: Volume 11: Legal Philosoph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Common Law World. Springer Netherlands. pp. 181–211. doi:10.1007/978-90-481-8960-1_5. ISBN 9789048189601.
  4. ^^ Kornhauser, Lewis (2017), "The Economic Analysis of Law",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17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05-17
  5.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Marmor, Andrei; Sarch, Alexander (2015), "The Nature of Law",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15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05-15
  6.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Marmor, Andrei; Sarch, Alexander (2015), "The Nature of Law",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15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05-21
  7. ^^ Edwards, James (2018), "Theories of Criminal Law",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18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05-21
  8.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Philosophy of Law".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9. ^^ Finnis, John (2016), "Natural Law Theories",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inter 2016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05-17
  10. ^^ Green, Leslie (2018), "Legal Positivism",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8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05-21
  11. ^^ Hart, H. L. A. (1994). The Concept of Law,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 181–182. ISBN 978-0199644704.
  12. ^^ Essays in honor of Hans Kelsen : Celebrating the 90th Anniversary of His Birth. Fred B Rothman & Co. 1971. ISBN 978-0837705286.
  13. ^ Jump up to: a b^ 위로 이동: Shapiro, Scott J. (2007-03-05). "The Hart-Dworkin Debate: A Short Guide for the Perplexed". Rochester, NY. SSRN 968657. Cite journal requires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help) (도움말)
  14. ^^ "The Philosophy of Scandinavian Legal Realism". ResearchGate. Retrieved 2019-05-21.

Further reading추가 읽기[[edit편집]]

  • Thomas Aquinas, Summa Contra Gentiles (many editions).토마스 아퀴나스, 서마 콘트라 젠틸레스(여러 판).
  • Ronald Dworkin, Taking Rights Seriously (Cambridge, Massachusetts:Ronald Dworkin, Taking Rights 진지하게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77).
  • Ronald Dworkin, A Matter of Principle (Cambridge, Massachusetts:로널드 드워킨, 원칙의 문제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86).
  • Ronald Dworkin, Law's Empire (Cambridge, Massachusetts:로널드 드워킨, 로즈의 제국(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86).
  • Ronald Dworkin, Freedom's Law:로널드 드워킨, 자유의 법칙: The Moral Read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Cambridge, Massachusetts: 미국 헌법의 도덕적 독서(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97.
  • Lon L. Fuller, The Morality of Law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65).Lon L. Fuller, The 도덕성 of Law(뉴 헤이븐, CT: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65)
  • John Chipman Gray, The Nature and Sources of Law (Peter Smith, 1972, reprint).존 칩맨 그레이, The Nature and Source of Law(피터 스미스, 1972년, 재인쇄)
  • H. L. A. Hart, The Concept of Law (Oxford:H. L. A. Hart, The Concept of Law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61년).
  • H. L. A. Hart, Punishment and Responsibility (Oxford:H. L. A. 하트, 벌과 책임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68년).
  • Sterling Harwood, Judicial Activism:스털링 하우드, 사법 활동주의: A Restrained Defense (London: 절제된 방어(런던: Austin & Winfield Publishers, 1996). 오스틴 & 윈필드 출판사, 1996).
  •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Philosophy of 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1967)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바른 철학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 Ian Farrell & Morten Ebbe Juul Nielsen, Legal Philosophy: 5 Questions, New York:이언 패럴 & 모튼 에베 쥴 닐슨, 법률 철학: 5가지 질문, 뉴욕: Automatic Press, April 2007 자동 프레스, 2007년 4월
  • Oliver Wendell Holmes, Jr., The Common Law (Dover, 1991, reprint).Oliver Wendell Holmes Jr. The Common Law(도버, 1991년, 재인쇄)
  • Immanuel Kant, Metaphysics of Morals (Doctrine of 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reprint).임마누엘 칸트, 도덕의 형이상학 (우리의 도리)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0, 재인쇄)
  • Hans Kelsen, Pure Theory of Law (Lawbook Exchange Ltd., 2005, reprint).한스 켈슨, 순수 법학 이론 (로봇 거래소, 2005, 재인쇄)
  • Catharine MacKinnon, Toward a Feminist Theory of the State. (Cambridge:캐서린 맥키넌, '국가의 페미니스트 이론을 향하여'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89년).
  • Duncan Kennedy, A Critique of Adjudication (Cambridge, Massachusetts:Duncan Kennedy, Adjuditation의 비평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98).
  • David Lyons, Ethics & The Rule of Law (Cambridge:데이비드 라이온스, 윤리 & 법치주의 (캠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84).
  • David Lyons, Moral Aspects of Legal Theory (Cambridge:David Lyons, 법적 이론의 도덕적 측면들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 Neil MacCormick, Legal Reasoning and Legal Theory (Oxford:Neil MacCormick, 법적 추리 법적 이론(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79년).
  • Joseph Raz, The Authority of Law (Oxford:조셉 라즈, 법의 권위자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reprint).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83년, 재인쇄).
  • Robert S.로버트 S. Summers, Instrumentalism and American Legal Theor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서머스, 기구주의 미국법률론(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년).
  • Robert S.로버트 S. Summers, Lon Fuller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4). 서머스, 론 풀러(Stanford, C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4).
  • Roberto Mangabeira Unger, The Critical Legal Studies Movement (Cambridge, Massachusetts:로베르토 망가베이라 운거, 중대한 법률 연구 운동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하버드 대학 출판부, 1986).
  • Jeffrie G.제프리 G. Murphy and Jules L. Coleman, The Philosophy of Law: An Introduction to Jurisprudence (Boulder, CO: Westview Press, 1989). 머피와 쥘 L. 콜먼, <법철학: 법학개론>(Boulder, CO: Westview Press, 1989)

External links외부 링크[[edit편집]]

Library resources about 라이브러리 리소스 정보
Philosophy of law법철학

show보여 주

Jurisprudence법학Legal theory법학 이론Philosophers철학자Theories이론들Concepts개념Related articles관련기사

show보여 주

Philosophy철학

 
 
 
 

show보여 주

Law법Core subjects핵심 과목Other subjects기타과목Sources of law출처Law making법률 제정Legal systems법제도Legal theory법학 이론Jurisprudence법학Legal institutions법률기관

Authority control권한통제

&amp;amp;lt;img src="//en.wikipedia.org/wiki/Special:CentralAutoLogin/start?type=1x1" alt="" title="" width="1" height="1" style="border: none; position: absolute;"&amp;amp;gt;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Philosophy_of_law&oldid=1001700811""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Philosophy_of_law&oldid=1001700811"에서 검색됨

Categories: 카테고리:

Hidden categories: 숨겨진 카테고리:

 

Navigation menu내비게이션 메뉴

Personal tools개인 도구

Namespaces네임스페이스

VariantsVariants

 

Views보기

More많은

 

Search검색

 

 

Navigation항법

Contribute기부하다

Tools도구들

Print/export인쇄/수출

In other projects다른 프로젝트에서

Languages언어들

Edit links링크 편집

원문

Oliver Wendell Holmes, Jr.

'철학 > 법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inhold Zippelius  (0) 2021.02.10
Rechtsphilosophie  (0) 2021.02.10
Radbruch의 공식  (0) 2020.08.03
법철학의 기초  (0) 2020.08.03
법철학과 그 갈래  (0) 2020.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