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생리학이 속하는 생물학은 생명현상을 물질론적 입장에서 분석하여, 생명이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설명하려는 학문이지만, 그 초기에는 과학적인 분석방법의 미비로 생명체의 형태를 관찰하고 기재(記載)하는 데에만 머물렀다. 생명현상이라고 하는 복잡 미묘한 현상을 깊이 파헤쳐 그 근원을 밝히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의 일이며, 그 전까지는 주로 여러 가지 생물들의 형태·생활사·생태 등을 관찰 기록함으로써 생물을 분류·명명하는 박물학적(博物學的)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 관찰이 발전함에 따라 점차 생물체의 기능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대두되어 생물학은 크게 형태학과 생리학의 두 주류로 구분되었다.
형태학은 생물의 외부 형태나 생활사의 관찰에서 더 나아가 내부 구조의 관찰로 발전하여 해부학을 탄생시켰으며, 또 현미경의 발달에 힘입어 세포 내부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세포학도 탄생시켰다. 이렇게 하여 20세기 초까지의 형태학은 분류학·생태학·해부학·세포학 등이 그 주류를 이루었다. 한편, 생리학은 해부학 및 세포학과 긴밀한 연관 아래 여러 갈래로 분화되어 갔다. 생리학은 그 대상으로 하는 생물의 종류에 따라 동물생리학·식물생리학·미생물생리학 또는 인체생리학·곤충생리학·가축생리학 등으로 나누어지기도 하며, 한편 생물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나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신경생리학·근육생리학·뇌생리학 등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또, 분석하려는 기능 그 자체의 종류에 따라 호흡생리학·감각생리학·행동생리학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같은 기관의 기능도 생물의 종류와 서식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 기능의 차이를 분석비교하는 비교생리학이 특히 생태학의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 대두하였고, 반면 모든 기능 발현의 일반적·공통적 측면을 다루는 일반생리학이라는 분야도 있다. 한편, 형태학의 발달에 따라 세포의 미세구조가 명확하게 밝혀지고, 또 수정란의 발생과정 등이 철저히 규명되어 감에 따라, 생리학이 필연적으로 이들 분야에도 확대되어, 세포의 미세구조를 기능과 연관지어 연구하는 세포생리학, 발생의 과정을 물질반응과 연관시켜 연구하는 발생생리학 등의 여러 분과가 발달하였다. 이렇게 생물학은 근대적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형태학과 생리학의 2대 분야로 대별되었으나, 20세기 중엽에 이르면서 기능이라는 것은 형태를 떠나서는 나타날 수 없으며, 또 기능을 무시한 형태학은 무의미하다는 인식이 확립됨에 따라 형태학과 생리학은 밀접하게 상호 관련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생물체의 구조적·기능적 단위인 세포에서 이러한 인식이 현저하여 세포의 미세구조의 연구는 기능의 연구와 병행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종래의 형태 위주였던 세포학이 기능면을 적극적으로 고찰하게 되어 그 명칭도 세포생물학으로 바뀌면서 형태와 기능을 동일한 물체의 양면적 성질로 파악하면서 발달하고 있다. 생리학은 그 연구하는 사람의 목적에 따라 현재도 위와 같이 여러 분야로 세분되고 있으나, 그 연구방법은 어느 분야에서나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학적 방법의 두 가지이다. 화학적인 수단을 주로 응용하는 생리학은 생화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물리학적인 수단이 주가 되는 생리학은 생물리학(生物理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방법론도 상호 불가분의 관계가 있어서 양자 사이에 어떤 경계를 설정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이 두 가지 방법론을 동시에 구사하는 것이 생리학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출처
-
저자/제공처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
- [네이버 지식백과] 생리학 [physiology, 生理學]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추상적인
히스톤 변형은 염색질 활동에 필수적이며 많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히스톤 H3K27(H3K27me3)의 트리메틸화는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PRC2)에 의해 확립된 억제 변형입니다. 인접한 아미노산 잔기에서 히스톤 H3 세린 28 인산화(H3S28ph) 변형이 존재하면 포유동물의 Polycomb 침묵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모두 있지만 H3S28ph가 식물에서 H3K27me3 매개 유전자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Arabidopsis( Arabidopsis thaliana )에서 H3S28A를 돌연변이시키는 것을 보여줍니다.)는 비정상적인 세포분열과 무관하게 개화촉진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여 조기 개화 표현형을 유도하는 우성-음성 효과를 유발한다. H3S28ph 수준은 H3S28A 돌연변이로 인해 감소한 반면, 동일한 유전자좌에서 H3K27me3 수준은 증가하지 않았다. 더욱이, 우리 는 예상되는 향상된 H3K27me3 매개 침묵보다는 H3.3S28A 형질전환 계통 에서 일부 알려진 PRC2 표적 유전자에서 감소된 H3K27me3 수준을 관찰했습니다 . 감소된 H3K27me3 수준에 따라 PRC2 촉매 서브유닛 CURLY LEAF ( CLF ) 및 SWINGER ( SWN) 감소했다. 종합하면, 이러한 데이터는 H3.3S28이 Arabidopsis에서 PRC2 의존적 H3K27me3 매개 침묵에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H3S28이 H3K27me3 매개 유전자 침묵에서 비정규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로그인
액세스에 대한 도움 받기-
미국식물생리학회
추천
- DIPG-76. H3K27M 중간 신경교종에서 히스톤 H3 인산화
Liang Zhang et al., 신경종양학
- HISTONE DEACETYLASE 9 FLOWERING LOCUS C 발현을 억제하는 Polycomb Silencing 기능
Xiaolin Zeng et al., Plant Phyisol, 2019
- 꽃이 만발한 유전자좌 C의 교훈: 발달 시기 및 적응을 뒷받침하는 보존된 염색질 스위치
Jo Hepworth et al., Plant Phyisol, 2015
-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와 염색질의 상호 작용에 대한 구조적 통찰력
Akhil Gargey Iragavarapu et al., Bio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2021
- 후성적 침묵을 다음 세대에 전달
Sandip De et al., Science, 2017
- 모르핀은 mESC에서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PRC2) 자가 조절 메커니즘을 통해 H3K27me3 수준의 글로벌 게놈 변화를 이끈다
Iraia Muñoa-Hoyos et al., Clin Epigenetics, 2020
관련 기사
를 통해 기사 인용
- 온라인 ISSN 1532-2548
- ISSN 0032-0889 인쇄
- Copyright © 2022 미국식물생리학회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핵생물Eukaryotes (0) | 2022.09.21 |
---|---|
접합자 zygote (0) | 2022.09.21 |
식물생리학 (0) | 2022.09.03 |
인간과 식품 -알고나 먹자 (0) | 2022.08.14 |
하늘을 날았던 가장 오래된 척추동물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