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임마누엘 칸트의 생애와 사상

by 이덕휴-dhleepaul 2022. 9. 13.

Tim Jankowiak, 64 - Bay City | Free Public Reputation Profile

Tim Jankowiak is 64 years old and was born on 07/13/1957. Previously cities included Grand Rapids MI and Belmont MI. Other names that Tim uses includes Tim R Jakowiak, Tim Richard Jankowiak, Tim R Jankowkiak and Tim R Jankowiak. Persona

임마누엘 칸트

칸트 체계의 기초에는 우리가 경험할 수있는 것 (자연스럽고 관찰 가능한 세계)과 우리가 할 수없는 것 (하나님과 영혼과 같은 "초감각적 인"대상) 사이의 구별을 강조하는 "초월 적 이상주의"의 교리가 있습니다. 칸트는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지식만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나는 무엇을 알 수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칸트는 우리가 자연스럽고 관찰 가능한 세계를 알 수 있다고 대답하지만, 형이상학의 가장 깊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는 없다.

칸트의 윤리는 "범주적 명령"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는데, 이는 항상 다른 사람들의 인간성을 존중해야 하며, 모든 사람을 위해 지켜질 수 있는 규칙에 따라서만 행동해야 한다는 보편적인 윤리적 원칙이다. 칸트는 도덕법이 이성의 진리이며, 따라서 모든 이성적인 피조물들은 동일한 도덕법에 묶여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어떻게해야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어떻게해야합니까?" 칸트는 우리가 보편적 인 도덕법에 따라 합리적으로 행동해야한다고 대답합니다.

칸트는 또한 그의 윤리적 이론이 자유 의지, 신, 그리고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믿음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비록 우리가 이러한 것들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는 없지만, 도덕법에 대한 성찰은 그것들에 대한 정당화 된 믿음으로 이어지며, 이는 일종의 합리적 신앙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나는 무엇을 희망 할 수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칸트는 우리의 영혼이 불멸하기를 바랄 수도 있고, 정의의 원칙에 따라 세상을 설계하신 하나님이 정말로 계시기를 바랄 수도 있다고 대답한다.

이 세 가지 초점 외에도 칸트는 철학의 거의 모든 영역에 지속적인 공헌을했습니다. 그의 미학 이론은 미술 비평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영향력이 있습니다. 그의 지식 이론은 분석 철학의 많은 분야에서 독서가 필요합니다. 그의 정치 이론 뒤에있는 코스모 폴리탄주의는 세계화와 국제 관계에 대한 담론을 색칠합니다. 그리고 그의 과학적 공헌 중 일부는 현대 우주론에서 여러 가지 아이디어에 대한 지적 선구자로 간주됩니다.

이 글은 칸트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 공헌에 대한 개관과 다른 것들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그것은 칸트의 작품을 인용하기위한 표준 절차를 따릅니다. 순수 이성에 대한 비판의 구절은 1781 년과 1787 년 판의 페이지 번호를 참조하여 인용됩니다. 따라서 "(A805/B833)"은 1781년 판의 805페이지와 1787년 판의 833페이지를 가리킨다. 칸트의 나머지 작품에 대한 언급은 칸트의 작품의 공식 도이치 아카데미 판의 볼륨과 페이지 번호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5:162)"는 그 판본의 5권, 162쪽을 가리킨다.

목차

  1. 생명
  2. 형이상학과 인식론
    1. 사전 비판적 사고
    2. 독단적 인 잠, 합성 선험적 지식, 그리고 코페르니쿠스 교대
    3. 인지 능력과 그들의 표현
    4. 초월적 이상주의
      1. 공간과 시간의 이상성
      2. 외모와 사물 그 자체.
    5. 범주의 공제
    6. 경험 이론
    7. 초월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
      1. 영혼 (순수한 이성의 패러로그)
      2. 세상 (순수한 이성의 안티노미)
      3. 하느님 (순수한 이성의 이상)
  3. 수학의 철학
  4. 자연과학
    1. 물리학
    2. 다른 과학적 기여
  5. 도덕 이론
    1. 선의와 의무
    2. 범주적 명령형
    3. 실용적인 이성의 가정
  6. 인류 역사의 정치 이론과 이론
    1. 인류 역사와 계몽주의 시대
    2. 정치 이론
    3. 영원한 평화
  7. 예술과 아름다움의 이론
    1. 아름답고 숭고한
    2. 예술 이론
    3. 도덕 이론과의 관계
  8. 실용주의 인류학
  9. 참고 문헌 및 추가 읽기
    1. 초등회 문학
    2. 중등 문학

1. 생활

칸트는 1724년 프로이센 도시 쾨니히스베르크(현재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인 요한 게오르그와 안나 레지나는 경건주의자였다. 비록 그들이 칸트를 이 전통(겸손과 신성한 은총을 강조한 루터교의 엄숙한 분파)에서 제기했지만, 그는 이런 종류의 종교적 헌신에 대해 매우 동정적이었던 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젊은 시절, 그는 쾨니히스베르크의 Collegium Fridericianum에 다녔고, 그 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다녔다. 처음에는 고전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지만 철학은 곧 그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고트프리드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 1646-1716)와 크리스티안 울프(Christian Wolff, 1679-1754)의 합리주의는 이 초기 몇 년 동안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지만, 칸트는 이 시기에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의 저술에도 소개되었다.

그의 어머니는 1737 년에 사망했으며, 1746 년 아버지가 사망 한 후 칸트는 대학을 떠나 도시 주변의 시골에있는 여러 가정의 개인 교사로 일했습니다. 그는 Privatdozent로 가르치기 위해 1754 년에 대학으로 돌아 왔는데, 이는 대학이 아닌 개별 학생들이 직접 지불했음을 의미했습니다. 그는 1770 년까지 이런 식으로 자신을 지원했습니다. 칸트는이 기간 동안 많은 에세이와 다른 짧은 작품을 출판했습니다. 그는 천문학, 물리학 및 지구 과학에 사소한 과학적 공헌을했으며, 당시의 라이프니지안 - 울프 피아 전통에 관여하는 철학적 논문을 저술했습니다 (이들 중 많은 부분이 아래에서 논의됩니다). 이 기간 동안 칸트의 주요 전문적 목표는 결국 쾨니히스베르크의 논리 및 형이상학 교수직을 얻는 것이었다. 그는 마침내 1770 년 (46 세의 나이에) 두 번째 논문 (첫 번째 논문은 1755 년에 출판 됨)을 마쳤을 때 성공했으며, 현재는 취임 논문이라고합니다.

해설자들은 칸트의 경력을 1770년 이전의 "사전 임계" 기간과 그 이후의 "중요한" 기간으로 나눕니다. 취임 논문이 출판 된 후, 칸트는 십 년 이상 동안 거의 아무것도 출판하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은 그의 "침묵의 십년"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이것은 칸트에게 휴지 기간에 불과했다. 1770년대 초 흄의 경험주의에 대한 급진적 회의론을 발견하고 흔들린 후, 칸트는 흄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그는 이러한 반응이 형이상학과 인식론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접근법의 완전한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처음 계획했던 것보다 훨씬 오래 걸렸지 만, 그의 프로젝트는 1781 년에 순수한 이성에 대한 비판의 초판이 출판되면서 결실을 맺었습니다.

1780년대는 칸트의 경력 중 가장 생산적인 해가 될 것이다. 칸트는 비에 대한 일종의 소개로 Prolegomena를 미래의 형이상학 (1783)에 쓰는 것 외에도 윤리 (도덕의 형이상학을위한 기초 작업, 1785 및 실용적인 이성의 비판, 1788)에서 중요한 작품을 썼으며, 그의 이론 철학을 뉴턴 물리 이론 (자연 과학의 형이상학 기초, 1786)에 적용했으며, 순수한 이성에 대한 비판을 실질적으로 수정했습니다. 1787년에. 칸트는 세 번째이자 마지막 비평인 심판의 힘에 대한 비판(Critique of the Judgment of Judgment, 1790)의 출판으로 십 년을 마감했다.

1780년대의 산물은 칸트가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지만, 그는 1790년대까지 철학적 저술을 계속 출판했다. 이 기간 동안 주목할만한 것은 단순한 이성의 경계 내에있는 종교 (1793), 영원한 평화를 향한 (1795), 도덕의 형이상학 (1797), 실용주의 관점에서 인류학 (1798)입니다. 종교는 약간의 논쟁과 함께 참석했고, 칸트는 궁극적으로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II)에게 종교에 관한 다른 것을 출판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게되었습니다. (칸트는 1797년 왕이 사망한 후 그 약속이 무효라고 생각했다.) 그의 마지막 몇 년 동안, 그는 물리 과학에 대한 하나의 마지막 다리로 중요한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전념했습니다. 불행히도, 칸트의 마지막 해의 침범 치매로 인해이 책을 완성하지 못했습니다 (일부 초안은 Opus Postumum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칸트는 결혼하지 않았으며 그를 기발하지만 괴상한 사람으로 그리는 많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들은 그에게 정의를주지 않습니다. 그는 친구들과 동료들로부터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는 종들을 포함하여 주위의 모든 사람들에게 일관되게 관대했습니다. 그는 보편적으로 활기차고 매력적인 저녁 식사 손님과 (나중에 인생에서) 호스트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교실에서 보낸 오십 년 동안 헌신적이고 인기있는 교사였습니다. 그는 작고 사적인 예식을 바랐지만, 1804년 7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때, 그의 장례식에는 "쾨니히스베르크의 현자"에게 경의를 표하고자 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참석했다.

2. 형이상학과 인식론

칸트의 성숙한 형이상학과 인식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초월적 이상주의에 대한 그의 교리이며, 이는 순수한 이성의 비판 (1781/87)에서 가장 완전한 논의를 받았다. 초월적 이상주의는 우리가 경험하는 경험적 세계("겉모습"의 "경이로운" 세계)가 사물의 세계와 구별되어야 한다는 이론이다. 이 구별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경험적 세계가 공간과 시간에 존재하지만, 사물 자체는 공간적이지도 않고 시간적이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초월적 이상주의는 광범위한 결과를 낳는다. 긍정적 인 측면에서, 칸트는 초월적 이상주의를 취하여 인간이 자연적, 물리적 세계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가지며 가능한 모든 경험 가능한 대상의 기본 특징에 대한 선험적 인식을 가질 수있는 "경험적 현실주의"를 수반합니다. 부정적인 측면에서, 칸트는 우리가 사물 자체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전통적인 형이상학은 그 자체로 사물을 다루기 때문에,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질문에 대한 대답 (예를 들어, 신이나 자유 의지에 관한)은 결코 인간의 마음에 의해 대답 될 수 없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칸트의 형이상학과 인식론의 발전을 다룬 다음 칸트 이론의 가장 중요한 논증과 결론을 요약한다.

a. 사전 비판적 사고

Critique of Pure Reason, the book that would alter the course of western philosophy, was written by a man already far into his career. Unlike the later “critical period” Kant, the philosophical output of the early Kant was fully enmeshed in the German rationalist tradition, which was dominated at the time by the writings of Gottfried Leibniz (1646-1716) and Christian Wolff (1679-1754). Nevertheless, many of Kant’s concerns during the pre-critical period anticipate important aspects of his mature thought.

Kant’s first purely philosophical work was the New Elucidation of the First Principles of Metaphysical Cognition (1755). The first parts of this long essay present criticisms and revisions of the Wolffi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s of metaphysics, especially the Principles of Identity (whatever is, is, and whatever is not, is not), of Contradiction (nothing can both be and not be), and of Sufficient Reason (nothing is true without a reason why it is true). In the final part, Kant defends two original principles of metaphysic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ccession,” all change in objects requires the mutual interaction of a plurality of substances. This principle is a metaphysical analogue of Newton’s principle of action and reaction, and it anticipates Kant’s argument in the Third Analogy of Experience from Critique of Pure Reason (see 2f below).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multiple substances can only be said to coexist within the same world if the unity of that world is grounded in the intellect of God. Although Kant would later claim that we can never have metaphysical cognition of this sort of rela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not least of all because we can’t even know that God exists), he would nonetheless continue to be occupied with the question of how multiple distinct substances can constitute a single, unified world.

물리적 모나드학 (1756)에서 칸트는 "모나드"의 관점에서 물질 물질의 기본 구성에 대한 형이상학 적 설명을 제공하려고 시도합니다. 라이프니츠와 울프는 모나드가 물질을 구성하는 단순한 원자 물질이라고 주장했다. 칸트는 울프를 따라 모나드가 마음이 좋아서 서로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는 라이프니츠의 주장을 거부한다. 칸트의 설명의 새로운 측면은 각 모나드가 매력적이고 반발적인 힘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으며, 모나드가 반대되는 반발력을 통해 서로를 압축하는 동안이 모나드 간의 상호 작용 때문에 결정된 공간을 채우고 있다는 그의 주장에 있습니다. 삼십 년 후, 자연 과학의 형이상학 적 기초 (1786)에서 칸트는 매력적이고 반발적인 힘을 상호 작용하는 관점에서 물질을 이해해야한다는 이론을 개발할 것입니다. 나중의 견해와 초기의 견해의 주된 차이점은 칸트가 더 이상 모나드나 단순한 물질에 호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초월적 이상주의는 물질의 구성성분으로서 가장 단순한 물질의 가능성을 배제한다; 아래 2gii 참조).

칸트의 사전 비판적 시기의 마지막 출판물은 합리적인 세계와 지식의 세계의 형태와 원리에 관한 것이었으며, 이는 칸트가 쾨니히스베르크의 논리 및 형이상학 교수로 임명된 것을 표시했기 때문에 취임 논문(1770)이라고도 불린다. 칸트가 초월적 이상주의의 발전으로 이어질 최종적인 결정적인 통찰을 아직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그의 성숙한 형이상학의 많은 중요한 요소들이 여기에서 미리 그려져 있다. 취임 논문의 두 가지 측면은 특히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첫째, 칸트는 전임자들과의 단절에서 마음의 두 가지 기본 능력, 즉 단수적 인 "직관"을 통해 세계를 대표하는 감성과 일반적인 "개념"을 통해 세계를 대표하는 이해를 구별합니다. 취임 논문에서 칸트는 감성은 "현상"의 합리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반면, 이해는 "누메나"의 이해할 수있는 세계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중요한 시기인 칸트는 우리가 누메나에 대한 확실한 지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것과 현상에 대한 지식은 감성과 이해의 협력을 함께 필요로 한다는 것을 부인할 것이다. 둘째, 합리적인 세계의 "형태"를 묘사하면서, 칸트는 공간과 시간이 "객관적이고 실제적인 것이 아니라"(2:403) 오히려 "주관적이고 이상적"이라고 주장한다. 공간과 시간이 사물 그 자체와 같은 것이 아니라 나타나는 것에만 관련된다는 주장은 칸트의 성숙한 초월적 이상주의의 중심 테제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b. 독단적 잠, 합성 선험적 지식, 그리고 코페르니쿠스 교대

초기 칸트는 당시의 울프피아 정통주의의 많은 중요한 측면으로부터 반대하려는 완전한 의지를 보였지만, 칸트는 형이상학적 인식이 가능하다는 기본적인 합리주의적 가정을 당연하게 여겼다. Prolegomena에서 Any Future Metaphysics (1783)에 대한 회고전에서 칸트는 이러한 합리주의 가정에 대한 그의 믿음이 데이비드 흄 (David Hume, 1711-1776)에 의해 흔들렸으며, 인과 관계가 필요한 연결에 대한 지식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은 칸트가 그의 "독단적 잠"(4 : 260)에서 깨어났다고 말한다. 흄은 그러한 지식이 감각을 통해 주어질 수 없으며 개념적 진리로서 선험적 인 것을 도출 할 수 없기 때문에 원인과 결과 사이의 필요한 연관성에 대한 지식을 결코 가질 수 없다고 주장했다. 칸트는 흄의 문제가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깨달았는데, 그 이유는 원인과 결과 사이의 연결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에 대한 회의론이 특별히 인과관계뿐만 아니라 필요성에 관한 모든 형이상학적 지식으로 일반화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왜 수학적 진리가 자연계에서 필연적으로 참되게 유지되는지에 대한 질문이나 존재 (하나님)가 필연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비판 철학의 기초를 형성 할 흄의 회의론에 대한 해결책은 두 가지였습니다. 칸트의 해결책의 첫 번째 부분은 형이상학 적 지식 (예 : 인과 관계에 대한 지식)이 감각을 통해 주어지지 않으며 개념 분석을 통해 선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는 흄과 동의하는 것이 었습니다. 그러나 칸트는 선험적 인 세 번째 종류의 지식이 있지만 개념을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을 "선험적 지식의 합성"이라고 불렀다. 분석적 판단이 그들이 언급하는 개념들 사이의 의미론적 관계에 의해 정당화되는 경우(예를 들어, "모든 총각들은 미혼이다"), 합성 판단은 그들이 묘사하는 주어진 대상에 대한 적합성에 의해 정당화된다(예를 들어, "바로 여기 있는 이 공은 빨간색이다"). 선험적 지식을 합성한다는 개념에 의해 제기 된 퍼즐은 물체가 마음에 제시되어야하지만 감각 경험에서는 주어지지 않아야한다는 것입니다.

칸트의 해결책의 두 번째 부분은 선험적 지식을 어떻게 합성 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입니다. 그는이 문제에 대한 그의 핵심 통찰력을 마음과 세계 사이의 인식론적 관계에 대한 그의 생각의 "코페르니쿠스"변화로 묘사합니다. 코페르니쿠스는 태양과 별이 우리 주위를 돌고있는 것처럼 보였을 뿐이며, 우리가 인식하는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하늘이 그렇게하는 방식으로 보인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태양계가 실제로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유사하게, 칸트는 사물이 나타나는 방식이 사물 그 자체에있는 방식과 일치한다는 믿음을 거부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더욱이, 그는 지식의 대상은 그 자체와 같은 것이 아니라 나타나는 그대로만 사물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형이상학과 인식론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접근법에 호소하면서, 칸트는 경험의 기본 구조가 경험할 수있는 모든 대상의 기본 구조와 일치하기 때문에 경험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 (즉, 사물이 우리에게 나타나는 방식의 구조)를 조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즉, 대상이 경험의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대상에 대한 경험을 가질 수 있다면, 경험의 조건을 아는 것은 우리에게 가능한 모든 경험 대상에 대한 지식 - 실제로 선험적 지식을 합성하는 것-을 제공 할 것입니다. 칸트는 흄의 회의론을 극복함으로써 우리가 조사의 대상으로 가능한 경험 대상의 바로 그 형태를 취할 때 일반적으로 대상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합성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순수한 이성에 대한 비판은이 기본 철학적 전략의 모든 중요한 세부 사항을 통해 작업하려는 시도입니다.

c. 인지 능력과 그 표현

칸트의 마음 이론은 마음의 힘, 즉 "인지 능력"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칸트의 핵심 주장 중 하나는 마음의 인지 능력이 기본적이고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두 가지 능력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첫째, "감성"이 있습니다. 감성은 감각에 대한 대상의 애정을 통해 표현을받는 것이기 때문에 수동적 인 교수진입니다. 감성을 통해 대상은 마음에 "주어진"것입니다. 둘째, 감성을 통해 주어진 대상을 "생각"(즉, 개념을 적용)하는 능동적 인 교수진 인 "이해"가 있습니다.

감성의 표현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은 칸트가 "직관"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직관은 단일 개별 객체를 직접 참조하는 표현입니다. 직관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순수한 직관은 공간과 시간 자체에 대한 선험적 표현입니다 (아래 2d1 참조). 경험적 직관은 세계의 특정 경험적 대상을 지칭하는 사 표현입니다. 시공간적 "형태"를 소유하는 것 외에도, 경험적 직관은 또한 감각을 포함하는데, 칸트는 직관(그리고 일반적으로 경험)의 "문제"라고 부른다. (감각이 없다면, 마음은 결코 실제 사물에 대한 생각을 가질 수 없으며, 가능한 것들 만 가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물리적 세계의 사물 ( "외부 직관")과 우리 자신의 마음 속에있는 물체 ( "내면의 직관")에 대한 경험적 직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해의 표현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은 "개념"입니다. 직관과는 달리, 개념은 일반적으로 무한정 많은 객체를 참조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라는 개념 자체는 모든 고양이를 지칭 할 수 있지만 특히 어느 고양이도 언급 할 수는 없습니다.) 개념은 특정 객체에 대한 참조를 위해 직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객체를 참조합니다. 직관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기본 유형의 개념이 있습니다. 순수한 개념은 선험적 표현이며 마음의 가장 기본적인 논리적 구조를 특징으로합니다. 칸트는 이러한 개념을 "범주"라고 부릅니다. 경험적 개념은 사후 표현이며, 세계와의 감각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됩니다. 개념은 이해에 의해 지식의 가장 작은 단위 인 "판단"으로 결합됩니다. 나는 첫째, 대상에 대한 경험적 직관을 가지고 있고, 둘째,이 대상을 어떤 식 으로든 개념화하고, 셋째, 직관 된 대상에 대한 나의 개념화를 판단으로 형성 한 후에 만 세상의 물체에 대한 완전한 인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감성과 이해가 모두 지식이 가능하기 위해 협력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칸트가 표현하듯이, "내용이 없는 생각은 공허하고, 개념이 없는 직관은 장님이다"(A51/B75).

언급해야 할 두 가지 다른 중요한인지 능력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감성과 이해 사이를 중재하는 초월적 "상상력"입니다. 칸트는 이 교수진을 "맹인"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그 운영에 내성적 접근이 없기 때문이다. 칸트는 적어도 이해가 개념을 적용 할 수있는 방식으로 직관을 형성 할 책임이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다른 하나는 이해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감각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이성"입니다. 이해는 감각의 데이터를 판단으로 결합하지만, 이성은 이해의 판단을 하나의 일관성 있고 통일되고 체계적인 전체로 결합합니다. 이성은 단지 단절된 지식의 조각들에 만족하지 않는다. 이성은 모든 지식이 지식의 체계를 형성하기를 원한다. 이성은 또한 초월적 형이상학의 "환상"을 담당하는 교수진입니다 (아래 2g 참조).

d. 초월적 이상주의

초월적 이상주의는 마음과 그 대상들 사이의 관계에 관한 이론이다. 세 가지 기본 테제가이 이론을 구성합니다 : 첫째, 외모 (나타나는 것)와 사물 그 자체에있는 것 사이에는 구별이 있습니다. 둘째, 공간과 시간은 체험의 가능성에 대한 선험적이고 주관적인 조건이며, 따라서 그것들은 단지 외모에만 관련되며, 그 자체로 사물에 관련되지 않는다. 셋째, 우리는 체험할 수 있는 것들만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직 겉모습에 대해서만 그리고 그 자체로는 그렇지 않다.

"초월적 이상주의"라는 용어에 대한 빠른 언급이 순서에 있습니다. 칸트는 일반적으로 무언가가 경험의 가능성에 대한 조건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 "초월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개념의 초월적 분석"이라는 제목의 장은 물체의 인식이 불가능할 수 있는 개념을 다룬다. 칸트는 "이상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경험의 대상이 정신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마음 의존에 대한 정확한 감각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아래 2d2 참조). 그러므로 초월적 이상주의는 체험의 대상이 어떤 의미에서 마음-의존적이라는 것이 체험의 가능성에 대한 조건이라는 이론이다.

i. The Ideality of Space and Time

Kant argues that space and time are a priori, subjective conditions on the possibility of experience, that is, that they are transcendentally ideal. Kant grounds the distinction between appearances and things in themselves on the realization that, as subjective conditions on experience, space and time could only characterize things as they appear, not as they are in themselves. Further, the claim that we can only know appearances (not things in themselves) is a consequence of the claims that we can only know objects that conform to the conditions of experience, and that only spatiotemporal appearances conform to these conditions. Given the systematic importance of this radical claim, what were Kant’s arguments for it? What follows are some of Kant’s most important arguments for the thesis.

One argument has to do with the relation between sensations and space. Kant argues that sensations on their own are not spatial, but that they (or arguably the objects they correspond to) are represented in space, “outside and next to one another” (A23/B34). Hence, the ability to sense objects in space presupposes the a priori representation of space, which entails that space is merely ideal, hence not a property of things in themselves.

Another argument that Kant makes repeatedly during the critical period can be called the “argument from geometry.” Its two premises are, first, that the truths of geometry are necessary truths, and thus a priori truths, and second, that the truths of geometry are synthetic (because these truths cannot be derived from an analysis of the meanings of geometrical concepts). If geometry, which is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space, is synthetic a priori, then its object – space – must be a mere a priori representation and not something that pertains to things in themselves. (Kant’s theory of mathematical cognition is discussed further in 3b below.)

Many commentators have found these arguments less than satisfying because they depend on the questionable assumption that if the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time are a priori they thereby cannot be properties of things in themselves. “Why can’t it be both?” many want to ask. A stronger argument appears in Kant’s discu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inomies of Pure Reason (discussed below, 2g2). There Kant argues that if space and time were things in themselves or even properties of things in themselves, then one could prove that space and time both are and are not infinitely large, and that matter in space both is and is not infinitely divisible. In other words, the assumption that space and time are transcendentally real instead of transcendentally ideal leads to a contradiction, and thus space and time must be transcendentally ideal.

ii. Appearances and Things in Themselves

How Kant’s distinction between appearances and things in themselves should be understood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opics in the literature. It is a question of central importance because how one understands this distinction determines how one will understand the entire nature of Kantian idealism. The following briefly summarizes the main interpretive options, but it does not take a stand on which is correct.

"두 세계"해석에 따르면, 외모와 사물 자체의 구별은 형이상학 적, 존재론적 용어로 이해되어야한다. 외관 (따라서 우리가 경험하는 전체 물리적 세계)은 하나의 엔티티 세트를 구성하며, 사물 자체는 존재론적으로 별개의 엔티티 집합입니다. 비록 사물 그 자체가 어떻게 든 우리에게 외모의 경험을 갖게 할 수도 있지만, 우리가 경험하는 외모는 그 자체로 사물이 아닙니다.

"하나의 세계"또는 "두 측면"해석에 따르면, 외모와 사물 자체의 구별은 인식 론적 용어로 이해되어야한다. 외모는 존재론적으로 그 자체로 사물과 똑같은 것이며, "그 자체로"라는 문구는 단순히 "인간 지각자와의 인식론적 관계의 관점에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세계의 해석에 대한 공통적 인 반대는 칸트의 이론을 버클리의 비물질주의 이상주의 (칸트가 격렬하게 거리를 두려고 시도한 협회)와 너무 유사하게 만들 수 있으며, 칸트가 다른 인식론적 관점의 관점에서 외모 / 사물 그 자체의 구별에 대한 빈번한 특성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의 세계 해석에 대한 공통적 인 반대는 칸트 이론의 혁명적 측면 중 일부를 사소한 것으로 만들 수 있으며, 겉으로보기에는 형이상학 적 용어로 외관 / 사물 그 자체의 구별에 대한 칸트의 빈번한 특성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두 가지 옵션 사이의 중간 인 해석에 대한 시도가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칸트가 단지 하나의 세계만을 인정하지만, 외모 / 사물 자체의 구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이상학적이며, 단지 인식론적 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e. 범주의 공제

칸트는 공간과 시간의 이상성과 외모와 사물 자체의 구별을 확립 한 후, 외모의 필요한 특징에 대한 선험적 인식을 갖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보여줍니다. 외모를 인식하는 것은 그들의 합리적인 형태 (공간과 시간)에 대한 단순한 지식 이상을 필요로합니다. 또한 특정 개념 (예 : 인과 관계 개념)을 외모에 적용 할 수 있어야합니다. 칸트는 사물에 대해 "순수한 이해의 개념"또는 "범주"로 생각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식별합니다.

총 열두 가지 범주가 있으며 세 가지 범주로 구성된 네 그룹으로 나뉩니다.

"범주의 초월적 추론"이라는 제목의 장의 임무는 이러한 범주가 경험의 대상이 될 수있는 모든 대상에 어떤 식 으로든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어야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초월적 추론의 논증은 비평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이지만, 또한 이 책에서 가장 어렵고 복잡하며 논쟁의 여지가 있는 논쟁 중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여기서 인수를 자세히 재구성 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공제에서 칸트의 가장 중요한 주장과 움직임이 설명됩니다.

Kant’s argument turns on conceptions of self-consciousness (or what he calls “apperception”) as a condition on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the world as a unified whole. Kant takes it to be uncontroversial that we can be aware of our representations as our representations. It is not just that I can have the thoughts ‘P’ or ‘Q’; I am also always able to ascribe these thoughts to myself: ‘I think P’ and ‘I think Q’. Further, we are also able to recognize that it is the same I that does the thinking in both cases. Thus, we can recognize that ‘I think both P and Q’. In general, all of our experience is unified because it can be ascribed to the one and same I, and so this unity of experience depends on the unity of the self-conscious I. Kant next asks what conditions must obtain in order for this unity of self-consciousness to be possible. His answer is that we must be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I that does the thinking and the object that we think about. That is, we must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in our experience. If we could not make such a distinction, then all experience would just be so many disconnected mental happenings: everything would be subjective and there would be no “unity of apperception” that stands over and against the various objects represented by the I. So next Kant needs to explain how we are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of experience. His answer is that a representation is objective when the subject is necessitated in representing the object in a certain way, that is, when it is not up to the free associative powers of my imagination to determine how I represent it. For instance, whether I think a painting is attractive or whether it calls to mind an instance from childhood depends on the associative activity of my own imagination; but the size of the canva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igments is not up to me: insofar as I represent these as objective features of the painting, I am necessitated in representing them in a certain way. In order for a representational content to be necessitated in this way, according to Kant, is for it to be subject to a “rule.” The relevant rules that Kant has in mind are the conditions something must satisfy in order for it to be represented as an object at all. And these conditions are precisely the concepts laid down in the schema of the categories, which are the concepts of an “object in general.” Hence, if I am to have experience at all, I must conceptualize objects in terms of the a priori categories.

Kant’s argument in the Deduction is a “transcendental argument”: Kant begins with a premise accepted by everyone, but then asks what conditions must have been met in order for this premise to be true. Kant assumed that we have a unified experience of the many objects populating the world. This unified experience depends on the unity of apperception. The unity of apperception enables the subject to distinguish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in experience. This ability, in turn, depends on representing objects in accordance with rules, and the rules in question are the categories. Hence, the only way we can explain the fact that we have experience at all is by appeal to the fact that the categories apply to the objects of experience.

초월적 추론의 결론이 얼마나 급진적인지 강조할 가치가 있다. 칸트는 모든 자연이 범주에 의해 규정 된 규칙의 적용을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자신을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범주는 선험적입니다 : 그들은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자연 세계에서 만나는 질서와 규칙성이 자연과 질서에 대한 마음 자신의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월적 추론의 결론은 초월적 미학의 결론과 유사하다: 후자는 감성의 형태(공간과 시간)가 마음에서 기원하고 세상에 부과된다는 것을 보여줬던 곳에서, 전자는 이해의 형태들(범주들)이 또한 마음에서 기원하고 세상에 부과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f. 경험 이론

초월적 추론은 우리가 경험에서 범주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또한 우리가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음 일련의 장들(함께 원리들의 분석(Analytic of Principles)이라고 불림)에서 칸트는 추론의 결과를 활용하고 경험의 모든 가능한 대상들이 복종해야 하는 초월적으로 필요한 법칙들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시도한다. 그는 이것을 "순수한 이해의 원리"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원리들은 위에서 정의한 의미에서 선험적으로 합성되며(2b 참조), 경험의 가능성에 대한 초월적 조건들이다.

처음 두 가지 원칙은 수량과 질의 범주에 해당합니다. 첫째, 칸트는 경험의 모든 대상은 확정된 공간적 형태와 크기, 그리고 확정된 시간적 지속기간(공간적 결정력이 없는 정신적 대상은 제외)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칸트는 모든 경험의 대상은 대상의 광범위한 크기를 채우는 "물질"을 포함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는 "집중적 인 규모"로 묘사 될 수 있어야합니다. 광범위한 크기는 물체의 직감 (표현의 형태)을 통해 표현되고 집중적 인 크기는 직감 (표현의 문제)을 채우는 감각으로 표현됩니다.

다음 세 가지 원리는 경험의 유추(Analogies of Experience)라고 불리는 중요하고 긴 장에서 논의된다. 그들은 관계형 범주에서 파생됩니다 : 물질, 인과 관계 및 공동체. 첫 번째 비유에 따르면, 경험은 항상 물질로 표현되어야하는 대상을 포함 할 것입니다. 여기서 "물질"은 영구적으로 "지층"으로 지속되고 비영구적 인 "사고"를 지닌 물체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합니다. 두 번째 비유에 따르면, 모든 사건에는 원인이 있어야합니다. 한 사건은 두 번째 사건이 규칙에 따라 첫 번째 사건을 따를 때 다른 사건의 원인이라고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 유추 (처음 두 가지를 전제로)에 따르면, 모든 물질은 서로 상호 작용의 관계에 서 있습니다. 즉, 두 조각의 물질 물질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서로에게 어느 정도의 인과 적 영향을 미칩니다.

The principles of the Analogies of Experience are important metaphysical principles, and if Kant’s arguments for them are successful, they mark significant advances in the metaphysical investigation of nature. The First Analogy is a form of the principle of the conservation of matter: it shows that matter can never be created or annihilated by natural means, it can only be altered. The Second Analogy is a version of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applied to experience (causes being sufficient reasons for their effects), and it represents Kant’s refutation of Hume’s skepticism regarding causation. Hume had argued that we can never have knowledge of necessary connections between events; rather, we can only perceive certain types of events to be constantly conjoined with other types of events. In arguing that events follow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rules, Kant has shown how we can have knowledge of necessary connections between events above and beyond their mere constant conjunction. Lastly, Kant probably intended the Third Analogy to establish a transcendental, a priori basis for something like Newton’s law of universal gravitation, which says that no matter how far apart two objects are they will exert some degree of gravitational influence on each other.

The Postulates of Empirical Thinking in General contains the final set of principles of pure understanding and they derive from the modal categories (possibility, actuality, necessity). The Postulates define the different ways to represent the modal status of objects, that is, what it is for an object of experience to be possible, actual, or necessary.

The most important passage from the Postulates chapter is the Refutation of Idealism, which is a refutation of external world skepticism that Kant added to the 1787 edition of the Critique. Kant had been annoyed by reviews of the first edition that unfavorably compared his transcendental idealism with Berkeley’s immaterialist idealism. In the Refutation, Kant argues that his system entails not just that an external (that is, spatial) world is possible (which Berkeley denied), but that we can know it is real (which Descartes and others questioned). Kant’s argumentative strategy in the Refutation is ingenious but controversial. Where the skeptics assume that we have knowledge of the states of our own minds, but say that we cannot be certain that an external world corresponds to these states, Kant turns the tables and argues that we would not have knowledge of the states of our own minds (specifically, the temporal order in which our ideas occur) if we were not simultaneously aware of permanent substances in space, outside of the mind. The precise structure of Kant’s argument, as well as the question how successful it is, continues to be a matter of heated debate in the literature.

g. 초월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

칸트의 경험 이론의 가장 중요한 결론 중 하나는 우리가 경험할 때 세계가 경험의 가능성에 대한 조건에 부합하기 때문에 세계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칸트는 그 대상이 경험에서 주어질 수 있는 경우에만 대상에 대한 지식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 주체의 인식론적 조건의 이러한 측면은 우리가 지식을 갖고 싶지만 할 수 없는 중요한 탐구 영역이 있다는 것을 수반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칸트는 초월적 형이상학, 즉 경험적 세계의 일부가 아닌 "초감각적인" 대상들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철학적 막다른 골목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참고 : 칸트의 "초월적"과 "초월적"이라는 용어 사이에는 미묘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초월적"은 경험의 가능성에 대한 조건을 묘사합니다. "초월적"은 사물의 "명사"영역에서 알 수없는 물체를 묘사합니다.)

칸트는 형이상학적 탐구의 기본 개념을 "관념"이라고 부른다. 체험에서 주어질 수 있는 가능한 대상에 해당하는 이해의 개념과는 달리, 관념은 이성의 개념이며, 가능한 체험의 대상과 일치하지 않는다. 칸트가 초월적 변증법에서 관심을 갖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관념은 영혼, 세상(전체성으로 간주됨), 그리고 하느님이다. 이러한 이성의 관념에 대한 특이한 점은 이성이 이러한 관념들에 대응하는 대상들을 상정하는 바로 그 구조에 의해 주도된다는 것이다. 이성의 임무는 인식을 체계적 전체로 통합하는 것이며, 이러한 체계적인 통일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영혼과 세계와 하나님에 대한 이러한 관념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기 때문에 이것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칸트는 이러한 관념에 상응하는 체험할 수 없고 따라서 알 수 없는 대상들을 "초월적 환상"으로 상정하려는 이성의 피할 수 없는 경향을 언급한다.

칸트는 초월적 환상에 대한 그의 분석과 초월적 형이상학에 대한 그의 비판을 순수 이성 비판의 후반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초월적 변증법"이라는 제목의 일련의 장에서 제시한다. 이 섹션에서는 변증법에서 칸트의 가장 중요한 주장을 요약합니다.

i. 영혼 (순수한 이성의 패러로지즘)

칸트는 영혼의 형이상학 - 그가 "합리적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탐구 - 순수한 이성의 Paralogisms에서 다룹니다. 칸트가 묘사한 합리적 심리학은 단순한 명제인 "나는 생각한다"는 분석을 통해 영혼의 본질에 관한 형이상학적 논제를 증명하려는 시도이다. 칸트의 합리주의 전임자들과 동시대 인 중 많은 사람들은 "나는 생각한다"라는 명제에서 "나"의 개념에 대한 반성은 내가 필연적으로 물질 (나는 영혼이라는 것을 의미 할 것이다), 분리 할 수없는 통일성 (일부는 영혼의 불멸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할 것), 자기 동일성 (개인 정체성에 관한 질문과 관련이 있음)임을 나타낼 것이라고 생각했다. 외부 세계와 구별됩니다 (외부 세계 회의론으로 이어질 수 있음). 칸트는 그러한 추론이 초월적 환상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Transcendental illusion in rational psychology arises when the mere thought of the I in the proposition “I think” is mistaken for a cognition of the I as an object. (A cognition involves both intuition and concept, while a mere thought involves only concept.) For instance, consider the question whether we can cognize the I as a substance (that is, as a soul). On the one hand, something is cognized as a substance when it is represented only as the subject of predication and is never itself the predicate of some other subject. The I of “I think” is always represented as subject (the I’s various thoughts are its predicates). On the other hand, something can only be cognized as a substance when it is given as a persistent object in an intuition (see 2f above), and there can be no intuition of the I itself. Hence although we cannot help but think of the I as a substantial soul, we can never have cognition of the I as a substance, and hence knowledge of the existence and nature of the soul is impossible.

ii. The World (Antinomies of Pure Reason)

The Antinomies of Pure Reason deal with “rational cosmology,” that is, with metaphysical inquiry into the nature of the cosmos considered as a totality. An “antinomy” is a conflict of reason with itself. Antinomies arise when reason seems to be able to prove two opposed and mutually contradictory propositions with apparent certainty. Kant discusses four antinomies in the first Critique (he uncovers other antinomies in later writings as well). The First Antinomy shows that reason seems to be able to prove that the universe is both finite and infinite in space and time. The Second Antinomy shows that reason seems to be able to prove that matter both is and is not infinitely divisible into ever smaller parts. The Third Antinomy shows that reason seems to be able to prove that free will cannot be a causally efficacious part of the world (because all of nature is deterministic) and yet that it must be such a cause. And the Fourth Antinomy shows that reason seems to be able to prove that there is and there is not a necessary being (which some would identify with God).

In all four cases, Kant attempts to resolve these conflicts of reason with itself by appeal to transcendental idealism. The claim that space and time are not features of things in themselves is used to resolve the First and Second Antinomies. Since the empirical world in space and time is identified with appearances, and since the world as a totality can never itself be given as a single appearance, there is no determinate fact of the matter regarding the size of the universe: It is neither determinately finite nor determinately infinite; rather, it is indefinitely large. Similarly, matter has neither simplest atoms (or “monads”) nor is it infinitely divided; rather, it is indefinitely divisible.

외모와 사물 자체의 구별은 세 번째와 네 번째 안티노미를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비록 외모의 영역 안에서 경험되는 모든 경험적 사건이 결정론적 자연적 원인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가 사물 그 자체의 수준에서 인과적으로 효과적인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적어도 논리적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비록 출현의 영역 안에서 경험되는 모든 경험적 대상이 끊임없이 존재하는 실체이지만, 출현의 영역 안에 우발적 존재들의 실존을 근거로 하는 출현의 영역 밖에 필요한 존재가 있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가능하다. 칸트는 초월적 자유의지 또는 초월적 필요한 존재의 존재를 입증한다고 주장하지 않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칸트는 사물 자체에 대한 지식의 가능성을 부인한다. 대신, 칸트는 그러한 실체의 존재가 논리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만 자신을 취한다. 그러나 그의 도덕 이론에서 칸트는 자유의 실재성에 대한 논거를 제시할 것이다(아래 5c 참조).

iii. God (Ideal of Pure Reason)

The Ideal of Pure Reason addresses the idea of God and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e the existence of God. The argumentation in the Ideal of Pure Reason was anticipated in Kant’s The Only Possible Argument in Support of the Existence of God (1763), making this aspect of Kant’s mature though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mnants of the pre-critical period.

Kant identifies the idea of God with the idea of an ens realissimum, or “most real being.” This most real being is also considered by reason to be a necessary being, that is, something which exists necessarily instead of merely contingently. Reason is led to posit the idea of such a being when it reflects on its conceptions of finite beings with limited reality and infers that the reality of finite beings must derive from and depend on the reality of the most infinitely perfect being. Of course, the fact that reason necessarily thinks of a most real, necessary being does not entail that such a being exists. Kant argues that there are only three possible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such a being, and that none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ontolog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versions of which were proposed by St. Anselm (1033-1109) and Descartes (1596-1650), among others), God is the only being whose essence entails its existence. Kant famously objects that this argument mistakenly treats existence as a “real predicate.” According to Kant, when I make an assertion of the form “x is necessarily F,” all I can mean is that “if x exists, then x must be F.” Thus when proponents of the ontological argument claim that the idea of God entails that “God necessarily exists,” all they can mean is that “if God exists, then God exists,” which is an empty tautology.

Kant also offers lengthy criticisms of the cosmological argument (the existence of contingent beings entails the existence of a necessary being) and the physico-theological argument,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the “argument from design” (the order and purposiveness in the empirical world can only be explained by a divine creator). Kant argues that both of these implicitly depend on the argumentation of the ontological argument pertaining to necessary existence, and since it fails, they fail as well.

Although Kant argues in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that we cannot have cognition of the soul, of freedom of the will, nor of God, in his ethical writings he will complicate this story and argue that we are justified in believing in these things (see 5c below).

3. Philosophy of Mathematics

The distinction between analytic and synthetic judgments (see 2b above)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Kant’s theory of mathematics. Recall that an analytic judgment is one where the truth of the judgment depends onl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used in the judgment. The truth of a synthetic judgment, by contrast, requires that an object be “given” in sensibility and that the concepts used in the judgment be combined in the object. In these terms, most of Kant’s predecessors took mathematical truths to be analytic truths. Kant, by contrast argued that mathematical knowledge is synthetic. It may seem surprising that one’s knowledge of mathematical truths depends on an object being given in sensibility, for we surely don’t arrive at mathematical knowledge by empirical means. Recall, however, that a judgment can be both synthetic yet a priori. Like the judgments of the necessary structures of experience, mathematics is also synthetic a priori according to Kant.

To make this point, Kant considers the proposition ‘7+5=12’. Surely, this proposition is a priori: I can know its truth without doing empirical experiments to see what happens when I put seven things next to five other things. More to the point, ‘7+5=12’ must be a priori because it is a necessary truth, and empirical judgments are always merely contingent according to Kant. Yet at the same time, the judgment is not analytic because, “The concept of twelve is by no means already thought merely by my thinking of that unification of seven and five, and no matter how long I analyze my concept of such a possible sum I will still not find twelve in it” (B15).

수학적 지식이 합성이라면, 그것은 감성으로 주어진 대상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선험적 인 경우,이 객체는 경험적이지 않은 객체 여야합니다. 칸트는 여기서 어떤 종류의 물건을 염두에 두고 있는가? 대답은 순수한 형태의 직관 (공간과 시간)에 대한 칸트의 이론에 있습니다. 직관은 개별 객체의 단수적이고 즉각적인 표현이라는 것을 상기하십시오 (위의 2c 참조). 경험적 직관은 감각을 통해 합리적인 대상을 나타내지만, 순수한 관은 공간과 시간에 대한 선험적 표현입니다. 공간과 시간에 대한 이러한 순수한 직관은 칸트가 순수한 직감에서 개념의 "구성"이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수학의 대상을 제공합니다. 그가 말했듯이, "개념을 구성한다는 것은 선험적으로 그것에 상응하는 직감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A713 / B741). 수학적 개념 (예 : '삼각형')은 해당 개념에 해당하는 객체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규칙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각형'이 '입체, 이차원 모양'으로 정의되면 세 개의 선이 모여 이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상상할 때 순수한 직감으로 삼각형을 구성합니다. 직관의 이러한 순수한 구조는 (합성, 선험적) 수학적 지식에 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삼각형의 각도는 180도까지 합산한다'는 명제를 고려하십시오. '삼면, 이차원 모양'규칙에 따라 직감으로 삼각형을 구성 할 때 구성된 삼각형은 실제로 180도까지의 각도를 갖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내가 만든 특정 삼각형 (등각형, 비늘 등)에 관계없이 사실 일 것입니다. 칸트는 모든 수학적 지식이 이런 식으로 도출된다고 주장한다 : 나는 개념을 취하고, 순수한 직관으로 그것을 구성하고, 건설 된 직관의 어떤 특징이 필연적으로 그것에 대해 사실인지 결정한다.

4. 자연과학

순수한 이론 철학에 대한 그의 연구 외에도, 칸트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자연 과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의 중요한 과학적 공헌의 대부분은 물리 과학 (적절한 물리학뿐만 아니라 지구 과학 및 우주론을 포함)에 있었다. 심판의 힘에 대한 비판 (1790)에서 그는 또한 생물학적 실체 연구의 철학적 기초에 대한 긴 토론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칸트는 지식의 몸체가 수학적 묘사와 "직관에서 선험적으로 제시"될 수있는 선험적 원리 (4 : 471)를 인정할 수 있다면 진정한 의미의 과학으로 간주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칸트는 경험적 심리학이 진정한 과학에 도달할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칸트는 심지어 "화학은 체계적인 예술이나 실험적 교리에 지나지 않을 수 있지만, 결코 적절한 과학이 될 수 없다"(4:471)고 생각하기도 했다.

이 섹션에서는 주로 칸트의 물리학 (4a)에 초점을 맞추지 만 칸트의 다른 과학적 공헌 (4b)도 나열합니다.

a. 물리학

물리적 이론에 대한 칸트의 관심은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그의 첫 번째 출판 된 작품 인 살아있는 힘의 진정한 추정에 대한 생각 (1749)은 물리학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탐구였으며, 움직이는 물체의 힘을 정량화하는 방법에 관한 라이프니츠와 데카르트 인들 사이의 "vis viva"( "살아있는 힘") 논쟁에 들어갔다 (대부분의 경우, 칸트는 라이프니지 인들의 편을 들었다). 몇 년 후, 칸트는 물리학의 다른 근본적인 질문을 다룬 Physical Monadology (1756)를 썼다 (위의 2a 참조).

칸트의 성숙한 물리 이론은 자연 과학의 형이상학 적 기초 (1786)에서 가장 완전한 형태로 제시됩니다. 이 이론은 순수한 이성의 비판 (위의 2f 참조)에 명시된 초월적 경험 이론의 결과와 결과로 이해 될 수 있습니다. 비평이 모든 가능한 체험 대상들이 따라야 하는 필요한 개념적 형태들을 보여줬던 곳에서, 형이상학적 기초들은 이 대상들의 물리적 구성이 정확히 어떠해야 하는지를 더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비평으로부터의 경험 이론과의 연속성은 형이상학 기초의 구조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 칸트의 경험 이론이 네 가지 범주 (양, 질, 관계, 양식)에 해당하는 네 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졌던 것처럼, 형이상학 재단의 몸체도 같은 선을 따라 나뉘어져 있습니다.

물리적 모나드학의 이론과 마찬가지로, 형이상학 기초는 물질적 물질이 매력과 반발력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성되는 물질에 대한 "역동적인"이론을 제시합니다. 기본 아이디어는 물질 물질의 각 부피가 다른 양의 물질 (이것은 반발력)을 확장하고 밀어내는 무차별 한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의 각 부피는 수축하고 다른 양의 물질을 끌어 들이는 무차별 한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매력적인 힘입니다). 반발력은 신체의 견고성과 침투 불가능을 설명하는 반면, 매력적인 힘은 중력 (그리고 아마도 자기 인력과 같은 현상)을 설명합니다. 또한, 주어진 양의 물질은 결정적인 정도까지 이러한 힘을 가질 것입니다 : 볼륨의 물질은 다소 반발적이고 다소 매력적 일 수 있습니다. 물질의 매력과 반발력의 비율은 신체가 얼마나 조밀한지를 결정합니다. 이런 점에서 칸트의 이론은 그의 기계론적 전임자들의 이론과는 확연히 단절된 것이다. (기계론자들은 모든 물리적 현상이 물질체의 크기, 모양 및 속도에 호소함으로써 설명 될 수 있다고 믿었다.) 데카르트 인들은 밀도에 진정한 차이가 없으며 밀도 차이의 출현은 신체의 다공성에 호소함으로써 설명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원자 학자들은 밀도가 주어진 부피에서 공극에 대한 원자의 비율의 차이에 의해 설명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이 두 이론 모두에 대해, 물질 물질 (기공이없고, 공극이 없음)으로 완전히 채워진 부피가있을 때마다, 질량을 부피로 나눌 수있는 값은 하나뿐입니다. 칸트의 이론에 따르면, 대조적으로, 같은 크기의 두 권은 물질로 완전히 채워질 수 있지만 물질의 양 (질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밀도가 다릅니다 (질량을 부피로 나눕니다). 칸트의 이론이 데카르트인들과 원자론자들과 상충되는 또 다른 결과는 물질이 탄성적이어서 압축될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이었다: 물질의 양은 변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동안 물질의 완전히 채워진 부피는 감소될 수 있다(따라서 그것은 더 밀도가 높아질 것이다). 데카르트인들과 원자학자들은 이것을 불가능하다고 여겼다.

At the end of his career, Kant worked on a project that was supposed to comple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physics. Among other things, Kant attempted to give a transcendental, a priori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a ubiquitous “ether” that permeates all of space. Although Kant never completed a manuscript for this project (due primarily to the deterioration of his mental faculties at the end of his life), he did leave behind many notes and partial drafts. Many of these notes and drafts have been edited and published under the title Opus Postumum. 

b. Other Scientific Contributions

In addition to his major contributions to physics, Kant published various writings addressing different issues in the natural sciences. Early on he showe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geology and earth science, as evidenced by the titles of some of his shorter essays: The question, Whether the Earth is Ageing, Considered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1754); On the Causes of Earthquakes on the Occasion of the Calamity that Befell the Western Countries of Europe Towards the End of Last Year (1756); Continued Observations on the Earthquak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for Some Time (1756); New Notes to Explain the Theory of the Winds, in which, at the Same Time, He Invites Attendance to his Lectures (1756).

In 1755, he wrote the Succinct Exposition of Some Meditations on Fire (which he submitted to the university as a Master’s Thesis). There he argued, against the Cartesian mechanists, that physical phenomena such as fire can only be explained by appeal to elastic (that is, compressible) matter, which anticipated the mature physics of his Metaphysical Foundations (see 4a above).

One of Kant’s most lasting scientific contributions came from his early work in cosmology. In his Universal Natural History and Theory of the Heavens (1755), Kant gave a mechanical explanation of the formation of the solar system and the galaxies in terms of the principles of Newtonian physics. (A shorter version of the argument also appears in The Only Possible Argument in Support of a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God from 1763.) Kant’s hypothesis was that a single mechanical process could explain why we observe an orbital motion of smaller bodies around larger ones at many different scales in the cosmos (moons around planets, planets around stars, and stars around the center of the galaxy). He proposed that at the beginning of creation, all matter was spread out more or less evenly and randomly in a kind of nebula. Since the various bits of matter all attracted each other through gravitation, bodies would move towards each other within local regions to form larger bodies. The largest of these became stars, and the smaller ones became moons or planets. Because everything was already in motion (due to the gravitational attraction of everything to everything), and because all objects would be pulled towards the center of mass of their local region (for example, the sun at the center of the solar system, or a planet at the center of its own smaller planetary system), the motion of objects within that region would become orbital motions (as described by Newton’s theory of gravity). Although the Universal Natural History was not widely read for most of Kant’s lifetime (due primarily to Kant’s publisher going bankrupt while the printed books remained in a warehouse), in 1796 Pierre-Simon Laplace (1749-1827) proposed a remarkably similar version of the same theory, and this caused renewed interest in Kant’s book. Today the theory is referred to as the “Kant-Laplace Nebular Hypothesis,” and a modified version of this theory is still held today.

Finally, in the second half of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1790), Kant discusse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biology by way of an analysis of teleological judgments. While in no way a fully worked out biological theory per se, Kant connects his account of biological cognition in interesting ways to other important aspects of his philosophical system. First, natural organisms are essentially teleological, or “purposive.” This purposiveness is manifested through the organic structure of the organism: its many parts all work together to constitute the whole, and any one part only makes sense in terms of its relation to the healthy functioning of the whole. For instance, the teeth of an animal are designed to chew the kind of food that the animal is equipped to hunt or forage and that it is suited to digest. In this respect, biological entities bear a strong analogy to great works of art. Great works of art are also organic insofar as the parts only make sense in the context of the whole, and art displays a purposiveness similar to that found in nature (see section 7 below). Second, Kan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biology with respect to theological cognition. While he denies that the apparent design behind the purposiveness of organisms can be used as a proof for God’s existence (see 2g3 above), he does think that the purposiveness found in nature provides a sort of hint that there is an intelligible principle behind the observable, natural world, and hence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all of nature is a rational one. In connection with his moral theory and theory of human history (see sections 5 and 6 below), Kant will argue that the teleology of nature can be understood as ultimately directed towards a culmination in a fully rational nature, that is, humanity in its (future) final form.

5. Moral Theory

Kant’s moral theory is organized around the idea that to act morally and to act in accordance with reason are one and the same. In virtue of being a rational agent (that is, in virtue of possessing practical reason, reason which is interested and goal-directed), one is obligated to follow the moral law that practical reason prescribes. To do otherwise is to act irrationally. Because Kant places his emphasis on the duty that comes with being a rational agent who is cognizant of the moral law, Kant’s theory is considered a form of deontology (deon– comes from the Greek for “duty” or “obligation”).

Like his theoretical philosophy, Kant’s practical philosophy is a priori, formal, and universal: the moral law is derived non-empirically from the very structure of practical reason itself (its form), and since all rational agents share the same practical reason, the moral law binds and obligates everyone equally. So what is this moral law that obligates all rational agents universally and a priori? The moral law is determined by what Kant refers to as the Categorical Imperative, which is the general principle that demands that one respect the humanity in oneself and in others, that one not make an exception for oneself when deliberating about how to act, and in general that one only act in accordance with rules that everyone could and should obey.

칸트는 도덕법이 모든 이성적인 행위자들에게 똑같이 구속력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는 또한 도덕법의 구속력이 스스로 부과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자율적으로 도덕법을 우리 자신에게 규정한다. 칸트는 여기서 문제가 되는 자율성의 종류는 초월적으로 자유로운 도덕적 선택의 전제 하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도덕법이 대리인에게 부여하는 제약은 의지의 자유와 일치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칸트의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우리의 도덕적으로 중요한 선택이 초월적 자유 (칸트가 단순한 "이론적"또는 "추측적"이유로 증명할 수 없다고 주장 한 바로 그 종류의 자유)에 근거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섹션은 칸트의 도덕 이론 (5a-b)의 구조와 내용을 설명하고, 자유, 하나님 및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믿음이 실용적인 이성의 "가정"이 필요하다는 칸트의 주장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5c). (칸트의 도덕 이론과 그의 미적 이론 사이의 관계에 관해서는 아래 7c 참조.)

a. 선의와 의무

칸트는 도덕의 형이상학을위한 기초 작업 (1785), 실용적인 이성의 비판 ( "두 번째 비평"이라고도 함, 1788) 및 도덕의 형이상학 (1797)에서 그의 도덕 이론에 대한 사례를 제시합니다. Groundwork의 그의 주장은 그의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다음은 주로 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칸트는 도덕 이론이 무조건적으로 선한 것에 대한 설명에 근거해야한다는 전제에서 그의 주장을 시작합니다. 어떤 것이 단지 조건부로 선한 것이라면, 즉 그 선함이 다른 것에 의존한다면, 그 다른 것은 단지 조건부로 좋은 것일 뿐이며, 이 경우 그 선함은 또 다른 것에 의존하거나, 무조건적으로 선할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선(善)은 궁극적으로 무조건적으로 선한 어떤 것으로 추적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좋은 것으로 생각하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그것은 진정으로 무조건적으로 좋은 것은 아닙니다. 돈이나 권력과 같은 유익한 자원은 종종 좋지만, 이러한 것들은 악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선함은 그들이 두는 사용에 조건부로 적용됩니다. 성격의 힘은 일반적으로 좋은 것이지만, 누군가가 악한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강한 성격을 사용한다면, 강한 성격은 좋지 않습니다. 칸트에 따르면 행복조차도 무조건적으로 좋은 것은 아니다. 모든 인간이 보편적으로 행복하기를 원하지만, 누군가가 행복하지만 행복을받을 자격이 없다면 (예를 들어, 그들의 행복은 노인에게서 훔친 결과이기 때문에), 그 사람이 행복하게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행복은 행복이 마땅하다는 조건에서만 좋다.

칸트는 무조건적으로 선하다고 간주 될 수있는 유일한 것이 있다고 주장한다 : 선의. 사람은 도덕법에 대한 자의식적 존중, 즉 합리적인 대리인이해야 할 일에 관한 규칙, 자신의 의무에 대한 자기 의식적 존중에 기초하여 자신의 의도를 형성하는 한 선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선의의 가치는 그것이 그 의도를 형성하는 원칙에 있습니다. 그것은 의도가 초래하는 행동의 결과에 놓여 있지 않습니다. 선의가 결코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더라도 이것은 사실입니다 : "비록 ... 이것은 그 목적을 수행 할 수있는 능력이 전적으로 부족해야합니다 ... 그러면 보석처럼 그 자체로 그 자체로 빛을 발할 것입니다"(4:393). 이것은 선의의 무조건적인 선(善)에 대한 칸트의 강조와 일치한다: 의지가 그 결과의 관점에서 평가된다면, 의지의 선함은 그 결과에 의존할 것이다(즉, 조건화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칸트의 의무론은 결과론적 도덕 이론에 정면으로 반대하고 있는데, 이는 그들의 도덕적 평가가 그 배후의 의도보다는 행동의 결과에 기초한다.)

b. 범주적 명령형

선의가 올바른 행동 원칙에 기초하여 그 의도를 형성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이것이 어떤 종류의 원칙인지 알고 싶습니다. 행동을 명령하는 원리를 "명령"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명령들은 "가설적인 명령들", 즉 특정 조건들이 충족될 때에만 유지되는 명령들이다. 예를 들어, "성공적인 가게 주인이되고 싶다면 정직에 대한 명성을 쌓으십시오." 가설적인 명령들은 욕망과 행동의 의도된 결과에 조건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은 무조건적으로 선의의 의도와 의지를 결정하는 원리로서 봉사할 수 없다. 대신, 우리는 칸트가 "범주적 명령"이라고 부르는 것을 요구한다. 가상의 명령들이 "y가 원하는/의도된/추구된다면, x를 행하라"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 범주적 명령들은 단순히 "do x"라는 형태를 취한다. 범주적 명령형은 행동의 결과에 대한 모든 언급을 박탈당하기 때문에, 그럼으로써 모든 확정된 내용을 박탈당하고, 따라서 그것은 순전히 형식적이다. 그리고 그것은 무조건적이기 때문에, 그것은 보편적으로 유지됩니다. 그러므로 범주적 명령서는 보편적으로 구속력이 있는 율법의 바로 그 형태만을 표현한다: "보편적 법칙과 같은 행위의 순응 외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4:402). 그러므로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보편적 인 행동 원칙에 대한 바로 그 생각에 기초하여 자신의 의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범주적 명령성에 대한 이러한 개념은 칸트로 하여금 범주적 명령적 그 자체에 대한 그의 첫 번째 공식적인 공식화로 이끈다: "너희가 동시에 보편적인 법칙이 될 수 있는 그 격언에 따라서만 행동하라"(4:421). 격언은 특정 상황에서 특정 행동 과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일반적인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나를 곤경에서 벗어나게 할 때 거짓말을 할 것이다"라는 격언은 간음한 연락에 대해 거짓말을 하기로 한 결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범주적 명령형은 주어진 행동 방침이 도덕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절차를 제공한다. 문제의 행동을 기반으로 어떤 격언을 할 것인지 결정한 후, (상상의 가상의 시나리오에서) 힘을 감안할 때 모든 사람이 동일한 격언에 따라 행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지 묻습니다. 모든 사람이 그 격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고려중인 행동은 도덕적으로 허용됩니다. 모든 사람이 그 격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그 행동은 도덕적으로 용납 될 수 없습니다. 간음을 은폐하기 위해 거짓말하는 것은 모든 사람이 격언에 따라 행동하도록 할 수 없기 때문에 부도덕합니다. 모든 사람이 그 격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이 그 격언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모두가 알 것이기 때문에, 아무도 진실을 말하고 있다는 전제는 결코 없을 것입니다. 물론 거짓말의 바로 그 행위는 거짓말을하는 사람의 편에서 그러한 전제를 필요로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이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상황은 결코 일어날 수 없으므로, 보편적인 법칙이 될 의지가 있을 수 없다. 범주형 명령의 테스트에 실패합니다.

The point of Kant’s appeal to the universal law formu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is to show that an action is morally permissible only if the maxim on which the action is based could be affirmed as a universal law that everyone obeys without exception. The mark of immorality, then, is that one makes an exception for oneself. That is, one acts in a way that they would not want everyone else to. When someone chooses to lie about an adulterous liaison, one is implicitly thinking, “in general people should tell the truth, but in this case I will be the exception to the rule.”

Kant’s first formu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describes it in terms of the very form of universal law itself. This formal account abstracts from any specific content that the moral law might have for living, breathing human beings. Kant offers a second formulation to address the material side of the moral law. Since the moral law has to do with actions, and all actions are by definition teleological (that is, goal-directed), a material formu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will require an appeal to the “ends” of human activity. Some ends are merely instrumental, that is, they are sought only because they serve as “means” towards further ends. Kant argues that the moral law must be aimed at an end that is not merely instrumental, but is rather an end in itself. Only rational agents, according to Kant, are ends in themselves. To act morally is thus to respect rational agents as ends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categorical imperative can be reformulated as follows: “So act that you use humanity, whether in your own person or in the person of any other,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 never merely as a means” (4:429). The basic idea here is that it is immoral to treat someone as a thing of merely instrumental value; persons have an intrinsic (non-instrumental) value, and the moral law demands that we respect this intrinsic value. To return to the example of the previous paragraphs, it would be wrong to lie about an adulterous liaison because by withholding the truth one is manipulating the other person to make things easier for oneself; this sort of manipulation, however, amounts to treating the other as a thing (as a mere means to the comfort of not getting in trouble), and not as a person deserving of respect and entitled to the truth.

The notion of a universal law provides the form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and rational agents as ends in themselves provide the matter. These two sides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are combined into yet a third formulation, which appeals to the notion of a “kingdom of ends.” A kingdom of ends can be thought of as a sort of perfectly just utopian ideal in which all citizens of this kingdom freely respect the intrinsic worth of the humanity in all others because of an autonomously self-imposed recognition of the bindingness of the universal moral law for all rational agents. The third formu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is simply the idea that one should act in whatever way a member of this perfectly just society would act: “act in accordance with the maxims of a member giving universal laws for a merely possible kingdom of ends” (4:439). The idea of a kingdom of ends is an ideal (hence the “merely possible”). Although humanity may never be able to achieve such a perfect state of utopian coexistence, we can at least strive to approximate this state to an ever greater degree.

c. Postulates of Practical Reason

In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had argued that although we can acknowledge the bare logical possibility that humans possess free will, that there is an immortal soul, and that there is a God, he also argued that we can never have positive knowledge of these things (see 2g above). In his ethical writings, however, Kant complicates this story. He argues that despite the theoretical impossibility of knowledge of these objects, belief in them is nevertheless a precondition for moral action (and for practical cognition generally). Accordingly, freedom, immortality, and God are “postulates of practical reason.” (The following discussion draws primarily o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We will start with freedom. Kant argues that morality and the obligation that comes with it are only possible if humans have free will. This is because the universal laws prescribed by the categorical imperative presuppose autonomy (autos = self; nomos = law). To be autonomous is to be the free ground of one’s own principles, or “laws” of action. Kant argues that if we presuppose that humans are rational and have free will, then his entire moral theory follows directly. The problem, however, lies in justifying the belief that we are free. Kant had argued in the Second Analogy of Experience that every event in the natural world has a “determining ground,” that is, a cause, and so all human actions, as natural events, themselves have deterministic causes (see 2f above). The only room for freedom of the will would lie in the realm of things in themselves, which contains the noumenal correlate of my phenomenal self. Since things in themselves are unknowable, I can never look to them to get evidence that I possess transcendental freedom. Kant gives at least two arguments to justify belief in freedom as a precondition of his moral theory. (There is a great deal of controversy among commentators regarding the exact form of his arguments, as well as their success. It will not be possible to adjudicate those disputes in any detail here. See Section 10 (References and Further Readings) for references to some of these commentaries.)

In the Groundwork, Kant suggests that the presupposition that we are free follows as a consequence of the fact that we have practical reason and that we think of ourselves as practical agents. Any time I face a choice that requires deliberation, I must consider the options before me as really open. If I thought of my course of action as already determined ahead of time, then there would not really be any choice to make. Furthermore, in taking my deliberation to be real, I also think of the possible outcomes of my actions as caused by me. The notion of a causality that originates in the self is the notion of a free will. So the very fact that I do deliberate about what actions I will take means that I am presupposing that my choice is real and hence that I am free. As Kant puts it, all practical agents act “under the idea of freedom” (4:448). It is not obvious that this argument is strong enough for Kant’s purposes. The position seems to be that I must act as though I am free, but acting as though I am free in no way entails that I really am free. At best, it seems that since I act as though I am free, I thereby must act as though morality really does obligate me. This does not establish that the moral law really does obligate me.

In the Second Critique, Kant offers a different argument for the reality of freedom. He argues that it is a brute “fact of reason” (5:31) that the categorical imperative (and so morality generally) obligates us as rational agents. In other words, all rational agents are at least implicitly conscious of the bindingness of the moral law on us. Since morality requires freedom, it follows that if morality is real, then freedom must be real too. Thus this “fact of reason” allows for an inference to the reality of freedom. Although the conclusion of this argument is stronger than the earlier argument, its premise is more controversial. For instance, it is far from obvious that all rational agents are conscious of the moral law. If they were, how come no one discovered this exact moral law before 1785 when Kant wrote the Groundwork? Equally problematic, it is not clear why this “fact of reason” should count as knowledge of the bindingness of the moral law. It may just be that we cannot help but believe that the moral law obligates us, in which case we once again end up merely acting as though we are free and as though the moral law is real.

Again, there is much debate in the literature about the structure and success of Kant’s arguments. It is clear, however, that the success of Kant’s moral project stands or falls with his arguments for freedom of the will, and that the overall strength of this theory is determined to a high degree by the epistemic status of our belief in our own freedom.

Kant’s arguments for immortality and God as postulates of practical reason presuppose that the reality of the moral law and the freedom of the will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y also depend on the principle that “‘ought’ implies ‘can’”: one cannot be obligated to do something unless the thing in question is doable. For instance, there is no sense in which I am obligated to single-handedly solve global poverty, because it is not within my power to do so. According to Kant, the ultimate aim of a rational moral agent should be to become perfectly moral. We are obligated to strive to become ever more moral. Given the “ought implies can” principle, if we ought to work towards moral perfection, then moral perfection must be possible and we can become perfect. However, Kant holds that moral perfection is something that finite rational agents such as humans can only progress towards, but not actually attain in any finite amount of time, and certainly not within any one human lifetime. Thus the moral law demands an “endless progress” towards “complete conformity of the will with the moral law” (5:122). This endless progress towards perfection can only be demanded of us if our own existence is endless. In short, one’s belief that one should strive towards moral perfection presupposes the belief i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addition to the “ought implies can” principle, Kant’s argument about belief in God also involves an elaboration of the notion of the “highest good” at which all moral action aims (at least indirectly). According to Kant, the highest good, that is, the most perfect possible state for a community of rational agents, is not only one in which all agents act in complete conformity with the moral law. It is also a state in which these agents are happy. Kant had argued that although everyone naturally desires to be happy, happiness is only good when one deserves to be happy. In the ideal scenario of a morally perfect community of rational agents, everyone deserves to be happy. Since a deserved happiness is a good thing, the highest good will involve a situation in which everyone acts in complete conformity with the moral law and everyone is completely happy because they deserve to be. Now since we are obligated to work towards this highest good, this complete, universal, morally justified happiness must be possible (again, because “ought” implies “can”). This is where a puzzle arises. Although happiness is connected to morality at the conceptual level when one deserves happiness, there is no natural connection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Our happiness depends on the natural world (for example, whether we are healthy, whether natural disasters affect us), and the natural world operates according to laws that are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laws of morality. Accordingly, acting morally is in general no guarantee that nature will make it possible for one to be happy. If anything, behaving morally will often decrease one’s happiness (for doing the right thing often involves doing the uncomfortable, difficult thing). And we all have plenty of empirical evidence from the world we live in that often bad things happen to good people and good things happen to bad people. Thus if the highest good (in which happiness is proportioned to virtue) is possible, then somehow there must be a way for the laws of nature to eventually lead to a situation in which happiness is proportioned to virtue. (Note that since at this point in the argument, Kant takes himself to have established immortality as a postulate of practical reason, this “eventually” may very well be far in the future). Since the laws of nature and the laws of morality are completely separate on their own, the only way that the two could come together such that happiness ends up proportioned to virtue would be if the ultimate cause and ground of nature set up the world in such a way that the laws of nature would eventually lead to the perfect state in question.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highest good requires the presupposition that the cause of the world is intelligent and powerful enough to set nature up in the right way, and also that it wills in accordance with justice that eventually the laws of nature will indeed lead to a state in which the happiness of rational agents is proportioned to their virtue. This intelligent, powerful, and just cause of the world is what traditionally goes by the name of “God.” Hence God is a postulate of practical reason.

6. Political Theory and Theory of Human History

Kant’s ethical theory emphasized reason, autonomy, and a respect for the humanity of others. These central aspects of his theory of individual moral choice are carried over to his theories of humanity’s history and of ideal political organization. This section covers Kant’s teleological history of the human race (6a), the basic elements of his political theory (6b), and his theory of the possibility of world peace (6c).

a. Human History and the Age of Enlightenment

Kant’s socio-political philosophy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humanity, of its teleology, and in terms of his particular time and place: Europe during the Enlightenment.

In his short essay “Idea for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Purpose” (1784), Kant outlines a speculative sketch of humanity’s history organized around his conception of the teleology intrinsic to the species. The natural purpose of humanity is the development of reason. This development is not something that can take place in one individual lifetime, but is instead the ongoing project of humanity across the generations. Nature fosters this goal through both human physiology and human psychology. Humans have no fur, claws, or sharp teeth, and so if we are to be sheltered and fed, we must use our reason to create the tools necessary to satisfy our needs. More importantly, at the cultural level, Kant argues that huma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an “unsocial sociability”: on the one hand, humans need to live with other humans and we feel incomplete in isolation; but on the other, we frequently disagree with each other and are frustrated when others don’t agree with us on important matters. The frustration brought on by disagreement serves as an incentive to develop our capacity to reason so that we can argue persuasively and convince others to agree with us.

By means of our physiological deficiencies and our unsocial sociability, nature has nudged us, generation by generation, to develop our capacity for reason and slowly to emerge from the hazy fog of pre-history up to the present. This development is not yet complete. Kant takes stock of where we were in his day, in late 18th c. Prussia) in his short, popular essay: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Enlightenment?” (1784). To be enlightened, he argues, is to determine one’s beliefs and 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ree use of one’s reason.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is humanity’s “emergence from its self-incurred immaturity” (8:35), that is, the emergence from an uncritical reliance on the authority of others (for example, parents, monarchs, or priests). This is a slow, on-going process. Kant thought that his own age was an age of enlightenment, but not yet a fully enlightened age.

The goal of humanity is to reach a point where all interpersonal interactions a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reason, and hence in accordance with the moral law (this is the idea of a kingdom of ends described in 5b above). Kant thinks that there are two significant conditions that must be in place before such an enlightened age can come to be. First, humans must live in a perfectly just society under a perfectly just constitution. Second, the nations of the world must coexist as an international federation in a state of “perpetual peace.” Some aspects of the first condition are discussed in 6b, and of the second in 6c.

b. Political Theory

Kant fullest articulation of his political theory appears in the “Doctrine of Right,” which is the first half of Metaphysics of Morals (1797). In line with his belief that a freedom grounded in rationality is what bestows dignity upon human beings, Kant organizes his theory of justice around the notion of freedom: “Any action is right if it can coexist with everyone’s freedom in accordance with a universal law, or if on its maxim the freedom of choice of each can coexist with everyone’s freedom in accordance with a universal law” (6:230). Implicit in this definition is a theory of equality: everyone should be granted the same degree of freedom. Although a state, through the passing and enforcing of laws, necessarily restricts freedom to some degree, Kant argues that this is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of equality of human freedom. This is because when the freedoms of all are unchecked (for example, in the state of nature, which is also a condition of anarchy), the strong will overpower the weak and infringe on their freedoms, in which case freedoms will not be distributed equally, contrary to Kant’s basic principle of right. Hence a fair and lawful coercion that restricts freedom is consistent with and required by maximal and equal degrees of freedom for all.

Kant holds that republicanism is the ideal form of government. In a republic, voters elect representatives and these representatives decide on particular laws on behalf of the people. (Kant shows that he was not free of the prejudices of his day, and claims, with little argument, that neither women nor the poor should be full citizens with voting rights.) Representatives are duty-bound to choose these la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will” (a term Kant borrows from Rousseau),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ests of any one individual or group within society. Even though the entire population does not vote on each individual law, a law is said to be just only in case an entire population of rational agents could and would consent to the law. In this respect, Kant’s theory of just law is analogous to his universal law formu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both demand that it be possible in principle for everyone to affirm the rule in question (see 5b above).

Among the freedoms that ought to be respected in a just society (republican or otherwise) are the freedom to pursue happiness in any way one chooses (so long as this pursuit does not infringe the rights of others, of course),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of speech. These last two are especially important to Kant and he associated them with the ongoing enlightenment of humanity in “What is Enlightenment?” He argues that it “would be a crime against human nature” (8:39) to legislate religious doctrine because doing so would be to deny to humans the very free use of reason that makes them human. Similarly, restrictions on what Kant calls the “public use of one’s reason” are contrary to the most basic teleology of the human species, namely, the development of reason. Kant himself had felt the sting of an infringement on these rights when the government of Friedrich Wilhelm II (the successor to Frederick the Great) prohibited Kant from publishing anything further on matters pertaining to religion.

c. Perpetual Peace

Kant elaborates the cosmopolitan theory first proposed in “Idea for a Universal History” in his Towards Perpetual Peace (1795). The basic idea is that world peace can be achieved only when international relations mirror, in certain respects,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in a just society. Just as people cannot be traded as things, so too states cannot be traded as though they were mere property. Just as individuals must respect others’ rights to free self-determination, so too, “no state shall forcibly interfere in the constitution and government of another state” (8:346). And in general, just as individuals need to arrange themselves into just societies, states, considered as individuals themselves, must arrange themselves into a global federation, a “league of nations” (8:354). Of course, until a state of perpetual peace is reached, wars will be inevitable. Even in times of wars, however, certain laws must be respected. For instance, it is never permissible for hostilities to become so violent as to undermine the possibility of a future peace treaty.

Kant argued that republicanism is especially conducive to peace, and he argued that perpetual peace would require that all states be republics. This is because the people will only consent to a war if they are willing to bear the economic burdens that war brings, and such a cost will only be worthwhile when there is a truly dire threat. If only the will of the monarch is required to go to war, since the monarch will not have to bear the full burden of the war (the cost will be distributed among the subjects), there is much less disincentive against war.

According to Kant, war is the result of an imbalance or disequilibrium in international relations. Although wars are never desirable, they lead to new condi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ometimes these new conditions are more balanced than the previous ones. When they are more balanced, there is less chance of new war occurring. Overall then, although the progression is messy and violent along the way, the slow march towards perpetual peace is a process in which all the states of the world slowly work towards a condition of balance and equilibrium.

7. Theory of Art and Beauty

Kant’s most worked out presentation of his views on aesthetics appears in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1790), also known as the “Third Critique.” As the title implies, Kant’s aesthetic theory is cashed out through an analysis of the operations of the faculty of judgment. That is, Kant explains what it is for something to be beautiful by explaining what goes into the judgment that something is beautiful. This section explain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s of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7a), summarizes Kant’s theory of art and the genius behind art (7b), and finally explains the connection between Kant’s aesthetic theory and his moral theory (7c).

a.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Kant holds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aesthetic judgments: judgments of the agreeable, of the beautiful, and of the sublime. The first is not particularly interesting, because it pertains simply to whatever objects happen to cause us (personally) pleasure or pain. There is nothing universal about such judgments. If one person finds botanical gin pleasant and another does not, there is no disagreement, simply different responses to the stimulus. Judgments of the beautiful and the sublime, however, are more interesting and worth spending some time on.

Let us consider judgments of beauty (which Kant calls “judgments of taste”) first. Kant argues that all judgments of taste involve four components, or “moments.” First, judgments of taste involve a subjective yet disinterested enjoyment. We have an appreciation for the object without desiring it. This contrasts judgments of taste from both cognitions, which represent objects as they are rather than how they affect us, and desires, which represent objects in terms of what we want. Second, judgments of taste involve universality. When we judge an object to be beautiful, implicit in the judgment is the belief that everyone should judge the object in the same way. Third, judgments of taste involve the form of purposiveness, or “purposeless purposiveness.” Beautiful objects seem to be “for” something, even though there is nothing determinate that they are for. Fourth, judgments of taste involve necessity. When presented with a beautiful object, I take it that I ought to judge it as beautiful. Taken together, the theory is this: when I judge something as beautiful, I enjoy the object without having any desires with respect to it, I believe that everyone should judge the object to be beautiful, I represent some kind of purposiveness in it, but without applying any concepts that would determine its specific purpose, and I also represent myself as being obligated to judge it to be beautiful. Judgments of beauty are thus quite peculiar. On the one hand, when we say an object is beautiful, it is not the same sort of predication as when I say something is green, is a horse, or fits in a breadbox. Yet it is not for that reason a purely subjective, personal judgment because of the necessity and intersubjective universality involved in such judgments.

A further remark is in order regarding the “form of purposiveness” in judgments of taste. Kant wants to emphasize that no determinate concepts are involved in judgments of taste, but that the “reflective” power of judgment (that is, judgment’s ability to seek to find a suitable concept to fit an object) is nevertheless very active during such judgments. When I encounter an unfamiliar object, my reflective judgment is set in motion and seeks a concept until I figure out what sort of thing the object is. When I encounter a beautiful object, the form of purposiveness in the object also sets my reflecting judgment in motion, but no determinate concept is ever found for the object. Although this might be expected to lead to frustration, Kant instead claims that it provokes a “free play” (5:217) between the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Kant does not say as much about this “free play” as one would like, but the idea seems to be that since the experience is not constrained by a determinate concept that must be applied to the object, the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are free to give in to a lively interplay of thought and emotion in response to the object. The experience of this free play of the faculties is the par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we take to be enjoyable.

Aside from judgments of taste, there is another important form of aesthetic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According to Kant,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occurs when we face things (whether natural or manmade) that dwarf the imagination and make us feel tiny and insignificant in comparison. When we face something so large that we cannot come up with a concept to adequately capture its magnitude, we experience a feeling akin to vertigo. A good example of this is the “Deep Field” photographs from the Hubble Telescope. We already have trouble comprehending the enormity of the Milky Way, but when we see an image containing thousands of other galaxies of approximately the same size, the mind cannot even hope to comprehend the immensity of what is depicted. Although this sort of experience can be disconcerting, Kant also says that a disinterested pleasure (similar to the pleasure in the beautiful) is experienced when the ideas of reason pertaining to the totality of the cosmos are brought into play. Although the understanding can have no empirical concept of such an indeterminable magnitude, reason has such an idea (in Kant’s technical sense of “idea”; see 2g above), namely, the idea of the world as an indefinitely large totality. This feeling that reason can subsume and capture even the totality of the immeasurable cosmos leads to the peculiar pleasure of the sublime.

b. Theory of Art

Both natural objects and manmade art can be judged to be beautiful. Kant suggests that natural beauties are purest, but works of art are especially interesting because they result from human genius. The following briefly summarizes Kant’s theory of art and genius.

Although art must be manmade and not natural, Kant holds that art is beautiful insofar as it imitates the beauty of nature. Specifically, a beautiful work of art must display the “form of purposiveness” (described above, 7a) that can be encountered in the natural world. What makes great art truly great, though, is that it is the result of genius in the artist. According to Kant, genius is the innate talent possessed by the exceptional, gifted individual that allows that individual to translate an intangible “aesthetic idea” into a tangible work of art. Aesthetic ideas are the counterparts to the ideas of reason (see 2g above): where ideas of reason are concepts for which no sensible intuition is adequate, aesthetic ideas are representations of the imagination for which no concept is adequate (this is in line with Kant’s claim that beauty is not determinately conceptualizable).  When a genius is successful at exhibiting an aesthetic idea in a beautiful work of art, the work will provoke the “free play” of the faculties described above (7a).

Kant divides the arts into three groups: the arts of speech (rhetoric and poetry), pictorial arts (sculpture, architecture, and painting), and the art of the play of sensations (music and “the art of colors”) (5:321ff.). These can, of course, be combined together. For instance opera combines music and poetry into song, and combines this with theatre (which Kant considers a form of painting). Kant deems poetry the greatest of the arts because of its ability to stimulate the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and expand the mind through reflection. Music is the most successful if judged in terms of “charm and movement of the mind” (5:328), because it evokes the affect and feeling of human speech, but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he determinate concepts of actual words. However, if the question is which art advances culture the most, Kant thinks that painting is better than music.

One consequence of Kant’s theory of art is that the contemporary notion of “conceptual art” is a contradiction in terms: if there is a specific point or message (a determinate concept) that the artist is trying to get across, then the work cannot provoke the indeterminate free play that is necessary for the experience of the beautiful. At best, such works can be interesting or provocative, but not truly beautiful and hence not truly art.

c. Relation to Moral Theory

A final important aspect of Kant’s aesthetic theory is his claim that beauty is a “symbol” of morality (5:351ff.), and aesthetic judgment thereby functions as a sort of “propaedeutic” for moral cognition. This is because certain aspects of judgments of taste (see 7a above) are analogous in important respects to moral judgments. The immediacy and disinterestedness of aesthetic appreciation corresponds to the demand that moral virtue be praised even when it does not lead to tangibly beneficial consequences: it is good in itself. The free play of the faculties involved in appreciation of the beautiful reminds one of the freedom necessary for and presupposed by morality. And the universality and necessity involved in aesthetic judgments correspond to the universality and necessity of the moral law. In short, Kant holds that a cultivated sensitivity to aesthetic pleasures helps prepare the mind for moral cognition. Aesthetic appreciation makes one sensitive to the fact that there are pleasures beyond the merely agreeable just as there are goods beyond the merely instrumental.

8. Pragmatic Anthropology

Together with a course on “physical geography” (a study of the world), Kant taught a class on “pragmatic anthropology” almost every year of his career as a university teacher. Towards the end of his career, Kant allowed his collected lecture notes for his anthropology course to be edited and published as Anthropolog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1789). Anthropology, for Kant, is simply the study of human nature. Pragmatic anthropology is useful, practical knowledge that students would need in order to successfully navigate the world and get through life.

The Anthropology is interesting in two very different ways. First, Kant presents detailed discussions of his views on issues related to empirical psychology, moral psychology, and aesthetic taste that fill out and give substance to the highly abstract presentations of his writings in pure theoretical philosophy. For instance, although in the theory of experience from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argues that we need sensory intuitions in order to have empirical cognition of the world, he does not explain in any detail how our specific senses—sight, hearing, touch, taste, smell—contribute to this cognition. The Anthropology fills in a lot of this story. For instance, we learn that sight and hearing are necessary for us to represent objects as public and intersubjectively available. And we learn that touch is necessary for us to represent objects as solid, and hence as substantial. With respect to his moral theory, many of Kant’s ethical writings can give the impression that emotions and sentiments can only work against morality, and that only pure reason can incline one towards the good. In the Anthropology Kant complicates this story, informing us that nature has implanted sentiments of compassion to incline us towards the good, even in the absence of a developed reason. Once reason has been developed, it can promote an “enthusiasm of good resolution” (7:254) through attention to concrete instances of virtuous action, in which case desire can work in cooperation with reason’s moral law, not against it. Kant also supplements his moral theory through pedagogical advice about how to cultivate an inclination towards moral behavior.

인류학의 다른 측면 (그리고 그의 실제 강의의 학생 성적표)은 부와 다양한 사례와 토론이 칸트의 기술적 인 저술에서 얻을 수있는 것보다 훨씬 더 완전한 그림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많은 예들은 인간 경험의 모든 측면에 대해 광범위한 의견을 가진 사람의 그림을 제시합니다. 꿈, 유머, 지루함, 성격 유형, 표정, 자존심과 탐욕, 성별 및 인종 문제 등에 대한 토론이 있습니다. 우리는 심지어 몇 가지 패션 조언을 얻습니다 : 파란색 코트 아래에 노란색을 입는 것은 허용되지만 노란색 코트 아래에 파란색을 입는 것은 화려합니다. 칸트의 인류학 저술에 대한 많은 새로운 관심이 있었으며 많은 평론가들은 칸트의 더 널리 연구 된 이론적 산출물의 맥락화를 제공하는 유용한 자료로서 종종 무시되는 텍스트에 호소하고 있습니다.

9. 참고 문헌 및 추가 읽기

a. 초등회 문학

칸트의 작품에 대한 최고의 학술적, 영어 번역본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사에 의해 임마누엘 칸트 작품의 케임브리지 판으로 출판됩니다. 다음은 그 컬렉션에서 나온 것이며 칸트의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있는 저술 중 일부를 포함합니다.

  • 순수한 이성에 대한 비판, 트랜스. 폴 가이에와 앨런 우드.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8.
  • 실용 철학, 에드. 메리 그레고르.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6. (칸트의 윤리적 저술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도덕의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연구, 실용적인 이성의 비판, 도덕의 형이상학이 포함된다.)
  • 심판의 힘에 대한 비판, 트랜스. 폴 가이에와 에릭 매튜스.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0.
  • 이론 철학 1755-1770, ed. 데이비드 월포드.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2. (이론 철학에서 칸트의 "사전 비판적"저술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1781년 이후의 이론 철학, eds. 헨리 앨리슨과 피터 히스.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2 (모든 미래 형이상학 및 자연 과학 형이상학 적 기초에 대한 Prolegomena를 포함하여 이론 철학에 대한 칸트의 성숙한 저술을 포함합니다.)
  • 역사, 인류학 및 교육, eds. Günter Zöller와 Robert Louden. .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7. (다른 저술들 중에서도, 실용주의적인 관점에서 인류학을 담고 있다.)

b. 이차 문학

  • Ernst Cassirer (Kant's Life and Thought, tr. by James Haden.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1983 (원래 1916 년에 작성됨)과 Manfred Kuehn (Kant : A Biography.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는 둘 다 칸트의 삶과 시대의 맥락에서 칸트의 생각의 발전을 위치시키는 지적 전기를 제공합니다.
  • 순수 이성 비판의 형이상학과 인식론에 대한 포괄적 인 토론은 Paul Guyer (Kant and the Claims of Knowledge)를 참조하십시오.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87), 헨리 앨리슨 (칸트의 초월 이상주의 : 해석과 방어, 두 번째 판.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4), Graham Bird (The Revolutionary Kant: A Commentary o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시카고 : 오픈 코트 프레스, 2006).
  • 칸트의 윤리 이론에 대한 치료법은 앨런 우드 (칸트의 윤리적 사고)를 참조하십시오.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9), 크리스틴 코르스 가드 (끝의 왕국 만들기.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및 Onora O'Neill (Constructions of Reason: Explorations of Kant's Practical Philosophy.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0).
  • 칸트의 미적 이론에 대한 분석 (그리고 세 번째 비평의 다른 쟁점들)에 대한 분석은 Rachel Zuckert (Kant on Beauty and Biology : An Interpretation of the 'Critique of Judgment')를 참조하십시오.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10), 폴 가이어 (칸트와 맛의 주장.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7), 헨리 앨리슨 (칸트의 맛 이론 : 미적 판단에 대한 비판의 독서. 케임브리지 :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1).
  • 칸트의 인류학과 인간 본성 이론에 대한 연구는 Patrick Frierson (인간이란 무엇인가? 런던 : Routledge, 2013)과 Alix Cohen (Kant and the Human Sciences : Biology, Anthropology and History. 런던 : 팔그레이브 맥밀란, 2009).

 

저자 정보

Tim Jankowiak
이메일 : timjankowiak@gmail.com
Towson University
U. S. A.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는 무엇입니까? 온톨로지 이론  (0) 2022.09.28
과정철학  (0) 2022.09.24
크세노파네스  (0) 2022.09.13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0) 2022.09.05
마이모니데스의 법률, 철학 및 Imitatio dei  (0)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