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by 이덕휴-dhleepaul 2022. 10. 14.

장 피아제라는 인물은 심리학에서 매우 큰영향을 준 인물입니다. 특히 인지발달이라는 관점에서 심리학을 생각하고 만들어낸 인지발달이론은 지금도 아동발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이론으로서 인간의 사고에 관한 것입니다. 인간 인식의 발생을 계통과 발생 및 개체 와 같은 양면에서 고찰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인식은 인류가 과학적인 지식을 쌓아온 것들이 겹치고 쌓여서 지금까지 왔다고 생각 하는것이죠.

이러한 발상을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는 발생적 인식론(genetic epistemology)이라고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4단계의 과정으로 나늬어집니다. 

1. 감각 - 운동기

2. 이전 - 조작기

3. 구체적 - 조작기

4. 형식적 - 조작기

이러한 과정들은 발달을 비 연속적으로 파악하는 발달 단계설의 대표적인 예라고되어 있습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발생적 인식론 4단계는 각각의 단계에서 사고방식의 질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개념이 몇가지 있습니다.

 

쉐마 (schema : schema)(ˈskiːmə

동화와 조절 (assimilation / accomodation)

균형화 (equilibration)

조작 (operation)

- 쉐마는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할때 사용되는 기우의 행동이나 지식등을 말합니다. 즉 자신의 주변을 파악하는데 있어 자신의 지식과 행동을 가리킵니다. 사전적으로는 계획, 다이어그램 또는 계획 (칸트의 철학에서) 이해가 그 범주를 적용하고 경험을 통일 할 수있게 해주는 규칙 또는 원칙보편적 인 계승은 인과 관계의 스키마입니다. 사이코 인지와 인식의 과정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구조화 된 세계 또는 자아의 측면에 대한 정신적 모델 논리학 잘 구성된 수식을 생성하기 위해 객체 언어 표현식으로 대체 될 수있는 메타 변수를 사용하는 표현식입니다. 따라서 A = A는 ID에 대한 공리 스키마로, 무한한 공리, x = x, y = y, z = z 등을 나타냅니다. https://www.bing.com/images/search?view=detailV2&ccid=GX4VeSA7&id=289F7FE6B7B2D9287E3832EC2F39A26CFDF20AB9&thid=OIP.GX4VeSA7EgXc8EtE1ka41gHaJE&mediaurl=https%3A%2F%2Fwww.stand.cz%2Fwp-content%2Fuploads%2F2019%2F10%2Fschema.png&exph=4863&expw=3969&q=schema&simid=608037618669863743&form=IRPRST&ck=E0EF7272AD21945A3551EC8C1B0DCE86&selectedindex=4&ajaxhist=0&ajaxserp=0&vt=0&sim=11

- 동화는 주체가 환경의 사건을 기존의 쉐마를 사용해서 인식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던 쉐마(인지적 틀)로 자신 주변의 변화를 파악하는것이죠. 예를 들면 하늘에서 물방울이 떨어질때 쉐마로 비라는것을 알게되고, 동화로 "아 비가와서 좋다" 라고 인식 되는 것이죠.

 

 

조절은 이렇게 인식된 인지적 틀을 수정하고 변화시키는것을 말합니다.

즉 자신의 신변에 일어난 일에 대해 이해할수 없을경우 쉐마자체를 수정하고 변화시켜 새롭게 인식하는것을 말합니다.

 

균형화는 앞선과정에서 일어난일들을 반복하여 주체가 가지는 쉐마를 더 고차원의 것으로 고도화하며 인식을 다음단계로 더 안정되게 발전시키는것을 말합니다.

즉 동화와 조절을 반복하여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쉐마를 추가하거나 잘못된 쉐마를 수정함으로서 전체의 균형을 잡으며 발달해 가는것이죠.

 

 

피아제는 쉐마의 동화와 조절 그리고 균형화에 의해 인식이 크게 발달한다고 생각한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쉐마에 의한 인식의 발달은 행동이 내재화되는 조작에 이르게 됩니다.  즉 이것이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인 것입니다.

 

꽤 어려운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았는데요. 아기가 자라면서 하는행동 눈맞춤이나 반응들이 이러한 과정으로 발달해서 나중에는 스스로 인식하고 아빠 엄마를 부르고 알아본다는게 신기하고 놀랍군요.

더욱 자세히는 아래를 참고할 것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이론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이론 1. 장 피아제의 생애 - 1896년 스위스에서 출생하여 1980년 사망 - 개방...

blog.naver.com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steria Beyond Freud  (0) 2022.10.30
Jean William Fritz Piaget  (0) 2022.10.19
정치 신학  (1) 2022.10.06
Michel Foucault bibliography  (0) 2022.09.24
Paul-Michel Foucault  (0) 2022.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