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學338 칭의론의 근거 -종교개혁을 중심으로 Korean Article Bank 한국신학논문은행에 대하여 1999/10/05 (01:01) from 203.252.22.54' of 203.252.22.54' Article Number : 16 김광식 Access : 22269 , Lines : 171 종교개혁에 있어서의 칭의론의 근거와 의미 종교개혁에 있어서의 칭의론의 근거와 의미 칭의론의 본래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성서적 근거에 대하여 .. 2019. 1. 24. 시편 8편에 나타난 신학적 인간학 시편 8편에 나타난 신학적 인간학 -Theocentricism 신중심주의 구약성서의 고난신학, 김이곤, 한국신학연구소, 1991 pp. 207-224 Ⅰ. 서론 이스라엘 시를 인근 나라의 시들과 비교하면 인간과 자연을 신격화 한다거나 왕이나 왕국에 대한 찬양을 하는 "순수한 제왕시"가 없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 2019. 1. 24. 쟈크 엘룰 - 성서적 변증법 그의 학문적 방법론과 그의 근본적인 사상의 흐름에는 변증법이 있다. 그러나 그의 변증법은 헤겔의 것과는 분명히 다르며 키에르케고르의 이른바 실존적 변증법과 유사하다. 그를 알 수 없는 인물로 보는데는 이러한 그의 변증법적인 그의 사상의 특징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 2019. 1. 24. 구약성서의 성 구약성서의 성(性) -김성열(호남신대) 1. 구약성서와 성의 문제 언뜻 보기에 구약성서는 성에 관해서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구약성서가 의외로 성에 관한 문제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스라엘의 삶에 관한 각종 법규정들.. 2019. 1. 21.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은총론 요약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은총론 요약 / 이덕휴 목사| 조회 150 |추천 0 | 2005.05.06. 11:22 * 이하의 글은 아들의 신학대학 졸업논문의 요약분이다. 2019. 1. 14. 기독교 歷史神學 序說 기독교 歷史神學 序說 李 德 休 - 대한예수교장로회 만나교회담임 Ⅰ. 基督敎의 歷史性과 神學의 定位 / 1 1. 들어가는 말 / 1 2. 基督敎 信仰과 歷史辨證 / 9 Ⅱ. 近代神學에 있어서 哲學的 歷史의 意味 / 18 1. 近代神學과 現代神學의 範圍 / 18 2. 哲學的 歷史理解-헤겔을 중심으로 / 21 Ⅲ. 救贖史와 世俗史의 區分 / 24 1. 用語의 整理 / 24 2. 쿨만의 時間觀과 救贖史 / 26 Ⅳ. 歷史神學의 意義 / 28 1. 基督敎信仰에 있어서 歷史의 意味 / 28 2. 歷史神學의 起源 / 33 3. 歷史神學과 歷史哲學의 牽聯 / 37 4. 歷史神學의 硏究方法 / 41 Ⅴ. 맺음 / 46 * 參考文獻 / 50 Ⅰ. 基督敎의 歷史性과 神學의 定位 1. 들어가는 말 세계와 역사의 신학함의 자.. 2019. 1. 8.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