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칼럼121

성서의 복수 복수에 대한 충동은 인간이 가진 본능입니다. 복수는 정당하지 않은 피해로부터 보상받고자 하는, 인간에 내재한 본능입니다. 심지어 성서 안에도, 과연 이런 말이 성서에 나와도 되나 싶을 정도로, 적에 대한 무자비한 복수를 탄원하는 기도가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시편 69편입니다. 우리말로 가장 생생하게 번역된 공동번역 성서로 읽어봅니다. "야훼여, 당신 사랑 어지시오니, 들어주소서... 수치에 수치를 당하니 심장이 터지려고 합니다... 죽을 달라 하면 독을 타서 주고 목마르다 하면 초를 주는 자들, 잔치를 차려 먹다가 그 음식에 걸리고, 친교 제물을 나누어 먹다가 망하게 하소서. 그들의 눈이 어두워져 보지 못하고 그 허리는 영원히 가누지 못하게 하소서... 그들이 사는 부락을 돌밭으로 만드시고 천막에.. 2022. 3. 30.
Summum ius, summa iniuria ​ what is mean "Summum ius, summa iniuria"? 뜻: 법이 많을수록, 정의는 적다- 출처: 키케로, , Book I, section 10, 33 위 윤리신학입문을 번역하신 신부님으로부터 선물로 받았습니다. ^^ 어제 제가 요즘 제게 필요한 일정 주제를 위주로 발췌독을 해보기로 하고 그 방향성에 따라 책을 읽으면서 '유레카'를 외쳤습니다. 제가 구상하는 어떤 부분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여 주고 있었습니다. ​ 먼저 프란츠 푸르거(Franz Furger : 1935-1997)는 스위스 베른 출신의 윤리신학자로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진행되던 시기에 로마에서 신학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개방과 쇄신을 기조로 하는 공의회 정신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분입니다. ​ 1... 2022. 3. 9.
하나님과 동행하는 자 하나님과 동행하는 자. (빌4:8,9) 8, 종말로 형제들아 무엇에든지 참되며 무엇에든지 경건하며 무엇에든지 옳으며 무엇에든지 정결하며 무엇에든지 사랑할 만하며 무엇에든지 칭찬할만하며 무슨 덕이 있든지 무슨 기림이 있든지 이것들을 생각하라. 9, 너희는 내게 배우고 받고 듣고 본 바를 행(行)하라 그리하면 평강(平康)의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계시리라. 1 ) 하나님의 은혜와 평강 사도바울은 빌립보교회 성도들을 위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고 예수님의 은혜(恩惠. 히>헨. 헬>κάρις 카리스. grace.~ 호의. 은총. 하나님의 사랑과 베푸시는 혜택)와 평강(平康. 히>샬롬. 헬>εἰρήνη 에이레네. peace.~ 평화. 번영. 행복. 건강. 화목)이 너희에게 있기를 항상 간구하며 축복했다.(빌1:2-.. 2022. 3. 1.
신의 이름 What are the names of God?신의 이름은 무엇인가? What do the names of God mean? 신의 이름이 무슨 뜻이지? The Bible contains literally hundreds of different names and titles of God the Father,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성경에는 글자 그대로 성부와 예수 그리스도, 성령의 수백 가지 이름과 직함이 담겨 있다. For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the names of God the Father, many of which are found in the Old Testament and are noted in .. 2022. 2. 9.
기독교 변신론의 개념 변명. 기독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주요 사용자: 오리지널 블레즈 파스칼 알렉산드리아 성 클레멘트 C.S. 루이스 테르툴리안관련 항목: 기독교 신학 사과주의자 파스칼의 내기 관련 내용 모두 보기 → 변신론, 기독교에서는 기독교 신앙의 진리에 대한 지적 방어가 보통 신학의 한 갈래로 간주된다. 개신교적 용법에서 사과론은 특정 기독교 교회의 신념을 옹호하는 극과 구별될 수 있다. 그러나 로마 카톨릭 신자들은 이 용어를 가톨릭 교사의 전체적 방어를 의미하고 근본적인 신학으로 사과론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사과론은 전통적으로 기독교에 대한 직접적인 주장에서 긍정적이고 반대되는 신념에 대한 비판에서는 부정적이었다. 그 기능은 신앙인을 개인적 의심으로부터 강화시키는 동시에 불신자의 개종을 억제하는 지적 장애물을 .. 2022. 1. 31.
천재 라이프니츠의 변신론 신정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변신론에서 넘어옴) 신정론(神正論, 신의론(神義論), 변신론(辯神論), 호신론(護神論), 독일어: Theodizee, 프랑스어: théodicée, 영어: theodicy, 고대 그리스어: θεός theós‚ 신‘과 δίκη díke ‚ 의로움‘)은 „ 신의 정당함을 주장하는 이론“을 가리킨다. 이 이론은 신이 전능하면서도 선하다고 한다면 어째서 이 세상에 고통이 존재하는가를 묻는 물음에 대한 다양한 대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신에게 고통을 막을 수 있는 능력("전능")과 의지("선함")가 있다고 해야할텐데 그럼에도 왜 신이 고통을 허용하는가를 묻는 것이다. 신정론이라는 개념은 초기 계몽주의자인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2022.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