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칼럼121 교회와 현대 문화 교회와 현대 문화 폴 틸리히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에서 종교적, 사회적 사상의 리더십으로 유명한 폴 틸리치 박사와 뉴욕시 유니언 신학대학원의 철학신학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 신학교 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1955) 위의 기여는 원래 다소 완전한 형태로 미국 그리스도 교회 협의회 총회 (General Board of Christ, U. S A., June 8, 1955)에 주어졌습니다. 요약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현대 문화의 특징과 교회와의 상호 관계를 탐구한다. 교회와 문화 우리가 위대한 계명에서 종교의 개념을 추상화한다면, 우리는 종교가 궁극적으로 우리의 궁극적 인 관심사가되고 있어야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할 수.. 2022. 10. 18. 미국 교회의 쇠퇴와 갱신 다음 글은 미국의 한 목사가 쓴 글이다. 미국의 교회모습이나 한국이나 별로 다를바가 없다. 나도 언젠가 나의 신학논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에서 한국교회의 실상을 마지막 결론으로 서술한 바가 있다. 참고삼아 일독을 권한다. - 이덕휴 식- 미국 교회의 쇠퇴와 갱신: 주류 교회의 쇠퇴(1-1) by Tim Keller2022-03-22 “ 교회 바깥에서 볼 때, 숫자와 제도와 영향력 면에서 쇠퇴를 거듭하는 교회를 바라보면서 언론인과 사회학자, 다른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기뻐하거나 또는 한탄한다 ” 이 글은 미국 교회의 쇠퇴 원인을 성찰하고 그 미래를 전망하는 팀 켈러 목사의 4부작 중 첫 번째입니다. [1-1] • 서론 • 마지막 번성 • 주류 교단의 쇠퇴 [1-2] • 미국 주류 교단에 대한 비판들 .. 2022. 10. 7. 신앙과 경험의 관계로 본 하나님의 이름 신앙과 경험의 관계로 본 하나님의 이름 * 성서에 하나님의 이름은 여호와 하나님 또는 야훼 하나님 이라는 표현이 있다.https://mannachurch.tistory.com/2543 이곳에서는 제목건 신앙과 경험의 관계에서 이해하는 하나님의 이름을 묵상하기로 한다. -내용은 나의 견해와 다를 수 있다. ======================= 신앙과 경험의 관계 즉 - 양자, 특히 종교개혁 전통에서 루터와 밀접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결코 동일하지 않다. 신앙은 교회의 선포와 교리를 통해서 중재되는 하나님 계시로서의 예수 그리스도를 지향한다. 루터에 따르면 이러한 신앙은 율법에 대한 절망 경험과 관련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음 사신은, 또한 그것으로 인한 신앙은 확신 경험에 대한 무.. 2022. 9. 13. 하느님/하나님의 이름 하느님/하나님의 이름 여호와(영어: Jehovah, /dʒɨˈhoʊvə/ 로 발음)라는 말의 어원은 하나님의 호칭을 가리키는 고유 명사로 영국식 언어의 표기 방식을 따른 것이다.[1] 이것은 신명사문자 히브리어 יהוה를 모음화 음역한 것으로, 해당 4개 문자는 성경에 따르면 창조주가 사람들에게 밝힌 자신의 이름이다.[2] 전통적인 마소라 본문에는 305번의 יֱהֹוִה(Jehovih)뿐 아니라 יְהֹוָה가 6,518번 나타난다.[3] "여호와"와 비슷한 모음화를 사용한 최초의 라틴어 본문은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4] 그래서 성경을 읽을 때 유대인들은 이를 ‘아도나이(나의 주님이란 뜻)’로 읽고, 천주교에서는 ‘야훼’, 개신교에서는 ‘여호와’라고 읽는다.[5] 1611년 흠정역 성경의 출애굽.. 2022. 9. 13. 메시야에 대한 예언과 성취 구약의 예언 예언 내용 신약에서 성취 창 3:15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 여자의 후손 갈 4:4-5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 나게 하신 것은 5)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창 12:3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니라 하신지라 아브라함의 자손 마 1:1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라 창 17:19 하나님이 가라사대 아니라 네 아내 사라가 정녕 네게 아들.. 2022. 9. 5. 에른스트 케제만(Ernst Käsemann) 독일 루터교 신학자, 신약 학자, 자유주의 신학 에른스트 카세만(Ernst Käsemann, 1906년 7월 12일 † 1998년 2월 17일)은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신약 학자이다. 목차 Ernst Käsemann은 1906년 7월 12일 달하우젠에서 태어났다. 그곳에서 그의 아버지는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했으며, 1909 년부터 가족은 에센에 살았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1915년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어머니는 아들과 어린 딸과 함께 에센에 머물렀고, 에른스트는 부르그체육관에 다녔다. 청년 목사와의 만남에서 그의 삶은 신학을 공부하는 결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1] 1925 년 그는 본 대학에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에릭 피터슨 (Erik Peterson)의 로마인들에게 보내는 서한에 대한 .. 2022. 8. 17.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