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칼럼121

성경에 나타난 거짓말 나 자신을 속이는 것이나 남을 속이는 것은 하나님 앞에 죄인이다. 이하에서는 성경에 나타난 거짓말의 실체를 알아보자 최초의 거짓말은 뱀이 아담과 하와에게 한 거짓말이다. 1) 하나님 앞에 속과 겉이 다르다(렘9:8, 시62:4) 2) 주님 앞에 헛맹세 한다(거짓맹세, 마5:33, 딤전1:10, 레19:12) 3) 그레데인 등과 같은 생활하는 자들(딤전1:12, 시116:11) 4) 예수를 시험하는 자(마4:1-11) 5) 주님을 떠나 외식하는 자들(딤전4:2) 6) 불법을 행하는 자(마7:23, 사30:9) 7) 거짓증인(잠언2:28) 8) 점치는 자들(겔13:7) 9) 남을 해하고자 하는 자들(단11:27) 10) 우상 숭배하는 자들(시31:6, 암2:4, 합2:18) 11) 방백들을 거짓말로 기쁘게 .. 2022. 1. 9.
몰트만이 말하는 그의 신학 1. 희망의 신학(1964년) 내가 이 길로 접어들게 된 것은 1964년에 출간된 "희망의 신학"을 쓰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원래 내가 의도한 것은 그 시절에 잡지 "Evangelische Theologie"(개신교 신학)에서 이루어진 "약속과 역사"에 관한 논의에 대해 나의 입장을 표명하려는 것일 뿐이었다. 여기서 나는 게하르트 폰 라트(Gehard von Rad), 발터 침멀리(Walter Zimmerli), 한스-발터 볼프(Hans-Walter Wolff), 한스-요하힘 크라우스(Hans-Joachim Kraus) 등에 의해 대변된 "구약성서신학"과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에 의해 세워지고 특히 에른스트 케제만(Ernst Käsemann)에 의해 수정, 발전된 "신약성서신학"을 .. 2021. 10. 26.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찬송가 516장(옳은 길 따르라 의의 길을) ​ (눅13:22-35) “예수께서 각 성 각 마을로 다니사 가르치시며 예루살렘으로 여행하시더니 (23)어떤 사람이 여짜오되 주여 구원을 받는 자가 적으니이까 그들에게 이르시되 (24)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들어가기를 구하여도 못하는 자가 많으리라 (25)집 주인이 일어나 문을 한 번 닫은 후에 너희가 밖에 서서 문을 두드리며 주여 열어 주소서 하면 그가 대답하여 이르되 나는 너희가 어디에서 온 자인지 알지 못하노라 하리니 (26)그 때에 너희가 말하되 우리는 주 앞에서 먹고 마셨으며 주는 또한 우리를 길거리에서 가르치셨나이다 하나 (27)그가 너희에게 말하여 이르되 나는 너희가 어디에서 왔는지 알지.. 2021. 10. 11.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Dietrich Bonhoeffer 1. 생애와 신학 디트리히 본회퍼(독일어: Dietrich Bonhoeffer, 1906년 2월 4일~1945년 4월 9일)는 독일 루터교회 목사이자, 신학자이며, 반 나치운동가이다. 고백교회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아돌프 히틀러를 암살하려는, 외국 첩보국(독일어: Abwehr)[1]의 구성원에 의해 진행된 계획에 가담하였다. 그는 1943년 3월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고, 결국 독일 플로센뷔르크 수용소에서 1945년 4월 교수형에 처해졌다. 1906년 2월 4일 독일 브레슬라우에서 정신과 의사인 칼 본회퍼와 파울라본회퍼 사이에서 여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1513년 네덜란드에서 독일로 이주해온 중산층의 부잣집이었는데, 뛰어난 학문적 실력과 지위를.. 2021. 10. 11.
역사신학에 있어서의 의미 오늘날 우리가 “의미”(meaning, sinn)란 단어를 목적이나 목표와 환치시킬 수 있는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의미를 구성하는 것은 바로 목적이다. 존재하는 만물의 의미는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神이나 人間에 의해 의욕 되고 만들어졌다는 이유에서 목적에 의존한다. * 의미의 철학에 대한 더 깊은 내용을 위해서 빅터 플랭크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참조하라 https://ko.wikipedia.org/wiki/%EC%A3%BD%EC%9D%8C%EC%9D%98_%EC%88%98%EC%9A%A9%EC%86%8C%EC%97%90%EC%84%9C#:~:text=%E3%80%8A%20%EC%A3%BD%EC%9D%8C%EC%9D%98%20%EC%88%98%EC%9A%A9%EC%86%8C%EC%97%90%EC.. 2021. 9. 30.
종교학적 관점에서 본 신학 기독교신학 1. 개요2. 특징3. 종교학과의 차이4. 신학을 학문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 4.1. 반론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신학(神學, theology)은 신에 대한 설명과 신과 인간과의 관계를 해명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1] 좁게는 한 종교의 교의를 체계화시키며 신 그리고 신과 인간에 대한 본질을 탐구하고, 신앙을 체계적, 이론적으로 연구하여 교리에 대한 지적, 실천적, 규범적인 기반을 닦는 것을 이르며, 넓게는 종교학과 마찬가지로 종교에 대한 모든 부문을 아우른다. 현대 학계에선 '신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전반'으로 신학을 정의내리고 있기에 신학의 기능이 반드시 특정 종교를 위한 것만은 아니게 되었다. 기독교의 매머드급 영향력으로 인해 흔히 신학이라고 하면 기독교에서만의.. 2021.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