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stories (Greek: Ἱστορίαι; Ancient Greek: [historíai̯]; also known as The History[1]) of Herodotus is considered the founding work of history in Western literature.[2]헤로도토스의 역사(그리스어: ἱστρρααι;고대 그리스어: [히스토라이í]; 또한 "역사[1]"로 알려져 있다)는 서양 문학에서 역사의 창시작으로 여겨진다.[2] Written in 430 BC in the Ionic dialect of classical Greek, The Histories serves as a record of the ancient traditions, politics, geography, and clashes of various cultures that were known in Greece,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at that time.[citation needed] 기원전 430년에 고전 그리스어의 이오닉 사투리로 쓰여진 <역사>는 당시 그리스,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 알려졌던 고대 전통, 정치, 지리, 그리고 다양한 문화의 충돌에 대한 기록의 역할을 한다.[citation needed] Although not a fully impartial record, it remains one of the West's most important sources regarding these affairs. 비록 완전히 공평한 기록은 아니지만, 그것은 이 문제에 관한 서구의 가장 중요한 출처 중 하나로 남아 있다. Moreover, it established the genre and study of history in the Western world (despite the existence of historical records and chronicles beforehand). 더구나 서양세계에서 (사적 기록과 연대기가 사전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역사의 장르와 연구를 확립했다.
TheHistories also stands as one of the earliest accounts of the rise of the Persian Empire, as well as the events and causes of the Greco-Persian Wars between the Persian Empire and the Greek city-states in the 5th century BC.역사가들은 또한 페르시아 제국의 부흥에 대한 가장 초기 설명 중 하나일 뿐 아니라,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 제국과 그리스 도시국가들 사이의 그레코-페르시아 전쟁의 사건과 원인들 중 하나로 서 있다. Herodotus portrays the conflict as one between the forces of slavery (the Persians) on the one hand, and freedom (the Athenians and the confederacy of Greek city-states which united against the invaders) on the other. 헤로도토스는 그 갈등을 한편으로는 노예제도 세력(페르시아인)과 다른 한편으로는 자유(침략자들에 대항하여 단결된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연합) 사이의 갈등으로 묘사하고 있다. The Histories was at some point divided into the nine books that appear in modern editions, conventionally named after the nine Muses. '역사'는 어느 순간 현대판에 등장하는 9권의 책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관습적으로 9개의 뮤즈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붙여졌다.
He is simply one of the greatest storytellers who ever wrote.그는 그야말로 지금까지 쓴 이야기꾼들 중 가장 위대한 사람이다. His narrative ability is one of the reasons... 그의 서술 능력이 그 이유 중 하나야...those who call Herodotus the father of history.헤로도토스를 역사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람들 Now that title is one that he richly deserves. 이제 그 칭호는 그가 마땅히 받아야 할 칭호다. A Greek who lived in the fifth century BC, Herodotus was a pathfinder. 기원전 5세기에 살았던 그리스인 헤로도토스는 길잡이였다. He traveled the eastern Mediterranean and beyond to do research into human affairs: from Greece to Persia, from the sands of Egypt to the Scythian steppes, and from the rivers of Lydia to the dry hills of Sparta. 그는 그리스에서 페르시아로, 이집트의 모래에서 스키타이 스텝으로, 리디아의 강에서 스파르타의 건조한 언덕까지 인간 문제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동부 지중해를 여행했다. The Greek for “research” is historia, where our word “history” comes from ... "연구"를 위한 그리스어는 역사학이며, 여기서 우리의 "역사"라는 단어는 ...에서 유래한다. Herodotus is a great historian. 헤로도토스는 위대한 역사가다. His work holds up very well when judged by the yardstick of modern scholarship. 현대 학문의 척도로 판단하면 그의 작품은 매우 잘 지탱된다. But he is more than a historian. 그러나 그는 역사학자 이상이다. He is a philosopher with three great themes: the struggle between East and West, the power of liberty, and the rise and fall of empires. 그는 동서양의 투쟁, 자유의 힘, 제국의 흥망성쇠라는 세 가지 큰 주제를 가진 철학자다. Herodotus takes the reader from the rise of the Persian Empire to its crusade against Greek independence, and from the stirrings of Hellenic self-defense to the beginnings of the overreach that would turn Athens into a new empire of its own.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부흥에서 그리스 독립에 대한 십자군원정으로 독자를 데려가고, 헬레닉의 자기 방어의 스링에서부터 아테네를 그 자신의 새로운 제국으로 만들 과민한 시작에 이르기까지 독자를 데려간다. He goes from the cosmos to the atom, ranging between fate and the gods, on the one hand, and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make a difference, on the other. 그는 우주에서 원자로, 운명과 신 사이의 범위, 그리고 한편으로는 변화를 만드는 개인의 능력, 다른 한 편으로 간다. And then there is the sheer narrative power of his writing... 그리고 거기에 그의 글의 순전한 서술력이 있다...The old master keeps calling us back.[3]늙은 주인이 자꾸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온다.[3]
Herodotus claims to have traveled extensively around the ancient world, conducting interviews and collecting stories for his book, almost all of which covers territories of the Persian Empire.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책에 대한 인터뷰와 이야기를 수집하면서 고대 세계를 광범위하게 여행했다고 주장하는데, 거의 모든 것이 페르시아 제국의 영토를 망라하고 있다. At the beginning of The Histories, Herodotus sets out his reasons for writing it: 히어로도토스는 히스토리 시리즈의 시작 부분에서 이 책을 쓴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Here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enquiry carried out by Herodotus of Halicarnassus.할리카르나수스의 헤로도토스가 실시한 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traces of human events from being erased by time, and to preserve the fame of the important and remarkable achievements produced by both Greeks and non-Greeks; among the matters covered is, in particular, the cause of the hostilities between Greeks and non-Greeks. 인간 사건의 흔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스인과 비그리스인 모두가 배출한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 업적의 명성을 보존하는 것이 목적이며, 특히 다루어진 문제 중에는 그리스인과 비그리스인 사이의 적대관계의 원인이 있다.
— Herodotus, The Histories, Robin Waterfield translation (2008)— Herodotus, The Histories, Robin Waterfield translation (2008)
The rapes of Io, Europa, and Medea, which motivated Paris to abduct Helen.파리가 헬렌을 납치하도록 동기를 부여한 이오, 유로파, 메데이아의 강간 사건. The subsequent Trojan War is marked as a precursor to later conflicts between peoples of Asia and Europe. (1.1–5)[4] 그 후의 트로이 전쟁은 나중에 아시아와 유럽 국민간의 갈등의 전조로 점쳐진다. (1.1–[4]5)
How Candaules made his bodyguard, Gyges, view the naked body of his wife.칸다울스가 어떻게 그의 경호원 기지를 만들었는지, 아내의 알몸을 본다. Upon discovery, she ordered Gyges to murder Candaules or face death himself[1] 발견 즉시, 그녀는 게지스에게 칸다울스를 죽이거나 스스로[1] 죽음을 맞이하도록 명령했다.
How Gyges took the kingdom from Candaules (1.8–13)기지가 칸다울스로부터 왕국을 빼앗은 방법(1.8–13)
Solon's answer to Croesus's question that Tellus was the happiest person in the world (1.29–33)텔루스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는 크로이소스의 질문에 대한 솔론의 대답(1.29~33)
Croesus's efforts to protect his son Atys, his son's accidental death by Adrastus (1.34–44)크로이소스의 아들 아티스 보호 노력, 아드라스투스에 의한 아들의 우발적 사망(1.34–44)
Croesus's test of the oracles (1.46–54)크로이소스의 오라클 테스트(1.46–54)
The answer from the Oracle of Delphi concerning whether Croesus should attack the Persians (famous for its ambiguity):크로이소스가 페르시아인을 공격해야 하는지에 대한 델파이 신탁의 답변(그 애매함으로 유명하다. If you attack, a great empire will fall. 공격하면 대제국이 멸망한다.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the Ionians, and the attacks on it by Harpagus이오니아인들의 역사와 지리, 그리고 하파거스에 의한 그것에 대한 공격.
Pactyes' convinces the Lydians to revolt.Pactyes'는 Lydians를 설득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Rebellion fails and he seeks refuge from Mazares in Cyme (Aeolis) 반란이 실패하고 사이메(애올리스)의 마자레스로부터 피난처를 구한다.
The culture of Assyria, especially the design and improvement of the city of Babylon and the ways of its people아시리아의 문화, 특히 바빌론 도시의 디자인과 개선 그리고 그 사람들의 방식
Cyrus's attack on Babylon, including his revenge on the river Gyndes and his famous method for entering the city키로스가 바빌론을 공격한 것은, 귄데스 강에 대한 복수, 그리고 도시 진입을 위한 유명한 방법 등이었다.
Cyrus's ill-fated attack on the Massagetæ, leading to his death키로스의 미사게뜨에 대한 불운한 공격, 죽음으로 이어졌다.
Scythian warriors, drawn after figures on an electrum cup from the Kul'Oba kurgan burial near Kerch (Hermitage Museum, Saint Petersburg)케르치 인근 쿨오바 쿠르간 매장(상트페테르부르크 헤르미타주 박물관)에서 전기컵에 그려진 인물들을 따라 그린 스키타이 전사들
The culture of the Scythians: religion, burial rites, xenophobia (the stories of Anacharsis and Scylas), population스키타이족의 문화: 종교, 장례 의식, 외국인 혐오증(아나차르시스와 스킬라스의 이야기), 인구
The order of Darius that the Greeks provide him earth and water, in which most consent, including Aegina그리스인들이 그에게 흙과 물을 제공하는 다리우스의 명령은, 아에기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이다.
The Athenian request for assistance of Cleomenes of Sparta in dealing with the traitors아테네의 요청은 반역자들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스파르타의 클레오메네스에게 도움을 주었다.
The history behind Sparta having two kings and their powers스파르타에 두 명의 왕과 그들의 힘이 있는 역사
The dethronement of Demaratus, the other king of Sparta, due to his supposed false lineage스파르타의 다른 왕인 데마르나투스가 거짓 혈통으로 여겨져 퇴위한 것.
The arrest of the traitors in Aegina by Cleomenes and the new king Leotychides클레오메네스와 새 왕 레오티치데스에 의한 아에기나의 반역자 체포
The suicide of Cleomenes in a fit of madness, possibly caused by his war with Argos, drinking unmixed wine, or his involvement in dethroning Demaratus광기에 휩싸인 클레오메네스의 자살은, 아르고스와의 전쟁이나, 섞이지 않은 포도주를 마시거나, 데마르나투스 퇴치에 관여했기 때문일 것이다.
The battle between Aegina and Athens아에기나와 아테네의 전투
The taking of Eretria by the Persians after the Eretrians sent away Athenian help페르시아인들이 에레트리아를 빼앗은 것은 에레트리아인들이 아테네의 도움을 보낸 후였다.
Pheidippides's encounter with the god Pan on a journey to Sparta to request aid피디피데스가 스파르타로 원조를 요청하기 위해 여행 중 판 신과 만난 것
The assistance of the Plataeans, and the history behind their alliance with Athens플라타인족의 원조, 아테네와의 동맹의 역사
The amassing of an army by Darius after learning about the defeat at Marathon (7.1)마라톤 패배(7.1)를 알게 된 다리우스의 군대 소집.
The quarrel between Ariabignes and Xerxes over which son should succeed Darius in which Xerxes is chosen (7.2-3)아리아비네스와 아제르세스 사이의 어떤 아들이 크세르크세스가 선택되는 다리우스의 뒤를 이을지를 둘러싼 다툼(7.2-3)
The death of Darius in 486 BC (7.4)기원전 486년 다리우스의 죽음 (7.4)
The defeat of the Egyptian rebels by Xerxes크세르크세스에 의한 이집트 반군 패배
The advice given to Xerxes on invading Greece: Mardonius for invasion, Artabanus against (7.9-10)그리스 침공에 대해 크세르크세스에게 주어진 조언: 침략을 위한 마르도니우스, 아르타바누스 반대 (7.9-10)
The offer by Pythius to give Xerxes all his money, in which Xerxes rewards him크세르크세스에게 모든 돈을 주겠다는 피디우스의 제안, 그 안에서 크세르크세스는 그에게 보상을 한다.
The request by Pythius to allow one son to stay at home, Xerxes's anger, and the march out between the butchered halves of Pythius's sons한 아들을 집에 머물게 해 달라는 피디우스의 요청, 크세르크세스의 분노, 그리고 피디우스의 아들들의 도살된 반쪽 사이의 행군.
The refusal of aid after negotiations by Gelo of Syracuse, and the refusal from Crete시라큐스의 겔로(Gelo)의 협상 후 원조 거부, 크레타(Crete)의 거부.
The destruction of 400 Persian ships due to a storm폭풍으로 인한 400척의 페르시아 선박 파괴
The small Greek force (approx. 7,000) led by Leonidas I, sent to Thermopylae to delay the Persian army (~5,283,220 (Herodotus) )레오니다스 1세가 이끄는 작은 그리스군(약 7,000명)은 페르시아군(5,283,220명(헤로도투스))을 지연시키기 위해 테르모필라에 파견되었다.
The secret pass divulged by Ephialtes of Trachis, which Hydarnes uses to lead forces around the mountains to encircle the Greeks트라키스의 에피알테스가 누설한 비밀 통로는 히다르네스가 산 주위를 지휘하여 그리스인들을 포위하는 데 사용한다.
The retreat of all but the Spartans, Thespians, and Thebans (forced to stay by the Spartans).스파르타인, 테스파인, 테반스인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의 후퇴.
The Greek defeat and order by Xerxes to remove Leonidas's head and attach his torso to a cross그리스의 패배와 크세르크세스가 레오니다스의 머리를 제거하고 그의 몸통을 십자가에 붙이라고 명령한 것이다.
Greek fleet is led by Eurybiades, a Spartan commander who led the Greek fleet after the meeting at the Isthmus 481 BC,그리스 함대는 기원전 481년 이스무스에서 회의를 마친 후 그리스 함대를 지휘한 스파르타의 지휘관 에우리비아데스(Euribiades)가 이끌고 있다.
The destruction by storm of two hundred ships sent to block the Greeks from escaping그리스인들의 탈출을 막기 위해 보낸 200척의 선박의 폭풍에 의한 파괴
The retreat of the Greek fleet after word of a defeat at Thermopylae테르모필라에 패전 후 그리스 함대의 퇴각
The supernatural rescue of Delphi from a Persian attack페르시아의 공격으로부터 델피의 초자연적인 구조
The evacuation of Athens assisted by the fleet함대의 지원을 받은 아테네의 피난.
The reinforcement of the Greek fleet at Salamis Island, bringing the total ships to 378살라미스 섬에서 그리스 함대를 증강하여 전체 함선을 378척으로 끌어올렸다.
The destruction of Athens by the Persian land force after difficulties with those who remained남아 있는 사람들과의 어려움 끝에 페르시아 육군에 의한 아테네 파괴
The Battle of Salamis, the Greeks have the advantage due to better organization, and fewer losses due to ability to swim살라미스 전투는 조직이 좋아져 그리스인들이 유리하고, 수영 능력으로 인한 손실이 적다.
The description of the Angarum, the Persian riding post앙가룸의 묘사는 페르시아의 승마장이다.
The rise in favor of Artemisia, the Persian woman commander, and her council to Xerxes in favor of returning to Persia페르시아 여성 사령관 아르테미시아에게 유리한 입장과 페르시아로 돌아가는 것을 찬성하는 크세르크세스에 대한 그녀의 평의회.
The attack on Andros by Themistocles, the Athenian fleet commander and most valiant Greek at Salamis살라미스의 테미스토클레스의 안드로스에 대한 공격, 아테네 함대 사령관이자 가장 용맹한 그리스인
The escape of Xerxes and leaving behind of 300,000 picked troops under Mardonius in Thessaly크세르크세스의 탈출과 테살리의 마르도니우스 휘하의 30만 명의 선발대원을 남겨둔 것.
C. Hude (ed.) Herodoti Historiae.C. 후데 (edd.) 헤로도티 역사학. Tomvs alter: Libri V-IX continens. (Oxford 1908) Tomvs는 변한다: Libri V-IX는 계속된다. (Oxford 1908)
H. B. Rosén (ed.) Herodoti Historiae.H. B. 로젠 (ed.) 헤로도티 역사학. Vol. I: Libros I-IV continens. 제1권: 리브로스 I-IV는 계속된다. (Leipzig 1987) (라이프치히 1987년)
H. B. Rosén (ed.) Herodoti Historiae.H. B. 로젠 (ed.) 헤로도티 역사학. Vol. II: Libros V-IX continens indicibus criticis adiectis (Stuttgart 1997) 제2권: 리브로스 V-IX는 계속해서 지적 비평가(Stuttgart 1997)
N. G. Wilson (ed.) Herodoti Historiae.N. G. 윌슨 (ed.) 헤로도티 역사학. Tomvs prior: Libros I-IV continens. (Oxford 2015) Tomvs 이전: Libros I-IV가 계속됨. (Oxford 2015)
N. G. Wilson (ed.) Herodoti Historiae.N. G. 윌슨 (ed.) 헤로도티 역사학. Tomvs alter: Libri V-IX continens. (Oxford 2015) Tomvs change: Libri V-IX가 계속됨. (Oxford 2015)
A. D. Godley Herodotus : The Persian Wars : Volume I : Books 1–2 (Cambridge, Massachusetts 1920)A. D. 고들리 헤로도투스 : 페르시아 전쟁 제1권 : 1-2권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1920년)
A. D. Godley Herodotus : The Persian Wars : Volume II : Books 3–4 (Cambridge, Massachusetts 1921)A. D. 고들리 헤로도투스 : 페르시아 전쟁 : 제2권 : 책 3-4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A. D. Godley Herodotus : The Persian Wars : Volume III : Books 5–7 (Cambridge, Massachusetts 1922)A. D. 고들리 헤로도투스 : 페르시아 전쟁 : 제3권 : 서적 5-7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1922년)
A. D. Godley Herodotus : The Persian Wars : Volume IV : Books 8–9 (Cambridge, Massachusetts 1925)A. D. Godley Herdotus : 페르시아 전쟁 : 제4권 : 책 8–9 (매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Aubrey de Sélincourt, 1954 excerpts;1972, 1996, 2003, revised once by A. R. Burn, and twice by John Marincola오브리 드 셀린코트, 1954년 발췌;1972년, 1996년, 2003년, A. R. 번에 의해 한 번, 그리고 John Marincola에 의해 두 번 개정.
Pharaoh, by Bolesław Prus, incorporating the Labyrinth scenes inspired by Herodotus' description in Book II of The Histories바로는 볼레스와프 프루스의 작품으로, 헤로도토스의 역사책 2권 서술에서 영감을 받은 라비린트 장면을 통합하였다.
Creation, by Gore Vidal, interpreting many scenes from the Persian viewpoint.창조, 고어 비달에 의해 페르시아의 관점에서 많은 장면들을 해석한다.
^^Herodotus (Book II, 68) claimed that the trochilus bird visited the crocodile, which opened its mouth in what would now be called a cleaning symbiosis to eat leeches.헤로도투스(Book II, 68)는 트로킬루스 새가 악어를 방문했다고 주장했는데, 악어는 이제 거머리들을 먹기 위한 청소 공생이라고 불릴 정도로 입을 열었다. A modern survey of the evidence finds only occasional reports of sandpipers "removing leeches from the mouth and gular scutes and snapping at insects along the reptile's body."[5] 그 증거에 대한 현대적인 조사는 "파충류의 몸통을 따라 입으로부터 거머리들을 제거하고 곤충들을 콕콕 찌르는"[5]모래주파리에 대한 가끔 보고만을 발견한다.
^ Jump up to: ab^ 위로 이동:Herodotus (1987).헤로도투스(1987년). The History, translated by David Gren. 데이비드 그렌이 번역한 역사.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시카고 대학 출판부. .mw-parser-output cite.citation{font-style:inherit}.mw-parser-output .citation q{quotes:"\"""\"""'""'"}.mw-parser-output .id-lock-free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free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Lock-green.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id-lock-limited a,.mw-parser-output .id-lock-registra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limited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registrati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6/Lock-gray-alt-2.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id-lock-subscrip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subscripti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Lock-red-alt-2.svg")right 0.1em center/9px no-repeat}.mw-parser-output .cs1-subscriptio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color:#555}.mw-parser-output .cs1-subscription spa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 span{border-bottom:1px dotted;cursor:help}.mw-parser-output .cs1-ws-icon a{background: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Wikisource-logo.svg")right 0.1em center/12px no-repeat}.mw-parser-output code.cs1-code{color:inherit;background:inherit;border:none;padding:inherit}.mw-parser-output .cs1-hidden-error{display:none;font-size:100%}.mw-parser-output .cs1-visible-error{font-size:100%}.mw-parser-output .cs1-maint{display:none;color:#33aa33;margin-left:0.3em}.mw-parser-output .cs1-format{font-size:95%}.mw-parser-output .cs1-kern-left,.mw-parser-output .cs1-kern-wl-left{padding-left:0.2em}.mw-parser-output .cs1-kern-right,.mw-parser-output .cs1-kern-wl-right{padding-right:0.2em}.mw-parser-output .citation .mw-selflink{font-weight:inherit} ISBN0-226-32770-1. pp. 37-38.ISBN0-226-32770-1페이지 37-38.
^^Arnold, John H. (2000).아놀드, 존 H(2000년) History: A Very Short Introduction. 역사: 아주 짧은 소개. Oxford University Press. 17.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7. ISBN0-19-285352-X. ISBN0-19-285352-X.
^^Fehling, Detlev (1989).페흘링, 데틀레프(1989년). "Some demonstrably false source citations". "일부 거짓 출처 인용" Herodotus and His 'Sources' . Francis Cairns, Ltd. 50–57. 헤로도토스와 그의 '소스' 프랜시스 케언스 주식회사 50-57 ISBN0-905205-70-7. ISBN0-905205-70-7. Lindsay, Jack (1974). 린제이, 잭(1974년). "Helen in the Fifth Century". "5세기의 도움" Helen of Troy Rowman and Littlefield. 133–134. 트로이 로우만의 헬렌과 리틀필드. 133 대 134. ISBN0-87471-581-4ISBN0-87471-581-4
^^Macfarland, Craig G.; Reeder, W. G. (1974). "Cleaning symbiosis involving Galapagos tortoises and two species of Darwin's finches". Zeitschrift für Tierpsychologie. 34 (5): 464–483. doi:10.1111/j.1439-0310.1974.tb01816.x.
^^Kim, Lawrence (2010).김, 로렌스(2010년). "Homer, poet and historian". "호머, 시인, 역사학자" Homer Between History and Fiction in Imperial Greek Literature.그리스 제국 문학에서 역사와 소설 사이의 호머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35 ISBN978-0-521-19449-5.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30-35 ISBN978-0-521-19449-5. Allan, Williams (2008).앨런, 윌리엄스(2008) "Introduction". "소개". Hel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24 ISBN0-521-83690-5. 헬렌,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기자 22-24 ISBN0-521-83690-5 Lindsay, Jack (1974). 린제이, 잭(1974년). "Helen in the Fifth Century". "5세기의 도움" Helen of Troy. 트로이의 헬렌 Rowman and Littlefield. 135-138. 로우먼과 리틀필드 135-138 ISBN0-87471-581-4ISBN0-87471-5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