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형이상학 비판
종합적 선험적 명제는 어떻게 가능한가 ? 이 질문은 종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에서 문제가 되는 조사의 틀을 잡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 이에 대한 대답으로 칸트는 질문을 세 가지로 나누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습니다. 1) 수학의 선험적 종합 명제는 어떻게 가능합니까? 2) 자연과학의 선험적 종합 명제 는 어떻게 가능한가? 마지막으로, 3) 합성은 어떻게 선험적 입니까? 형이상학의 명제가 가능한가? 체계적인 방식으로 칸트는 이러한 각 질문에 답합니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초월적 미학과 공간과 시간의 초월적 관념론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됩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칸트가 지식과 경험의 가능성을 근거로 삼는 데 있어 범주가 수행하는 본질적인 역할을 증명하고자 하는 초월적 분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초월 적 변증법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은 엄청나게 무뚝뚝한 결론입니다 . 즉 형이상학은 본질적으로 변증법적이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따라서 그것은 그것이 방어하는 것만큼이나 거부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변증법에서 칸트는 전통적이고 합리주의적이며 형이상학, 즉 합리적 심리학, 합리적 우주론, 합리적 신학의 중심 학문에 관심을 돌립니다. 칸트는 이러한 각 분야를 괴롭히는 오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1. 서론: 존재론(일반 형이상학)과 초월적 분석의 거부
- 2. 특별한 형이상학과 초월적 변증법의 거부
- 3. 영혼과 합리적 심리학
- 4. 세계와 합리적 우주론
- 5. 신과 합리적 신학
- 6. 초월적 변증법의 이성과 부록
- 서지
- 학업 도구
- 기타 인터넷 리소스
- 관련 항목
1. 서론: 존재론(일반 형이상학)과 초월적 분석의 거부
칸트가 비평 의 완전히 새로운 부분 을 특별한 형이상학의 분야에 할애하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 그의 비평은 초월적 미학과 초월적 분석 모두에서 이미 옹호된 주장 중 일부를 반복합니다. 사실, 비판 의 초기 부분에서 나온 두 가지 핵심적인 가르침 , 즉 공간과 시간의 초월적 관념성, 그리고 "현상"에 대한 지성 개념의 모든 적용에 대한 비판적 제한은 이미 칸트의 "존재론(형이상학)"에 대한 거부를 수반합니다 . 일반화).” 따라서 초월적 분석에서 칸트는 오성의 형식적 개념과 원리를 통해 "객체 일반"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시도에 반대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칸트는 일반 논리학(예: 모순의 원리) 또는 자신의 "선험적 논리"(오성의 순수 개념)의 원칙이나 규칙이 그 자체로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합니다 .객체에 대한 지식을 얻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지식이 두 능력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는 견해와 함께 칸트의 잘 알려진 지성과 감성 사이의 "종류 구별"에서 나옵니다. 분석 전반에 걸쳐 표현된 이 입장은 직관에 대한 적용과는 독립적으로 이해의 개념과 원리는 대상에 대한 지식을 산출할 수 없는 사고의 단순한 형태라는 것을 수반합니다.
왜냐하면 개념에 상응하는 직관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개념은 그 형태에 관한 한 여전히 생각일 것이지만 어떤 대상도 없을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는 어떤 지식도 가능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아는 한, 내 생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을 것이고, 아무것도 아닐 수도 있다. B146
따라서 우리는 형이상학적 지식을 습득하려는 노력에 대한 일반적인 불만을 발견합니다. 대상이 주어질 수 있는 감각적 조건에서 추상적으로 형식적 개념과 원칙을 사용하는 것은 지식을 산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성의 "초월적" 사용(감각의 조건과 독립적으로 사용)은 칸트에 의해 변증법적이며 감성/경험과 독립적으로 사물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개념의 잘못된 적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칸트는 분석 전반에 걸쳐 경험과 독립적인 사물에 대한 지식(따라서 "본체"에 대한 지식)을 목표로 하는 지성의 초월적 사용이 불법임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A246/B303 참조). 이와 관련하여 칸트는 분석에서 유명하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일반적으로 사물에 대한 선험적 인식 … 이를 채우면서 칸트는 객체에 대한 매개되지 않은 지적 접근("비감각적" 지식을 갖기 위해)을 취하는 것은 우리가 알 수 있는 비감각적 대상이 있다는 가정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합니다. 그러나 이것을 가정하는 것은 "현상"(또는 외관)을 "본체"(또는 사물 자체)와 혼동하는 것입니다. 현상과 사물 자체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초월적 실재론"이라는 제목 아래 있는 모든 유해한 사고 체계의 특징입니다.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은 이에 대한 치유책이다.
2. 특별한 형이상학과 초월적 변증법의 거부
칸트가 형이상학의 보다 전문화된 분야에 대한 거부는 감성의 조건과 독립적으로 오성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려는 모든 시도(즉, 오성의 선험적 사용)가 불법. 따라서 칸트의 주요 불만 중 하나는 형이상학자들이 단순히 도식화되지 않은(순수한) 지성 개념으로부터 선험적 종합 지식을 연역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 그러나 칸트에 따르면 개념만을 통해 형이상학적 지식을 획득하려는 노력은 실패할 운명에 처해 있다.
이 일반적인 비난은 확실히 칸트의 불만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야기는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특별한 형이상학(영혼, 세계, 신에 관한 것)의 특정 분야로 전환하면서 칸트는 인간의 이익을 논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합니다. 이러한 관심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지식의 완전성과 체계적 통합을 달성하려는 이론적 목표와 영혼의 불멸, 자유, 신의 존재를 확보하려는 실천적 관심을 포함합니다. 형이상학적 환상에 대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문제의 목표와 이해관계가 피할 수 없고 불가피하며 인간 이성의 본질에 내재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2.1 이성론과 초월적 환상
이 연결에서 이성에 대한 강조는 중요하며, 그것은 순수 이성에 대한 칸트의 "비판" 프로젝트와 연결됩니다. 이 비판의 주요 구성 요소는 잘못된 형이상학적 결론(개념을 "초월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을 도출하려는 우리의 노력에 대한 근거를 밝히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한 사용은 이미 (초월 분석에서) 불법으로 나타났습니다. 변증법에서 나타나는 것은 칸트가 특정 형이상학적 주장을 특징짓는 사고의 오용으로 이끄는 "선험적 근거"를 공개하고 비판하려는 보다 복잡한 이야기입니다. 우리의 형이상학적 성향이 “인간 이성의 본성 그 자체에 근거하고 있다”는 입장을 발전시키면서, 칸트(변증법 서론에서)는 삼단논법적 추론을 위한 능력으로서 이성의 개념에 의존합니다. 이성의 이 논리적 기능은 오성(A306/B363-A308/B365)의 실제 사용을 통해 주어진 지식을 체계화, 통합 및 "완성"하기 위해 훨씬 더 일반적인 원칙 아래 명제를 포괄하는 형식적 활동에 있습니다. . 따라서 칸트는 이 활동을 조건지어진 모든 것에 대한 "조건"을 찾는 활동으로 특징짓습니다. 그러므로 칸트의 이성 개념의 핵심은 "그 자체로는 조건이 붙지 않는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조건의 후퇴를 막을 조건 없는 것"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입니다. 이성의 이 논리적 기능은 오성(A306/B363-A308/B365)의 실제 사용을 통해 주어진 지식을 체계화, 통합 및 "완성"하기 위해 훨씬 더 일반적인 원칙 아래 명제를 포괄하는 형식적 활동에 있습니다. . 따라서 칸트는 이 활동을 조건지어진 모든 것에 대한 "조건"을 찾는 활동으로 특징짓습니다. 그러므로 칸트의 이성 개념의 핵심은 "그 자체로는 조건이 붙지 않는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조건의 후퇴를 막을 조건 없는 것"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입니다. 이성의 이 논리적 기능은 오성(A306/B363-A308/B365)의 실제 사용을 통해 주어진 지식을 체계화, 통합 및 "완성"하기 위해 훨씬 더 일반적인 원칙 아래 명제를 포괄하는 형식적 활동에 있습니다. . 따라서 칸트는 이 활동을 조건지어진 모든 것에 대한 "조건"을 찾는 활동으로 특징짓습니다. 그러므로 칸트의 이성 개념의 핵심은 "그 자체로는 조건이 붙지 않는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조건의 후퇴를 막을 조건 없는 것"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입니다.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요구는 본질적으로 궁극의 설명에 대한 요구이며, 지식의 체계적 통일성과 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합리적 처방과 연결된다. 요컨대 이성은 궁극적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는 일입니다. 칸트는 첫 번째 비판 에서 이성에 대한 관심을 정식화하면서 논리적 격언 또는 계율로 특징지어집니다 .” (A308/B364). 지식의 체계적 통합과 완전성에 대한 요구가 우리 이성의 본성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 칸트의 변증법의 핵심입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칸트는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이러한 요구를 우리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며, 형이상학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단지 잘못된 열정의 산물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요구가 우리 이성의 본성 자체에 내재되어 있지만, 그것이 불가피하고 불가결하게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그것을 독특한 종류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우리의 합리적인 과학적 탐구를 인도하고 우리의 (인간) 이성을 정의하는 바로 그 요구가 억제되거나 예방되어야 하는 오류의 장소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 원리와 관련하여 칸트는 또한 이성을 독특한 종류의 오류, 즉 본질적으로 형이상학적 경향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가 "초월적 환상"이라고 부르는 오류의 자리로 식별합니다 .].” 칸트는 초월적 환상을 "사물 자체를 규정하는 데 있어서 객관적 필연성을 위해… 매우 일반적으로 칸트의 주장은 "객관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주관적 관심과 원칙을 불가피하게 취하는 것이 이성의 특이한 특징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칸트에 따르면 형이상학으로 가는 길을 닦는 것은 바로 이 성향, 이 "초월적 환상"입니다. 이성은 초월 분석에서 이미 자세히 설명된 지식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우리를 자극하는 원칙과 관심을 생성함으로써 이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선험적 변증법 소개는 칸트가 말했듯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인지하기 위한 아마도 구별되는 능력으로서 이성을 칸트가 제시한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Analytic에서 이미 시행된 경계를 무너뜨리도록 유도합니다(A296/B352 참조). 칸트는 이러한 이성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이끄는 것으로 언급합니다.형이상학을 특징짓는 초월적 판단. 따라서 초월적 변증법은 "초월적 판단에서 환상을 드러내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합니다(A297/B354). 실제로 변증법은 "환상의 논리[ Schein] "(A293/B350)로 정의됩니다.
중심적인 문제는 무조건적인 것을 추구하는 위의 처방이 무조건적인 것은 이미 주어져 있고 (그대로) 발견될 "거기에"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말하는 형이상학적 원리로서 이성에 제시된다는 것입니다. 이 문제적 원칙은 칸트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식화 됩니다 . 이 "순수 이성의 최고 원리"는 형이상학자가 진행하는 배경 가정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주장은 칸트 프로젝트의 의제를 설정하는데, 여기에는 단순히 형이상학적 주장이 오류라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성의 보다 일반적인 환상에서 그 출처를 폭로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전통적으로 칸트는 형이상학을 일으키는 교활한 "선험적 환상"을 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런 식으로 읽으면 칸트의 변증법은 형이상학의 구체적인 주장뿐만 아니라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사변적 또는 이론적) 관심과 성향 자체 에 대한 비판을 제공한다.. 이것은 확실히 변증법의 많은 부분과 일치하며, 특히 지식은 가능한 경험으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칸트의 잘 알려진 주장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칸트는 형이상학의 근거가 되는 환상(대략 무조건적인 것은 이미 주어졌다)은 피할 수 없다고 반복해서 언급함으로써 상황을 다소 복잡하게 만든다. 더욱이 칸트는 때때로 그러한 환상이 우리의 인식론적 프로젝트에 필요하다고 제안합니다(cf. A645/B673). 이와 관련하여 칸트는 초월적 관념과 이성의 원리가 "구성적으로"가 아니라 "규제적으로" 해석되는 한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그는 형이상학적 대상에 대한 관념을 버리기보다는(그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아이디어와 원칙의 적절한 사용과 기능을 식별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비판적 재해석은 이성의 아이디어와 원리가 우리의 경험적 조사와 지식 습득 프로젝트를 안내하고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장치로서 "규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포함합니다. 칸트에 따르면 관념이 하지 못하는 것은 이성의 사변적 사용을 통해 알 수 있는 대상에 접근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비판적 재해석의 필요성은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이성의 요구가 충족되거나 충족될 수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절대적으로 "조건 없는 것"은 그것이 이성에 객관적으로 제시된다는 사실에 관계없이 가능한 인간 경험에서 포착될 수 있는 대상이나 사건의 상태가 아닙니다. 이 마지막 요점을 강조하면서 칸트는 형이상학을 인식된 "대상"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노력과 동일시하지만 결코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습니다. 지식을 완성시키려는 노력에서, 즉 이성은 "영혼", "세상", "신"과 같은 특정 아이디어를 가정합니다. 이러한 각각의 아이디어는 우리가 조건화된 것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대상 집합과 관련하여 무조건적인 것을 생각하려는 이성의 노력을 나타냅니다.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거부를 구성하는 것은 모든 의미의 기준을 초월하여 ("관념"에 의해) 사고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그리고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독특하고 피할 수 없는 요구를 수반하는 이 일반 이론입니다. 그 거부의 중심에는 이성이 무조건적인 것을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 받았지만 그것을 달성하려는 이론적 노력은 필연적으로 무익하다는 견해입니다. 그러한 무조건적인 지식을 확보할 수 있는 관념은 객관적 실재가 결여되어 있으며(어떤 대상도 언급하지 않음)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지식을 획득하려는 우리의 잘못된 노력은 칸트에 따르면 "끊임없이 우리를 조롱하고 괴롭히는" 환상에 의해 길을 잃게 됩니다(A339/B397 ).
변증법은 철학적 전통에서 특별한 형이상학의 세 가지 뚜렷한 분야인 합리심리학, 합리우주론, 합리신학을 약화시키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이러한 각 분야는 각각 "영혼", "세계" 및 "신"과 같은 특정한 형이상학적 "대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자 합니다. 이렇게 말하면서, 변증법은 이러한 각 분야에 특정한 논쟁, 예를 들어 영혼과 세계의 본성과 신의 존재에 관한 논쟁을 체계적으로 약화시킵니다. 그러나 대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특수 형이상학의 모든 분과가 공유하는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이러한 각 시도의 중심 문제는 고려 중인 "객체"가 "초월적"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객체 로서 이러한 아이디어는 실제로 객관적인 현실이 결여되어 있습니다(직관에서 우리에게 주어지거나 주어질 수 있는 아이디어에 해당하는 객체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된 형이상학적 실체를 "단순한 사고 실체", "뇌의 허구" 또는 "유사 대상"으로 언급하는 칸트를 찾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비록 변증법이 그러한 대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추정하지는 않지만, 칸트는 자신의 선험적 인식론의 제한에 의해 이성의 관념이 우리에게 "알 수 있는" 대상의 개념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전념합니다. 이러한 이유만으로도 형이상학자들의 노력은 주제넘고 최소한 인식론적 겸손은 추구하는 지식을 배제합니다.
Kant의 착시 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llison(2004), Butts(1997), Grier(2001, 예정), Neiman(1994), Theis(1985), Bird(2006)를 참조하십시오. Ameriks(2006), Dyck(2014)도 참조하십시오.
2.2 Hypostatization과 Subreption
칸트의 형이상학 비판에는 두 가지 주목할만한 주제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첫째, 칸트는 각 학문 분야에 고유한 이성의 개념에 대한 설명과 비판을 제공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성의 일반 이론은 칸트가 각각의 관념의 "위격화"에 반대하는 논증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칸트의 형이상학적 분과 비판은 조건의 관련 영역을 통일할 수 있는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요구에 따라 생각되는 이성(영혼, 세계, 신)의 관념이 이성에 의해 잘못 "과격화"되거나 우리가 지식을 추구할 수 있는 마음과 독립적인 "객체"로 생각됩니다. 즉, 조건 없는 것을 추구하는 처방이 객관적 원리로서 추론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관적 관념은 마음과 독립적인 방식으로 존재하는 대상으로 추론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칸트의 목표는 주관적 지위를 강화하는 동시에 주관적 관념을 확보함으로써 그에 수반되는 형이상학을 해소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칸트의 형이상학 비판은 동시에 초월적 대상에 대한 지식을 위한 도구로서 이론적 이성을 순수하게 사용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지식 습득의 전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예측 또는 목표로 이성의 아이디어를 방어합니다. 우리가 보게 되겠지만, 불행하게도 칸트는 이 문제에 대해 우리가 원하는 만큼 명확하지 않습니다. 때때로 그는 이성의 관념과 원리가 이미 얻은 지식을 안내하고 체계화하는 데 있어서 휴리스틱한 역할을 할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 같습니다. 다른 경우에 그는 이러한 아이디어가 지식 습득 프로젝트에 매우 필수적이며 지식을 습득하려면 전제가 완전히 필요하다고 제안합니다.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든 간에,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이 이성의 관념과 원리에 대한 직접적인 거부를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칸트는 이성 관념의 '위격화'를 비판하는 것 외에도 관념의 사용과 관련된 '하위 반응'을 폭로하려고 합니다. "subreption"이라는 용어는 특히 다른 종류 의 은밀한 대체와 관련된 오류를 나타냅니다.용어와 개념. 칸트는 일반적으로 경험에 사용하기 위한 개념과 원칙(외관에 적절하게 적용되는 것)을 "순수 이성"의 원칙과 혼동하거나 대체하는 오류를 언급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경험의 조건인 개념이나 원리(예: 통각 원리)는 "객체 일반" 또는 사물 자체에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또는 일반적으로 만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이고 형식적인 원칙은 그 자체만으로도 외관에 대한 지식을 산출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변증법 전체에서 발견되는 이 두 번째 종류의 비판은 환상적인 형이상학적 논증의 근거가 되는 하위 감각을 폭로하려는 칸트의 노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결국 칸트 는 형이상학적 논증을 손상시키는 매우 특정한 형식적 오류를 밝히고, (건전한 것처럼 보이지만) 각 경우의 입장이 암묵적으로 용어와 개념의 변증법적 사용, 원칙의 오용, 그리고 그 자체로 사물과 외모의 융합. 다시 말해 칸트의 형이상학 비판에서 우리가 발견하는 것은 인간 이성에 대한 상당히 견고한 이론에 근거한 복잡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그는 초월 분석에서 이미 드러난 오류를 생성하기 위해 개념과 원칙의 오용과 협력하는 특정 원칙과 경향, 특정 "환상"의 소재지로서 이성을 식별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목적과 불만이 확실히 칸트의 변증법 논의를 복잡하게 만들지만,
3. 영혼과 합리적 심리학
역사적으로 지배적인 형이상학적 관심 중 하나는 영혼의 본성과 구성을 확인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실제적인 이유, 부분적으로는 이론적 설명을 위해 이성은 형이상학적으로 단순한 존재인 영혼이라는 관념을 형성합니다. 그러한 생각은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이성의 요구에 의해 동기 부여됩니다. 칸트는 이 점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시하면서 영혼의 관념은 우리가 이성에 의해 "사유 일반의 조건들의 종합"의 "총체성"을 추구하는 한 필연적으로 이끌리는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A397), 또는 "일반적인 표현의 주관적 조건"(A406/B433)의 "무조건적 통일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한. 더 간단하게, 칸트는 영혼의 형이상학이 "생각하는 주체 자체의 절대적인(무조건적인) 통일성"에 대한 요구에 의해 생성된다고 말합니다(A334/B391). 이 주제에 전념하는 형이상학의 한 분야는 합리적 심리학입니다. 데카르트나 라이프니츠와 같은 합리적인 심리학자들은 예를 들어 영혼의 실재성, 단순성 및 개인적 정체성을 입증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각각의 추론은 "다양한 것을 포함하지 않는 주체의 초월적 개념으로부터, 내가 전혀 개념을 갖고 있지 않은 이 주체 자체의 절대적인 통일성으로부터" 결론을 내리는 것을 포함합니다(A340/B398). 다시 말해서,
칸트에 따르면 이 모든 주장의 본질적인 측면 은 단순히 사고 활동의 분석에서 선험적으로 "영혼"의 본성과 구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려는 시도입니다 . 그러한 시도의 전형적인 예는 "나는 생각한다"라는 명제(또는 아마도 더 나은 활동)에서 자아의 실체성을 추론한 데카르트에 의해 제공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나는 생각한다"에서 "나"가 생각하는 "사물"이라는 주장으로의 데카르트 추론에서 분명합니다. 데카르트에게 이 움직임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생각은 속성이고 따라서 그것이 내재하는 실체를 전제합니다. 칸트는 선험적(a priori)을 강조한다. 합리적 심리학에서 "나는 생각한다"가 "유일한 텍스트"를 제공한다고 가정함으로써 영혼에 대한 형이상학적 교리의 기초가 됩니다(A343–4/B401–02). 자아에 대한 모든 경험적 교리(모든 경험적 심리학)와 구별하는 역할을 하고 종합 적인 선험적 지식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형이상학"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는 것은 학문의 이러한 특징입니다.
합리적 심리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은 여러 가지 뚜렷한 출처에 의존하는데, 그 중 하나는 칸트의 통각 교리 또는 초월적 자의식(종종 "나는 생각한다"를 나의 모든 표현에 붙일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정식화된다. B132 )). 칸트는 자의식의 활동이 생각의 대상을 산출하지 않는다는 근거에서 형이상학자가 자신의 실질적인 결론을 내릴 자격이 있다는 것을 부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성은 투사하고 객관화하는 성향에 따라 움직입니다. 이에 따라 자기의식은 '위격화'되거나 객관화된다. 여기서 다시 칸트는 "자연적 환영"이 의식의 지각된 통일성을 대상의 직관으로 받아들이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합니다(A402). 자의식의 불가피한 주관적 본성, 그리고 그 활동의 맥락에서 "나"의 모호함은 합리적 심리학에 대한 칸트의 반응에 대한 잘 알려진 기반이며 통각의 교리는 칸트의 거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경우에 칸트는 자의식의 특징(통각의 "나"의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단일하며 동일한 본성)이 표면적으로 "알려진" 자아(대상으로서)의 형이상학으로 변환된다고 생각합니다. 지각의 "나"에서 대상(영혼)의 구성으로 넘어가는 이 슬라이드는 2차 문헌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마음과 정신 활동에 대한 칸트의 이론. 따라서 합리심리학에 대한 칸트의 반응에 대한 잘 알려진 기반이며, 통각의 교리는 칸트의 거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경우에 칸트는 자의식의 특징(통각의 "나"의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단일하며 동일한 본성)이 표면적으로 "알려진" 자아(대상으로서)의 형이상학으로 변환된다고 생각합니다. 지각의 "나"에서 대상(영혼)의 구성으로 넘어가는 이 슬라이드는 2차 문헌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마음과 정신 활동에 대한 칸트의 이론. 따라서 합리심리학에 대한 칸트의 반응에 대한 잘 알려진 기반이며, 통각의 교리는 칸트의 거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경우에 칸트는 자의식의 특징(통각의 "나"의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단일하며 동일한 본성)이 표면적으로 "알려진" 자아(대상으로서)의 형이상학으로 변환된다고 생각합니다. 지각의 "나"에서 대상(영혼)의 구성으로 넘어가는 이 슬라이드는 2차 문헌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마음과 정신 활동에 대한 칸트의 이론.
통각의 '나'는 지식의 대상을 산출하지 않는다는 주장(왜냐하면 그 자체는 대상이 아니라 객관성 그 자체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기 때문입니다)은 합리적 심리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에 근본적입니다. 따라서 칸트는 초월적 자의식에는 어떤 대상도 주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형이상학적 실체로 해석되는 자아의 특징을 이성만으로 식별하려는 합리적 심리학자의 노력은 가치가 없다고 주장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심리학자가 자기 의식의 형식적 표현에서 자아의 형이상학으로 슬라이드를 만드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칸트는 영혼에 관한 모든 그러한 주장이 변증법적이라고 주장하면서 각각의 심리적 주장을 조사합니다. 그는 그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고안된 논증을 "선험적 상설"이라고 부르며, 따라서 합리적 심리학을 비판하는 비평의 장을 "순수 이성의 상설"이라고 명명합니다. 칸트에 따르면 초월적 비유는 "선험적 근거에 의해 형식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결론을 이끌어내도록 강요받는 삼단논법"입니다(A341/B399). 따라서 칸트의 후속 노력은 영혼에 관한 논증의 유사론적(잘못된) 성격을 입증하는 방향으로 향합니다. 공식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결론을 내리기 위해”(A341/B399). 따라서 칸트의 후속 노력은 영혼에 관한 논증의 유사론적(잘못된) 성격을 입증하는 방향으로 향합니다. 공식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결론을 내리기 위해”(A341/B399). 따라서 칸트의 후속 노력은 영혼에 관한 논증의 유사론적(잘못된) 성격을 입증하는 방향으로 향합니다.
오류에 대한 칸트의 진단은 상당한 주목을 받았으며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칸트는 논증이 sophisma figurae dictionis 의 오류 또는 모호/모호한 중간의 오류에 대해 유죄라고 말합니다. 칸트는 각각의 삼단논법에서 용어가 대전제와 소전제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고 제안합니다. 영혼의 실재성을 연역한다고 주장하는 논증인 첫 번째 비유를 생각해 보십시오. A판에서 칸트는 논증을 다음과 같이 공식화한다.
그 표상이 우리 판단의 절대적인 주체이며 다른 어떤 것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 실체입니다.
나는 생각하는 존재로서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판단의 절대적인 주체이며 나 자신에 대한 이 표현은 다른 어떤 것의 결정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생각하는 존재(영혼)로서 실체입니다. (A349)
칸트는 "실체"라는 용어의 사용에서 논증에 포함된 모호성을 찾습니다. 칸트에 따르면 대전제는 "선험적으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반면 소전제와 결론은 "경험적으로"라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합니다. (A403). 칸트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전제는 "실체"라는 용어를 우리의 감각적 직관(공간과 시간)의 조건에서 추상화하는 매우 일반적인 방식으로 전개합니다. 이와 같이 대전제는 실체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정의를 제공할 뿐이며, 따라서 객체가 실체로 간주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규칙을 표현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체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실체 개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범주가 경험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그러한 경험적 사용은 그것이 적용되고 있다고 주장되는 대상이 경험적이지 않다는 사실에 의해 배제됩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칸트의 견해로는 다음과 같다. 개체가 전혀 제공되지 않습니다 . 칸트의 전문 용어에서 범주는 시간의 조건 하에서 주어진 대상에 적용되는 "도식화"된 경우에만 대상에 대한 지식을 산출합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불만은 합리심리학을 특징짓는 각각의 병리적 삼단논법에 대해 제기된다. 따라서 칸트는 심리학자가 단순히 주관성의 형식적 특징(“나”가 우리의 표상 경제에서 단일하다는 사실)로부터 형이상학적 대상의 실제 단순성을 은밀하게 추론한다고 언급함으로써 영혼의 단순성에 대한 추론에 반대합니다. . 영혼의 개인적 정체성도 비슷한 이유로 공격을 받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형이상학적 결론은 오성 개념의 사용이나 의미에 있어서 애매모호에 의해서만 도출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형이상학을 특징짓는 주장의 그릇된 본성을 입증하려는 칸트의 노력과 그러한 오류의 근원을 규명하려는 칸트의 관심을 보여줍니다. 이를 감안할 때 합리적 심리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은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합리적 심리학에 대한 그의 비판에는 실제로 여러 가지 뚜렷한 혐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조건 없는 생각의 근거에 대한 우리의 탐구로 이어지며 실제로 주어진 (또는 주어질 수 있는) 어떤 대상과도 일치하지 않습니다.직감적으로 우리에게. 따라서 이 아이디어의 저격화는 당연할 수 있지만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2) 영혼의 관념은 그 자체만으로는 알 수 있는 어떤 대상도 산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혼에 대한 논증은 겉보기에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사실은 개념의 변증법적 적용을 포함합니다. 다시 말해, 논증은 결론을 왜곡하는 오류를 포함합니다. 3) 논쟁은 근절되지 않을 수 있지만 억제되고 비판적으로 재해석될 수 있고 또 그래야만 하는 인간 이성의 특정 특징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더 구체적으로,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요구와 그것이 일으키는 영혼의 관념은 질문을 안내하는 장치로 규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결코 구성적으로, 즉 결코,
칸트의 패러로지즘은 2차 문헌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 Ameriks(1992), Brook(1994), Kitcher, Patricia(1990), Powell(1990), Sellars(1969, 1971), Wolff, RP(1963)를 참조하십시오. 또한 Allison(1983, 2004), Bennett(1974), Buroker(2006), Grier(2001, 예정), Guyer(1987), Wuerth(2010, 2021)(2010), Bird( 2006), Ameriks(2006), Melnick(2006), Dyck(2014), Proops(2010), Willaschek(2018)
4. 세계와 합리적 우주론
칸트가 거부한 합리주의 형이상학의 두 번째 분야는 합리적 우주론이다. 합리적 우주론은 모든 현상(공간과 시간의 대상과 사건)의 총합으로 이해되는 "세계"의 본질과 구성에 관한 논쟁과 관련이 있습니다(A420/B448). 세계에 대한 논증은 칸트가 형이상학을 거부하는 데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칸트는 우주론의 형이상학적 논증을 할인하는 작업에 자신을 돌릴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갈등 중 일부에 대한 해결이 자신의 초월적 관념론에 대한 간접적인 논거를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세계에 대한 논증은 칸트에 의해 "이율배반"으로 언급되는데, 우주론 분야에서 이성은 각 쟁점에 대해 일련의 반대되는 논증("정립"과 "반정립")을 야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기서의 경우는 유사론(그리고 우리가 보게 되겠지만 이상(Ideal)과) 다릅니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제의 이성 관념의 본질에 있다. "세계"라는 관념은 무조건적이지만 어쨌든 여전히 감각적인 대상이라는 관념이라고 주장합니다(A479/B509 참조). 분명히 비감각적 형이상학적 실체라고 생각되는 영혼과 신과는 달리 모든 현상의 총합은 구체적으로 시공간적 대상이나 사건을 가리킨다. 칸트는 영혼과 신의 관념이 "사이비 합리적이며, ” 세계에 대한 생각은 “유사 경험적”입니다. 두 가지 상반된 논증 집합으로 이어지는 것은 바로 이 아이디어의 특징(둘 다 합리적인 대상을 언급한다고 주장하고 그 대상이 무조건적인 총체성으로 이미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다루는 각 문제(세계의 유한성 대 무한성, 자유 대 인과성 등)와 관련하여 광범위하게 "독단적"(플라토닉) 또는 광범위하게 "경험주의적"(에피쿠로스적) 접근 방식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조건의 총체성을 생각하는 다른 방식을 반영합니다(A471–2/B499–500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조건 없는 것을 현상의 이해 가능한 근거로 생각하거나 모든 현상의 총체(비록 무한하더라도)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불행히도 이러한 각각의 개념적 전략은 만족스럽지 않습니다. 궁극적인(이해할 수 있는) 시작에 대한 논문의 관심을 수용하는 것은 이해하기에는 "너무 큰" 것, 경험적으로 결코 만날 수 없는 것(예: 자유, 궁극적으로 단순한 물질)을 가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테제 위치는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이성의 요구를 충족하지만, 시공간적 경험에서 주어지거나 주어질 수 있는 것으로부터 추상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그러나 부지불식간에) 예지적 영역으로 도피함으로써 그렇게 합니다. 그러나 경험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최종 분석에서 더 이상 보람이 없습니다. 정반대의 위치는 "자연 자체의 자원" 내에 안전하게 자리 잡고 있지만 결코 이성의 관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너무 작습니다". 모든 감각의 기준을 초월하여 생각하는 능력과 더 철저한 설명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설상가상으로, 시공간적 영역을 넘어서는 것을 거부하는 대립 논증은 그 반대 논증만큼이나 독단적으로 끝나게 됩니다. 이것을 가정하는 것은 칸트에게 우리 직관의 주관적 특징(감성, 공간 및 시간의 형식)이 모든 것을 유지하는 보편적인 존재론적 조건이라고 취하는 것입니다.
우주론적 논쟁의 양측이 반대에 대해 성공적으로 논쟁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칸트는 이율배반에서 이성이 필연적으로 빠지는(그리고 그 안에 남아있을) "갈등"의 극적인 전시를 발견합니다. 겉모습과 사물 자체 사이에 자신만의 초월적 구별을 채택합니다. 이성 자체와의 갈등의 역사적 파멸은 칸트에게 두 가지 대안 사이의 이성의 동요를 극적으로 보여주는데, 그 어느 것도 만족하지 않고 수용(또는 기각)할 수 없습니다.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 이 갈등은 회의적 절망을 불러일으킨다는 의미에서 "순수한 이성의 안락사"(A407/B434)로 이어집니다.
4.1 수학적 이율배반
순수 이성의 네 가지 "이율배반"이 있으며, 칸트는 그것들을 두 부류로 나눈다. 처음 두 가지 이율배반은 "수학적" 이율배반이라고 불리는데, 아마도 각각의 경우에 우리는 감각적 대상(세계 자체 또는 그 안의 대상)이라고 주장되는 것과 공간과 시간 사이의 관계에 관심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러한 각 논증 집합에 대한 칸트의 거부의 중요하고 근본적인 측면은 이러한 각각의 갈등이 근본적 오류로 소급적용된다는 그의 견해에 달려 있습니다. 오류는 칸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변증법적 삼단논법에서 식별할 수 있습니다.
만약 조건이 주어진다면 조건의 전체 시리즈, 따라서 그 자체가 절대적으로 조건이 없는 시리즈도 주어진다.
감각의 대상은 조건부로 주어진다
결과적으로 감각 대상의 모든 조건의 전체 시리즈가 이미 주어졌습니다. (cf. A497/B525).
칸트에 따르면 이 주장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분명히, 무조건이 "이미 주어졌다"는 가정에서 한 가지 문제가 주요 전제에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한 총체가 경험에서 결코 만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칸트는 주장한다. 모든 조건의 총계가 이미 주어져 있다는 합리적 가정은 사물 자체에만 적용될 것입니다. 현상의 영역에서 총체성은 유한한 담론적 인식자로서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습니다. 외모와 관련하여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가장 큰 말은 무조건적인 것이 과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해명을 구하는 합리적인 처방이 있다는 것(A498/B526-A500/B528). 그러나 유한한(감각적인) 인식자로서 우리는 결코 지식의 절대적인 완성을 달성하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두려운 초월적 실재론자의 특징인 신 중심적 지식 모델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세계 개념의 이러한 실체화, 그것이 마음과 무관한 대상으로 받아들여진다는 사실은 두 당사자 모두에게 두 가지 수학적 이율배반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근본적인 가정으로 작용합니다. 첫 번째 이율배반은 시공간 세계의 유한성 또는 무한성에 관한 것입니다. 테제 논증은 공간과 시간의 세계가 유한하다는 것, 즉 시간의 시작과 공간의 한계를 보여주려고 합니다. 대립은 공간과 시간 모두에 대해 무한하다고 반박합니다. 두 번째 이율배반은 궁극적으로 단순한 실체를 주장하는 테제와 함께 세계에서 객체의 궁극적인 구성과 관련이 있는 반면, 안티테제는 객체가 무한히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여기에서 테제 위치는 궁극을 주장하거나 칸트가 말했듯이 “알 수 있는 시작”(참조. A466/B494). "첫 번째 시작" 또는 궁극적으로 단순한 실체가 있다는 주장은 시공간적 틀에서 추상화함으로써만 유지됩니다. 반면에 반정립 주장의 지지자라고 주장되는 사람은 시간과 공간의 감각적 조건을 넘어서는 어떤 결론도 거부합니다. 반정립 논증에 따르면 세계는 공간과 시간 모두에서 무한하며(이것 또한 무한함) 물체도 (공간의 무한한 분할 가능성에 따라) 무한히 분할 가능합니다. 공간과 시간의 합리적인 조건을 넘어서는 어떤 결론도 거부합니다. 반정립 논증에 따르면 세계는 공간과 시간 모두에서 무한하며(이것 또한 무한함) 물체도 (공간의 무한한 분할 가능성에 따라) 무한히 분할 가능합니다. 공간과 시간의 합리적인 조건을 넘어서는 어떤 결론도 거부합니다. 반정립 논증에 따르면 세계는 공간과 시간 모두에서 무한하며(이것 또한 무한함) 물체도 (공간의 무한한 분할 가능성에 따라) 무한히 분할 가능합니다.
이율배반적 갈등의 각각에서 이성은 교착 상태에 빠진 자신을 발견합니다. 경험을 초월하여 생각하는 우리의 합리적 능력에 의해 요구되는 요구를 만족시키는 명제 논증은 설명을 위한 만족스러운 안식처로 보이는 것을 제공합니다. 반정립은 그러한 전략이 어떤 확인도 찾지 못하고, 이해할 수 있는 영역으로의 정당하지 않은 도피를 인용하면서 "경험"의 영역에 자신을 완전히 박는다고 비난합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갈등은 양측이 내린 결론이 거짓임을 입증함으로써 해결됩니다.
칸트는 이것을 어떻게 증명합니까? 논문 논증과 반논문 논증 모두 간접적인 증명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불가사의합니다. 간접 증명은 그 반대의 불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결론을 확립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우리는 첫 번째 이율배반에서처럼 세계가 유한한지 무한한지 알고 싶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무한성의 불가능성을 입증함으로써 그것이 유한하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노력할 수 있습니다. 또는 세계가 유한하다는 것이 불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세계의 무한성을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명제 논증과 반정립 논증이 각각 하고자 하는 바입니다. 동일한 전략이 두 번째 이율배반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테제 입장의 지지자는 실체의 무한한 분할 불가능성 등을 보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 단순한 실체의 필요성을 주장합니다.
분명히 증명의 성공 여부는 양 당사자가 합의한 배타적 분리의 적법성에 달려 있습니다. 즉, 양 당사자는 "세상이 있다"고, 예를 들어 "유한하거나 무한하다"고 가정합니다. 칸트에 따르면 여기에 문제가 있다. 칸트에게 세계는 유한하지도 무한하지도 않다. 이 두 대안 사이의 대립은 단지 변증법적일 뿐입니다. 우주론 논쟁에서 논쟁의 각 당사자는 세계 개념의 모호성에 희생됩니다.
따라서 칸트는 4.0절 끝에 제시된 일반적인 변증법적 삼단논법에 호소함으로써 수학적 이율배반에 대한 그의 분석을 구조화한다(조건이 주어진다면 무조건이 주어지고, 감각의 대상은 조건이 있는 것으로 주어진다....등). . 문제는 제1전제에서 표현한 원리를 감각(외양)의 대상에 적용하는 데서 비롯된다. 여기서 다시 칸트는 이 삼단논법에 내포된 오류 혹은 오류를 모호한 중간의 오류로 진단한다. 그는 대전제가 순수한 개념으로서 초월적으로 "조건지어진 것"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반면, 소전제는 "단순한 외관에 적용되는 이해의 개념"으로서 '경험적으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합니다(cf. A499– 500/B527–528). 칸트가 의미하는 것은 주요 전제가 "조건부"라는 용어를 매우 일반적인 방식으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직관의 감각적 조건에서 추상적으로 사물을 고려하는 것. 그러나 특히 공간과 시간(외관)에 있는 대상을 언급하는 소전제는 이 용어의 경험적 사용을 약속합니다. 실제로 결론에 도달하려면 그러한 경험적 사용이 전개되어야 합니다. 결론은 현상의 모든 조건의 전체 시리즈가 실제로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즉, 결론은 모든 현상과 그 조건의 총합으로 이해되는 세계가 있다는 것입니다(A420/B448). 결론에 도달하는 경우. 결론은 현상의 모든 조건의 전체 시리즈가 실제로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즉, 결론은 모든 현상과 그 조건의 총합으로 이해되는 세계가 있다는 것입니다(A420/B448). 결론에 도달하는 경우. 결론은 현상의 모든 조건의 전체 시리즈가 실제로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즉, 결론은 모든 현상과 그 조건의 총합으로 이해되는 세계가 있다는 것입니다(A420/B448).
4.2 역학적 이율배반
역학 이율배반에서 칸트는 전략을 다소 변경합니다. (수학적 이율배반에서처럼) 두 결론이 모두 거짓 이라고 주장하기보다는, Kant는 분쟁의 양측이 올바른 것으로 판명 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 옵션은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수학적 이율배반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테제 주장의 지지자들이 시공간 객체에 대한 주장에만 전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 이율배반에서 테제는 기계론적 인과관계에 추가하여 어떤 최초의 인과되지 않은 인과력(초월적 자유)을 가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안티테제는 기계론적 인과관계 이외의 모든 것을 부정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논쟁은 자유와 결정론 사이의 표준(이 경우에는 특별히 우주론적이지만) 논쟁입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이율배반에서 필연적인 존재에 대한 요구는 그 반대와 맞붙는다. 명제적 입장은 필연적인 존재를 주장하는 반면, 반정립적 입장은 그러한 존재가 있다는 것을 부인합니다.
두 경우 모두 논문은 시공간적 틀에서 추상화된 입장을 선택하고 따라서 광범위한 플라톤적 관점을 채택합니다. 자유의 상정은 비시간적 원인의 상정, 공간과 시간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외부 인과성(A451/B479)에 해당합니다. 마찬가지로, "필요한 존재"를 주장하려는 노력에서 이성은 (자신의 주장에 반하여) 비감각적 영역으로 강제됩니다. 만일 필연적 존재가 있다면, 그것은 일련의 현상 "외부"에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요구를 통해 이성은 그 자체와 갈등을 유지해야 하거나, 이 무조건적인 것은 일련의 현상 외부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해할 수 있는 것”(A564/B592). 그러한 필연적 존재자 또는 자유의 인과성을 가정하는 합리적 필연성은 이해 가능한 설명에 대한 합리적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이에 반하여, 초월적 자유 또는 필연적 존재의 개념이 다시 "자연 자체의 자원"(A451–2/B479–80)에서 추상화하려는 시도를 나타낸다고 대조는 올바르게 지적합니다. 물론 대립이 이렇게 하는 것에 대한 정당성을 부정하는 한, 그것은 광범위한 에피쿠로스적 관점을 채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는 "자연 자신의 자원"을 넘어서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대조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험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존재론적 주장의 기초로서 시공간적 조건에 은밀히 잠입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공간과 시간이 그 자체로 사물이라면, 이 무조건적인 요구의 적용은 당연히 보증될 것입니다.
여기에서 이러한 이율배반에 대한 해결은 각 측에 책임을 부여하는 동시에 주장이 유지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데 있습니다. 절대적인 인과적 시작 또는 필연적 존재에 대한 테제 요구는 정당하게 허용될 수 있지만 확실히 자연 현상의 "일부" 또는 설명으로서는 아닙니다. 유사하게, 정반대의 결론은 성립할 수 있지만, 외관으로 간주되는 자연의 대상과 관련하여만 가능합니다. 여기서 갈등은 겉모습이 사물 그 자체라는 가정 위에서만 해결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겉모습이 그 자체로 사물이라면, 겉모습이 모두 기계론적 인과관계에 종속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이 참으로 보일 것입니다. 그러한 경우, 비시간적 시작을 주장하는 것과 그러한 시작을 부정하는 것이 모두 이치에 맞습니다.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 다음, 이 이율배반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딜레마를 남긴다. 초월적 실재론을 가정하면 자연과 자유가 모두 훼손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를 피하기 위해 칸트는 이성을 갈등에서 구해내야 한다는 초월적 관념론에 호소한다. 현상과 사물 자체를 구별하는 초월적 관념론이 주어지면 자연의 메커니즘 또는 우연적 존재 외에 이해할 수 있는 인과적 힘 또는 필연적 존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칸트의 이율배반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Al-Azm(1972), Bennett,(1974), Grier(2001, 2006, 근간), Guyer(1987), Heimsoeth(1967), Strawson(1966), Thiel(2006)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Watkins(1998, 2000), Van Cleve(1984). Allison(1983) 및 Walsh(1975)도 참조하십시오. Bird(2006), Wood(2010), Wuerth(2021), Willaschek(2018)도 참조하세요.
5. 신과 합리적 신학
형이상학적 충동과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요구는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최고로 실재하는 존재인 신의 관념에서 그들의 자연스러운 안식처를 찾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 개념은 "모든 이유에 대해 그러므로를 포함합니다"(A585/B613). 체계적 통합과 지식의 완전성에 대한 요구가 "객관적 상관물"을 찾는 곳은 바로 여기 신의 개념에서다. 칸트는 이 관념을 이상(理想)이라 부르며 스스로를 “단순한 관념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는 개별적 대상의 개념”(A574/B602)으로 규정한다고 제안한다. 이상은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이성의 요구에 대한 최고의 단일 표현을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공격을 받고 있는 형이상학의 마지막 영역은 합리신학이다. 합리적 신학에 대한 칸트의 비판 은 변증법적 오류의 근원을 밝히고자 하는 그의 열망으로 인해 복잡해졌습니다 . ("...단순히 우리의 이성과 그 변증법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또한 이 변증법의 근원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는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야기한 환상"(A581/B607). ) 따라서 칸트는 신의 개념을 합리적이고 사변적인 출처로 거슬러 올라가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합니다. 칸트에 따르면, "....이상은...단순히 자의적인 생각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A581/B607). 이 점에서 칸트는 우리가 신의 관념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싶어한다.ens realissimum ) 특정 사변적 또는 철학적 관심을 추구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최고로 실재하는 존재(the ens realissimum ) 라는 관념은 일반적으로 사물의 순수한 가능성을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동안 필연적으로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ens realissimum 의 아이디어는 자의적이거나 쉽게 없어질 수 있는 아이디어가 아니라는 결론입니다 . 대신에 칸트는 이성이 모든 것을 철저하게 결정하려는 노력에서 철학적으로 그러한 관념으로 옮겨갈 수밖에 없다고 제안한다. 그러한 노력은 현실의 총체성 또는 "모든 것"에 대한 생각을 필요로 합니다 .). 그러한 관념은 철학적으로 필요한데, 그 이유는 각 사물을 철저하게 결정하려는 우리의 노력(그것을 완전하게 알기 위해, 철저하게 구체화하기 위해)에서 우리는 가능한 모든 술어와 그것의 모순( p v ~ p ) 에 대해 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문제의 소지품 두 개. (모든 객체에 대해 A 이거나 A 가 아니며 , B 이거나 B 가 아닙니다., 등, 그리고 이 과정은 각 술어 쌍(각 실재)이 소진될 때까지 반복됩니다 — 칸트는 분명히 여기서 완전한 결정의 라이프니츠식 절차를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모든 술어의 총계의 일반적인 것들.” 또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모든 것은 전체 가능성에서 자신이 가진 몫에서 자체 가능성을 파생하는 것으로 표현됩니다"(A572/B600). 그러나 실재의 전부라는 이 관념은 스스로를 개별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최실재적 존재'의 표상으로 우리를 이끈다. 칸트에 따르면 문제는 현실의 "모든 것"이 위격화되고 (결국) 의인화되어 전체 현실을 낳을 때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cf. A583/B611n). 여기서 다시 칸트는 이 관념 자체가 고유한 하위 인식에 의해 주어진 대상의 개념으로 변환된다고 생각하며, 이에 의해 우리는 사물 일반을 유지하는 경험적 적용만을 의미하는 원리를 변증법적으로 대체합니다. 칸트가 제시한 주장은 참담하지만 본질적인 점은 영혼의 관념이 실체화된 의식의 하위감각을 포함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실재론의 관념도 포괄 원리와 실체화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다.
합리적 심리학과 합리적 우주론의 경우에서와 같이, 따라서 한 가지 핵심적인 문제는 순수(사변적) 이성이 초월적 대상(이 경우에는 신)에 접근할 자격이 있다는 가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선험적으로 구하다 지식. 신의 관념은 불가결하고 "불가피하다"(cf. A584/B612)는 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우리가 그러한 관념을 통해 주장되는 "대상" 사상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부인합니다. 한편으로 하나님의 개념은 "우리 노력의 면류관"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합리적 심리학과 우주론의 경우에서와 같이, 아이디어는 주어진 이론적으로 알 수 없는 대상에 답합니다(A339/B397). 실제로 칸트에 따르면, 신의 관념은 우리로 하여금 “이 이상에 상응하는 존재의 존재를 전제로 해서는 안 되며, 오직 그러한 존재의 관념만을 전제하고, 이것은 오직 신의 무조건적인 총체성으로부터 도출할 목적을 위해서만” 이끈다. 조건부 전체를 완전히 결정합니다. 즉, 제한된…”(A578/B606). 형이상학의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로,
오성에게 개념의 완전한 결정을 위한 충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떤 것을 전제해야 하는 이성의 긴급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성만으로는 그러한 전제의 이상적이고 단지 허구적인 성격을 너무 쉽게 의식합니다. , 자신의 생각을 가진 단순한 피조물이 실제 존재라고 설득되는 것 — 주어진 조건지어진 것으로부터 조건지지지 않은 것으로 퇴행하는 안식처를 찾기 위해 다른 방향에서 쫓겨나는 것이 아니라면 (A584/B612 )
칸트에 따르면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이러한 요구는 어떤 궁극적으로 필요한 존재에 대한 요구와 연결됩니다. 즉 이성은 존재하는 모든 우발적 존재의 근거를 끊임없이 요구하며, 그것들의 근거가 되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에 안주할 때까지 쉬지 않을 것이다. ens realissimum 의 아이디어모든 개념 중에서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존재의 개념과 가장 잘 맞는 것"(A586/B614)이기 때문에 이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유일한 역할을 합니다. 사실, 칸트에 따르면 합리적 신학은 절대적으로 실존하는 존재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에 대한 합리적 요구의 일치에 기초합니다. 무조건적인 근거인 신의 관념으로의 이동이 불가피하더라도 그것은 다른 이성적 관념들만큼이나 골칫거리이다.
이 무조건적인 것은 참으로 그 자체로 실재적인 것으로 주어지지도 않고, 그 단순한 개념에서 뒤따르는 실재를 갖는 것으로 주어지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러한 조건을 그 근거로 추적할 때 일련의 조건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은 그것뿐입니다. 이것이 바로 인간의 이성이 그 본성상 우리 모두를 이끄는 과정입니다(A584/B612; cf. A584/B612n).
따라서 칸트는 신의 존재에 대한 구체적인 주장에 대한 공격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합리적 신학에 대한 그의 비판은 사실 더 자세하고 신의 개념 자체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포함합니다. 신 개념의 합리적 기원과 중요성에 대한 이 설명은 칸트가 신의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논증을 거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칸트는 존재론적, 우주론적, 생리신학적(설계로부터의 논증) 세 가지 전통적 논증을 식별한다. 그러한 모든 주장이 하는 것은 실재론의 개념을 필연적 인 존재의 개념과 결합시키려는 시도입니다. 반면에 존재론적 논증은 실재론 의 개념 에서 그러한 존재가 필연적으로 존재한다는 주장, 우주론적, 생리신학적 주장은 어떤 필연적인 존재 로부터 그러한 존재가 전체 실재임 에 틀림없다는 결론으로 이동한다 .
5.1 존재론적 논증
존재론적 논증에 대한 칸트의 정식화는 상당히 직설적이며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습니다.
- ens realissimum 인 신은 모든 실재/술어를 포함하는 존재의 개념입니다.
- 존재는 실재/술어이다.
- 그러므로 신은 존재한다.
칸트가 이 논증에 포함된 오류를 식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해서 술어로서 "존재"의 사용에 반대한다고 그가 그렇게 자주 단순히 언급된다는 것이 놀랍게 보입니다. 그의 첫 번째 불만은 그것이 "그 가능성에 대해서만 생각한다고 공언하는 사물의 개념"에 "존재"를 도입하는 한 "모순적"이라는 것입니다(A597/B625). 이것은 합리적 신학자가 "모든 실재"를 "실재"를 의미하거나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이성적 신학자가 질문을 던지고 이미 실재론 과 필연적 실존 의 개념 사이의 분석적 연결을 가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 불만의 핵심에는 더 일반적인 것, 다시 말해 어떤 것이 든 필연적으로 존재한다고 추론하려는 시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칸트에 따르면 이성은 불가피하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라는 개념으로 이끌리지만, 오성은 그 생각에 대답하는 후보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습니다. (cf. A592/B620). 분명히, 존재론적 논증은 사실 이 생각에 대답하는 후보가 하나(그리고 단 하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고안 되었습니다 . 그러나 그것은 실재론 의 개념으로부터 필연적 존재를 연역함으로써 그렇게 한다.(모든 실재 또는 술어를 포함하는 존재) "존재"가 술어 또는 실재라는 소전제를 통해서만. 그러나 칸트는 존재가 "실제 술어" 또는 결정이라는 것을 부인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한 가지 비판은 논증이 실제(결정하는) 술어와 단순히 논리적으로 융합된다는 것입니다. 실제(결정하는) 술어는 그것이 붙어 있는 개념을 확대하는 술어입니다. 다른 형이상학적 분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 오류의 위치는 전체 실재론 의 관념이 결정적인 방식으로 범주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객체"의 개념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칸트의 비판에는 실존의 범주가 초월적 착취에 종속된다는 주장이 포함된다(A598/B626). 이 범주의 오용은 Kant에 따르면 우리가 존재를 알 수 없는 순수 사고의 대상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A602/B630).
5.2 기타 증명
존재론적 논증이 엔실리 시멈 개념에서 절대적 필연적 존재 개념으로 이동하려 한다면 , 우주론적 증명과 생리신학적 증명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각각은 절대 필연으로 존재해야 하는 어떤 것이 있다고 주장하고 이 존재가 전체 실재 라고 결론짓는다 . 이 증명들은 실재론 과 필연적 존재를 동일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 그리고 이것을 하기 위한 시도는 선험적 논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경험적으로 입증될 수 없다), 칸트는 둘 다 (궁극적으로) 존재론적 것에 대한 의존에 의해 손상되었다고 생각한다. 증거. 보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둘 다 ens realissimum 이라는 가정에 의해 완화됩니다. 기존의 작업을 반드시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개체 또는 후보입니다. 그는 존재론적 논증이 어떤 의미에서 그러한 주장을 하는 데 암묵적으로 의존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은 그것과 함께 서거나 무너집니다. 칸트의 관점에서 우리가 보게 될 것처럼 그것들은 넘어진다.
칸트에 따르면 우주론적 증명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 위와 같이 논증의 주창자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의 존재를 먼저 증명하고자 한다. 둘째, 합리적인 우주론자는 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가 전체 실재 임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
칸트가 공식화한 우주론적 논증은 다음과 같다.
어떤 것이 존재한다면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도 존재해야 한다.
나 자신은 적어도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가 존재한다.
위와 같이 유신론자는 궁극적으로 이 필연적인 존재를 ens realissimum 과 동일시하기를 원할 것이며 , 칸트는 (변증법적) 존재론적 논증에서 은밀하게 밀수한 동일시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의 주장은 우주론적 논증의 지지자가 궁극적으로 존재론적 논증을 수용하는 데 헌신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녀가 필요한 존재를 실재론과 동일시하려는 시도가 있기 때문 입니다 . 이것은 우주론적 논증이 존재론에 의존한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칸트는 또한 순전히 선험적인 것을 생산하려는 노력이신의 존재에 대한 논증(존재론적 논증) 자체는 우주론적 논증에서 표현된 필요성인 일반적으로 존재에 필요한 근거를 찾아야 하는 이성의 필요성에서 추진력을 얻습니다(A603–04/B631–32 참조). 이것은 칸트가 존재론적, 우주론적 논증을 조건 없는 것에 대한 합리적인 요구의 기저에 있는 하나의 상호보완적 표현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존재론적 논증에 대한 주장과는 별개로, 칸트는 우주론적 논증에 대해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칸트에 따르면 우주론적 논증은 조명되고 "파괴"되어야 하는 "변증법적 가정의 전체 소굴"로 특징지어집니다(A609/B637). 이러한 변증법적 추정에는 (경험 내에서) 우발적인 것에서 감각의 세계 밖에 있는 어떤 원인을 추론하려는 시도, 범주의 초월적 오용을 포함하는 노력이 포함됩니다. 그것은 또한 무한한 일련의 원인의 개념적 불가능성으로부터 어떤 실제적인 것으로 추론하려는 변증법적 노력을 포함한다고 칸트는 주장한다.감각 밖의 첫 번째 원인. 그러한 노력에는 이성이 진정으로 필요한 존재에게 마침내 도달했다고 느끼는 "거짓 자기 만족"이 포함됩니다. 불행하게도 칸트에 따르면 이것은 개념 의 단순한 논리적 가능성 (자기모순이 아님)을 사물 의 초월적 (실재적) 가능성 과 결합함으로써만 달성됩니다 . 요컨대, 우주론적 논증은 합리적이거나 주관적인 필연성을 현실적이거나 객관적인 필연성과 혼동함으로써 추진력을 얻으므로 초월적 환상을 수반합니다(A605/B633 참조).
우리는 마침내 물리신학적 증명 에 이르렀는데 , 그것은 세계의 특정한 구성, 특히 그 아름다움, 질서, 합목적성으로부터 지적인 원인(신)의 필연적인 존재에 이르기까지 논증합니다. 그러한 논증은 존재 일반에서 가 아니라 어떤 결정적인 경험 에서 출발함으로써 우주론적 논증을 넘어선다.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A621/B649). 이것이 강점으로 보일 수 있지만 Kant에 따르면 이 전략은 실패할 운명입니다. 어떤 경험도 필연적이고 근원적인 존재에 대한 관념에 적합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개념을 채우기에 충분한 경험적 자료를 결코 얻을 수 없으며, 부분적으로 조건 있는 것 중에서 무조건적인 것을 찾으면 영원히 그리고 항상 헛된 것을 찾을 것입니다.”(A621/B649)
칸트의 주장은 우리가 자연의 질서와 합목적성이 우리에게 어떤 지적 설계자를 가정할 타당한 이유를 제공한다고 인정할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이 실재론 에 대한 추론을 보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Kant는 기껏해야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가 .... 그러나 세계의 창조자는 아닙니다." (A627/B655). ens realissimum 에 대한 마지막 추론은 실제(경험적) 세계에 대한 고려에서 멀리 이동함으로써만 도출됩니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도 칸트는 합리적 신학자가 선험적( a priori) 에 의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논쟁. 사실, 칸트에 따르면, 물리신학적 증명은 그 경험적 출발점이 주어졌을 때 그 자체만으로는 최고의 존재의 존재를 확립할 수 없으며 결정적인 단계에서 존재론적 논증에 의존해야 합니다(cf. A625/B653). 칸트에 따르면 존재론적 논증은 실패하기 때문에 생리신학적 논증도 실패합니다.
칸트는 신의 존재에 대한 이론적 증거로서 물리신학적 논증을 거부하지만, 자연에서 합목적적인 통일성과 설계를 인식해야 하는 이성의 필요성에 대한 강력한 표현을 봅니다(A625/B651 참조). 여기에서 자연의 합목적성과 체계적 통일성에 대한 물리신학적 논증의 강조는 칸트가 자연과학에서 우리의 노력에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가정을 조명합니다. 목적적이고 체계적인 통합의 가정이 수행하는 본질적인 역할과 그것이 과학적 탐구에서 수행하는 역할은 초월적 변증법의 부록에서 칸트가 다루고 있습니다. 이제 이 주제로 넘어갑니다.
순수 이성과 합리적 신학의 이상에 대한 논의는 Caimi(1995)를 참조하십시오. England(1968), Grier(2001, 예정), Henrich(1960), Longuenesse(1995, 2005), Rohs(1978), Walsh(1975), Wood(1978), Chignell(2009), Grier(2010), 치넬(2014), 워스(2021), 윌라첵(2018)
6. 초월적 변증법의 이성과 부록
초월적 변증법에서 제시된 형이상학적 논증에 대한 비판은 칸트의 논의를 종결짓지 못한다. 실제로 초월적 변증법의 "부록"에서 칸트는 이성의 긍정적인 역할 또는 필연적인 역할의 문제로 돌아갑니다. 기이한 "부록"은 많은 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 변증법의 전체 추진력은 순수한 이성을 "비판"하고 억제하고 실제 사용에 대한 그 가식을 약화시키는 데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계속해서 우리를 형이상학적 오류로 이끈 바로 그 이유가 어떤 필연적인 아이디어와 원리의 원천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합리적인 가정이 과학적 이론화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제안합니다(A645/B673; A671/B699 ). 이와 관련하여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초월적 변증법의 부록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 "순수 이성 관념의 규제적 사용에 관하여"에서 칸트는 이성에 대한 몇 가지 적절한 "내재적" 사용을 식별하려고 시도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칸트는 여기에서 체계적 통합이라는 이성의 원리에 필요한 역할을 확립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 원리는 초월적 변증법의 서론에서 칸트에 의해 두 가지 형태로 처음 정식화되었는데, 하나는 규범적이며 다른 하나는 형이상학적 주장처럼 들립니다. 첫 번째, 규범적 형식에서 원칙은 "지성을 통해 주어진 조건지식에서 그것의 통일성이 완성되는 무조건지식을 찾으라"고 명합니다. 보완적인 형이상학적 원리는 "무조건적인 것"이 참으로 주어지고 거기에서 발견된다는 것을 우리에게 확신시켜 줍니다. 함께 찍은,
칸트는 체계성에 대한 이성의 요구가 경험적 탐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칸트는 특히 이해의 실제 사용을 통해 주어진 지식을 과학적 이론으로 통합하려면 이해의 일관된 작동이 이성의 인도적 영향력을 필요로 한다고 제안합니다(A651–52/B679–80 참조). . 칸트에게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는 것은 하나의 "지식 전체"라는 개념에 비추어 점점 더 적은 수의 원칙으로 지식을 포괄하거나 통합하여 그 부분이 필요한 연결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cf. 646/B674). 따라서 지식 전체의 형태에 대한 관념은 “지성에 의해 획득된 지식의 완전한 통일성, 이 지식은 단순한 우발적 총합이 아니라, 그러나 필요한 법률에 따라 연결된 시스템”(A646/B676). 이렇게 말했지만, 칸트의 입장은 그 세부 사항에서 확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때때로 칸트는 단지 우리가지식의 체계적 통합을 추구하며 이는 단지 자신의 이론적 편의를 위한 것입니다(A771/B799-A772/B800). 그러나 다른 경우에 그는 자연 자체가 체계적 통합에 대한 우리의 요구에 부합 한다고 가정해야 하며 , 이는 우리가 진리에 대한 경험적 기준을 확보하려면 반드시 그래야 한다고 제안합니다(A651–53/B679–81 참조). 따라서 체계성에 대한 요구의 정확한 상태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더 미묘한 텍스트 문제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이성의 적절한 사용은 항상 "규제적"일 뿐이며 결코 구성적이지 않다는 견해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규정적인 것과 구성적인 것의 구별은 이성의 주장이 해석될 수 있는 두 가지 다른 방식을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칸트에 따르면 이성의 원리는 실재 대상의 개념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때 구성적입니다(A306/B363; A648/B676). 변증법 전반에 걸쳐 칸트는 이성의 관념과 원리에 대한 이러한 (구성적) 해석에 반대하여 이성은 지금까지 가능한 경험을 초월하여 그 관념과 일치하는 경험이 아무것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칸트는 이성이 구성적이라는 점을 부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본 것처럼 이성은 "불가결하게 필요한" 규제적 용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성의 요구에 따라 지식의 체계적 통합과 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해가 인도되고 이끌어진다. 즉, 칸트는 체계적 통일성에 대한 이성의 요구가 경험적 지식 습득의 기획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실제로 칸트는 체계성에 대한 요구를 세 가지 다른 원칙, 즉 동질성, 구체화 및 친화성의 원칙과 연결합니다. 그는 이론 형성에서 우리를 안내하는 근본적인 가정을 표현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질적인 점은 경험적 지식의 발전과 확장은 언제나 말하자면 지식의 통합과 완성을 확보하려는 합리적 이해관계에 의해 '이미' 인도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그러한 안내 의제 없이, 그리고 자연이 지식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리의 합리적인 요구에 부합한다는 가정 없이, 우리의 과학적 추구는 오리엔테이션이 부족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성의 원리가 과학에서 필요한 "규제적" 역할을 한다는 주장은 완전한 지식에 도달한다는 전통적인 합리주의적 이상에 대한 칸트의 비판적 재해석을 반영합니다.
칸트가 부록의 두 번째 부분("인간 이성의 자연적 변증법의 최종 목표에 관하여"(A669/B697))에서 이성의 세 가지 최고 관념이 중요한 이론적기능. 보다 구체적으로, 이 섹션에서 칸트는 체계성 원리의 중요한(규제적)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에서 변증법에서 문제가 되는 세 가지 초월적 아이디어(영혼, 세계 및 신)에 대한 고려로 전환합니다. 이성 관념의 통합 및 안내 역할의 예로서, 칸트는 이전에 화학의 "순수한 지구" 및 "순수한 공기"의 관념 또는 심리학적 연구에서의 "근본적인 힘"의 관념에 호소했습니다(참조, A650/B678). ). 이전에 그의 제안은 이러한 아이디어가 과학적 분류를 지배하는 관행에 내포되어 있으며 이질적인 현상 간의 설명 연결을 찾도록 우리에게 명령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이성의 가정은 우리의 설명이 지향하는 방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의 이론은 점진적으로 체계적인 상호 연결과 통합을 달성합니다. 유사하게, 칸트는 이제 변증법에서 문제가 되는 이성의 세 가지 초월적 관념 각각이 상상의 점으로 작용한다고 제안한다.focus imaginarius ) 우리의 조사가 가상적으로 수렴하는 방향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그는 영혼의 개념이 심리학에서 우리의 경험적 연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세계 기반 물리학의 개념과 신의 개념이 자연 과학의 이 두 가지 분야를 하나의 통합된 과학으로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제안합니다(cf. A684/B712-A686/B714). 칸트는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아이디어가 우리가 열망하고 경험적 연구에서 전제하는 체계적 통일성을 (문제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신의 개념에 따라 우리는 “ 체계적 통합의 원리[ 원리 ]에 따라 세상의 모든 연결을 고려합니다.그것들은 모두 지고하고 충분한 원인으로서 하나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존재로부터 발생했습니다”(A686/B714). 논란의 여지가 있는 그러한 주장은 경험적 탐구가 하나의 통합된 지식체라는 합리적인 목표에 비추어 수행되는 하나의 그리고 모든 것이라는 칸트의 견해를 밝혀줍니다. 그것은 또한 나중에 초월론적 방법론에서 강조된 칸트의 견해를 가리키며, 이성의 이론적 및 실천적 관심은 궁극적으로 더 높은 통일성을 형성합니다.
부록과 이성과 체계성의 역할에 대한 논의는 Allison(2004), Brandt(1989), Buchdahl(1967), Britton(1978), Forster(2000), Friedman(1992), Ginsborg(1990), Grier를 참조하십시오. (2001, 예정), Guyer(1990a, 1990b), Horstmann(1989), O'Neill(1992), Patricia Kitcher(1991), Philip Kitcher(1984), Nieman(1994), MacFarland(1970), Walker(1990) ), Walsh(1975), Wartenberg(1979, 1992), Rauscher(2010), Willaschek(2018).
이론적 이성과 실천적 이성의 "통합"에 대한 중요한 논의는 Forster(2000)를 다시 참조하십시오. Velkley(1989)도 참조하십시오.
서지
Kant의 관련 작품(독일어 판 및 번역 포함):
- 실천적 이유 비판 , 1956, trans. LW Beck, 인디애나폴리스: Bobbs-Merrill.
- 순수이성비판 , 1929, trans. N. Kemp Smith, 뉴욕: St. Martin's Press
- Gesammelte Schriften , 1922, Koniglich Preuss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에디션, 베를린 및 라이프치히: de Gruyter
- Kant: Philosophical Correspondence, 1759–99 , 1970, ed. 그리고 트랜스. A. Zwei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Kritik der reinen Vernunft , 1954, ed. R. 슈미트, 함부르크: Felix Meiner
-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 , trans. J. Ellington, 인디애나폴리스: Bobbs-Merrill.
- 모든 미래 형이상학에 대한 Prolegomena , 1950, trans. LW Beck, 인디애나폴리스: Bobbs-Merrill.
- 칸트: 1968년 Beck과의 선별된 비평 전 저술 및 서신 , 트랜스. GB Kerferd 및 DE Walford, 맨체스터: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철학적 신학 강의 , 1978, trans. Allen Wood 및 Gertrude M. Clark, 이타카: Cornell University Press
- 판단력 비판에 대한 첫 번째 소개 , 1965, trans. 제임스 헤이든, 뉴욕: Bobbs-Merrill Press
- Immanuel Kant 작품의 캠브리지 판: 형이상학 강의 , 1997, trans. 그리고 에드. Karl Ameriks 및 Steve Naragan, 캠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임마누엘 칸트 작품의 케임브리지 판. Logic 강의 , 1992, trans. 그리고 에드. J. Michael Young, 케임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임마누엘 칸트 작품의 케임브리지 판: 순수 이성 비판 , 1998, trans. 그리고 에드. Paul Guyer와 Allen Wood, 캠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칸트의 변증법 주제에 대한 선별된 2차 독해
- Al-Azm, S., 1972, The Origins of Kant's Argument in the Antinomies , 옥스퍼드: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 Ameriks, K., 1992, "The Critique of Metaphysics: Kant and Traditional Ontology," Cambridge Companion to Kant , ed. Paul Guy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2006, “The Critique of Metaphysics: The structure and Fate of Kant's Dialectic,” in P. Guyer (ed.), Kant and Modern Philosophy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9–302.
- –––, 1982, Kant's Theory of Mind , Oxford: Clarendon Press
- Allison, H., 1983, Kant의 초월적 이상주의 ,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 2004, 칸트의 초월적 이상주의 , 개정 및 확장판,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Bennett, J., 1974, 칸트의 변증법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Bird, G., 2006, The Revolutionary Kant , Chicago: 공개 법정.
- Bird, G. (ed.), 2006, A Companion to Kant , Oxford: Blackwell.
- Buroker, J., 2006, Kant의 순수이성 비판: 서론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andt, Reinhardt, 1989, "The Deductions in the Critique of Judgment: Comments on Hampshire and Horstmann," in Kant's Transcendental Deductions , Eckhard Forster (ed.),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177–190.
- Brook, A., 1994, Kant and the Mind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Brittan, Gordon G., 1978, Kant의 과학 이론 ,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Buchdahl, Gerd, 1969, 형이상학과 과학 철학 .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MIT Press.
- Butts, R., 1997, "칸트의 변증법과 환상의 논리", 논리와 마음의 작용 , ed. Patricia Easton, Atascadero, California: Ridgeview,
- Caimi, M., 1995, "순수이성의 이상의 비규제적 기능에 관하여", 제8차 칸트 국제대회 회보 , ed. Hoke Robinson, 1권, 2부(3A-3L): 539–549.
- Dyck, C., 2014, Kant and Rational Psychology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영국, FE, 1968, 칸트의 신 개념 , 뉴욕: 인문학 출판사.
- Forster, Eckhard, 2000, Kant's Final Synthesis: An Essay on the Opus Postumum , 케임브리지 및 런던: Harvard University Press.
- Friedman, M., 1992, "Causal Laws and Foundations of Natural Science," Cambridge Companion to Kant , ed. Paul Guy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1–199.
- Ginsborg, H., 1990, 칸트의 인지 이론에서 맛의 역할 . 뉴욕과 런던: Garland Publishing Company.
- Grier, M. , 2001, 칸트의 초월 환상 교리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 2006, "The Logic of Illusion and the Antinomies," in Bird (ed.) 2006, Oxford: Blackwell: 192–207.
- –––, 2010, "순수 이성의 이상", P. Guyer(ed.) 2010, pp. 266–289.
- –––, 출간 예정,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in S. Baiasu and M. Timmons (eds.), The Kantian Mind , London: Routledge.
- Guyer, P., 1987, Kant and the Claims of Knowledge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 1990a, "Kant's Conception of Empirical law,"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Supplementary Volume), 64: 220–242.
- –––, 1990b, “이성과 성찰적 판단: 체계성의 중요성에 관한 칸트,” Noûs , 24: 17–43.
- Guyer, P. (ed.), 1992, The Cambridge Companion to Kant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ed.), 2010,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Critique of Pure Reason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eimsoeth, H., 1967, Transzendentale Dialektik. Ein Commentar su Kants Kritik d. 레이넨 베르눈프트 . 베를린: 드 그뤼터
- Henrich, D., 1960, Der Ontologische Gottesbeweis. Sein Problem und seine Geschichte In der Neuzeit , Tubingen: Morh.
- Horstmann, Rolph P., 1989, "왜 칸트의 판단력 비판 에 연역이 있어야 합니까 ?" 칸트 의 초월 연역 , ed. E. 포스터, 157~176쪽.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사.
- Kitcher, P., 1990, 칸트의 초월심리학 ,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Longuenesse, B., 1995, "초월적 이상과 비판적 체계의 통일성", 제8회 칸트 국제대회 회보 , ed. Hoke Robinson, 1권, 2부(3A-3L), Milwaukee: Marquette University Press.
- –––, 2005, 인간의 관점에 관한 칸트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Loparic, Z., 1990, "첫 번째 이율배반의 논리적 구조," Kant-Studien , 81: 280-303.
- MacFarland, P., 1970, Kant의 목적론 개념 . 에딘버러: 에딘버러 대학교 출판부.
- Nieman, S., 1994, The Unity of Reason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O'Neill, Onora, 1992, "이유 입증", The Cambridge Companion to Kant , ed. 폴 가이어.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Rauscher, F., 2010, "순수 이성의 변증법과 정경에 대한 부록: 이성의 긍정적 역할", P. Guyer(ed.) 2010, pp. 290–309.
- Rohs, P., 1978, "Kants Prinzip der durchgangigen Bestimmung alles Seienden," Kant-Studien , 69: 170-180.
- Sellers, W., 1969, "형이상학과 사람의 개념", The Logical Way of Doing Things , ed. K. Lamber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19–232
- –––, 1971, “…생각하는 그 또는 그것(사물)의 이 나…” Proceedings and Addresse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44: 5–31
- Powell, CT, 1990, Kant의 자기의식 이론 , Oxford: Clarendon Press
- Proops, I., 2010, "Kant의 첫 번째 Paralogism," Philosophical Review , 119: 449–95.
- Strawson, PF, 1966, The Bounds of Sense: An Essay o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 London: Methuen.
- Theis, R., 1985, "De L'illusion transcendentale," Kant-Studien , 76: 119-137.
- Theil, U., 2006, "The Critique of Rational Psychology," Bird(ed.) 2006: 207–222.
- Van Cleve, J., 1981, "칸트의 두 번째 이율배반에 대한 성찰," Synthese , 47: 481–494.
- Velkley, R. 1989, 자유와 이성의 종말: 칸트 비판 철학의 도덕적 기반에 관하여 , 시카고와 런던: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 Walker, R., 1990, "Kant's Conception of Empirical Law,"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Supplementary Volume), 64: 243–258.
- Walsh, WH, 1975, 칸트의 형이상학 비판 ,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 Wartenberg, T., 1979, "이성을 통한 질서", Kant-Studien , 70: 409-424.
- –––, 1992, "Reason and the Practice of Science," Cambridge Companion to Kant , ed. Paul Guy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8–248.
- Watkins, E., 1998, “Kant's Antinomies: Sections 3–8,” Kooperativer Kommentar zu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 G. Mohr & M. Willaschek (eds.), Berlin: Akademie Verlag: 445–462
- –––, 2000, "Kant on Rational Cosmology" in Kant and the Sciences , ed E. Watki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0–89.
- Wilson, M., 1974, "라이프니츠와 유물론",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3: 495–513
- Willaschek, M., 2018, Kant on the Sources of Metaphysics: The Dialectic of Pure Reason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uerth, J., 2010, "순수 이성의 유사 논리", P. Guyer(ed.) 2010, pp. 210–244.
- –––, 2021, The Cambridge Kant Lexicon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olff, Robert Paul, 1963, Kant's Theory of Mental Activity ,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Harvard University Press
- Wood, A., 1975, "Kant's Dialectic,"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 5(4): 595–614.
- –––, 1978, Kant's Rational Theology ,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 –––, 2010,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P. Guyer(ed.) 2010, pp. 245–265.
- Wood, A. (ed.), 1984, 칸트 철학의 자아와 자연 ,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학업 도구
이 항목을 인용하는 방법 . Friends of the SEP Society 에서 이 항목의 PDF 버전을 미리 보십시오 . Internet Philosophy Ontology Project(InPhO)에서 이 항목과 관련된 주제와 사상가를 찾아보십시오 .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링크와 함께 PhilPapers 의 이 항목에 대한 향상된 참고 문헌 목록입니다 .
Copyright © 2022 by
Michelle Grier < mgrier @ sandiego . 에듀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라클레이토스 & 파르메니데스 (1) | 2023.05.26 |
---|---|
소크라테스 이전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의 고대 철학 (0) | 2023.05.25 |
Christian Wolff (0) | 2023.05.23 |
Edmund Husserl (0) | 2023.05.23 |
온톨로지 정의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