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oosing Justice
publishing.cdlib.org
정의의 선택 - 윤리 이론에 대한 실험적 접근
- Norman Frohlich (지은이) , Joe A. Oppenheimer (지은이)
- 1992년 7월
- 초판
- 단행본
$30.95, £24.00 - 시리즈사회적 선택과 정치 경제에 관한 캘리포니아 시리즈
- 제목 세부 정보
- 권리: 전 세계에서 사용 가능
페이지: 276
ISBN: 9780520084377
트림 크기: 6.14 x 9.21
삽화: 그림 9개, 테이블 29개
정의의 선택 |
Acknowledgments |
Introduction: Understanding Distributive Justice |
Part I Objectives, Methods, and Research Design |
Chapter One Empirical Considerations Concerning Impartial Reasoning |
Chapter Two Research Problems |
Chapter Three Research Design |
Part II Choices Under Conditions of Impartial Reasoning |
Chapter Four Basic Results Impartial Choices |
Chapter Five Explaining Group Choices of Principles |
Chapter Six Group Choices of a Floor Constraint |
Chapter Seven The Role of Experimental Factors in Individual Choices |
Part III Living with Impartial Decisions |
Chapter Eight Stability of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in a Working Environment |
Chapter Nine Redistribution and Productivity |
Part IV Conclusions |
Chapter Ten Implications for Ethical Inquiry and Social Policy |
Appendix A Subject Handbook |
Appendix B Choices of Principles by Experimental Type |
Appendix C Analyzing the Role of Background and Attitudinal Variables |
Appendix D Analyzing the Effect of Location on the Level of Floor Constraint |
Appendix E Analyzing Changes in Support for Principles by Rankings |
Appendix F Production Documents |
Appendix G Setting the Imposed Principle |
References |
Index |
확인 응답 |
개요:분산 정의의 이해 |
제1편 목적, 방법 및 연구 설계 |
제1장 공정한 논리에 관한 실증적 고려 |
제2장 연구의 문제 |
제3장 연구 설계 |
제2편 공평한 추리 조건에서의 선택 |
제4장 기본적인 결과 공평한 선택 |
제5장 원칙의 선택 그룹 설명 |
제6장 바닥 구속의 그룹 선택 |
제7장 개별 선택에서 실험 요인의 역할 |
제3편 공평한 결정에 의한 생활 |
제8장 작업환경에서의 선호 및 만족의 안정성 |
제9장 재배포와 생산성 |
제4부 결론 |
제10장 윤리조사 및 사회방침에 관한 시사점 |
부록 A 환자 핸드북 |
부록 B 실험 유형별 원칙 선택 |
부록 C 배경 및 태도 변수의 역할 분석 |
부록 D 바닥 구속력 수준에 대한 위치 영향 분석 |
부록 E 순위별 원칙 지지의 변화 분석 |
부록 F 프로덕션 문서 |
부록 G 부과 원칙 설정 |
레퍼런스 |
색인 |
개요:
무엇이 공평한가?무엇이 정의로운가?그리고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이 있다면, 우리는 어떻게 그것들을 알 수 있을까요?이것들은 윤리와 정치 철학자들의 중심 관심사이다.2천 년 이상, 철학자들은 이 질문들에 대한 결정적인 해답을 개발하기 위해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그들의 노력은 질문의 지속적인 호소력을 보여주지만, 그들의 결말을 얻지 못해 우리는 주저하게 된다.만약 오랫동안 그 문제에 집중한 위대한 사람들이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면, 그 이유를 물어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
'正義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rechtigkeitstheorien (0) | 2023.01.04 |
---|---|
정의 연구 (0) | 2023.01.03 |
Κρίτων -크리톤 (0) | 2022.10.10 |
소크라테스의 재판 (0) | 2022.10.10 |
정의론 (0) | 2022.05.27 |